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135A -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135A
KR20000066135A KR1019990013015A KR19990013015A KR20000066135A KR 20000066135 A KR20000066135 A KR 20000066135A KR 1019990013015 A KR1019990013015 A KR 1019990013015A KR 19990013015 A KR19990013015 A KR 19990013015A KR 20000066135 A KR20000066135 A KR 2000006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rts
water
rice cake
dr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569B1 (ko
Inventor
이수혁
Original Assignee
이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혁 filed Critical 이수혁
Priority to KR101999001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5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한 가래떡을 절편하고 건조하여 인스탄트 건조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을 80-180 mesh로 1차 분쇄하고 솔비톨, 유화제, 소금, 감자전분, 초산전분을 혼합하여 2차 분쇄하고 수분을 35-37%로 보정한다. 증숙한 후 가래떡을 성형하고 굳히기 하여 두께 0.8-2mm 두께로 절단하여 열풍 및 동결건조시켜 수분함량 8% 이하로 건조한다. 본 발명의 인스탄트 건조떡은 떡의 중심부까지 수분이 침투하여 뜨거운 물에 복원시 떡의 중심부까지 수분이 침투하여 복원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씹힘성(texture)이 양호하여 인스턴트 식품용, 컵라면용, 만두나 국수의 부재료용으로 사용하면 훌륭한 떡의 맛을 제공할 수 있는 인스탄트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Rice Cake for Instant Foods}
본 발명은 증숙한 가래떡을 절편하고 건조하여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스탄트 식품의 증량제 또는 보조제로 많이 사용하는 떡은 가래떡을 절편하여 냉동보관하고 필요시 냉동된 떡을 꺼내어 식품조리에 사용하므로 조리가 완료되더라도 떡이 덜익은 상태가 되어 씹힘성이나 맛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떡국용 떡의 경우에 절편된 떡을 냉동보관하여 떡국을 끓일 때 보통 시간이 경과해도 떡의 중심부까지 열전달이 충분하지 않아 설익은 상태가 되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것은 증숙과정에서 변성된 α-전분이 떡 내부에서 막을 형성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므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시간 보다 끓이기를 오래하게 되면 떡이 물러져서 씹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스탄트 식품은 더운 물만 부으면 3-5분 이내에 원상대로 복원되도록 하여 상품화된 대표적인 것은 라면으로서 용기면의 내부에 보조제로 냉동건조된 야채, HVP, 육류, 해조류를 첨가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들 소재는 라면과 성분이 다르고 열전달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씹힘성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허전함을 느끼게 하여 포만감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종래기술은 없으나 떡볶이에 관한 선행기술은 한국특허 공개 90-4267 인스턴트 떡볶이의 제조방법, 93-21085 레토르트 떡볶이의 제조방법, 94-1810 조리냉동 떡볶이의 제조방법, 94-13352 즉석떡볶이의 제조방법, 94-23371 피자 떡볶이, 96-36936 인스턴트용 원통형 중공 떡볶이 등이 있으나 대부분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는 다른 것들이다.
본 발명의 인스턴트 식품용 건조떡은 뜨거운 물에 복원시 떡의 중심부까지 수분이 침투하여 복원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씹힘성(texture)이 양호하여 인스턴트 식품용, 컵라면용, 만두나 국수의 건더기용으로 사용하면 훌륭한 떡의 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의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배합조성물은 쌀 40-50부에 솔비톨 5-30부, 유화제 1-5부, 소금 1-5부, 감자전분 10-20부, 초산전분 10-20부, 정제수 10-20부를 혼합, 분쇄, 수분 보정, 증숙, 성형, 굳히기, 썰기, 건조 등의 단계를 거쳐 건조떡이 제조된다.
< 실시예 1-5 >
제 1 공정 : 분쇄 및 혼합 공정
멥쌀을 2-3회 수세한 후 25±2℃의 수도수에 10-15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팽윤시켜 쌀의 물을 빼고 롤러분쇄기로 2-3회 분쇄하여 80-180 mesh로 입도를 조절한다.
실시예 1-5와 같이 배합조성물을 쌀 40-50부에 솔비톨 5-30부, 유화제 1-5부, 소금 1-5부, 감자전분 10-20부, 초산전분 10-20부, 정제수 10-20부를 혼합하고 체질하여 80-180 mesh로 2차 분쇄한다. 혼합이 불균일 할 경우 슬라이스된 가래떡 절편에 균열이 생겨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표 1. 배합조성물의 예 (단위: 부)
구 분 솔비톨 유화제 소금 전분 1 전분 2 정제수
실시예1 40 20 5 5 10 10 10
실시예2 45 15 1 1 20 15 10
실시예3 50 5 3 3 10 20 10
실시예4 40 15 5 5 10 15 10
실시예5 40 30 3 3 20 20 10
* 전분 1: 감자전분, 전분 2:초산전분
제 2 공정 : 증숙 및 성형
실시예 1-5와 같은 쌀과 배합조성물을 2차에 걸쳐 분쇄하여 증숙전 수분함량을 35±2%로 보정한 후, 증기를 유입시켜 3-5분간 유지한 후 2-3분간 증숙하여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Φ 25 노즐로 가래떡 성형하였다.
제 3 공정 : 냉각 및 건조
실시예 1-5와 같은 배합조성물에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한 가래떡을 0-5℃의 냉수에 1-5분간 침지하여 냉각시켜 24시간 동안 굳히기한 후 자동절단기 (cutter)를 이용하여 두께 0.8-2mm 두께로 절단하고 60-80℃로 열풍건조하여 -20 ∼ -40℃로 동결건조기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 8% 이하로 하여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을 제조한다.
< 적용예 >
실시예 1-5와 같이 제조한 인스탄트용 건조떡의 균열성, 복원성, 씹힘성, 종합적인 맛 등을 조사하였다.
표 2. 배합비에 따른 건조떡의 물성 및 맛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균 열 성 양 호 보 통 불 량 양 호 보 통
복 원 성 양 호 양 호 불 량 양 호 보 통
씹 힘 성 ×
종합적인 맛
< 균열성 시험 >
건조떡을 투명한 유리병에 넣고 20-25℃의 실온에서 1개월간 보관하고 육안 관찰을 통하여 건조떡 절편에 균열이 전혀없는 상태를 양호, 건조떡에 균열이 2/3 이상 없으면 보통, 건조떡에 균열이 1/2 이상 있으면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 복원성 시험 >
건조떡을 끓는 물에 넣고 5분간 팽윤시켜 건조떡의 절편 제조시 형태로 복원되는 정도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건조떡 절편에 손상이 전혀없는 상태를 양호, 건조떡에 손상이 2/3 이상 없으면 보통, 건조떡에 손상이 1/2 이상 있으면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 씹힘성 및 종합적인 맛 >
건조떡을 용기라면(김치라면 농심제품)에 끓는 물과 함께 넣고 5분 경과후 21-29세의 남녀 5명씩(계 10명)을 대상으로 씹힘성과 종합적인 맛을 관능검사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8명 이상이 좋다고 할 경우에는 ○(양호), 응답자 중에서 6명 이상이 좋다고 할 경우에는 △(보통), 4명 이하이면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은 쌀 40-50부에 솔비톨 5-30부, 유화제 1-5부, 소금 1-5부, 감자전분 10-20부, 초산전분 10-20부, 정제수 10-20부를 혼합하여 얻은 배합조성물을 수분 보정과 열풍 및 급속동결건조를 통해 균열성이 없고 복원성, 씹힘성 및 종합적인 맛 등이 뛰어난 건조떡을 제조하여 인스탄트 식품의 보조제 또는 증량제로 사용하는 데 있다.

Claims (8)

  1. 멥쌀을 2-3회 수세한 후 25±2℃의 수도수에 10-15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팽윤시키는 단계와, 쌀의 물을 빼고 롤러분쇄기로 2-3회 1차 분쇄하여 입도를 조절한 후 부재료를 혼합하고 채질하여 2차 분쇄하는 단계와, 증숙전 수분함량을 보정하여 증기를 유입시켜 증숙한 후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가래떡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가래떡을 냉수에 침지하여 냉각시켜 굳히기한 후 자동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하여 수분함량을 8% 이하로 유지시켜 건조떡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침지한 쌀을 1차 분쇄하여 입도를 80-180 mesh로 조절하고, 부재료를 혼합한 후 2차 분쇄하여 입도를 80-180 mesh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수분함량을 35±2%로 보정하여 증기를 유입시켜 3-5분간 유지한 후 2-3분간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성형된 가래떡을 0-5℃의 냉수에 1-5분간 침지하여 냉각시켜 24시간 동안 굳히기한 후 자동절단기를 이용하여 두께 0.8-2mm 두께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절단된 떡을 60-80℃로 열풍건조 및 -20 ∼ 40℃로 동결건조기에서 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주재료는 쌀이고 부재료는 솔비톨, 유화제, 소금, 감자전분, 초산전분,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쌀 40-50부에 부재료는 솔비톨 5-30부, 유화제 1-5부, 소금 1-5부, 감자전분 10-20부, 초산전분 10-20부, 정제수 10-20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KR1019990013015A 1999-04-13 1999-04-13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15A KR100332569B1 (ko) 1999-04-13 1999-04-13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15A KR100332569B1 (ko) 1999-04-13 1999-04-13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35A true KR20000066135A (ko) 2000-11-15
KR100332569B1 KR100332569B1 (ko) 2002-04-17

Family

ID=195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0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569B1 (ko) 1999-04-13 1999-04-13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5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31B1 (ko) * 1999-06-17 2001-11-05 이상윤 즉석 복원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KR100793142B1 (ko) * 2006-05-26 2008-01-31 김흥찬 컵라면용 쌀떡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컵떡라면의제조 방법
KR100923119B1 (ko) * 2008-03-24 2009-10-22 성호정 즉석 쌀 떡국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971304B1 (ko) * 2009-07-28 2010-07-20 주식회사 와이제이에스 떡이 내장된 떡음료 제조방법
KR20200103938A (ko) 2019-02-26 2020-09-03 농업회사법인 영암식품 주식회사 쌀 무화과 떡국과 그 제조방법
KR20200103939A (ko) 2019-02-26 2020-09-03 농업회사법인 영암식품 주식회사 보리 귀리 쌀 떡볶이와 떡국과 그 제조방법
KR20220120196A (ko) 2021-02-23 2022-08-30 백기봉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02B1 (ko) 2007-12-28 2008-07-15 주식회사 삼립식품 글리세린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이용한 찰떡의노화억제방법
KR101025838B1 (ko) 2008-12-12 2011-03-30 김광순 떡라면용 건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988675B1 (ko) * 2009-09-18 2010-10-18 한천수 인스턴트 건조 떡국떡 및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떡국떡 및 떡볶이떡
KR102429554B1 (ko) 2020-10-29 2022-08-04 유한회사 햇촌식품 늘보리를 주성분으로 이용한 떡국용 떡의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31B1 (ko) * 1999-06-17 2001-11-05 이상윤 즉석 복원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KR100793142B1 (ko) * 2006-05-26 2008-01-31 김흥찬 컵라면용 쌀떡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컵떡라면의제조 방법
KR100923119B1 (ko) * 2008-03-24 2009-10-22 성호정 즉석 쌀 떡국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971304B1 (ko) * 2009-07-28 2010-07-20 주식회사 와이제이에스 떡이 내장된 떡음료 제조방법
KR20200103938A (ko) 2019-02-26 2020-09-03 농업회사법인 영암식품 주식회사 쌀 무화과 떡국과 그 제조방법
KR20200103939A (ko) 2019-02-26 2020-09-03 농업회사법인 영암식품 주식회사 보리 귀리 쌀 떡볶이와 떡국과 그 제조방법
KR20220120196A (ko) 2021-02-23 2022-08-30 백기봉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569B1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505B1 (ko) 굳지 않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떡
KR101834044B1 (ko) 수리취를 포함하는 멥쌀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2569B1 (ko) 인스탄트 식품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KR20170024993A (ko) 밥류 및 떡류의 전분 노화억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KR101333580B1 (ko) 타피오카 전분을 포함하는 어묵면의 제조방법
KR100309031B1 (ko) 즉석 복원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KR101834045B1 (ko) 수리취를 포함하는 찹쌀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1901B1 (ko)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9322A (ko) 속성 떡국용 떡 제조방법
KR20160101642A (ko) 찹쌀 쑥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9958B1 (ko) 즉석식품용 쌀떡볶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4688B1 (ko) 가래떡면의 제조방법
KR101723614B1 (ko) 보리 홍삼 즉석면과 그 제조방법
JPH09313091A (ja) 昆布を添加したパンの製造方法
CN103371340A (zh) 一种重组笋的加工方法
KR100988675B1 (ko) 인스턴트 건조 떡국떡 및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떡국떡 및 떡볶이떡
KR101570077B1 (ko) 단감분말 포함 산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산자
KR102746743B1 (ko) 깔라만시를 함유하는 바비큐 소스의 제조방법
KR102108300B1 (ko) 고구마 소를 포함하는 아이스 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5634B1 (ko) 부유성과 조직감이 우수한 건조어묵의 제조방법
KR102739702B1 (ko) 딸기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207A (ko) 전자레인지 간편 조리용 통팥 찰떡의 제조방법
KR101236113B1 (ko) 고추장 분말원료의 제조방법
KR19980014128A (ko) 냉동 칼국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