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440A -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 Google Patents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440A
KR20000068440A KR1019997001808A KR19997001808A KR20000068440A KR 20000068440 A KR20000068440 A KR 20000068440A KR 1019997001808 A KR1019997001808 A KR 1019997001808A KR 19997001808 A KR19997001808 A KR 19997001808A KR 20000068440 A KR20000068440 A KR 2000006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ransducer
signal
driv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740B1 (ko
Inventor
제임스 그레고리 미틀
존 엠. 맥키
다릴 커티스 웨버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2000006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0)의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위상 동기 루프 내에서 트랜스듀서 구동기(106)와 모드 검출기(112, 108)에 결합된 전압 제어 발진기(104)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104)는 가변 주파수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트랜스듀서 구동기(106)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에 결합되어 진동 경보를 발생하는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502)를 발생한다. 모드 검출기(112, 108)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의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에 의해 전달된 진동 에너지가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주파수(204)를 만드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MODE TRACKING TRANSDUCER DRIVER FOR A NON-LINEAR TRANSDUCER}
방사상 비대칭 적재 모터는 PDA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페이저와 셀룰러 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용으로 무음이나 진동 경보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된다. 모터는 비대칭으로 적재되게 설계되지 않으므로, 그 결과 샤프트 및 베어링 슬리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마모로 모터 이상을 불가피하게 초래하게 된다. 모터는 통상 100밀리암페어 이상의 고 기동 전류를 필요로 하고, 50밀리암페어 이상의 고 동작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이 두 경우는 전지의 수명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리플로우 납땜 온도가 회전 샤프트에 대해 제공된 윤활유을 쓸모 없게 하므로, 모터를 전자 장치의 다른 전자 부품과 함께 리플로우 납땜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모터는 또한 스파크 갭 EMP 현상이 일반적인 경우 모터의 정류 특성으로 인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사용될 때 통상의 감지 불능의 원인이 된다.
비회전,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의 새로운 세대가 무니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105,540 및 맥키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327,12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두 특허는 진동 경보 장치로서의 동작용 전지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상당히 저감시키고 있다. 이들 트랜스듀서에는 통상적으로 평균 40밀리암페어만의 개시 전류와 10밀리암페어만의 동작 전류만이 필요하다. 트랜스듀서는 마모로 인한 기계적 이상을 받지 않으며 리플로우 납땜 가능하며, 무선 감지 불능을 발생하는 정류용 소자를 갖지 않는다. 부가하여, 비선형 트랜스듀서가 개인에게 결합되어 있을 때 발생되는 진동 감지를 최대화하는 초저주파수 주파수에서 동작되는 이들 비선형 트랜스듀서가 개인에게 결합되어, 완전 무음의 비분열성 경보가 가능하게 된다.
비선형 트랜스듀서를 실행하는 주요 점은 이들의 전기적 구동의 필요성에 있다. 비선형 트랜스듀서는 간단히 온 오프 스위치될 수 있는 모터와는 달리, 전기적 구동 회로가 이들의 진동 에너지 출력을 최적화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비선형 트랜스듀서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수의 트랜스듀서 구동 회로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전자기적 공진 트랜스듀서용 전자 구동기"로 표제되어 맥클러그 등에 의해 1995년 7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08/506,304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비선형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로부터 출력된 진동 에너지는 비선형 동작 중에 비선형 트랜스듀서에 의해 실제 발생되고 있는 진동 에너지를 모니터링하여 최적화된다.
정류 잡음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 전지로부터 직접 구동될 수 있는 비선형 트랜스듀서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비선형 왕복 운동 장치"로 표제되어 맥키에 의해 1996년 6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08/657,126에 기재되어 있다. 이 비선형 왕복 운동 장치는, 하나의 전지나 이중 전지의 구성으로부터 보내진 진동 에너지를 최대화하는 동작용 비선형 컨택터를 이용한다.
상술한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는 비선형 트랜스듀서로부터 전달된 진동 에너지를 최대화하면서,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의 동작 모드를 트랙킹하여 유사 공진 동작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에너지 출력을 개선하는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용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용 주파수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의 전기적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의 임펄스 출력과 유사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의 유사 공진 주파수 아래에서 동작할 때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의해 발생된 통상의 전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공진 주파수 위에서 동작할 때의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의해 발생된 통상의 전기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할 때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의해 발생된 통상의 전기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의 전기적 블럭도.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갖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 트랜스듀서 구동기 및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 및 모드 검출기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하며,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된 입력을 가지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모드 검출기는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검출한다. 모드 검출기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동작 주파수를 만드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갖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용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 트랜스듀서 구동기 및 위상 비교기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된 입력을 가지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위상 비교기는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결합된 제1 입력과,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어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적어도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나타내는 위상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입력을 갖는다. 위상 검출기는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동작 주파수를 만드는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의 전기 블럭도이다.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104)(이하 VCO로 언급), 트랜스듀서 구동기(106), 위상 비교기(108), D 플립-플롭(110), 모드 검출기(112), 및 저역 통과 필터(114)를 포함한다. VCO(104)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동작하고, 저역 통과 필터(114)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제어 신호는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와 같이 진동 경보 장치를 구동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예로서 40Herz 내지 120Herz의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서 변동하는 가변 주파수 출력 신호의 발생을 제어한다. 진동 경보 장치에서는, 최적의 진동 주파수가 90Herz 내지 100Herz이다.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이하 트랜스듀서로 언급)이 페이저나 휴대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 이용될 때 진동 경보를 발생하는 데에 이용될 때와 같이 트랜스듀서의 동작이 필요할 때, VCO(104)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 입력(116)을 제공한다. VCO(104)의 가변 주파수 출력은 D 플립플롭(110)의 클럭 입력 및 위상 비교기(108)의 제1 입력에 결합된다. D 플립플롭은 소정의 분할 값 2를 제공하는 주파수 분할기로서 동작한다.
트랜스듀서 구동기(106)는 브리지 구동기 회로의 절반을 형성하는 N 채널 MOSFET Q2에 결합된 P 채널 MOSFET Q1 및, 브리지 구동기 회로의 다른 절반을 형성하는 N 채널 MOSFET Q4에 결합된 P 채널 MOSFET Q3를 포함하고, 이 P 채널 MOSFET 트랜지스터는 N 채널 MOSFET 트랜지스터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P 채널 MOSFET 트랜지스터 Q1 및 Q3의 소스 전극은 예로서 1.5volt인 전원 전압 B+에 결합되어 있다. N 채널 MOSFET 트랜지스터 Q2 및 Q4의 소스 전극은 함께 접속되어 저항기 R1의 제1 단자에 결합된다. 저항기 R1의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P 채널 및 N 채널 MOSFET 트랜지스터의 접속접에서의 브리지 구동기 출력이 트랜스듀서(102)에 결합되어 트랜스듀서(102)를 통전화하도록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MOSFET 트랜지스터 Q1 및 Q2의 게이트 전극은 D 플립플롭(110)의 Q 바아 출력에 결합되며, MOSFET 트랜지스터 Q3 및 Q4의 게이트 전극은 D 플립플롭(110)의 Q 출력에 결합된다.
저항기 R1은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드 검출기(112) 내의 모드 감지 소자로서 기능하며, 적어도 트랜스듀서(102)의 제1 동작 모드와 트랜스듀서(102)의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감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저항기 R1의 제1 단자는 커패시터 C1의 제1 단자에 결합하며, 커패시터 C1의 제2 단자는 위상 비교기(108)의 제2 입력에 결합된다. 커패시터 C1은 브리지 구동기(106)와 위상 비교기(108)의 입력 사이의 직류 분리를 제공한다. 위상 비교기(108)의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114)의 입력에 결합되고, 이 필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항기 R2와 커패시터 C2를 포함하는 종래의 RC 필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는 위상 동기 루프 제어기로서 상호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상 동기 루프 제어기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의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동작 주파수를 만드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데에 이용된다.
예시로서, MOSFET 트랜지스터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소재의 실리코닉스사에 의해 제조된 Si6552DQ 이중 강화 모드 MOSFET 트랜지스터와 같은 강화 모드 MOSFET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고; D 플립플롭(110)은 세트와 리세트를 갖는 MC74HC74A 이중 플립플롭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이 세트와 리세트 입력은 B+에 결합되어 디스에이블되고(도시 생략); 위상 비교기(108) 및 VCO(104)는 MC74HC4046A 위상 록 루프 집적 회로로 실행될 수 잇다. MC74H 직렬 집적 회로는 일러노이주 슈럼버그 소재의 모토롤라사에 의해 제조된다. 위상 동기 루프와 브리지 구동기 회로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집적화될 수 있으며, 이로써 모드 트랙킹 구동기(100)의 부품 개수, 복잡성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의 동작은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의 임펄스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인 도 2를 참조하여 잘 이해되며, 이의 예로는 무니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번호 5,107,540 및 맥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번호 5,327,120에 기재되어 있다.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는 견고한 스프링 시스템을 이용하며, 이의 동작은 뉴욕시의 맥그로힐 북 캄퍼니에 의해 1958년에 발간된 자콥슨 및 아이어의 저서 "엔지니어링 바이브레인션"의 페이지 286-290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더핑(Duffing)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비선형 전자기적 트랜스듀서(102)는 통상 제어 입력(116)에 의해 초기 인에이블되면 VCO(104)에 의해 발생된 저 주파수(202)에서 시작하여, 도메인 I에서 동작하게 된다. 다음에 VCO(104)의 출력은 상측 주파수(204)까지 스위프되거나 램프되고, VCO(104)의 출력이 램프되는 비율은 VCO 출력, 즉 R1 양단의 모드 신호(122)와 저역 통과 필터(114) 사이에서 검출된 위상 에러의 함수이다. 모드 신호(122)는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102)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대한 트랜스듀서 구동 회로의 위상을 측정한 것이다.
도 2로부터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102)에 결합된 브리지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트랜스듀서(102)의 이동체(무니 등과 맥키 등에 기재)의 변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트랜스듀서(102)에 의해 발생된 진동 에너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VCO 출력이 트랜스듀서(102)의 의사 공진 주파수로서 정의된 상측 주파수(204)에 근접함에 따라, 트랜스듀서(102)는 조건에 따라 안정적이지 않게 되어 도메인 I로부터 도메인 Ⅱ로 "점프"한다. 도메인 Ⅰ으로부터 도메인 Ⅱ로의 "점프"는 트랜스듀서(102)의 제1 동작 모드로부터 트랜스듀서(102)의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 변경으로 감지된다.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종래의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에서는, 도메인 Ⅱ으로의 "점프"가 실재 발생하지 않으며, 그보다는 "점프"가 주파수 210 이상에서 발생된 진동 레벨 에너지 출력으로 정의된 도메인 Ⅲ으로 직접 가게 되고, 이곳에서는 트랜스듀서(102)의 안정된 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는, 이 종래의 트랜스듀서 구동기 회로가 트랜스듀서 구동 주파수를 "점프"가 발생하는 주파수에 까지 또한 이 주파수를 거쳐 매우 자주 주기적으로 스위핑할 수 있거나, 점프가 발생하는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에서 발생되는 상한 동작 주파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로서 도메인 Ⅱ로의 점프를 트랙킹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동작은 고레벨의 진동 에너지 출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진동 에너지를 완전히 최대화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는 트랜스듀서(102)가 도메인 I로부터 도메인 II로 "점프"할 때 발생되는 모드 변화를 감지하여 진동 에너지 출력을 최대화한 후, 브리지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 주파수를 "점프" 주파수 바로 아래로 순간적으로 감소시킨다. 트랜스듀서(102)의 이동체의 이동은, 이동체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로 인해 도메인 III에 규정되어 있는 저 레벨로 순간적으로 떨어질 수 없기 때문에, 거의 순간적인 주파수 감소는 트랜스듀서(102)가 도메인 I에서 동작을 재개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의사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의사 공진 주파수(204) 바로 아래의 주파수에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에 의해 발생된 전형적인 전기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VCO 출력은 VCO 출력 신호(124)라 칭하는 신호(302)로서 도시되며, 모드 신호는 모드 신호(122)라 칭하는 신호(304)로서 도시되며, 트랜스듀서 구동기(106)로의 출력은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120)라 칭하는 신호(306)로서 도시되며, 위상 비교기(108)에서 증폭을 통해 제한된 후의 모드 신호(122)는 제한된 모드 신호(308)라 칭하는 신호(308)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 출력 신호(124)인 신호(302)는, 신호(306)로 도시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120)의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에서 발생된다. 위상 비교기(108)는 제한된 모드 신호인 신호(308)와 VCO 출력 신호(124)인 신호(302)를 비교하여 주파수 제어 신호(108)를 발생한다. 트랜스듀서 구동기(106)는 실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306)를 2배로 하며, 그 결과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트랜스듀서(102)를 구동하기 전에 VCO 출력 신호(124)를 분할하여 위상이 비교되는 동일한 주파수의 2개의 신호를 얻는데 사용된다.
도 4는 의사 공진 주파수(204)를 동작할 때, 즉 트랜스듀서(102)가 도메인 II로 점프된 후,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에 의해 발생된 통상의 전기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VCO 출력 신호(124)는 신호(302)로서 표시되며, 모드 신호(122)는 신호(304)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120)는 신호(306)로, 위상 비교기(108)에서 제한된 모드 신호(122)는 신호(108)로서 표시된다. 도메인 II에서의 트랜스듀서(102)의 제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4의 제한된 모드 신호(308)의 위상은 도메인 I에서의 트랜스듀서(102)의 제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의 제한된 모드 신호(308)의 위상과 180°차이가 나므로, 트랜스듀서(102)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모드 변화 표시를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5는 의사 공진 주파수(204)에서 동작할 때의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에 의해 발생된 통상의 전기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502)는 트랜스듀서(102)를 구동하는 데에 사용되는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120)이다. 신호(504)는 저역 통과 필터(114)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제어 신호(118)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 출력 주파수가 상측 주파수(204) 미만이면, 위상 동기 루프는 상측 주파수(204) 쪽으로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킨다. 상측 주파수(204)가 지점(506)에 도달하면, 트랜스듀서(102)의 모드는 도메인 I로부터 도메인 II로 변환된다. 그 후, 위상 동기 루프는 VCO 출력 주파수를 지점(508) 까지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며, 이 때 트랜스듀서(102)의 동작 모드는 도메인 I로 다시 복귀된다. VCO 출력 주파수는 지점(510)까지 증가하기 시작하며, 여기서 VCO 출력 주파수가 지점(512)으로 떨어지면서 주기가 반복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생된 실제 주파수 변동은 의사 공진 주파수(204)를 정의하는 대략 98 Hz±2Hz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를 사용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와 같은 통신 장치(600)의 전기적 블럭도이다. 선택 호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인터셉트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하는 수신기(604)의 입력에 결합되어 있는 안테나(602)에 의해 인터셉트된다. 인터셉트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선택 호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경우, 어드레스부와 같이 선택 호출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디코더에 의해 디코드된다. 수신된 어드레스는 코드 메모리(608)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어드레스와 수신된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디코더/제어기(606)에 결합된다. 수신된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통신 수신기(600)로의 임의의 메시지가 수신되며, 이 메시지는 메시지 메모리(612)에 저장된다. 디코더/제어기(606)는 상술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의 제어 입력(116)에 결합되어 있는 경보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경보를 발생한다. 진동 경보는 통신 장치에 의해 리셋되며, 메시지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제어(616)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614) 상에 메시지 표시를 위해 메시지 메모리(612)로부터 재호출된다. 메시지 메모리(612)로부터 재호출된 메시지는 디코더/제어기(606)를 통해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614)에 전송된다.
요약하면,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2배인 VCO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가 기술되어 있다. 위상 동기 루프 내의 위상 비교기(108)는 VCO 출력 신호와 트랜스듀서(102)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를 비교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여, 트랜스듀서(102)는 의사 공진 주파수(204)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의사 공진 주파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100)에 의해 구동되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의 함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드 트랙킹 구동기(100)는 트랜스듀서(102)의 동작을 "점프" 주파수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102)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 출력을 최대화한다.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트랜스듀서(102)가 단일의 셀 전지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하므로, 페이징 수신기 및 휴대용 셀룰러 전화를 포함하는 전지식 통신 장치와 같은 다양한 전지식 전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갖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있어서,
    가변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입력을 갖는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된 입력을 가지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트랜스듀서 구동기; 및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동작 주파수를 만드는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검출기
    를 포함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선정된 주파수 범위에서 변동하며,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가 상기 선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출력 신호의 상기 주파수를 제어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주파수 범위는 40 Hertz 내지 120 Hertz 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브리지 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검출기는: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결합되어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감지 소자; 및
    상기 모드 감지 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며, 상기 모드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교기
    를 포함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는 트랜스듀서 구동 전류이고, 상기 모드 신호는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대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 전류의 위상을 나타내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 신호를 선정된 분할 값으로 분할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분할 값은 2인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입력을 더 포함하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0.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갖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용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있어서,
    가변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입력을 갖는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된 입력을 가지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트랜스듀서 구동기; 및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결합된 제1 입력과,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어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적어도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나타내는 위상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입력을 가지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동작 주파수를 만드는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비교기
    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기에 결합되어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감지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비교기는 상기 모드 감지 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며, 상기 모드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신호는 트랜스듀서 구동 전류이고, 상기 모드 신호는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대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 전류의 위상을 나타내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비교기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결합되어, 선정된 분할 값으로 상기 출력 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분할 값은 2인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더 포함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선정된 주파수 범위에서 변동하며, 상기 주파수 제어 신호는 상기 선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의 상기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주파수 범위는 40 Hertz 내지 120 Hertz인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브리지 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위상 동기화된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20. 선택적 호출 메세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에 전달되는 상기 선택적 호출 메세지를 수신하여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어, 상기 선택적 호출 메서지의 적어도 일부를 디코드하여 상기 선택적 호출 메세지가 상기 통신 장치에 전달되는 경우 경고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디코더; 및
    상기 경고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에너지 출력을 발생하는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트랜스듀서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적어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갖는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를 갖고,
    상기 모드 트래킹 트랜스듀서 구동기는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적어도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을 검출하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형 전자기 트랜스듀서의 상기 진동 에너지 출력이 최대화되는 의사 공진 주파수를 만드는 선택적 호출 메세지 수신용 통신 장치.
KR1019997001808A 1996-09-04 1997-08-20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KR100326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07,543 US5828295A (en) 1996-09-04 1996-09-04 Mode tracking transducer driver for a non-linear transducer
US8/707,543 1996-09-04
US08/707,543 1996-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440A true KR20000068440A (ko) 2000-11-25
KR100326740B1 KR100326740B1 (ko) 2002-03-13

Family

ID=2484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808A KR100326740B1 (ko) 1996-09-04 1997-08-20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28295A (ko)
EP (1) EP0931421B1 (ko)
JP (1) JP2001501526A (ko)
KR (1) KR100326740B1 (ko)
CN (1) CN1120635C (ko)
AU (1) AU4077097A (ko)
DE (1) DE69734318T2 (ko)
HK (1) HK1022073A1 (ko)
TW (1) TW348247B (ko)
WO (1) WO1998010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14969A1 (en) * 2019-03-29 2020-10-01 Cirrus Logic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td. Resonant tracking of an electromagnetic lo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255B1 (en) 1996-05-21 2002-04-1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authoring
US6256011B1 (en) 1997-12-03 2001-07-03 Immersion Corporation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with force feedback
US7936251B1 (en) * 1998-01-08 2011-05-03 Kyocera Corporation Alerting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alerting device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AR020608A1 (es)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ATE225998T1 (de) 1998-07-17 2002-10-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fernsehprogrammführung mit mehreren geräten an einem ort
US6693626B1 (en) 1999-12-07 2004-02-17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using a keyboard device
WO2002013528A2 (en) 2000-08-08 2002-02-14 Replaytv,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television replay control
EP1208645B1 (de) * 2000-08-12 2005-10-26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von rechteckimpulsen
CN100397899C (zh) 2000-10-11 2008-06-25 联合视频制品公司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US6904823B2 (en) 2002-04-03 2005-06-1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hifting devices
CN1685760B (zh) * 2002-09-26 2011-04-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驱动机构
AU2003285886A1 (en) 2002-10-15 2004-05-04 Immersion Corporation Product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force sensations in a user interface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8992322B2 (en) 2003-06-09 2015-03-31 Immersion Corporation Interactive gaming systems with haptic feedback
US7538473B2 (en) * 2004-02-03 2009-05-26 S.C. Johnson & Son, Inc. Drive circuits and methods for ultrasonic piezoelectric actuators
US7723899B2 (en) 2004-02-03 2010-05-25 S.C. Johnson & Son, Inc. Active material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1541549B1 (ko) 2006-09-13 2015-08-03 임머숀 코퍼레이션 카지노 게이밍 햅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418206B2 (en) 2007-03-22 2013-04-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US8087047B2 (en) 2007-04-20 2011-12-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access to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9486292B2 (en) 2008-02-14 2016-11-0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winding analysis for knot detection
DE102008029477A1 (de) * 2008-06-20 2009-12-24 Vacuumschmelze Gmbh & Co. Kg Stromsensoranordnung zur Messung von Strömen in einem Primärleiter
DE102008029475A1 (de) * 2008-06-20 2009-12-24 Robert Bosch Gmbh Stromsensoranordnung zur Messung von Strömen in einem Primärleiter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9104791B2 (en) 2009-05-28 2015-08-1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diting a model of a physical system for a simulation
US9204193B2 (en) 2010-05-14 2015-12-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detection and filtering using a parental control logging application
JP5689651B2 (ja) * 2010-11-09 2015-03-25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ヘッドの駆動方法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9253262B2 (en) 2013-01-24 2016-02-0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media devices through web sockets
US9866924B2 (en) 2013-03-14 2018-01-0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television inte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92A (en) * 1979-07-06 1981-02-03 Taga Denki Kk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ultrasonic-wave converter
US4754186A (en) * 1986-12-23 1988-06-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rive network for an ultrasonic probe
US4724401A (en) * 1987-04-23 1988-02-0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daptive oscillator apparatus for use in a phase-lock loop
US4965532A (en) * 1988-06-17 1990-10-23 Olympus Optical Co., Ltd. Circuit for driving ultrasonic transducer
US5107540A (en) * 1989-09-07 1992-04-21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resonant vibrator
US5113116A (en) * 1989-10-05 1992-05-12 Firma J. Eberspacher Circuit arrangement for accurately and effectively driving an ultrasonic transducer
US5272475A (en) * 1991-12-09 1993-12-21 Motorola, Inc. Alerting system for a communication receiver
US5237120A (en) * 1991-12-27 1993-08-17 Mobil Oil Corporation Double bond isomerization of olefin-containing feeds with minimal oligomertization using surface acidity deactivated zeolite catalysts
US5327120A (en) * 1992-07-06 1994-07-05 Motorola, Inc. Stabilized electromagnetic resonant armature tactile vibrator
EP0674350B1 (en) * 1994-03-23 2000-05-31 Nikon Corporation Ultrasonic motor
US5649020A (en) * 1994-08-29 1997-07-15 Motorola, Inc. Electronic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resonant transdu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14969A1 (en) * 2019-03-29 2020-10-01 Cirrus Logic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td. Resonant tracking of an electromagnetic 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635C (zh) 2003-09-03
EP0931421B1 (en) 2005-10-05
EP0931421A4 (en) 2001-06-20
WO1998010598A1 (en) 1998-03-12
CN1230320A (zh) 1999-09-29
DE69734318D1 (de) 2006-02-16
TW348247B (en) 1998-12-21
DE69734318T2 (de) 2006-04-20
US5828295A (en) 1998-10-27
KR100326740B1 (ko) 2002-03-13
EP0931421A1 (en) 1999-07-28
HK1022073A1 (en) 2000-07-21
JP2001501526A (ja) 2001-02-06
AU4077097A (en) 199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740B1 (ko) 비선형 트랜스듀서용 모드 트랙킹 트랜스듀서 구동기
US5570004A (en) Supply voltage regulato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EP176957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art time of a vcxo
US6233431B1 (en) Radio page receiver with automatic cyclical turn on
JPS6237842B2 (ko)
JPH0215418Y2 (ko)
KR100258166B1 (ko) 온도 보상 전압 제어 수정 발진기를 구비한 무선수신기
EP0536745A2 (en) Power supply controller and frequency synthesizer using the same
KR100258171B1 (ko) 무선 수신 단말기(radio receiving terminal)
JPH10256903A (ja) Pll回路
CN111294045B (zh) 一种降低电荷泵锁相环相位噪声的电路及方法
JPH0846544A (ja) 移動無線装置
US4617424A (en) System for preventing stealing of line in radiotelephony
KR100211330B1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US20030001626A1 (en) Detection of voltage amplitude using current
US20050093639A1 (en) Switching circuit an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the same
JP3033752B1 (ja) 無線機器および周波数の制御方法
EP0740481A2 (en) Battery-saving method using different receiving modes
JPH05207654A (ja) 電源制御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周波数シンセサイザ
JPH07212291A (ja) 移動無線装置
JPH07274488A (ja) 携帯式電話機の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0114875A (ja) 発振器
JP2003078412A (ja) 移動携帯端末装置
CA2039427A1 (en) Paging receiver
JPS6119222A (ja) ラジオ受信機の発振周波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