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433A -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 Google Patents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433A
KR20000076433A KR1019997008537A KR19997008537A KR20000076433A KR 20000076433 A KR20000076433 A KR 20000076433A KR 1019997008537 A KR1019997008537 A KR 1019997008537A KR 19997008537 A KR19997008537 A KR 19997008537A KR 20000076433 A KR20000076433 A KR 2000007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end fittings
base plate
movement
rail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851B1 (ko
Inventor
쉬베러아르투르
Original Assignee
아루투어 슈보에러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투어 슈보에러,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루투어 슈보에러
Publication of KR2000007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4Non-detachably fixed and secured connections between platform and scaffold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스트럿(11)과 수평 스트럿(12)을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플레이트(13)는 상기 스트럿사이에서 연장되며, 각 전면에는 후크 형상의 단부 피팅(15, 15')이 제공된다. 상기 단부 피팅(15, 15')을 레일섹션(14, 14')방향으로 미끄러지게함으로써 수직 로킹과 언로킹(16, 17)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레일섹션(14, 14')상에 놓여질 수 있다. 수평 미끄럼방지 로킹(18, 19)은 단부 피팅(15, 15')을 상승시킴으로써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며, 따라서 상기 피팅(15, 15')이 수직 로킹의 작동위치(16, 17)에 있을 때 미끄려져서 수직 로킹의 해제위치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DISMOUNTABLE SCAFFOLDING WITH BASE PLATES ARRANGED ON CROSS STRUTS}
본 발명은 해체가능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청구항의 전제부와 관련된 파사드 비계(facade scaffolding)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비계(DE 196 33 091 A1)에서는, 래칭고리(latching catch)가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 피팅(end fitting)에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위치하는 단부피팅을 관련 레일섹션(rail section)상에 래칭함으로써, 관련 레일섹션으로부터 단부피팅을 상승시키려면 먼저 래칭고리를 해제위치로 선회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위쪽으로부터 그 단부피팅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 횡단스트럿이 없는 경우에도, 베이스플레이트가 상승되지 않고 레일섹션상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확실히 보장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래칭고리 형태의 이동가능부품이 있어야만 하며, 이러한 부품은 상승시 조작자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조작되어야만 하며, 건축현장에서의 거친 조작에 의해 손상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못쓰게 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명명한 종류의 비계로서, 한편으로는, 레일셕센과 단부피팅에 이동가능부품을 사용함이 없이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섹션상에 설치되고 그것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단부피팅이 단부피팅위에 놓여지는 비계의 횡단스트럿에 의해 고정되어야만 할 필요없이, 예를 들면, 아래쪽으로부터 작용하는 풍력 또는 다른 상승력에 의해, 설치된 위치에서 바람직하지 않는 상승이 방지되는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부의 구성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단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일련의 적절한 베이스플레이트(13)의 이동만으로, 한편으로는 관련 레일섹션(14, 14')에 대하여 간단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13)는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 또는 다른 힘에 의해 위쪽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사실이다. 이동방지수단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베이스플레이트(13)의 상승은 바람직하게는 한쪽측면에서 특히 전방에서 발생한다.
상승방지수단 및/또는 이동방지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 및/또는 청구항 3의 받침대에 의해 형성된다.
서로 이어서 배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할 때 제일 마지막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제한은 수직지지대에 의해 보장되며, 그것의 앞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제한은 각각의 뒤쪽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보장되게 함으로써,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깊이는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해 유리하게 제한된다.
상승방지수단은 청구항 5에서와 같이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단부피팅과 관련 레일섹션사이에 선형적으로 동작하는 꽂아넣기식 연결이다
이동방지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용적인 실시예를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로부터 알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르면 위치설정에 쓰이는 받침대는 또한 인출방향에서 적어도 최전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며,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를 인출할 때, 작업자를 위하여 상승방지수단이 해제되는 위치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쉽게 발견된다. 이 받침대는 청구항 10에서와 같이 전방에 배치된 수직지지대에 의해 형성된다.
청구항 11의 실시예는 상승방지수단이 여전히 작동되면서 이동방지 받침대를 맞물림 해제하는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비록 서로 다른 받침대가 레일섹션의 동일한 측에 마련되게 하는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고 해도, 이 받침대가 청구항 12에서와 같이 배치될 때에는, 이동방지 받침대는 레일섹션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에 의해 실현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록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기본적으로 두개의 수직지지대사이에 제공되어 설계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구항 13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디자인의 두개 또는 그이상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서로 이어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개개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중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높이에서 보다 쉬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서로 이어서 제공되기 때문에, 후방 베이스플레이트의 이동방지 받침대는 청구항 14의 전방 베이스플레이트의 그것과는 서로 다르게 적절히 디자인 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베이스플레이트의 이동방지 받침대는 그들이 맞물릴 때에 여전히 전방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승은 불가능하도록 서로 상대위치하는 반면에, 더 후방 쪽에 있는 레일섹션의 받침플레이트는 단부피팅의 위치 받침대와 맞물리게 될 때에 이미 상승방지수단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전방 베이스플레이트가 아직 해체되지 않은 한, 더 후방쪽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는 전방 베이스플레이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승이 가능해지는 위치로 삽입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디자인은 가능하고 적절하다.
청구항 15에서와 같은 특히 유리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베이스플레이트를 특히 강제적으로 삽입할 때, 이것이 제 위치에 이미 래칭되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레일섹션사이의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상에 이동방지 받침대가 위치하고 있어 베이스플레이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되는 동안에는 이 플레이트가 기울어져서, 작업자가 관련 플레이트가 소정 위치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느낄수 있게 한다. 받침플레이트에 대해 단부피팅의 이동방지 받침대가 뒷쪽으로 하강하여 낮은 위치로 되었을때에만 기울음이 중단되고, 작업자에게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이제 최종적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하였다는 신호가 된다.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서로 이어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최전방의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만이 이와 같이 디자인되면 족하다.
청구항 16의 실시예를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 또한 수직지지대에 인접한 영역까지 연장가능하다는 것이 보장되므로, 더 넓은 보행면(walking surface)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디자인은 특히 적절하다고 판명된다. 왜냐하면, 청구항 16의 디자인은 결과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섹션상의 지지면을 어느정도 넘어서서 걸쳐지게 되며, 이것은 밟혔을 때 베이스플레이트에 그것의 가로축선주위로 상기 레일섹션으로부터 상승시키려는 성질의 기울임모멘트를 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수단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베이스플레이트를 전방 및 후방으로 레일섹션을 넘어서 걸치는 것은 사용에 있어서 어떠한 안전도의 악화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청구항 17의 실시예를 통하여,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서로 접하고 있을 때 생기는 단부 절단부의 개구부는 위치플레이트에 의해 아랫쪽에서 확실히 방지되며, 이것은 이 개구부를 통하여 떨어지는 물품들이 위치플레이트에 의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18의 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레일섹션 주위 아랫쪽으로 베이스플레이트를 선회시킴으로써 상승방지수단이 해제 가능하며, 관련 베이스플레이트는 레일섹션방향으로 이동시킴없이 오히려 단지 아랫쪽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베이스플레이트를 레일섹션상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플레이트를 아랫쪽 또는 위쪽으로 선회시키는 것은 두개의 인접하는 수직지지대쌍을 탄성적으로 밀어 냄으로써 가능해진다.
청구항 19의 실시예를 통하여, 단부피팅과 관련 레일섹션사이에 최대 지지면이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이 얻어진다.
청구항 20은 다른 유용한 실시예를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의 실시예는 이동방지 받침대가 레일섹션에 대해 멈춤턱을 형성하고 그에 상응하도록 치수설계되고, 단부피팅이 횡단스트럿을 넘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련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 횡단스트럿으로 비스듬히 베이스플레이트를 변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형태로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결합된 파사드 비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서, 두개의 수직 지지대사이에 마련된 횡단스트럿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배치한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른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 Ⅳ-Ⅳ을 따른 개략 단면도,
도 5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설치 또는 해체과정을 나타내는 도 2에 유사한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선 Ⅶ-Ⅶ을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전방 베이스플레이트를 완전히 해체하고, 후방 베이스플레이트를 해체하는 단계에 있는 도 2 및 도 5에 유사한 부분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선 Ⅸ-Ⅸ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선 Ⅹ-Ⅹ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11은 두 개의 예시된 베이스플레이트중 하나가 관련 레일섹션의 아랫쪽으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인용숫자는 동일한 부품을 가리킨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사드 비계는 건축건물(37)에서 조립된다. 지면(27)위에는 4개의 수직 지지대(11)가 사각의 베이스영역의 긴 쪽이 건축건물(37)의 정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사각의 베이스영역을 구성하며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축기구(28)(spindle arrangement)를 통해 지지되어 있으며, 머리높이 위로 제공되는 횡단빔(30)(transverse beam), 가로 지지대(29), 대각 스트럿(38)에 의해 완성되어, 지지 베이스 프레임체(41)를 이루며,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1의 오른쪽 아래에서 처럼 적절한 방식으로 계속 조립된다. 베이스 프레임체(41)는 아래쪽 영역 즉, 머리높이 밑부분에는 횡단스트럿을 가지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통행자를 위한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후방 수직 지지대(11)는 위쪽으로 연속되는 반면, 전방 수직 지지대(11)는 횡단빔(30)의 위쪽에서 뒤쪽으로 치우쳐 져서, 전방 과 후방 수직 지지대(11)사이의 간격은 절반이상 반감된다. 서로 삽입되는 개개의 부품(11')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어져 구성되는 수직 지지대(11)는 수직간격에서 그들 사이를 연장하는 수평 횡단 스트럿(12)와 함께 단부 프레임(32)을 형성하며, 이것은 도 1의 상단 좌측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단부 프레임(32)은 서로 삽입되어 있으며, 개개의 부품(11')의 사이는 선택적으로 횡단 스트럿(12)에 의해 연결되지 않으므로, 각 경우에 제공된 층(A, B, C, D, E, 및 F)들의 수직간격에서 수직 지지대쌍 마다 하나의 횡단 스트럿(12)이 존재하게 된다. 동일한 높이에 있는 많은 횡단 스트럿(12)을 가지는 각각의 단부 프레임(32)을 서로 위쪽으로 수직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총 7개의 단부 프레임 구성물이 건축건물(37)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단부 피팅(15)이 각각 제공된 사각의 베이스플레이트(13)의 좁은 측면이, 건축건물(37)의 정면에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두개의 횡단 스트럿(12)상에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해체가능하게 놓여진다.
또한, 파사드 비계는 각각 두개의 전방돌출 보조비계(33, 34)를 가진다.
베이스 프레임체(41)의 모서리에 있는 전방 수직지지대(11)는 그 상부에서 적절한 추가 지지요소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3)상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측면과 단부면의 적당한 높이에서 레일(39, 40)이 수직지지대(11)에 고정되어있다.
커브스트립(36)(curb strip)은 특히 건축건물(37)로부터 먼 쪽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에, 또한 필요하다면 건축건물(37)에 인접한 측면과 단부면에, 바람직하게는 횡단 스트럿(12)에, 그 하부에서 해체가능하게 고정된다. 커브스트립(36)은 베이스플레이트상에 놓여있는 공구들이 움직여서 파사드 비계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때에, 상기 공구들이 베이스플레이트(13)를 넘어서 측면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A, B, C, D)은 이미 완성된 반면, 층(E, F)은 조립중에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스트럿(12)은 용접 또는 해체가능한 형태의 부착장치를 통해 수직지지대(11)의 서로 이어져 위치하는 개개의 부품(11')상에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두개의 레일섹션(14, 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일섹션은 대략 C자 형상 또는 C자 반대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각각 수직 스트립부(vertical strip part)(14a, 14'a), 하부의 짧은 수평 보강 플랜지(reinforcing flange)(14b, 14'b), 이 보강 플랜지(14b, 14'b)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부의 수평 플랜지(17)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두개의 레일섹션(14, 14')은 하나의 건축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그 하부에서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가늘고 긴 플레이트(43)로 연결될 수도 있다.
두개의 레일섹션(14, 14')의 플랜지(14b, 14'b, 17)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섹션(14, 14')은 각각 그 단부에서 간격(K)을 두고 수직지지대(11)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수직지지대(11)에 제공되는 부착장치를 통해 해체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레일섹션(14, 14')의 수직 평판 스트립부(14a, 14'a)사이에는 대략 절반 높이에서 수평 간격을 두고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와 위치플레이트(18')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위치플레이트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삽입 측면(21)로부터 건물측면(22)을 향하여 약간 상승하게 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18, 18')는 양 단부에서 레일섹션(14, 14')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다. 이하 설명될 플레이트(18, 18')의 기능과는 별도로, 레일섹션(14, 14')으로 이루어지는 횡단스트럿(12)은 이러한 방식으로 보강된다.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레일섹션(14, 14')의 상부 수평 플랜지(17)에는 절단부(18)(cutout)가 서로 이어서 마련되고 있는데, 하나의 절단부(20)는 상대적으로 삽입부(21) 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절단부(20)는 상대적으로 건물(22) 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여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좁은 측 단부상에 고정된 단부피팅(15, 15')이 있는데, 이것은 대략 후크(hook)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3)에 인접한 측면에 수직 스트립부(15a, 15'a), 이 수직스트립부에 고정연결되고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판인 커버부(15b, 15'b) 및 바깥 스트립부(15c, 15'c)를 가지고 있어서, 단부피팅(15, 15')은 대략 역 U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부품을 더 간단히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일섹션(14, 14')에는 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로 그어진 음영선이 제공되어 있고, 단부피팅(15, 15')에는 오른쪽 위로부터 왼쪽 아래로 그어진 음영선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부(15a, 15'a)의 아랫쪽 단부에는 수평 플랜지(17)밑으로 관련 레일섹션(14, 14')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상승방지 수평 돌출부(16)가 제공되며, 레일섹션(14, 14')의 사이에 있는 스트립부(15c, 15'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제공되며, 이것은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와 위치플레이트(18') 각각의 후방 받침대 모서리(23, 23')와 서로 협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승방지 돌출부(16)와 수평 플랜지(17)사이의 수직간격(G)은 베이스플레이트(13)가 설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8, 18')와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서로 겹쳐진 수직거리보다 더 크다.
받침플레이트(18)의 표면(24)는 그것위로 상승되는 이동방지 받침대(19)용 미끄름 표면으로 작용한다.
받침플레이트(18)와 받침대(19)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관련되어 위치하고 있어서, 돌출부의 받침대(19)가 받침플레이트(18)의 후방 모서리(23)에 있을때, 단부피팅(15, 15')의 상승방지 돌출부(16)는 여전히 수평 플랜지(17)의 아래에 위치하고,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분명히 절단부(20)의 아랫쪽에 위치하여, 이 상태에서 단부피팅(15, 15')을 상승시킬 때, 돌출부(19)는 명백히 표면(24)위로 상승되지만, 상승방지 돌출부(16)는 절단부(20)를 통하여 위쪽으로 통과할 수가 없다. 이것은 단지 아랫쪽으로 돌출한 받침대(19)가 삽입측(21) 방향으로 표면(24)상에서 이동되어 단부피팅(15, 15')이 전방 절단부(25)의 영역에서 전방 수직지지대(11)에 대해 접경하게 될 때에만 가능하다. 삽입 방향으로의 받침플레이트(18)와 이동방지 받침대(19)의 길이는 관련 단부피팅(15, 15')이 각각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어 전방 수직지지대(11)에 대해 접경하게 될 때까지 받침플레이트(18)의 표면(24)상으로 올려진 이동방지 받침대(19)가 표면(24)을 미끄러져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된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는 각각의 레일섹션(14, 14')상에 서로 이어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는 후방 수직지지대(11)에 대한 단부피팅(15, 15')의 후방에 제공된 절단부(26)의 영역과 접경한다. 중심에서,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는 기껏해야 작은 간격(31)을 가지며, 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경하고 있다.
도 2와 도 4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의 이동방지 돌출부(19)와 후방 위치플레이트(18')의 후방모서리(23')사이의 수평간격(H)은 전방 단부피팅(15)의 이동방지 받침대(19)와 받침플레이트(18)의 후방모서리(23)사이의 간격(35)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간격은 필요한 허용오차 영역내에서만 존재해야 하며,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도 2에서, 레일섹션(14, 14')의 단부 영역에 보어(44)(bore)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커브스트립(36)의 지지핀을 삽입하는데 사용된다. 후방 수직지지대(11)의 영역에서, 커브스트립(36)은 건축건물측에는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보어(44)는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보어(44)로 삽입되는 비도시된 커브스트립(36)의 수직핀은 특히 베이스플레이트(13)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보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보어(44)는 그에 따라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4의 왼쪽편에는, 수많은 개개의 부품(11')으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11)를 형성하기 위해, 개개의 부품(11')에 제공된 플러그인 삽입구(11")(plug-in spigot)가 인접하는 개개의 부품(11')으로 어떻게 포개어 끼워 넣어지는지가 도시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한 다음의 기능적인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세부사항 및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3)사이에는 가능한 한 작은 간격(31)이 존재하고 이것은 그 사이로 공구 또는 다른 부품들이 아래로 떨어질 수 없도록 최대한 작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 각각의 두개의 단부피팅(15, 15, 및 15', 15')은 두개의 레일섹션(14, 14')상에 서로 각각 이어서 배치되어 있다. 간격(31)의 크기는 이러한 비계를 조립시키는데 필요한 허용오차에 의해 결정된다.
건물측(22)에 위치한 단부피팅(15, 15')은 후방 수직지지대(11)에 대해 절단부(26)의 영역과 접하고 있으며, 여기서 서로 이어져 배치된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의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이러한 비계에 대해 통상의 허용오차에 의해 결정되고 가능한 한 작아야만 하는 최소의 간격(35)을 남겨 놓으면서, 각 경우에 삽입측(21)을 향하여 배치된 단부피팅(15, 15')의 이동방지 받침대(19)는 이동방지 플레이트(18)의 후방모서리(23)뒤에서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이어져 놓여있는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는 각 경우에 삽입측(21)을 향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아래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3)에 작용하는 풍력이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승시키려 한다면, 이것은 수평 플랜지(17)밑에서 맞물려 있는 상승방지 돌출부(16)에 의해 방지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레일섹션(14, 14')상의 지지영역을 벗어나 돌출하고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의 전방 또는 후방의 여유영역을 밟음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3)의 가로축선주위에 어떠한 형태의 기울임모멘트(tilting moment)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베이스플레이트(13)를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고정보어(44)로부터 커브스트립(36)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의 표면(24)의 레벨로 상승되고 그 다음에 베이스플레이트(13)이 삽입측(21)을 향하는 화살표 P의 방향으로 받침대(19)가 표면(24)위를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3)중의 하나를 충분히 높게 상승시킨다. 이동방지 받침대(19)를 표면(24)의 레벨로 상승시킴으로써,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와 이동방지 받침대(19)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방지록(lock)이 해제된다. 그러면, 관련 베이스플레이트(13)는 전방 절단부(25)의 모서리가 전방 수직지지대(11)의 후방측에 대해 접경할 때까지 충분히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지점에서 돌출부(16)는 수평플랜지(17)의 절단부(20)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 곳에서 단부피팅(15, 15')은 관련 레일섹션(14)으로부터 아무런 문제없이 윗쪽으로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3)를 해체하기 위하여는, 베이스플레이트(13)를 먼저 수직상승시킨후 이동시켜야 하는 완전히 의식적인 이동이 필요하며, 이것은 예를 들면, 풍력등에 의해서는 랜덤(random)하게 발생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전방 베이스플레이트(13)의 뜻밖의 상승에 대한 방지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문제되지 않는 의식적인 해체 또한 가능해진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중 하나가 해체된 후에, 다른 베이스플레이트(13)에 의해 더 이상 전방에서 구속되지 않는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는, 그 단부피팅(15, 15')에 제공된 이동방지 받침대(19)가 후방 위치플레이트(18')의 후방 모서리(23')에 대해 접경할 때까지(도 10 참조), 비슷한 방식으로 삽입측(21)의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된다. 전방 베이스플레이트(13)에서의 관계와는 대조적으로, 상승방지 돌출부(16)와 수평 플랜지(17)의 절단부(20)는 서로 수직으로 일련배열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피팅(15)은 관련 레일섹션(14)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에서, 이동방지 받침대(19)와 위치플레이트(18')는 단지 두 구성부품(18', 19)이 서로에 대해 접경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3)가 레일섹션(14)으로부터 상승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해주는 지시로서 작용한다.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위치플레이트(18')의 표면(24')의 레벨로 상승된 후에,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는 필요하면 이동방지 받침대(19)가 표면(24')위를 미끄러지면서 화살표(R)의 방향으로 앞쪽으로 인출될 수가 있게 된다.
레일섹션(14, 14')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장착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역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방지 받침대(19)가 후방 위치플레이트(18')상에 놓여지고, 베이스플레이트(13)는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최종적으로 단부 모서리(23') 뒤쪽에 다다를 때까지 위치플레이트(18')의 표면(24')을 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단부피팅(15, 15')과 함께 건물측(22)를 향하여 이동되어, 이 곳에서 단부피팅이 전 길이에 걸쳐 수평플랜지(17)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아랫쪽으로 하강하게 하는 방식으로,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를 삽입측(21)으로부터 장착한다. 이 과정에서 상승방지 돌출부(16)는 절단부(20)을 통하여 수평플랜지(17)의 레벨 아래로 이동하며, 이 곳에서 단부피팅(15)을 가진 베이스플레이트(13)는 단부피팅(15)이 절단부(26)의 영역에서 후방 수직지지대(11)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위치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후방 베이스 플레이트(13)는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동방지 받침대(19)의 위치플레이트(18')상에서의 미끄러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치플레이트(18')는 그 자체가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측(21)에 인접한 단부에 런업 경사로(18")(run-up ramp)와 같은 것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방지 받침대(19)는, 베이스 플레이트(13)가 제위치에 밀어넣어 질 때 상승될 필요없이, 단순히 베이스플레이트(13)를 후방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경사로(18")의 표면를 미끌어지면서 맞물려 들어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위치플레이트(18')의 후방 모서리(23') 뒤쪽에 종국적으로 다다를 때까지, 건물측(22)을 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를 이동시킴으로써 단부피팅(15)은 상승되고, 전술한 방식에 의해, 단부피팅(15)은 아래로 하강하며, 예를 들면 도 3에서 알수 있듯이, 그 곳에서 커버부(15b, 15'b)는 플랜지(17)상에 놓여 진다. 그 다음에,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소정 위치로 단부피팅(15, 15')의 이동이 다시 이루어진다.
전방 베이스 플레이트(13)는 또한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전방 베이스 플레이트(13)는 먼저 단부피팅(15)이 전방 절단부(25)의 영역에서 전방 수직지지대(11)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접경하는 방식으로 관련 레일섹션(14)상에 놓여진다. 이 위치에서 상승방지 돌출부(16)와 절단부(20)와 수평플랜지(17)는 서로 수직으로 일련배열되므로 단부피팅(15)은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의 표면상에 접촉하게 되도록 충분히 더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수설계의 결과로서 상승방지 돌출부(16)는 수평플랜지(17)보다 더 낮게 놓여지고,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3)를 도 7의 화살표(S)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승방지 돌출부(16)는 이미 수평플랜지(17)밑에서 맞물려 있으며, 표면(24)위를 미끄러지는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종국적으로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의 후방 모서리(23) 뒤에 다다르게 되면, 그 곳에서 단부피팅(15, 15')을 가진 베이스플레이트(1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소정 위치인 아랫쪽으로 하강하며, 그곳에서 단부피팅(15)의 커버부(15b, 15'b)는 전체에 걸쳐 수평플랜지(17)상에 놓여진다.
이동방지 받침대(19)는 단부피팅(15, 15')의 중심영역내에서 배치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 18')상에 놓여 있을때, 베이스 플레이트(13)는 그것의 가로축선 주위로 기울어져 있는 불안정한 위치를 가지게 되며, 그것은 작업자가 베이스 플레이트(13)가 아직 목표 위치에 위치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역할을 한다.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의 후방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려갈때에 더 이상 기울은 위치가 아닌 안정한 위치가 이뤄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돌출부와 절단부를 가지는 레일섹션(14, 14')과 단부피팅(15, 15')은, 상승이 방지된 위치를 벗어나서는 각 베이스 플레이트(13)를 아랫쪽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진정 그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13)를 레일섹션(14')주위로 선회시킬 때, 베이스 플레이트(13)를 종전의 수평으로 이동함없이 화살표(T)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에 따라, 일련의 역동작을 통해, 각 베이스 플레이트(13)는 레일섹션(14, 14')상에 비슴듯한 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앞서 기술한 의미의 상승이 대향측에서 우선 발생해야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의 단부가 그 관련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상승되자마자, 수직지지대(11)와 횡단스트럿(12)과 함께 그곳에 위치한 단부프레임(32)은 탄력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3)로부터 다소 밀려 질 수가 있으며, 그곳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3)를 아랫쪽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3)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울어진 상태에서 장착하려 할 때에, 다른쪽 단부는 단부프레임(32)가 탄력적으로 밀려진 상태하에서 그곳의 레일섹션의 레벨위로 곧바로 상승되고, 곧바로 전술한 방식으로 레일섹션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3)를 아랫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서로 상대이동하는 부품들은 그들이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도 있는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의 결과로서, 각 베이스플레이트(13)는 남아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와 무관하게 해체 및 설치될 수 있다. 후방 베이스플레이트(13)중 하나를 해체하기 위하여는, 최전방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전방 수직지지대(11)와 접하게 될 때까지, 먼저 그것의 앞에 놓여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를 전방으로 단지 밀어내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디자인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3)의 삽입은 더욱 용이해 지며 안전해진다. 왜냐하면, 작업자는 각 베이스플레이트(13)의 래칭된 상태 및 래칭되지 않은 상태 모두에 대한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커브 유지보어(44)(safety curb holding bore)는 베이스플레이트(13)의 전후방 모서리 즉, 단부피팅(15, 15')의 전후방 모서리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므로, 안전커브 유지보어(44)가 커브스트립(36)의 고정핀을 수용하도록 노출된다는 점을 통하여,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13)가 제대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이동방지 받침대(19)는 베이스플레이트(13)가 레일섹션(14, 14')상에 아랫쪽으로 비스듬히 놓여 져서(도 11참조), 상부 단부피팅(15, 15')이 관련 레일섹션(14, 14')상에 수직으로 정렬될 때까지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때, 아랫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제일먼저 관련 레일섹션(14, 14')과 그 뒤쪽에서 맞물리고, 따라서 단부피팅(15, 15')이 관련 레일섹션(14, 14')과 맞물리는데 필요한 상대위치에 위치하는 곳에서 곧바로 가로방향 이동은 종료된다.

Claims (21)

  1.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개개의 부품(11')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개 특히 네개의 수직지지대(11)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대는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베이스영역의 두개 특히 네개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베이스표면의 짧은 측면을 따라 측면 수평간격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적어도 거의 동일한 높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개의 수평 횡단스트럿(12)이 상기 수직지지대로부터 돌출하며,
    베이스영역과 같이 치수설계된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13)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상기 횡단스트럿(12)사이에서 연장하는 후크 형상의 단부피팅(15, 15')을 가지며,
    상기 횡단스트럿(12)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수평 레일섹션(14, 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섹션은 간격(F)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특히 거울 이미지 같은 방식으로 놓여 있으며,
    상기 레일섹션(14, 14')과 보완되는 단부피팅(15, 15') 각각은, 상기 레일섹션상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3)와 함께 상기 레일섹션(14, 14')에 의해 이동되어지고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상기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다시 해체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섹션위로 놓여질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3)가 양 측면으로부터 횡단스트럿(12)의 적어도 일부에 해체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해체가능한 비계, 특히 파사드 비계로서,
    상기 단부피팅(15, 15')과 관련 레일섹션(14, 14')사이에는:
    상기 단부피팅(15, 15')을 상기 레일섹션(14, 14')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생성 및 해제될 수 있는 상승방지수단(16, 17); 및
    상기 단부피팅(15, 15')을 상승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상승방지수단의 작동위치에 있는 단부피팅(15, 15')이 상기 상승방지수단(16, 17)이 작동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수단(18, 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방지수단은 상기 단부피팅(15, 15')과 레일섹션(14, 14') 양쪽 모두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상승방지 돌출부(16, 17)를 가지며, 상기 상승방지수단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상승방지 돌출부는 관련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단부피팅(15, 15')의 상승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며, 상승을 방지하는 상기 겹침(overlap)은 상기 단부피팅(15, 15')을 상승시키고 삽입 방향의 반대로 이동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수단은 상기 레일섹션(14, 14')과 단부피팅(15, 15') 양쪽모두에 이동방지 받침대(18, 19)를 가지며,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는 상기 상승방지수단이 해제되기 전까지 삽입방향 반대로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이동시에 맞물려지며 상기 관련 레일섹션(14, 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단부피팅(15, 15')을 상승시킴으로써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으며, 그곳에서 상기 단부피팅(15, 15')은 상기 상승방지수단(16, 17)이 해제되는 위치로 삽입방향에 대향하여 더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받침대는 각 베이스플레이트(13)에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삽입측(21)으로부터 먼 수직지지대(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5.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방지 돌출부(16, 17)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레일섹션(14, 14')의 수평플랜지(17)와 이것으로부터 수직간격(G)만큼 밑에 배치된 단부피팅(15, 15')의 상승방지 돌출부(16)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랜지(17)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가 상승되는 위치에서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상승방지 돌출부(16)용 절단부(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6. 제 2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승방지 돌출부(16) 및/또는 하나의 이동방지 받침대(19)가 각각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전방측과 후방측사이의 거의 중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7.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방지 받침대(18)는 횡단스트럿(12)의 상기 두개의 레일섹션(14, 14')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8. 제 3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8)는 적어도 거의 수평으로 연장하며 삽입측(21)으로부터 먼 그것의 모서리(23)가 이동방지 돌출부(19)용 받침대를 형성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이동방지 받침플레이트(18)를 가지며, 그것의 표면(24)은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상기 상승된 이동방지 받침대(19)용 미끄럼 표면을 형성하며, 그 위에서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9)는 적어도 상승방지수단(16, 17)이 해제될 때까지 삽입방향에 대향하여 변위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삽입측에 위치하는 각 베이스플레이트(13)에는 이동방지수단(18, 19)이 해제될 때 인출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받침대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전방 받침대는 베이스플레이트(13)의 상기 인출이동이 상승방지수단(16, 17)이 해제되는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삽입측(21)에 있는 수직지지대(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1. 제 2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상승방지 돌출부(16)와 상기 레일섹션(14, 14')의 상승방지 돌출부(17)사이의 수직간격(G)은 상기 레일섹션(14, 14')의 이동방지 받침대(18)와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이동방지 받침대(19)가 겹쳐진 수직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방지 받침대(16, 17)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8, 19)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와는 먼 상기 레일섹션(14, 14')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3.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같은 디자인의 두개이상의 베이스플레이트(13)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하여 각 레일섹션(14, 14')상에 서로 이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 레일섹션(14, 14')에 제공되는 위치 받침대 특히 적어도 거의 수평인 위치 플레이트(18')는 베이스플레이트(13)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것의 이동방지 받침대(19)와 수직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를 인출하여 상기 상승방지수단(16, 17)이 해제될 때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9)가 제일먼저 위치부품(18')과 맞물리도록 원하는 위치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의 이동방지 받침대(19)로부터 수평간격(H)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9)가 받침대 부품(18, 18')상에 놓여 있을 때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는 불안정한 자세를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13)의 대향측에 있는 두개의 이동방지 받침대(19)를 연결하는 축선주위 앞뒤로 약간 경사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9)는 적어도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중심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6. 제 1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피팅(15, 15')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가 수직지지대(11)에 접경할 때 베이스플레이트(13)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를 둘러싸도록 해주는 전방 및/또는 후방 절단부(25, 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플레이트(13)용 위치플레이트(18')가, 긴 측면으로 서로 접경하고 있는 두개의 베이스플레이트(13)의 절단부(25, 26)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방지 돌출부(16, 17)와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8, 19)를 포함하는 상기 단부피팅(15, 15')은, 각 베이스플레이트(13)가 수평위치에서 벗어나 관련 레일섹션(14, 14')을 따라 연장하는 축선주위로 본질적으로 아랫쪽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3)가 상승이 방지되는 이동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관련 레일섹션(14, 14')으로부터 쉽게 상승될 수 있도록, 치수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19. 제 1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베이스플레이트(13)의 상기 단부피팅(15, 15')은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슷한 방식으로 연속적인 관련 레일섹션(14, 14')상에 전체 길이에 걸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20. 제 1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섹션(14, 14')의 이동방지 받침대(18) 및/또는 위치 받침대(18')와 상기 상승방지 수평플랜지(17)의 절단부(20)는 원하는 위치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3)의 중심보다 명백히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21. 제 3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 받침대(19)는 상기 단부피팅(15, 15')의 스트립부(15c, 15'c)을 넘어서 아랫쪽으로 돌출하며, 진정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13)가 상기 단부피팅(15, 15')을 바깥쪽으로 횡단스트럿(12)상에 먼저 놓여지고 그다음에 상기 단부피팅(15, 15')이 관련 레일섹션(14, 14')과 수직정렬될 때까지 그것의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를 하나의 층(E)으로부터 위쪽에 있는 횡단스트럿(12)상으로 비스듬히 변위이동시킬 때, 가로방향으로의 관련된 이동은 상기 단부피팅(15, 15')과 상기 관련 레일섹션(14, 14')과의 정렬이 완성되면 자동적으로 종료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이동 받침대(19)가 관련 레일섹션(14, 14')뒤에서 맞물리도록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능한 비계.
KR10-1999-7008537A 1997-03-19 1998-03-18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KR100487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1498.9 1997-03-19
DE19711498A DE19711498A1 (de) 1997-03-19 1997-03-19 Zerlegbares Gerüst mit auf Querstreben angeordneten Bodenplatten
PCT/EP1998/001587 WO1998041712A1 (de) 1997-03-19 1998-03-18 Zerlegbares gerüst mit auf querstreben angeordneten bodenpla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33A true KR20000076433A (ko) 2000-12-26
KR100487851B1 KR100487851B1 (ko) 2005-05-03

Family

ID=782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537A KR100487851B1 (ko) 1997-03-19 1998-03-18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23856B1 (ko)
EP (1) EP0968341B1 (ko)
JP (1) JP3544993B2 (ko)
KR (1) KR100487851B1 (ko)
AT (1) ATE202180T1 (ko)
AU (1) AU7037398A (ko)
BR (1) BR9808287A (ko)
DE (2) DE19711498A1 (ko)
ES (1) ES2159945T3 (ko)
PL (1) PL196441B1 (ko)
PT (1) PT968341E (ko)
TR (1) TR199902300T2 (ko)
WO (1) WO1998041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7356A1 (en) * 1999-05-25 2002-02-06 Kwikform Uk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builders' scaffolding
US20040094362A1 (en) * 2002-11-15 2004-05-20 Wyse Steven J. Walkboard ledger for scaffolding
NZ552072A (en) * 2006-12-13 2009-08-28 Lewis Roy Cleveland Scaffolding systems with butt joined extruded planks
JP6276073B2 (ja) * 2014-03-07 2018-02-07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WO2016079372A1 (en) * 2014-11-21 2016-05-26 Fast Beam Oy Scaffold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0389A1 (de) * 1980-05-29 1981-12-03 geb. Layher Ruth 7129 Güglingen Langer Abhubsicherung fuer baugerueste
DE3923815A1 (de) * 1989-07-19 1991-01-31 Beleggingsmaatschappij Bouwmat Geruest
FR2670525A1 (fr) * 1990-12-17 1992-06-19 Mar Bariment Ind Const Dispositif de fixation pour planchers d'echafaudages.
DE19633091A1 (de) 1996-08-16 1998-02-19 Peri Gmbh Zerlegbares Fassadengerüst, Bodenplatte für ein zerlegbares Fassadengerüst und Verfahren zum Demontieren und Montieren einer Bodenplatte eines zerlegbaren Fassadengerüs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4993B2 (ja) 2004-07-21
PL335679A1 (en) 2000-05-08
ATE202180T1 (de) 2001-06-15
EP0968341A1 (de) 2000-01-05
DE59800851D1 (de) 2001-07-19
AU7037398A (en) 1998-10-12
BR9808287A (pt) 2000-05-16
TR199902300T2 (xx) 2000-01-21
WO1998041712A1 (de) 1998-09-24
US6223856B1 (en) 2001-05-01
ES2159945T3 (es) 2001-10-16
PL196441B1 (pl) 2008-01-31
DE19711498A1 (de) 1998-11-26
EP0968341B1 (de) 2001-06-13
PT968341E (pt) 2001-12-28
KR100487851B1 (ko) 2005-05-03
JP2001509850A (ja)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6913A1 (en) Wheel chocking system for arresting road vehicles during transportation
WO1994013178A1 (en) Storage rack with improved beam-to-crossbar connections
KR100487851B1 (ko) 횡단스트럿상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해체가능한 비계
EP1251222B1 (en) Recoverable shuttering
US5829550A (en) Scaffolding system
US20120102845A1 (en) Demountable seating and method for erecting a demountable seating
PL187892B1 (pl) Zespół rusztowania
US5819872A (en) Mobile scaffolding
JP4683595B2 (ja) 枠組み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WO2000026486A1 (en) Arrangement for a grandstand
JP2003061761A (ja) 組立棚の支柱と棚受け等との係合構造
US3117350A (en) Portable bleacher
EP1611288A1 (en) Transportable safety module construction
CN210561748U (zh) 可调式落架装置
EP0510316B1 (en) Cantilevered multifloor storage system
EP0267173B1 (en) Platform stanchion structure with canvas-supporting post
AU8338187A (en) Ladder
JP2893390B2 (ja) 杆材の連結構造
US20230323683A1 (en) Shoring system, beam assembly for a shoring system, and shoring system components
JP3309714B2 (ja) 棚板の支持構造
EP1231325B1 (en) Panel system
EP0879161A1 (en) Elevational vehicle ramp
JPH0629369Y2 (ja) 昇降床におけるステップ板装置
JP3300292B2 (ja) 組立棚における棚段高さ調節用補助係止金具
JP2841880B2 (ja) 枠組棚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