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273A -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273A
KR20000070273A KR1019997006501A KR19997006501A KR20000070273A KR 20000070273 A KR20000070273 A KR 20000070273A KR 1019997006501 A KR1019997006501 A KR 1019997006501A KR 19997006501 A KR19997006501 A KR 19997006501A KR 20000070273 A KR20000070273 A KR 2000007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gnal
read
memory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자키신이치로
츠네토미요시노부
시라하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7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제산기에서는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에서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이 설정된다. 수평 보간 회로, 수직 보간 회로에서는 확대 비율에 의거 하여 보간이 이루어지고, 수평 보간 회로, 수직 보간 회로에서는 축소 비율에 의거하여 보간이 이루어진다. 필드 메모리에서는 기입 메모리 제어 회로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임의 위치의 임의 크기의 화상 부분이 기입된다. 또한 메모리에서는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이 판독된다.

Description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Television device, display method of television device, screen control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종래의 모화면(母畵面) 중에 자화면(子畵面)이 표시되는, 이른바 픽쳐 인 픽쳐(이하, PinP라 칭함)를 행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 8에 도시한다. 이 도 8에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필드메모리(134)를 통하여 자화면의 스케일링과 표시 위치가 설정된다. 제산기(131)에는 기입 범위(HAct, VAct)와 판독 범위(HSize, VSize)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기입 범위(HAct, VAct)는 고정치이다. 이 제산기(131)에서는 확대 또는 축소의 비율이 설정된다. 수평 보간 회로(132) 및 수직 보간 회로(133)에서는 제산기(131)에서 축소 비율이 공급된 경우, 그 비율에 근거하여 입력된 화상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필드 메모리(134)에서는 기입 메모리 제어 회로(137)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수직 보간 회로(133)에서 공급된 화상이 입력된다. 기입 메모리 제어 회로(137)에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기입 스타트 위치(HPhase, VPhase) 및 고정치의 기입 범위(HAct, VAct)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 각 파라미터는 도 9에 도시하는 관계로 된다. 필드 메모리(134)에는 고정치의 기입 범위(HAct, VAct)에 포함된 화상이 기입된다.
또한, 필드 메모리(134)에서는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38)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기입되어 있는 화상이 판독된다.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38)에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판독 스타트 위치(HPosition, VPosition) 및 판독 범위(HSize, VSize)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 각 파라미터는 도 10에 나타내는 관계가 된다. 필드 메모리(134)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은 판독 범위(HSize, VSize)에 포함된 범위로 표시되도록 판독된다.
수평 보간 회로(135) 및 수직 보간 회로(136)에서는 제산기(131)에서 확대 비율이 공급된 경우, 그 비율에 근거하여 공급된 화상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이 PinP의 특징은 화면 전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상정하여 필드 메모리(134)에 기입 범위(HAct, VAct)를 고정치로 하고 있다. 표시 화면 크기는 판독 범위(HSize, VSize)의 설정에 의해 결정한다. 기입 메모리 제어 회로(137),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38) 및 제산기(131)를 위한 각 파라미터와 수평, 수직 동기 신호의 관계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시는 기입 스타트 위치(HPhase, VPhase)만이 파라미터가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판독시는 판독 스타트 위치(HPosition, VPosition)와 판독 범위(HSize, VSize)의 파라미터에 의해 위치와 크기를 설정 한다. 실제의 PinP의 표시 화면을 도 11에 도시한다. 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PinP에서는 안쪽 프로그램의 화면의 거의 전체를 축소한 자화면(142)이 모화면(141) 속에 표시된다.
그러나, PinP의 경우, 자화면은 화면의 거의 전체를 축소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섬세한 문자의 판독 또는 작은 인물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자화면에서 야구 또는 축구 시합의 중계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스코어의 판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화면(145)에 인접하여 화면(146)이 표시되는, 이른바 픽쳐 앤드 픽쳐(이하, P & P라 약한다)의 경우, 레터 박스 신호를 표시했을 때, 상하의 흑색 테두리가 화면(146)의 틀 속에 표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본래의 종횡 비율에서는 없는 틀이 화면에 표시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inP 또는 P & P의 표시에서 안쪽 프로그램의 화상 또는 다른 입력 신호의 화상 중의 임의 위치의 임의 크기의 화상 부분을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픽쳐 인 픽쳐 또는 픽쳐 앤드 픽쳐를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입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판독시의 설명에 사용되는 약선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픽쳐 인 픽쳐의 화면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픽쳐 앤드 픽쳐의 화면의 일례,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입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8은 종래의 픽쳐 인 픽쳐의 블록도, 도 9는 입력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 도 10은 판독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 도 11은 종래의 픽쳐 인 픽쳐의 화면의 약선도, 도 12는 종래의 픽쳐 앤드 픽쳐의 화면의 약선도이다.
본 발명은 동일 화면상에 제1의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에서, 안쪽 프로그램 또는 제1 화면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신호 이외의 입력 신호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가지며, 확대 또는 축소된 입력 신호를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이다.
본 발명은 동일 화면상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에서, 안쪽 프로그램 또는 제1 화면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신호 이외의 입력 신호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입력 신호를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화면 제어 장치에서, 신호의 확대 또는 축소를 판단하기 위한 제산 수단과, 신호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와, 신호의 소망 영역을 메모리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 제어 수단과, 메모리에 기입된 신호를 화면의 소망 위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판독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화면 제어 방법에서, 제산 수단에 의해 신호의 확대 또는 축소를 판단하고, 신호의 소망의 영역을 메모리에 기입하고, 메모리에 기입된 신호를 화면의 소망의 위치에 표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이다.
입력된 화상을 필드 메모리에 기입할 때에 기입 범위(HAct, VAct)를 가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PinP의 자화면에서는 판독 불가능하였던 세밀한 문자 또는 작은 인물 등, 화상의 임의의 부분의 필요한 정보만큼을 표시함으로써 판독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P & P의 제1 및/또는 제2 화면에서는 레터 박스 신호의 상하의 흑색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여 본래의 종횡 비율로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PinP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서, (1) 및 (2)는 안테나이다. 안테나(1) 및 (2)에서 텔레비젼 방송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된다. 안테나(1)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3)의 단자(3A)에 공급됨과 동시에 안테나 스위치(4)의 단자(4A)에 공급된다. 안테나(2)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3)의 입력 단자(3B)에 공급됨과 동시에 안테나 스위치(4)의 입력 단자(4B)에 공급된다. 안테나 스위치(3)의 출력이 튜너 회로(5)에 공급된다. 안테나 스위치(4)의 출력이 튜너 회로(6)에 공급된다.
안테나 스위치(3)는, 튜너 회로(5)에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에서의 수신 신호와 안테나(2)에서의 수신 신호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이다. 안테나 스위치(3)가 단자(3A)측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안테나(1)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3)을 통하여 튜너 회로(5)에 공급된다. 안테나 스위치(3)이 단자(3B)측에 설정되면, 안테나(2)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3)을 통하여 튜너 회로(5)에 공급된다.
안테나 스위치(4)는 튜너 회로(6)에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에서의 수신 신호와 안테나(2)에서의 수신 신호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이다. 안테나 스위치(4)가 단자(4A)측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안테나(1)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4)을 통하여 튜너 회로(6)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4)가 단자(3B)측에 설정되면, 안테나(2)에서의 수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4)를 통하여 튜너 회로(6)에 공급된다.
튜너 회로(5)는 모화면용의 메인 튜너 회로이다. 튜너 회로(5)에 의해 모화면에 송출할 소망의 하는 수신 채널이 선택된다. 이 수신 신호가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되어, 중간 주파 및 비디오 검파 신호(7)로 공급된다.
튜너 회로(6)는 자화면용의 서브 튜너 회로이다. 튜너 회로(6)에 의해 자화면에 송출할 소망의 수신 채널이 선택된다. 이 수신 신호가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되어, 중간 주파 및 비디오 검파 신호(8)로 공급된다.
튜너 회로(5) 및 (6)에는 제어기(10)에서 채널 설정 신호가 공급된다. 이 튜너 설정 신호에 의해 튜너 회로(5) 및 (6)의 채널이 설정된다. 채널에 관한 정보는 메모리(49)에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메인 튜너 회로(5)와 서브 튜너 회로(6)의 두 개의 튜너 회로가 마련되어 있고, 튜너 회로(5) 및 (6)에 의해 모화면과 자화면으로 따로따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간 주파 및 비디로 검파 회로(7)에 의해 모화면용의 메인 튜너(5)에서의 중간 주파 신호가 증폭되고 비디오 신호는 검파된다. 이에 따라 모화면을 형성하기 위한,예를 들면 NTSC 방식의 복합 컬러 화상 신호가 복조된다. 이 복합 컬러 화상 신호가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3)의 단자(13A)에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치 회로(14)의 단자(14C)로 공급된다.
중간 주파 및 비디오 검파 회로(8)에 의해 자화면용의 서브 튜너(6)에서의 중간 주파 신호가 증폭되어 비디오 검파된다. 이에 따라 자화면을 형성하기 위한, 예를 들면 NTSC 방식의 복합 컬러 화상 신호가 복조된다. 이 복합 컬러 화상 신호가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4)의 단자(14A)에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치 회로(13)의 단자(13C)에 공급된다.
또한, 중간 주파 및 비디오 검파 회로(7)에 의해 예를 들면 4.5 MHz의 비트 성분에서 음성 중간 주파 신호가 추출된다. 이 음성 중간 주파 신호가 음성 디코더(11)에 공급된다. 음성 디코더(11)에 의해 음성 신호가 복조된다. 음성 디코더(11)에서의 음성 신호가 오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5)의 단자(15A)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16) 및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17)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16)에 외부로부터의 복합 컬러 화상 신호가 공급되고,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17)에 외부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16)에서의 화상 신호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3)의 단자(13B)에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치 회로(14)의 단자(14B)에 공급된다.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17)에서의 음성 신호가 오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5)의 단자(15B)에 공급된다.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는 제어기(10)에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거 하여 화상 소스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이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는 모화면에 송출할 영상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13)와 자회면에 송출되어야 할 영상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14)를 가지고 있다.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4)의 출력 단자(13D)에서는 모화면에 송출되어야 할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스위치 회로(14)의 출력 단자(14D)에서는 자화면에 송출되어야 할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3)는 메인 튜너 회로(5)에서 설정된 채널의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모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3A)측으로 전환되고,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16)에서의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화면을 모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3B)측으로 전환되고, 서브 튜브 회로(6)에서 설정된 채널의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화면을 모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3C)측으로 전환된다.
또한,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4)는 서브 튜너 회로(6)에서 설정된 채널의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자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4A)측으로 전환되고,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16)에서의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자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4B)측으로 전환되고, 메인 튜너 회로(5)에서 설정된 채널의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자화면에 송출하는 경우에는 단자(14C)측으로 전환된다.
오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5)는 제어기(10)에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오디오 소스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오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5)의 출력이 오디오 앰프(18)로 공급된다. 오디오 앰프(18)의 출력이 스피커(19)에 공급된다.
오디오 전환 스위치(15)는 메인 튜너 회로(5)에서 설정된 채널의 음성 신호 에 의거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단자(15A)측으로 전환되고,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17)에서의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단자(15B)측으로 전환된다.
비디오 소스 전환 스위치(12)의 스위치 회로(13)의 출력 단자(13D)에서 출력되는 모화면의 영상 신호는 Y/C 분리 회로(21)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14)의 출력 단자(14D)에서 출력되는 자화면의 영상 신호는 Y/C 분리 회로(22)에 공급된다.
Y/C 분리 회로(21), 휘도 신호 처리 회로(23), 매크로신호 처리 회로(25), 회상 처리 회로(29), 매트릭스 회로(24)는 모화면에 송출되는 3원색 신호 R, G, B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Y/C 분리 회로(21)에 의해 모화면의 영상 신호가 휘도 신호(Y)와 매크로 신호(C)로 분리된다. Y/C 분리 회로(21)에서의 휘도 신호(Y)는 휘도 신호 처리 회로(23)에 공급된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23)에서 휘도 조정 또는 밝기 조정 등의 화질 조정 등이 이루어진다.
Y/C 분리 회로(21)에서의 매크로 신호(C)는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5)에 공급된다.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5)에서 수신 신호로부터 버스트 신호가 추출되고, 이 버스트 신호를 사용하여 색차 신호(I) 및 (Q)가 복조된다. 그리고 이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5)에서 ACC(Automatic Color Control), 주파수 특성 보정 등이 이루어진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23)에서의 휘도 신호(Y)와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5)에서의 색차 신호(I) 및 (Q)는 화상 처리 회로(29)로 공급된다. 화상 처리 회로(29)가 본 발명의 요지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회로(29)에서는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I) 및 (Q)에 대하여 처리가 실시된다. 이 화상 처리 회로(29)에서는 모화면에 송출하기 위한 모화면의 신호가 형성된다. 이 모화면의 신호가 매트릭스 회로(24)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24)에 의해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I) 및 (Q)에 의해 모화면용의 3원색 신호 R, G, B가 형성된다.
Y/C 분리 회로(22), 휘도 신호 처리 회로(26),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7), 화상 처리 회로(28), 매트릭스 회로(30)는 자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PinP 회로라 한다.
즉, Y/C 분리 회로(22)에 의해 자화면의 영상 신호가 휘도 신호(Y)와 매크로 신호(C)로 분리된다. Y/C 분리 회로(22)에서의 휘도 신호(Y)는 휘도 신호 처리 회로(26)에 공급되고, 매크로 신호(C)는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7)에 공급된다.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7)에서 수신 신호에서 버스트 신호가 추출되고, 이 버스트 신호를 사용하여 색차 신호(I) 및 (Q)가 복조된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26)에서의 휘도 신호(Y)와 매크로 신호 처리 회로(27)에서의 색차 신호(I) 및 (Q)는 화상 처리 회로(28)로 공급된다. 상술한 화상 처리 회로(29)와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 회로(28)가 본 발명의 요지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회로(28)에서는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I) 및 (Q)에 대하여 처리가 실시된다. 이 화상 처리 회로(28)에서는 자회면에 송출하기 위한 자화면의 신호가 형성된다. 이 소화면의 신호가 매트릭스 회로(30)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30)에 의해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I) 및 (Q)에 의해 자화면용의 3원색 신호 R, G, B가 형성된다.
매트릭스 회로(24)에서의 모화면의 3원색 신호 R, G, B 및 매트릭스 회로(30)에서의 자화면의 3원색 신호 R, G, B는 합성 회로(31)에 공급된다. 합성 회로(31)에서, 모화면의 3원색 신호 R, G, B와 자화면의 3원색 신호 R, G, B가 합성된다.
합성 회로(31)의 출력이 표시 신호의 가산 회로(32)에 공급된다. 가산 회로(32)에는 표시 발생 회로(51)에서 표시 신호가 공급된다. 가산 회로(32)의 출력이 수상관(33)에 공급된다.
또 스위치 회로(13)의 출력 단자(13D)를 통하여 모화면의 화상 신호 및 스위치 회로(14)의 출력 단자(14D)를 통하여 자화면의 영상 신호는 동기 분리 회로(35)에 공급된다. 동기 분리 회로(35)에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가 추출된다. 동기 분리 회로(35)에서 추출된 수평 동기 신호는 수평 발진 회로(36)에 공급된다. 또한, 동기 분리 회로(35)에서 추출된 수직 동기 신호는 수직 발진 회로(44)에 공급된다.
수평 발진 회로(36)에서, 동기 분리 회로(35)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한 수평 펄스가 형성된다. 이 수평 펄스가 수평 드라이브 회로(37)를 통하여 수평 출력 회로(38)에 공급된다. 수평 출력 회로(38)에 의해 수상관(33)의 수평 편향 코일에 수평인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톱니파의 귀선 기간에 플라이백 펄스가 발생한다. 이 플라이백 펄스는 수평 발진 회로(36)로 귀환된다. 이 귀환 펄스와 수평 발진 회로(36)의 출력이 위상 비교되고, 이 비교 출력에 의거하여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 루프가 구성되어 수평 발진 회로(36)의 발진 동작의 안정이 유지된다.
또, 고압 회로(39)에 의해 이 프라이백 펄스를 승압하여 고압이 형성된다. 이 고압은 애노드 전압 또는 포커스 전압으로서 수상관(33)에 인가된다.
수직 발진 회로(44)에서, 동기 분리 회로(35)에서의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된 톱니파가 형성된다. 이 수직 발진 회로(44)의 출력이 수직 드라이브 회로(45)를 통하여 수직 출력 회로(46)에 공급된다. 수직 출력 회로(46)에 의해 수상관(33)의 수직 편향 코일에 수직인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어기(10)는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제어기(10)에는 수광 회로(47)를 통하여 리모트 코멘더(48)에서 입력이 부여된다. 이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 채널 등이 설정된다. 또 제어기(10)의 출력에 의거하여 표시 발생 회로(51)에서 표시 신호가 발생된다.
표시 발생 회로(51)에는 수평 발진 회로(36) 및 수직 발진 회로(37)에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된 수평 펄스 및 수직 펄스가 공급된다. 또한 수평 펄스로서는 수평 출력 회로에서 플라이백 펄스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발생 회로(40)에 의해 이 수평 펄스 및 수직 펄스에 의거한 타이밍으로 표시 신호가 발생된다. 이 표시 신호가 가산 회로(32)에 공급된다.
가산 회로(32)에서, 합성 회로(31)에서의 3원색 신호 R, G, B에, 표시 발생 회로(51)에서의 표시 신호가 중첩된다. 이에 따라 수상관(33)에는 채널 또는 음량의 설정 상태가 관면 표시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요지인 화상 처리 회로(29) 및 (28)의 한 실시 형태의 블록도를 도 2에 도시한다. 이 한 실시 형태는 필드 메모리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 화상의 임의 부분의 제거와 스케일링을 하도록 한 것이다. 제산기(111)에는 기입 범위(HAct, VAct)와 판독 범위(HSize, VSize)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 제산기(111)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이 입력 범위(HAct, VAct)와 판독 범위(HSize, VSize)에 의해 설정된다. 설정된 비율은 수평 보간 회로(112,115) 및 수직 보간 회로(113,116)로 공급된다.
수평 보간 회로(112)에서는 입력된 화상에 대하여 제산기(111)에서 축소 비율이 공급된 경우, 이 비율에 의거하여 수평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수평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 화상은 수직 보간 회로(113)로 공급된다. 수직 보간 회로(113)에서는 수평 보간 회로(122)에서의 화상에 대하여 제산기(111)에서 축소된 비율이 공급된 경우, 그 비율에 의거하여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 화상은 필드 메모리(114)로 공급된다.
필드 메모리(114)에서는 입력 메모리 제어 회로(117)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수직 보간 회로(113)에서 공급된 화상이 기입된다. 기입 메모리 제어 회로(117)에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기입 스타트 위치(HPhase, VPhase) 및 기입 범위(HAct, VAct)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 각 파라미터는 도 3에 도시하는 관계가 된다. 필드 메모리(114)에는 기입 범위(HAct, VAct)에 포함된 화상이 기입된다.
또한, 필드 메모리(114)에서는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18)에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입되어 있는 화상이 판독된다.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18)에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판독 스타트 위치(HPosition, VPosition) 및 판독 범위(HSize, VSize)의 각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 각 파라미터는 도 4에 도시하는 관계가 된다. 필드 메모리(114)에 기입되어 있는 화상은 판독 범위(HSize, VSize)에 포함된 범위로 표시되도록 판독된다. 판독된 화상은 수평 보간 회로(115)로 공급된다.
수평 보간 회로(115)에서는 필드 메모리(114)에서의 화상에 대하여 제산기(111)에서 확대 비율이 공급된 경우, 그 비율에 의거하여 수평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수평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 화상은, 수직 보간 회로(116)로 공급된다. 수직 보간 회로(116)에서는 수평 보간 회로(115)에서의 화상에 대하여 제산기(111)에서 확대 비율이 공급된 경우, 그 비율에 의거하여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다. 수직 방향의 보간이 이루어진 화상은 출력된다.
출력된 화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inP의 자화면(112)으로서 모화면(121)중에 중첩된다. 이 도 5의 일례에서는 모화면(121)에 TV 뉴스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자회사(112)에 안쪽 프로그램의 야구 중계의 득점 표시 부분이 잘라져서 표시되어 있으므로, 득점 경과가 즉시 확인 가능하다.
또한, P & P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이 레터 박스 신호인 경우에는 레터 박스 신호를 검출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터 박스 신호의 불필요한 부분, 즉 상하의 검은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화면(126)이 화면(125)과 인접하여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입시의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각각의 기입 스타트 위치(HPhase, VPhase)와 기입 범위(HAct, VAct)를 결정하여, 필드 메모리(114)로의 기입을 제어함으로써 입력 화상의 임의 부분만이 필드 메모리(114)에 입력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시에도 판독시의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각각의 판독 스타트 위치(HPosition, VPosition)와 판독 범위(HSize, VSize)를 결정하여, 필드 메모리(114)로의 판독을 제어함으로써 기입시에 잘라내어 필드 메모리(114)에 기입된 입력 화상의 임의 부분을 임의 위치에 임의 크기로 표시할 수가 있을 수가 있다.
여기에서, 제산기(111)에서 설정된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이
HSize/HAct≥1, VSize/VAct≥1인 경우
확대 처리되고, 필드 메모리(114)에서의 판독은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의 2번 판독을 행하고, 그 후 화질 향상을 위하여 보간 처리를 상술한 수평 보간 회로(115) 및 수직 보간 회로(116)에서 행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입력 화상의 임의 부분의 확대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 제산기(111)에서 설정된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이
HSize/HAct<1, VSize/VAct<1인 경우
축소 처리 되어, 필드 메모리(114)에 기입하기 전에 화상에 대하여 보간 처리를 수평 보간 회로(112) 및 수직 보간 회로(113)에서 행하고, 필드 메모리(114)에 기입할 때에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추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축소 처리의 경우,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추출하여 필드 메모리(114)에 입력하므로, 수평 보간 회로(112) 및 수직 보간 회로(113)에서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행하기 쉽도록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보간 처리를 행하여 임의의 축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판독시에 판독 메모리 제어 회로(118)에 공급된 판독 스타트 위치(HPosition, VPosition)와 판독 범위(HSize, VSize)에 따라 연속적으로 화상이 판독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입력 화상의 임의 부분의 축소 처리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는 입력 스타트 위치 HPhase 다음에 기입이 허가되는 기간, 즉 기입 범위 HAct가 고정되어 있었으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 스타트 위치 HPhase 다음, 기입 범위 HAct를 가변 할 수 있다. 이 도 7에서는 기입 범위 HAct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기입 범위 HAct도 마찬가지로 가변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기입측의 범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HAct, VAct)를 새로이 마련함으로써 안쪽 프로그램의 임의 부분을 필드 메모리(114)에 입력할 수가 있다. 또, 잘라낸 부분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은 기입 범위(HAct, VAct)와 판독 범위(HSize, VSize)의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다.
이 한 실시 형태에서는 PinP의 자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또는 P & P의 제2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은 안쪽 프로그램의 화상의 임의 부분인데, 모화면 또는 제1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 신호 이외의 화상, 예를 들면 비디오 입력에서의 화상의 임의 부분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PinP의 자화면에서 세밀한 문자 또는 작은 인물이 확대 표시된다. 즉, 화상의 임의 부분의 필요한 정보만을 잘라내어 자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세밀한 문자 또는 작은 인물이 판독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안쪽 프로그램의 야구 중계의 스코어 표시 부분만을 잘라내어 PinP의 자화면에 표시함으로써 TV 드라마를 보면서 야구 중계의 득점 경과를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터 박스 신호에 대해서도 상하의 검은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여 종래의 종횡 비율로 P & P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은 PinP의 자화면 또는 P & P의 제1 및/또는 제2 화면이 되는 영상 신호 중에서 필요한 영역만을 도출할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그 신호에 대하여 축소 또는 확대를 행하여 화면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유용하다.

Claims (23)

  1. 동일 화면상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다른 채널상의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1 화면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신호 이외의 입력 신호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가지며,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축소된 화상을 표시할 때에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상기 제1의 보간 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이 기입되는 메모리와, 기입 스타트 위치와 기입 범위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입되는 화상 부분을 지정하고,
    판독 스타트 위치와 판독 범위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화상 부분을 판독하도록 한 제어 수단과,
    확대된 화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화상 부분의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 중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에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레터 박스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레터 박스 신호의 상하의 검은 테두리를 제거한 화상이 상기 제1 및/또는 제2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6. 동일 화면상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다른 채널상의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1 화면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신호 이외의 입력 신호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 기입 신호를 상기 제2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확대 또는 축소가 판단되고, 상기 축소라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입하기 전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고,
    보간이 이루어진 상기 입력 신호를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데시메이션 (decimation)하여 기입 스타트 위치 및 상기 기입 범위에 따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판독 스타트 위치 및 상기 신호를 상기 판독 범위에 따라 판독하고,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확대 또는 축소가 판단되고, 상기 확대라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입된 신호를 판독 스타트 위치 및 상기 판독 범위에 따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고,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 중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에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레터 박스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레터 박스 신호의 상하의 검은 테두리를 제거한 화상이 상기 제1 및/또는 제2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12. 입력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화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신호의 확대 또는 축소를 판단하기 위한 제산 수단과,
    상기 신호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신호의 소망의 영역을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신호를 화면의 소망의 위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판독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산 수단에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축소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입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고,
    보간이 이루어진 상기 신호를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데시메이션하고, 기입 스타트 위치 및 기입 범위에 따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산 수단에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확대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신호를 판독 스타트 위치 및 판독 범위에 따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서 판독된 상기 신호는 제1 화면의 소망의 위치에 제2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서 판독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화면과 인접하는 제2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레터 박스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레터 박스 신호의 상하의 검은 테두리를 제거한 화상이 제1 및/또는 제2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장치.
  18. 입력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산 수단에 의해 신호의 확대 또는 축소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의 소망의 영역을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신호를 화면의 소망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산 수단에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축소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고,
    보간이 이루어진 상기 신호를 화소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데시메이션하여 기입 스타트 위치 및 기입 범위에 따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입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산 수단에서 기입 범위와 판독 범위로부터 상기 확대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신호를 판독 스타트 위치 및 판독 범위에 따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보간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서 판독된 상기 신호는 제1 화면의 소망의 위치에 제2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서 판독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화면과 인접하는 제2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레터 박스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레터 박스 신호의 상하의 검은 테두리를 제거한 화상이 제1 및/또는 제2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KR1019997006501A 1997-11-17 1998-11-16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00070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5106 1997-11-17
JP31510697 1997-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273A true KR20000070273A (ko) 2000-11-25

Family

ID=1806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501A KR20000070273A (ko) 1997-11-17 1998-11-16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10656B1 (ko)
KR (1) KR20000070273A (ko)
WO (1) WO19990264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613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방송 수신기의 부화면 제어 방법
KR20210062468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샵캐스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1958D1 (de) * 1999-02-09 2003-06-05 Micronas Muni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meinsamen darstellung wenigstens einer ersten und zweiten bildfolge in einem gesamtbild
DE50003120D1 (de) * 1999-05-21 2003-09-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videobildeinblendung
JP3614324B2 (ja) * 1999-08-31 2005-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の補間システムおよび画像の補間方法
US6552750B1 (en) * 2000-03-21 2003-04-22 Tvia, Inc.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of graphics data on a television display
JP4613403B2 (ja) * 2000-08-25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6943845B2 (en) * 2000-12-15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JP2005215375A (ja) * 2004-01-30 2005-08-11 Pioneer Plasma Display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50231637A1 (en) * 2004-04-16 2005-10-20 Eric Jeffrey Method for live image displa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019482B1 (ko) * 2004-09-1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060158557A1 (en) * 2005-01-20 2006-07-20 Shang-Chieh W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rocessing
TWI262725B (en) * 2005-06-30 2006-09-21 Cheertek Inc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digital audio and video display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presentation of subtitles and method thereof
TWI292893B (en) * 2005-10-05 2008-01-21 Myson Century Inc Method for prevention of distorted sub-picture display on flat panel display
KR101176501B1 (ko) * 2006-11-17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981847B (zh) * 2013-03-26 2017-07-04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电视接收机、以及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382A (ja) * 1984-02-28 1985-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受像機
IT1215099B (it) * 1986-09-02 1990-01-31 Seleco Spa Ricevitore televisivo perfezionato
JPH0419790A (ja) * 1990-05-15 1992-01-23 Seiko Epson Corp 画面合成する表示装置を有する情報装置
JPH0759004A (ja) * 1993-07-28 1995-03-03 Toshiba Corp 多画面表示装置
JPH0946611A (ja) * 1995-08-02 1997-02-14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3378710B2 (ja) * 1995-10-16 2003-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縮小画像の書き込み/読み出し方法及び縮小画像処理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613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방송 수신기의 부화면 제어 방법
KR20210062468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샵캐스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10656B1 (en) 2001-10-30
WO1999026413A1 (fr) 199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690B2 (en) Image display device for expanding and displaying part of an image
KR20000070273A (ko)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WO1997015141A1 (en) Television receiver
JPH102337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を利用したテキストデータ処理装置
JP2794661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5183833A (ja) 表示装置
KR100364739B1 (ko) 티브이의 부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JPH0432017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60007545B1 (ko) 주화면위치 보상회로 및 그 방법
KR100548664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텔레비전 수상기
JP4449996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S63146672A (ja) テレビジヨン受信装置
JP2001268460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チャネルの変更方法および相応する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822349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319168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35561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
JPH07162779A (ja) 多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31880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
KR10035186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KR960010464B1 (ko) 영상기기의 화면 확대장치
JP3019032U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テレビ
JPH095589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22072A (ja) 映像表示装置
JPH09219829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方法及び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H08331470A (ja) 多画面テレビ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