KR20000077458A - 마찰 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458A
KR20000077458A KR1020000028669A KR20000028669A KR20000077458A KR 20000077458 A KR20000077458 A KR 20000077458A KR 1020000028669 A KR1020000028669 A KR 1020000028669A KR 20000028669 A KR20000028669 A KR 20000028669A KR 20000077458 A KR20000077458 A KR 2000007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clutch
spring
disc
compres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672B1 (ko
Inventor
키미그칼-루드위그
와크텔미카엘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로터
Publication of KR2000007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3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pressure plate on the flywheel side is combined with a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6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axially movable pressure plate is supported by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이 제공되며, 하우징에 대향하여 비회전하지만,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가능한 압축 디스크를 가지는, 구동열에서 이용하기 위한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특허 출원된 독일 공개 공보 제42 39 291호, 독일 공개 공보 제43 06 505호, 독일 공개 공보 제42 39 289호, 독일 공개 공보 제43 22 677호, 독일 공개 공보 제44 18 026호, 독일 공개 공보 제44 31 641호 및 독일 공개 공보 제195 10 9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마찰 패드(friction pad)의 마모(wear-out)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adjusting device)가 제공되는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에 관한 것이다. 그런 마찰 클러치는 특히 차량의 구동열(drive train)에서 이용되며, 또한 대개의 경우에는 하우징(housing)에 대향해서 비회전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제한적으로 이동가능한 압축 디스크(pressure disc)를 가지며, 이 경우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disc spring)이 제공되어 상기 압축 디스크를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작동(actuate)시킨다.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디스크 스프링 사이에 제공된 조정 장치는 구동열에 장착된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 동안 디스크 스프링의 적어도 거의 일정한 트위스트 상태(constant twisted condition)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 클러치의 생산 자체와 그의 컴포넌트의 생산이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런 보상이 마찰 클러치의 최적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는 마찰 클러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개별 부재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조립(assembling)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부재들이 감소된다. 다른 목적으로는 디스크 스프링 설형부(disc spring tongue)의 디스인게이지 경로(disengageing path)에 걸쳐 그리고 가능한 생산 허용오차(production tolerance) 또는 편차의 고려 하에 그리고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 동안 가능한 한 낮은 및/또는 가능한 한 변함없는 분리력 그래프(disengaging force graph)를 - 적어도 클러치 디스크의 릴리즈 후에 - 갖는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이 디스크 스프링을 선회할 수 있게 지지하며, 이 경우 상기 디스크 스프링은 하우징에 대향해서 비회전되지만, 그러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축 디스크 또는 압축 플레이트를 가동시키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패드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스프링의 마모에 따라 상기 조정 장치가 하우징에 대향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그런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히 상기 디스크 스프링이 일부재로 성형된 플레이트 또는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을 가지며, 이 경우 이 스프링 수단은 축방향으로 트위스트되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피벗 베어링의 방향으로 압착하며,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지지 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디스크 스프링의 측면들 중 상기 압축 디스크를 향한 쪽에서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이 스프링 수단은 디스크 스프링에 직접 작용하며 하우징 쪽에 있는 지지 영역 또는 회전 영역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 디스크 스프링을 동작시킨다.
마찰 클러치를 특히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 영역들은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디스턴스 엘리먼트(distance element)를 통해 형성되고, 이것은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리세스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측면들 중 압축 디스크를 향한 쪽에서 스프링 수단을 위한 지지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나 특히 유리한 점은 상기 지지 영역이 시트 하우징(sheet housing)과 일부재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되고, 이 플레이트는 디스크 스프링을 관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측면들 중 하우징과 등을 지고 있는 쪽에서 스프링 수단을 위한 지지영역을 형성한다.
디스크 스프링과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는 피벗 베어링에 디스크 스프링이 적어도 마찰 클러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이 경우 상기 피벗 베어링은 적어도 상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패드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상응하게 조정 장치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피벗 베어링은 환형 부재에 제공되며, 이것은 적절한 토션(torsion)을 통해 그리고 램프 메카니즘(ramp mechanism)에 의해 상기 피벗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하우징에 지지되는 스프링 수단은 디스크 스프링에서 축력(axial force)을 발생시키며, 이 힘은 마찰 클러치의 가동에 필요한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에 작용하는 축력에 반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가동에 필요한 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점은 압축 디스크 스프링이 적어도 마찰 클러치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의 일부에 걸쳐 디그레시브한 힘-경로-그래프(degressive force-path-graph)를 가지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적어도 그의 압축 경로(compression path) 또는 변형 경로(deformation path)의 일부 영역에 걸쳐 감소하는 힘 그래프를 갖는다. 그 결과, 마찰 클러치가 디스인게이지 과정 동안 상기 마찰 패드들 사이에 제공된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라이닝 서스펜션 세트의 탄성력이 압축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힘에 반작용하므로, 이 디스인게이지 경로의 일부 영역에 걸쳐 압축 디스크 스프링의 가동 또는 변형이 상기 라이닝 서스펜션 또는 라이닝 서스펜션 세트를 통해 지지된다. 디스인게이지 영역에 제공되는 디그레시브한 또는 감소하는 압축 디스크 스프링의 힘-경로-그래프 때문에 동시에 후자로부터 압축 디스크 또는 마찰 패드로 작용하는 힘이 감소된다. 그런 종류의 압축 디스크 스프링 설계의 다른 장점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DE 42 39 289가 참고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기능에 대해 특히 유리한 점은 플레이트 또는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과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트위스트된 토크 전달 내지 리프팅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력(retaining force) 및 디스크 스프링의 마찰 클러치가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경우 상기 지지력은 디스크 스프링의 설치 위치가 구조적으로 제공되면 그리고 마모에 의해 야기된 원추 형상의 변경 없이 디스크 스프링의 가동 또는 회전 동안 디스크 스프링의 회전을 위해 제공된, 지지력에 대한 반대의 힘보다 더 크다. 그러나 디스크 스프링의 원추 형상의, 마모에 의해 야기된 변경에 있어서 디스크 스프링의 가동 경로의 일부 영역에 걸쳐 지지력은 디스크 스프링의 회전에 필요한, 지지력에 반대되는 힘보다 더 작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제공된 리프팅 또는 토크 전달 수단이 디스크 스프링처럼 축력을 압축 디스크에 발생시키며, 이 경우 이 플레이트는 디스크 스프링을 하우징에 지지하는 스프링 수단에 의해 발생된 힘에 중첩되고, 스프링 수단의 설계 시에 상기 축력 역시 적절하게 고려될 수밖에 없다.
이 스프링 수단은 에너지 축적기(energy accumulator)로서 이용되는, 디스크 스프링의 환형 베이스 본체(ring-shaped base body)에 일부재로서 간단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합목적적인 것은 플레이트 형상의 또는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환 형상의 디스크 스프링 본체의 내측 에지(internal edge)에 성형되는 것이다. 큰 길이의 스프링을 얻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디스크 스프링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본체에서부터 시작하여 먼저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해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서 전환 영역을 가지며 그것에 이어서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해 있다. 이 때 플레이트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헤어핀(hairpin)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합목적적인 것은 디스크 스프링 본체에서부터 시작하여 그리고 플레이트의 종방향 또는 연장 방향으로 볼 때 플레이트의 횡단면 또는 휨(bending)에 대한 그의 단면 계수(section modulus)가 변경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적어도 거의 균일한 탄성 변형 또는 균일한 굽힘 응력(bending stress)이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나타나게 된다.
마찰 클러치의 생산 및 장착을 위해 특히 유리한 점은 상기 디스크 스프링이 환 형상 본체를 가지며, 이것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클러치의 동작에 이용되는 설형부가 시작하며 상기 설형부들 중 적어도 개별 설형부들 사이에 플레이트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디스크 스프링 설형부가 이 때 그룹(group)으로 분할되며, 그들 사이에 각각 하나의 플레이트 종류의 스프링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한 설형부 그룹이 2 내지 4개의 설형부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3개의 설형부를 갖는다. 플레이트 종류의 스프링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슬롯(slot) 또는 프리펀치(free punch)가 디스크 스프링의 생산에 필요한 블랭크(blank) 안에 제공된다. 이들 슬롯은 디스크 스프링의 인접한 가동 설형부에 대해 플레이트 종류의 스프링 수단을 분리시킨다. 또한 합목적적인 것은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해 있는 그리고 그에 인접하는 반경 방향으로 바깥을 향해 있는, 플레이트 종류의 개별 스프링 수단의 영역들이 슬롯을 통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마찰 클러치의 장착 시에 또는 하우징에 디스크 스프링을 장착 할 때 플레이트 종류의 스프링 수단이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특히 유리한 점은 상기 마찰 클러치가 탄성의 리프팅 수단을 가지며, 이 경우 이 수단이 마찰 클러치의 디스인게이지 동안 하우징에 대해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일치하게 압축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이 디스인게이지 경로의 일부 영역에 걸쳐 점진적인 힘 그래프도 갖는다. 그러므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리프팅 수단으로부터 압축 디스크에 작용하는 축력이 마찰 클러치의 풀림 동안 적어도 상기 디스인게이지 운동(disengaging movement)의 일부 영역에 걸쳐 더 커진다는 점이다. 또한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마찰 클러치가 결합하는 동안 상기 리프팅 수단으로부터 압축 디스크로 작용하는 축력이 적어도 인게이지 운동(engaging movement)의 일부 영역에 걸쳐 감소된다는 것이다.
하우징과 디스크 스프링 사이에 작용하는 조정 장치와 함께 마찰 클러치에 그런 종류의 탄성 리프팅 수단을 배열시킴으로써 마찰 클러치가 풀어지는 동안 오버트래블에 대한 안전성(overtravel security)이 커지며 더 정확히 말해 조정 포인트(adjusting point) 또는 조정 영역(adjusting area) 안에 기존의 패드 마모가 조정 장치를 통해 보상되고, 이 조정 포인트로부터 상기 조정 장치는 커버 쪽에 있는 회전 받침부에 대향하여 디스크 스프링에 제공되는 합성력(sum force)이 점점 커지기 때문이다. 이 합성력은 전술한 종류에 따른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대개의 경우에 마찰 패드 사이에 제공된 라이닝 서스펜션,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존재하는 플레이트 스프링 종류의 토크 전달 및/또는 리프팅 수단 및 디스크 스프링의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을 통해 발생된다. 프레스 플레이트를 통해 클러치 디스크의 풀림 시에 압축 디스크에 대한 라이닝 서스펜션의 작용은 사라진다. 이 풀림 포인트(unblocking point)에 또는 이 풀림 포인트에 인접한 디스인게이지 영역 내에서 패드 마모는 조정 장치의 동작(activating)을 통해 보상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 상술되었고, 그 때문에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가능한 조정 장치의 기능 및 가능한 구성과 관련하여 상기 공보들의 개시 내용이 참고가 되므로, 본 출원에서는 이와 관련한 어떠한 상세한 설명도 필요하지는 않는다.
클러치 디스크가 풀어진 후에 압축 디스크를 통해 남는 잔여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프로그레시브한 힘 그래프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리프팅 수단의 이용을 통해, 적어도 잔여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상기 디스크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즉 커버 쪽에 있는 피벗 베어링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합성력이 점점 커지며, 따라서 이 디스크 스프링 설형부 첨두에 작용하는 디스인게이지 힘 역시 그에 적절하게 커질 수 있으며 더 정확히 말해 특히 디스인게이지 경로의 단부 영역에서 커지며, 원하지 않는 단점, 즉 마모에 근거하지 않는 조정이 이루어지는 않는다.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프로그레시브한, 즉 증가하는 힘 그래프를 가지는 탄성 리프팅 수단에 부가하여 다른 탄성 수단이 특히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처럼 이용되고, 이 경우 이 스프링 수단은 마찬가지로 압축 디스크에 축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토크의 전달에 이용되는 부가의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이 이 때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설치되므로, 이들은 마찰 클러치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즉 디스인게이지 방향으로 프레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레시브한, 즉 감소하는 힘 그래프를 갖는다. 상기 탄성 리프팅 수단 및 상황에 따라서 존재하는 부가의, 그것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스프링 수단 및 이 디스크 스프링에 제공된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의 스프링 특성 곡선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압축 디스크에 작용하는 발생된 합성력이 하우징에 대해 압축 디스크의 가능한 전체 이동 경로(displacement path)에 걸쳐 실제로 거의 변함없거나 또는 약간 상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수단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프로그레시브한 힘 그래프를 발생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점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일정한 파형(undulation)을 가지며 한 편으로 하우징과 다른 한편으로 압축 디스크와 연결되도록, 적어도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클러치의 축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된다는 것이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와 상기 하우징 및 압축 디스크 및 미리 정해진 파형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의 트위스트가 종방향으로 제공된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의 이 트위스트 내지 프리스트레스의 크기는 이 경우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사이에서 업세팅(upsetting)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의 종방향으로 존재하도록 정해진다. 이 업세팅의 적절한 크기를 통해 상기 마찰 클러치 안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수단의 탄성 특성 곡선의 그래프가 영향을 받는다.
패드의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를 이용해 마찰 클러치의 문제없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점은 이완 방향으로 볼 때 프로그레시브한, 리프팅 수단의 힘 그래프가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와 마모 경로를 포함하는, 장착된 마찰 클러치의 적어도 거의 전체 동작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는 것이다. 프로그레시브한 힘 그래프가 이 동작 영역의 양측에서 적어도 작은 경로에 걸쳐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구성을 위해 특히 합목적적인 것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하우징에 대해 또는 압축 디스크에 대해 적어도 거의 접선 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거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는 것이다. 상기 마찰 클러치의 장착을 위해 유리한 점은 탄성의 리프팅 수단이 플레이트 스프링을 통해 형성되고, 이 경우 이 플레이트 스프링은 중앙 영역 및 2개의 단부 영역들을 가지며, 이 경우 한 편으로는 중앙 영역이 하우징 또는 압축 디스크와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부 영역들이 압축 디스크 또는 하우징과 연결된다. 그러나 적어도 2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개별 플레이트 스프링은 한 쪽 단부를 이용해 하우징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를 이용해 압축 디스크와 고정 연결되며, 이 경우 양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이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이 미는 방향으로(in thrust direction) 작용하며 다른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은 당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그 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이 경향에 따라 인장력을 받게되면, 다른 플레이트 스프링 세트는 경향에 따라 콜랩싱 스트레스(callapsing stress)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몇몇 마찰 클러치에 대해 유리한 점은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이 제공되며, 이 수단은 마찰 클러치의 디스인게이지 방향으로 압축 디스크를 가동시키며 탄성 리프팅 수단에 대해 병렬로 작용하며 적어도 이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디그레시브한 힘 그래프를 갖는다는 점이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실제로 토크 전부를 전달하면, 상기 탄성 리프팅 수단이 부가의 스트레스(stress)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이 조정 장치의 기능에 대해 특히 유리한 점은 상기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에 걸쳐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한 압축 디스크의 축방향 이동 때문에 토크를 전달하는,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으로부터 압축 디스크에 작용하는 반작용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해 본 발명이 상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마찰 클러치를 가지는 클러치 장치(clutch assembly)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에 의해 지시된 부분의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클러치 장치에서 이용되는 디스크 스프링의 부분도.
도 4는 도 1과 도 2에 따른 마찰 클러치에서 이용되는 압축 디스크 및 그에 고정된 플레이트 스프링의 도면.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에 의해 지시된 부분의 플레이트 스프링의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마찰 클러치 또는 마찰 클러치의 기능 특성 곡선에 대한 그래프.
도 10 내지 도 12는 마찰 클러치의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디스크 스프링의 각각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찰 클러치 2 : 하우징
3 : 압축 디스크 4 : 압축 디스크 스프링
5 : 지지영역 6 : 링
7 : 조정 장치 8 : 플레이트 스프링
9 : 상대 압축 플레이트 10 : 클러치 디스크
11 : 본체 12 : 설형부
15 : 전환 영역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1)는 여기에서는 시트(sheet)로 제조된 하우징(housing)(2)과 이것에 비회전 연결된(in the non-rotating manner connected),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압축 디스크(pressure disc)(3)를 갖는다. 상기 압축 디스크(3)와 커버(cover)(2) 사이에 축에 압축 디스크 스프링(pressure disc spring)(4)이 트위스트(twist)되어 있으며 또한 커버 쪽에 제공된 환형 지지 영역(ring-shaped support area)(5)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2개 아암의 레버로서 회전할 수 있다(rotate as lever).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영역들을 이용해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이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한다. 이 압축 디스크(3)는 원주 방향으로 또는 접선 방향으로 향해 있는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8)에 의해 상기 하우징(2)과 비회전 연결되어 있다. 이 마찰 클러치(1)는 도 1에 도시된 상대 압축 플레이트(counter pressure plate)(9)에 장착되며, 이 경우 상기 상대 압축 플레이트(9)의 마찰면(friction surface)과 압축 디스크(3)의 마찰면 사이에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c)(10)의 마찰 패드(friction pad)(10a)가 클램핑(clamp)되어 있으며, 더 정확하게 말해서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을 통해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하는 축력(axial force)에 의해 마찰 패드가 클램핑 된다. 상기 마찰 클러치(1)를 상대 압축 플레이트(9)에 장착할 때, 이 압축 디스크(3)가 상기 커버(2)를 통해 에워싸여 있는 공간 안으로 밀치고 들어가며, 이 경우 그 때문에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은 지지 영역(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버(2)에 마주하는 디스크 스프링(4) 측면에 제공된 환형 지지 영역(5)이 링 형상의 회전 지지부(6)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트 링(sheet ring)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 링(6)은 자동 조정 장치(automatic adjusting device)(7)의 구성 요소가 되며, 이것은 적어도 상기 마찰 패드(10a)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모의 보상을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의 축방향 조정(axial adjustment)을 통해 가능하게 만든다.
도 3과 관련하여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은 에너지 축적기(energy accumulator)로서 이용되는 환형상 본체(basic body)(11)를 가지며, 이의 내측 에지(internal edge)로부터 설형부(tongue(12)이 반경 방향으로 안을 향해 있으며, 이 경우 이것은 가동 수단(actuating mean)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은 축방향으로 가요성 스프링 수단(flexible springy mean)(13)을 지지하며, 이것은 하우징(2)에 축에 지지되며 디스크 스프링(4) 또는 그의 본체(11)에 지지 영역(5)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즉 링 형상의 회전 지지부(6)를 향해 축방향으로 압착하거나 작용한다. 축방향의 가요성 스프링 수단(13)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프링(4)과 일부재(one-piece)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단(13)은 긴 플레이트 또는 설형부(tongue)을 통해 형성되며, 이 경우 이것은 블레이드(blade) 형상으로 또는 헤어핀(hairpin)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형상의 스프링 수단(13)은 환형상의 디스크 스프링 본체(disc spring basic body)(11)의 반경 방향의 내측 에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본체(11)로부터 시작하여 스프링 수단(13)이 영역(14)을 매개로 먼저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해 있다. 상기 영역(14)은 전환 영역(15)으로 넘어가며, 이 전환 영역은 다시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해 있는 영역(16)으로 연장해 있다. 그런 종류의 플레이트 형상의 설형부(13)를 통해 비교적 긴 휨 또는 토션 구간(bending or torsional way)이 상기 디스크 스프링(4) 또는 그의 본체(11)와 상기 영역(14)의 연결부와 커버 쪽에 있는 지지부(support)(17) 사이에서 얻어진다. 블레이드 형상의 스프링 수단(13)의 자유단 영역(free end section)(18)은 하우징 또는 커버(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영역(19)에서 축방향으로 예비응력(prestress)을 이용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지지 영역(19)은 상기 하우징(2)에 리벳(rivet) 연결되어 있는 볼트(19a)의 헤드들(heads)을 통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 상기 커버(2)와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영역(19)을 형성하는 수단(mean)(19a)은 하우징(2)으로부터 시작하여 디스크 스프링(4)을 관통해 축방향으로 뻗어있다. 이를 위해 이 디스크 스프링(4)은 그에 맞게 형성된 영역(4a)을 갖는다. 축방향으로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수단(13)을 고정하는 지지 영역(19)은 상기 디스크 스프링(4)과 클러치 디스크(10) 또는 압축 디스크(3)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수단(13)은 동시에 가동 설형부(actuating tongue)(12)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스프링 수단(13)의 형상화 및 이 스프링 수단(13)을 위한 상기 지지 영역(19)과 디스크 스프링(4)을 위한 지지 또는 롤링오프 영역(support or rolling-off area)(5) 사이의 간격을 서로 일치시키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 스프링 수단(13)은 클램핑 상태에 있게된다. 도 1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블레이드 형상의 스프링 수단(13)의 자유단 영역(18) 각각은 볼 형상 지지면(18a)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갖는다.
상기 지지 영역(5) 또는 링 형상의 회전 지지부(6)는 적어도 마찰 클러치(1)가 결합된 상태(engaged state)에서 상기 하우징(2)과 디스크 스프링(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클램핑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지부(6)를 형성하는 링(6)은 조정 장치(7)에 의해 하우징(2)에 지지되어 있다. 이 조정 장치(7)를 통해 보장되는 것은, 상기 링(6)과 디스크 스프링(4) 사이의 마찰 패드(10a)에서의 마모 때문에 상대 압축 플레이트(9)의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을 이동시킬 때 유극(play)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을 위한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거나 형성하는 링 형상의 부재(6)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리딩 램프(axially rising leading ramp)에 의해 하우징(2)에 지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재(6) 및/또는 커버(2)가 그에 대응하는 리딩 램프를 지지하거나 또는 직접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기 부재들(2, 6) 중 적어도 하나의 둘레에 분포되어 있다. 그런 종류의 램프의 실현 및 구성과 관련하여 독일 공개 공보 제43 22 677호, 독일 공개 공보 제19 524 827호 및 독일 공개 공보 제19 855 583호가 참고로 언급될 수 있으며, 그와 관련한 내용이 본 출원에 통합되어 고려되고 있다.
상기 링(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 하중을 받으며(spring-loaded), 다시 말해 상대 램프(counter ramp)에 상기 램프를 상승시킴으로써 압축 디스크(3)의 방향으로, 즉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링(6)의 축방향 장착을 야기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하중을 받는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링(6)을 위한 조정력(adjusting force)은 헬리컬 스프링(helical spring)(20)을 이용해 제공되며, 이 헬리컬 스프링은 상기 조정 링(adjusting ring)(6)과 하우징(2)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클램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는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lining suspension segment)(10b)를 가지며, 이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0.3 내지 0.8mm의 크기로 제한된 축방향 탄성(limited axial elastisity)을 갖는다. 이 축방향 탄성은 마찰 클러치(1)를 인게이지할 때 점진적 토크 형성(progressive torque buildup)을 보장하므로, 그것은 양 마찰 패드(10a)가 서로 대향하여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함으로인해 상기 마찰 패드(10a)에 작용하는 축력의 점진적 성장(progressive growth)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클러치 디스크(10a)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마찰 패드(10a)가 축방향으로 실제로 캐리어 디스크(carrier disc)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의 지지에 이용하는 일정 수의 설형부(13)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9개의 설형부가며, 이 경우 도 3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도시된 디스크 스프링(4)은 그런 종류의 6개의 설형부(13)를 갖고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블레이드 형상의 설형부(13)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있는 영역(15)이 디스인게이징 베어링(disengaging bearing)(21)에 의해 제공되므로 마찰 클러치(1)의 가동에도 이용된다. 상기 설형부(13)의 필요 스트레스(required stress)를 줄이기 위해, 상기 디스인게이징 베어링(21)이 설형부에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설형부가 연장되거나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이루기 위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형상의 설형부(13)의 적어도 반경 방향의 내측 영역(15)이 나머지 가동 설형부(12)에 대해 축방향으로 클러치 디스크(1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 설형부(13)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짧게 형성하는 것이 합목적이므로, 이 설형부가 디스인게이징 베어링(21)에 접하지 않게 된다. 축방향 설형부 높이 상수(axial tongue height constant)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을 지지하는데 이용하는 설형부(13)가 방사(radiate)되지 않는 것이 합목적이다. 또한 상기 설형부(13)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설형부는 전환 영역에서 또는 반경 방향으로 안쪽의 영역(15)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들(14, 16)에서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지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영역들(18)은 설형부(13)의 나머지 영역들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형부(13)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전환 영역(15)의 에지들이 압인되는 것이 합목적적인데, 왜냐하면 그 영역들에 제공된 스트레스가 최적이거나 피크(peak) 스트레스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압축 디스크(3)를 하우징(2)에 고정하기 위해 2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이 제공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리벳 결합을 통해 개별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의 한 단부는 하우징(2)과 고정 연결되며 그의 다른 단부는 압축 디스크(3)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은 하우징(2)과 압축 디스크(3)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in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n opposite direction) 배열되며, 더 정확히 말해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8a)을 통해 형성된 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은 하우징(2)과 압축 디스크(3) 사이에 미는 방향으로(in thrusting direction) 작용하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8b)을 통해 형성된 다른 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 역시 미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그 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이, 예를 들어 8a는 경향에 따라(according to the trend) 인장 응력을 받으면, 다른 플레이트 스프링 세트는 예를 들어 8b는 경향에 따라 콜랩싱 스트레스(collapsing stress)를 받는다.
적어도 상기 마찰 클러치(1)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은 하우징(2)과 압축 플레이트(press plate)(3) 사이에 클램핑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적어도 마찰 클러치(1)가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압축 디스크(3)에 축력(axial force)을 주며, 이 경우 이것은 압축 디스크(3)를 하우징(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displace).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이 도 5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한쪽 단부 영역(22)은 하우징(2)과 연결되며 그 다른 단부 영역(23)은 압축 디스크(3)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필요하면, 다수의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이 적층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 디스크(3)에서 그리고 하우징(2)에서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을 위한 고정 지점들 및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의 형상이 서로 부합하게 되므로, 마찰 클러치(1)를 장착한 경우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는 그의 종방향으로 클램핑되며, 더 정확하게 말해서 상기 압축 디스크(3)가 축방향으로 디스인게이지 경로(disengaging path)에 일치하게 하우징(2)의 방향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점진적 힘 그래프(progressive force graph)가 플레이트 스프링(8a, 8b)을 통해 형성된다. 후자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 압축 디스크(3)가 디스인게이지 또는 리프팅 경로 전반에 걸쳐 볼 때 -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 의해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하는 축력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압축 디스크(3)의 디스인게이지 내지 리프팅 경로의 전체 영역에 걸쳐 더 커진다는 것이다. 마찰 클러치(1)가 닫혀 있는 경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는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변형될뿐만 아니라 그의 종방향으로도 업셋(upset)되며, 이 경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서의 업셋팅(upsetting)은 축방향으로 융기부를 형성한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 안으로 제공되는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그의 변형 역시 압축 디스크(3)에서 그리고 하우징(2)에서 고정 지점의 간격이 그에 맞는 선택을 통해 정해지거나 또는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설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는 마찰 클러치의 축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도 클램핑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8a, 8b)에서 일정한 융기부를 얻기 위해, 도 5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이 예를 들어 굴곡부을 통해 형성된 형성부(24, 25)를 가지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는 비교적 얇은 시트,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spring steel)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이 스프링 강은 0.2 내지 0.8mm의 두께를 갖는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 또는 스프링 수단(13)을 통해 발생된 힘-경로-특성 곡선(force-path-characteristic curve) 및 그것들의 합성된 특성 곡선이 도 6에 따른 다이어그램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횡축에 스프링 경로가 그리고 종축에 힘이 표시되어 있다.
이 특성 곡선(28)은 마찰 클러치(1)와 관련해서 이용되는 설형부(13)에 의해 발생된 탄성 특성(springy characteristic)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설형부(13)는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즉 직선의 힘-경로-특성 곡선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설형부(13)의 적절한 디자인 및 형상화를 통해 다른 그래프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는 적어도 약간 곡선으로 연장해 있다.
선(line)(29)은 마찰 클러치(1)와 함께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를 통해 발생된 탄성 특성 곡선에 일치한다. 특성 곡선(29)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것은 - 휘어지지 않은 위치(unbending position)에서 시작하여 - 클림핑 동안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를 통해 먼저 힘의 상승이 일부 구간(30)에서는 거의 직선적으로 발생한다. 변형 경로(deformation path)에 의존하여 먼저 발생된 힘 상승이 일부 영역(30) 다음에서 점차로 떨어지며, 이 경우 일정한 변형 경로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변형 경로값이 커짐에 따라 감소하며, 더 정확히 말해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선의 특성 곡선 영역(31)에 일치하게 감소한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의 적절한 구성을 통해 상기 영역(31)은 변형 경로값이 커짐에 따라 다소 경사지게 떨어진다. 도 6의 다이어그램에 따라 설계할 때 상기 특성 곡선(29)의 영역들(30, 31)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영역들(30, 31)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 대한 적절한 형상을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곡선을 갖는다. 이 양 특성 곡선(28, 29)들이 서로 매치하도록, 합성된 특성 곡선(32)이 영역(33)을 가지며, 이 경우 설형부(13)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를 통해 발생된 축력이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며 이는 상기 영역(33) 내에서 적어도 거의 변함없다. 그 결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마찰 클러치의 적어도 거의 변함없는 동작점(operating point)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그의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제공된다. 그 때문에 적어도 거의 변함없는 동작 영역(working area) 및 거의 변함없는 각 위치(angular position) 및 디스크 스프링(4)을 위한 배열이 제공된다.
마찰 클러치(1)를 풀기 위해 힘이 디스인게이징 베어링(21)에 의해 화살표(II)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디스크 스프링 설형부 첨두(4c)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이 디스크 스프링(4)은 2 아암 레버의 일종인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5)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이 압축 디스크(3)는 점차 언로드(unload)되고 -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의 작용 하에 디스크 스프링(4)의 외측 에지를 따라서 - 하우징(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디스인게이지 경로 전체의 일정한 영역을 넘어간 후 클러치 디스크(10)의 마찰 패드(10a)가 릴리즈된다. 릴리즈 때까지 상기 마찰 패드(10a) 사이에 제공된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10b)은 디스인게이지 과정을 지원한다(support). 이 압축 디스크(3)가 마찰 패드(10a)를 완전히 언로드 또는 릴리즈하자마자, 이 압축 디스크(3)는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를 통해 디스크 스프링(4)에 대향하여 압축된다. 디스크 스프링(4)과 압축 디스크(3) 사이의 지지는 압축 디스크(3)의 캠(cam)(3a)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다이어그램에 그려진 특성 곡선과 관련하여 미리 그려진 마찰 클러치(1)의 기능이 상술된다.
도 7의 선(40)은 디스크 스프링(4)이 2개의 지지부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형되면 발생되는 힘의 그래프를 나타내며, 이 경우 상기 지지부의 반경 방향 거리(radial distance)는 피벗 베어링(5)과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있는 지지 직경(supporting diameter)(3a)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에 일치한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을 마찰 클러치(1)에서 원추형으로 변형하기 위해, 상기 특성 곡선(41)은 화살표(II)의 방향에 대향하여 압축 디스크(3) 쪽으로 발생하는 힘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특성 곡선(40과 41)들 사이에 힘 차이는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 8a)를 통해 발생되는 힘에 일치한다. 이 힘은 이 디스크 스프링(4)으로부터 압축 디스크(3) 쪽으로 발생하는 힘에 반작용한다. 포인트(point)(42)는 마찰 클러치(1)가 닫혀 있는 경우 디스크 스프링(4)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며, 즉 적절한 설치 위치를 위한 디스크 스프링(4)이 압축 디스크(3)에 대한 최대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를 나타낸다. 포인트(42)는 디스크 스프링(4)의 원추형 설치 위치(conical installation position)의 변경을 통해 선(41)을 따라서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선(43)은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lining suspension segment)(10b)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확장력(axial spreading force)을 나타내며, 이 경우 이 확장력은 양 마찰 패드(10a) 사이에 작용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버 탄성(cover elasticity), 마찰 패드의 탄성 등처럼, 라이닝 서스펜션과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모든 탄성 효과가 이 특성 곡선에 담겨 있다. 축방향 확장력은 디스크 스프링(4)으로부터 압축 디스크(3) 쪽으로 작용하는 축력에 대향한다. 마찰 클러치(1)가 풀어지는 경우 스프링 세그먼트(10b)는 더 정확히 말해서 경로(44)에서 이완된다. 이 압축 디스크(3)의 축방향 이동에 일치하는 경로(44)에서 상기 클러치(1)의 풀림 과정은 상기 확장력을 통해 지원받는다. 그 때문에 발생하는 최대의 분리력(disengaging force)은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10b)의 부재 시에 설치 포인트(installation point)(42)에 일치하는 그 힘보다 작다. 상기 포인트(45)를 넘어갈 때 상기 마찰 패드(10a)는 압축 디스크(3)를 통해 릴리즈되고, 이 경우 디스크 스프링(4)의 특성 곡선의 감소 영역(decreasing characteristic curve area) 때문에 그런 경우 발생하는 분리력은 포인트(42)에 일치하는 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다. 마찰 클러치(1)의 풀림을 위해 이 디스크 스프링(4)의 극복하려는 힘은, 포인트(45)를 초과하는 경우 최소값이 포인트(46)에 일치하게 달성될 때까지, 그 동안 감소된다. 풀림 방향으로 이 포인트(46)를 초과하는 경우 마찰 클러치(1)의 가동(actuate)을 위해 필요한 분리력이 다시 증가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분리력의 그런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서보 스프링(servo spring)과 같은 수단도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수단은 독일 공개 공보 제195 10 90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분리력의 그래프(47)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 그래프는 설형부 첨두(4c)의 영역에서 마찰 클러치(1)의 풀림을 나타낸다. 이 설형부 첨두(4c)의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디스인게이지 경로는 지지부 직경(3a)의 영역에서 디스크 스프링의 축방향 경로 또는 압축 디스크(3)의 경로에 비해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의 레버 트랜스미션(lever transmission)과 설형부(12)의 휨만큼 확대된다. 이 디스크 스프링 또는 레버 트랜스미션은 회전 받침부(5)와 지지부 직경(3a)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에 대한 설형부(12)의 영역에서 회전 받침부(5)와 가동 직경(4c)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의 비율에 대략 일치한다. 이 트랜스미션 비율은 대개 3:1 내지 5:1이다. - 설형부 첨두(4c)의 영역에서 가동 직경과 관련하여 - 압착력 값의 그래프는 이 트랜스미션 비율에 일치하게 도 7에 따른 탄성 특성 곡선(41)의 영역에서의 힘 그래프에 비해 감소된다.
또한, 도 7에는 압축 디스크(3)의 리프팅 경로(48)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 디스크(3)와 관련하여 - 이 리프팅 경로(lifting path)(48) 또는 디스인게이징 경로 전체(50)의 끝 포인트(end point)는 특성 곡선(41)에서 49로 표시되어 있다. 이 리프팅 경로(48) 또는 디스인게이지 경로(50)의 일반적인 설계는, 전체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도달할 때 상기 끝 포인트(49)에 일치하는 분리력이 포인트(45)에 일치하는 분리력보다 더 작도록, 이루어진다.
도 6에서 할당된 특성곡선(28, 29, 32)에서의 포인트들(28a, 29a, 32a)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로부터 - 새로운 마찰 클러치(1)의 결합 상태에서 - 디스크 스프링(4) 쪽으로 작용하는 힘 또는 힘들의 합(sum)을 나타낸다. 이 포인트(28b, 29b, 32b)는 마찰 클러치(1)가 풀린 상태에서 그리고 새로운 클러치 디스크(10)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로부터 압축 디스크(3) 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할당된 특성 곡선(28, 29, 32)의 포인트(28c, 29c, 32c)는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에 의해 제공되는 힘 또는 클러치 디스크(10)가 완전히 닫히는 경우 이들(8a, 8b, 13)로부터 디스크 스프링(4) 쪽으로 작용하는 힘들의 합에 일치한다. 합성 특성 곡선(32)의 실제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일부 영역(33)이 나타내는 바는 마찰 클러치(1)의 전체 내구 연한에 걸쳐 실제로 변함없이 축방향 지지력이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힘 센서(force sensor)로서 이용되며, 이것은 조정 장치(7)와의 공동 유극에서 적어도 마찰 패드(10b)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한다.
마찰 클러치(1)를 풀기 위해 릴리즈 베어링에 의해 또는 릴리즈 시스템에 의해 가동력이 도 1에 따른 화살표(II)의 방향으로 상기 설형부 첨두(4c)에 제공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상기 설형부 첨두(4c)의 영역에서 마찰 클러치(1)의 릴리즈에 필요한 힘 그래프는 도 8에서 특성 곡선(47)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설형부 첨두(4c)의 영역에서 보여지는 목표-전체 디스인게이지 경로(52)의 제 1 일부 영역(51)에 걸쳐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의 회전에 필요한 힘이 특성 곡선 영역(47a)에 일치하게 증가한다는 것이다. 압축 디스크(3) 상에 합성 축력(resultant axial force)은 이 일부 영역(51)에 작용하며, 이것은 축에서 하우징(2)의 방향으로 정해져 있으며 라이닝 서스펜션 엘리먼트(10b)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를 통해 발생된 축력의 합으로부터 형성된다. 이 일부 영역(51) 전체에 걸쳐 연장해 있는 선 영역(line section)(53)은 압축 디스크(3)와 디스크 스프링(4) 사이에 제공되는 트위스팅 힘(twisting force)을 나타낸다. 상기 포인트(54)는 상기 압축 디스크(3)가 클러치 디스크(10)의 마찰 패드(10a)를 적어도 거의 완전하게 언로드하는 마찰 클러치(1)의 가동 상태(actuating state)를 나타낸다. 풀림 방향으로 포인트(54)를 넘어가면 마찰 클러치(1)의 동작에 필요한 분리력은 특성 곡선(47)의 일부 영역(47b)에 일치한다. 상기 포인트(54)를 넘어가면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10b)를 통해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하는 축력이 사라지므로, 그런 경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를 통해 발생되는 합성 축력을 디스크 스프링(4)이 하우징(2)에 대향하여 제공한다. 도 6의 특성 곡선 영역(33)에 따른 합성 축력은 적어도 도 8에 따른 특성 곡선 영역(55)에 걸쳐 존재한다. 도 8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디스크 스프링(4)의 현재의 특성 곡선 영역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포인트(54)를 넘어 가면 일정한 경로 영역에 걸쳐 더 정확히 말해서 포인트(56)까지 영역에 걸쳐 상기 분리력은 특성 곡선 영역(55)에 따른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보다 더 작아진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디스크 스프링(4)은 축에서 롤링오프 지지부(roll-off support)(5)에 접하게 되며 따라서 커버(2)를 통해 축에 지지된다. 도 8에 따른 포인트(54)는 도 7에 따른 포인트(45)에 할당되어 있다. 도 8에 따른 포인트(57)는 도 7에 따른 포인트(49)에 할당되어 있다.
도 8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이 마찰 클러치(1)의 설계는, 디스인게이지 경로 전체(52)에 일치하는 포인트(57)가 양 특성 곡선 영역(47b, 55)의 교점(intersecting point)(56)으로부터 사라지므로, 목표-전체 디스인게이지 경로(52)의 일정한 값만큼 넘어 갈 때에도 의도하지 않은 조정이 디스크 스프링(4)을 통해 링(6)이 언로드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실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찰 클러치(1)와 상호 작용하는 디스인게이지 시스템(21)은, 상기 포인트(56)가 언제나 초과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마찰 클러치(1)를 가동할 때 상기 포인트(56)가 초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지부가 제공되며, 이 경우 이것은 디스크 스프링(4)의 가동 경로 또는 회전 각을 제한한다.
지금까지의 시각은 디스크 스프링(4)의 일정한 축방향 설치 위치에 일치하였으며 마찰 패드(10a)에서의 어떠한 마모도 고려되지 않았다.
특히 마찰 패드(10a)에서 축방향 마모가 발생하면 압축 디스크(3)의 위치는 상대 압축 플레이트(9)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원추 형상(conicality)의 변경 및 마찰 클러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발생하는 압착력이 정확히 말해서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이런 변경을 통해 상기 포인트(42)는 포인트(42')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포인트(45)는 포인트(45')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런 변경을 통해 상기 클러치(1)가 풀어질 때 처음에 존재한 축방향의 힘의 균형(equilibrium of force)은 포인트(45)에 따라 클러치가 가동되면 장애를 받는다. 패드 마모를 통해 야기되는, 압축 디스크(3)에 대한 디스크 스프링 압착력의 상승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분리력 그래프의 이동도 가져온다. 상기 디스인게이지 그래프의 상승을 통해 마찰 클러치(1)가 풀어지는 과정 동안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8a, 8b)과 설형부(13)로부터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합성 축력이 극복되므로, 이 디스크 스프링(4)은 피벗 베어링(5)의 반경 방향 영역에서 축 방향 경로만큼 이동되거나 또는 회전되며, 이 경로는 마찰 패드(10a)의 마모에 일치하게 된다. 이 디스크 스프링(4)의 회전 단계(rotating phase) 또는 탄성 단계(springy phase) 동안 이 디스크 스프링(4)은 압축 디스크(3)의 가동 영역(3a)에 지지되므로, 이 디스크 스프링(4)은 그의 원추 형상을 변경하고 따라서 그 안에 저장된 에너지 또는 그 안에 저장된 토크(torque) 및 디스크 스프링(4)을 통해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하는 힘 역시 변경된다. 도 7과의 관계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변경은 상기 디스크 스프링(4)에 의해 제공된 힘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주로 받침부(3a)의 영역에서 디스크 스프링(4)으로부터 또한 스프링(20)으로부터 압축 디스크(3)에 작용하는 축력이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8a, 8b)과 설형부(13)에 의해 발생된 저항력과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그 변경은 이루어진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도 7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포인트(42'와 45')는 다시 포인트(42와 45)의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이 균형이 다시 만들어진 후, 디스크 스프링(4)이 피벗 베어링(5)의 반경 방향 높이에서 회전되며 그러므로 압축 디스크(3)는 다시 마찰 패드(10b)로부터 분리된다. 마찰 클러치(1)가 풀리는 과정에서 마모를 조정하는 단계 동안 이 조정 장치(7)의 조정 링(adjusting ring)(6)은 프리스트레스된 스프링(20)을 통해 트위스트된다. 조정 과정 후에 분리력 그래프가 적어도 도 8에 따른 선(47)에 다시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전술한 조정은 연속적으로 또는 매우 작은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큰 포인트 이동이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가능성이 있는 디스인게이지 오버트래블(possible disengaging overtravel)로 인한 조정을 막기 위해, 하우징(2)의 방향으로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디스인게이지 경로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마찰 클러치(1)의 적절한 디자인을 통해 그 증가는, 도 8에서 포인트(56)의 초과를 통해 마찰 클러치(1)에서 원하지 않는 조정을 초래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증가는 특히 간단하고 유리하게 디스크 스프링 지지 수단 또는 설형부(13)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설형부(13)의 축방향 트위스트가 커지기 때문에 마찰 클러치(1)를 푸는 과정에서 실현된다. 후자는, 영역(19)과 설형부 첨두(18a) 사이에 상기 지지부 영역이 롤링오프 받침부(5)의 영역에 존재하는, 디스크 스프링(4)을 위한 회전 직경보다 더 작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축방향 지지력의 증가는, 도 6에 따른 특성 곡선(29)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 의해 발생된 탄성 특성을 통해 지원되며, 더 정확히 말해서 상대 압축 플레이트(9)의 방향으로 압축 디스크(3)의 축방향 경로값의 증가에 따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에 의해 발생된 축력이 점점 커지기 때문이다. 도 8에서 가능성 있는 그러한, 마찰 클러치(1)의 가동 시에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 그래프는 파선(58)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선(58)은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설형부(13)를 통해 발생된 합성 힘 그래프에 일치한다.
왜냐하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는 이 디스크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상당 부분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가 불리한 온도 작용에 대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와 압축 디스크(3)의 고정 지점 사이의 영역에 열 절연부(thermal isolation)가 제공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와셔(plain washer) 또는 Z-와셔(Z-washer)로 형성된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교적 많은 니켈 성분 및/또는 크롬 성분을 가지는 오스테나이트 강(austenitic steel)이 적합하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가 따스해지고, 이것이 클러치 내에서 이루어지면 유리하다. 또한 마찰 클러치(1)에서 리프팅이 잘 되는 지점에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8a, 8b)가 제공되면 합목적적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링(6)을 회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스프링(twisted spring)(20)이 제공된다. 그러나 몇몇 적용예에 대해 그런 종류의 스프링(20)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조정 링(6)의 회전은 모터의 각 가속도(angular acceleration)와 조정 링(6)의 각 운동량(angular momentum)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의 각 가속도를 통해 조정 링(6)에 힘이 작용하며, 이 힘은 상기 조정 링(6)의 축방향 언로딩 시에 하우징(2)에 대해 회전을 야기시킨다. 이 조정 링(6)이 조정 장치 안에서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톱이 모양의 리플(ripple) 또는 프로필(profile)이 조정 장치(7)의 램프의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이 조정 링(6)은 커버(2)에 대해 항상 약간 압착된 상태이면 유리하고, 앞서 언급한 톱이는 디스크 스프링(4)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모 보상을 목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에서 인게이지된다. 이를 위해 소프트한 나선형 스프링(soft spiral spring)을 제공하는 것이 합목적이며, 이 경우 이것은 하우징(2)의 바닥의 방향으로 조정 링을 가동시키거나 잡아당긴다. 그런 종류의 나선형 스프링은 예를 들어 조정 링에서 펀칭 가공된 긴 설형부를 통해 형성된다. 그를 대신해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상기 조정 링(6) 역시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링(6)의 목적한 리플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달성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대안의 압축 디스크(103)와 하우징(102) 사이의 연결에 있어서, 특히 도 9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2개 세트의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108, 126)이 다르게 구성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126)은 접선 방향으로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압축 디스크(103)와 하우징(102) 사이의 토크 전달에 이용된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126)은 확실한 축방향 프리스트레스를 가지며, 이 때 그의 설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상기 압축 디스크(103)를 디스인게이지 경로 또는 리프팅 경로의 일부 영역에 걸쳐 축방향으로 하우징(10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126)에 의해 제공되는 축력이 마찰 클러치(101)의 설계 시에 고려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마찰 클러치(101)에 담겨 있는 자동 조정 장치의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다른 스프링 수단(108)이 하우징(102)과 압축 디스크(103) 사이에 트위스트되도록 하기 위해, 이것은 마찰 클러치(101)가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 디스크(103)에 축력을 주며, 이것은 압축 디스크(103)를 하우징(10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스프링 수단(108)은 스프링 수단(8a, 8b)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 수단(108)은 그의 단부 영역들(127)을 이용해 상기 하우징(102)과 고정 연결되며 이들 단부 영역들(127)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128)을 이용해 압축 디스크(103)와 연결되어 있다. 이 단부 영역들(127)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턴스 볼트(distance bolt)(140)에 의해 하우징(102)과 리벳 연결된다. 이 중간 영역(12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벳 또는 볼트(141)에 의해 압축 디스크(103)의 반경 방향 익스텐션 아암(extension arm) 또는 캠(142)과 고정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적층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 및/또는 126)가 이용될 수 있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의 디자인 및 트위스트 설치(twisted installation)는, 이것이 마찰 클러치(101)가 풀어질 때 압축 디스크(103)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일치하게 축 방향으로 하우징(102)의 방향으로 상기 압축 디스크(103)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점진적 힘 그래프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후자가 의미하는 바는 - 압축 디스크(103)의 디스인게이지 또는 리프팅 경로에 걸쳐 볼 때 -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로부터 압축 디스크(103) 쪽으로 작용하는 축력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압축 디스크(103)의 디스인게이지 또는 리프팅 경로의 전체 영역에 걸쳐 점점 커진다는 것이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6)는 역시 축방향 트위스트를 이용해 하우징(102)과 압축 디스크(103) 사이에 설치된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6)의 트위스트는, - 압축 디스크(103)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6)로부터 압축 디스크(103)에 작용하는 축력이 압축 디스크(103)의 디스인게이지 방향으로 감소적으로, 즉 작아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11과 도 12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는 0.2mm와 0.8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비교적 얇은 시트 소재(sheet material)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적용예에 따라 더 두꺼운 소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가 밴드 또는 플레이트 형상 스프링 강으로부터 펀칭되고, 이 경우 이것은 펀칭 기계에서 동시에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것은 단부 영역들(127)에서 헤드(head) 형상의 확장부를 가지며, 중간 영역(128)도 역시 확대되어 있다. 확대된 영역(127과 128)에 리세스(127a, 128a)가 설치되며, 이것은 특별한 리벳 이음과 같은 적절한 연결부의 형성에 이용된다. 도 12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08)는 단부 영역들(127) 사이에서 융기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형상의 선택은, 원하는 힘-경로-특성 곡선은 마찰 클러치(1 또는 101) 안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0과 도 12와의 비교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7)는 마찰 클러치 안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리고 적어도 마찰 클러치(1)가 닫힌 상태에서 클러치의 축 방향으로 변형될 뿐만 아니라 그의 종방향으로 업셋팅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7) 안에 제공되는 힘들 및 스트레스가 적어도 마찰 클러치(101)가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에 있는 고정 영역(128) 양측에서 축방향 융기부을 발생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턴스 볼트(140)를 통해 형성된 고정 지점들의 적절한 거리의 선택을 통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7) 안에 제공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변형도 일정하게 정해지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설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7)는 마찰 클러치의 축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 트위스트된다.
마모를 조정하는 마찰 클러치의 대안적인 구성에 따라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126)의 디자인 및 그 크기는, 그것이 축방향으로 트위스트된 설형부(13)의 기능을 넘겨받는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넘겨받도록, 이루어진다.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126)가 설형부(13)의 전체 기능을 취하는 한도에서, 적절한 마찰 클러치 안으로 일반적인 디스크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는 2개의 디스크 스프링 변형예(204, 304)의 부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마찰 클러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디스크 스프링(204)은 설형부(212)의 디자인을 통해 도 3에 따른 디스크 스프링과 구별되며, 이 경우 적절한 마찰 클러치의 하우징에 디스크 스프링(204)을 지지하는데 이용하는 설형부(213)의 단부 영역(218)이 도 3에 따른 단부 영역들(18)과 구별된다. 상기 단부 영역들(218)은 반경 방향으로 볼 때 Y-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사이드 레그(side leg)(218a)는 디스크 스프링(204)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상기 지지 영역(19)에 인접하는 그리고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지지 수단(19a)의 영역과 - 여기에서는 디스턴스 리벳 또는 디스턴스 볼트의 형태로 - 결합한다. 그 때문에 동시에 하우징(2)에 대한 이 디스크 스프링(204)의 비회전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3에 따른 디스크 스프링의 구성에 있어서 이 비회전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형부(13)는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상기 디스턴스 수단(distance mean)(19a)의 그 한 쪽에 그리고 그 다른 쪽에 교대로 지지될 수 있다. 이 설형부(21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동 설형부(actuating tongue)(212)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4에 따른 디스크 스프링(304)의 구성은 주로 상기 디스크 스프링(304)의 지지에 이용하는 설형부(313)가 나머지 설형부들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더 짧게 형성되므로 가동 설형부로서 끌어당겨지지 않는다.
본 출원을 통해 제출된 청구항들은 목적 달성을 위한 선입견 없는 광범위한 특허 보호의 제안들(suggestions)이다. 본 출원인은 지금까지 상세한 설명에 및/또는 도면에만 개시된 다른 특징들의 조합을 청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한 재귀적인 관계는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독립항을 다시 형성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이들은 재귀적인 종속항들의 특징 조합들에 대한 독립적인 물적(objective) 보호 달성의 포기로서 이해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우선권 주장일에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종속항들은 자체의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하기 때문에, 출원인은 그것을 독립항의 대상이 되거나 또는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는 대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유보하고 있다. 또한 그것은 독립적인 발명들을 담고 있으며, 이 경우 이 발명들은 앞서의 종속항의 대상들에 독립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제한으로서 이해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범위에서 수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며, 특히 그러한 변형예(variations)들, 요소들(elements) 및 조합들(combinations) 및/또는 소재들(materials)이 가능하며, 이 경우 이들은 예를 들어 일반적 설명 및 실시예 및 청구항들에 설명된 그리고 도면에 담겨 있는 특징들 또는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과 관련하여 개별 사항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상기 목적의 달성이라는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생산(production), 테스트(test) 및 공정 프로세스(working process)와 관련하여 조합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방법 단계들이 될 수 있다.

Claims (24)

  1.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이 제공되며, 이 경우 이 디스크 스프링은 압축 디스크를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동하며, 또한 마찰 클러치는 디스크 스프링의 적어도 거의 변함없는 트위스트 상태를 구동열에 장착된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 동안 보장하는 자동 조정 장치를 가지는, 하우징에 대해 비회전 고정된,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가능한 압축 디스크를 가지는 구동열에서 이용하기 위한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하우징과 디스크 스프링 사이에서 작용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 디스크 스프링을 위한 피벗 베어링이 상기 조정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크 스프링은 일부재로 형성된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을 가지며, 이것은 축방향으로 트위스트되고 디스크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피벗 베어링의 방향으로 압착하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지지 영역을 가지며, 이 지지 영역들에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디스크 스프링의, 압축 디스크를 향해 있는 쪽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디스턴스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턴스 엘리먼트는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리세스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압축 디스크를 향한 쪽에서 스프링 수단을 위한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들은 시트 하우징과 일부재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되며, 이 경우 이 플레이트는 디스크 스프링을 관통해 그의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디스크 스프링의 측면들 중 하우징과 등지고 있는 쪽에서 스프링 수단을 위한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디스크 스프링은 스프링 수단을 통해 지지력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디스크 스프링은 감소적인 특성 곡선을 가지는 그의 동작 영역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환 형상 디스크 스프링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있는 에지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디스크 스프링의 본체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해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서 전환 영역을 가지며 그에 이어서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 형상 스프링 수단이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디스크 스프링은 환 형상의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클러치의 가동에 이용하는 설형부가 시작하며 이 설형부들 중 적어도 개별 설형부들 사이에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거의 커팅라운드(cutting-round)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이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클러치는 탄성의 리프팅 수단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수단은 마찰 클러치의 풀림 과정에서 하우징에 대한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일치하게 축방향으로 압축 디스크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점진적인 힘의 그래프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 동안 이 압축 디스크는 하우징에 대해 일정한 값만큼 축방향 이동을 실시하므로, 이 탄성 리프팅 수단의 트위스트 상태가 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탄성 리프팅 수단은 이동에 의해 감소적인 힘 그래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디스크를 중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마찰 클러치가 예를 들어 플라이 휘일(fly wheel)과 같은 상대 압축 디스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이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는 미리 정해진 파형 영역을 가지며, 한 편으로는 하우징과 연결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압축 디스크와 연결되도록, 적어도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경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되고, 이 경우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와 상기 하우징 및 압축 디스크 그리고 미리 정해진 파형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의 프리스트레스가 축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스프링 엘리먼트가 종방향으로 업셋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리프팅 수단의 이완 방향으로 볼 때의 점진적인, 리프팅 수단의 힘 그래프가 적어도 거의 상기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와 마모 경로를 포함하는, 장착된 마찰 클러치의 전체 동작 영역에 걸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이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수단은 상기 압축 디스크를 마찰 클러치의 릴리즈 방향으로 가동시키며 탄성 리프팅 수단에 대해 병렬적으로 작용하며 적어도 상기 압축 디스크의 디스인게이지 경로에 걸쳐 감소적인 힘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이 하우징과 그리고 압축 디스크와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이 하우징과 압축 디스크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 클러치의 내구 연한 동안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대한 압축 디스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탄성 리프팅 수단과 설형부 형상의 스프링 수단 및 상황에 따라서는 부가의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힘들의 중첩을 통해 발생되는 합성력이 적어도 거의 변함 없으며 압축 디스크에 릴리즈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력은 하우징에 대한 압축 디스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약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KR1020000028669A 1999-05-31 2000-05-26 마찰 클러치 KR10067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4954.7 1999-05-31
DE19924954 199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58A true KR20000077458A (ko) 2000-12-26
KR100671672B1 KR100671672B1 (ko) 2007-01-18

Family

ID=790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669A KR100671672B1 (ko) 1999-05-31 2000-05-26 마찰 클러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05520B1 (ko)
JP (1) JP2001012499A (ko)
KR (1) KR100671672B1 (ko)
CN (1) CN100378360C (ko)
BR (1) BR0002172A (ko)
DE (1) DE10025850B4 (ko)
FR (1) FR2794200B1 (ko)
IT (1) IT1317714B1 (ko)
RU (1) RU224115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5850B4 (de) * 1999-05-31 2011-12-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JP4873336B2 (ja) * 2001-02-27 2012-02-08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摩擦クラッチ
EP1930611A1 (de) * 2006-12-07 2008-06-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DE102009007828B4 (de) * 2008-03-03 2018-08-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DE102010034816B4 (de) * 2009-09-24 2019-08-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einer Hebelfeder
DE102012219787A1 (de) 2011-11-25 2013-05-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DE102012204557A1 (de) 2012-03-22 2013-09-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US8556056B1 (en) * 2012-07-26 2013-10-15 Daniel R. Pelley Clutch assembly
EP2890911B1 (de) * 2012-08-28 2016-1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EP2906846B1 (de) * 2012-10-09 2019-07-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DE102016202054A1 (de) * 2015-02-12 2016-08-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r Ausrückkraft einer Tellerfeder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vorzugsweise für ein Kraftfahrzeug
JP6840087B2 (ja) * 2015-04-02 2021-03-10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被動軸を消費器に断接自在に接続する、回転軸線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CN112303141A (zh) * 2019-07-31 2021-02-0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合器盖组件和离合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8413B2 (ja) 1986-07-05 1998-02-25 ルーク・ラメレン・ウント・クツプルングスバウ・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振動緩衝装置
US5161660A (en) 1990-11-15 1992-11-1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Clutch plate with plural dampers
SE512355C2 (sv) * 1991-11-26 2000-03-06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ktionskoppling, särskilt för motorfordon, motorfordon med en dylik koppling samt kopplingsaggregat och drivenhet, speciellt för motorfordon
DE4306505B4 (de) * 1992-03-10 2004-01-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DE4322677B4 (de) * 1992-07-11 2005-05-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HU217603B (hu) * 1992-07-11 2000-02-2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Dörzskapcsolóegységek és működtetőszerkezet dörzskapcsolóhoz
GB2278894B (en) * 1993-05-26 1997-12-24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ction clutch
GB2280721B (en) 1993-08-03 1998-03-11 Luk Getriebe Systeme Gmbh Motor vehicle automatic clutch control
CN1103140A (zh) * 1993-09-13 1995-05-31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分离装置
DE19510905A1 (de) * 1994-03-29 1995-10-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US5509518A (en) * 1994-04-21 1996-04-23 Valeo Clutches And Transmissions, Inc.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US5628389A (en) * 1994-07-20 1997-05-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Friction clutch
DE4436110C1 (de) * 1994-10-10 1996-03-07 Fichtel & Sachs Ag Membranfederkupplung der gezogenen Bauart mit Verschleißausgleich
US5641048A (en) * 1994-11-14 1997-06-2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Friction clutch
ES2119667B1 (es) * 1994-12-24 1999-04-01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muelle auxiliar para asistir a la fuerza de desembragado.
ES2119668B1 (es) * 1994-12-24 1999-04-01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muelle auxiliar para asistir a la fuerza de desembragado.
FR2739158B1 (fr) * 1995-09-21 1997-11-28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707785A1 (de) * 1996-03-05 1997-10-30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FR2764020B1 (fr) * 1997-05-30 1999-08-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DE19881886B4 (de) * 1997-12-09 2014-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US6145642A (en) * 1998-03-19 2000-11-1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Friction clutch with automatic compensation for wear
DE10025850B4 (de) * 1999-05-31 2011-12-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41152C2 (ru) 2004-11-27
FR2794200A1 (fr) 2000-12-01
US6305520B1 (en) 2001-10-23
DE10025850B4 (de) 2011-12-01
CN100378360C (zh) 2008-04-02
CN1275685A (zh) 2000-12-06
DE10025850A1 (de) 2001-01-04
IT1317714B1 (it) 2003-07-15
ITMI20001196A1 (it) 2001-11-30
JP2001012499A (ja) 2001-01-16
FR2794200B1 (fr) 2004-10-15
KR100671672B1 (ko) 2007-01-18
ITMI20001196A0 (it) 2000-05-30
BR0002172A (pt)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653B1 (ko) 마찰클러치(명칭정정)
KR100326410B1 (ko) 마찰클러치
KR100671672B1 (ko) 마찰 클러치
KR100516755B1 (ko) 마찰클러치
KR101032199B1 (ko) 마찰 클러치
KR100481200B1 (ko) 마찰클러치
US4744448A (en)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RU2143619C1 (ru)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US6176361B1 (en) Friction clutch with low declutch force
GB2310898A (en) A friction clutch having an assisted actuating spring for higher torque transmission
US6460675B1 (en)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20040262113A1 (en) Flexible pressing force transmission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906257A (en) Clutch cover assembly
US20020079186A1 (en) Pressure plate assembly and pretensioning spring for a pressure plate assembly
US7607524B2 (en) Clutch cover assembly
KR100429657B1 (ko) 마찰클러치
US20020179399A1 (en) Thrust plate assembly
US11815135B2 (en) Friction clutch for motor vehicles
GB2291145A (en) Friction clutch
JP2002526731A (ja) 特に自動車用のデュアル質量部材ダンピングフライホイール
US6695116B2 (en) Pressure plate assembly for a multi-disk clutch
US20020079185A1 (en) Thrust plat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GB2182401A (en)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JP3519081B6 (ja) クラッチユニット
GB2304160A (en)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