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749B1 -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749B1
KR100518749B1 KR10-1999-7006966A KR19997006966A KR100518749B1 KR 100518749 B1 KR100518749 B1 KR 100518749B1 KR 19997006966 A KR19997006966 A KR 19997006966A KR 100518749 B1 KR100518749 B1 KR 10051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information
fi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716A (ko
Inventor
구라노유키오
야마다마사즈미
이케타니아키라
주리다츠로
고바야시마사아키
나가오카요시토미
마츠미치요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229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76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351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스트림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그 입력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관리정보 해석수단과, 상기 입력데이터를 소정의 파일길이로 잘라내고, 상기 관리정보 해석수단으로 얻어지는 관리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형성수단과, 그 형성된 파일을 기록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입력데이터로부터 상기 파일을 커팅하는 개시점 및 종료점을 파일생성시 혹은 생성 전에 설정하는 커팅위치 규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일형성수단은 상기 설정된 개시점 및 종료점에 따라 상기 입력데이터를 커팅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Description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DATA PROCESS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FIL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영상, 음성의 디지털 스트림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할 때 데이터를 변환하고, 또한 컴퓨터에 입력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할 때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방법, 영상, 음성 및 컴퓨터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의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는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서, 자기테이프를 이용한 DVC, DVD 등이 있다. DVC, DVD 등의 저장매체와 컴퓨터를 IEEE1394에 대표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셋톱박스는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셋톱박스, DVC, DVD로부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보내지는 데이터는 스트림형식의 데이터이고, 연속한 데이터의 흐름이다. 그러나 이 연속된 스트림 데이터 상태로는 컴퓨터에 도입하여 다른 기존 컴퓨터 파일과 같이 취급할 수 없다. ·
예를 들면 DVC와 같은 기록재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에서는,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마다 기록일시를 나타내는 타임코드를 부여하면서 기록한다. 여기에서 타임코드는 분단위로 되어 있고, 초단위라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프레임/필드단위이다. 또한 일련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점에 헤드탐색 플래그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록재생장치에서는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은 기록한 개인이 파악하고 있을 뿐이고, 더구나 기록매체에 시일을 붙이거나 혹은 리스트를 카세트 케이스에 넣어 함께 보존하는 등의 처리가 요구된다. 또한 실제로 재생하려면 기록매체가 테이프라면 어디에 기록했는지는 빨리감기로 내용을 확인하면서 탐색할 필요가 있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취급할 수 있는 파일을 작성할 수 있고,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특히 DVC를 컴퓨터와 접속하고, 현존의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용 저장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검토하면 기존의 디지털 VCR에서는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밖에 기록할 수 없다. 또한 8mm 테이프나 DAT 테이프 등과 같이 기록매체 중에 PC 파일 데이터를 기록하는 특별한 스트리머용 포맷을 갖는 것도 있지만, 이 스트리머 모드에서 기록된 테이프는 기존의 8mm 테이프나 DAT 테이프 등의 포맷과 다르기 때문에 이 스트리머 모드에서 기록된 테이프를 8mm나 DAT 데크에 걸면 테이프를 잘못 인식하고,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 있어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고, 그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싶은 내용의 위치로 재빨리 액세스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기존의 디지털 VCR의 포맷을 활용하여 파일단위의 액세스 및 디지털 VCR의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의 기록이라는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에서도 문제없이 볼 수 있는 파일관리방법 및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는 외부기기와 컴퓨터의 접속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스트림 데이터의 커팅위치를 규정하는 장치를 포함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4는 접속된 외부기기명 및 종류를 해석하는 장치를 포함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5는 스트림 데이터 내의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장치를 포함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8은 제 4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블록도
도 9는 제 4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4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생성/관리되는 개별파일정보/전체파일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의 블록도
도 12는 파일관리기(41 또는 42)의 구성의 일례의 블록도
도 13은 파일관리기(41 또는 4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
도 14는 제 6 실시예의 파일관리기(4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
도 15는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 7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19는 디지털 VCR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다른 포맷의 데이터의 디지털 VCR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제 8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2는 제 9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3은 테이프 상의 기록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4는 제 10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5는 제 11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6은 제 12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7은 제 13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8은 제 14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29는 제 1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30은 제 16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31은 제 17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도 32는 소프트웨어의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
청구항 1의 본 발명은 스트림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그 입력데이터를 소정의 파일길이로 잘라내어 파일로 하고, 그 파일에 파일명을 할당하는 파일형성수단과, 그 형성된 파일을 기록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시스템이다.
청구항 2의 본 발명은 스트림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그 입력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관리정보 해석수단과, 입력데이터를 소정의 파일길이로 잘라내어, 관리정보 해석수단으로 얻어지는 관리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형성수단과, 그 형성된 파일을 기록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시스템이다.
청구항 6의 본 발명은 기록장치와 수신장치가 접속되어, 기록장치로부터 기록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할 때에 데이터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처리가 전송되는 기록데이터에 부가한 관리정보 및 수신장치의 종류에 따라 전송방법을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컴퓨터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작성한 컴퓨터 파일형식의 파일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파일명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데이터를 도입할 때 스트림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각 파일마다 혹은 관리정보만 일괄관리하여 기록함으로써 파일 탐색 등을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정보를 해석하는 기능 및 해석결과와 그 후의 처리장치가 처리 가능한 방법을 조회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처리방법을 선택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처리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9의 본 발명은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를 부가한 영상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의 기록불연속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기록불연속위치에서 상기 영상을 구분하여 파일로 하고, 소정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관리방법이다.
청구항 14의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일시에 관한 정보를 부가한 영상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의 기록불연속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된 기록불연속위치에서 상기 영상을 분할파일로 하여, 그 파일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화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장치이다.
청구항 19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 선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해 가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파일로 하는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파일정보를 기록하도록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파일관리방법이다.
청구항 20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 선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해 가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파일로 하는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파일정보를 2회 반복하여 기록하도록 데이터를 관리하고, 파일정보의 기록이 종료한 위치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파일관리방법이다.
청구항 21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 선두로부터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면서 데이터를 기록해 가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파일로 하는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다른 영역으로서 파일정보를 기록하도록 데이터를 관리하고, 1회째의 파일정보의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기록종료 위치정보로서 관리하는 파일관리방법이다.
청구항 22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 선두로부터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면서 데이터를 기록해 가며, 기록이 종료된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파일로 하는 파일정보를 생성하는 파일정보 생성수단과, 데이터와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제 1 기록수단과, 기록종료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이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 재생하고자 했을 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록된 데이터의 더빙이나 편집, 삭제, 분할 등도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파일정보로서 화면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확인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26의 본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소블록의 부호어가 이후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고,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청구항 27의 본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각 소블록의 양자화방법을 정한 클래스정보 및 각 소블록의 앞 화면으로부터의 모션에 관한 정보인 모션정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청구항 36의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전송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여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변환방법이다.
청구항 37의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는 기록매체의 전송 및 기록포맷과 동일하여 데이터 파일부분은 무효데이터영역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가 건너 띄어 판독하게 되므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에서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 기록시에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 이외에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의 영역은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울러 데이터 파일기록에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45의 본 발명은 소정의 전송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이고, 입력신호 중의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데이터영역으로 하여 범용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변환방법이다.
청구항 46의 본 발명은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이고, 입력신호 중의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영역으로 하여, 그 범용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청구항 45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는 특성을 활용하여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신호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46의 본 발명은 청구항 27, 37의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대하여, 엔드 오브 블록 부호 이외에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의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청구항 50의 본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단위로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고,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블록의 부호어 중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트랙 중의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파일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청구항 51의 본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단위로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고,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파일관리정보를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청구항 67의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여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변환방법이다.
청구항 68의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변환방법이다.
청구항 71의 본 발명은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이고, 입력신호 중의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변환방법이다.
청구항 72의 본 발명은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이고, 입력신호 중의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기록을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의 이름,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개시 위치정보, 파일크기, 파일종료 위치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재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각 파일이란 데이터 파일 뿐만아니라, 기존 디지털 VCR의 데이터에도 파일개시위치, 파일종료위치 또는 트랙수를 하나의 단위로서 결정하여 파일명, 갱신일시 등을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같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상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1은 입력장치, 2는 기록일시 작성기, 3은 파일형성기, 4는 저장장치, 5는 컴퓨터를 나타낸다. 이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5) 내의 입력장치(1)에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데이터가 입력된다. 도 2는 컴퓨터와 외부기기의 접속을 도시한다. 도 2에서 6은 셋톱박스, 7은 DVC, 8은 DVD를 도시한다. 셋톱박스(6), DVC(7), DVD(8)와 컴퓨터(5)는 각각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있고, 셋톱박스(6), DVC(7), DVD(8)로부터 컴퓨터(5) 내의 입력장치(1)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 입력데이터는 파일단위로 명확하게 분할되지 않은 스트림 데이터이다.
파일형성기(3)는 입력장치(1)로부터 보내진 입력데이터를 임의의 크기의 컴퓨터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기록일시 작성기(2)는 파일형성기(3)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고, 컴퓨터 파일이 형성되면 그 때의 일시를 작성하여, 그 일시데이터를 파일형성기(3)에 보낸다.
파일형성기(3)에서는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를 고정길이파일로 잘라낸다. 또한 일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잘라낸 파일에 파일명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파일형성기(3)에서 파일이 형성된 일시가 1997년 1월 23일 16시 26분 37초이면 파일명은「970123162637. KRN」이 된다.
파일형성기(3)에서 파일명이 할당된 원래의 입력데이터의 컴퓨터 데이터는 저장장치(4)에 기록되고, 이후 다른 통상의 컴퓨터 파일과 동등하게 취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로부터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를 컴퓨터(5) 내의 저장장치(4)에 저장할 때, 파일형식으로 기록하여 자동적으로 임의의 파일명이 할당되므로 컴퓨터(5) 내에서는 다른 컴퓨터 파일과 같은 취급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형성기(3)가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를 고정길이파일로서 잘라내었지만, 파일을 잘라내는 방법은 임의이다. 도 3은 커팅위치 지정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의 구성도이다. 도 3에서 9는 파일형성기, 10은 커팅위치 규정기, 11은 컴퓨터이다. 커팅위치 규정기(10)에서는 입력데이터를 컴퓨터(11)에 입력하였을 때 혹은 입력하기 이전에 미리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로부터 파일을 잘라내는 개시위치와 종료위치를 기록해 두고, 그 정보를 파일형성기(9)에 보내어 그 정보를 기초로 파일을 생성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5)로의 기록일시로 파일명으로 하고 있었지만, 상기 방법 이외에 입력데이터를 공급하는 외부기기명 혹은 종류에 따라 파일명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외부기기명, 종류에 따라 파일명을 할당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에서 12는 접속외부기기 판별기, 13은 파일형성기, 14는 컴퓨터를 도시한다. 컴퓨터(14)에 입력한 데이터는 접속외부기기 판별기 (12) 및 입력장치(1)를 통하여 파일형성기(13)에 보내진다. 접속외부기기 판별기 (12)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다중화되어 있는 입력장소 외부기기에 관한 정보를 해석하고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파일형성기(13)에 입력한다. 파일형성기(13)에서는 입력데이터를 잘라내어 컴퓨터 파일을 형성하고, 접속외부기기 판별기(12)에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파일명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가 DVD인 경우는 「DVD.KRN」이 된다.
또 도 4에서는 접속외부기기 판별기(12)에 의해 외부기기를 판별하고, 그것에 의거한 파일명을 할당하였지만, 입력데이터에 다중하여 전송되는 입력데이터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파일명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입력데이터에 다중하여 전송되는 입력데이터의 관리정보에 의해 파일명을 할당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에서 15는 관리정보 해석기, 16은 파일형성기, 17은 컴퓨터를 도시한다.
컴퓨터(17)에 입력된 데이터는 관리정보 해석기(15) 및 입력장치(1)를 통하여 파일형성기(16)에 보내진다. 관리정보 해석기(15)에서는 입력데이터를 도입하고, 거기에 다중화되어 있는 입력데이터에 관한 관리정보를 인출하고, 그 인출된 관리정보를 파일형성기(16)에 입력한다. 파일형성기(16)에서는 입력데이터를 잘라내어 컴퓨터 파일을 형성하고, 관리정보 해석기(15)로 얻어진 정보, 예를 들면 입력데이터가 작성된 일시, 입력데이터의 프로그램명 등을 기초로 파일명을 할당한다.
( 제 2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18은 관리정보 해석기, 19는 파일형성기, 20은 컴퓨터, 21은 커팅위치 규정기를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서술하기로 한다.
컴퓨터(20) 내의 입력장치(1)에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데이터를 입력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컴퓨터(20)는 입력장치(1)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20)에 입력된 데이터는 관리정보 해석기(18) 및 입력장치(1)를 통하여 파일형성기(19)에 보내진다. 관리정보 해석기(18)에서는 입력데이터를 도입하여 거기에 다중화되어 있는 입력데이터에 관한 관리정보를 인출하고, 그 인출한 관리정보를 파일형성기(19)에 입력한다. 또한 파일형성기(19)에는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의 파일로서의 커팅개시위치 및 종료위치를 커팅위치 규정기(21)로부터 입력한다. 또 커팅위치 규정기(21)로 규정하는 스트림 내의 파일개시, 종료위치는 입력데이터를 컴퓨터(20)에 입력하였을 때 혹은 입력하기 이전에 미리 설정해 둔다.
파일형성기(19)에서는 입력데이터에 의해 컴퓨터파일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형성한 파일마다 관리정보 해석기(18)로부터 입력된 관리정보의 일부 혹은 전부를 부가한다.
본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스트림형식의 입력데이터를 컴퓨터파일형식의 파일(이하 신파일)형식으로 기록하고, 또한 신파일 각각에 관리정보를 부가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신파일의 프로그램명, 스트림이 압축데이터이면 그 압축형식을 나타내는 정보, 스트림이 작성된 일시 등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기록되어 있는 신파일의 색인작성, 탐색 등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신파일마다 관리정보를 부가하였지만, 신파일에 부가하는 것에 덧붙여서 혹은 부가하는 대신 다른 기록영역, 예를 들면 컴퓨터 내의 다른 저장기록매체에 일괄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각 신파일에 파일명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 제 3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도시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에서 23은 저장장치, 24는 관리정보 해석기, 25는 파일 데이터 변환기, 26은 파일형식 선택기, 31은 제 1 파일처리기, 32는 제 2 파일처리기, 33은 제 3 파일처리기를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처리방법의 시스템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장치(23)에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성된 파일이 기록되어 있다. 즉 스트림형식으로 입력된 입력데이터를 컴퓨터 파일형식으로 잘라내고, 또 관리정보를 부가한 신파일이 저장장치(23)에 기록되어 있다. 저장장치(23)의 신파일은 관리정보 해석기(24)에 입력되어 각 신파일에 부가되어 있는 관리정보와 관리정보 이외의 실제 데이터로 분리된다.
파일형식 선택기(26)는 접속하고 있는 각 파일처리기(3l, 32, 33)의 파일처리방법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도 7에서는 제 1 파일처리방법으로 파일을 처리하는 제 1 파일처리기(31), 제 2 파일처리방법으로 파일을 처리하는 제 2 파일처리기(32), 제 3 파일처리방법으로 파일을 처리하는 제 3 파일처리기(33)가 파일형식 선택기(26)에 접속되어 있다. 파일형식 선택기(26)는 처리 가능한 파일형식이 제 1, 제 2 및 제 3 형식의 파일(이하, 각각 제 1 파일형식, 제 2 파일형식, 제 3 파일형식으로 함)의 처리가 가능한 것을 관리정보 해석기(24)에 전송한다.
관리정보 해석기(24)에서는 신파일의 처리방법이 처리 가능한 처리방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신파일이 처리 가능한 파일형식인 경우에는 신파일의 실제 데이터부를 직접 관리정보 해석기(24)로부터 파일형식 선택기(26)로 전송하고, 또 직접 관리정보 해석기(24)는 파일형식 선택기(26)에 실제 데이터부의 파일형식을 전송한다.
또 실제 데이터부가 처리 불가능한 파일형식인 경우에는 신파일의 실제 데이터부를 파일 데이터 변환기(25)에 입력한다. 파일 데이터 변환기(25)에서는 처리 불가능한 신파일의 실제 데이터부를 처리 가능한 실제 데이터부로 변환하고, 파일형식 선택기(26)로 전송한다. 또한 파일 데이터 변환기(25)는 변환한 처리형식을 파일형식 선택기(26)로 전송한다.
파일형식 선택기(26)에서는 전송된 실제 데이터부의 처리형식에 따라 제 1 파일처리기(31), 제 2 파일처리기(32) 혹은 제 3 파일처리기(33)에 각각 전송하고, 제 1 파일처리기(31), 제 2 파일처리기(32), 제 3 파일처리기(33)에서는 압축데이터의 신장 등의 처리를 행한다.
본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된 신파일을, 그 후의 파일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파일 데이터 변환기(24)에 의해 처리 불가능한 신파일에 관해서는 데이터 변환을 실시하고, 그 후의 처리를 행하였지만, 처리 불가능한 파일을 처리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관리정보 해석기(24)에 의해 처리 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 그 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또한 해당하는 처리기를 탑재하지 않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상 컴퓨터의 내부에 있어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파일화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특히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를 파일화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4 실시예 )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41은 영상신호 변환기, 42는 음성신호 변환기, 43은 보조정보 처리기, 44는 변환데이터 입출력기, 45는 기록/재생신호 처리기, 46은 제어회로, 47은 제 1 선택기, 48은 제 2 선택기, 49는 헤드, 50은 기록매체, 51은 파일관리기이다.
우선 영상신호 변환기(41)에서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고, 동시에 음성신호 변환기(42)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변환을 행한다. 제어회로(46)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보조정보 처리기(43)는 소정의 보조정보를 생성하고, 제 2 선택기(48)를 A측에 접속하고, 또 제 1 선택기(47)를 전환하면서 기록/재생신호 처리기(45)에서, 입력되는 변환된 영상신호·음성신호·보조정보를 기록신호로 포맷화하여 헤드(49)에 의해 기록매체(50)에 기록한다. 또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에 영상신호 변환기(41)에서 행해지는 소정의 변환을 행한 것과 같은 형식의 영상신호, 음성신호 변환기(42)에서 행해지는 소정의 변환을 행한 것과 같은 형식의 음성신호 및 보조정보를 입력하여 제 2 선택기(48)를 B측에 접속하고, 기록/재생신호 처리기(45)에서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로부터 입력되는 변환된 영상신호·음성신호·보조정보를 기록신호로 포맷화하여 헤드(49)에 의해 기록매체(50)에 기록한다. 제어회로(46)에는 기록/재생/탐색/정지라는 지시가 입력되고, 또한 영상신호, 음성신호 처리의 설정, 보조정보생성의 지시 등 외에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또 기록/재생신호 처리기(45)에서는 기록매체(50)로부터 헤드(49)로 재생한 신호를 처리하고, 제 2 선택기(48)와 제 1 선택기(47)를 통해서 영상신호 변환기 (41), 음성신호 변환기(42), 보조정보 처리기(43)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영상신호 변환기(41), 음성신호 변환기(42), 보조정보 처리기(43)에서는 각각 영상신호, 음성신호, 보조정보를 역변환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출력한다. 이 때 제 2 선택기(48)는 입력되는 신호를 영상신호 변환기(41), 음성신호 변환기(42), 보조정보 처리기(43)에 출력하는 동시에, 모두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에도 출력하고,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는 제 2 선택기(48)로부터 외부에 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파일관리기(5l)에도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에 출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입력한다. 파일관리기(51)에서는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구분해가서 구분된 신호의 각각에 개별파일정보를 생성하여 파일로 한다. 또한 파일관리기(51)에서는 이 기록매체 전체에 관련된 전체 파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별파일정보와 정리하여 파일정보로 하고, 제 2 선택기(48)를 C측으로 전환하여 그 파일정보를 기록/재생신호 처리기(45)에서 기록신호로 포맷화하여 기록매체(50)에 기록한다.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는 각종 신호 뿐만아니라 데이터 기록장치에 주어지는 지시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터에 의해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기록한 기록매체의 상태의 일례를 도 9에 도시한다. 또한 파일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점에 파일정보 전용의 헤드탐색 플래그를 동시에 기록한다. 이 헤드탐색 플래그는 고속탐색시에도 재생할 수 있는 대략의 정보이거나 통상 재생시에만 재생할 수 있는 일점을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그 양쪽이거나 상관없다.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마다 기록일시를 나타내는 타임코드를 부여하면서 기록한다. 여기에서 타임코드는 분단위로 되어 있고, 초단위라도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프레임/필드단위이다.
생성된 개별파일정보/전체파일정보의 일례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서 카세트 ID, 카세트 레이블은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설정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또한 파일정보 기록위치는 이 파일정보의 기록을 시작한 위치이고, 여기에서는 타임코드로 나타내었지만, 기록매체의 처음부터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차는 있을 수 있음)도 부가하여 기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번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파일수는 개별파일정보가 얼마정도 있는가를 알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예를 들면 파일정보 전체의 크기가 판명되어 있다면 파일관리기(51)에서 파일을 카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추가기록만 하는 경우에는 소거동작으로서 실제로는 데이터가 기록매체 상에 존재하지만, 개별파일정보에 참조불가를 나타내는 마크를 붙여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때에는 기록파일수의 항목으로서는 외부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파일수와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 수 중 어느 한쪽이거나 혹은 양쪽의 정보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테이프길이는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설정해 두면 나중에 외부로부터 파일을 기록하고자 했을 때에 그 크기를 조사하여 기록용량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파일관리기(51)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로그정보도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어떠한 처리를 행하였는지/어떠한 트러블이 발생되었는지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다.
각 파일에는 명칭, 파일크기, 기록개시위치가 필요하다. 파일관리기(51)는 타임코드를 바탕으로 명칭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날짜를 디렉토리명, 시간을 파일명으로 한 예이지만, 적당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기록개시위치로서, 이들 파일에 대해 간단히 헤드탐색할 수 있는 정보를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는 타임코드로 하였지만, 기록매체의 처음부터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 혹은 처음부터 몇번째의 헤드탐색 플래그의 위치라는 지정도 가능하다.
파일크기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시간정보로 나타내었지만, 바이트수이거나 트랙수이거나 문제는 없다.
기록데이터 종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단일하면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의 형식이 복수 있으면, 그 식별을 할 수 없으면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가 있게 되어, 이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한 재생하고자 했을 때에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록된 데이터의 더빙이나 편집, 삭제, 분할 등의 처리도 파일을 단위로서 지시함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 제 5 실시예 )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영상신호 변환기(41), 음성신호 변환기(42), 보조정보 처리기(43), 변환데이터 입출력기(44), 기록/재생신호 처리기(45), 제어회로(46), 제 1 선택기(47), 제 2 선택기(48), 헤드(49), 기록매체(50)는 제 4 실시예와 같은 것이며, 52는 파일관리기, 53은 보조기록매체로 하고, 보조기록매체(53)는 기록매체(50)를 수납한 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록이나 재생이라는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파일정보를 기록매체(50)에 기록할 때에는 보조기록매체(53)에도 같은 내용을 기록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조기록매체(53)에 파일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일단 인출한 후에 또한 재생하고자 했을 때에 기록매체(테이프)(50) 상의 파일정보를 탐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카세트의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파일관리기(51 또는 52)의 구성의 일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61은 전체파일정보 생성기, 62는 개별파일정보 생성기, 63은 파일정보 선택기, 64는 헤드탐색 플래그 검출기이다.
우선 헤드탐색 플래그 검출기(64)는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헤드탐색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헤드탐색 플래그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이라면 기록된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에 출력한다.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구분하여 소정의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파일수 정보를 전체파일정보 생성기(61)에 출력한다. 전체파일정보 생성기(61)에서는 파일수 정보를 비롯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현상태에서 마지막 데이터를 검출하여 파일정보의 기록개시위치를 정한다. 파일정보 선택기(63)는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상태에 데이터 기록장치가 제어되어 있을 때에 전체파일정보와 개별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에서는 적당한 화면을 선택하여 파일정보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당한 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선두화면이나, 재생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지정된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가 있게 되어, 여러가지 처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파일정보로서 화면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확인하기 쉽게 된다.
도 13에 파일관리기(51, 5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체파일정보 생성기(61),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 파일정보 선택기(63)는 도 12와 같은 것이고, 65는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이다. 도 13의 (b)에 타임코드 불연속기 (65)의 블록구성을 도시한다. 66은 타임코드 추출기, 67은 이전값 유지기, 68은 비교기이다.
전체파일정보 생성기(61),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 파일정보 선택기(63)는 도 12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타임코드 불연속 검출기(65)는 우선 타임코드 추출기(66)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타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1단위시간 전의 값을 이전값 유지기(67)로 옮긴다. 1단위시간 전의 값과 현재 입력된 값을 비교기(68)에서 비교하고, 타임코드의 연속성이 유지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기록하는 데이터를 파일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어, 도 12의 예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의 처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2의 예와 도 13의 예를 조합하여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12나 도 13에 나타낸 파일관리기를 종래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도입함으로써,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기술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추가기록을 하면 이 파일정보에는 무효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게 되어 파일정보를 일부 덧쓰기 소거하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 제 6 실시예 )
도 14에 파일관리기(52)의 구성의 다른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체파일정보 생성기(61), 개별파일정보 생성기(62), 파일정보 선택기(63)는 도 13과 같은 것이고, 69의 헤드탐색 위치검출기는 도 12 또는 도 13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블록이다. 또한 71은 보조기록 매체용 정보생성기이다.
보조기록 매체용 정보생성기(71)는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준비되어 있는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파일정보를 기록한 영역을 관리하는 것이다.
보조정보로서 준비되어 있는 정보 중 프로그램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엔드),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한 정보(챕터)를 이용할 수 있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 엔드를 파일정보의 직전 위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해 두면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는 파일정보를 인식하지 않고 파일정보를 전부 소거하여 버린다. 다시 파일화하여 파일정보를 다시 만들 필요가 생기지만 트러블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정보를 반복하여 2회 기록하고, 타이틀 엔드를 2회째의 파일정보 직전의 위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해 두면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는 2회째의 파일정보를 인식하지 않고 전부 소거하여 버린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장치는 이러한 상태가 된 기록매체에 대해서도 2조의 파일정보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이상상태에 있는 것은 인식할 수 있고, 우선 1조는 파일정보가 남아 있으므로 그 이전의 데이터에 있어서는 문제없이 파일을 재구축할 수 있다. 이전의 파일정보의 무효화는 파일정보 전용의 헤드탐색 플래그를 오프상태로 하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 엔드를 파일정보가 종료한 위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고, 데이터와 파일정보를 다른 챕터로서 두면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에서는 파일정보를 완전히 남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장치는 이러한 상태가 된 기록매체에 대해서도 타이틀 엔드의 위치, 챕터의 구성으로부터 이상상태에 있는 것은 판단할 수 있고, 우선 파일정보가 남아있으므로 그 이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문제없이 파일을 재구축할 수 있다. 이전의 파일정보의 무효화는 파일정보 전용의 헤드탐색 플래그를 오프상태로 하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데이터 기록장치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또 전체파일정보, 개별파일정보의 항목은 일례이고, 다른 정보를 이용한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일관리기를 데이터 기록장치에 내장하는 형태로서 기재하였지만, 외부에서 변환데이터 입출력기를 통해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얻어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변환데이터 입출력기를 통해서 파일정보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은 실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을 컴퓨터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여 이것을 플로피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된 다른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이프에 실제로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7 실시예 )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81은 기록재생장치, 83은 카세트, 82는 MIC, 8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90은 퍼스널 컴퓨터(PC), 91은 하드디스크(HDD), 93은 CPU, 94는 메모리, 85, 95는 인터페이스, 1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1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는 EOB 부가수단, 1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는 스위치, 1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을 도시한다.
이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은 PC(90)의 하드디스크(9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에는 데이터명의 확장자나 데이터에 부가된 관리정보가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지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때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조건, 예를 들면 DVC 표준의 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등도 입력데이터 판정수단(100)에 의해 판정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여기에서는 비디오의 패킷을 나타낸다. 패킷 중에는 6개의 소블록의 DCT(이산 코사인변환) 부호데이터를 수납하고, 그 중의 직류성분은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되고 혹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또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인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어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입하여 출력한다. 또 DVC 이외의 데이터형식의 경우에도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을 이용하여 데이터 속도 등에 의해 25Mbps 모드에 대응하여 기록해야 할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하여 기록해야 할 데이터인지를 판별하여, 그 판정에 따라 패킷의 헤더나 특정한 패킷 내의 값을 적절한 것으로 전환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도 20의 (a)는 25Mbps 모드의 DVC 패킷 중, 비디오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a)와 마찬가지로, 패킷 중에는 6개의 소블록의 DCT (이산 코사인변환) 부호데이터를 수납하여, 그 속의 직류성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EOB 부가수단(102)은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에 의해 생성되는 어드레스, 즉 각 소블록의 모션성분, 클래스정보 및 직류성분 직후의 어드레스에 이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에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EOB(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이 조작에 의해 EOB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 12바이트 또는 8바이트, 1DVC 블록 전체에서 64바이트가 기존의 DVC 데이터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어 이 영역에 어떤 데이터를 할당하더라도 DVC 재생의 화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직류성분의 데이터에 의해서만 복합화상이 표시된다.
도 20의 (b)는 12.5Mbps 모드의 DVC 패킷 중, 비디오의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b)와 마찬가지로 패킷 중에는 8개의 소블록의 DCT(이산 코사인변환) 부호데이터를 수납하여, 그 속의 직류성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EOB 부가수단(102)은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에 의해 생성되는 어드레스, 즉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직후의 어드레스에 이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에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EOB(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또한 DVC 이외의 데이터기록에서는 불필요하게 되는 모션성분 및 클래스정보의 기록위치에도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모션정보, 클래스정보, 직류성분의 조합이 특별한 경우에는 무효한 블록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데이터형식 변환처리수단(105)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와 직류성분의 비트의 조합패턴이 상기 특별한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정하여, 일치한 경우에는 직류성분의 9비트째를 변환한다.
이 조작에 의해 EOB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 12바이트 또는 8바이트, 덧붙여 각각 4비트, DVC 블록 모두에서 도 20의 (a)와 같은 64바이트가 기존의 DVC 데이터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어, 이 영역에 어떤 데이터를 할당하더라도 DVC 재생의 화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직류성분의 데이터에 의해서만 복합화상이 표시된다.
상기의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83)에 기록된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번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이 된다.
( 제 8 실시예 )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1에서 108은 데이터 종별부호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데이터 종별부호 생성수단(108)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 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 플래그는 카세트(83)가 외부기억장치인 MIC(82)를 갖는 경우에는 거기에도 기록된다.
상기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83)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기록 기능과 디지털 VCR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기록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하는 것과 아울러 어느쪽 형식으로 기록하였는지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CR 데이터의 양쪽을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번쓰기 등을 행할 수도 있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이 된다.
( 제 9 실시예 )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2에서 109는 기록데이터량 정보생성수단, 111은 무효데이터 생성수단, 110은 기록데이터량 측정수단을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테이프 상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지만, DVC에서는 테이프로의 기록데이터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PC로부터의 입력데이터 속도가 가변인 경우에는 일정한 기록데이터가 되도록 무효인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야 한다. 기록데이터량 측정수단(110)에 의해 1트랙분 1/299.7초의 사이에 입력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 여기에서는 64바이트× 128 = 2k바이트와의 차분의 데이터량의 무효데이터를 무효데이터 생성수단(111)으로 생성하여 입력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또 기록데이터량 측정수단(110)의 측정량을 기록데이터량 정보생성수단(109)에서 플래그로서 생성하여 입력신호에 다중화하여 기록한다. 이 플래그는 카세트(83)가 외부기억장치인 MIC(8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속에도 기록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데이터기록 가능한 영역, 즉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의 크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때, 혹은 실시간성을 유지하면서 변환, 기록하려고 하였지만, 기존 데크의 기록속도라고 입력된 데이터 속도가 다를 때 무효한 더미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두고, 재생시에는 부가된 무효한 더미데이터를 제거하여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 번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무효한 더미데이터의 양에 의해 변하지만, 최악의 경우 1/2이 된다.
( 제 10 실시예 )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4에서 2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2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202는 EOB 부가수단, 2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204는 스위치, 2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2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그것에 접속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 중에서 변환한 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제 9의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200)은 PC(90)의 하드디스크(9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인터페이스(95)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입력되어 도 20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입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상기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장치(81)에 출력되어,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기록기능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을 기존의 디지털 VCR에서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번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이 된다.
( 제 11 실시예 )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5에서 2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2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202는 EOB 부가수단, 2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204는 스위치, 2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2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208은 데이터 종별부호 생성수단을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또 그것에 접속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 중에서 변환한 후에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제 10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로 차례로 재기입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생성수단(206)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2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상기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장치(81)에 출력되어,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83)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 VCR 데이터 및 그 이외의 데이터를 전환하여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기록기능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CR의 데이터의 양쪽을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에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는 기록매체의 전송 및 기록포맷과 동일하여 데이터 파일부분은 무효데이터영역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가 도약하므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에서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번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무효한 더미데이터의 양에 의해 변하지만, 최악의 경우 1/2이 된다.
( 제 12 실시예 )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6에서 220은 데이터량 측정수단, 221은 무효데이터 생성수단, 222는 데이터량 정보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또 그것에 접속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재생 혹은 PC 중의 하드디스크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제 11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입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장치(81)에 보내지고,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83)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테이프 상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지만, DVC에서는 테이프로의 기록데이터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PC로부터의 입력데이터 속도가 가변인 경우에는 일정한 기록데이터가 되도록 무효한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량 측정수단 (220)에 의해 1트랙분 1/299.7초 사이에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 여기에서는 64바이트×128 = 2k바이트와의 차분의 데이터량의 무효데이터를 무효데이터 생성수단(221)에 의해 생성하여 입력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또 데이터량 측정수단(220)의 측정량을 데이터량 정보생성수단(222)에 의해 플래그로서 생성하여 입력신호에 다중화하여 기록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데이터기록 가능한 영역, 즉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로 되는 데이터영역의 크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때, 혹은 실시간성을 유지하면서 변환, 기록하려고 하였지만, 기존의 데크의 기록속도와 입력된 데이터 속도가 다를 때 무효한 더미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부가된 무효한 더미데이터를 제거하여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에서 1트랙 중의 데이터량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입력시의 설정으로서 10트랙 등, 다른 단위라도 된다. 또한 카세트가 외부기억장치인 MIC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속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 제 13 실시예 )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7에서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O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O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기록재생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 중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제 12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기록재생 처리회로(8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 데이터의 두 번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에 의해 일정시간에 입력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과의 차분의 데이터량의 무효데이터를 무효데이터 생성수단(221)으로 생성하여 입력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의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기록 기능과 디지털 VCR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기록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하는 것과 아울러 어느 형식으로 기록하였는지를 아울러 기록한 테이프로부터 카세트가 외부기억장치인 MIC를 갖는 경우에는 그 중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 제 14 실시예 )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8에서 3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04는 스위치, 3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기록재생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 중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제 13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300)은 기록재생 처리회로(8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 즉 도 20에 도시된 형식의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한 데이터의 두번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카세트(83)가 외부기억장치인 MIC(8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속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의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C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의 기능과 상기 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와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로 기록된 테이프를 모두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 제 15 실시예 )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에서 3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04는 스위치, 3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 307은 데이터량정보 판별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기록재생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 중으로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 실시예∼제 14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 데이터의 두 번 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량정보 판별수단(307)을 이용하여 입력신호 중의 데이터량 정보로부터 1트랙 2k바이트 중에 어느 정도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판별된 데이터량 이후의 데이터는 무효 데이터로 하여 제거한 후 출력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CR 데크의 기록의 기능과 디지털 VCR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기록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하는 동시에 어느 형식으로 기록했는지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CR 데이터를 모두 문제없이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에 의하면 입력된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의 각 트랙의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를 입수하여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의 각 트랙 중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량만을 출력함으로써 가변속도로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트랙 중의 데이터량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입력시의 설정으로서 10트랙 등, 다른 단위라도 된다. 또한 카세트(83)가 외부기억장치인 MIC(8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속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 제 16 실시예 )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0에서 4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40l은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 402는 파일관리정보 위치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 ∼제 15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PC 상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 7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록재생장치에 입력되어 기록되었다고 한다.
이 때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401)에 의해 DVC 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PC(90)상 등으로부터 파일로서 취급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상의 연속된 어떤 일정구간을 파일로 간주하여, 파일의 이름, 개시위치, 크기, 기록일시 등을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PC(90)에 설정된 타이밍, 예를 들면 DVC와의 접속 프로그램 종료 직전에 DVC에 통상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송신된다.
여기에서 각 파일이란 데이터 파일뿐만 아니라 기존의 디지털 VCR의 데이터에도 파일 개시위치, 파일 종료위치 또는 트랙수를 1개의 파일의 단위로서 결정하여 파일의 이름, 갱신일시 등을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같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400)은 PC(90)의 하드디스크(9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 파일관리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조건, 예를 들면 DVC 표준의 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등도 입력데이터 판정수단(400)에 의해 판정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파일관리정보인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입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 (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7 실시예와 같이 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생성수단(106)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4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 것인지의 여부의 플래그, 또한 파일관리정보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및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또한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정보 생성수단(402)은 테이프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입력신호 중에 다중화시킨다. 이것은 테이프 상의 선두 혹은 MIC(82)상 등의 특정위치에 기록해도 되고,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모든 트랙에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보조정보로서 기입해도 된다.
상기의 변환을 실시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86)에 의해 카세트(83)에 기록된다.
또 오류내성 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두 번 쓰기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기록을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의 이름,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개시 위치정보, 파일 크기, 파일종료 위치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한 파일 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거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 제 17 실시예 )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1에서 5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504는 스위치, 5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50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7 ∼제 16 실시예와 같은 번호의 블록은 같은 기능을 갖는다.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 판정수단(501)은 테이프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를 판정하여 그 위치로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이것은 테이프 상 혹은 MIC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정보를 판독해도 되고,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보조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500)은 기록재생 처리회로(8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 또 파일관리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입력한 데이터를 스위치(504)에 의해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의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인 경우, 즉 도 20에 도시된 형식인 경우에는 스위치(504)로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5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5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5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 중 어느 것으로 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 데이터의 두 번 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a), 12.5Mbps 모드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도 20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카세트(83)가 외부기억장치인 MIC(8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속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또 이상의 조작은 소프트웨어로도 실현가능하고, 소프트웨어로 각 기능을 치환해도 상관없다. 이 프로그램을 플로피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32에 소프트웨어를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2의 (a)는 기록매체 본체인 플로피 디스크의 물리포맷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동심원 상에 외주로부터 내주로 향하여 트랙을 형성하고, 각도방향으로 16의 섹터로 분할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된 영역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도 32의 (b)는 이 플로피 디스크를 저장하는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왼쪽으로부터 플로피 디스크의 정면도 및 그 단면도, 그리고 플로피 디스크를 각각 도시한다. 이와 같이 플로피 디스크를 케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디스크를 먼지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지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32의 (c)는 플로피 디스크에 프로그램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접속함으로써 디스크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기록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구를 통하여 내장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기록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다. 재생하는 경우에는 플로피 디스크가 프로그램을 디스크로부터 판독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한다. 또 기록매체로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록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 IC 카드, ROM 카세트 등,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이라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기록을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의 이름,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개시 위치정보, 파일 크기, 파일종료 위치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거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이후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7.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상기 각 소블록의 양자화방법을 정한 클래스정보 및 상기 각 소블록의 앞 화면으로부터의 모션에 관한 정보인 모션정보가 상기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상기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상기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직후에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9.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패킷 내의 상기 각 소블록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부속정보 기록영역으로 하고, 남은 기록패킷 내의 상기 각 소블록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며, 상기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하여 상기 부속정보 기록영역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부속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정보는 상기 부속정보 기록영역 내에서 복수회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1.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기록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부호를 소정 개수의 상기 기록패킷의 집합인 트랙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3.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각 트랙 중에 실제로 기록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인 트랙내 데이터량정보를 상기 각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4.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트랙 내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를 전부 무효로 하여 기록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트랙 내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효트랙정보를 상기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5.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1개의 파일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연속한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6.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전송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을 범용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37.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38.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직후에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39.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패킷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입력된 데이터를 배치하고, 남은 기록패킷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상기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부속정보가 배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0.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변환데이터 종별부호를 트랙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2.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각 트랙 중에 실제로 할당되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인 트랙내 데이터량정보를 상기 각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3.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각 트랙 내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가 되도록 배치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 아울러, 각 트랙 내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효트랙정보를 상기 각 트랙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4.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1개의 파일로서 입력된 데이터는 연속된 트랙에 배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5.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을 범용데이터영역으로 하여 상기 범용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6.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데이터영역으로 하여, 그 범용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7.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에서 데이터 종별부호를 검출하여 그 데이터 종별부호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에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종별부호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범용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8.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각 트랙의 트랙 내 데이터량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의 각 트랙 중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상기 트랙 내 데이터량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량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9.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각 트랙의 무효트랙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무효트랙정보가 검출된 트랙 중의 범용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는 유효한 데이터로서 출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50.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단위로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블록의 부호어 중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소정의 트랙 중의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파일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1.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패킷단위로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상기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상기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2.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의 직후에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3.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연속된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4.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뒤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5.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최신의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에는 기록매체 상의 모든 파일의 최신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6.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할 때에 이미 기록매체 상에 존재하는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7.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새롭게 데이터를 추가 기록할 때에는 이전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에 새롭게 추가하는 데이터를 덧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8.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로서 각 파일의 갱신일시 및 파일의 기록매체 상의 개시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개시위치정보 및 파일 크기에 관한 정보 및 파일의 기록매체 상의 종료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종료 위치정보 또는 파일기록에 사용한 트랙수에 관한 정보인 트랙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9.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각 파일의 종료위치가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파일의 종료위치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종료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0.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각 파일이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파일을 다른 파일과 구별하는 정보인 파일 ID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1.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의 트랙에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의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관리정보 트랙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2.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이 존재하는 트랙에 데이터의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인 인덱스 ID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3.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의 소거에는 적어도 파일관리정보 트랙 플래그와 인덱스 ID를 무효로 하도록 재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4.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이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인 파일관리정보 존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5.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수납한 틀체에 부착된 보조정보 기억매체 상에 파일관리정보 존재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6.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수납한 틀체에 부착된 보조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 상의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 정보영역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7.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상기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68.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상기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69. 제 67항 또는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직후에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0. 제 67항 또는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연속된 트랙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1.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전송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2.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정보 및 모션정보가 기록패킷 중의 고정위치에 존재하는, 소정의 전송패킷단위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서 중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뒤의 부분 및 클래스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및 모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3.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각 파일의 개시위치가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파일의 개시위치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개시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99-7006966A 1997-02-03 1998-01-30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KR10051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897A JPH10222932A (ja) 1997-02-03 1997-02-03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9-20198 1997-02-03
JP5727997 1997-03-12
JP???9-57279 1997-03-12
JP06765397A JP3293514B2 (ja) 1997-03-21 1997-03-21 記録再生装置
JP???9-67653 1997-03-21
PCT/JP1998/000401 WO1998034229A1 (fr) 1997-02-03 1998-01-30 Systeme de traitement des donnees, dispositif enregistreur/lecteur, technique de traitement des donnees et methode de gestion de fich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716A KR20000070716A (ko) 2000-11-25
KR100518749B1 true KR100518749B1 (ko) 2005-10-05

Family

ID=2728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966A KR100518749B1 (ko) 1997-02-03 1998-01-30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68913B1 (ko)
EP (1) EP0997908A4 (ko)
KR (1) KR100518749B1 (ko)
TW (1) TW421784B (ko)
WO (1) WO1998034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1343B1 (en) 1997-07-17 2004-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file managing method, fil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file managing method,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management information analyzing device, and medium
KR100632063B1 (ko) * 1999-07-29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테이프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DE60036453T2 (de) 1999-11-22 2008-06-19 Sony Corp. Videoband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und videobandabspielgerät
US6937814B1 (en) * 2000-04-14 2005-08-30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 while recording processing
KR100736495B1 (ko) * 2001-01-09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방법
US7565057B2 (en) 2001-04-20 2009-07-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050811A (ja) * 2001-08-07 2003-02-21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撮像装置
KR100761474B1 (ko) * 2001-08-23 200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및 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음성출력방법과 파일명/디렉토리명 기록방법
JP2003257152A (ja) * 2002-02-28 2003-09-12 Sony Corp 記録媒体、テープドライブ装置
JP2005108193A (ja) 2003-09-09 2005-04-21 Canon Inc 動画システム、動画抽出装置及び動画抽出方法
JP4718798B2 (ja) * 2004-06-08 2011-07-06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765764B1 (ko) * 2005-11-10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재생 장치 및 그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158A (ja) * 1993-11-12 1995-06-02 Hitachi Comput Eng Corp Ltd データ編集システム
JPH08124295A (ja) * 1994-10-25 1996-05-17 Sony Corp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61872A (ja)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ン検索装置とシーン検索方法
JPH08221303A (ja) * 1995-02-16 1996-08-30 Sony Corp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7887A (ja) 1990-11-30 1992-07-29 Toshiba Corp 画像監視装置
JPH04207877A (ja) * 1990-11-30 1992-07-29 Toshiba Corp 動画像管理装置
JPH05290549A (ja) 1992-04-06 1993-11-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編集支援装置
US5444490A (en) * 1992-07-07 1995-08-22 U.S. Philips Corporation Television system for transmitting pictures in a digital form
CA2127918A1 (en) * 1993-08-02 1995-02-03 Maria Magdalena Kapuscinski Dimensionally stable solid polymer blend and a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6434319B1 (en) * 1994-01-19 2002-08-13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for digital HDTV
KR0146127B1 (ko) * 1994-11-26 1998-09-15 구자홍 디지탈 에치디티브이용 브이씨알의 변속재생 장치
US5550643A (en) * 1994-12-22 1996-08-27 Kabushiki Kaisha Toshiba Trick-play VCR for digitally coded vide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158A (ja) * 1993-11-12 1995-06-02 Hitachi Comput Eng Corp Ltd データ編集システム
JPH08124295A (ja) * 1994-10-25 1996-05-17 Sony Corp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61872A (ja)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ン検索装置とシーン検索方法
JPH08221303A (ja) * 1995-02-16 1996-08-30 Sony Corp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716A (ko) 2000-11-25
TW421784B (en) 2001-02-11
EP0997908A1 (en) 2000-05-03
WO1998034229A1 (fr) 1998-08-06
US7068913B1 (en) 2006-06-27
EP0997908A4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877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US7778516B2 (en) Identify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EP06967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data, dat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data
US20020131761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to/from the medium
KR100508814B1 (ko)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US20080069523A1 (en) Coded data control device
JP4485125B2 (ja) 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当該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又は方法で記録されたディスク
US6362928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5251392A (ja) マルチチャネルストリームの記録装置及び方法と、それによる記録媒体
KR100518749B1 (ko)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AU1157800A (en) Signal processing on information files so as to obtain characteristic point information sequences
WO2006052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information on picture data sections in a data stream and for using the information
KR20000050606A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365844B1 (ko) 광 디스크
KR101051063B1 (ko) 영상 수록 재생 장치, 영상 수록 방법, 영상 재생 방법 및 영상 수록 재생 방법
EP0750430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data
KR20000016370A (ko) 기록 재생장치
JPH11328930A (ja) カセット管理方法とデータ記録装置
JP2003052017A (ja) Av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当該avデータ記録装置又は方法で記録されたディスク、並びに当該ディスクを再生するav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又は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3293514B2 (ja) 記録再生装置
JP3733039B2 (ja) デジタルvtrにおける記録時刻指定による検索方法
KR20000040346A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방법 및 탐색방법
KR20000051807A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탐색방법
KR20000040843A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타임 맵 정보 생성 기록방법
JPH09320244A (ja) テープメディア用記録方法及びテープメディ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