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75A - O/w/o형 복합에멀젼 - Google Patents

O/w/o형 복합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75A
KR20000068575A KR1019997002223A KR19997002223A KR20000068575A KR 20000068575 A KR20000068575 A KR 20000068575A KR 1019997002223 A KR1019997002223 A KR 1019997002223A KR 19997002223 A KR19997002223 A KR 19997002223A KR 20000068575 A KR20000068575 A KR 2000006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oil
acid
type
type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583B1 (ko
Inventor
세키네도모코
마츠자키후미아키
야나키도시오
야마구치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6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13Multiple emulsions, e.g. oil-in-water-in-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16/00Colloid systems and wetting agents; subcombinations thereof; processes of
    • Y10S516/902Gelled emul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외상유중에 O/W형 에멀젼이 분산한 O/W/O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內相)의 O/W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유-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 또는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유-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과, 유성성분과, 물을 함유하고, 상기 외상유중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O/W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이다. 경시 안정성이 높고, 사용성이 양호한 O/W/O형 복합에멀젼이다.

Description

O/W/O형 복합에멀젼{O/W/O TYPE MULTIPHASE EMULSION}
수중유형(水中油型)유화조성물(乳化組成物)(이하, O/W 형 에멀젼이라고 칭한다)을 다시 유상(油相)중에 유화분산시킨 유중수중유형(油中水中油型)유화조성물은, O/W/O 형 복합에멀젼 또는 O/W/O형 멀티플 에멀젼이라고 불리고,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의 각종 공업적용도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즉, 통상의 O/W 형 에멀젼이 단지 수상(水相)중에 유상을 분산시킨 것인데 대하여, O/W/O형 복합에멀젼의 입자구조는 도1에 나타내듯이 외상유(10)중에 분산된 수상(12)중에 다시 내상유(14)가 분산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단순한 O/W 형 또는 W/O 형 에멀젼에서는 얻어지지않는 특수한 사용감의 부여가 가능하다.
한편, 안정된 복합에멀젼을 얻기위해서, 예컨대, 특개평(特開平) 8-323188호 공보에는, 친수성 비이온 활성제를 써 내상(內相)이되는 O/W형 미세에멀젼을 조제하고, 이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외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에 분산유화하는 공정이 기재되어 있고, 이 조제법에 의해서 얻어진 복합에멀젼은 내상유와 외상유와의 합일(合一)이 억제되어, 경시적 안정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통상, 크림의 융합을 향상시키기위해서, 고급 알콜이나 왁스 등의 고형, 반고형유분을 배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외상유에 포함하는 O/W/O형 복합 에멀젼에 있어서는, 비이온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한 내상의 O/W 형 에멀젼 혹은 외상유에, 이들 고형, 반고형유분을 배합하면 경시 안정성이 나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의 관점에 감안하여, 안정된 O/W/O형 복합에멀젼을 얻도록 예의 연구를 한 결과, 특정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양친매성물질(兩親媒性物質)과 계면활성제를 O/W 형 에멀젼에 함유시키고, 또, 외상유에 유기변성점토광물(有機變性枯土鑛物)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시켜, 특정한 중량비로 O/W 형 에멀젼을 외상유중에 분산시키면, 안정되게 고형 또는 반고형유분을 내상의 O/W 형 에멀젼에 배합할 수 있고, 기제(基劑)의 피부로의 융합이 개선된 경시 안정성이 양호한 O/W/O 형 복합에멀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술의 관점에 감안하여, 안정된 O/W/O 형 복합에멀젼을 얻도록 예의 연구를 한 결과, 특정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長鎖)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을 O/W 형 에멀젼에 함유시키고, 또, 외상유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시켜, 특정한 중량비로 O/W 형 에멀젼을 외상유중에 분산시키면, 안정되게 고형 또는 반고형유분을 내상의 O/W 형 에멀젼으로 배합할 수 있고, 기제의 피부로의 융합이 개선된 경시안정성이 양호한 O/ W/O 형 복합에멀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내상이 되는 O/W 형 에멀젼에 포함되는 유분이 제한되지않고, 사용성을 개선하기위해서 고형 또는 반고형유성분을 포함시킨 경우에서도,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O/W/O 형 복합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는, O/W 형 에멀젼을, 외상유(外相油)중에 분산하여 얻어지는 경시안정성(經時安定性)이 우수한 O/W/O 형 복합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O/W/O 형 복합에멀젼의 개념도이고,
도 2는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의 중화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O/W 형 에멀젼의 개념도이다.
즉, 본원의 제1의 발명은, 외상유중에O/W 형 에멀젼이 분산한 O/W/O 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의 O/W 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유(油)-수계(水系)에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와, 유성성분과, 물을 함유하여, 상기 외상유중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이고,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친매성물질은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12이상인 고급알콜 및/ 또는 고급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가 고급지방산의 금속비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은 수팽윤성점토광물(水膨潤性粘土鑛物)을 제4급 암모늄형 카티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상유에 분산된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양친매성물질이 고급알콜 및 고급지방산량이고, 계면활성제가 해당 고급지방산을 중화한 금속비누이고, 해당 양친매성물질이 O/W 형 에멀젼의 내상유중의 0. 1∼8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중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중에, 내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을 첨가하여 고압유화처리 또는 초음파유화처리하여 O/W 형 에멀젼을 조정하는 공정과, 해당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외상유로 되는 유성성분에 분산유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형 복합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의 제2의 발명은, 외상유중에 O/W 형 에멀젼이 분산한 O/W/O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의 O/W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유-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모노염과, 유성성분과, 물을 함유하고, 상기 외상유중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이고,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친매성물질은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12이상인 고급알콜 및/ 또는 고급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이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모노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디염을 함유하고, 그 함유량이,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에 대하여 몰(mol)비로 0.25배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의 합계량에 대하여, O/W 형 에멀젼의 내상유가 1/2배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이 O/W 형 에멀젼의 유적계면에 존재하여, 그 존재량이 DSC에 의한 피크면적비로 전함유량의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의 합계량이, O/W 형 에멀젼의 수상에 대하여 0. 2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이, 수팽윤성점토광물을 제4급 암모늄형 카티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 형 복합 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N-장쇄 아실 산성아미노산 모노염을 함유하는 수상중에 내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을 첨가하여 고압유화처리 또는 초음파처리하여 O/W 형 에멀젼을 조정하는 공정과, 해당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외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으로 분산유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O/W/O형 복합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서 상술한다. 우선, 본원의 제1의 발명에서 특유의 사항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내상으로서 쓰는 O/W 형 에멀젼에 배합되는 양친매성물질이란, 계면활성을 가지지만 그자체가 소수성(疎水性)이 강하고 일반 계면활성제만큼 계면활성을 갖지 않는 것이고, 예컨대, 세타놀, 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알콜류,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렌산, 리놀산, 리놀레산, 옥시스테아르산 등의 고급지방산류, 이소프로필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팔미트산,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르산, 2에틸엑산 글리세릴 등의 에스테르류, 고급지방족알콜, 모노글리세리드, 글리세롤모노알킬에테르, 모노알킬아민, 및 스테롤 골격을 갖는 화합물(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12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16이상의 고급알콜 및/ 또는 고급지방산이 사용된다.
또한, O/W 형 에멀젼에 배합되는 계면활성제란, 아니온계면활성제, 카티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이지만, 구체적으로는 고급지방산의 금속비누가 바람직하다.
아니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비누용 소지,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등의 지방산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칼륨등의 고급알킬황산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메틸타우릿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릿드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아미드술폰산염, POE올레일 에테르 인산나트륨, POE 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염, 리니아드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리니아드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아드데실벤젠술폰산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탐산염, 경화야자유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등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에스테르술폰산염, 2급알콜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 5-메틸렌피페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호늄염, POE 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륨 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쪽성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솔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말산 등의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르산프로피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피마자유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POE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POE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POE-솔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솔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솔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모노올레에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지방산에스테르류,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타놀에테르 등의 POE알킬 에테르류, POE옥틸페닐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POE 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알킬페닐에테르류, 블루로닉 등의 풀아로닉형류, POE· 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 모노부틸에테르, POE·POP 수첨(水添)라놀린, POE·POP 글리세린 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 POE피마자유, POE 경화피마유, POE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말레산 등의 POE 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유도체, POE솔비트밀랍 등의 POE밀랍·라놀린유도체,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 지방산아미드, 수쿠로스지방산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 중에서,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유-수계에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하는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이용한다. 수계에서 또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하는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의 조합에 있어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각각의 배합량을 사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베헨산 및/또는 베헤닐알콜(양친매성물질)-베헨산/수산화칼륨지방산비누(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및/또는 스테아릴알콜(양친매성물질)­스테아르산/수산화칼륨지방산비누(계면활성제), 스테아릴알콜(양친매성물질)-세틸황산나트륨(계면활성제), 베헤닐알콜(양친매성물질)-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계면활성제), 베헤닐알콜(양친매성물질)-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계면활성제)의 조합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O/W 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과 계면활성제를 각각 배합할 수도 있지만, 양친매성물질의 고급지방산과 수산화칼륨등의 중화제를 배합하여, 양친매성물질과 고급지방산비누로 이루어지는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급알콜 및 고급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양친매성물질과, 고급지방산보다 적은 몰 양의 수산화칼륨을 배합하여 얻어지는 고급알콜 및 고급지방산과 수산화칼륨지방산비누의 조합이다.
양친매성물질의 배합량은, O/W 형 에멀젼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고, 또한,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O/W 형 에멀젼 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O/W 형 에멀젼 중의 내상유 양은,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의 합계량에 대하여, 1/2배이상, 바람직하게는 등량이상이다. 유상의 양이 양친매성물질의 1/2보다 적은 경우에는, 유화상태의 경시안정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O/W 형 에멀젼은, 유상:수상의 중량비가 1:1보다 유상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원의 제2의 발명의 특유의 사항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내상으로서 사용하는 O/W 형 에멀젼에 배합되는 양친매성물질이란, 계면활성을 갖지만 그자체가 소수성이 강하고 일반 계면활성제만큼 계면활성을 갖지 않는 것이고, 예컨대, 고급지방산, 고급지방족알콜, 모노글리세리드, 글리세롤모노알킬에테르, 모노알킬아민, 스테롤류, 유리형의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급지방산, 고급지방족알콜,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급지방산및/ 또는 고급지방족알콜이다.
고급지방산 및 고급지방족알콜은, 탄소원자수12이상의 것이 적합하고, 특히 탄소원자수16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은, 탄소원자수12이상의 장쇄아실기를 갖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탄소원자수16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원자수가 작으면 충분한 유화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은 등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
고급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베헤닌산), 올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시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등을 들 수 있고, 고급지방족알콜로서는, 예컨대, 이들 고급지방산에 대응하는 고급알콜을 들 수 있다.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으로서는, 예컨대,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N-팔미토일-L-글루탐산,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 N-라우릴-L-글루탐산, N-야자유-L-글루탐산, N-스테아로일-L-아스파라긴산, N-팔미토일-L -아스파라긴산, N-미리스토일-L-아스파라긴산, N-라우릴-L-아스파라긴산, N-야자유-L-아스파라긴산 등을 들 수 있다.
O/W 형 에멀젼에 배합되는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이란,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의 복수의 카르복실기중, 하나의 카르복실기가 중화되어 염으로 된 것을 의미한다.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이란, 산성아미노산의 질소원자에 장쇄아실기가 공유결합한 아미노산이고, 산성아미노산에 결합하고 있는 장쇄아실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어느 것으로도 좋고, 또한, 포화, 불포화를 묻지않는다. 장쇄아실기의 탄소원자수는 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이상이다. 탄소원자수가 적고, 쇄길이가 짧으면 , 충분한 유화안정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으로서는, 예컨대,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모노염, N-팔미토일-L-글루탐산모노염,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염, N-라우로일-L-글루탐산모노염, N-야자유-L-글루탐산모노염, N-스테아로일-L-아스파라긴산모노염, N-팔미토일-L-아스파라긴산모노염, N-미리스토일-L-아스파라긴산모노염, N-라우로일-L-아스파라긴산모노염, N-야자유-L-아스파라긴산모노염등을 들 수 있다. 또,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의 반대이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나트륨, 칼륨, 트리에탄올아민등이 바람직하다.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은, 적어도 2개의 카르복실기를 분자내에 갖고 있고, 수중에서는 카르복실기의 중화율이 높게 되는 따라서 산성형의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으로부터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디염으로 그 형태가 변화한다. 예컨대,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이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의 경우에는, 1분자중에 1개의 아미노기와 2개의 카르복실기가 존재하고 있고, 중화율이 0인 경우에는, 도 2의 (1-a)와 같이 전부 산성형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알칼리,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화해 가면 , 모노 나트륨염형(1-b)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중화율50%로서는 모든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이 모노 나트륨염형(1-b)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해가면 , 모노 나트륨염형은 디나트륨염형(1-c)이 되고, 중화율100%에서는 모든 N-스테아로일-L-굴타민산이 디나트륨염형(l-c)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은 그 중화율에 의해서 형태가 변화하지만,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의 산성형은 상기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친매성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에 대하여 중화율25%로 되는 것 같이 알칼리를 병용한 경우에는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의 산성형과 모노염형의 존재비율은 몰비로 1 : 1이라고 생각되고, 각각, 본 발명에 쓰는 양친매성물질 및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디염도 양친매성물질과의 사이에서 회합체를 형성하지만, 모노염과 양친매성물질 사이에서 형성되는 회합체와 비교하여 그 강도가 낮고,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디염을 사용한 경우에는 계(系)의 pH가 11이상으로 강알칼리가 되어, 실사용에는 알맞지 않는다. 따라서,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과, 중화제의 알칼리를 따로따로 첨가하여, 계중에서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을 형성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알칼리를 과잉으로 배합하면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이 디염형으로서 존재하는 비율이 커져, 모노염형의 존재량이 적어지기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알칼리의 배합량은 O/W 형 에멀젼중에 있어, 디염의 존재량이 모노염에 대하여 몰비로 0.25배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배량 이하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염의 존재량이 많아지면 계의 pH가 약산성이 되지 않거나, pH 안정성이나 유화안정성이 낮게 되거나, 또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에 크림모양의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거나 하는 것이 있다. 또,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을 중화하기위한 중화제의 알칼리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칼륨, 수산화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양친매성물질 및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 중에서,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유수계에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하는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조합을 사용한다. 수계에서 또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하는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조합에 있어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각각의 배합량을 사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않지만 탄소원자수12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16이상의 고급지방산 및/또는 고급지방족알콜과,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모노염과의 조합이 적합하다.
도 3은, O/W 형 에멀젼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3에 있어서, 수상(12)중에는 유상(14)이 분산되어 있고, 해당 수상(12)과 유상(14)의 경계면에는, 양친매성물질(20) 및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30)이 존재하여, 수상(10)내에서의 유상(12)의 분산상태안정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리고, 수상(12)내에는 또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30) 및 양친매성물질(20)이 존재하고 있어,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30) 및 양친매성물질(20)의 일부는 라멜라구조(40)를 수상중에서 형성하여, 겔구조가 구축되고, 기제가 고화되어 있다.
양친매성물질과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이, 수중에서 회합하여 겔을 형성하는 것,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 및 양친매성물질의 유적계면 또는 수상중에서의 존재량은, DSC(시차주사열량계)측정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친매성물질과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은, O/W 형 에멀젼의 유적계면에 존재하고, 그 존재량이 DSC에 의한 피크면적비로 전함유량의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합계량이, O/W 형 에멀젼의 수상에 대하여 0. 2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과의 배합비는 적절히 조정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몰비로, 1:1∼1:5, 특히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O/W형 에멀젼 중의 내상유 양은, 양친매성물질 및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합계량에 대하여, 1/2배이상, 바람직하게는 같은 양 이상이다. 유상량이 양친매성물질의 1/2보다 적은 경우에는, 유화상태의 경시안정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양친매성물질의 배합량은, O/W 형 에멀젼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고, 또한,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배합량은, O/W 형 에멀젼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또한, O/W 형 에멀젼은, 유상 : 수상의 중량비가 1 : 1보다 유상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원의 제1 및 제2의 발명에 공통의 사항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상유에 배합되는 유기변성점토광물은, 3층구조를 갖는 콜로이드성 함수(含水)규산 알루미늄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1
(X, Y)2-3(Si, A1)4O10(OH)2Z1/3·nH20
다만, X= Al, Fe(Ⅲ), Mn(Ⅲ), Cr(Ⅲ)
Y= Mg, Fe(II), Ni, Zn, Li
Z= K, Na, Ca
로 나타내는 수팽윤성점토광물을 제4급암모늄염형 카티온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및 헥토라이트 등의 천연 또는 합성(이 경우, 식중의(OH)기가 플루오르로 치환된 것)의 몬모릴나이트군(시판품에서는 비검, 쿠니피아, 라포나이트등이 있다) 및 나트륨실리식마이카나 나트륨 또는 리튬테니올라이트의 이름으로 알려진 합성운모(시판품에서는 다이모나이트: 토피공업(주)등이 있다)등의 점토광물을 제4급 암모늄염형카티온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수팽윤성점토광물을 유기변성하기위해서 사용하는 제4급암모늄염형카티온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것이다.
(식중, R1은 탄소수10∼22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 R2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10∼22의 알킬기, R3와 R4는 탄소수1-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또는 메틸설페이트 잔기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리드, 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리드, 아라킬디메틸암모늄클로리드, 베헤닐디메틸암모늄클로리드, 세틸디에틸암모늄클로리드, 스테아릴디에틸암모늄클로리드, 스테아릴디에틸암모늄클로리드, 아라킬디에틸암모늄클로리드, 베헤닐디에틸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미리스틸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세틸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베헤닐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에틸세틸암모늄클로리드, 벤질디메틸에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리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리드, 디베헤닐디히드록시에틸암모늄클로리드, 및 상당하는 브로미드 등, 또디팔미틸유로필에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중 1종 또는 2종이상이 임의로 선택되어 처리된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변성점토광물은, 상기의 제4급 암모늄염형카티온계면활성제로 처리할 때에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2∼30 몰 부가 (이하POE(2∼30)라고 생략한다.) 올레일에테르, POE(2∼35)스테아릴에테르, POE(2∼20)라우릴에테르, POE(1∼20)알킬페닐에테르, POE(6-18)베헤닐에테르, POE(5∼25)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3∼30)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8∼16)2-옥틸데실에테르, 등의 에테르형활성제, 및 POE(4∼60)경화피마자유, POE(3∼14)지방산모노에스테르, POE(6∼30)지방산디에스테르, POE(5-20)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등의 에스테르형활성제, 또 POE(2∼3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6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7∼50)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2∼60)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에테르 에스테르형활성제 등의 에틸렌옥시드 부가형 계면활성제 및 데카글리세릴테트라올레에이트, 헥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등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 알콜지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데카글리세릴테트라올레에이트, 헥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디글리세린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2∼12)라우릴에테르, POE(6∼15)베헤닐에테르, POE (5∼20)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5∼17)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8∼16)2-옥틸데실에테르 등의 POE 부가에테르형활성제, 및 POE(10∼20))경화피마자유, POE(5∼14)올레산모노에스테르, POE(6∼20)올레산디에스테르, POE(5-10)솔비탄올레인에스테르 등의 POE 부가에스테르형활성제, POE(3∼15)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4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부가에스테르활성제등의 에틸렌옥시드부가형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의 일종 또는 2종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변성점토광물은, 예컨대 물, 아세톤 또는 저급알콜등의 저비점용매중에서 상술의 수팽윤성점토광물과, 제4급암모늄염형카티온계면활성제(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분산교반처리하여 저비점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변성점토광물중의 제4급암모늄염형카티온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수팽윤성점토광물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이하 meq라고 생략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기변성점토광물의 대표적인것으로서는, 디메틸알킬암모늄헥토라이트,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처리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벤톤38(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처리 몬모릴로나이트:내쇼날렛드사)등이 있다.
유기변성점토광물은, 외상유전량중 0.1∼10중량% 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 배합된다. 0.1중량%보다도 작은 경우, 유기변성점토광물의 첨가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안정된 복합에멀젼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10중량%를 넘으면, 조제되는 O/W/O 형 복합에멀젼의 점도가 높고, 퍼짐이 나쁘며, 또, 투명감이 없는 등 실사용상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외상유중에는,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과 동시에 HLB7 이하의 유화제를 배합해야만 한다. 예컨대, 계면활성제의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올레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등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5), POE(7.5), POE(10)경화피마자유등의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에테르계의 실리콘계면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테르계의 실리콘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의 것이다.
(식중, R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평균으로 l∼150, n은 평균으로 1∼50, a 및 b는 평균으로 0∼35의 수를 나타낸다)
HLB7 이하의 유화제는, 외상유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 1-15중량% 배합된다. 또, HLB7 이하의 유화제는, 상기 필수성분의 유기변성점토광물에 흡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즉, 통상,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할 때,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는 별개로 첨가되지만,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유화제와 이루어질 수 있는 HLB7 이하의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HLB7 이하의 유화제를 유기변성점토광물에 흡착시킨 상태로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O/W 형 에멀젼의 내상유 및 본 발명의 O/W/O형 복합에멀젼의 외상유에 사용하는 유성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유, 난황유, 참깨유, 퍼시크유, 소맥배아유, 서전커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면실유, 달맞이꽃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오동나무유, 일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등의 액체유지,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牛脂), 양지(羊脂),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豚脂), 우골지(牛骨脂), 목랍핵유 , 경화유, 우각지(牛脚指), 목랍, 경화피마자유등의 고형유지, 밀랍, 칸데리라랍, 면랍, 카루나바랍, 베이베리랍, 백랍, 고래랍, 몬탄랍, 쌀겨랍, 라놀린, 카폭랍,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랍,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죠죠바랍, 경질라놀린, 셀락랍, POE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 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납류,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와렌, 프리스탄, 파라핀, 셀레신, 스쿠와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타린왁스 등의 탄화수소,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푸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마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등의 합성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합할 수 있는 유분에 제한은 없고, 특히, 고형 및 반고형유분을 안정되게 배합할 수 있는 것에 이점이 있다.
또한, 이들 유성성분에 가하여,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등의 환상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실리콘유, 에폭시변성실리콘유, 에폭시·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유,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유, 카르복시변성실리콘유, 알콜변성실리콘유, 알킬변성실리콘유, 암모늄염변성실리콘유, 플루오르변성실리콘유등의 변성실리콘유등의 실리콘유, 트리메틸실록시규산등의 3차원구조를 갖는 실리콘수지, 고중합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메틸페닐폴리실록산, 고중합메틸비닐폴리실록산등의 고중합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아미노변성메틸폴리실록산등의 고중합변성폴리실록산등의 실리콘수지,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헥산, 트리퍼플루오로-n-부틸아민등의 퍼플루오로카본 내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D 및 그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K 및 그 유도체등의 비타민류, 스테롤류, 천연 및 합성의 향료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유상에는, 물에 난용성인 물질로서, 자외선흡수제, 파라벤 등의 방부제, 유비퀴논, 비타민P 등의 비타민류, 염산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브아닐리드, 일갓산DP300 등의 살균제, 아세트산덱사메타존등의 약제등을 배합할 수 있다.
내상(內相)의 O/W 형 에멀젼 및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구성하는 물은, 수상성분으로서, 예컨대, 비타민 B군, 비타민C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등의 수용성활성물질, 글루탐산나트륨, 알기닌, 아스파라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유산등의 완충제, EDTA 등의 킬레이트제, 수용성자외선흡수제, 각종 색소등의 수용성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수상에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콜을 배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의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는, 2:3∼19:1이고, 바람직하게는, 3:2∼17:3이다. O/W 형 에멀젼과 유상과의 중량비가 2:3보다도 유상량과다로 하면, 조제되는 복합에멀젼의 점도가 낮고, 경시(經時)에서의 유화안정성이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O/W형 에멀젼과 유상과의 중량비가 19:1 보다도 O/W형 에멀젼이 과다로 되면, 교반유화중에 전상(轉相)하여, O/W/O 형과 O/W 형의 에멀젼이 혼재하여,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에, 자외선흡수효과 및 보습효과를 갖게 하기위해서, 배합가능한 자외선흡수제, 다가알콜, 그 외의 보습제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컨대,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라고 생략한다), PABA 모노 글리세린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메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옥틸에스테르등의 벤조산계자외선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등의 안트라닐계자외선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살리실레이트등의 살리실산계자외선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니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등의 신남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 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자외선흡수제, 3-(4'-메틸벤지리덴)-d, l-캠퍼, 3-벤지리덴-d, l-캠퍼-유로카닌산, 유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즈옥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멘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니리덴)-3-펜탄-2-온 등의 자외선흡수제를 들 수 있다.
다가알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 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등의 2가의 알콜,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푸로판, l,2,6-헥산트리올 등의 3가의 알콜, 펜타에리스리톨등의 4가의 알콜, 크실리톨등의 5가의 알콜, 솔비톨, 만니톨, 등의 6가의 알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공중합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 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2가의 알콜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피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등의 2가의 알콜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숙시네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의 2가의 알콜에테르에스테르류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컨대,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등을 들 수 있고, 기제의 점도를 잃지 않을 정도로 유산나트륨, 담즙산모노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모노염, 단쇄가용성콜라겐, 이사요이요바라추출액, 세이요노코기리소추출물등도 배합할 수 있다.
내상이 되는 O/W 형 에멀젼의 조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안정된 에멀젼이 얻어지는 방법이면 좋고, 예컨대, 상기 필수성분을 함유하는 혼합분산액을 첨가하여, 호모믹서 등의 유화기로 교반함으로써 조정된다. 강력한 전단력을 걸 수 있는 유화기, 예컨대, 나노마이저, 만톤고우린, 프렌치 프레스, 콜로이드밀,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초음파유화기등으로 고압유화처리 또는 초음파유화처리하면, 내상유가 미세하고도 안정되게 배합되어, 윤기가 있는 매끄러운 외관을 갖는 크림이 얻어지고 본 발명에 관한 O/W/O 형 복합에멀젼의 조제에 특히 적합하다.
또 얻어진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 및 HLB7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외상유에 교반하면서 혼합·유화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이 얻어진다. 이때 사용하는 유화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퍼 (TK HOMD DlSPER; T0KUSHU KlKA K0GY0 C0., LTD)등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W/O 형 복합에멀젼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등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크림, 유액, 연고 등의 제품으로서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처방의 배합성분은 중량%를 나타낸다.
하기의 각 표에 나타내는 배합성분을 사용하여, 상법에 의해, 제조예의 O/W 형에멀젼 및 이것을 사용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여, 실온 또는 50℃에 1개월 방치한 경우의 보존안정성 및 평가전문패널10명의 관능평가에 의한 사용성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보존안정성]
◎ : 현미경관찰에 의해 유화입자가 균일하고 전혀 이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 : 현미경관찰에서는 약간 유화입자에 흩어짐이 확인되지만, 육안으로서는 전혀 이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 : 육안으로 약간 유화입자의 흩어짐이 확인된다.
× : 육안으로 기름 뜬 것이 관찰되거나, 유화입자의 조대화(粗大化)등의 이상이 관찰된다.
[사용성]
◎: 평가전문 패널 10명전원이「융합」또는「달라붙음이 없음」에 대하여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 평가전문패널 8명이상 10명미만이「융합」또는「달라붙음이 없음」에 대하여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 평가전문패널 6명이상 8명미만이「융합」또는「달라붙음이 없음」에 대하여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 평가전문패널 6명미만이「융합」또는「달라붙음이 없음」에 대하여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제조예1∼4 : O/W 형 에멀젼」
배합성분/제조예 1 2 3 4
(a)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 - 2 2
베헨산 - - 2 2
스테아릴알콜 - - 2 2
베헤닐알콜 - - 2 2
POE(10)경화피마자유 2 2 - -
(b)유상
유동파라진 20 16 10 10
바셀린 - 2 2 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2 2 2
메틸파라벤 0.1 0.1 0.1 0.1
에틸파라벤 0.1 0.1 0.1 0.1
부틸파라벤 0.1 0.1 0.1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3-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폴리에틸렌글리콜 2 2 2 2
가성칼리 - - 0.2 0.2
트레할로스 0.1 0.1 0.1 0.1
「제법」
(a) 및 (b)성분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것에, (c)성분을 가하여, 교반, 유화하였다. 제조예1∼3은 호모제나이저를 사용하여 유화하고, 제조예 4는 나노마이저를 사용하여 고압유화하였다. 또, 제조예 3 및 4는 스테아르산 및 베헨산과 가성칼리와의 반응에 의해, 금속비누의 계면활성제가 처방중에 생성한다.
「실시예1∼2 및 비교예1∼2 : O/W/O형 에멀젼」
배합성분/비교예·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O/W형에멀젼
제조예 1의 에멀젼 78 - - -
제조예 2의 에멀젼 - 78 - -
제조예 3의 에멀젼 - - 78 -
제조예 4의 에멀젼 - - - 78
외상유
환상실리콘유 20 20 20 20
HLB7이하 유화제
디메틸실록산메틸(POE)실록산 공중합체 1 1 1 1
유기변성점토광물
벤톤 38 1 1 1 1
[보존안정성]
실온
50℃ ×
[사용성]
융합
달라붙음이 없음
「제법」
각 성분을 혼합하여, 호모제나이저를 사용하여 유화하고,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표 2에서, 고급알콜, 고급지방산 및 고급지방산비누를 함유한 O/W 형 에멀젼을 사용한 실시예1 및 2에서는, 고형, 반고형유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존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사용성이 우수한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1 및 2에서는, 사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형, 반고형유성분을 배합해도, 안정된 에멀젼이 얻어지지 않고, 사용성도 개선되지 않는다. 또한, 고압유화처리한 실시예2는, 매우 우수한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법에 의해, 표 3에 나타내는 제조예5∼8의 O/W 형 에멀젼을 전부 나노마이저를 사용하여 고압유화처리하여 제조하고, 표 4에 나타내는 O/W/O 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및 4는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유-수계에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하지 않는 배합량의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예이다.
「제조예5∼8 : O/W 형 에멀젼」
배합성분/제조예 5 6 7 8
(a)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1 0.1 1 0.5
베헨산 2 0.1 1 0.5
스테아릴알콜 3 0.2 2 1
베헤닐알콜 4 0.2 2 1
(b)유상
메틸폴리실록산 3 12.4 7 10
메틸파라벤 0.1 0.1 0.1 0.1
에틸파라벤 0.1 0.1 0.1 0.1
부틸파라벤 0.1 0.1 0.1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글리세린 5 5 5 5
과당 2 2 2 2
가성칼리 0.2 0.2 0.2 0.2
「실시예3∼4, 비교예3∼4 : O/ W/ 0형 에멀젼」
배합성분/비교예·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실시예 4
O/W형에멀젼
제조예 5의 에멀젼 78 - - -
제조예 6의 에멀젼 - 78 - -
제조예 7의 에멀젼 - - 78 -
제조예 8의 에멀젼 - - - 78
외상유
환상실리콘유 20 20 20 20
HLB7이하 유화제
디메틸실록산메틸(POE)실록산 공중합체 1 1 1 1
유기변성점토광물
벤톤 38 1 1 1 1
[보존안정성]
실온 ×
50℃ × ×
[사용성]
융합 × ×
달라붙음이 없음 × ×
실시예3 및 4는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이 매우 양호하지만, 비교예3은 시간경과에 따라 고형유분의 응집체가, 비교예4는 시간경과에 따라 기름 뜬 것이 발생하여, 모두 사용성이 나쁜 것이었다. 또, 비교예3 및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3및 4와 같은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배합량에 의해,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 기름­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하지않은 경우에는,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이 양호한 O/W/O 형 복합에멀젼은 얻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법에 의해, 표 5에 나타내는 제조예9의 O/W 형 에멀젼을 전부 나노마이저를 써서 고압유화처리하여 제조하여, 표 6에 나타내는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5 및 6은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배합중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예이다.
「제조예9 : O/W 형 에멀젼」
배합성분 제조예 9
(a)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1
베헨산 1
스테아릴알콜 2
베헤닐알콜 2
(b)유상
스쿠와란 5
펜타에리스리톨-2-에틸헥사노에이트 2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5
메틸파라벤 0.1
에틸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1,3-부틸렌글리콜 5
에탄올 0.1
가성칼리 0.2
에리스리톨 1.0
「실시예5∼8, 비교예5∼6:O/W/O 형 에멀젼」
O/W 형 에멀젼에 제조예9의 에멀젼을 사용하여, 표 6에 나타내는 O/ 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배합비 이외는, 표 2에 나타내는 O/W/O형 복합에멀젼과 같이, 실시예5∼8 및 비교예5-6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비교예 O/W형에멀젼 양 외상유 양
실시예 5 50중량% 50중량%
실시예 6 60 40
실시예 7 70 30
실시예 8 80 20
비교예 5 35 65
비교예 6 97 3
「에멀젼의 특성평가」
에멀젼의 형태(실온) 보존안성정(실온) 보존안정성(50℃)
실시예 5 O/W/O
실시예 6 O/W/O
실시예 7 O/W/O
실시예 8 O/W/O
비교예 5 O/W/O × ×
비교예 6 O/W/O+O/W × ×
비교예5는,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 보다도 유상량과다로 되기때문에, 유화직후에는, O/W/O 형 에멀젼을 형성하지만, 실시예5∼8과 비교하면, 보존안정성이 나쁘고, 실온보존, 50℃ 보존 모두 기름 뜨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6이 나타내듯이, O/W 형 에멀젼과 유상과의 중량비가 19:1 보다도, O/W형 에멀젼이 과다로 되면, 유화분산중에 전상(轉相)하여, 조제되는 에멀젼은 O/W/O 형과 O/W형과의 혼재가 확인되었다.
「제조예10-13 : O/W 형 에멀젼」
배합성분/제조예 10 11 12 13
(a)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 모노염, 또는 계면활성제
베헤닐알콜 - - 4 4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Na - - 2 2
POE(10)경화파마자유 2 2 - -
(b)유상
유동파라핀 20 16 12 12
바셀린 - 2 2 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2 2 2
메틸파라벤 0.1 0.1 0.1 0.1
에틸파라벤 0.1 0.1 0.1 0.1
부틸파라벤 0.1 0.1 0.1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3-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NaCl 0.5 0.5 0.5 0.5
알부틴 2 2 2 2
트레할로스 0.1 0.1 0.1 0.1
「제법」
(a) 및 (b)성분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것에, (c)성분을 가하여, 교반, 유화하였다. 제조예10∼12는 호모제나이저를 사용하여 유화하고 제조예4는 나노마이저를 사용하여 고압유화하였다.
「실시예9∼10 및 비교예7∼8 : O/W/O형 에멀젼」
배합성분/비교예·실시예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9 실시예10
O/W형에멀젼
제조예 1의 에멀젼 78 - - -
제조예 2의 에멀젼 - 78 - -
제조예 3의 에멀젼 - - 78 -
제조예 4의 에멀젼 - - - 78
외상유
환상실리콘유 20 20 20 20
HLB7이하 유화제
디메틸실록산메틸(POE)실록산 공중합체 1 1 1 1
유기변성점토광물
벤톤 38 1 1 1 1
[보존안정성]
실온
50℃ ×
[사용성]
융합
달라붙음이 없음
「제법」
각 성분을 혼합하여, 호모제나이저를 사용하여 유화하여, O/W/O형복합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표 9에서, 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을 포함한 O/W 형 에멀젼을 사용한 실시예9 및 10에서는, 고형, 반고형유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존안정성이 양호하고도 사용성이 우수한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7 및 8에서는, 사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형, 반고형유분을 배합하더라도, 안정된 에멀젼이 얻어지지 않고, 사용성도 개선되지 않는다. 또한, 고압유화처리한 실시예10은 매우 우수한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을 갖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법에 의해, 표10에 나타내는 제조예14∼17의 O/W 형 에멀젼을 전부 나노마이저를 사용하여 고압유화처리하여 제조하고, 표11에 나타내는 O/W/O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9 및 10은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기름-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하지않는 배합량의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예이다.
「제조예14∼17 : O/W 형 에멀젼」
배합성분/제조예 14 15 16 17
(a)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 아실산성 아미노산모노염
스테아릴알콜 3 0.2 2 1
베헤닐알콜 4 0.2 2 1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Na 1 1 1 1
(b)유상
메틸폴리실록산 3 12.4 7 10
메틸파라벤 0.1 0.1 0.1 0.1
에틸파라벤 0.1 0.1 0.1 0.1
부틸파라벤 0.1 0.1 0.1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글리세린 5 5 5 5
L-알긴산나트륨 2 2 2 2
과당 2 2 2 2
「실시예11-12, 비교예9∼10 : O/W/O 형 에멀젼」
배합성분/비교예·실시예 비교예 9 비교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O/W형에멀젼
제조예 5의 에멀젼 78 - - -
제조예 6의 에멀젼 - 78 - -
제조예 7의 에멀젼 - - 78 -
제조예 8의 에멀젼 - - - 78
외상유
환상실리콘유 20 20 20 20
HLB7이하 유화제
디메틸실록산메틸(POE)실록산 공중합체 1 1 1 1
유기변성점토광물
벤톤 38 1 1 1 1
[보존안정성]
실온 ×
50℃ × ×
[사용성]
융합 × ×
달라붙음이 없음 × ×
실시예11 및 12는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이 매우 양호하지만, 비교예9는 시간경과에 따라 고형유분의 응집체가, 비교예10은 시간경과에 따라 기름 뜬 것이 발생하여 모두 사용성이 나쁜 것이었다. 또, 비교예9 및 10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11 및 12와 같은 양친매성물질 및 N -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을 쓰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배합량에 의해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기름-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하지않는 경우에는, 보존안정성 및 사용성이 양호한 O/W/O 형 복합에멀젼은 얻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법에 의해, 표12에 나타내는 제조예18의 O/W 형 에멀젼을 전부 나노마이저를 사용하여 고압유화처리하여 제조하고, 표13에 나타내는 O/W/O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1 및 12는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배합중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예이다.
「제조예18 : O/W형 에멀젼」
배합성분 제조예18
(a)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 아실산성 아미노산 모노염
세탄올 8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Na 5
(b)유상
스쿠와란 5
펜타에리스리톨-2-에틸헥사노에이트 2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5
메틸파라벤 0.1
에틸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1
(c)수상
이온교환수 잔부
1,3-부틸렌글리콜 5
에탄올 0.1
에리스리톨 1.0
「실시예13∼16, 비교예11∼12 : O/W/O 형 에멀젼」
O/W 형 에멀젼에 제조예18의 에멀젼을 사용하여, 표13에 나타내는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배합비 이외는, 표9에 나타내는 O/W/O 형 복합에멀젼과 같이, 실시예13∼16 및 비교예11∼12의 O/W/O 형 복합에멀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비교예 O/W형에멀젼 양 외상유 양
실시예 13 50중량% 50중량%
실시예 14 60 40
실시예 15 70 30
실시예 16 80 20
비교예 11 35 65
비교예 12 97 3
「에멀젼의 특성평가」
에멀젼의 상태(실온) 보존안성정(실온) 보존안정성(50℃)
실시예 13 O/W/O
실시예 14 O/W/O
실시예 15 O/W/O
실시예 16 O/W/O
비교예 11 O/W/O × ×
비교예 12 O/W/O+O/W × ×
비교예11은,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보다도 유상량 과다해지기 때문에, 유화직후에는, O/W/O형 에멀젼을 형성하지만, 실시예13∼16과 비교하면, 보존안정성이 나쁘고, 실온보존, 50℃ 보존 모두 기름 뜬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비교예6이 나타내듯이, O/W 형 에멀젼과 유상과의 중량비가 19:1보다도, O/W 형 에멀젼이 과다해지면, 유화분산중에 전상하여, 조제되는 에멀젼은 O/W/O 형과 O/W 형과의 혼재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시안정성이 높고, 사용성이 양호한 O/W/O형 복합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외상유중에 O/W 형 에멀젼이 분산한 O/W/O 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의 O/W 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계면활성제-기름-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에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계면활성제와, 유성성분과, 물을 함유하고, 상기 외상유중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물질은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12이상인 고급알콜 및/ 또는고급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가 고급지방산의 금속비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이, 수팽윤성점토광물을 제4급암모늄형카티온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유에 분산된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양친매성물질이 고급알콜 및 고급지방산량이고, 계면활성제가 해당 고급지방산량을 중화한 금속비누이고, 해당 양친매성물질이 O/W 형 에멀젼의 내상유중 0.1-8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중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중에, 내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을 첨가하여 고압유처리 또는 초음파유화처리하여 O/W 형 에멀젼을 조정하는 공정과, 해당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외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에 분산유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의 제조방법.
  7. 외상유중에O/W 형 에멀젼이 분산한 O/W/O형 복합에멀젼에 있어서, 내상의 O/W 형 에멀젼에, 양친매성물질-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기름-수계에 있어서 상온이상으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양친매성물질 및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과, 유성성분과, 물을 함유하고, 상기 외상유중에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O/W 형 에멀젼과 외상유와의 중량비가 2: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물질은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12이상인 고급알콜 및/또는고급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포함되는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이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모노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10.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O/W 형 에멀젼중에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디염을 함유하고, 그 함유량이,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에 대하여 몰비로 0.25배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
  11.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합계량에 대하여, O/W 형 에멀젼의 내상유가 1/2배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
  12.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이 O/W형 에멀젼의 유적계면에 존재하여, 그 존재량이 DSC에 의한 피크면적비로 전함유량의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
  13.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물질과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의 합계량이, O/W 형 에멀젼의 수상에 대하여 0.2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
  14.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이, 수팽윤성점토광물을 제4급 암모늄형카티온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형 복합에멀젼.
  15.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N-장쇄아실산성아미노산모노염을 함유하는 수상중에 내상유로 이루어지는 유성성분을 첨가하여 고염유화처리 또는 초음파처리하여 O/W 형에멀젼을 조정하는 공정과, 해당 O/W 형 에멀젼을, 유기변성점토광물과 HLB7 이하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외상유가 되는 유성성분으로 분산유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O 형 복합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9997002223A 1997-07-17 1998-07-15 O/w/o형 복합에멀젼 KR100563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8459 1997-07-17
JP97-208458 1997-07-17
JP20845897 1997-07-17
JP20845997 1997-07-17
PCT/JP1998/003187 WO1999003572A1 (fr) 1997-07-17 1998-07-15 Emulsion a phases multiples de type huile/eau/hu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75A true KR20000068575A (ko) 2000-11-25
KR100563583B1 KR100563583B1 (ko) 2006-03-30

Family

ID=2651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23A KR100563583B1 (ko) 1997-07-17 1998-07-15 O/w/o형 복합에멀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50425A (ko)
EP (1) EP0970741B1 (ko)
KR (1) KR100563583B1 (ko)
DE (1) DE69839479D1 (ko)
TW (1) TW505527B (ko)
WO (1) WO19990035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133A (ko) * 2013-12-18 2015-06-26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07813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US10702457B2 (en) 2017-04-13 2020-07-07 Adhome Co., Ltd. Method for preparing vegetable oil emulsion by ultrasonication
KR20210144017A (ko) 2020-05-21 2021-11-30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87A (ko) *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5191B (en) * 1999-04-16 2006-05-21 Shiseido Co Ltd High water content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EP1289474B1 (en) * 2000-05-26 2007-05-09 Color Access, Inc. Low emulsifier multiple emulsions
US6777450B1 (en) * 2000-05-26 2004-08-17 Color Access, Inc. Water-thin emulsions with low emulsifier levels
US7338924B2 (en) * 2002-05-02 2008-03-0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Oil-in-water-in-oil emulsion
US7122174B2 (en) 2002-09-30 2006-10-17 L'oreal S.A.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silicone compound and at least one amine compound,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8685455B2 (en) * 2005-03-31 2014-04-01 Suntory Holdings Limited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lignan-class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7531613B2 (en) * 2006-01-20 2009-05-12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Inorganic-organic nanocomposite
US7687121B2 (en) * 2006-01-20 2010-03-3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Insulated glass unit with sealant composition having reduced permeability to gas
EP2070532B1 (en) * 2006-10-04 2013-07-24 Suntory Holdings Limited O/w/o emulsion containing lignan compounds,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02007041204B3 (de) * 2007-08-31 2009-04-30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 als Korrosionsinhibitoren enthaltend anionische Tenside und die Zusammensetzungen
ES2640164T3 (es) * 2008-12-03 2017-11-02 Shiseido Co., Ltd. Producto cosmético tipo aceite en agua
WO2010076012A1 (de) 2009-01-02 2010-07-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Bauteil und inhalato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JP4837086B2 (ja) * 2009-12-15 2011-12-14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化粧料
JP5083993B2 (ja) * 2010-11-26 2012-11-28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928367B2 (ja) * 2012-02-29 2016-06-01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性シリコーンゴム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化粧料の製造方法
US10351756B2 (en) 2014-04-22 2019-07-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Water shut-off method for porous formations
US9951593B2 (en) 2014-04-22 2018-04-24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Use of organoclay as emulsifier in polymeric gels for water permeability reduction
JP6789631B2 (ja) * 2015-12-22 2020-11-25 ロレアル Spf及びレオロジーを改善するための高内相エマルション組成物
CN106978949B (zh) * 2017-04-18 2018-03-16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滑轮装置及带有该滑轮装置的推拉门窗
WO2018209293A2 (en) 2017-05-11 2018-11-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scale multiple emulsions and nanoparticles
WO2019004405A1 (en) * 2017-06-29 2019-01-03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MAKE-UP PRODUCT
CN107213024A (zh) * 2017-06-30 2017-09-29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长效留香沐浴露及其制备方法
US11198831B2 (en) 2019-01-31 2021-12-14 Kvi Llc Lubricant for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149A (en) * 1980-01-30 1982-05-04 Calgon Corporation Polymerization method utilizing a three-phase emulsion system
JPS58143829A (ja) * 1982-02-18 1983-08-26 Kao Corp 二重乳化油脂組成物の製造法
JPS60197610A (ja) * 1984-03-16 1985-10-07 Kao Corp 乳化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2657504B2 (ja) * 1988-01-12 1997-09-24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H03151316A (ja) * 1989-11-06 1991-06-27 Kanebo Ltd 多相乳化型化粧料
JP3649341B2 (ja) * 1990-06-15 2005-05-18 株式会社資生堂 複合体及び複合体の組成物及び乳化剤組成物並びに乳化組成物
JPH04323188A (ja) * 1991-04-19 1992-11-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
US5178871A (en) * 1991-06-26 1993-01-12 S. C. Johnson & Son, Inc. Stable double emulsions containing finely-divided particles
DE4206732A1 (de) * 1992-03-04 1993-09-09 Goldschmidt Ag Th Fluessige, lagerstabile, multiple emulsion des typs o/w/o
JP3398171B2 (ja) * 1993-03-15 2003-04-21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FR2725369B1 (fr) * 1994-10-07 1997-01-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ee d'une emulsion huile dans eau a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JP3306286B2 (ja) * 1995-03-30 2002-07-24 株式会社資生堂 複合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5985177A (en) * 1995-12-14 1999-11-16 Shiseido Co., Ltd. O/W/O type multiple emuls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E19548016A1 (de) * 1995-12-21 1997-06-26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W-Mikroemulsionen oder O/W/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in gelöster Form vorliegenden, an sich schwerlöslichen UV-Filtersubstanzen, insbesondere Triazinderivaten
US5849315A (en) * 1997-05-08 1998-12-15 Isp Investments Inc. Emulsifier composition for skin care formula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133A (ko) * 2013-12-18 2015-06-26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0702457B2 (en) 2017-04-13 2020-07-07 Adhome Co., Ltd. Method for preparing vegetable oil emulsion by ultrasonication
WO2019107813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KR20190064823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KR20210144017A (ko) 2020-05-21 2021-11-30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87A (ko) *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5527B (en) 2002-10-11
EP0970741B1 (en) 2008-05-14
EP0970741A1 (en) 2000-01-12
EP0970741A4 (en) 2006-03-29
KR100563583B1 (ko) 2006-03-30
DE69839479D1 (de) 2008-06-26
WO1999003572A1 (fr) 1999-01-28
US6150425A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583B1 (ko) O/w/o형 복합에멀젼
KR100972327B1 (ko)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KR20100017135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JP547788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0024159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60422A (ko) 피부 외용제 및 피부 세정료
EP2508169B1 (en) Polymerso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83381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4134067A1 (en) Lamellar gel-containing composition, emulsified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or agent for external use on skin
JP200211463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717171B2 (ja) セラミド類を含有する透明分散液の製造方法
JP2010024161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59973B2 (ja) 乳化剤形の皮膚外用剤
JP4039542B2 (ja) O/w/o型複合エマルジョン
JP200418969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039541B2 (ja) O/w/o型複合エマルジョン
JP2007077077A (ja) 水中油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1040256A1 (ja) ゲル状組成物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WO2023042687A1 (ja) 水中油型洗浄料組成物
JP2006045133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23042688A1 (ja) 水中油型組成物
JP2011184367A (ja) ポリマーソーム及び製造方法
JP2010024160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401146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