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77A -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77A
KR20000068577A KR1019997002240A KR19997002240A KR20000068577A KR 20000068577 A KR20000068577 A KR 20000068577A KR 1019997002240 A KR1019997002240 A KR 1019997002240A KR 19997002240 A KR19997002240 A KR 19997002240A KR 20000068577 A KR20000068577 A KR 2000006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information
fil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814B1 (ko
Inventor
마츠미치요코
주리다츠로
야마다마사즈미
이케타니아키라
구라노유키오
요시다준지
마츠모토노리유키
이이즈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536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685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9291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33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8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538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463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657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432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14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302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2670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는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커맨드신호 또는 조작신호에 따라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커맨드신호에 의해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고,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조작신호를 무효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 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FILE MANAGING METHOD, FILE INFORMAION GENERATING METHOD, FILE MANAGING METHOD,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MANAGEMENT INFORMATION ANALYZING DEVICE, AND MEDIUM}
현재 여러 종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이것에 접속되는 주변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제어하여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것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진전에 따라 이하의 1)∼6)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들의 종래 기술과 대응하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1) 관리기기와 이것에 접속된 종래의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3은 종래의 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3에서 401은 관리기기, 402는 전송로, 403은 기록 재생부, 404는 조작 패널, 415는 조작신호, 411은 데이터, 413은 응답, 412는 커맨드, 408은 기록 재생장치, 406은 IEEE1394 인터페이스(이하 I/F), 405는 프로세서, 414는 제어신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기기(401)와 기록 재생장치(408)는 전송로(40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관리기기 (401)및 기록 재생장치(408) 사이의 데이터(411) 및 커맨드(412)의 송수신에 있어서, 송신시에는 관리기기(401)로부터 I/F(406)를 통해 기록 재생부(403)에 기록하는 데이터(411), 프로세서(405)에 커맨드(412)를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기록 재생부(403)로부터 I/F(406)를 통해 관리기기(401)에 재생한 데이터(411), 마찬가지로 프로세서(405)로부터 관리기기(401)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커맨드(412)에 대한 응답(413)을 I/F(406)를 통해 관리기기(401)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패널(404)은 기록 재생부(403)의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신호(415)를 생성하고, 프로세서(405)는 기록 재생부(40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414)를 기록 재생부(403)에 출력하고, 기록 재생부(403)는 제어신호(414)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411)를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411)를 재생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관리기기(401)와 기록 재생장치(408) 사이의 데이터(411) 및 커맨드(412)의 송수신중에 있어서, 프로세서(405)는 조작 패널(40 4)이 생성하는 조작신호(415)를 수신한 경우, 조작신호(415)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403)를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에 불량이 발생하여 기록 재생장치(408)에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2)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은 기록한 개인이 파악하고 있을 뿐이고, 더구나 기록매체에 시일을 붙이거나 혹은 리스트를 카세트 케이스에 넣어 함께 보존하는 등의 수고가 요구된다. 또 실제로 재생하려면 기록매체가 테이프인 경우, 어디에 기록했는지는 빨리감기로 내용을 확인하면서 탐색할 필요가 있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3) 또한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PC라 함)의 하드 디스크(HDD라 함)와 같은 데이터 기록장치는, 예를 들면 MS-DOS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디스크의 물리적인 특징과 컴퓨터를 부트하는(기동하는) 루틴이 있는 부트 섹터와, 각 파일이 디스크의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클러스터 단위로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와, 파일이나 서브 디렉토리의 엔트리를 기록하는 루트 디렉토리와, 서브 디렉토리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파일영역이라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파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일에 관한 정보인 파일 엔트리는 파일명(8바이트), 확장자(3바이트), 파일속성(1바이트), 작성 또는 최종 갱신일시(4바이트), 선두 클러스터 번호로 표시되는 기록위치(2바이트), 파일 크기(4바이트) 등의 32바이트의 정보로 구성된다. 이 중 파일의 속성은 어떠한 성질을 가진 파일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각각의 비트가 파일/판독 전용/은폐 파일/시스템 파일/볼륨 레이블/서브 디렉토리/아카이브 파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확장자에 따라서도 어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대응된 파일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동작으로서는 PC가 HDD에 커맨드를 보내어 데이터의 판독 명령과, 바이트수를 지정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파일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기입 명령과 바이트수를 지정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파일의 데이터 기입을 행할 수 있다. 파일의 판독/기입은 파일을 단위로 하여 명령을 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바이트 길이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또한 명령을 발하는 타이밍을 관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파일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는 일정하지 않다. 그 레이트는 HDD 고유의 전송 레이트나 PC의 처리속도에도 의존하고, 또 PC의 처리속도는 PC가 그 밖의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받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데이터, 특히 영상 데이터나 음성데이터 등을 취급할 수는 없지만, 현재 컴퓨터가 취급하는 데이터에는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스템은 부적당하다.
또한 HDD가 아니라 테이프와 같은 순차적인 기록·재생을 행하는 미디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레이트와 기록 레이트의 차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리포지셔닝(repositioning), 즉 동작시키고는 중단하여 조금 되감기하고 또 다시 동작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방법을 행하거나 하지만, 이 동작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오히려 실질적인 전송 레이트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송 레이트와 기록 레이트의 차를 더미로 기록함으로써 리포지셔닝을 피하고자 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으로 기록하면 바이트 단위로 취급되는 데이터의 양이 변해버려 다른 기록매체 사이에서 데이터의 복사 또는 이동을 행할 때에 빈 영역의 확인 등을 행하고자 해도 할 수 없게 된다.
4) 또한 현재, 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축적하는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가정용 디지털 VCR「DV」(Digital Video)가 있다. 이 DV를 PC와 접속하여, 현존의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과 마찬가지로 PC용 기록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기존의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파일형식으로 취급하는 경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에서는 FAT(File Allocation Table), 또 CD-ROM에서는 CDFS 등 개개의 기록 매체 특유의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파일 시스템이라 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DV용 파일 시스템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DV에 FAT, CDFS 등 기존의 파일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FAT, CDFS는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매체용 파일 시스템이고, DV 등 자기 테이프와 같이 순차 액세스가 기본인 매체로 상기 기존 파일 시스템을 채용하면 액세스에 시간이 걸리는 등 부적합함이 생긴다.
5) 또한 영상, 음성정보의 대표적인 압축형식의 하나가 MPEG2 부호화 방식이고, 이것을 전송하기 위해 MPEG2-TS(Transport Stream) 규격이 있고, MPEG2 부호화된 음성, 영상정보를 고정 길이의 전송 패킷이라고 불리우는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MPEG2-TS 규격에서는 패킷의 도착 타이밍에 대하여 지터(jitter)가 ±30ppm 이내라는 엄밀함이 요구되고 있고, 송신된 데이터를 기록 재생장치에서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 재생장치에서 재생한 데이터를 다시 송신하여 디코더로 수신하여 화상을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수신시의 패킷 출력 타이밍의 복원이 문제이다.
전송 패킷을 IEEE1394로서 규격화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전송로로서 전송할 때에는 IEC61883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신측의 기기로, 전송 패킷마다 IEEE1394 전송로의 클록인 24.576MHz의 카운트값을 보유하는 CTR(Cycle Time Register)을 이용하여 4 바이트의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생성한다. 전송 타임 스탬프는 MPEG-TS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수신수단으로부터 장치 내부에 출력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것이므로 신호원의 송신수단의 버퍼에 의한 지연이나 전송로의 지연, 수신하는 장치의 수신수단의 버퍼에 의한 지연 등의 오프셋값을 계산하여 생성한다. 188바이트의 각 전송 패킷에 전송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고, 소스 패킷을 형성하고, 또 IEEE1394 전송로 중의 전송 대역에 따라 패킷을 분할/연결하여 실시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기(Isochronous) 통신에 의해 전송한다.
기록 재생장치는 재생시에 기록시의 각 패킷의 송신시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록 타임 스탬프라 불리우는 타이밍 정보를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 27MHz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전송 패킷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과 송신원의 동작 클록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면 장시간 기록하고 있는 중에 어긋남이 누적되어 데이터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생겨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을 송신원의 동작 클록에 추종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전송 패킷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값으로부터 PLL (Phase Locked Loop) 회로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을 생성한다.
재생시에는 기록 재생장치는 전송 패킷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각 전송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기록 타임 스탬프와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기록시와 동일한 패킷의 시간 간격을 복원하고, 다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생성, 부가하여 IEEE1394 전송로에 출력 송신한다.
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은 MPEG 디코더로 수신되어 전송 패킷이 재구성된다. 이 때에도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과 MPEG 디코더의 동작 클록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면 장시간 재생하고 있는 중에 데이터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생겨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되므로, 디코더의 동작 클록을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에 추종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각 전송 패킷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값으로부터 PLL(Phase Locked Loop)회로를 이용하여 MPEG 디코더의 동작 클록을 생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전송 타임 스탬프 검출에 의한 출력 타이밍의 복원, 전송 패킷 헤더의 해석과 PCR에 의한 27MHz 클록 복원, 기록 타임 스탬프 생성, 부가가 필요하고, 전송, 기록 재생을 위해 장치규모가 커진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MPEG의 헤더 해석은 간이적인 디코드가 필요하고, 장치규모가 커진다. 이것은 MPEG의 디코드 수단을 본체 내에 갖지 않고, 외부의 디코더가 복호를 행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코드 수단을 갖지 않는 것에 의한 장치 규모의 삭감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손상시키는 것이 되기도 한다.
6) 또한 PC의 성능향상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와 같이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데이터를 PC에서 취급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그것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IEEE1394가 있다. IEEE1394의 전송모드의 하나인,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는 동기(Isochronous) 전송을 이용하는 것으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가정용 디지털 VCR「DV」(Digital Video)에도 IEEE1394가 탑재되어 있고, IEEE1394를 탑재한 PC와 접속하는 것으로, PC와 DV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PC로부터 DV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종래부터 PC의 기록매체로서 하드 디스크가 있지만, 2개의 하드 디스크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행된다.
프로세서는 SCSI I/F 회로에 판독 커맨드를 송신하고, SCSI I/F 회로는 판독 커맨드를 수신하면 한쪽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소정 크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기입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는 SCSI I/F 회로에 기입 커맨드를 송신하고, SCSI I/F 회로는 기입 커맨드를 수신하면 메모리에 기입되어 있던 데이터를 전부 혹은 필요한 데이터만을 인출하여 다른쪽 하드 디스크에 기입한다. 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상기의 동작을 필요한 만큼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하드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 프로세서로부터의 판독 커맨드를 하나 발행할 때마다 어떤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밖에 판독할 수 없고, 그 이상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판독 커맨드를 발행할 필요가 있다. 하드 디스크로부터의 판독이 종료된 후, 하드 디스크를 기입하고, 계속해서 하드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기입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하드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에는 대기 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SCSI I/F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한 SCSI의 하드 디스크에서는 문제없게 동작하지만, 한쪽의 하드 디스크 대신에 DV를, SCSI I/F 대신에 IEEE1394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경우에는 소정 크기의 데이터 패킷이 거의 정기적으로 송수신되기 때문에 대기기간 중에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여러 가지의 기술은 각각 상기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의 스트림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디지털의 영상, 음성의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도시한 일례도이다.
도 7은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생성/관리되는 개별 파일정보/전체 파일정보의 일례도이다.
도 8은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7 실시예의 파일관리기(111 혹은 112)의 구성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도 10의 (a)는 제 8 실시예의 파일관리기(111 혹은 11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도시된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은 제 9 실시예의 파일관리기(11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12의 (a)∼(c)는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의 (a)∼(c)는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의 (a)∼(c)는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 10 실시예의 데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 10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10 실시예의 생성/관리되는 파일정보/매체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11 실시예의 데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 12의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 12 실시예의 관리정보 생성장치에서 생성되는 각 엔트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루트 디렉토리, 디렉토리, 파일의 계층구조도이다.
도 22는 엔트리로 구성하는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루트 디렉토리, 디렉토리, 파일의 계층구조도이다.
도 24는 엔트리로 구성하는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 13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제 12 및 제 13 실시예의 장치에 의해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제 13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제 14 실시예의 기억 재생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신호원 외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소스 패킷의 모식도이다.
도 30은 제 15 실시예의 기억 재생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1은 제 16 실시예의 기억 재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배치도이다.
도 32는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산기의 블록도이다.
도 33은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261)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모리(252)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의 타임 챠트이다.
도 36은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산기의 블록도이다.
도 37은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하는 데이터의 일례도이다.
도 38은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의 타임 챠트이다.
도 39는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산기의 블록도이다.
도 40은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모리(312)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41은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의 타임 챠트이다.
도 42의 (a)∼(c)는 프로그램에 의한 실현의 설명도이다.
도 43은 종래의 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여, 관리기기 및 기록 재생장치 사이의 송수신중에 있어서, 관리기기가 기록 재생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에 조작 패널이 생성하는 조작신호가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송수신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본 발명은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제 1 커맨드인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제 2 커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고,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2의 본 발명은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고, 또한 상기 전송로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는 전송로 리세트신호를 생성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혹은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송로 리세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3의 본 발명은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고, 또 메이커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메이커 정보와 그 자체에 저장된 특정 메이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특정 메이커 정보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특정 메이커 정보 수신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4의 본 발명은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과,
2값신호를 출력하는 2값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2값신호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만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기기 및 기록 재생장치 사이의 데이터 및 커맨드의 송수신 중에 조작 패널이 생성하는 조작신호가 프로세서에 송신되었다고 해도, 프로세서는 전환신호 생성부가 생성하는 전환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를 제어하기 때문에 기록 재생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종래에 비해 한층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하고 싶은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파일 생성방법, 파일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5의 본 발명은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에 관한 및/또는 그 데이터의 기록일시에 관한 기록정보를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기록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분할 위치에 의해 구별된 데이터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이다.
제 6의 본 발명은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에 관한 및/또는 그 데이터의 기록일시에 관한 기록정보를 상기 기록대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기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분할 위치에 의해 구별되는 데이터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이다.
제 7의 본 발명은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며,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8의 본 발명은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 뒤의 복수개 영역에 반복 기록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소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9의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영역을 기록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와는 다른 영역으로서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기록하고,
상기 파일정보의 기록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10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실질상 선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해 가서, 상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데이터와 상기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이다.
제 5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종래에 비해 한층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이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 재생하고자 했을 때에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록된 데이터의 더빙이나 편집, 삭제, 분할 등의 처리도 파일을 단위로서 지시함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일정보로서 화면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확인하기 쉽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상기의 효과가 있어 그 실용적 효과는 크다.
3)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파일관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파일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1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의 파일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실시간성 식별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12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13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가 가변인 경우에는 그 중의 최대의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최대 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14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파일 크기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이다.
제 15의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제어 명령을 보내고,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의 파일에 관해서는 파일의 관리정보인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어장치이다.
제 16의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외부와 제어 명령의 송신 혹은 수신을 행하고,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파일의 관리정보인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10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레이트가 가변 레이트인 데이터에 대해서도 전송 레이트와 기록 레이트의 차를 고려하여 취급할 수 있게 된다. 파일로서 취급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단순한 수치나 텍스트 데이터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가 많아지고 있다는 현재의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용적 효과는 크다.
4)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DV에 컴퓨터의 데이터를 파일형식으로 기록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DV의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정보를 작성하여, 테이프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와 관리정보 해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7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최소 구성단위는 파일이고, 상기 데이터의 최대 구성단위는 볼륨이며,
상기 볼륨은 제 1 계층이고, 제 2 계층은 루트 디렉토리이고, 제 3 계층 이후 제 M(M≥3) 계층은 파일 혹은 디렉토리로 하는 복수 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정보는 엔트리를 단위로 하는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각 엔트리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엔트리 ID를 갖고,
상기 볼륨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디렉토리마다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파일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파일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볼륨 엔트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상기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갖고,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 또는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엔트리 ID로서 갖고,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다음 엔트리 ID로서 갖고,
상기 다음 엔트리 ID 및 콘텐츠 엔트리 ID에 의해 상기 볼륨의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1회 지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이다.
제 18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최소 구성단위는 파일이고,
상기 데이터의 최대 구성단위는 볼륨이며,
상기 볼륨은 제 1 계층이고, 제 2 계층은 루트 디렉토리이며, 제 3 계층이후 제 M(M≥3) 계층은 파일 혹은 디렉토리로 하는 복수 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정보는 엔트리를 단위로 하는 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각 엔트리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엔트리 ID를 갖고,
상기 볼륨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디렉토리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파일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파일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볼륨 엔트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상기 엔트리 ID 에 관한 정보를 갖고,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 또는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엔트리 ID로서 갖고,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다음 엔트리 ID로 갖고,
상기 다음 엔트리 ID 및 콘텐츠 엔트리 ID에 의해 상기 볼륨의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1회 지정되도록 생성된 관리정보로부터,
볼륨, 디렉토리,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가 해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이다.
제 12 실시예, 제 13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등 자기 디스크 매체와 마찬가지로 DV 등 자기 테이프 매체에 있어서도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다. 또 파일형식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작성하는 것 및 작성한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여, MPEG2 데이터 기록에 있어서, 부가회로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재생시의 패킷 출력 타이밍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 또 특히 기존의 디지털 VCR 「DV」(Digital Video)의 포맷을 살려,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19의 본 발명은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패킷이 상기 전송로 중을 전송될 때 상기 각 패킷이 신호원으로부터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송신수단으로 출력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각 패킷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부가되는 정보인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상기 각 패킷에 부가한 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20의 본 발명은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종류에 따라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패킷에 대하여 전송 타임 스탬프를 부가한 채로 기록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고,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아울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21의 본 발명은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상기 각 패킷에 부가한 채로 기록하고, 재생시에 상기 각 패킷에 부가된 전송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제 14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PEG2 데이터의 기록에 있어서, 부가회로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재생시의 패킷 출력 타이밍의 복원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히 기존의 디지털 VCR의 포맷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6)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PC에서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데이터의 누락없이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방법 및 PC에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하는 스트림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 22의 본 발명은 실질상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수신 커맨드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기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기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 방법이다.
제 23의 본 발명은 출력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의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상기 제어 커맨드로서 상기 출력개시 커맨드를 송신한 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수신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기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기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며,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입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기입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상기 제어 커맨드로서 데이터 재송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전회 기입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서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의 기입방법이다.
제 24의 본 발명은 실질상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입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스트림 데이터 판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판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판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송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입력부에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로부터의 스트림 데이터 판독방법이다.
제 17 실시예 내지 제 19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 프로세서가 수신 커맨드 및 기입 커맨드를 발행하면 IEEE1394 인터페이스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병렬로 동작시킴으로써, 수신한 데이터의 모두 혹은 수신한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하드 디스크에 기입할 수 있다.
또한 한번 프로세서가 수신 커맨드 및 기입 커맨드를 발행하면 IEEE1394 인터페이스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의 처리가 병렬로 동작하고, 또한 데이터 누락이 발생한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DV에 재송 커맨드를 송신하고, 같은 데이터를 복수회 수신하고, 누락된 데이터를 보충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모두 기입할 수 있다.
또 한번 프로세서가 송신 커맨드 및 판독 커맨드를 발행하면 IEEE1394 인터페이스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되므로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DV에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1에서 1은 관리기기, 2는 전송로, 3은 기록 재생부, 4는 조작 패널, 5는 조작신호, 6은 데이터, 7은 응답, 8은 커맨드, 11은 기록 재생장치, 12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이하 I/F), 13은 프로세서, 14는 전환신호 생성부, 15는 조작신호 유효 커맨드 또는 조작신호 무효 커맨드, 16은 전환신호, 17은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1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에 있어서, 송신시에는 관리기기(1)로부터 I/F(12)를 통해 기록 재생부(3)에 기록 데이터(6), 프로세서(13) 및 전환신호 생성부(14)에 커맨드(8)를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기록 재생부(3)로부터 I/F(1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재생 데이터(6),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3)로부터 관리기기(1)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커맨드(8)에 대한 응답(7)을 I/F(1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패널(4)은 기록 재생부(3)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5)를 생성한다.
전환신호 생성부(14)는 조작신호(5)를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전환신호(16)를 생성하고, 프로세서(13)는 전환신호(16)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17)를 기록 재생부(3)로 출력하며, 기록 재생부(3)는 제어신호(17)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6)를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6)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환신호 생성부(14)는 관리기기(1)로부터 I/F(12)를 통해 수신한 커맨드(8) 중에 조작신호 무효 커맨드(15)가 있는 경우에는 그 이후의 조작 패널(4)에서 생성되는 조작신호(5)를 무효로 하는 조작패널 무효신호를 전환신호(16)로서 프로세서(13)에 출력하고, 그 이후의 커맨드(8)를 우선시켜, 모든 커맨드(8)가 완전히 종료된 후, 조작신호 유효 커맨드(15)가 출력되고, 그 이후의 조작 패널(4)에서 생성되는 조작신호(5)를 유효로 하는 조작패널 유효신호를 전환신호(16)로서 프로세서(13)에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는 전환신호(16)에 기초하여 조작신호(5)를 유효 또는 무효로 하고, 유효인 경우는 조작신호(5)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고, 무효인 경우는 관리기기(1)로부터 I/F(12)를 통해 수신하는 커맨드(8) 중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특정한 커맨드(8)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한다.
이상으로부터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1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 중에 조작 패널(4)이 생성하는 조작신호(5)가 프로세서(13)에 송신되었다고 해도, 프로세서(13)는 전환신호 생성부(14)가 생성하는 전환신호(16)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기 위해 기록 재생장치(1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기기(1)는 편집기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고, 상기의 IEEE1394 I/F(12)는 그 밖의 인터페이스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 재생기기는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 패널 이외에도 동등한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하지만, 조작 패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함으로써 관리기기와 기록 재생장치에서 데이터/커맨드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공급되어 기록 재생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2에서 21은 기록 재생장치, 22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이하 I/F), 23은 프로세서, 24는 전환신호 생성부, 25는 전송로 리세트신호, 26은 전환신호, 27은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또 도 2에서 도 1의 기록 재생장치와 동일 부분은 같은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2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에 있어서, 송신시에는 관리기기(1)로부터 I/F(22)를 통해 기록 재생부(3)에 기록 데이터(6), 프로세서(23)에 커맨드(8)를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기록 재생부(3)로부터 I/F(2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재생 데이터(6), 마찬가지로 프로세서(23)로부터 관리기기(1)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커맨드(8)에 대한 응답(7)을 I/F(2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패널(4)은 기록 재생부(3)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5)를 생성하고, 전환신호 생성부(24)는 조작신호(5)를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전환신호(26)를 생성하며, 프로세서(23)는 전환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27)를 기록 재생부(3)로 출력하고, 기록 재생부(3)는 제어신호(27)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6)를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6)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환신호 생성부(24)는 전송로(2)의 접속이 끊어졌을 때에 I/F(22)로부터 발생하는 전송로 리세트신호(25)를 I/F(22)로부터 수신한 경우는 조작 패널(4)에서 생성되는 조작신호(5)를 유효로 하는 조작 패널 유효신호를 전환신호(26)로서 프로세서(23)에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3)는 전환신호(26)에 기초하여 조작신호(5)를 유효로 하고, 조작신호(5)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한다.
이상으로부터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2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 중에 조작 패널(4)이 생성하는 조작신호(5)가 프로세서(23)에 송신되었다고 해도, 프로세서(23)는 전환신호 생성부(24)가 생성하는 전환신호(26)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기 위해 기록 재생장치(2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송로가 리세트되었을 때에는 관리기기로부터의 제어를 할 수 없게 되지만, 그 리세트와 연동하여 기록 재생장치의 제어가 기록 재생장치의 조작 패널로 가능하게 되므로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기기(1)는 편집기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고, 상기 IEEE 1394 I/F(22)는 그 밖의 인터페이스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 재생기기는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 패널 이외에도 동등한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하지만, 조작 패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거나, 전송로 리세트신호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유효를 전환함으로써 관리기기와 기록 재생장치에서 데이터/커맨드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공급되어 기록 재생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제 3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에서 31은 기록 재생장치, 32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이하 I/F), 33은 프로세서, 34는 전환신호 생성부, 35는 비교부, 36은 메이커정보, 37은 특정 메이커정보 수신신호, 38은 전환신호, 39는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또 도 3에서 도 1의 기록 재생장치와 동일부분은 같은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3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에 있어서, 송신시에는 관리기기(1)로부터 I/F(32)를 통해 기록 재생부(3)에 기록 데이터(6), 프로세서(33)에 커맨드(8)를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기록 재생부(3)로부터 I/F(3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재생 데이터(6), 마찬가지로 프로세서(33)로부터 관리기기(1)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커맨드(8)에 대한 응답(7)을 I/F(3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패널(4)은 기록 재생부(3)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5)를 생성하고, 전환신호 생성부(34)는 조작신호(5)를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전환신호(38)를 생성하고, 프로세서(33)는 전환신호(38)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39)를 기록 재생부(3)로 출력하고, 기록 재생부(3)는 제어신호(39)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6)를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6)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I/F(32)는 관리기기(1)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6) 및 커맨드(8) 중 메이커정보(36)를 메모리(35)에 송신한다. 그리고 비교부(35)는 그 메이커정보(36)와 자체에 기억하고 있는 특정 메이커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특정 메이커정보 수신신호(37)를 온(ON)으로 하여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오프(OFF)로 하여 출력한다. 전환신호 생성부(34)는 비교부(35)로부터 특정 메이커정보 수신신호(37)를 온으로 하여 수신한 경우에는 조작 패널(4)에서 생성되는 조작신호(5)를 무효로 하는 조작 패널 무효신호를 전환신호(38)로서 프로세서(33)에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3)는 전환신호(38)에 기초하여 조작신호(5)를 무효로 하고, 관리기기(1)로부터 I/F(32)를 통해 수신하는 커맨드(8) 중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특정의 커맨드(8)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한다.
이상으로부터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3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 중에 조작 패널(4)이 생성하는 조작신호(5)가 프로세서(33)에 송신되었다고 해도, 프로세서(33)는 전환신호 생성부(34)가 생성하는 전환신호(38)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기 위해 기록 재생장치(31)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관리기기로부터 보내지는 커맨드로의 대응이 다르더라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기기(1)는 편집기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고, 상기 IEEE1394 I/F(32)는 그 밖의 인터페이스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 재생기기는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 패널 이외에도 동등한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하지만, 조작 패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함으로써 관리기기와 기록 재생장치에서 데이터/커맨드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에,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공급되어 기록 재생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4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4에서 41은 기록 재생장치, 42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이하 I/F), 43은 프로세서, 44는 전환신호생성부, 45는 2값 스위치, 46은 2값신호, 47은 전환신호, 48은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또 도 4에서 도 1의 기록 재생장치와 동일부분은 같은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4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에 있어서, 송신시에는 관리기기(1)로부터 I/F(42)를 통해 기록 재생부(3)에 기록 데이터(6), 프로세서(43)에 커맨드(8)를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기록 재생부(3)로부터 I/F(42)를 통해관리기기(1)에 재생 데이터(6), 마찬가지로 프로세서(43)로부터 관리기기(1)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커맨드(8)에 대한 응답(7)을 I/F(42)를 통해 관리기기(1)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패널(4)은 기록 재생부(3)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5)를 생성하고, 전환신호 생성부(44)는 조작신호(5)를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전환신호(47)를 생성하고, 프로세서(43)는 전환신호(47)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48)를 기록 재생부(3)로 출력하고, 기록 재생부(3)는 제어신호(48)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6)를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6)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2값 스위치(45)는 외부로부터 온과 오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이다. 전환신호 생성부(44)는 2값 스위치(45)로부터 수신한 2값신호(46)가 온이라면 조작 패널(4)에서 생성되는 조작신호(5)를 무효로 하는 조작 패널 무효신호를 전환신호(47)로서 프로세서(43)에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43)는 전환신호(47)에 기초하여 조작신호(5)를 무효로 하고, 관리기기(1)로부터 I/F (42)를 통해 수신하는 커맨드(8) 중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는 특정의 커맨드(8)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한다.
이상으로부터 관리기기(1) 및 기록 재생장치(41) 사이의 데이터(6) 및 커맨드(8)의 송수신 중에 조작 패널(4)이 생성하는 조작신호(5)가 프로세서(43)에 송신되었다고 해도 프로세서(43)는 전환신호 생성부(44)가 생성하는 전환신호(47)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부(3)를 제어하기 위해 기록 재생장치(41)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관리기기(1)는 편집기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고, 상기 IEEE 1394 I/F(42)는 그 밖의 인터페이스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 재생기기는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 패널 이외에도 동등한 기능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하지만, 조작 패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무효로 함으로써 관리기기와 기록 재생장치로 데이터/커맨드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공급되어 기록 재생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환되는 조작 패널의 유효/무효의 설정은 조작 패널의 기능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재생, 되감기 등은 스위치가 온인 경우는 조작 패널로부터 조작되어도 상관없지만, 기록매체의 인출 기능은 관리기기로부터 일단 지시가 있으면 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조작 패널로부터 조작할 수 없도록 하면 데이터 전송 중에 억지로 기록매체를 인출하는 등의 치명적인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 제 5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제 5 실시예인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은 영상신호 변환기, 102는 음성신호 변환기, 103은 보조정보 처리기, 104는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 105는 기록/재생신호 처리기, 106은 제어기, 107은 제 1 선택기, 108은 제 2 선택기, 109는 헤드, 110은 기록매체, 111은 파일 관리기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 관리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영상신호 변환기(101)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고, 동시에 음성신호 변환기(102)에서 입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변환을 행한다. 제어기(106)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보조정보 처리기(103)는 소정의 보조정보를 생성하고, 제 2 선택기(108)를 A측에 접속하고, 또 제 1 선택기(107)에서 전환하면서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에서 입력되는 변환된 영상신호·음성신호·보조정보를 기록신호로 포맷화하고, 헤드(109)에 의해 기록매체(110)에 기록한다. 또한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에 영상신호 변환기(101)에서 행해지는 소정의 변환을 행한 것과 같은 형식의 영상신호, 음성신호 변환기(102)에서 행해지는 소정의 변환을 행한 것과 같은 형식의 음성신호 및 보조정보를 입력하고, 제 2 선택기(108)를 A측에 접속하고,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에서 입력되는 변환된 영상신호·음성신호·보조정보를 기록신호에 포맷화하고, 헤드(109)에 의해 기록매체(110)에 기록한다. 제어기(106)에는 기록/재생/탐색/정지라는 지시가 입력되고, 또한 영상신호, 음성신호의 처리의 설정, 보조정보 생성의 지시 등 외에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파일 정보생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처음에 상기 제어기(106)나 헤드(109) 등에 의해 이미 기록매체(11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음성신호 및 보조정보에 대하여 이미 파일정보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기록되어 있으면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은 한 파일정보의 생성·갱신은 필요없기 때문이다. 또 파일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으면 파일관리기(111)가 그 파일정보의 재생을 제어기(106)에 대하여 지시한다. 파일정보의 재생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즉 본 장치의 전원을 온하여 기록매체(110)로서의 비디오 테이프를 본 장치에 세트함으로써 제어기(106)로부터 파일정보 검색지령이 나온다. 이에 따라 파일 관리기(111)는 기록매체(110)의 기록 데이터를 조사하여, 파일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후술하는 파일정보 전용 기록개시 플래그(115)(도 6 참조)를 서치함으로써 상기 판정을 행한다. 그 결과 파일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실행지시가 나와 다음 동작으로 진행된다.
즉 재생 실행지시가 나와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에서는 기록매체(110)로부터 헤드(109)에서 재생한 신호를 처리하고, 제 2 선택기(108)와 제 1 선택기 (107)를 통해서 영상신호 변환기(101), 음성신호 변환기(102), 보조정보 처리기 (103)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영상신호 변환기(101), 음성신호 변환기(102), 보조정보 처리기(103)에서는 각각 영상신호, 음성신호, 보조정보를 역변환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 출력한다. 이 때 제 2 선택기(108)는 입력되는 신호를 영상신호 변환기(101), 음성신호 변환기(102), 보조정보 처리기(103)에 출력하는 동시에, 모두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에도 출력하고,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는 제 2 선택기(108)로부터 외부에 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파일관리기(111)에도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에도, 상술한 출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입력한다. 파일 관리기(111)에서는 상기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분할해가고, 분할된 신호의 각각 개별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파일로 한다. 또한 파일 관리기(111)에서는 이 기록매체 전체에 관련된 전체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이들 개별 파일정보와 정리하여 파일정보로서 제 2 선택기(108)를 B측으로 전환하고,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에서 기록신호로 포맷화하여 기록매체(110)에 기록한다. 또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신호를 분할하는 방식의 상세한 설명은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 7 및 제 8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는 각종 신호 뿐만아니라 데이터 기록장치에 주어지는 지시를 보낼 수도 있다.
기록매체로부터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파일정보를 기록한 기록매체의 상태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또한 파일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점에 파일정보 전용의 기록개시 플래그(115)를 동시에 기록한다. 이 기록개시 플래그(115)는 고속 탐색시에도 재생할 수 있는 대략의 정보이거나 통상 재생시에만 재생할 수 있는 1점을 나타내는 정보라도 되고, 이 모두라도 된다.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마다 기록일시를 나타내는 타임코드를 부여하면서 기록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는 도 6에서는 분단위로 되어 있고, 초단위라도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프레임/필드단위이다.
생성된 개별 파일정보/전체 파일정보의 일례를 도 7에 든다. 카세트 ID, 카세트 레이블은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설정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파일정보 기록위치는 이 파일정보의 기록을 시작한 위치이고, 여기에서는 타임코드로 나타내었으나, 기록매체의 처음부터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차는 있을 수 있음)도 부가하여 기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번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파일수는 개별 파일정보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예를 들면 파일정보 전체의 크기가 판명되어 있으면 파일관리기(111)에서 파일을 카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추가기록만 하는 경우에는 소거동작으로서 실제로 데이터는 기록매체 상에 존재하지만, 개별 파일정보에 참조불가를 나타내는 마크를 붙이는 등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때에는 기록 파일수의 항목으로서는 외부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파일수와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 수의 어느 쪽이든지 혹은 양쪽 정보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테이프길이는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설정해 두면 나중에 외부로부터 파일을 기록하려고 했을 때에 그 크기를 조사하여 기록 용량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파일 관리기(111)가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로그정보도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어떠한 처리를 행하였는지/어떠한 트러블이 발생했는지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다.
각 파일에는 명칭, 파일 크기, 기록개시위치가 필요하다. 파일관리기(111)는 타임코드를 바탕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날짜를 디렉토리명, 시간을 파일명으로 한 예이지만 적당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기록개시위치로서 이 파일의 헤드를 간단히 위치시킬 수 있는 정보를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는 타임코드로 하였지만, 기록매체의 처음부터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 혹은 처음부터 몇번째의 기록개시 플래그의 위치라는 등의 지정도 가능하다.
파일 크기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시간정보로 나타내었지만 바이트수이든지 트랙수이든지 상관은 없다.
기록 데이터 종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단일하다면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의 형식이 복수이면 그 식별이 되지 않고서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렇게 파일정보가 기록된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한 재생하려고 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파일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파일 관리기(111)에 의해 조사된다. 그리고 이 경우 파일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으므로 파일 정보가 최초에 재생되어 소정의 표시화면 등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그것을 봄으로써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록된 데이터의 더빙이나 편집, 삭제, 분할 등의 처리도 파일을 단위로 하여 지시함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혹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다른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면서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록하면서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기록 종료 후에 파일정보를 계속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 제 6 실시예 )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영상신호 변환기(101), 음성신호 변환기(102), 보조정보 처리기 (103), 변환 데이터 입출력기(104),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 제어기(106), 제 1 선택기(107), 제 2 선택기(108), 헤드(109), 기록매체(110)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이고, 112는 파일 관리기, 113은 보조 기록매체로 하고, 보조 기록매체(113)는 기록매체(110)를 수용하는 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고, 동시에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즉 기록이나 재생이라는 동작은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파일정보를 기록매체(110)에 기록할 때에는 그 기록위치가 간단히 판명되도록 데이터의 기록 종료위치 혹은 파일정보의 기록개시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조 기록매체(113)에 기록한다. 보조 기록매체(113)에 파일정보의 일부를 기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 기록매체(113)에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 재생하려고 했을 때에 기록매체(테이프)(110) 상의 파일정보를 간단히 탐색할 수 있으므로(또는 탐색할 필요가 없어짐), 카세트의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이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혹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다른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면서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재생 후에 기록하는 것, 기록하면서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기록의 종료 후에 파일정보를 계속 기록하는 것의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 제 7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도 9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파일 관리기(111)(도 5 참조) 혹은 파일 관리기(112)(도 8 참조)의 구성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신호를 분할하는 방식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 121은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 122는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 파일정보 선택기(123), 기록개시 플래그 검출기(124)이다.
우선 기록개시 플래그 검출기(124)는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록개시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기록개시 플래그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 상태라면 기록된 데이터를 분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에 출력한다.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소정의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파일수 정보를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121)에 출력한다.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121)에서는 파일수 정보를 비롯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현상태에서 마지막 데이터를 검출하여 파일정보의 기록개시위치를 정한다. 파일정보 선택기(123)는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상태로 데이터 기록장치가 제어되어 있을 때 전체 파일정보와 개별 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에서는 적당한 화면을 선택하여 파일정보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당한 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선두 화면이나, 재생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지정된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처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일정보로서 화면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확인하기 쉽게 된다.
( 제 8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도 10의 (a), (b)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는 본 실시예인 파일관리기(111 혹은 11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신호를 분할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에서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121),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 파일정보 선택기(123)는 제 7 실시예와 같은 것이고, 125는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이다. 도 10의 (b)는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125)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126은 타임코드 추출기, 127은 이전값 보유기, 128은 비교기이다.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121),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 파일정보 선택기 (123)는 제 3 실시예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125)는 우선 타임코드 추출기(12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타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1단위 시간전의 값을 전치 보유기(127)로 옮긴다. 1단위 시간전의 값과 현재 입력된 값을 비교기(128)에서 비교하고, 타임코드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지 않았을 때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가 있게 되어, 제 7 실시예와 같이 여러 가지의 처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7 실시예와 제 8 실시예를 조합시켜 검출을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일 관리기(111, 112)를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 도입함으로써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그것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 기록하는 경우, 이 파일정보에는 무효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모처럼 기록한 파일정보의 일부를 덧쓰기 및 소거하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고려한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 제 9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9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인 파일 관리기(11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이 파일 관리기(112)는 도 8에서 설명한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서 전체 파일정보 생성기(121), 개별 파일정보 생성기(122), 파일정보 선택기(123)는 제 7 실시예와 같은 것이고, 129의 기록개시 정보 검출기는 제 7 혹은 제 8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블록이다. 130은 보조 기록매체용 정보생성기이다.
보조 기록매체용 정보생성기(130)는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준비되어 있는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나 파일정보를 기록한 영역을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 1 기록수단은 기록/재생신호 처리기(105), 헤드(109) 등을 포함하는 수단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기록수단은 보조 기록매체용 정보생성기(130)에 포함되는 수단이다.
보조정보로서 준비되어 있는 정보 중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챕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우선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파일정보 A를 기록한 상태이고,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는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록한 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종래의 기기에 의해 추가기록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정보 A를 인식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로부터 데이터가 기록되어, 파일정보 A가 깨끗히 소거되고 이미 기록되어 있는 파일화된 데이터가 파일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와 추가 기록된 데이터를 합친 파일정보 B를 기록하면, 정규의 상황으로 부활한다. 이 경우 다시 파일화하여 파일정보를 다시 만들 필요는 있지만 트러블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3의 (a)는 우선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파일정보 A를 기록한 상태이다. 파일정보 A는 같은 것이 2회 기록되어 있고,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는 1회째의 파일정보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기록된 것이다. 즉 여기에서는 파일정보 A가 인접하는 2개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고, 예를 들면 그 2개의 영역 사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테이프(110)의 소정의 장소 혹은 보조 기록매체(113)에 기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록한 후 파일정보에 대응하지 않은 종래의 기기에서 추가 기록하면 도 13의 (b)와 같이 2회째에 기록된 파일정보 A를 인식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로부터 데이터가 기록되고, 2회째에 기록된 파일정보 A는 깨끗이 소거되어 있다. 이것은 파일정보 A가 2개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으로부터 이상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파일화된 데이터에 관한 파일정보 A 그 자체는 남아 있으므로 이 이후에서 파일을 문제없이 재구축할 수 있다는 상태이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와 추가 기록한 데이터를 합친 파일정보 B를 기록하면 정규 상황으로 부활한다.
도 14의 (a)는 우선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파일정보 A를 기록한 상태이다. 데이터와 파일정보 A를 다른 챕터로서 기록하고,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는 파일정보 A의 기록위치가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정하여 기록한 것이다. 또한 보조정보로서 각각의 챕터가 기록한 위치에 관한 정보도 기록한다. 각 챕터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보조정보로서 기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기록한 후 파일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종래의 기기에서 추가 기록하면 도 14의 (b)와 같이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기록 최종위치와 최종 챕터의 종료위치가 맞지 않는 상태가 되거나 혹은 최종 챕터가 파일정보가 아니라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상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파일화된 데이터에 관한 파일정보 A 그 자체는 남아 있으므로 이후에 파일을 문제없이 재구축할 수 있다는 상태이다.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기록된 데이터와 추가 기록한 데이터를 합친 파일정보 B를 기록하여, 보조정보인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나 챕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면 정규의 상황으로 부활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또 전체 파일정보, 개별 파일정보의 항목은 일례이고, 그 밖의 정보를 이용한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파일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의 뒤의 복수 영역에 반복하여 기록하는 경우로서, 같은 파일정보를 2개소에 기록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소 이상 기록해도 됨은 물론이다. 또 이 경우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기록개시 위치정보는 이들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면 된다.
( 제 10 실시예 )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데이터 제어장치(151)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152는 파일 관리부, 153은 커맨드/상태 처리기, 154는 파일 데이터 처리기, 155는 데이터 제어장치의 입출력부, 127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입출력부, 158은 제어기, 159는 데이터 처리기, 160은 기록매체이다.
우선 데이터 제어장치(151)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에 데이터의 기록, 재생, 상태 문의, 그 밖의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송신된 상태를 수신하고, 또한 기록하는 데이터의 송신, 재생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파일 관리부(152)는 기록매체(160)에 관한 정보인 매체정보와 기록매체(160)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각각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160)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을 관리하는 것이다.
커맨드/상태 처리기(153)는 파일 관리부(152)로부터의 파일의 판독/기입 그 밖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에 송신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신한 상태를 처리한다.
파일 데이터 처리기(154)는 실제의 파일 데이터를 취급한다.
입출력부(155)는 커맨드/상태의 송수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데이터 제어장치(151) 내에서의 형식과,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와 연결되는 전송로 상에서의 형식을 변환한다.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는 데이터 제어장치(151)로부터 송신된 커맨드에 따라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 재생한 데이터의 송신, 상태의 통지 등을 행한다. 실제로는 입출력부(127)가 송수신을 행하고, 송신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의 기록/재생 등을 지시한다. 또한 상태가 요구된 경우에는 이 정보를 얻기 위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기(158)는 입출력부(12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기록매체(160)로의 기록 또는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하기 위한 기구의 동작제어를 행한다. 데이터 처리기(159)는 기록동작을 지시받았을 때에는 입출력부(127)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정정 부호화/변조 등의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기록매체(160)에 기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재생동작이 지시되었을 때에는 재생된 신호로부터 본래의 데이터를 인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가 테이프일 때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기록한 후 파일정보(기록매체(160)에 관한 정보인 매체정보와 기록매체(160)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장치(151)의 파일관리부(152)는 이 파일정보의 파일마다 갖고 있는 관리정보의 하나인 실시간의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실시간성 식별정보를 보고, 실시간성이 요구되어 있는 데이터의 파일이라면 시스템 전체로 실시간성을 보증할 수 있는 지시를 각 부분에 보낸다.
또한 시스템이 취급할 수 있는 레이트에 여러 가지 것이 있을 때에는 데이터의 실시간성의 보증은 레이트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일마다 관리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제어장치(151)의 파일 관리부(152)는 주변 각 부분에 각각의 대응 가능한 레이트를 문의하여 전체로서의 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고, 주변의 각 부분은 상기 문의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기록매체(160)가 하드디스크와 같이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 가능한 레이트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마다 고유의 값으로 되지만, 분리가 가능한 미디어(removable media)인 경우에는 데이터 제어장치(151),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 모두 기록매체(160)가 대응 가능한 레이트의 문의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실제의 데이터는 항상 일정한 레이트의 것도 있지만, 가변 레이트인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라면 최대 레이트로 관리할 필요가 있고, 파일정보로서 그 최대 레이트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면 이와 같은 기능도 보증할 수 있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도 파일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하면 각 파일의 용량이 알기 쉽게 된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 레이트의 데이터를 취급하게 되면 기록매체에 따라서는 실시간성을 보증하기 위해 특히 기록매체가 테이프일 때에는 더미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도 있다.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바이트수가 아니라 더미를 포함하는 용량이 필요하다. 데이터 기록기기(156)에서 기록/재생되는 레이트와 시간에 관한 정보로부터 실질적인 정보에 부가되는 더미의 용량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에 매체정보나 각 파일마다 준비되는 관리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우선 매체정보로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용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1트랙에 기록되는 데이터량은 일정 기준이 되는 전송레이트가 300트랙/초로서 그 정수배 또는 1/정수배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일례로서 고려한다.
각 파일마다 파일 크기를 바이트수 뿐만아니라, 트랙수(파일시간)를 기록함으로써 어느 만큼의 용량을 사용하고 있는지가 분명해지고, 기록매체의 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어디부터 어디까지 기입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4번째나 5번째의 파일과 같이 실제로 기록에 필요한 트랙수가 바이트수로 나타내어진 파일 크기만으로서는 알 수 없는 가변속 전송 레이트의 파일도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4번째나 5번째의 파일과 같이 가변속 전송 레이트의 파일인 경우에는 일순간이라도 각 장치가 취급할 수 있는 전송 레이트를 넘으면 실시간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최대 레이트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이와 같은 트러블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전송 레이트를 기록함으로써, 트랙수(파일시간)와 합쳐서 전송에 걸리는 시간(영상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지시되었을 때에는 그 재생시간)이 분명하게 되고, 또한 데이터 제어장치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이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고,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록개시위치는 여기에서는 선두로부터 몇번째의 트랙으로부터 기록이 시작되었는지를 기술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레이트가 가변 레이트인 데이터에 대해서도 전송 레이트와 기록 레이트의 차를 고려하여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제어장치(151)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를 제어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a)에 기록을 지시함과 동시에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b)에 재생을 지시하고, 파일을 복사/이동하는 등의 일도 가능하다. 이 때 파일관리부(152)는 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대응 가능한 레이트를 참조하여, 이러한 조작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a)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b)는 같은 사양의 장치라도 되고, 같은 기능을 갖는 다른 사양의 장치라도 된다.
( 제 11 실시예 )
데이터 제어장치(151)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를 합체하여 하나의 장치로 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이고, 블록도를 도 18에 도시한다. 이 때 데이터 제어장치(151)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a)를 합체하여 하나의 장치로 하고,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156b)를 접속하는 등의 구성도 가능하다. 이 때 입출력부(161)는 입출력부(155)와 입출력부(157)를 합친 기능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파일시간을 트랙수로 하였지만, 프레임수나 초수 그 밖의 단위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테이프 미디어에 순차로 기록하는 경우, 기록개시위치와 트랙수라는 조합이 아니더라도 기록개시위치와 기록 종료위치의 조합에 따라서도 파일시간을 얻는 것은 가능하고,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또한 전송 레이트도 300트랙/sec를 1로 하고, 이 값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으나, 어떠한 표현을 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록개시위치는 테이프의 선두로부터 카운트한 트랙수로 말하자면 절대적인 어드레스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것도 임의의 표현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록 데이터의 종류도 VCR 기록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파일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제 12 실시예 )
도 19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19에서 171은 입력장치, 172는 볼륨 엔트리 생성기, 173은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 174는 파일 엔트리 생성기, 175는 관리정보 갱신기, 176은 기록 재생장치, 177은 제 1 기록매체, 178은 제 1 기록매체 관리정보 출력기이며,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173), 파일 엔트리 생성기(174)로부터 관리정보 생성장치가 구성된다. 이 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관리정보 생성장치에 있어서는, 파일, 디렉토리, 볼륨의 각각 대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보인 엔트리를 생성하고, 각각 파일 엔트리, 디렉토리 엔트리, 볼륨 엔트리라 칭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장치(176)(또는 기록 재생장치(176)가 보유하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관련되는 모든 파일 엔트리, 디렉토리 엔트리, 볼륨 엔트리를 제휴하여 관리정보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정보 생성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기록매체(177)로부터 관리정보 생성기(175)로의 파일 데이터(이하, 파일 A라 함)의 전송을 고려한다. 또 제 1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등 기존의 기록매체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제 1 기록매체(177)로부터 관리정보 갱신기(175)로의 데이터의 전송이란, 예를 들면 제 1 기록매체(177)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A를 입력장치(171)에 의해 소정의 변환을 행하고, 기록 재생장치 (176)(혹은 기록 재생장치(176)가 보유하는 기록매체)로 이동(이하, Move라 함)하는 것 혹은 제 1 기록매체(177)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A를 입력장치(171)에 의해 소정의 변환을 행하여 기록 재생장치(176)(혹은 기록 재생장치(176)가 보유하는 기록매체)로 복사(이하 Copy라 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Move의 경우는 기록 재생장치 (176)에 파일 A가 기록된 후, 제 1 기록매체(177)로부터 파일 A를 삭제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의해 생성되는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가정용 디지털 VCR「DV」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정보를 DV 테이프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특원평 9-676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최소 기록단위인 Sync block을 물리 섹터(physical sector)로 하여 64바이트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엔트리를 64바이트 단위로 분할하여 1개 이상의 섹터에 할당하도록 하면 논리적인 기록단위인 엔트리와 물리적인 기록단위인 섹터를 정합시킬 수 있어 에러가 발생했을 때의 정보 부활처리 등이 용이해진다.
여기에서 기록 재생장치(176)가 보유하는 기록매체를 제 2 기록매체라 부른다. 또한 제 2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DV의 MIC(Memory In Cassette)와 같은 보조기록매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입력장치(171)에는 파일 A에 관한 파일 관리정보가 제 1 기록매체 관리정보 출력기(178)로부터 입력된다. 입력장치(171)에 입력된 파일 A에 관한 정보는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173), 파일 엔트리 생성기(174)에 입력되고, 기록 재생장치(176)에서 기록되는 파일 A에 대한 파일 엔트리, 파일 A를 소속시키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필요하면 디렉토리 엔트리, 혹은 필요하면 볼륨 엔트리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면, 볼륨명/디렉토리명/파일명의 수정 등의 처리도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173), 파일 엔트리 생성기(174)에서 처리한다.
또 제 2 기록매체에서는 기록하는 파일은 볼륨, 루트 디렉토리, 디렉토리, 파일의 계층구조를 갖고, 하나의 볼륨에는 디렉토리의 루트를 이루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만이 존재한다. 또한 제 n계층의 디렉토리 밑에는 제 (n+1) 계층의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할 수 있다. 또 디렉토리 밑에는 반드시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관없다.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에서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생성한다. 제 2 기록매체를 식별하는 기록매체 ID, 제 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최대 단위인 볼륨의 이름을 나타내는 볼륨명, 제 2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를 갱신(추가도 포함)한 최근의 시간인 최신 갱신 시간정보, 제 2 기록매체 상에서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위치의 정보인 데이터 기록위치 정보(다음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여기에서부터 기록을 개시함으로써 이전에 기록되어 있던 관리정보를 덧쓰기 및 소거할 수 있음), 관리정보 중의 미사용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리정보 미사용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 기록위치 정보, 관리정보 미사용영역 정보에 대해서는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에서 생성하는 것은 최초에 볼륨을 설정할 때의 초기값만으로서, 파일, 디렉토리를 기록해 가는 것에 의한 갱신은 관리정보 갱신기(175)에서 행한다.
상기 이외의 정보로서는, 버전 정보는, 예를 들면 이러한 엔트리 정보를 개선한 경우에 그 형식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 용량정보는, 예를 들면 기록매체가 테이프일 때에 테이프 길이를 나타내는 값을 설정해 둠으로써 기록매체의 잔량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로그(log) 정보는, 예를 들면 오류 발생상황이나, 테이프의 사용상태/환경을 정보로서 남겨,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가 확실하게 판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제 2 기록매체에 보조기록매체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기억매체에 기록시키는 데이터의 일부를 보조정보로 한다. DV의 MIC(Memory In Cassette)라면, 이 메모리의 선두 16바이트에 3비트의 APM(Application ID on MIC), 5비트의 BCID (Basic Cassette ID), 5바이트의 Cassette ID Pack, 5바이트의 Tape Length Pack, 5바이트의 Title End Pack이 할당된다. 이들에 의해, 이 메모리의 용량이나 테이프의 기록최종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보조기록매체를 취급할 수 있는 장치와 취급할 수 없는 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일단 보조기록매체를 취급할 수 있는 장치에서 기록한 후에 보조기록매체를 취급할 수 없는 장치에서 기록한 경우에는 테이프의 내용과 그것을 관리하기 위해 어떤 보조기록매체의 내용에 어긋남이 생긴다. 볼륨 엔트리에 상기 MIC 선두에 기록해야 할 16바이트의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면, 보조기록매체를 취급할 수 없는 장치로 기록했을 때에는 보조기록매체는 갱신되지 않지만, 볼륨 엔트리 내의 보조정보는 보조기록매체에 본래 기록해야 할 값으로 설정되므로 다시 보조기록매체를 취급할 수 없는 장치에서 양쪽의 정보를 비교하면 어긋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173)에서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속성정보, 디렉토리의 최신 갱신 시간정보, 이 디렉토리 엔트리의 정보가 이 섹터에서 종료할 것인지, 그 밖의 섹터로 계속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연속 플래그를 생성한다. 섹터마다 연속 플래그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긴 디렉토리명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파일 엔트리 생성기(174)에서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명, 파일 속성정보, 파일의 최신 갱신 시간정보, 파일 크기, 제 2 기록매체 내의 파일기록 위치정보, 이 파일 엔트리가 이 섹터에서 종료할 것인지 그 밖의 섹터로 계속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연속 플래그를 생성한다. 섹터마다 연속 플래그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긴 파일명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정보로서, 기록형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DV에서는 테이프 상으로의 기본적인 기록형식은 동일하지만, 데이터 부분은 SD(NTSC, PAL 방식)의 영상, SD의 저레이트 기록용 영상, HD(Hi Vision)의 영상, MPEG의 영상 등의 각각 고유의 압축/기록형식을 갖고 있고, DV 방식으로 기록한 영상을 그대로 파일로서 취급하는 경우에, 이 파일이 어떠한 데이터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이 기록형식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며, DV의 기록형식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STYPE, 50/60비트라고 불리우는 신호를 기록형식정보로서 이용하면 된다.
또한 기록밀도정보는, 예를 들면 DV를 비롯한 영상 기록기기에서는 스탠다드 트랙폭에 의한 기록과, 장시간 기록을 위해 좁은 트랙폭에 의한 기록이 혼재될 가능성이 있어, 기록용량이나 기록위치를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파일 저작권 정보는 이 파일 데이터의 저작권을 나타내는 것이다.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와 같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CGMS에서는 2비트의 데이터로, 11이 복사금지, 10이 1회만 복사 가능, OO이 복사 자유를 의미한다. 파일에 대하여 정의해도 되고, 영상/음성의 각각에 대하여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렉토리 속성정보, 파일 속성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의 HDD나 CD-ROM에서 이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판독전용(read only), 은폐파일(hidden file), 시스템 파일(system file), 디렉토리인지의 여부를 각 비트의 온/오프로 나타낼 수 있고, 파일 엔트리와 디렉토리 엔트리의 식별도 동시에 행할 수 있다(만일 속성정보에 디렉토리 비트가 없으면, 파일/디렉토리 식별 플래그가 각각의 엔트리에 필요함).
관리정보 갱신기(175)에서는 신규 엔트리를 추가한 후에 볼륨 엔트리 생성기(172), 디렉토리 엔트리 생성기(173), 파일 엔트리 생성기(174)에서 생성된 각 엔트리로부터 디렉토리 엔트리의 콘텐츠 엔트리 ID, 다음 엔트리 ID, 파일 엔트리의 다음 엔트리 ID, 볼륨 엔트리의 데이터 기록위치정보를 갱신한다.
디렉토리 엔트리의 콘텐츠 엔트리 ID는 이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콘텐츠 엔트리의 엔트리 ID를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없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이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볼륨 엔트리의 엔트리 ID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엔트리 ID로서 취할 수 있는 최대값을 넘은 값을 설정하거나 혹은 콘텐츠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디렉토리 엔트리의 다음 엔트리 ID는 이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디렉토리(부모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디렉토리 혹은 파일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것의 엔트리의 엔트리 ID를 설정한다. 선택할 때에는 부모디렉토리의 엔트리의 콘텐츠 엔트리 ID로 지정된 것 혹은 이미 같은 부모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엔트리의 다음 엔트리 ID로 지정된 것을 피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하여, 같은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2회 이상 지정되는 일은 없다. 부모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 중 선택되지 않은 것이 없어지면 최후로 선택된 콘텐츠의 엔트리의 다음 엔트리 ID를 없는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한다. 이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볼륨 엔트리의 엔트리 ID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엔트리 ID로서 취할 수 있는 최대값을 넘은 값을 설정하거나 혹은 콘텐츠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고 혹은 그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파일 엔트리의 다음 엔트리 ID는 상기 디렉토리 엔트리와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엔트리 ID로서 섹터의 어드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각 엔트리는 1개 이상의 섹터에 할당되므로 엔트리에 순서매김을 행한 경우, 관리정보의 어디가 될 것인지를 곧 판단할 수 없지만, 섹터의 어드레스라면 절대위치이고, 관리정보 전체의 해석이 간단하다.
이들의 엔트리를 관리정보로 등록함에 있어서, 우선 선두에 볼륨 엔트리를 두고, 그 후에 디렉토리 엔트리와 파일 엔트리를 채워 가, 관리정보 미사용영역 정보에 대해서도 섹터의 어드레스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관리정보에 1개밖에 없는 볼륨 엔트리는 항상 같은 위치에 있어 관리정보의 해석이 간단하게 된다. 또 디렉토리/파일의 계층구조에 있어서 최상위에 있는 루트 디렉토리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의 디렉토리 엔트리(이하 루트 엔트리라고 함)를 관리정보로 볼륨 엔트리에 계속되는 위치에 등록해 두면 관리정보의 해석이 간단하게 된다.
데이터 기록위치정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DV를 이용한 경우에는 트랙마다 설정되는 절대 어드레스(Absolute Track no.)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록했을 때에 어디까지 기록했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기록위치정보라고 하면, 다음에 부가 기록하고자 할 때에는 그 절대 어드레스를 직접 액세스하면 되므로 필요없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끝난다.
여기에서 엔트리를 이용하여 관리정보에 있어서 엔트리의 갱신, 추가, 삭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볼륨, 디렉토리, 파일의 계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2는 도 21과 같이 구성된 볼륨, 디렉토리, 파일의 각 엔트리를 나타낸다. 도 21에서 ROOT는 루트 디렉토리, VOLUMEX는 볼륨명, DIR1, DIR2, DIR3, SUB11, SUB12, SUB13, SUB31, SUB111, SUB131은 디렉토리명, FILE14, FlLE112, FILE113, FILE132는 파일명을 나타낸다. 도 22에는 설명을 위해 볼륨 엔트리를 구성하는 정보 중의 볼륨명, 관리정보 미사용위치 정보를 디렉토리 엔트리를 구성하는 정보중의 디렉토리명, 유효 플래그, 콘텐츠 엔트리 ID, 다음 엔트리 ID를 파일 엔트리를 구성하는 정보중의 파일명, 유효 플래그, 다음 엔트리 ID를 나타낸다. 또 유효 플래그란의 Y는 그 엔트리가 나타내는 디렉토리 혹은 파일이 유효한 것을 나타낸다.
도 22에서 디렉토리 DIR2, SUB12, SUB31, SUB111에서는 콘텐츠 엔트리 ID는 NF이다. 이것은 도 21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이들의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혹은 파일을 갖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DIR1 밑에는 SUB11, SUB12, SUB13, SUB14가 있지만, SUB11의 다음 엔트리 ID는 SUB12의 엔트리 ID인 6이고, 계속되는 SUB12의 다음 엔트리 ID는 SUB13의 엔트리 ID인 7이고, 계속되는 SUB13의 다음 엔트리 ID는 FILE14의 엔트리 ID 인 11이며, 계속되는 FILE14의 다음 엔트리 ID는 계속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NF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파일명, 볼륨명은 각 엔트리가 2개 이상의 섹터에 걸칠 정도로 길지 않기 때문에 1개의 엔트리가 1개의 섹터에 할당되어 있다.
여기에서 파일 A를 DIR1 밑에 복사한 경우의 계층구조를 도 23에 도시하고 그 때의 엔트리를 도 24에 도시한다.
도 23,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R1 밑에 파일 A가 추가되면 FILE14의 다음 엔트리 ID는 NF로부터 파일 A의 엔트리 ID인 15가 되고, 파일 A의 다음 엔트리 ID는 NF가 된다. 또한 파일 엔트리가 1개 늘어났으므로 볼륨 엔트리의 관리정보 미사용위치 정보는 15로부터 16으로 갱신된다.
다음으로 관리정보 내의 디렉토리 혹은 파일을 삭제하였을 때의 관리정보의 갱신방법에 대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21에서의 FILE112를 삭제한 경우, FILE112의 파일 속성은 Y로부터 그 파일이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M으로 하고, 그리고 FILE112가 무효로 된 것으로 디렉토리 SUB11 밑에 있고 FILE112와 동일 계층에 있는 디렉토리인 SUB111의 다음 엔트리 ID가 FILE112의 엔트리 ID인 12로부터 FILE113의 엔트리 ID인 13으로 한다. 또한 SUB131과 FILE132를 삭제한 경우, SUB131의 디렉토리 속성 및 FILE132의 파일 속성은 M으로 하고, 그 위의 디렉토리인 SUB13의 콘텐츠 엔트리 ID는 NF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정보를 생성하면,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정보의 양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한함으로써 제 2 기록매체 상의 관리정보량의 상한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한번에 모든 관리정보를 판독하여 정보를 갱신할 때에도 액세스가 빠르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섹터의 용량을 64바이트로 하였지만, 임의의 용량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파일의 이동 등에 의해 갱신된 관리정보 및 파일 A는 기록 재생장치(176)에 기록된다고 하였지만, 갱신된 관리정보는 기록 재생장치(176)로부터 제 2 기록매체가 인출되기 전까지 제 2 기록매체에 기록된다면 충분하다.
엔트리의 예를 도 20에 도시하였지만, 이들은 일례이고, 모든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 아니고, 또 다른 정보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 필요로 한 바이트/비트량도 일례이며, 그 밖의 값을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엔트리 ID로서 섹터의 어드레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밖의 값을 이용해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 제 13 실시예 )
본 발명에 관한 제 13 실시예에 대하여 도 25에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5에서 181은 관리정보 인출기, 182는 관리정보 해석기, 183은 표시장치이다. 이 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재생장치(176) 내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은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장치(176)에서 기록된 테이프의 일례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6에서 191, 192는 관리정보 기록영역을 나타내며, 193, 194는 실제 데이터 기록영역, 즉 파일 데이터 기록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영역 191은 관리정보영역 중 이미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고, 영역 192는 아직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 관리정보 기록영역이다. 영역 193은 이미 파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고, 영역 194는 아직 파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 파일 데이터 기록영역이다.
우선 기록 재생장치(176)에서 영역 191을 재생하여 얻어진 신호를 관리정보인출기 181에 입력하고, 관리정보 인출기(181)는 입력된 신호를 관리정보의 형식으로 하여 관리정보 해석기(182)에 출력한다. 관리정보를 구성하는 볼륨, 디렉토리 엔트리, 파일 엔트리는 먼저 제 12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즉 도 20, 도 21, 도 22에서 도시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한다.
관리정보 해석기(182)에서는 우선 섹터는 고정길이이므로 섹터단위로 분할하고, 각각의 연속 플래그를 추출/체크하여 엔트리 단위로 분할한다.
볼륨 엔트리를 해석하여 기록매체 ID, 볼륨명, 기록매체의 보조기록매체의 데이터의 일부인 보조정보, 기록매체의 최신 갱신 시간정보, 영역 194의 선두위치이고 기록매체의 파일 데이터 기록영역의 미사용부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기록위치정보, 영역 192의 선두위치이고 관리정보 기록영역의 미사용부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관리정보 미사용영역 정보 등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모든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콘텐츠 엔트리 ID와 다음 엔트리 ID를 추출하고, 모든 파일 엔트리로부터 콘텐츠 엔트리 ID를 추출하고, 도 27 및 다음의 표 1에 나타내는 해석 룰에 기초하여 모든 엔트리를 체크하고, 콘텐츠 엔트리 ID와 다음 엔트리 ID의 관계로부터 디렉토리와 파일의 계층구조를 재구성한다. 또 이 해석 룰은 최초에 체크하는 엔트리가 루트 엔트리이어야 한다.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디렉토리 속성정보, 디렉토리의 최신 갱신 시간정보, 디렉토리명을 추출하고, 파일 엔트리로부터 파일 속성정보, 기록 밀도정보, 기록형식정보, 파일의 최신 갱신 시간정보, 파일 크기, 파일기록 위치정보, 파일명을 추출하고, 이들 정보 중에서 필요한 것을 이용하여 표시장치(183)에서 재구성한 디렉토리/파일의 계층구조를 표시한다.
관리정보의 일례를 도 22에 도시하고, 도 22의 관리정보를 반영시켜 계층구조로 한 것을 도 21에 도시하여, 관리정보가 어떻게 해석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루트 디렉토리의 다음 엔트리 ID는 NF로 되어 있다. 이것은 루트 디렉토리는 최상계층이고, 동일 계층에 다른 디렉토리, 파일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루트 엔트리의 콘텐츠 엔트리 ID는 DIR1의 엔트리 ID인 2이고, 이에 따라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의 계층에 우선 DIR1이 있는 것이 판명된다. 계속해서 DIR1의 다음 엔트리 ID는 DIR2의 엔트리 ID인 3이고, 또한 DIR2의 다음 엔트리 ID는 DIR3의 엔트리 ID인 4이다. 또한 DIR3의 다음 엔트리 ID는 더 이상 동일계층에 디렉토리 혹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NF이다. 이 결과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의 계층에는 DIR1, DIR2, DIR3이 존재하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DIR2의 콘텐츠 엔트리 ID는 NF로 되어 있다. 이것은 DIR2 바로 아래의 계층에는 디렉토리 혹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DV 등 자기테이프 매체에 있어서 파일형식의 데이터를 취급할 때의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제 14 실시예 )
도 28은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8에서 201은 기록 재생장치, 202는 송수신부, 203은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 204는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 205는 기록/재생처리수단, 206은 버퍼, 207은 클록변환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재생장치(201)는 송수신부(202)에 의해, 우선 수신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1394 헤더나 CCIP 헤더를 보고 수신해야 할 버킷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전송하고 있는 채널번호나 데이터의 송신장소, 데이터의 종류 등은 헤더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203),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204)에 의해, 수신한 패킷의 1394 헤더나 CIP 헤더를 제거하고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이 때 에러 처리 등도 동시에 행해진다.
여기에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제거하지 않고, 부가한 채로 192바이트의 소스 패킷을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출력한다. 이 소스 패킷의 구성을 도 29에 도시한다.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은 수취한 소스 패킷에 기록처리를 실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 때 일본국 특원평 9-6763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디지털 VCR「DV」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기록/재생처리를 행하면 기존의 DV와 호환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VCR의 포맷과 MPEG 기록을 구별할 필요가 없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거나 소스 패킷에 부가하는 일도 불필요하고, 각 전송 패킷의 내용을 해석하거나 PLL을 이용하여 송신원의 27MHz에 따르는 클록을 복원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기록시 혹은 재생시 혹은 그 모두에서 IEEE1394 인터페이스의 클록 24.576MHz로부터 27MHz를 클록변환수단(207)에 의해 생성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재생시에는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의해 복조, 에러 정정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소스 패킷에는 이미 전송 타임 스탬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록 재생장치의 송수신부(202)에서의 송신 타임 스탬프 부가 등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록/재생수단(205)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받는 디코더의 수신장치는 원래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전송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데이터와 같은 시간간격의 데이터를 디코드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어,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라는 불량없이 복호하고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5 실시예 )
도 30은 제 15 실시예에서의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0에서 201은 기록 재생장치, 202는 송수신부, 203은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 204는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 205는 기록/재생 처리수단, 206은 버퍼, 207은 클록 변환수단, 208은 전송 타임 스탬프 부가/삭제수단, 209는 데이터 종별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재생장치(201)는 송수신부(202)에 의해 우선 수신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1394 헤더나 CIP 헤더를 보고 수신해야 할 패킷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전송하고 있는 채널번호나 데이터의 송신장소, 데이터의 종류 등은 헤더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203),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204)에 의해 수신한 패킷의 1394 헤더나 CIP 헤더를 제거하여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이 때 에러 처리 등도 동시에 행해진다.
여기에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제거하지 않고, 부가한 채로 192바이트의 소스 패킷을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종별 판정수단(209)은 데이터의 종류 등을 헤더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전송 타임 스탬프의 삭제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EEE1394 상을 전송할 수 있는 AV 데이터는, 예를 들면 DV 에서의 SD(NTSC 및 PAL 방식), HD(High Vision), SD-L(SD의 저레이트 기록용 압축방식) 등이 있고, 이 식별을 위한 정보가 CIP 헤더에 실려 있고, 이들의 AV 데이터와 MPEG의 입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송 타임 스탬프의 삭제를 행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송 타임 스탬프 부가/삭제수단(208)에 의해 전송 타임 스탬프 삭제를 행하고,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출력한다. 전송 타임 스탬프의 삭제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송 타임 스탬프 삭제를 행하지 않고, 직접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출력한다. 데이터 종별 판정수단(209)은 또 전송 타임 스탬프의 삭제를 행하였는지의 여부의 정보도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송신한다.
전송 타임 스탬프의 삭제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의 정보도 아울러 기록된다.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은 수취한 소스 패킷에 기록처리를 실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 때, 일본국 특원평 9-676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디지털 VCR「DV」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기존의 DV와 호환을 유지하면서 기록/재생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VCR의 포맷과 MPEG 기록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고 소스 패킷에 부가하는 일은 불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각 전송 패킷의 내용을 해석하거나 PLL을 이용한 27MHz 클록 복원도 불필요하다.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의 클록 24.576MHz로부터 27MHz를 클록변환수단(207)에 의해 생성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재생시에는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의해 복조, 에러 정정 등의 처리를 한 후에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전송 타임 스탬프를 삭제했는지의 여부의 정보에 의해, 전송 타임 스탬프를 부가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스 패킷에 이미 전송 타임 스탬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 재생장치의 송수신수단(2)에 있어서의 송신 타임 스탬프의 부가 등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소스 패킷에 이미 전송 타임 스탬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송 타임 스탬프 부가/삭제수단(208)에 의해 재생된 타이밍에 기초하는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생성 부가한다.
이에 의해 기록 재생수단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입력하여 동작하는 디코더의 수신장치는 원래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전송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데이터와 같은 시간 간격의 데이터를 디코드 수단에 송신할 수 있어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라는 불량없이 복호하고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타이밍을 엄밀하게 복원할 필요가 없는 경우와 필요가 있는 경우 모두 대응할 수 있다.
( 제 16 실시예 )
도 31은 제 16 실시예에서의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1에서 201은 기록 재생장치, 202는 송수신부, 203은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 204는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 205는 기록/재생 처리수단, 206은 버퍼, 207은 클록 변환수단, 210은 타이밍 추출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재생장치(201)는 송수신부(202)에 의해 우선 수신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1394 헤더나 CIP 헤더를 보고 수신해야 할 패킷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전송하고 있는 채널번호나 데이터의 송신장소, 데이터의 종류 등은 헤더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1394 헤더 삭제/부가수단(203), CIP 헤더 삭제/부가, 패킷 연결수단(204)에 의해, 수신한 패킷의 1394 헤더나 CIP 헤더를 제거하여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이 때 에러 처리 등도 동시에 행해진다.
여기에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제거하지 않고, 부가한 채로 각 소스 패킷 192바이트를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대하여 출력한다.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은 수취한 소스 패킷에 기록처리를 실시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 때 기존의 디지털 VCR「DV」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기존의 DV와의 호환을 유지하면서 기록/재생처리를 행하기 때문에(일본국 특원평 9-67633 참조), 기존의 디지털 VCR의 포맷과 MPEG 기록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거나 소스 패킷에 부가하는 일은 불필요하고, 각 전송 패킷의 내용을 해석하거나 PLL을 이용한 27㎒ 클록 복원도 불필요하다.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기록시 혹은 재생시 혹은 이 모두에서 IEEE1394 인터페이스의 클록 24.576MHz로부터 27㎒를 클록 변환수단(207)에 의해 생성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재생시에는 기록/재생 처리수단(205)에 의해 복조, 에러 정정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소스 패킷을 복원한다. 소스 패킷에는 이미 전송 타임 스탬프가 포함되어 있고, 기록 재생장치의 송수신부(202)에 있어서의 송신 타임 스탬프 부가 등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타이밍 추출수단(210)에 의해 복원된 소스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전송 타임 스탬프를 기록 재생장치의 IEEE1394 인터페이스의 동작 클록의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일치한 타이밍에서 버퍼(206)로부터 송수신부(20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에 의해 어긋나는 각 패킷의 시간 간격이 기록전의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측의 버퍼가 작은 경우 등에서, 기록 재생에 의해 증대한 지터를 흡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송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타이밍을 어느 정도 복원해 둠으로써, 상기 지터를 흡수할 수 없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수단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받는 디코더의 수신장치는 원래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전송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데이터와 같은 시간 간격의 데이터를 디코드수단에 송신할 수 있어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라는 불량없이 복호하고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 제 17 실시예 )
도 32는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2에서 251은 프로세서, 252는 메모리, 253은 버스, 254는 IEEE1394 인터페이스, 255는 SCSI 인터페이스, 256은 DV, 257은 하드 디스크, 261은 DV(256)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262는 하드 디스크(257)로의 기입 데이터, 263은 DV(256)의 송신 데이터(261)의 수신 커맨드, 264는 하드 디스크(257)로의 기입 데이터(262)의 기입 커맨드이다.
도 33은 데이터(261)의 구체예이다. 도 33에서 265a, 265b, 265c, 265d, 265e, 265f, 265g는 DV(256)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패킷이다.
도 34는 메모리(252)의 구성예이다. 도 34에서 271 및 272는 뱅크이다.
도 35는 DV(256)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드 디스크(257)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의 타임 챠트이다.
DV(256)는 항상 데이터(261)를 계속 송신하고 있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5마이크로초마다 패킷(265a∼265g)을 송신하고 있다.
우선 프로세서(251)는 IEEE1394 인터페이스(254)에 수신 커맨드(263)를 송신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254)는 수신 커맨드(263)를 수신하면 DV(256)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데이터(261)를 수신하여 메모리(252)에 기입한다. 이 때, 최초는 메모리(252)의 뱅크(271)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뱅크(271)가 가득차면 뱅크(272)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 뱅크(272)가 가득차면 다시 뱅크(271)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한 프로세서(251)는 SCSI 인터페이스(255)에 기입 커맨드(264)를 송신한다. SCSI 인터페이스(255)는 기입 커맨드(264)를 수신하면 메모리(252)에 기입된 데이터를 전부 혹은 필요한 데이터만을 인출하고, 기입 데이터(262)로서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한다. 이 때 IEEE1394 인터페이스(254)가 메모리(252)의 뱅크(271)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을 때는 뱅크(27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IEEE1394 인터페이스(254)가 뱅크(272)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을 때는 뱅크(27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한번 프로세서(251)가 수신 커맨드(263) 및 기입 커맨드(264)를 발행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1394 인터페이스(254)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25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 이런 이유로 DV(256)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 (261)는 반드시 뱅크(271) 혹은 뱅크(272) 중 어느 하나에 기입되고, 동시에 뱅크(271) 및 뱅크(272)에 기입된 데이터는 반드시 SCSI 인터페이스(1O5)를 통해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된다. 이런 이유로 수신한 송신 데이터(261)의 모두 혹은 송신 데이터(261) 중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할 수 있다.
또 IEEE1394 인터페이스(254)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10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고 하였지만, 시분할 등을 이용한 유사적인 병렬동작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메모리(252)는 뱅크(271) 및 뱅크(272)의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고 하였지만, 복수의 뱅크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고, 또 각각의 뱅크의 크기는 일정해도 되고 가변이어도 된다. 또 모든 뱅크가 같은 크기가 아니어도 된다.
또 IEEE1394 인터페이스(254)로부터 메모리(252)로의 송신 데이터(261)의 기입은 프로세서(25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25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메모리(252)로부터 SCSI 인터페이스(255)로의 데이터(262)의 판독은 프로세서(25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25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되고, SCSI 인터페이스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다.
또한 DV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전송을 계속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른 장치라도 되고, 하드 디스크는 다른 기록매체라도 상관없다.
(제 18 실시예 )
도 36은 제 18 실시예에서의 계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6에서 281은 프로세서, 282는 IEEE1394 인터페이스, 283은 DV, 291은 DV283의 제어 커맨드이다.
도 37은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하는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37에서 301은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할 데이터, 302는 실제로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된 데이터, 303은 데이터(301) 중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8은 DV(28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드 디스크(257)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의 타임 챠트이다. 292는 제어 커맨드(291)의 하나인 송신 커맨드, 293은 제어 커맨드(291)의 하나인 재송 커맨드, 304는 1회째의 데이터 전송기간, 305는 2회째의 데이터 전송기간이다.
우선 프로세서(251)는 IEEE1394 인터페이스(282)를 통해 DV(283)에 제어 커맨드(291)로서 송신 커맨드(292)를 송신한다. DV(283)는 송신 커맨드(292)를 수신하면 송신 데이터(261)의 송신을 시작한다. 송신 데이터(261)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5마이크로초마다 패킷(265a∼265g)으로서 전송되도록 DV(283)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 데이터(261)를 계속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261)에는 하드 디스크에 기입할 데이터(301)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51)는 IEEE1394 인터페이스(282)에 수신 커맨드(263)를 송신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282)는 수신 커맨드(263)를 수신하면 DV(28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데이터(261)를 수신하여 메모리(252)에 기입한다. 이 때 최초는 메모리(252)의 뱅크(271)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뱅크(271)가 가득차면 뱅크(272)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 뱅크(272)가 가득차면 다시 뱅크(271)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한 프로세서(281)는 SCSI 인터페이스(255)에 기입 커맨드(264)를 송신한다. SCSI 인터페이스(255)는 기입 커맨드(264)를 수신하면 메모리(252)에 기입된 데이터를 전부 또는 필요한 데이터만을 인출하여 기입 데이터(262)로서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한다. 여기에서 IEEE1394 인터페이스(282)가 메모리(252)의 뱅크 (271)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을 때는 뱅크(27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IEEE 1394 인터페이스(282)가 뱅크(272)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을 때는 뱅크(27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 동작의 타임 챠트는 도 35와 마찬가지이다.
만약에 SCSI 인터페이스(255)의 데이터 전송속도나 하드 디스크(257)의 기입 속도가 느린 경우 혹은 전송로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는 데이터(301) 중, 예를 들면 데이터(303)가 누락되어 데이터(302)만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된다.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281)는 DV(283)에 제어 커맨드(291)로서 재송 커맨드(293)를 송신한다.
DV(283)는 재송 커맨드(293)를 수신하면 다시 데이터(301)를 포함하는 송신데이터(261)의 송신을 시작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SCSI 인터페이스(255)는 메모리(252)에 기입된 송신 데이터(261) 중 누락되어 있던 데이터(303)를 인출하고, 하드 디스크(257)에 추가 기입을 행함으로써 데이터(301)를 모두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할 수 있다.
한번 프로세서(281)가 수신 커맨드(263) 및 기입 커맨드(264)를 발행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1394 인터페이스(282)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 (25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 이런 이유로 DV(283)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261)는 반드시 뱅크(271) 혹은 뱅크(272) 중 어느 하나에 기입되고, 동시에 뱅크(271) 및 뱅크(272)에 기입된 데이터는 반드시 SCSI 인터페이스(255)를 통해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된다. 또한 데이터 누락이 발생된 경우에는 프로세서(281)는 DV(283)에 재송 커맨드(293)를 송신함으로써,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하여 누락된 데이터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257)에 기입할 데이터(301)를 모두 기입할 수 있다.
또 IEEE1394 인터페이스(282)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25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고 하였지만 시분할 등을 이용한 유사적인 병렬 동작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SCSI 인터페이스(255)는 데이터 재송시, 즉 도 38의 기간 305에 있어서는, 기간 304에서 누락된 데이터(303)만을 메모리(252)로부터 판독하고, 하드 디스크(257)에 추가 기입한다고 하였지만, 그 이외의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257)에 덧쓰기 해도 상관없다.
또한 데이터 전송은 2회라고 하였지만, 3회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282)로부터 메모리(252)로의 송신 데이터(261)의 기입은 프로세서(28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28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메모리(252)로부터 SCSI 인터페이스(255)로의 데이터(262)의 판독은 프로세서(28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28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가 발행하는 제어 커맨드를 DV에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고, SCSI 인터페이스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다.
또한 DV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장치라도 되고, 하드 디스크는 다른 기록매체라도 상관없다.
( 제 19 실시예 )
도 39는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9에서 311은 프로세서, 312는 메모리, 313은 버스, 314는 IEEE1394 인터페이스, 315는 SCSI 인터페이스, 316은 DV, 317은 하드 디스크, 321은 DV(316)로의 송신 데이터, 322는 하드 디스크(317)로부터의 판독 데이터, 323은 IEEE1394 인터페이스(314)로의 송신 데이터(321)의 송신 커맨드, 324는 SCSI 인터페이스(315)로의 판독 데이터(322)의 판독 커맨드이다.
도 40은 메모리(312)의 구성예이다. 도 40에서 331 및 332는 뱅크이다.
도 41은 하드 디스크(317)로부터 판독 데이터(322)를 판독하고, DV(316)에 송신 데이터(321)를 송신할 때의 타임 챠트이다.
DV(316)는 항상 송신 데이터(321)를 계속 수신하고 있고, 송신 데이터(321)는 도 33과 같은 형태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
우선 프로세서(311)는 IEEE1394 인터페이스(314)에 송신 커맨드(323)를 송신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314)는 송신 커맨드(323)를 수신하면 메모리(312)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를 부가한 것을 송신 데이터(321)로서 DV(316)에 송신한다. 이 때 최초는 메모리(312)의 뱅크(33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뱅크(331)의 데이터가 모두 송신이 끝나면 뱅크(27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 뱅크(332)의 데이터가 모두 송신이 끝나면 다시 뱅크(33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프로세서(311)는 SCSI 인터페이스(315)에 판독 커맨드(324)를 송신한다. SCSI 인터페이스(315)는 판독 커맨드(324)를 수신하면 하드 디스크(317)로부터 도 41에서의 기간 C의 사이에 DV(316)에 송신해야 할 판독 데이터(322)를 판독하여 메모리(312)에 기입한다. 이 때 IEEE1394 인터페이스(314)가 메모리(312)의 뱅크(33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을 때는 뱅크(332)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IEEE1394 인터페이스(314)가 뱅크(332)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을 때는 뱅크(33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한번 프로세서(311)가 송신 커맨드(323) 및 판독 커맨드(324)를 발행하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1394 인터페이스(314)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 (31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 이런 이유로 DV(316)에는 송신 데이터(321)가 반드시 뱅크(331) 또는 뱅크(332) 중 어느 것으로부터 송신되고, 동시에 뱅크(331) 및 뱅크(332)에는 SCSI 인터페이스(315)를 통해 하드 디스크(317)로부터 판독된, 다음에 송신해야 할 판독 데이터(322)가 반드시 기입된다. 이런 이유로 IEEE1394 인터페이스(314)로부터는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하드 디스크(317)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DV(316)에 송신되게 된다.
또 IEEE1394 인터페이스(314)의 처리와 SCSI 인터페이스(315)의 처리는 병렬로 동작한다고 하였지만, 시분할 등을 이용한 유사적인 병렬동작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메모리(312)는 뱅크(331) 및 뱅크(332)의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고 하였지만, 복수의 뱅크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고, 또 각각의 뱅크의 크기는 일정해도 되고 가변이어도 된다. 또 모든 뱅크가 같은 크기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또한 메모리(312)로부터 IEEE1394 인터페이스(314)로의 송신 데이터(321)의 판독은 프로세서(31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31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SCSI 인터페이스(315)로부터 메모리(312)로의 판독 데이터(322)의 기입은 프로세서(311)가 관리하여 행해도 되고 프로세서(311)가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고, SCSI 인터페이스는 다른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다.
또한 DV는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전송을 계속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입력하는 다른 장치라도 되고, 하드 디스크는 다른 기록매체라도 상관없다.
이상 설명한 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기능을 하드웨어(장치)로 하여 실현하는 형태로 기재하였지만, 컴퓨터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고, 이것을 플로피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된 다른 시스템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42는 이것을 플로피 디스크로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의 (a)는 기록매체 본체인 플로피 디스크의 물리 포맷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심원 형상으로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를 향하여 트랙을 작성하고 각도방향으로 16의 섹터로 분할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된 영역에 따라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도 42의 (b)는 이 플로피 디스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좌로부터 플로피 디스크 케이스의 정면도 및 그 단면도, 그리고 플로피 디스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플로피 디스크를 케이스에 수납함으로써 디스크를 먼지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지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42의 (c)는 플로피 디스크에 프로그램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접속함으로써 디스크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스크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구를 통해 내장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기록하는 경우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프로그램을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한다. 재생하는 경우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프로그램을 디스크로부터 판독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매체로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광디스크를 이용해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IC 카드, ROM 카세트 등,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자기 기록매체 혹은 광기록매체 등의 기록매체를 작성하여 이것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발명에서의 각 수단, 각부 혹은 각 방법의 스텝의 모두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도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관리기기 및 기록 재생장치 사이의 송수신 중에 있어서, 관리기기가 기록 재생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에 조작 패널로부터 행해지는 제어조작에 의해 상기 송수신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종래에 비해 한층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파일 생성방법, 파일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파일관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파일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V에 컴퓨터의 데이터를 파일형식으로 기록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DV의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정보를 작성/해석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와 관리정보 해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MPEG2 데이터 기록에 있어서, 부가회로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재생시의 패킷 출력 타이밍을 복원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특히 기존의 디지털 VCR「DV」(Digital Video)의 포맷과 호환을 유지하면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C에 있어서,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 출력을 계속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데이터의 누락없이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방법 및 PC에 있어서,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계속 전송하는 스트림 데이터로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72)

  1.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제 1 커맨드인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제 2 커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고,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고, 또한 상기 전송로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는 전송로 리세트신호를 생성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혹은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송로 리세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유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고, 또 메이커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메이커 정보와 그 자체에 저장된 특정 메이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특정 메이커 정보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특정 메이커 정보 수신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상기 전환신호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 전송로로부터 데이터 및 커맨드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수신시에는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송신시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커맨드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신호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결정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과,
    2값신호를 출력하는 2값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2값신호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만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 무효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은 IEEE1394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에 관한 및/또는 그 데이터의 기록일시에 관한 기록정보를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기록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분할 위치에 의해 구별된 데이터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 ·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정보는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부가된 상기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기록일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파일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정보는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고, 이 플래그 정보는 기록 대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한 위치 또는 기록개시를 지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추출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추출된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실질상 불연속인 위치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구별된 데이터 중에서 소정화면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화면을 상기 파일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정보 생성방법.
  11.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에 관한 및/또는 그 데이터의 기록일시에 관한 기록정보를 상기 기록대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기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분할 위치에 의해 구별되는 데이터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정보는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부가된 상기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파일화 수단은 상기 파일정보로서 상기 기록일시에 기초한 파일명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정보는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고, 이 플래그 정보는 기록 대상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한 위치 또는 기록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추출된 상기 기록정보로부터 소정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추출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의 분할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추출된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실질상 불연속인 위치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대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파일화 수단은 상기 구별된 데이터 중에서 소정 화면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화면을 상기 파일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6.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며,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17.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 뒤의 복수개 영역에 반복 기록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소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18.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영역을 기록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그 파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와는 다른 영역으로서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기록하고,
    상기 파일정보의 기록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19. 제 16항 내지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의 생성은 청구항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파일정보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20. 기록매체의 실질상 선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해가고, 상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데이터와 상기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수단은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상기 파일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기록수단은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기록하는 것이고,
    상기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수단은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상기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의 뒤에 복수회 반복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기록수단은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파일정보가 기록된 부분 사이의 소정 위치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수단은 소정의 기록개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뒤에 다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상기 생성된 파일정보를 상기 다음 데이터 뒤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기록수단은 상기 다음 데이터의 기록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기록하고, 또 데이터와 파일정보를 다른 영역으로 하여 상기 영역을 기록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파일정보의 기록 종료위치를 다음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기록개시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4.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 생성수단은 청구항 제 1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데이터 기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5.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의 파일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실시간성 식별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26.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27.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가 가변인 경우에는 그 중의 최대의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최대 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28.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매체 자체의 매체정보와 1개 이상의 파일과 상기 파일 각각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 관리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관리정보로서, 데이터 본래의 데이터 레이트로 필요로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파일 크기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방법.
  29. 1개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제어 명령을 보내고,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의 파일에 관해서는 파일의 관리정보인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어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접속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보내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어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접속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기록 재생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보내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어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접속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서 그 때 취급하고 있는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보내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어장치.
  33.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수단과, 외부와 제어 명령의 송신 혹은 수신을 행하고,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 파일에 관해서는 상기 파일의 관리정보인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와 송신 혹은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기록 재생 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와 송신 혹은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그 때 취급하고 있는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와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37. 기록매체에 기록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최소 구성단위는 파일이고, 상기 데이터의 최대 구성단위는 볼륨이며,
    상기 볼륨은 제 1 계층이고, 제 2 계층은 루트 디렉토리이고, 제 3 계층 이후 제 M(M≥3) 계층은 파일 혹은 디렉토리로 하는 복수 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정보는 엔트리를 단위로 하는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각 엔트리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엔트리 ID를 갖고,
    상기 볼륨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디렉토리마다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파일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파일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볼륨 엔트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상기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갖고,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 또는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엔트리 ID로서 갖고,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다음 엔트리 ID로서 갖고,
    상기 다음 엔트리 ID 및 콘텐츠 엔트리 ID에 의해 상기 볼륨의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1회 지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다음 엔트리 ID로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다음 없음 플래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에 있어서, 다음 엔트리 ID에서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것을 나타내는 값을 다음 엔트리 ID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콘텐츠 엔트리 ID로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콘텐츠 없음 플래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1.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에 있어서, 콘텐츠 엔트리 ID에서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값을 콘텐츠 엔트리 ID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2. 제 37항 내지 제 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고정길이의 섹터로 구성되며, 상기 볼륨, 디렉토리 및 파일에 대하여 생성되는 엔트리는 고정길이의 상기 섹터에 할당되는 것으로 하고, 섹터는 고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각각의 엔트리 선두부분이 할당되는 상기 섹터의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혹은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가 할당된 섹터의 각각은 상기 엔트리가 그 섹터에서 종료하는지 다음 섹터로 계속되는지를 나타내는 연속 플래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4. 제 37항 내지 제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의 기록매체 상에서의 기록형식에 관한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5. 제 37항 내지 제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의 기록매체 상에서의 기록밀도에 관한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6.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에 대하여 생성되는 엔트리는 상기 기록매체를 식별하는 기록매체 ID, 상기 볼륨의 볼륨명,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한 내용을 갱신한 시간 혹은 일시 인 최신 갱신 시간정보,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기록 위치정보, 관리정보 내의 미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리정보 미기록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에 대하여 생성되는 엔트리는 상기 기록매체에 부가된 보조 기록매체에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의 일부로 구성한 보조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8.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되는 엔트리는 상기 디렉토리의 속성을 나타내는 디렉토리 속성정보, 상기 디렉토리를 갱신한 시간 혹은 일시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갱신 시간정보, 상기 디렉토리의 이름을 나타내는 디렉토리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49.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되는 엔트리는 상기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파일 속성정보, 상기 파일을 갱신한 시간 혹은 일시를 나타내는 파일갱신 시간정보, 상기 파일의 이름을 나타내는 파일명, 상기 파일의 용량을 나타내는 파일 크기 정보, 상기 파일이 기록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파일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50. 제 42항 내지 제 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의 영역에 기록되는 엔트리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51. 제 37항 내지 제 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신규로 추가하는 경우는,
    볼륨 엔트리 내의 관리정보 미기록영역 정보를 조사하고,
    상기 관리정보영역 미기록영역 정보로 지정된 영역에 새롭게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를 추가하고,
    상기 관리정보영역 미기록영역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52. 제 51항에 있어서,
    제 Q(Q≥3) 계층에 있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신규로 추가 혹은 삭제하는 경우는,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제 (Q-1) 계층의 디렉토리(소속 디렉토리라 칭함)의 콘텐츠 엔트리 ID 혹은 콘텐츠 없음 플래그 및 상기 소속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제 Q 계층의 파일 및 디렉토리의 다음 엔트리 ID 혹은 다음 없음 플래그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경우는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에 있는 파일 속성정보 혹은 상기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에 있는 디렉토리 속성정보의 삭제를 의미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생성장치.
  54. 기록매체에 기록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최소 구성단위는 파일이고,
    상기 데이터의 최대 구성단위는 볼륨이며,
    상기 볼륨은 제 1 계층이고, 제 2 계층은 루트 디렉토리이며, 제 3 계층이후 제 M(M≥3) 계층은 파일 혹은 디렉토리로 하는 복수 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정보는 엔트리를 단위로 하는 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각 엔트리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엔트리 ID를 갖고,
    상기 볼륨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엔트리가 생성되며,
    상기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디렉토리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파일을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파일마다 엔트리가 생성되고,
    상기 볼륨 엔트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상기 엔트리 ID 에 관한 정보를 갖고,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 또는 상기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엔트리 ID로서 갖고,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각각은 상기 파일 혹은 상기 디렉토리가 소속하는 디렉토리에 소속하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엔트리의 엔트리 ID에 관한 정보를 다음 엔트리 ID로 갖고,
    상기 다음 엔트리 ID 및 콘텐츠 엔트리 ID에 의해 상기 볼륨의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1회 지정되도록 생성된 관리정보로부터,
    볼륨, 디렉토리,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가 해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볼륨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로부터 기록매체 ID, 볼륨명, 최신 갱신시간 정보, 데이터기록 위치정보 혹은 관리정보 미기록영역 정보가 추출되고,
    디렉토리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로부터 디렉토리 속성정보, 디렉토리 갱신 시간 정보, 디렉토리명, 콘텐츠 엔트리 ID, 다음 엔트리 ID 혹은 연속 플래그가 추출되며,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로부터 파일 속성정보, 파일갱신 시간정보, 파일명, 파일 크기 정보, 파일 위치정보, 다음 엔트리 ID 혹은 연속 플래그가 추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
  56. 제 54항에 있어서,
    볼륨에 대하여 생성된 엔트리는,
    상기 관리정보로부터 기록매체에 부가된 보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일부로 구성된 제 1 보조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제 1 보조정보에 대응하는 제 2 보조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 1 보조정보와 상기 제 2 보조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보조 기록매체의 기록 내용을 상기 관리정보의 내용에 맞추어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 해석장치.
  57.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패킷이 상기 전송로 중을 전송할 때 상기 각 패킷이 신호원으로부터 상기 전송로에 접속된 송신수단으로 출력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각 패킷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부가되는 정보인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상기 각 패킷에 부가한 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58.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종류에 따라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패킷에 대하여 전송 타임 스탬프를 부가한 채로 기록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고,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아울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59.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송 타임 스탬프를 상기 각 패킷에 부가한 채로 기록하고, 재생시에 상기 각 패킷에 부가된 전송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0. 제 57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종류가 MPEG2-TS이고, 전송로가 IEEE1394일 때에 패킷에 부가되는 4바이트의 전송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1. 제 57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IEEE1394의 클록으로부터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2. 제 57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시에 IEEE1394의 클록으로부터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3. 실질상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수신 커맨드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기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기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
  64. 출력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거의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의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상기 제어 커맨드로서 상기 출력개시 커맨드를 송신한 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수신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기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기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며,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입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기입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에 상기 제어 커맨드로서 데이터 재송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차례로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전회 기입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서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방법.
  65. 제 63항 또는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k개(k〉1)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신한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는 상기 메모리의 제 m영역(m≤k)이 가득차면 기입하는 영역을 제 n 영역(n≠ m, n≤k)으로 변경하여 기입을 계속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m 영역에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m 영역에 기입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
  66. 제 63항 내지 제 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
  67. 제 63항 내지 제 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는 가정용 디지털 V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
  68. 실질상 정기적인 간격으로 항상 데이터를 계속 입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스트림 데이터 판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판독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판독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송신 커맨드를 수취하면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버스를 통해 판독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입력부에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법.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k개(k〉1)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모리의 제 m 영역(m≤k)에 기입된 데이터를 모두 판독하면 판독하는 영역을 제 n 영역(n≠ m, n≤k)으로 변경하여 계속 판독하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m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모두 판독한 시점에서 상기 제 m 영역에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제 m 영역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법.
  70. 제 68항 또는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법.
  71. 제 68항 내지 제 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데이터 출력부는 가정용 디지털 V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법.
  72.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71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장치 또는 방법에 있어서의 각 수단, 각부 혹은 각 단계의 모두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1999-7002240A 1997-07-17 1998-07-15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KR100508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2917 1997-07-17
JP19291797A JP3533314B2 (ja) 1997-07-17 1997-07-17 記録再生装置
JP???9-208843 1997-08-04
JP20884397A JPH1153844A (ja) 1997-08-04 1997-08-04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データ制御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9-224637 1997-08-21
JP22463697A JPH1165773A (ja) 1997-08-21 1997-08-21 計算機におけるストリームデータの記録媒体への書き込み方法および記録媒体からの読み出し方法
JP???9-224636 1997-08-21
JP22463797 1997-08-21
JP23432897A JP3531434B2 (ja) 1997-08-29 1997-08-29 記録再生システム
JP???9-234328 1997-08-29
JP9302248A JPH10312670A (ja) 1997-03-12 1997-11-04 ファイル情報生成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及び媒体
JP???9-302248 1997-11-04
PCT/JP1998/003166 WO1999004394A1 (fr) 1997-07-17 1998-07-15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e donnees,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procede de generation d'informations fichier,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dispositif de generation d'informations de gestion, dispositif d'analyse d'informations de gestion, et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77A true KR20000068577A (ko) 2000-11-25
KR100508814B1 KR100508814B1 (ko) 2005-08-18

Family

ID=2755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40A KR100508814B1 (ko) 1997-07-17 1998-07-15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11343B1 (ko)
EP (2) EP0949614B1 (ko)
KR (1) KR100508814B1 (ko)
CN (2) CN100378853C (ko)
DE (1) DE69834316T2 (ko)
HK (1) HK1022553A1 (ko)
WO (1) WO1999004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181A (ja) * 1998-12-04 2000-06-23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及び出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記録方法及び出力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及び出力方法
DE19909367A1 (de) * 1999-03-03 2000-09-0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Transferierung von Echtzeitdateien
JP2003502955A (ja) * 1999-06-17 2003-01-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ジタルデータを記録するための記録準備モードを備える記録装置
JP4389365B2 (ja) * 1999-09-29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記録装置および方法、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1160943A (ja) * 1999-12-03 2001-06-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968122B2 (en) * 2000-04-17 2005-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er and transmitter
FR2812736B1 (fr) * 2000-08-04 2003-12-19 Near Technologies Systeme de stockage virtuel
WO2002037858A2 (en) * 2000-11-02 2002-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of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producing audio and/or video information consisting of primary programs and commercials
JP2002149284A (ja) * 2000-11-14 2002-05-24 Konica Corp ストレージ機器
US7245817B1 (en) * 2000-11-20 2007-07-17 Digeo, Inc. Multimedia transfer system
JP2002230945A (ja) * 2001-01-30 2002-08-16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タイトル情報付与方法、タイトル情報付与手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018544A (ja) * 2001-06-29 2003-01-17 Nec Corp ディジタル放送用記録装置
JP3785983B2 (ja) * 2001-10-05 2006-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6931556B2 (en) * 2002-01-16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ckground transfer of optical disk to hard disk
US8015266B1 (en) * 2003-02-07 2011-09-06 Netapp,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istent node names
JP2005006220A (ja) * 2003-06-13 2005-01-06 Sony Corp 入出力装置及び入出力管理システム
JP3997428B2 (ja) * 2003-09-25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81687B2 (ja) * 2005-01-06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7685166B2 (en) * 2005-01-19 2010-03-23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CN103295604B (zh) * 2013-05-23 2016-02-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播放的方法、装置及终端
WO2016154938A1 (en) * 2015-03-31 2016-10-06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flight behavior
EP4016227A1 (en) 2015-03-31 2022-06-22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operation data
EP3779699B1 (en) * 2019-08-16 2024-06-05 Aptiv Technologies AG Method for checking program execution of a microcontroller, external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330A (ja) * 1982-10-22 1984-04-28 Fanuc Ltd デ−タ入出力装置
JPH01223668A (ja) 1988-03-02 1989-09-06 Sharp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US5274772A (en) 1989-06-28 1993-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s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combining records into signal blocks for recording in a record medium
JPH04186447A (ja) * 1990-11-21 1992-07-0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KR940000426B1 (ko) * 1991-01-29 1994-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더빙시 영상신호 자동선택방법
JPH05307443A (ja) 1991-03-08 1993-11-19 Hitachi Ltd 磁気テープのデータ管理方法及び磁気テープ記憶装置
JPH05307449A (ja) 1992-04-30 1993-11-19 Fuji Xerox Co Ltd プリント・システム
US5508986A (en) * 1992-05-25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operation mode switching means
JPH06349142A (ja) 1993-06-07 1994-12-22 Hitachi Ltd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44926A (ja) * 1994-03-08 1995-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EP0637025A3 (en) * 1993-07-26 1997-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US5579183A (en) * 1994-04-08 1996-11-26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MPEG information signal on/from a record carrier
US5574905A (en) 1994-05-26 1996-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editing and data recovery
JPH0822679A (ja) 1994-07-01 1996-01-23 Canon Inc テープ状磁気記憶媒体とテープ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2922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31762B2 (ja) * 1994-11-22 2004-05-3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DE69631182T2 (de) * 1995-04-28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übertragungsverfahren
JPH08340514A (ja) * 1995-06-12 1996-12-24 Sony Corp 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システム
US6069902A (en) * 1995-06-14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eiv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537008B2 (ja) 1995-07-17 2004-06-1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音声符号化通信方式とその送受信装置
EP0756276B1 (en) * 1995-07-28 2001-09-19 Sony Corporation Consume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5933430A (en) * 1995-08-12 1999-08-03 Sony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method
JP3106937B2 (ja) 1995-11-14 2000-11-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パケットデータ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3243990B2 (ja) 1995-12-28 2002-01-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とそのパケットデータ記録装置
US5899578A (en) * 1995-12-25 1999-05-04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processing method, digital signal recording/playback device and digital signal playback method
US6144411A (en) * 1996-04-09 2000-1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format conversion capabilities
JPH1049412A (ja) 1996-08-07 1998-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録方法
JP3293514B2 (ja) 1997-03-21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KR19990044590A (ko) * 1996-07-15 1999-06-25 니시무로 타이죠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카피 방지 방법
US7068913B1 (en) * 1997-02-03 2006-06-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file management method
JPH10261626A (ja) 1997-03-21 1998-09-29 Tokyo Ohka Kogyo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このプラズマ処理装置を用いたアッシング法
US5909559A (en) * 1997-04-04 1999-06-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us bridge device including data bus of first width for a first processor, memory controller, arbiter circuit and second processor having a different second data 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4316D1 (de) 2006-06-01
US6711343B1 (en) 2004-03-23
EP0949614B1 (en) 2006-04-26
DE69834316T2 (de) 2006-09-21
EP0949614A1 (en) 1999-10-13
EP1538620A2 (en) 2005-06-08
CN1437194A (zh) 2003-08-20
CN100378853C (zh) 2008-04-02
EP1538620A3 (en) 2010-03-10
HK1022553A1 (en) 2000-08-11
CN1121035C (zh) 2003-09-10
KR100508814B1 (ko) 2005-08-18
CN1237263A (zh) 1999-12-01
WO1999004394A1 (fr) 1999-01-28
EP0949614A4 (en)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814B1 (ko)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CA2247601C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file management program, and optical disc
KR100620932B1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US6445877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US7840115B2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file management program, and optical disc
EP1486979B1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device
WO1999031590A1 (fr) Procede de memorisation de fichiers, appareil de memorisation de donnees, procede de gestion de supports d'information,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procede d'ecriture des donnees recues dans les supports d'information, et supports de memorisation de programmes
KR100518749B1 (ko)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EP0903940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100355181B1 (ko)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제어 방법
KR20000035410A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8171566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記録方法
TWI251139B (en) Data recording/regeneration device
JPH11328930A (ja) カセット管理方法とデータ記録装置
JP2006324010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