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001B1 -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001B1
KR101913001B1 KR1020160128610A KR20160128610A KR101913001B1 KR 101913001 B1 KR101913001 B1 KR 101913001B1 KR 1020160128610 A KR1020160128610 A KR 1020160128610A KR 20160128610 A KR20160128610 A KR 20160128610A KR 101913001 B1 KR101913001 B1 KR 10191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lower
weight
syrup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59A (ko
Inventor
박미경
유지홍
Original Assignee
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102016012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0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62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꽃 추출물 3 중량부에 대해서 약용작물 추출물 4~6 중량부 및 과일청 1~3 중량부로 혼합하고, 1~5℃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되는 꽃 시럽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동안 생화 또는 건조하여 요리용으로 사용으로 한계가 있던 꽃을 시럽으로 제조함으로써 음료수, 드링크제, 칵테일, 드레싱, 소스, 디저트 가공용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럽은 식용 꽃의 향, 색, 맛을 손실 없이 추출하여 식혜, 조청과 같은 당화 및 숙성한 음식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오사이드와 같은 천연보존료를 사용함으로써, 꽃 시럽의 기능성과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을 적용하여 꽃 시럽 자체로 새로운 식재료 시장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Manufacturing method of flower syrup using flower extract, medicinal plant extract, and fruit extract,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식용할 수 있는 꽃을 꽃의 고유성분과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고대 인디언들이 꽃을 식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유채꽃이나 국화 등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서야 꽃들이 본격적으로 식용재료로 확대되어 사용되면서 관상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던 꽃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점차 깨지고 있는 추세이다. 식용으로 이용되는 꽃에는 좋은 향과 함께 영양분을 다양하게 함유하는 특징이 있어 최근 들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꽃이 식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독성이 있거나 농약을 뿌려 키운 꽃은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현재 식용으로 가능한 꽃은 장미, 팬지, 국화 등이 있으며, 원형 그대로 하여 화전과 화채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용할 수 있는 꽃은 말리거나 덖어서(중고온에서 3-10회 이상 반복하여 건조) 꽃차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화장품과 의약분야에서는 꽃이 가진 기능성 성분인 폴리페놀, 식물성 에스트로겐 등을 추출하여 원료로 사용하는 사례가 있다.
식약청이 인증한 식용 꽃은 약 28종에 이르며, 세계적으로 수백 종의 꽃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알려졌다. 식용 꽃은 다양한 음식문화에 따라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꽃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성분과 향과, 색채 등으로 인해 꽃을 이용한 음식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식용 꽃의 기능성과 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용 꽃은 주로 생화나 건조가공된 말린 꽃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음료, 리퀴드, 드레싱, 소스 등 다양한 음식재료로 활용되기 어렵다. 그리고 생화는 개화 또는 출하 시기가 정해져 있고, 채취 및 유통과정에서 재료의 산화 등으로 향미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민간에서는 특정 계절에 식용 꽃을 설탕에 절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설탕의 첨가량이 일정하지 않아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다. 또한, 단순히 설탕만으로 첨가하였기 때문에 보존기간이 일정하지 않고, 가정에서 먹기 위한 용도 이외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란 문제점들이 있다.
최근에는 식용 꽃을 열수추출하는 방식으로 색과 향, 기능성분을 추출하여 음료 및 시럽 등 식재료로 제품화하고 있으나, 추출과정에서 휘발성 성분의 손실이 높아 재료가 가지는 고유의 향과 색을 구현하기 어렵다.
종래 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3-0102461호에는 약재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약재추출액에 국화를 1차로 데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한 국화를 끓는 물에 2차로 데친 후 식히는 단계; 상기 식힌 국화를 꿀 및 설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혼합하고, 2 ~ 4 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시킨 시럽원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화 시럽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약재추출물을 이용하여 국화에서 독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독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꽃에만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적용범위가 좁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과는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은 식용할 수 있는 꽃에서 향기성분과 유용성분을 손실 없이 추출할 수 있는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추출된 꽃 추출물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혼합하고, 이를 다시 숙성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식용 꽃 고유의 성분과 색감, 및 향기를 음식재료를 충분한 농도로 농축시키고, 기능성과 관능성을 높인 식용 꽃 시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꽃 추출물 3 중량부에 대해서 약용작물 추출물 4~6 중량부 및 과일청 1~3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1~5℃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꽃 추출물은 꽃 1 중량부에 대해서 정제수 1 중량부,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하고, 꽃, 정제수, 올리고당이 혼합된 것을 고압추출기에 넣고 압력은 1.2~1.6기압이며, 온도는 35~60℃ 반응조건으로 반응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꽃은 진달래, 국화, 아카시아, 동백, 호박, 매화, 복숭아, 살구, 베고니아, 팬지, 장미, 제라늄, 자스민, 금어초, 한련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미, 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용작물 추출물은 약용작물 1 중량부에 정제수 3~5 중량부 혼합하고, 20~60℃에서 20시간 이상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과일청은 과일 1 중량부에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3일 이상 숙성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꽃 시럽은 맛을 높이기 위하여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천연보존료를 더 포함하고, 천연보존료는 꽃 시럽 1L에 300 mg ~ 500 mg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꽃 시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동안 생화 또는 건조하여 요리용으로 사용으로 한계가 있던 꽃을 시럽으로 제조함으로써 음료수, 드링크제, 칵테일, 드레싱, 소스, 디저트 가공용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럽은 식용 꽃의 향, 색, 맛을 손실 없이 추출하여 식혜, 조청과 같은 당화 및 숙성한 음식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오사이드와 같은 천연보존료를 사용함으로써, 꽃 시럽의 기능성과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을 적용하여 꽃 시럽 자체로 새로운 식재료 시장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꽃 시럽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장미꽃 시럽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팬지 시럽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꽃 추출물 3 중량부에 대해서 약용작물 추출물 4~6 중량부 및 과일청 1~3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1~5℃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시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용할 수 있는 꽃은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식약처에서 식용이 가능하다고 알려진 꽃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진달래, 국화, 아카시아, 동백, 호박, 매화, 복숭아, 살구, 베고니아, 팬지, 장미, 제라늄, 자스민, 금어초, 한련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존에 꽃에서 향기, 맛, 유용성분 등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추출 또는 꽃 자체를 말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 방법을 적용할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한 향기와 맛의 손실이 커서 본 발명이 원하는 추출물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꽃의 향기, 맛, 유용성분의 손실 없이 추출하기 위하여 고압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꽃 1 중량부에 대해서 정제수 1 중량부,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하고, 꽃, 정제수, 올리고당이 혼합된 것을 고압추출기에 넣고 압력은 1.2~1.6기압이며, 온도는 35~60℃의 저온 반응조건으로 반응하여 2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꽃 추출물은 -25 내지 -15℃의 온도에서 2 내지 3분 가량 급속 냉각하여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향기, 맛, 및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화시켜 이후 단계의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올리고당은 구조 단위가 2~10인 다당류이며, 다당류 가운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용해도, 맛, 화학적 성질 따위가 단당류와 비슷하다. 그러나, 올리고당은 2~10개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된 형태로서, 향기 성분을 붙잡을 수 있는 결합기가 단당류보다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단당류와 같은 질량에 맛은 유사하나, 칼로리가 낮아 식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포도당 등 단당류보다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에서 올리고당의 농도는 추출의 용이성과 추출물의 저장성을 위해 정제수와 혼합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추출기의 압력조건은 1.2 기압 이상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2~1.6 기압인 것이 좋다. 열수 추출 등 고온으로 추출하는 방법은 꽃의 유용성분인 비타민, 기능성 성분, 폴리페놀, 색소성분 등이 파괴되기 쉬워 꽃 본연의 색, 맛, 기능성 성분 등을 변형 없이 고농도로 추출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고압추출기를 사용하는 것은 저온-고압의 삼투압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의 변형 없이 고농도의 성분 추출이 가능한 방법이다.
따라서, 고압추출기 내 압력을 1.2~1.6 기압으로 하는 것은 저온으로 추출하여도 꽃의 향기성분, 맛 성분, 유용성분 등이 잘 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압추출시 온도조건은 35℃ 미만이면 추출시간이 길어져 경제성이 떨어지고, 60℃를 초과할 경우 꽃의 향기성분 등 휘발성 성분이 용액에 용해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위와 같은 조건으로 추출된 꽃 추출물은 당도가 18~20 brix가 되도록 농축하거나, 희석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약용작물은 꽃의 색상과 향에 따라 당업자들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복분자, 진피, 구기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용작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하는 방법은 약용작물 1 중량부에 정제수 3~5 중량부 혼합하고 반응시킬 수 있다. 이때, 반응 기압, 온도와 시간은 1.2~1.6기압, 20~60℃에서 20시간 이상 반응시킬 수 있다. 고압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은 상기 꽃 추출물을 고압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과 같은 이유이며, 상기 반응온도가 20℃ 미만일 경우, 추출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60℃를 초과할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해 약용작물에서 섬유질 물질이 용출되므로 이물질이 없는 투명한 추출물을 얻을 수 없으며, 꽃 시럽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추출물 상호 간에 응집반응이 유도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한다.
상기 꽃 추출물과 상기 약용작물은 추출된 이후 1 내지 5℃의 온도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저온보관되어 1차적으로 숙성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상기 꽃 추출물과 상기 약용작물의 맛, 색, 및 향기 성분이 안정화되게 되어, 이후 혼합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원료 가치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과일청은 제조되는 꽃 추출물의 색상과 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과일청에 사용되는 과일은 사과, 레몬, 라임 등 신맛이 나는 과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일청을 제조하는 방법은 과일 1 중량부에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1 내지 5℃의 온도에서 3일 이상 1차적으로 숙성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되어 1차 숙성된 상기 꽃 추출물과, 상기 약용작물 추출물, 그리고 상기 과일청은 꽃 추출물 3 중량부에 대해서 약용작물 추출물 4~6 중량부 및 과일청 1~3 중량부로 혼합하여 블렌딩하고, 다시 1~5℃에서 3 내지 10일 동안 2차적으로 저온숙성 과정을 통해 숙성되어 꽃 시럽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꽃 추출물과, 상기 약용작물 추출물, 그리고 상기 과일청을 혼합한 후 상기와 같은 2차 숙성과정을 거치는 경우, 각각의 재료에 내재되어 있는 맛, 색, 및 향기 성분들이 서로 균질화되게 되고, 원료성분의 소실 및 변성이 없이 조화롭게 혼합되게 되어 전체적으로 꽃 시럽의 관능성과 상품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꽃 추출물과, 약용작물 추출물, 그리고 과일청을 일괄하여 추출하지 않고,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이유는 혼합 추출과정에서 혼합재료 간의 반응으로 맛과 색, 그리고 향기성분의 변성을 막기 위함이며, 또한, 추출된 각각의 재료의 혼합비율을 미묘하게 조정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에 반응하여 대응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꽃 시럽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천연보존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보존료는 꽃 시럽 1L에 300~500mg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천연보존료는 본 발명의 맛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천연보존료이며, 바람직하게는 스테비오사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천연감미료로서 파라과이, 브라질,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저칼로리 감미료로 쓰인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는 미량이 포함되어도 비가열 음료내에 유해세균의 활동성을 억제하여 보존성을 강화할 수 있다. 과도한 단맛을 피하면서도 적정한 보존성 강화를 위해서는 꽃 시럽 1L당 500mg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500mg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꽃 시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꽃 시럽은 추출에 사용하는 꽃에 따라 그 향이 매우 달라질 수 있으며, 혼합되는 약용작물 추출물, 과일청에 따라 최종산물인 시럽의 향, 맛이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꽃 시럽은 다양한 디저트에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후식에는 음료수, 드링킹제, 칵테일, 드레싱, 혼합소스, 요거트, 아이스크림, 케이크, 빙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꽃 시럽의 사용방법은 디저트의 종류에 따라 희석, 혼합, 또는 원액 형태의 꽃 시럽을 도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 시럽을 음료수 또는 드링크제로 사용할 경우, 그 자체로 기호성이 좋기 때문에 플레인 타입(plain type)으로 바로 제품화가 가능하다. 음료수 또는 드링크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을 첨가시킬 경우, 상업적인 음료수 또는 드링크제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음료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꽃 시럽 이외에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및/또는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꽃 시럽 이외에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과즙,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 시럽은 맛, 색, 및 향기 성분의 변성 및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후 유통단계에서 1 내지 5℃의 저온에서 보관 또는 유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장미꽃 추출물의 제조
장미는 유기농으로 재배된 식용장미를 재배농가에서 직접 구입하고, 이 꽃에서 꽃잎만을 분리하여 베이킹파우더가 녹아 있는 물에서 3회 세척하고, 이를 다시 정제수로 1회 세척하였다.
물기를 제거한 꽃잎은 20W급의 자외선 살균 등에 2분 이상 노출시켜, 살균을 하여 원재료에 포함되는 대장균 등 잡균을 제거하였다. 전처리된 꽃잎 100g을 1L 유리용기에 넣고, 추가로 정제수 100ml, 올리고당 120ml을 넣었다. 꽃잎이 뭉치지 않으면서, 으깨지지 않도록 천천히 교반하였다. 용기를 밀폐시키고 이를 고압추출기에 넣고 압력은 1.5기압, 온도는 45℃ 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채를 이용하여 장미 잎만을 제거하여 210ml의 장미꽃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장미꽃 추출물을 3℃에서 7일간 1차 숙성하여 이후 단계에 사용하였다.
< 제조예 2> 팬지 추출물의 제조
유기농으로 재배된 팬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10ml의 팬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팬지 추출물을 3℃에서 7일간 1차 숙성하여 이후 단계에 사용하였다.
< 제조예 3>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구입한 오미자를 베이킹파우더가 녹아 있는 물에서 3번 이상 세척하고, 다시 정제수로 3번 이상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물기를 제거한 오미자 200g을 2L 유리용기에 넣고, 정제수 800ml을 추가하였다. 용기 상부를 밀폐시키고 1.5기압, 40℃에서 20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오미자가 터지지 않도록 분리하여 오미자 추출물 770ml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오미자 추출물을 3℃에서 7일간 1차 숙성하여 이후 단계에 사용하였다.
< 제조예 4> 레몬청의 제조
마트에서 구매한 레몬 3개를 물로 씻고, 베이킹파우더로 레몬 표면을 문질러서 닦아냈다. 500ml 크기의 용기에 베이킹파우더 50g을 넣고, 정제수 200ml을 추가하여 베이킹파우더를 놓였다. 여기에 베이킹파우더로 닦은 레몬을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2시간 후에 레몬을 흐르는 정제수로 씻은 후, 2mm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 하였다. 슬라이스 한 레몬 100g당 올리고당 150ml을 혼합하여 레몬청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레몬청을 3℃에서 7일간 1차 숙성하여 이후 단계에 사용하였다.
< 제조예 5> 대조군 추출물 1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장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조군 추출물 1을(210ml)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대조군 추출물 2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오미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조군 추출물 2(210ml)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7> 대조군 추출물 3의 제조
제조예 4에서 레몬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10ml의 대조군 추출물 3(210ml)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장미꽃 시럽의 제조
1L 유리용기에 상기 제조예 1의 장미꽃 추출물 100ml, 제조예 3의 오미자 추출물 400ml 및 제조예 4의 레몬청 200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스테비오사이드 250mg을 넣고, 잘 녹을 수 있도록 충분히 혼합하였다. 유리용기 상부를 밀폐시키고, 4℃로 유지되는 냉장고에서 7일간 보관하여 장미꽃 시럽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팬지 시럽의 제조
제조예 2의 팬지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팬지 시럽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올리고당 시럽의 제조
제조예 1,3, 및 4의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5 내지 7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올리고당 시럽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오미자 추출물 무첨가 시럽의 제조
제조예 3의 오미자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6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오미자 추출물 무첨가 시럽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레몬청 무첨가 시럽의 제조
제조예 4의 레몬청 대신에 제조예 7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레몬청 무첨가 시럽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꽃 시럽 관능평가
본 발명의 꽃 시럽의 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20~30대 성별 구분없이 30명을 모집하여 색, 향, 당도, 점도,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판단기준을 확립하여 평가하였다(표 1). 각 항목에 대해서 10점을 만점으로 하여 3회 반복 실시하였다(표 2).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평가지표
시료의 색상이 맑고 깨끗한 정도 평가
시료에서 향이 좋은 정도 평가
당도 시료 자체의 당도가 거부감이 없는 정도 평가
점도 시료가 용기에서 떨어지는 정도 평가
전반적인 기호도 색, 향, 당도, 맛 등을 종합해서 평가자의 기호도 평가
평가내용 매우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좋음
점수 2 4 6 8 10
평가항목/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9.9 8.3 3.3 8.0 6.0
9.8 8.5 2.5 4.2 4.4
당도 8.3 8.2 6.5 7.5 7.7
점도 8.4 8.1 8.0 7.6 7.5
전반적인 기호도 9.1 8.9 4.2 6.8 6.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장미꽃 시럽과 실시예 2의 팬지꽃 시럽은 비교예 1 내지 3보다 꽃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향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시료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높여, 실시예 1과 2의 꽃 시럽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꽃 시럽은 음료의 베이스, 디저트용 시럽 등의 다양한 가공식품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꽃 추출물 3 중량부에 대해서 약용작물 추출물 4~6 중량부 및 과일청 1~3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1~5℃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꽃 추출물은 꽃 1 중량부에 대해서 정제수 1중량부, 및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한 후, 1.2~1.6 기압조건 및 35~60℃의 온도조건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약용작물 추출물은 오미자, 복분자, 진피 및 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이고, 상기 약용작물 1 중량부에 정제수 3~5 중량부를 혼합하고, 1.2~1.6 기압조건 및 20~60℃의 온도조건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꽃 추출물과 상기 약용작물 추출물은 1 내지 5℃의 온도에서 3 내지 10일 동안 숙성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은 진달래, 국화, 아카시아, 동백, 호박, 매화, 복숭아, 살구, 베고니아, 팬지, 장미, 제라늄, 자스민, 금어초 및 한련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청은 과일 1 중량부에 올리고당 1~2 중량부를 혼합하고 3일 이상 저온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 시럽에 천연보존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천연보존료는 꽃 시럽 1L에 300 mg ~ 500 mg의 용량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시럽의 제조방법.
  7.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꽃 시럽.
KR1020160128610A 2016-10-05 2016-10-05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1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10A KR101913001B1 (ko) 2016-10-05 2016-10-05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10A KR101913001B1 (ko) 2016-10-05 2016-10-05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59A KR20180037859A (ko) 2018-04-13
KR101913001B1 true KR101913001B1 (ko) 2018-10-29

Family

ID=6197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610A KR101913001B1 (ko) 2016-10-05 2016-10-05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0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36A (ko) 2019-06-11 2020-12-21 김수매 과일 청을 이용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28819A (ko) * 2020-08-31 2022-03-08 조혜임 진한 향과 향상된 풍미를 가지는 꽃 에이드의 제조 방법
KR20230079599A (ko) 2021-11-29 2023-06-07 농업회사법인 라피움 무궁화식품연구소 주식회사 무궁화 꽃잎을 이용한 액상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726B1 (ko) * 2018-11-29 2020-06-03 곽은옥 꽃청 제조방법 및 꽃청
KR102235423B1 (ko) * 2019-07-23 2021-04-02 김문형 다슬기 식혜의 제조방법
KR102649469B1 (ko) * 2021-07-01 2024-03-20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KR102546240B1 (ko) * 2022-07-01 2023-06-20 김동휘 레몬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6247B1 (ko) * 2022-07-01 2023-06-20 김동휘 자몽청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36A (ko) 2019-06-11 2020-12-21 김수매 과일 청을 이용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28819A (ko) * 2020-08-31 2022-03-08 조혜임 진한 향과 향상된 풍미를 가지는 꽃 에이드의 제조 방법
KR102477807B1 (ko) * 2020-08-31 2023-01-04 조혜임 진한 향과 향상된 풍미를 가지는 꽃 에이드의 제조 방법
KR20230079599A (ko) 2021-11-29 2023-06-07 농업회사법인 라피움 무궁화식품연구소 주식회사 무궁화 꽃잎을 이용한 액상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59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001B1 (ko)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Saenz Processing technologies: an alternative for cactus pear (Opuntia spp.) fruits and cladodes
KR100353481B1 (ko) 솔잎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법
Bukya et al. Preaparation and standardization of jamun jam (Syzygium cumini) it’s chemical and storage studies
KR20000012392A (ko) 연근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472B1 (ko) 양파 및 장미를 함유하는 딸기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5110B1 (ko) 무화과 활성물질을 이용한 켄음료의 제조방법
KR101950095B1 (ko) 건조 과일 슬라이스의 제조방법
KR100949605B1 (ko) 오미자추출액을 이용한 오미자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RU2656893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34;Цветущий сад&#34;
WO2019229619A1 (en) Method for processing sugarcane juice and stabilized product resultant thereof
KR100895665B1 (ko) 복분자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1281326B1 (de) Holunderblüten-Geträn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849848B1 (ko) 동결 꽃잎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143467B1 (ko) 발효 유자 음료 제조방법
KR100893612B1 (ko) 라벤다를 이용한 딸기잼과 그 제조방법
KR101700137B1 (ko) 진저롤이 함유된 유자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610B1 (ko) 허브를 이용한 딸기잼과 그 제조방법
Purkait et al. Formul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vitamin c enriched red wine using roselle (Hibiscus sabdariffa) and peppermint (Mentha piperita L.)
Iancu Differences of the physicochemical indicators of beverages wild elderflower (Sambucus nigra) from Teleajen valley, Romania, according to the used technology.
Ashurst Applications of natural plant extracts in soft drinks
KR101890930B1 (ko) 녹차를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JPS62198371A (ja) ハイビスカスとロ−ゼルの濃縮飲料の製造方法
KR101666325B1 (ko) 양조식초를 활용한 아로니아 음료 제조방법
RU2265383C2 (ru) Напиток из натуральных тра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