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754A - 이동 농기 - Google Patents

이동 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754A
KR20000064754A KR1019980707517A KR19980707517A KR20000064754A KR 20000064754 A KR20000064754 A KR 20000064754A KR 1019980707517 A KR1019980707517 A KR 1019980707517A KR 19980707517 A KR19980707517 A KR 19980707517A KR 20000064754 A KR20000064754 A KR 2000006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peed
traveling
driving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665B1 (ko
Inventor
시게히로 히다카
다이고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802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9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22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6647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타다오
Publication of KR2000006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1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 B62D11/14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 B62D11/1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the additional power supply being supplied hydraulically
    • B62D11/183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변속조작부재(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2)로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23),(24)와, 조향조작부재(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26),(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19)의 조작량에 따라서 주행속도를 감속하면서 스핀턴 동작으로 이행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농사작업 중의 직진주행 및 진로수정 동작과, 밭이랑에서 다음 작업공정위치를 향해 방향 전환하는 스핀턴 동작 등을, 연속된 일련의 방향조작만으로 순조롭게 실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농기
종래에, 좌우 주행크롤러를 장착 설치한 콤바인을 밭에서 아직 베지 않은 벼의 열에 따르게 하여 주행 이동시키면서 수확작업을 실시하는 동시에, 밭이랑에서 상기한 콤바인을 방향 전환시켜 다음 공정인 아직 베지 않은 벼의 열에 이동시키고 있었지만, 엔진출력을 변속 전달하는 미션케이스의 좌우 주행출력을 좌우 사이드클러치를 통해 좌우 주행크롤러에 전달시켜, 좌우 사이드클러치의 단속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의 한쪽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서 선회시킴으로써, 좌우 사이드클러치 조작과 주행변속 조작의 양쪽을 작업자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실시할 필요가 있고, 또 밭이랑에서 방향 전환할 때의 선회반경이 커지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엔진의 동력을 각별하게 전달하는 좌우 유압무단변속기를 설치하여 좌우 주행크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선회시의 감속 및 선회반경의 축소 등을 용이하게 실시하지만, 직진성능이 저하되기 쉽고, 아직 베지 않은 벼 열에 따르게 하여 주행 이동시키는 방향조작이 번거롭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좌우 주행크롤러에 엔진동력을 변속 전달하는 단일한 유압무단변속기구와, 선회 내측의 주행크롤러를 감속하며 또한 선회 외측의 주행크롤러를 증속시키는 유압무단 방향조작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직진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방향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선회반경도 쉽게 축소할 수 있지만, 직진시와 선회시에 주행속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며, 선회반경이 작은 스핀턴 동작 등을 실시할 때에 주행변속에 의해 감속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밭이랑에서 방향 전환할 때에 주행변속에 의해 감속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밭이랑에서 방향 전환할 때에 선회조작과 주행변속조작의 양쪽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방향조작기구를 전동시키는 선회조작과 연동시켜서 주행속도를 자동적으로 감소시켜, 또한 직진주행으로 복귀하는 조작과 연동시켜서 본래의 주행속도로 자동적으로 증속시킴으로써, 선회조작만으로 스핀턴 동작 등을 적정주행속도로 감속시켜 실시하고, 번거로운 주행변속조작을 생략하지만, 수확작업 중에 베지 않은 벼 열에 따르게 하는 구획맞춤(진로수정)을 위한 방향조작을 실시하여도, 주행속도가 감속되거나 증속되어서 수확작업 도중에 주행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작업자의 운전감각과 콤바인의 주행동작과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적정한 방향조작을 쉽게 실시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조향핸들의 조향출력은, 감속용의 스티어링기어를 통해 방향조작부에 전달되고, 조향핸들의 조작량에 대하여 스티어링기어의 조향출력을 대략 직선적으로 변화시켜서 기체의 선회가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예컨대 콤바인을 아직 베지 않은 벼 열에 따르게 하여 이동시키면서 수확작업을 실시할 때, 주행크롤러가 미끄러지기 쉬운 밭은, 조향핸들의 조작량보다도 선회동작이 작아지기 쉽고, 또한, 주행크롤러의 미끄러짐이 일반의 밭보다도 작을 때는, 조향핸들의 조작량보다도 선회동작이 커지기 쉬우며,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콤바인을 아직 베지 않은 벼 열에 따르게 하는 구획맞춤 조작성의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없고, 주행크롤러의 미끄러짐의 다소에 의한 선회동작의 불편함을 작업자의 운전감각에 의해 보충할 필요가 있고, 선회지연 또는 S자모양의 주행에 의해 아직 베지 않은 벼 열에서 진로를 놓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아직 베지 않은 벼를 연속적으로 수확하여 탈곡하는 콤바인 등의 이동 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주변속레버 및 조향핸들의 조작체계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4는 미션 구동체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주행변속 및 방향조작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조작부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조작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조작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조작부재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조작부재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조작부재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조향핸들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링크기구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15는 기체선회시의 핸들 꺾임각과 크롤러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이다,
도 16은 조향핸들조작과 주행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7은 주변속변환과 주행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8은 방향조작레버를 설치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컨트롤러를 설치한 설명도이다,
도 20는 도 12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21는 도 7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22은 부등속기어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부등속기어의 중립결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4는 부등속기어의 선회결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5는 핸들각도와 컨트롤레버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6은 부등속기어의 다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操向)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따라 주행속도를 감속하면서 스핀턴 동작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농사작업 중의 직진주행 및 진로수정 동작과, 밭이랑에서 다음의 작업공정위치를 향해 방향 전환시키는 스핀턴 동작을, 연속된 일련의 방향조작만으로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변속조작부재의 변속기준치를 변환하는 부변속조작의 저속 내지 고속변환에 비례시켜 선회반경을 소경 내지 대경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주행변속부재와 주행부 사이의 감속비 및 조향부재와 주행부 사이의 감속비의 설정, 혹은 스핀턴 동작에 필요한 소반경선회에 필요한 주행구동력의 확보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부변속조작위치에서 변속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선회반경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선회시의 주행속도가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른 운전조작을 실시할 수 있고, 기동성의 향상 및 운전조작성의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에 융통기구를 통해 주행변속부재를 연결시켜, 직진위치를 기준으로서 융통기구의 설정범위에서 주행변속부재를 직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된 것으로, 농사작업 중에 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기체를 따르게 하는 방향조작을 실시하여도 주행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거의 동일한 주행속도를 유지하면서 농사작업 중의 진로수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운전감각과 기체의 주행동작을 거의 일치시켜서 적정한 방향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를 최대로 꺾인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주행속도를 약 4분의 1로 감속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속도와, 밭이랑에서 방향 전환시키는 스핀턴 주행속도의 차이를, 저속주행작업에 비하여 고속주행작업 쪽이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고속주행작업을 실시해도 저속시와 마찬가지로 밭이랑에서의 스핀턴 조작을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저속주행작업을 실시하여도 고속시와 마찬가지로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시의 변속범위를 크게 설정하여도 스핀턴 조작시에 감속 후의 주행속도범위를 작게 하여 기동성의 향상 및 방향조작성의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를 최대로 꺾인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조향부재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직진 주행하는 농사작업시에 비하여 주행부하가 커지는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에 필요한 주행부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고, 방향 전환시의 주행과부하에 의한 엔진정지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액셀조작 등을 생략하여 방향 전환시의 운전조작성의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변속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선회부재의 출력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직진 주행하는 농사작업시에 비하여 주행부하가 커지는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에 필요한 주행부 구동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로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최고속 주행시의 주행부하와 선회시의 최대 주행부하가 대략 동등하게 되는 조건하에서 주행변속부재의 동력전달체계와 조향부재의 동력전달체계를 구성한 것으로, 주행변속부재 및 조향부재를 대략 동일한 방법의 무단변속기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주행변속부재와 주행부 사이의 감속비 및 조향부재와 주행부 사이의 감속비의 설정, 혹은 스핀턴 동작에 필요한 소반경선회의 주행구동력의 확보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의 출력의 감속비 보다도 조향부재의 출력의 감속비를 크게 설정한 것으로,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을 고속으로 실시하면서,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저속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저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의 출력의 감속비보다도 조향부재의 출력의 감속비를 작게 설정한 것이고,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을 저속으로 실시하여도,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기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로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 내지 최대 방향조작 범위 내로 구획맞춤 위치 및 브레이크턴 위치 및 스핀턴 위치를 설치한 것으로, 농사작업 중의 구획맞춤 방향조작과, 브레이크턴 방향조작과, 밭이랑에서의 스핀턴 방향조작을 조향조작부재의 연속조작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조향조작부재의 조작각도의 설정만으로 한 손으로 방향조작을 할 수 있으며, 또 한 손으로 농사작업부의 승강작동 등 다른 조작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방향조작과 다른 농사작업 조작을 거의 동시에 실시하는 복합조작성의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직진시의 주행속도를 유지시키면서, 선회시키는 구획맞춤 위치와, 선회 내측의 주행부를 역전시키는 스핀턴 위치의 사이에, 브레이크턴 위치를 형성한 것으로, 선회반경이 큰 구획맞춤 방향조작과 선회반경이 작은 스핀턴 조작의 사이에 중간의 브레이크턴 조작을 사이에 둠으로써 급격한 선회각도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의 한쪽방향의 최대로 꺾인 각도를 약 135도로 하고, 조향조작부재의 꺾이는 각도가 0 내지 약 15도의 범위를 구획맞춤 위치로 설정한 것으로, 작업자가 조향조작부재를 한 손으로 연속 회전시키는 135도의 회전으로 스핀턴 조작하여 밭이랑에서의 기체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작물 열 등의 완만한 구부러짐에 따라서 조향조작부재의 약 15도의 회전에 의한 완만한 선회에 의해 구획맞춤 조작을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로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에 부등속 운동부재를 통해 조향부재를 연결시켜, 조향조작부재에 의한 조향부재의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라서 이동하는 농사작업시에, 좌우 주행부의 미끄러짐 비율이 밭의 성상에 의해 달라져도, 조향조작부재의 조작량과 선회동작을 작업자의 운전감각과 일치시킬 수 있고, 둔감한 선회에 의한 선회지연 또는 과민한 선회에 의한 S자모양의 주행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농사작업시의 진로수정 등 운전조작성의 향상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조작부재에 의한 조향부재의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켜, 상기한 범위 이외의 선회제어량을 직선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르게 하는 농사작업 중의 진로수정 등 큰 선회반경인 때, 즉 고속으로 밭을 이동할 때, 선회지연 또는 S자모양의 주행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스핀턴 동작) 등 큰 선회반경인 때, 즉 저속으로 밭을 이동할 때, 종래의 운전감각으로 조향조작부재를 조작할 수 있으며, 고속에서의 농사작업 및 저속에서의 방향 전환 등의 운전조작성의 향상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조작부재에 의한 조향부재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이, 상기한 범위 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커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르게 하는 농사작업 중의 진로수정(구획맞춤)을 기민하게 실시할 수 있고, 선회지연방지 및 농사작업속도의 고속화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조작부재에 의한 조향부재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이, 상기한 범위 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주행부의 미끄러짐이 적은 밭에서의 농사작업 중의 진로수정(구획맞춤)을 종래와 마찬가지의 운전감각으로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고, S자 모양 주행의 방지 및 농사작업속도의 고속화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유압변속기구 및 기어차동기구를 통해 주행부에 전달하여 기체를 변속이 자유롭게 주행하는 동시에, 조향핸들의 방향조작력을 유압방향조작기구를 통해 기어차동기구에 전달하여, 좌우 주행부의 회전을 달리하여 기체의 선회를 실시하도록 한 콤바인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향핸들의 방향조작력을 부등속기어를 통해, 유압방향조작기구로 전달하도록 설치한 것이므로, 핸들 조작에 민감 또는 둔감하게 반응시킨 기체의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등속기어는 조작초기의 솟아오르는 출력을 크게 하는 것이므로, 핸들 조작초기의 일정 조작량에 대하여, 기체의 선회량을 종래보다 크게 한 민감한 선회를 실시하여, 선회지연 등을 일으키지 않는 신속 또한 양호한 방향조작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부등속기어는 조작 초기의 솟아오르는 출력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핸들 조작 초기의 일정조작량에 대하여 기체의 선회량을 종래 보다도 작게 한 둔감한 선회를 실시하여, 핸들의 직진 조작성을 향상시킨 양호한 선회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하는 둥근 형상의 조향핸들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한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예컨대 트랙터 또는 이양기와 마찬가지의 운전감각으로 진로수정 및 방향 전환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조작하는 방향조작레버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한 레버를 예컨대 좌우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좌우 어느 쪽의 진로수정 및 방향 전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를 주행변속부재 또는 조향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링크기구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한 링크기구의 동작 및 기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거의 저하되지 않고, 방향조작 동작의 신뢰성 향상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향조작부재를 주행변속부재 또는 조향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으로, 방향조작 제어기능의 다기능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 등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주변속레버 및 조향핸들의 조작계의 사시 설명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동평면도이고, 도면 중 도면부호 1은 주행크롤러(2)를 장착 설치하는 트럭프레임, 3은 상기한 트럭프레임(1)에 가설하는 기계대, 4는 피드체인(5)을 좌측에 팽팽하게 걸어 취급몸통(6) 및 처리몸통(7)을 내장하고 있는 탈곡기인 탈곡부, 8은 베는 칼날(9) 및 벼반송기구(10) 등을 구비하는 수확부, 11은 수확프레임(12)을 통해 수확부(8)를 승강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13은 짚 배출체인(14) 종단에 이르는 짚 배출처리부, 15는 탈곡부(4)로부터의 곡물낟알을 양곡(揚穀)통(16)을 통해 반입하는 곡물탱크, 17은 상기한 탱크(15)의 곡물낟알을 기계외부로 반출하는 배출오거(auger), 18은 둥근 모양의 조향핸들(19) 및 운전석(20) 등을 구비하는 운전실, (21)은 운전실(18) 아래쪽으로 설치하는 엔진이며, 연속적으로 벼를 수확하여 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상기한 주행크롤러(2)를 구동하는 미션케이스(22)는, 1쌍의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로 이루어진 주변속기구인 주행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5)와, 1쌍의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로 이루어진 방향조작기구인 선회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8)를 구비하고, 상기한 엔진(21)의 출력 축(21a)에 제1 및 제2유압펌프(23),(26)의 입력 축(29)을 전달벨트(30)를 통해 연동 연결시켜, 이들 유압펌프(23),(26)의 구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유압모터(24)의 출력 축(31)에, 부변속기구(32) 및 차동기구(33)를 통해 주행크롤러(2)의 구동륜(34)을 연동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한 차동기구(33)는 좌우 대칭인 1쌍의 유성기어기구(35)를 보유하고, 각 유성기어기구(35)는 1개의 태양기어(36)와, 그 태양기어(36)의 외주에서 맞물리는 3개의 유성기어(37)와, 이들 유성기어(37)에 맞물리는 링기어(38) 등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유성기어(37)는 태양기어 축(39)과 동축선상의 캐리어 축(40)의 캐리어(4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시켜, 좌우 태양기어(36)를 끼우고 좌우의 캐리어(41)를 대향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링기어(38)는 각 유성기어(37)와 맞물리는 내치(38a)를 보유하여 태양기어 축(39)과는 동일 축심상에 배치시켜, 캐리어 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주행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5)는 제1유압펌프(23)의 회전경사판의 각도변경 조절에 의해 제1유압모터(24)의 정역회전과 회전수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제1유압모터(24)의 회전출력을 출력 축(31)의 전달기어(42)에서 각 기어(43),(44),(45) 및 부변속기구(32)를 통해, 태양기어 축(39)에 고정한 센터기어(46)로 전달하여 태양기어(36)를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부변속기어(32)는, 상기한 기어(45)를 보유하는 부변속 축(47)과, 상기한 센터기어(46)에 맞물리는 기어(48)를 보유하는 주차브레이크 축(49)을 구비하고, 부변속 축(47)과 브레이크 축(49) 사이에 각 1쌍의 저속용 기어(50),(48)·중속용 기어(51),(52)·고속용 기어(53),(54)를 설치하여, 중앙위치 기어(51)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이들 저속·중속·고속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또한 저속·중속 사이 및 중속·고속 사이에는 중립을 보유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브레이크 축(49)에는 속도검출기어(55)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기어(55)의 회전수로부터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센서(5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확부(8)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확PTO축(57)의 PTO입력기어(58)에, 상기한 출력 축(31)의 전달기어(42)를 맞물림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센터기어(46)를 통해 태양기어 축(39)에 전달된 제1유압모터(24)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유성기어기구(35)를 통해 캐리어 축(40)으로 전달시키는 동시에, 그 캐리어 축(40)에 전달된 회전을 좌우 각 1쌍의 감속기어(60), (61)를 통해 좌우 구동륜의 좌우 바퀴축(34a)으로 각각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선회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8)는 제2유압펌프(26)의 회전경사판의 각도변경 조절에 의해 제2유압모터(27)의 정역회전과 회전수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제2유압모터(27)의 출력 축(62)의 출력기어로부터 기어전달기구(63)를 통해 선회 입력 축(64)의 입력기어(65a),(65b)에 회전출력을 전달하고, 우측 링기어(38)의 외치(38b)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또한 좌측 링기어(38)의 외치(38b)에 대해서는 역전 축(66)의 역전기어(67)를 통해 전달하여, 제2유압모터(27)의 정회전시에 좌우 링기어(38)를 좌우 동일 회전수로 좌기어(38)를 정회전, 우기어(38)를 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선회용의 제2유압모터(27)의 구동을 정지시켜 좌우 링기어(38)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행용의 제1유압모터(24)의 구동을 실시하면, 제1유압모터(24)로부터의 회전출력은 센터기어(46)로부터 좌우의 태양기어(36)에 동일 회전수로 전달되고, 좌우유성기어기구(35)의 유성기어(37)·캐리어(41) 및 감속기어(60), (61)를 통해 좌우 바퀴축(34a)에 좌우 동일한 회전방향의 동일 회전수로 전달되어, 기체의 전후직진주행이 실시된다. 한편, 주행용의 제1유압모터(24)의 구동을 정지시켜 좌우의 태양기어(36)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회용의 제2유압모터(27)를 정역회전 구동하면, 좌측의 유성기어기구(35)가 정 또는 역회전, 또한 우측의 유성기어기구(35)가 역 또는 정회전하여,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방향을 전후 역방향으로 하여 기체를 좌 또는 우로 그 자리에서 스핀턴시키는 것이다.
또한, 주행용의 제1유압모터(24)를 구동시키면서, 선회용의 제2유압모터(27)를 구동하여 기체를 좌우로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선회반경이 큰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선회반경은 좌우 주행크롤러(2)의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도 5 내지 도 13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주행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5)에 연결하는 주변속레버(68)와, 선회용의 유압식무단변속기구(28)에 연결하는 조향핸들(19)을, 변속 및 선회연동기구(69)에 연동 연결시키는 동시에, 그 연동기구(69)를 주행변속 및 방향조작링크계인 링크기구(70),(71)를 통해 주행 및 방향조작용의 무단변속기구(25,)(28)의 컨트롤레버(72),(73)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한 연동기구(69)는, 주변속레버(68)의 기단굽힘부(68a)를 통축(74)에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작동판(75)과, 기체측의 본 기체프레임(76)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한 회전작동판(75)을 좌우방향의 제1추축(樞軸)(77)을 통해 전후로 회전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착판(78)과, 상기한 추축(77)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의 제2추축(79)을 통해 회전작동판(75)에 연결시켜 그 축(79) 주위로 회전작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변속조작부재(80)와, 상기한 제2추축(79)의 축 주위에 회전작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향조작부재(81)를 구비하여, 변속 및 조향조작부재(80),(81)의 제2추축(79)과는 편심위치의 각 조작출력부(80a),(81a)를 변속 및 방향조작링크기구(70),(71)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한 변속 및 방향조작링크기구(70),(71)는, 연동기구(69)의 후방위치에서 본 기체프레임(76) 측으로 요동 축(82) 외측의 요동 통축(83)을 통해 지지하는 변속암(84)과, 상기한 요동 축(82)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선회출력 역전수단인 방향조작암(85)과, 상기한 출력부(80a),(81a)의 각 조작출력 축(86),(87)과 각 암(84),(85) 사이를 연결하는 자유이음매 축(88)(89)과, 상기한 요동 축(82)의 우단에 고정 설치하는 방향조작 출력암(91)과, 상기한 운전실(18)의 회전작동 지점(支点) 축(92)의 지점축받이(93)에 부착하는 중간 축(9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변속 및 방향조작용 제1요동암(95),(96)과, 상기한 암(84),(91)과 제1요동암(95),(96)의 각 선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변속 및 조향용 자유이음매형 제1로드(97),(98)와, 상기한 중간 축(94)에 설치하여 제1요동암(95),(96)에 일체로 연결하는 변속 및 방향조작용 제2요동암(99),(100)과, 상기한 미션 케이스(22) 상부의 축받이판(101)에 부착하는 지(支)축(102)에 회전작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변속 및 방향조작용 통축(103),(104)과, 그 통축(103),(104)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제1요동암(105),(106)과 상기한 제2요동암(99),(100)의 각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변속 및 방향조작용 자유이음매형 제2로드(107),(108)와, 상기한 통축(103),(104)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제2요동암(109),(110)과 상기한 컨트롤레버(72),(73)의 각 선단 사이를 연결시키는 변속 및 방향조작용 자유이음매형 제3로드(111),(112)를 구비하여, 상기한 제1추축(77)을 중심으로 한 변속조작부재(80)의 회전작동에 의해 주행용의 컨트롤레버(72)를, 또 주행중의 제2추축(79)을 중심으로 한 조향조작부재(81)의 회전작동에 의해 방향조작용의 컨트롤레버(73)를 조작하여 변속 및 방향조작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조향핸들(19) 하단의 핸들조작 축(113)에 기어(114)를 설치하여, 그 후방의 회전축(115)에 부착하는 섹터기어(116)에 상기한 기어(114)를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상기한 주변속레버(68) 위치 아래쪽에 배설하는 방향조작 축(117)의 제1요동암(118)과, 상기한 회전축(115)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출력암(119)과의 각 선단 사이를 방향조작링크기구인 자유이음매형 방향조작 제1로드(120)를 통해 연결시켜, 방향조작 축(117)의 제1요동암(118)과 일체인 제2요동암(121)을, 상기한 자유이음매 축(89)의 전단에 자유이음매형 방향조작 제2로드(122)를 통해 연결시켜, 상기한 핸들(19)의 회전작동 조작에 의해 상기한 제2추축(79)을 중심으로 조향조작부재(81)를 회전작동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핸들조작 축(113)의 기어(114) 아래쪽에 중립위치결정판(123)을 설치하여, 그 위치결정판(123) 하면의 돌출 축(124)에 방향조작검출링크(125)의 일단을 연결시켜, 상기한 회전축(115)의 우측에 배설하는 감속암 축(126)에 제1요동암(127)을 설치하고, 이 제1요동암(127)의 축(128)과 상기한 검출링크(125) 타단의 긴 구멍(125a)을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방향조작 축(117)의 감속암(129)과 감속암 축(126)의 제2요동암(130)과의 각 선단 사이를 감속링크기구인 자유이음매형 제1감속로드(131)로 연결시켜, 상기한 변속조작부재(80)의 가장 우단의 감속전달 축(132)과 제2요동암(130)의 타단 사이를 자유이음매형 제2감속로드(133)로 연결시켜, 주행상태에서 상기한 핸들(19)의 방향조작량을 크게 할수록 제2감속로드(133)를 아래쪽으로 끌어당겨 주행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작동판(75)과 변속조작부재(80)의 사이에 스프링(S1)을 장착 설치하여, 조향핸들(19)을 직진위치로 복귀시켜 검출링크(125)를 본래대로 복귀시켰을 때, 그 스프링(S1)에 의해 상기한 부재(80)를 복귀시키고, 상기한 회전작동판(75)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토퍼볼트(V1)를 상기한 부재(80)에 접촉시켜, 조향핸들(19) 직진복귀조작에 의해 주행속도를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변속 및 조향조작부재(80),(81)를 축 주위로 회전작동 가능하게 하는 제2추축(79)과, 방향조작 암(85)과 이음매 축(89)과의 자유이음매부(89a)를 전후방향의 수평라인(L1)상에 대략 일치시키고, 또한 상기한 조작출력 축(86),(87)과 자유이음매 축(88),(89)과 자유이음매부(88b)(89b)와 제1추축(77)을 상기한 라인(L1)에 직교시키는 좌우 수평라인(L2)상에 위치시키며, 더욱이 상기한 변속암(84)과 이음매 축(88)과의 자유이음매부(88a)와 상기한 이음매부(89a)를 상기한 라인(L2)과 평행한 좌우 수평라인(L3)상에 위치시키고, 또한 이음매부(89a)에 이음매부(88a)를 가급적으로 접근(최대한 가까운 위치)시켜서, 주변속레버(68) 및 조향핸들(19)의 중립유지시에, 이들 중 어느 한쪽이 조작되어도, 각 조작부재(80),(81)를 제1 및 제2추축(77)(79)의 축 주위로 회전작동시키는 것만으로 하여, 이음매 축(88)(89)에는 조작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도 도시하듯이, 주변속레버(68)의 전·후진 조작에서, 제1추축(77)을 중심으로 조작부재(80)를 전후로 각도(α1)(α2)를 기울게 할 때 상기한 이음매 축(88)을 끌어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변속암(84)을 동작시켜 주행속도의 전·후진의 변환을 실시하는 동시에, 도 11에 도시하듯이, 이 상태에서(주변속레버(68)가 중립 이외인 때) 조향핸들(19)의 회전조작으로 제2추축(79)을 중심으로 조작부재(81)를 상하로 각도(β1)(β2)를 기울게 할 때 이음매 축(89)을 끌어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방향조작 암(85)을 동작시켜 기체의 좌 및 우선회를 실시하는 것이다. 즉, 주변속의 중립시에 선회조작을 실시하여도 이음매 축(89)은 라인(L1)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뿔면상에서 이동하는 상태로 되어 이음매부(89a)(89b) 사이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방향조작 암(85)은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변속의 중립이외에서 선회조작이 실시될 때 방향조작 암(85)은 동작하는 것으로, 전·후진으로 변환할 때 방향조작 암(85)은 전후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제2유압모터(27)의 회전을 전진시와 후진시에서는 역방향으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결국, 주행용의 제1유압모터(24)의 정회전시를 전진시로 하면, 역회전시의 후진시에는 선회용의 제2유압모터(27)에 의한 유성기어기구(35)의 작용은 전진시와 후진시에서는 역으로 되는 것으로, 전진시와 후진시의 핸들(19)조작에 의한 기체의 선회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 제1유압모터(24)의 역회전(후진)시에는 제2유압펌프(26)의 경사판 각도를 역방향으로 변환하여(제1 및 제2유압펌프(23),(26)의 입력 축의 회전방향은 일정), 제2유압모터(27)의 회전을 전진시와 후진시에서는 역방향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 전진조작시의 조작부재(80)가 중립에서 앞쪽의 각도(α1)측으로 기울어, 핸들(19)의 우회전 조작에 의해 제2로드(122)를 끌어당겨 조작부재(81)를 아래쪽의 각도(β2)측으로 기울일 때, 조작부재(81)의 출력부(81a)를 방향조작 암(85)측으로 접근시켜, 요동 축(82)을 중심으로 방향조작 암(85)을 조작부재(81)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1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제1 및 제2로드(98),(108)를 통해 컨트롤레버(73)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선회용의 제2유압모터(27)를 정회전시킨다. 즉, 기체를 전진에서 우선회(주행크롤러(2)의 속도가 좌측이 크고, 우측이 작음)시킨다.
또한, 상기한 전진조작시에서, 핸들(19)의 좌회전 조작에 의해 제2로드(122)를 밀어 올려, 조작부재(81)를 위쪽 각도(β1)측으로 기울일 때, 조작부재(81)의 출력부(81a)를 조작암(85)측에서 멀리하여, 요동 축(82)을 중심으로 방향조작 암(85)을 조작부재(81)측에 접근시키는 방향(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컨트롤레버(73)를 위쪽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제2유압모터(27)를 역회전시킨다. 즉, 기체를 전진으로 좌선회(주행크롤러(2)의 속도가 우측이 크고, 좌측이 작음)시킨다.
더욱이, 후진조작시의 조작부재(80)가 중립에서 후방의 각도(α2)측으로 기울어, 핸들(19)의 우회전 조작에 의해 제2로드(122)를 끌어당겨 조작부재(81)를 아래쪽의 각도(β2)측으로 기울일 때, 조작부재(81)의 출력부(81a)를 방향조작 암(85)측에서 멀리하여, 요동 축(82)을 중심으로 방향조작 암(85)을 조작부재(81)측으로 접근시키는 방향(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컨트롤레버(73)를 위쪽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제2유압모터(27)를 역회전시킨다. 즉, 기체를 후진으로 우선회(주행크롤러(2)의 속도가 좌측이 크고, 우측이 작음)시킨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후진조작시에서, 핸들(19)의 좌회전 조작에 의해, 조작부재(81)를 위쪽의 각도(β1)측으로 기울일 때, 조작부재(81)의 출력부(81a)를 조작부재(81)측으로 접근시켜, 요동 축(82)을 중심으로 방향조작 암(85)을 조작부재(81)에서 멀리하는 방향(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컨트롤레버(73)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제2유압모터(27)를 정회전시킨다. 즉, 기체를 후진으로 좌선회(주행크롤러(2)의 속도가 우측이 크고, 좌측이 작음)시킨다.
이와 같이 전진 및 후진시에 있어서의 선회조작에 있어서는, 방향조작 암(85)의 움직임을 역방향으로 하여, 전·후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조향핸들(19)의 회전조작방향과 기체의 선회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회전 조작하는 둥근 모양의 조향핸들(19)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하고, 상기한 핸들(19)의 회전조작에 의해 예컨대 트랙터 또는 이양기와 마찬가지의 운전감각으로 진로수정 및 방향 전환 등을 시행하는 동시에, 조향조작부재를 주행변속부재 또는 조향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링크기구(70),(71)를 설치하여, 상기한 링크기구(70), (71)의 동작 및 기능이 시간이 경과해도 거의 저하되는 일이 없고, 방향조작동작의 신뢰성향상 등을 쉽게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기체의 좌선회시에 있어서의 조향핸들(19)의 꺾임 각과 좌우 주행크롤러(2)의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핸들(19)의 꺾임 각이 커질수록 좌우 주행크롤러(2)의 속도 차이는 커지는 동시에, 이들 좌우 주행크롤러(2)의 평균속도로 되는 기체중심속도도 주행속도(고속·표준·저속)상태에 따라 감속되는 것으로서, 기체의 우선회시에 있어서도 좌우크롤러(2)가 역의 관계로 될 뿐으로 마찬가지이며, 도 15 및 도 16에서 명확하듯이, 직진위치의 조향핸들(19)을 좌방향(우방향)으로 약 15도 회전시키면, 상기한 긴 구멍(124a)내를 축(128)이 이동하고, 스프링(S1)에 의해 제1감속로드(131)가 직진과 동일 위치로 유지되는 동시에, 각 기어(114),(116)를 통해 방향조작 제1로드(120)가 압출(인장)이동하고, 제2유압펌프(26) 및 모터(27)의 조향출력에 의해 좌방향(우방향)으로 선회한다. 이 때, 선회 내측 주행크롤러(2)의 감속량과, 선회 외측 주행크롤러(2)의 증속량이 대략 동등하게 되고, 기체중심속도가 직진과 대략 동일한 속도로 유지된다. 또한, 조향핸들(19)을 직진위치에서 15도 이상 회전시키면, 스프링(S1)에 저항하여 제1감속로드(131)가 좌선회 및 우선회 중 어느 것에서도 끌어당겨져 감속 동작하고, 제1유압펌프(23) 및 모터(24)의 주행변속출력을 감속시켜, 좌우 주행크롤러(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전진(또는 후진)시키고, 좌우 주행크롤러(2)의 주행속도 차이에 의해 좌방향(우방향)으로 선회하는 브레이크턴 동작을 시행시킨다. 더욱이, 조향핸들(19)을 약 135도 회전시키면, 기체중심속도가 직진시의 약 4분의 1로 감속되고, 선회 내측의 주행크롤러(2)가 역전 구동되며, 선회 내측의 주행크롤러(2)를 중심으로 기체가 선회하는 스핀턴 동작이 실시되는 것이고, 도 18에도 도시하듯이, 핸들각도 0도에서 핸들각도 135도의 범위로 조향핸들(19)을 회전시켜 좌 또는 우방향의 선회조작을 실시하고,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좌우 15도의 핸들(19)회전 범위에서 아직 베지 않은 벼 열에 따라 이동하는 구획맞춤 진로수정을, 직진시의 주행속도를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동시에, 직진위치에서 좌우 135도의 핸들(19)회전에 의해, 밭이랑에서 기체를 방향 전환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스핀턴 동작을, 직진시의 약 4분의 1의 주행속도로 자동적으로 감속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도 17에 도시하듯이, 부변속을 표준(초속 1.5미터)속도로 유지하고, 조향핸들(19)을 90도 회전시켰을 때, 주변속레버(68)조작에 의해 주변속출력을 고속 및 3분의 2 및 3분의 1로 변경하여도, 기체의 선회반경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선회속도(기체중심속도)만이 변화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로부터 명확하듯이, 변속조작부재인 주변속레버(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인 좌우 주행크롤러(2)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와, 조향조작부재인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핸들(19)에 융통기구인 긴 구멍(125a)을 통해 제1유압펌프(23) 제1유압모터(24)를 연결시키고, 직진위치를 기준으로 긴 구멍(125a)의 설정범위에서 제 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를 직진상태로 유지시켜, 농사작업 중에 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기체를 따르게 하는 방향조작을 실시하여도 주행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거의 동일한 주행속도를 유지하면서 농사작업 중의 진로수정을 실시하며, 작업자의 운전감각과 기체의 주행동작 등을 거의 일치시켜 적정한 방향조작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변속레버(68)의 변속기준치를 변환하는 부변속조작의 저속 내지 고속변환에 비례시켜 선회반경을 소경 내지 대경으로 변화시키고, 제1유압펌프(23) 및 모터(24)와 주행크롤러(2) 사이의 감속비 그리고 제2유압펌프(26) 및 모터(27)와 주행크롤러(2) 사이의 감속비의 설정, 또는 스핀턴 동작에 필요한 소반경선회에 필요한 주행구동력의 확보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동일한 부변속 조작위치에서 주변속레버(68)를 조작함으로써 선회방경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선회시의 주행속도를 변화시켜,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른 운전조작을 실시하고, 기동성의 향상 및 운전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변속조작부재인 주변속레버(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인 좌우 주행크롤러(2)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와, 조향조작부재인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핸들(19)의 조작량에 따라 주행속도를 감속하면서 스핀턴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농사작업 중의 직진주행 및 진로수정 동작과, 밭이랑에서 다음 작업공정위치를 향해 방향 전환시키는 스핀턴 동작을, 연속된 일련의 방향조작만으로 순조롭게 실시하는 동시에, 조향핸들(19)을 최대 꺾임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주행속도를 약 4분의 1로 감속시키고,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속도와, 밭이랑에서 방향 전환시키는 스핀턴 주행속도의 차이를, 저속주행작업에 비해 고속주행작업 쪽이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크게 하고, 고속주행작업을 실시하여도 저속시와 마찬가지로 밭이랑에서의 스핀턴 조작을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실시하며, 또한 저속주행작업을 실시하여도 고속시와 마찬가지로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신속하게 실시하고,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시의 변속범위를 크게 설정하여도 스핀턴 조작시의 감속후의 주행속도범위를 작게 하여 기동성의 향상 및 방향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조향핸들(19)을 최대 꺾임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조향부재(26),(27)의 출력을 최대로 하고, 직진 주행하는 농사작업시에 비하여 주행부하가 커지는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에 필요한 주행부 구동력을 확보시켜, 방향 전환시의 주행과부하에 의한 엔진정지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엔진액셀조작 등을 생략하여 방향 전환시의 운전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변속조작부재(68)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선회부재(26),(27)의 출력비율을 변화시켜, 직진 주행하는 농사작업시에 비하여 주행부하가 커지는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에 필요한 주행부 구동력을 확보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변속조작부재인 주변속레버(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인 좌우 주행크롤러(2)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와,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최고속 주행시의 주행부하와 선회시의 최대 주행부하가 대략 동등하게 되는 조건하에서 제1유압펌프(23) 및 모터(24)의 동력전달체계와 제2유압펌프(26) 및 모터(27)의 동력전달체계를 구성하였 으므로, 제1유압펌프(23) 및 모터(24)와 제2유압펌프(26) 및 모터(27)를 대략 동일방법의 무단변속기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제1유압펌프(23) 및 모터(24)와 주행크롤러(2) 사이의 감속비 그리고 제2유압펌프(26) 및 모터(27)와 주행크롤러(2)사이의 감속비의 설정, 또는 스핀턴 동작에 필요한 소반경선회의 주행구동력의 확보 등을 도모하는 것으로, 고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23),(24)의 출력의 감속비 보다도 조향부재(26),(27)의 출력의 감속비를 크게 설정하여,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을 고속으로 실시하면서,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저속으로 실시하는 한편, 저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23),(24)의 출력의 감속비 보다도 조향부재(26),(27)의 출력의 감속비를 작게 설정하여, 농사작업을 실시하는 직진주행을 저속으로 실시하여도, 밭이랑에서의 방향 전환을 기민하게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변속조작부재인 주변속레버(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인 주행크롤러(2)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와, 조향조작부재인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핸들(19)의 직진 내지 최대 방향조작 범위 내에 구획맞춤 위치 및 브레이크턴 위치 그리고 스핀턴 위치를 설치하여, 농사작업 중의 구획맞춤 방향조작과, 브레이크턴 방향조작 및 밭이랑에서의 스핀턴 방향조작을 조향핸들의 연속조작에 의해 실시하고, 조향핸들의 조작각도의 설정만으로 한 손으로 방향조작하며, 다른 한쪽 손으로 농사작업부의 승강작동 등 다른 조작을 동시에 실시하고, 방향조작과 다른 농사작업조작을 대략 동시에 실시하는 복합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직진시의 주행속도를 유지시키면서 선회시키는 구획맞춤 위치와, 선회 내측의 주행크롤러(2)를 역전시키는 스핀턴 위치 사이에, 브레이크턴 위치를 형성하고, 선회반경의 큰 구획맞춤 방향조작과 선회반경이 작은 스핀턴 조작 사이에 중간의 브레이크턴 조작을 사이에 둠으로써 급격한 선회각도의 변경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향핸들(19)의 한쪽방향 최대 꺾임 각도를 약 135도로 하고, 조향핸들(19)의 꺾임 각도가 0 내지 약 15도의 범위를 구획맞춤 위치로 설정하고, 작업자가 조향핸들을 한 손으로 연속 회전시키는 135도의 회전으로 스핀턴 조작하여 밭이랑에서의 기체의 방향 전환을 실시하고, 또 작물 열 등의 완만한 굴곡에 따라서 조향핸들의 약 15도의 회전에 의한 완만한 선회에 의해 구획맞춤 조작을 적정하게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도 도시하듯이, 상기한 조향핸들(19)에 설치하는 검출링크(125)는 중립위치에서 우 또는 좌선회 조작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제1요동암(127)을 동일방향으로 각도(θ)의 범위로 회전 작동시켜 제2감속로드(133)를 항상 끌어당기는 상태로 하여, 전진조작시의 조작부재(80)가 각도(α1)측으로 기우는 때에는, 이음매부(88a),(88b)사이의 거리를 축소하고, 또 후진조작시의 조작부재(80)가 각도(α2)측으로 기우는 때에는, 이음매부(88a),(88b)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여, 변속암(84)을 각각 중립방향의 저속측으로 변위시켜, 그 선회량에 따른 감속을 실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변속 및 방향조작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상기한 제1로드(97),(98)와 요동암(95),(96)의 자유이음매부(97a),(98a)의 중심을, 운전실(18)의 회전작동지점 축(92) 위치에 일치시키고, 변속 및 방향조작의 중립유지에 있어서는 이들의 조작계를 떼어내는 일없이 운전실(18)의 앞쪽방향으로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4 및 도 14에 도시하듯이, 상기한 제1 및 제2유압펌프(23),(26)와 제1 및 제2유압모터(24),(27)를 각각 루프유압회로(134)(135)를 통해 정역(正逆) 자유롭게 접속시키고, 상기한 제1 및 제2유압모터(24),(27)의 출력 축(31), (62)에는, 전자밸브(136),(137)의 작동에 의해 출력 축(31),(62)을 정지(靜止) 유지하는 주행정지 및 직진고정용의 주행 및 선회용 브레이크장치(138),(139)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주차브레이크 축(49)에는 브레이크 축(49)을 정지 유지하는 주차브레이크장치(140)를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도 18은 상기한 조향핸들(19) 대신에 방향조작레버(141)를 설치한 것이고, 방향조작레버(141)를 축(142)주위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방향조작레버(141) 기부에 고정시키는 베벨기어(143a)와, 핸들조작 축(113) 상단에 고정시키는 베벨기어(143b)를 맞물리게 하여, 방향조작레버(141)의 좌우 요동에 의해 조작축(113)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링크기구(70),(71)를 작동시켜 방향조작 제어하고, 요동 조작하는 방향조작레버(141)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하여, 상기한 레버(141)를 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좌우 어느 쪽의 진로수정 및 방향 전환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도 19에 도시하듯이, 예컨대 전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형성하는 변속 액츄에이터(144) 및 방향조작 액츄에이터(145)를 설치하고, 무단변속기구(25),(28)의 제1 및 제2유압펌프(23),(26)에 설치하는 트러니언을 형성하는 컨트롤레버(72),(73)에 상기한 각 액츄에이터(144),(145)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주변속레버(68)의 변속조작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형 주변속센서(146)와, 상기한 레버(68)의 전진 또는 후진조작을 검출하는 변환스위치형 전·후진센서(147)와, 조향핸들(19)의 회전조작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조향핸들센서(148)와, 상기한 핸들의 회전방향(좌 또는 우)을 검출하는 변환스위치형 좌우선회센서(149)와, 부변속기구(32)의 부변속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변환스위치형 부변속센서(150)와, 변속용 컨트롤레버(72)의 주행변속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변속위치센서(151)와, 선회용 컨트롤레버(73)의 선회변속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선회위치센서(152)와, 주행크롤러(1)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픽업형 속도센서(153)를 설치하고, 마이크로컴퓨터로 형성하는 컨트롤러(154)에 상기한 각 센서(146)∼(153) 및 각 액츄에이터(144),(145)를 전기 접속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링크기구(70),(71)를 생략하고,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향핸들(19) 및 주변속레버(68)의 조작에 의거하여, 각 센서(146)∼(153)를 통해 각 액츄에이터(144),(145)를 제어하고, 각 컨트롤레버(72),(73)를 작동시켜, 주행변속 및 좌우선회의 각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향조작부재인 조향핸들(19)을 주행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 또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컨트롤러(154)를 설치하고, 방향조작 제어기능의 다기능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 등을 쉽게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하듯이, 조향핸들(19)의 조향출력을 변속기구(28)에 전달하는 상기한 1쌍의 기어(114),(116)는, 비원(非圓)형상인 부등속기어에 형성하여, 핸들(19)의 조향출력을 부등속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조작축(113)의 기어(114)의 원주 일부에 축(113)에서 톱니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것보다 긴 장경부(114a)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섹터기어(116)의 원주 중앙부에 축(115)에서 톱니부까지의 거리가 짧은 단경부(116a)를 함몰시켜 형성하고, 핸들(19)의 중립위치시에 상기한 장경부(114a)와 단경부(116a)를 결합상태로 하여, 도 25의 라인(A)으로 나타내듯이, 핸들(19)의 조작초기의 핸들각도가 작을 때, 종래의 등속기어보다 조향출력을 크게 컨트롤레버(73)에 전달시켜, 핸들(19) 조작초기의 솟아오름을 크게 하여, 핸들(19)의 초기조작에 민감하게 반응시킨 선회를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엔진(21)에서의 구동력을 유압변속기구(25) 및 기어차동기구(33)를 통해 주행부에 전달하여 기체를 변속이 자유롭게 주행시키는 동시에,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력을 유압방향조작기구(28)를 통해 기어차동기구(33)에 전달하여, 좌우 주행부의 회전을 달리하여 기체의 선회를 실시하도록 한 콤바인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력을 부등속기어(114),(116)를 통해, 유압방향조작기구에 전달하도록 설치하고, 핸들조작에 민감 또는 둔감하게 반응시킨 기체의 선회를 실시하는 동시에, 부등속기어(114),(116)는 조작초기의 솟아오르는 출력을 크게 함으로써, 핸들(19) 조작초기의 일정조작량에 대하여, 기체의 선회량을 종래보다 크게 한 민감한 선회를 실시하여, 선회지연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신속하고 양호한 방향조작작업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하는 것은,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한 기어(114)의 원주 일부에 축(113)에서 톱니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것보다 짧은 단경부(114b)를 형성함과 아울러, 섹터기어(116)의 원주중앙부에 축(115)에서 톱니부까지의 거리가 긴 장경부(116b)를 형성하여, 핸들(19)의 중립위치시에 상기한 단경부(114b)와 장경부(116b)를 결합상태로 하여, 도 25의 라인(B)에 도시하듯이, 핸들(19) 조작초기의 솟아오름을 작게 하여, 핸들(19)의 초기조작에 둔감하게 반응시킨 선회를 실시하는 것으로, 부등속기어(114),(116)에 의해 조작초기의 솟아오름 출력을 작게 함으로써, 핸들(19) 조작초기의 일정조작량에 대하여 기체의 선회량을 종래보다도 작게 한 둔감한 선회를 실시하여, 핸들(19)의 직진조작성을 향상시킨 양호한 선회작업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 예컨대 핸들 각도가 30°인 때에 기체가 실제의 선회를 개시하게 되는 조건인 것에 있어서는, 조작초기의 솟아오름 출력을 크게 한 것에 있어서 핸들 각도가 대략 18°로 될 때, 또 작게 하는 것에 있어서 대략 40°로 될 때, 실제의 선회를 개시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나 성격 등에 최대한 적합한 선회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도 25는 핸들(19)의 좌 또는 우선회시의 핸들 각도에 대응시킨 것이고, 컨트롤레버각도는 컨트롤레버(73)의 요동각을 나타낸 것으로, 변속조작부재인 주변속레버(68)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21)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인 주행크롤러(2)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인 제1유압펌프(23) 및 제1유압모터(24)와, 조향조작부재인 조향핸들(19)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크롤러(2)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인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핸들(19)에 부등속운동부재인 기어(114) 및 섹터기어(116)를 통해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를 연결시켜, 조향핸들(19)에 의한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의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켜, 아직 베지 않은 벼(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라서 이동하는 수확(농사)작업시에, 좌우 주행크롤러(2)의 미끄러짐 비율이 밭의 성상(습전(濕田), 건전(乾田), 진흙토, 모래땅)에 따라 달라져도, 조향핸들(19)의 조작량과 선회동작을 작업자의 운전감각과 일치시켜, 둔감한 선회에 의한 선회지연 또는 과민한 선회에 의한 S자모양의 주행 등의 불편함을 없애고, 수확작업시의 진로수정 등 운전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조향핸들(19)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핸들(19)에 의한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의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키고, 상기한 범위외의 선회제어량을 직선 변화시켜, 아직 베지 않은 벼(작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르게 하는 수확(농사)작업중의 진로수정 등 큰 선회반경인 때, 즉 고속으로 밭을 이동할 때, 선회지연 또는 S자모양의 주행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밭이랑에서의 방향전환(스핀턴 동작) 등 큰 선회반경인 때, 즉 저속으로 밭을 이동할 때, 종래의 운전감각으로 조향핸들(19)을 조작할 수 있고, 고속에서의 수확작업 및 저속에서의 방향 전환 등의 운전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조향핸들(19)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핸들(19)에 의한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의 선회제어량의 변화률이, 상기한 범위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크게 하고, 아직 베지 않은 벼 열 또는 두렁 등에 따르게 하는 수확작업중의 진로수정(구획맞춤)을 기민하게 실시하며, 선회지연방지 및 수확작업속도의 고속화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조향핸들(19)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핸들(19)에 의한 제2유압펌프(26) 및 제2유압모터(27)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이, 상기한 범위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작게 하고, 주행크롤러(2)의 미끄러짐이 적은 밭에서의 수확작업중의 진로수정(구획맞춤)을 종래와 마찬가지의 운전감각으로 적정하게 실시하고, S자모양의 주행의 방지 및 수확작업속도의 고속화 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Claims (24)

  1.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操向)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따라서 주행속도를 감속하면서 스피턴 동작으로 이행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 제1항에 있어서, 변속조작부재의 변속기준치를 변환하는 부변속 조작의 저속 내지 고속변환에 비례시켜 선회반경을 소경 내지 대경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3. 제2항에 있어서, 동일한 부변속 조작위치에서 변속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선회반경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선회시의 주행속도가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에 융통기구를 통해 주행변속부재를 연결시켜, 직진위치를 기준으로 융통기구의 설정범위에서 주행변속부재를 직진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를 최대 꺾임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주행속도를 약 4분의 1로 감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를 최대 꺾임 각도로 조작했을 때에 조향부재의 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7. 제1항에 있어서, 변속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선회부재의 출력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8.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최고속 주행시의 주행부하와 선회시의 최대 주행부하가 거의 동등하게 되는 조건하에서 주행변속부재의 동력전달체계와 조향부재의 동력전달체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9. 제8항에 있어서, 고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의 출력의 감속비 보다도 조향부재의 출력의 감속비를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저속주행시의 주행변속부재의 출력의 감속비 보다도 조향부재의 출력의 감속비를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1.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 내지 최대 방향조작 범위내로 구획맞춤 위치 및 브레이크턴 위치 그리고 스핀턴 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직진시의 주행속도를 유지시키면서 선회시키는 구획맞춤 위치와, 선회 내측의 주행부를 역전시키는 스핀턴 위치 사이에, 브레이크턴 위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한쪽방향의 최대 꺾임 각도를 약 135도로 하고, 조향조작부재의 꺾임 각도가 0 내지 15도의 범위를 구획맞춤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4. 변속조작부재의 주행변속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좌우 주행부에 변속 전달하는 주행변속부재와, 조향조작부재의 방향조작에 의해 좌우 주행부의 구동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는 이동 농기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에 부등속운동부재를 통해 조향부재를 연결시켜, 조향조작부재에 의한 조향부재의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부재에 의한 선회제어량을 곡선 변화시켜, 상기한 범위 외의 선회제어량을 직선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부재에 의한 선회제어량의 변화율이, 상기한 범위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의 직진위치를 중심으로 한 대략 일정범위에 있어서의 조향부재에 의한 선회제어량의 변화율이, 상기한 범위외의 선회제어량의 변화율보다도 작게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유압변속기구 및 기어차동기구를 통해 주행부에 전달하여 기체를 변속이 자유롭게 주행시키는 동시에, 조향핸들의 방향조작력을 유압방향조작기구를 통해 기어차동기구에 전달하여, 좌우 주행부의 회전을 달리하여 기체의 선회를 실시하도록 한 콤바인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향핸들의 방향조작력을 부등속기어를 통해, 유압방향조작기구에 전달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등속기어가 조작초기의 솟아오름 출력을 크게 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등속기어가 조작초기의 솟아오름 출력을 작게 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조작하는 둥근 모양의 조향핸들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동 조작하는 방향조작레버에 의해 조향조작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3.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를 주행변속부재 또는 조향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링크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24.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향조작부재를 주행변속부재 또는 조향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농기.
KR10-1998-0707517A 1997-01-23 1997-11-14 이동농기 KR100516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920 1997-01-23
JP09025920 1997-01-23
JP97-268027 1997-09-12
JP26802797A JP3749358B2 (ja) 1997-09-12 1997-09-12 移動農機
JP27222097A JP3816647B2 (ja) 1997-01-23 1997-09-17 移動農機
JP97-272220 1997-09-17
PCT/JP1997/004163 WO1998032645A1 (fr) 1997-01-23 1997-11-14 Machine agricol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754A true KR20000064754A (ko) 2000-11-06
KR100516665B1 KR100516665B1 (ko) 2005-12-14

Family

ID=2728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517A KR100516665B1 (ko) 1997-01-23 1997-11-14 이동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152248A (ko)
EP (1) EP0891913B1 (ko)
KR (1) KR100516665B1 (ko)
CN (2) CN1162292C (ko)
AU (1) AU4965997A (ko)
DE (1) DE69738924D1 (ko)
WO (1) WO1998032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2645A1 (fr) 1997-01-23 1998-07-30 Yanmar Agricultual Equipment Co., Ltd. Machine agricole mobile
JP4125435B2 (ja) 1998-12-03 2008-07-30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走行車両
US6629577B1 (en) 1998-07-02 2003-10-07 Tuff Torq Corporation Driving apparatus for speed changing and steering of a vehicle
US6126564A (en) 1998-07-08 2000-10-0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Axle driving apparatus
DE19834157A1 (de) * 1998-07-29 2000-02-1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Überlagerungslenkgetriebe für Gleiskettenfahrzeuge
US6540633B1 (en) 1998-09-25 2003-04-01 Tuff Torq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speed changing and steering of a vehicle
US6951259B2 (en) 1998-12-03 2005-10-04 Koji Irikura Multi-wheel vehicle
JP3028481B1 (ja) * 1998-12-16 2000-04-0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動農機
US6547685B2 (en) * 1999-01-22 2003-04-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axle apparatus
US6397966B1 (en) 1999-01-22 2002-06-04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Vehicle improved in steering
US6312354B1 (en) 1999-01-22 2001-11-0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Integral hydrostatic transaxle apparatus for driving and steering
US6354388B1 (en) 1999-03-26 2002-03-12 Deere & Company Drive and steer vehicle
US6129164A (en) * 1999-03-26 2000-10-10 Deere & Company Mechanism for correct steering in reverse
EP1038757A3 (de) * 1999-03-26 2004-02-04 Deere & Company Einrichtung zur Lenkung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US6257357B1 (en) 1999-03-26 2001-07-10 Deere & Company Steering device for drive and steer transmission
US6454032B1 (en) 1999-03-26 2002-09-24 Deere & Company Lawn tractor vehicle
US6283236B1 (en) * 1999-03-26 2001-09-04 Deere & Company Effective gear reduction in lawn tractor transmission
CN1289347C (zh) * 2000-02-03 2006-12-13 洋马柴油机株式会社 油压驱动式行走车辆
US6962219B2 (en) * 2001-09-17 2005-11-08 Mtd Products Inc Mechanical ZTR system with steering wheel
US6938720B2 (en) * 2002-05-09 2005-09-06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input devices for steer-by-wire systems
AU2003240571A1 (en) * 2002-05-20 2004-01-23 Folsom Technologies, Inc. Hydraulic torque vectoring differential
JP3945698B2 (ja) * 2002-10-23 2007-07-1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クローラ形トラクタ
WO2005083623A1 (en) * 2004-02-06 2005-09-09 Caterpillar Inc. Work machine with steering control
ATE508032T1 (de) * 2004-02-06 2011-05-15 Caterpillar Inc Arbeitsmaschine mit lenkungssteuerung
US8380416B2 (en) * 2004-03-18 2013-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ake-steer in an automotive vehicle in reverse
CA2616287C (en) * 2005-07-22 2017-05-23 Infinitrak Llc Steering systems, steering and speed coordination systems, and associated vehicles
GB0517200D0 (en) 2005-08-22 2005-09-28 Torotrak Dev Ltd Driving and steering of motor vehicles
GB0517201D0 (en) 2005-08-22 2005-09-28 Torotrak Dev Ltd Driving and steering of motor vehicles
WO2008049025A2 (en) 2006-10-17 2008-04-24 Mtd Products, Inc. Vehic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7908062B2 (en) * 2007-02-28 2011-03-15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worksite based on soil moisture map data
US7772969B2 (en) * 2007-04-19 2010-08-10 Prohaska Dean P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US8136613B2 (en) 2008-03-26 2012-03-20 Mtd Products Inc Vehic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2077741B (zh) * 2010-11-25 2012-12-19 金华职业技术学院 联合收割机用零半径转向行走变速箱
ES2427345T3 (es) * 2011-04-20 2013-10-30 Klemm Bohrtechnik Gmbh Aparato de perforación
EP2758294B1 (en) 2011-09-22 2019-02-27 Mtd Products Inc. Vehic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and related vehicles
CN102511282A (zh) * 2011-12-19 2012-06-27 苏州硒谷科技有限公司 富硒谷物的质量控制方法
US9944316B2 (en) 2012-04-24 2018-04-17 Mtd Products Inc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and the related vehicles
US9096268B2 (en) * 2013-05-30 2015-08-04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trol group mounting relative to controlled hardware
WO2016035612A1 (ja) * 2014-09-02 2016-03-10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US9549505B1 (en) * 2015-09-21 2017-01-24 Deere & Company Agricultural vehicle conveyance linkage
CN105216614A (zh) * 2015-09-30 2016-01-06 益阳福祥农业装备有限公司 履带式车辆行走传动装置
US10114404B2 (en) 2015-11-02 2018-10-30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Hydraulic control system
US10582652B2 (en) 2015-11-02 2020-03-10 The Charles Machines Works, Inc. Hydraulic control system
KR102128288B1 (ko) * 2016-03-14 2020-06-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JP6697955B2 (ja) * 2016-05-26 2020-05-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及び作業車に適用される時間ベース管理システム
CN109424734B (zh) * 2017-08-24 2023-09-12 中联重机浙江有限公司 一种旋耕机的变速换向传动机构
US11608613B2 (en) 2019-08-21 2023-03-21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Throttle control system
CN112722066B (zh) * 2021-01-19 2022-03-22 北京理工大学 一种阿克曼-主动速差复合转向系统
CA3178011A1 (en) 2022-03-11 2023-09-11 Gerard Noel Vehicle steering wheel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3658A (en) 1956-07-05 1959-02-17 Polaroid Corp Photographic apparatus
US2973658A (en) * 1958-06-27 1961-03-07 Arthur E Bishop Variable ratio power steering gear
US4310078A (en) * 1980-05-01 1982-01-12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Drive system, controlling braking system therefor, and safety lock controlling both
JPS5791414U (ko) * 1980-11-25 1982-06-05
JPS5856973A (ja) * 1981-09-30 1983-04-0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無段変速装置を備えた走行装置における超信地施回装置
JPS5963076U (ja) * 1982-10-21 1984-04-25 三菱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輛における速度制御装置
JPS612266U (ja) * 1984-06-09 1986-01-08 宅男 服部 ハンドグリツプ
US4699021A (en) * 1984-09-20 1987-10-13 Avco Corporation Integrated power system
JPH0813662B2 (ja) * 1989-08-25 1996-02-14 株式会社クボタ 油圧操作式のサイドクラッチブレーキ装置
JPH03292271A (ja) * 1990-04-06 1991-12-24 Kubota Corp 作業車の旋回制御構造
JP2535746Y2 (ja) * 1990-05-30 1997-05-14 三菱農機株式会社 農用車両における車速制御装置
JPH0490463U (ko) * 1990-12-18 1992-08-06
JPH0612266U (ja) * 1992-07-21 1994-02-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US5569109A (en) * 1993-01-28 1996-10-29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Geared steering device for crawler vehicle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2599254Y2 (ja) * 1993-03-24 1999-08-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におけるエンジン制御装置
JP2600061B2 (ja) * 1993-07-14 1997-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の操向装置
JP3083449B2 (ja) * 1994-06-08 2000-09-04 三菱農機株式会社 走行作業機の旋回装置
JP3014588B2 (ja) * 1994-06-20 2000-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可変舵角比操舵装置
US5590041A (en) * 1994-07-29 1996-12-31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Track trencher steering system and process
JP2892293B2 (ja) * 1994-11-17 1999-05-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走行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H08156821A (ja) * 1994-12-07 1996-06-18 Kubota Corp 作業車の操向装置
US5682315A (en) * 1995-05-31 1997-10-28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plit torque transmission
JPH1029821A (ja) * 1996-07-17 1998-02-03 Nikon Corp 光学素子の成形型
JPH1095360A (ja) * 1996-09-20 1998-04-1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走行ミッション装置の操舵機構
WO1998032645A1 (fr) 1997-01-23 1998-07-30 Yanmar Agricultual Equipment Co., Ltd. Machine agricole mobile
US5948029A (en) * 1997-02-05 1999-09-07 Deere & Company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rack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4828B2 (en) 2002-11-26
EP0891913B1 (en) 2008-08-20
US20020070057A1 (en) 2002-06-13
CN1162292C (zh) 2004-08-18
CN1094104C (zh) 2002-11-13
US6408960B1 (en) 2002-06-25
CN1361036A (zh) 2002-07-31
WO1998032645A1 (fr) 1998-07-30
DE69738924D1 (de) 2008-10-02
US6152248A (en) 2000-11-28
KR100516665B1 (ko) 2005-12-14
EP0891913A1 (en) 1999-01-20
CN1214657A (zh) 1999-04-21
EP0891913A4 (en) 2006-05-24
AU4965997A (en) 199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4754A (ko) 이동 농기
JP3174952B2 (ja) 移動農機
JP3681871B2 (ja) 移動農機
JP3141135B2 (ja) 移動農機
JP3816645B2 (ja) 移動農機
JP3816647B2 (ja) 移動農機
JP3190987B2 (ja) 移動農機
JP3749358B2 (ja) 移動農機
JP3730378B2 (ja) 移動農機
JP3174951B2 (ja) 移動農機
JP3691703B2 (ja) 移動農機
JP3198411B2 (ja) 移動農機
JP3190986B2 (ja) 移動農機
JP3174950B2 (ja) 移動農機
JP3208542B2 (ja) 移動農機
JP3198410B2 (ja) 移動農機
JP3429252B2 (ja) コンバイン
JP3208541B2 (ja) 移動農機
JP3429253B2 (ja) 移動農機
JP3256850B2 (ja) 移動農機
JP2000085614A (ja) 移動農機
JP3930505B2 (ja) 移動農機
JPH1178955A (ja) 移動農機
JP2001082600A (ja) 移動農機
JPH1095362A (ja) 移動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