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874A -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874A
KR20000074874A KR1019990019110A KR19990019110A KR20000074874A KR 20000074874 A KR20000074874 A KR 20000074874A KR 1019990019110 A KR1019990019110 A KR 1019990019110A KR 19990019110 A KR19990019110 A KR 19990019110A KR 20000074874 A KR20000074874 A KR 2000007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brix
concentrate
ganoderma lucidum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대
조숙현
김낙구
류재산
정대우
Original Assignee
김혁규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규,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김혁규
Priority to KR101999001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874A/ko
Publication of KR2000007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8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적 효능이 뛰어난 매실을 이용하여 매실과립차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실은 농업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어 홍수출하가 되고 있으나 수요가 한정되어 있고 일시에 출하되어 가격이 불안정하고 생과로 장기 저장이 되지 못하여 일시에 가공처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실은 농축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음용 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아 손쉽게 대량소비 하는데는 어려움이 많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매실 농축액을 가공할 때 향기 포집 장치를 부착한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과립제조시 향기성분을 혼합하여 여기에 어혈, 혈전 증상을 해소시키는 영지 농축액을 추가하여 기능성을 보강하였으며, 매실 농축액에서 음용시 불편한 점을 보강하기 위해 과립으로 성형하여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지향형 매실과립차를 개발하였다.
매실과립차는 물에 타서 먹을 수도 있고 과립 자체를 씹어서 먹을 수 있어 여행자, 수험생, 어린이, 만성피로를 느끼는 자들이 상시 복용 할 수 있으므로 매실의 대량소비가 가능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이바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Process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Japanese Apricot(Prumus mume Sieb) Granules}
본 발명은 매실의 고 기능성을 이용하여 매실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고부가가치형 신 가공식품 개발에 의의를 두고 있다. 매실(Prumus mume Sieb. et Zucc)은 排李屬(Prunus Linn)에 속하는 핵과류로서 그 꽃은 관상용으로 중시하여 각지에서 재배하여 왔다. 열매는 5월말∼6월 중순사이 푸른빛을 띤 상태로 수확하여 매실주, 장아찌, 주스 등을 생산하는 원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매실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오매 수성엑기스의 가토 장운동에 미치는 영향", "오매(烏梅)의 간 디스토마 살충성물질에 관한 연구", "매실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매실의 성숙 및 매실주 제조중의 주요성분의 변화", "암세포 증식이 매실엑기스의 영향연구", "매실농축액 복용이 All-out 운동 후 회복정도에 미치는 영향", "매실엑기스 구강투여에 따른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변화" 등이 있으며, 국내 매실에 관한 특허로는 "매실엑기스의 제조방법", "매실 초의 제조방법", "매실의 가공방법", "매실음료의 제조방법", "매실주스 제조방법", "매실을 주제로한 탄산음료와 그 제조방법", "매실주의 제조방법", "건조매실의 제조방법", "매실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매실에 대한 국외의 연구로는 일본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 특히 우매보시(매실장아찌)에 대한 연구로서 "매실의 염장중 조직 및 성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으며, "매실의 엑기스 성분에 관한 연구", "매실의 약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매실의 위생에 관한 연구", "매실주 제조 과정 중에 있어서 과실성분의 용출과 변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매실의 약리적 특성으로는 항균작용, 항알러지 작용, 정혈작용에 의한 약알칼리성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 설사 그리고 특히 식이 섬유가 많아 변비 등에 효과가 탁월하여 숙취제거 효과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각종 한의서에 기록된 약효로서는 만성기침, 화열에 의한 가금의 열기나 목마름, 오래된 학질, 만성설사, 치질, 혈변, 혈뇨, 부인의 혈붕,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갈고리 촌충구제, 소버짐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효능을 지닌 매실은 지금까지 장아찌, 엑기스, 주스, 술, 건조매실등을 만들어 사용되어 왔으며 고농도 엑기스의 농축시 매실 고유의 향이 가미되도록 하여 먹기 좋고 휴대가 간편한 과립의 제조에 대한 새로운 건강식품의 개발에 대한 시도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매실 농축액을 만드는 과정 등 가열에 의한 향의 휘발을 방지하고 회수된 향을 희석하여 매실고유의 맛을 보존할 수 있었고, 여기에 어혈, 항혈전 효과가 뛰어나 드렁크제로도 개발된 영지 농축액을 첨가하여 약리적 효능이 향상된 매실과립차를 제조하게 되었다.
특히 과립형태로 만들어진 매실과립차는 종래 매실 농축액을 담아서 넣어 숟가락을 이용하여 온수에 희석하여 음용 하는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고 남, 여, 노, 소 누구나 소포장하여 여행, 장거리출장, 파로가 누적된 수험생 등이 손쉽게 언제든지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매실 과립차를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매실과립차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1) 매실을 추출 농축하여 고유 향을 혼합하는 단계
(2) 매실, 영지 농축액과 당을 혼합하는 단계
(3) 과립을 성형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실 과립차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실 과립차 제조시 농축액을 만드는 장치로서 매실향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매실을 추출 농축하여 고유 향을 혼합하는 단계
매실을 5월∼6월에 표면 색이 약한 누른빛을 띠기 시작할 때 수확하여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기포 발생기가 부착된 엽채류 세척기를 이용하여 과실 표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게 2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이것을 씨분리기를 이용하여 씨는 분리하여 제거하고 과육은 잘게 파쇄하여 착즙이 용이하게 만든다. 이것을 유압식 착즙기를 이용하여 즙액만 착즙하여 과육은 제거한다. 착즙된 액을 향기 성분 포집 수단이 부설된[제 2도]와 같은 시설의 농축기에 넣고 85±5℃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농축하여 가용성고형분 함량이 50∼60Brix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이때 향기성분 포집 수단으로는 <제 2도> 추출기의 수증기 배출구에 물 및 향기성분을 포집하기 위한 1차 냉각기와 2차 냉각기를 통과한 물과 향기성분은 수기통에 모아 둔다
농축된 농축액의 당도가 40내지 50Brix가 되도록 희석하여야 하는데 이때 수기통에 포집된 향기성분이 포함된 물을 이용하여 희석한다. 이 과정에서 매실고유의 향이 많이 포함 될 수 있고, 또한 매실 인공향료를 0.1내지 0.05% 무게중량으로 혼합하는 공정으로 향을 보강할 수 있다.
영지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 영지를 절단기로 1∼2mm 크기로 잘라 영지 중량의 10배 물을 가하여 85∼100℃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3회 추출한 액을 모아 진공 감압 농축기에서 가용성고형분량이 5Brix 되도록 농축하여 원료로 사용하였다.
(2) 매실과 영지 농축액의 혼합 및 가당하는 단계
매실 농축액과 영지농축액 그리고 무수 또는 함수결정 포도당의 혼합방법은 매실 농축액 95% 중량에 영지 농축액 5%를 혼합하고 여기에 당을 4∼6배 중량의 당을 가하여 후드믹서로 5∼15분간 골고루 혼합한다.
< 시험예 1>
이때 매실 농축액의 최적 농축액을 찾기 위하여 매실 농축액을 35, 45, 55Brix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특성을 조사하고 포도당은 5배 중량 혼합하여 과립 성형후 정제수로 5배 희석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매실 농축액의 농도별 특성 및 관능검사
상기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매실 농축액이 45 Brix 일 때가 신맛, 단맛이 잘 어울려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예 2>
영지 농축액의 혼합을 위하여 45 Brix 농도의 매실 농축액에 5 Brix 농도의 영지 농축액을 0∼10% 첨가하여 특성을 조사하고, 포도당을 매실과 영지농축액의 5배 중량 혼합하여 과립을 성형 후 정제수로 6배 희석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영지 농축액의 첨가량별 특성 및 관능검사
상기의 관능검사 결과 영지 농축액의 기능성이 부여된 맛을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첨가량은 매실 농축액 중량의 5%를 첨가하는 처리였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실과립차는 우수한 기능성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으로 나타났다.
위 표 1,2의 결과를 이용하여 매실 과립차의 최적 배합비율을 표 3의 실시예 1로 선정하고 비교예 1,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매실과립차를 만들었다.
<시험예 3>
[표 3] 배합비를 달리한 매실과립차 (단위:%)
상기한 방법으로 매실과립차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품질 특성으로는 제품의 당도, pH, 색도, 구연산 함량을 각각 측정 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시험예 3에 따른 매실과립차의 품질특성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실 농축액 45 Brix 농도 95%, 영지 농축액 5 Brix 농도 5% 및 무수 또는 함수결정포도당을 매실과 영지 농축액 중량비 5배로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 우수한 매실 과립차를 생산할 수 있었다.
[표 5] [시험예 3]에 따른 매실과립차의 미생물 및 관능검사
위의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매실 과립차를 일반세균과 대장균에 대한 검사결과 검출이 되지않았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실시예 1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과립의 성형 포장 단계
혼합된 원료는 손으로 쥐어서 뭉쳐지는 수준으로 과립기 체의 구멍이 1∼2mm 크기를 통과하여 과립이 형성된다.
과립이 성형된 것은 열풍건조기의 온도가 40∼50℃되게 조정하여 6∼7시간 동안 건조하면 수분이 10% 미만이 되어 본 발명의 매실 과립차를 완성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과립차를 휴대가 간편한 소포장 단계로 10∼20g 중량의 매실과립차를 습기와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필름에 포장하거나 100∼500g 병에 넣어 포장하는 방법 및 습기와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필름으로 500∼5000g으로 포장하여 제품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매실 농축액의 사용이 불편한점을 개선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의 매실과립차는 매실과 영지의 혼합으로 약리적 기능이 향상되었고 과립의 형태로서 어린이, 노약자, 수험생 등 다양한 계층에서 씹어먹거나 음용수에 녹여서 먹을 수 있도록 가공되어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매실을 추출 농축하여 고유 향을 혼합하는 방법;
    매실 농축액, 영지 농축액과 당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방법;
    과립을 성형하여 포장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매실을 씨와 과육을 분리하여 착즙 후 향미성분 포집이 가능하도록 1차 냉각관 및 2차 냉각관이 부설된 농축기를 사용하여 60Brix가 되도록 농축하고, 이때 향미성분이 포집된 증류액을 이용하여 40∼50Brix가 되도록 희석하는 공정
  3. 제 1 항에서, 매실 농축액 40∼50Brix 95%, 영지 농축액 5Brix 1∼10% 중량비에 무수 또는 함수결정포도당을 4∼6배 혼합하는 배합 비율
  4. 제 1 항에서, 배합된 원료를 이용하여 과립 성형후 45~55℃ 온도에서 6∼7시간 건조 후 10∼20g, 100∼500g, 500∼5000g 씩 습기 및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용기에 포장하여 제품이 완성된 매실과립차
KR1019990019110A 1999-05-26 1999-05-26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00074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110A KR20000074874A (ko) 1999-05-26 1999-05-26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110A KR20000074874A (ko) 1999-05-26 1999-05-26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874A true KR20000074874A (ko) 2000-12-15

Family

ID=1958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110A KR20000074874A (ko) 1999-05-26 1999-05-26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8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72B1 (ko) * 2011-07-07 2013-02-07 순창군 매실 스프의 제조방법
KR101449488B1 (ko) * 2014-07-04 2014-10-13 주식회사 영일이엔지 매실과립 제조방법
KR20190093900A (ko) *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황매실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72B1 (ko) * 2011-07-07 2013-02-07 순창군 매실 스프의 제조방법
KR101449488B1 (ko) * 2014-07-04 2014-10-13 주식회사 영일이엔지 매실과립 제조방법
KR20190093900A (ko) *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황매실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1567C (zh) 一种速溶普洱茶及其制备方法
KR101913001B1 (ko)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10447798A (zh) 一种植物饮料浓缩液及其制备方法
KR100549506B1 (ko)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0685110B1 (ko) 무화과 활성물질을 이용한 켄음료의 제조방법
KR20000074874A (ko) 매실과립 차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442683B1 (ko) 항암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KR100522621B1 (ko) 두충을 함유하는 두충음료
KR100968955B1 (ko) 대추정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100813338B1 (ko)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El-Mansy IMPACT OF MATING SYSTEM ON GENETIC VARIABILITY AND CORRELATION COEFFEICENTS IN COTTON
KR101103035B1 (ko) 흑마늘과 천년초를 이용한 식음료 및 그 제조방법
Chomchalow et al. Health potential of Thai traditional beverages
CN105054165A (zh) 一种槐米清凉解暑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596144B1 (ko) 감초추출액이 함유된 진귤차 및 진귤식초차
KR102166296B1 (ko)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KR100470819B1 (ko) 매실정제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Waghaye et al. Studies on development and organoleptic evaluation of lime and Aloe vera Spread
KR101935538B1 (ko) 부추를 이용한 추출 또는 발효 혼합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7389B1 (ko) 죽순에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El-Zemrany et al. Evaluation of certain local bacterial strains as diazotrophs for wheat plants
JPH08107779A (ja) 健康飲料用ヨモギ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