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288B1 -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288B1
KR102128288B1 KR1020160030067A KR20160030067A KR102128288B1 KR 102128288 B1 KR102128288 B1 KR 102128288B1 KR 1020160030067 A KR1020160030067 A KR 1020160030067A KR 20160030067 A KR20160030067 A KR 20160030067A KR 102128288 B1 KR102128288 B1 KR 10212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ransmission
shaft
gear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678A (ko
Inventor
김중민
전효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2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acting on transmiss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10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장치에 연결된 출력축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변속장치가 갖는 변속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Parking Brak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해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주차브레이크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및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변속장치(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변속장치(200)는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대해 변속을 수행한 후에 출력축(20)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변속장치(200)는 변속케이스(210) 및 변속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부(220)는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다양한 속도로 변속하기 위해 복수개의 변속기구(220a)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부(220)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브레이크력을 구현하는 브레이크부(110), 및 브레이크부(110)와 상기 출력축(20)을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부(110)는 상기 연결부(120)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에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크부(110)는 상기 연결부(12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변속부(220)의 일측에 위치한 브레이크부(110), 및 상기 변속부(220)의 타측에 위치한 출력축(2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변속부(220)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상기 브레이크부(110) 및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상기 브레이크부(110)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대한 분해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00)는 상기 브레이크부(110)의 정비 작업에 대한 어려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정비 시간 증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정비 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정비 시간 증대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는 변속장치에 연결된 출력축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변속장치가 갖는 변속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케이스에 대한 분해작업 없이도 브레이크부를 변속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브레이크부에 대한 정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브레이크부의 정비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부의 정비 작업에 걸리는 정비 시간을 줄여서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및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의 브레이크부가 변속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투영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출력축(20)과 상기 브레이크부(2)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부(3)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구동력에 대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장치(20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한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변속장치(200)가 갖는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대한 분해작업 없이도 상기 브레이크부(2)를 상기 변속케이스(2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브레이크부(2)에 대한 정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의 정비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의 정비 작업에 걸리는 정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연결부(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브레이크부(2)는 브레이크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습식 다판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원판 브레이크, 원뿔 브레이크, 벤드 브레이크, 또는 블록 브레이크 등 다양한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작업조건에 따른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대한 분해작업 없이도, 상기 브레이크부(2)를 상기 변속케이스(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의 정비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브레이크부(2)의 정비 작업에 걸리는 정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결합부(4)를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에는 상기 브레이크부(2)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4)는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0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4)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결합부(4)를 상기 변속케이스(21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부(2)를 상기 변속케이스(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결합부(4)를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의 탈부착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4)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볼팅 결합됨으로써,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는 전체적으로 드랍박스(Drop-box)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브레이크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판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출력축(2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변속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20)에는 분배기어(20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어(20a)는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양측으로 분배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좌우 양측에 위치한 바퀴들 각각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어(20a)는 스파이럴 피니언 베벨 기어(Spiral Pinion Bevel Gear)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브레이크부(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가 상기 브레이크부(2)에 의해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연결부(3)가 회전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회전이 차단된다.
상기 연결부(3)는 제1연결기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상기 브레이크부(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기구(31) 및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제1연결기어(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어(311)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서 상기 브레이크부(2)에 맞물림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제1연결기어(311)는 치합(Meshing)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를 상기 제1연결기어(311)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업으로 상기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연결부(3) 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를 상기 제1연결기어(311)에 치합시키는 작업으로 상기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연결부(3)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부(2) 및 상기 연결부(3) 간의 연결 작업 및 연결 해제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브레이크부(2)의 탈부착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어(311)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치(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어(311)가 갖는 기어치들에 맞물림되어 상기 제1연결기구(3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어(311)에 맞물림되는 브레이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브레이크기어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기어(311)를 통해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3)는 연결축(32), 및 제2연결기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제1연결기구(31)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하면, 상기 제1연결기구(31),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 차단을 해제하면, 상기 제1연결기구(31),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축(32)은 일측이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의 일측에는 상기 제2연결기구(3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은 타측이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의 타측에는 상기 제1연결기구(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상기 제1연결기어(311)가 상기 연결축(32)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축(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출력축(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출력축(2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출력축(20)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 차단을 해제하면,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변속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기구(33),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입력부재(331), 출력부재(332), 및 연결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331)는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된다. 상기 입력부재(331)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331)는 상기 연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3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32)이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출력축(20)에 결합된다.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출력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재(3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33)는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연결부재(333)를 통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연결부재(333)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부(2)에 의해 함께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33)는 체인(Cha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는 각각 기어(Gear) 또는 스프로킷(Sprock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3)는 벨트(Belt)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는 각각 풀리(Pulle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3)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입력부재(331) 및 상기 출력부재(332)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32)에는 상기 변속장치(200)가 갖는 변속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속부(220)는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대해 변속을 수행한 후에, 변속된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0)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입력축(1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변속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에는 상기 변속부(220)가 갖는 제1변속기구(2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연결축(32)의 회전 차단을 해제한 경우,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제1변속기구(2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변속기구(221)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2연결기구(33)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연결축(3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브레이크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변속기구(221)에 의해 변속된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에 출력하는 변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브레이크 기능 및 변속 기능에 공용으로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브레이크 기능 및 변속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이 차지하는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입력부재(331), 상기 연결부재(333), 및 상기 출력부재(332)를 이용하여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연결축(3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입력부재(33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연결축(3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해 감속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가 구동력에 대한 감속 변속을 분담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변속기구(221)가 구현해야 하는 감속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제1변속기구(221)가 차지하는 점유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331)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구(221)는 제1슬리브(221a) 및 제1변속기어(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21a)는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슬리브(221a)는 상기 연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1슬리브(221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32)이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1슬리브(221a)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에 구동력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출력축(20)이 회전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21b)는 상기 연결축(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변속기어(221b)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축(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21a)는 상기 제1변속기어(221b)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21a)가 상기 제1변속기어(221b)에 연결되면, 상기 제1슬리브(221a)는 상기 제1변속기어(221b)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축(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21a) 및 상기 제1변속기어(221b)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1슬리브(221a)는 상기 제1변속기어(221b)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변속부(220)가 다단 변속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다단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부(2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속부(220)는 제2변속기구(222) 및 제3변속기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구(222)는 입력기어(222a), 제2변속기어(222b), 및 제2슬리브(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기어(222a)는 제1입력축(10a)에 결합된다. 상기 제1입력축(10a)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입력축(10a)은 상기 출력축(20) 및 상기 연결축(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10a)은 상기 출력축(20) 및 상기 연결축(32) 각각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기어(222a)는 상기 제1입력축(10a)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변속기어(222b)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변속기어(222b)는 상기 출력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변속기어(222b)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출력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22b)는 상기 입력기어(222a)에 연결되는 제1서브기어(2221b), 및 상기 제1변속기어(221b)에 연결되는 제2서브기어(2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2221b)는 상기 입력기어(222a)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2221b) 및 상기 입력기어(222a)는 각각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기어치를 통해 서로 맞물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변속기어(222b)는 상기 입력기어(222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2221b)는 상기 입력기어(222a)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력이 상기 입력기어(222a)에서 상기 제1서브기어(2221b)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서브기어(2222b)는 상기 제1서브기어(2221b)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기어(2222b)는 상기 제1서브기어(2221b)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2222b)는 연결수단(2223b)을 통해 상기 제1변속기어(22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기어(2222b)는 상기 제1서브기어(2221b)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수단(2223b)을 통해 상기 제1변속기어(221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2223b)은 체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2222b)는 상기 제1변속기어(221b)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력이 상기 제2서브기어(2222b)에서 상기 제1변속기어(221b)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입력축(10a)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은, 상기 제2변속기구(222)를 거치면서 2번의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1변속기구(221)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변속기구(221)는 상기 제2변속기구(222)에 비해 더 낮은 저단으로 변속된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구(221)가 1단인 경우, 상기 제2변속기구(222)는 2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222c)는 상기 제2변속기어(222b) 및 상기 제3변속기구(22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변속기어(222b) 또는 상기 제3변속기구(223)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2슬리브(222c)는 상기 제2변속기어(222b) 및 상기 제3변속기구(223) 모두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변속기구(221)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3변속기구(223)는 제2입력축(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3변속기구(223)는 상기 제2슬리브(222c)가 연결되면, 상기 제2입력축(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2슬리브(222c)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축(10b)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입력축(10b)은 상기 출력축(20)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축(10b) 및 상기 제1입력축(10a)은 각각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구(223)는 상기 제2변속기구(222)에 비해 더 높은 고단으로 변속된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구(221)가 1단이고 상기 제2변속기구(222)가 2단인 경우, 상기 제3변속기구(223)는 3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부(220)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다음과 같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3단으로 변속된 경우,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입력축(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3변속기구(223) 및 상기 제2슬리브(222c)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222c) 및 상기 제3변속기구(223)가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1슬리브(221a) 및 상기 제1변속기어(221b) 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하면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상기 출력축(2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3단으로 변속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2단으로 변속된 경우, 도 6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축(10a)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2변속기구(222) 및 상기 제2슬리브(222c)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222c) 및 상기 제2변속기구(222)가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1슬리브(221a) 및 상기 제1변속기어(221b) 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하면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상기 출력축(2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2단으로 변속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1단으로 변속된 경우, 도 7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축(10a)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2변속기구(222), 상기 제1변속기어(222b), 및 상기 제1슬리브(221a)를 통해 상기 연결축(32)으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2연결기구(33)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222c)는 상기 제2변속기구(222) 및 상기 제3변속기구(223) 모두에 대해 연결이 해제된 상태이고, 상기 제1슬리브(221a) 및 상기 제1변속기어(221b)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하면 상기 연결축(32) 및 상기 제2연결기구(33)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상기 출력축(2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1단으로 변속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20)에 다단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장치(200)가 연결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변속장치(200)가 3단 변속을 수행하는 실시예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1)는 4단 이상의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장치(200)가 구비된 농업용 작업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2 : 브레이크부
3 : 연결부 4 : 결합부
10 : 입력축 20 : 출력축
31 : 제1연결기구 32 : 연결축
33 : 제2연결기구 200 : 변속장치
210 : 변속케이스 220 : 변속부
311 : 제1연결기어 331 : 입력부재
332 : 출력부재 333 : 연결부재

Claims (9)

  1. 변속장치(200)에 연결된 출력축(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부(3); 및
    상기 변속장치(200)가 갖는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3)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브레이크부(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제1연결기구(31)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축(2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31)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2)가 결합되는 결합부(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는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되되,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치(Gear Tooth)가 형성된 제1연결기어(311)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제1연결기어(311)가 갖는 기어치들에 맞물림되어 상기 제1연결기구(3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제2연결기구(33), 및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출력축(20)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제2연결기구(33) 및 상기 제1연결기구(3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32)은 일측이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기구(31)는 상기 연결축(32)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연결기어(311)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2)는 상기 변속케이스(210)의 외부에서 상기 제1연결기어(311)에 맞물림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출력축(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출력축(2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되는 입력부재(331), 상기 출력축(20)에 결합되는 출력부재(332), 및 상기 입력부재(331)와 상기 출력부재(3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32)에는 상기 변속장치(200)가 갖는 제1변속기구(221)가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브레이크부(2)가 상기 제1연결기구(31)에 대한 회전 차단을 해제한 경우,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연결축(3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출력축(2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기구(33)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와 상기 제1연결기구(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축(32)에 결합되는 입력부재(331), 상기 출력축(20)에 결합되는 출력부재(332), 및 상기 입력부재(331)와 상기 출력부재(3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3)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재(332)는 상기 제1변속기구(221) 및 상기 연결축(3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해 감속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입력부재(33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20160030067A 2016-03-14 2016-03-14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212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67A KR102128288B1 (ko) 2016-03-14 2016-03-14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67A KR102128288B1 (ko) 2016-03-14 2016-03-14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78A KR20170106678A (ko) 2017-09-22
KR102128288B1 true KR102128288B1 (ko) 2020-06-30

Family

ID=6003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067A KR102128288B1 (ko) 2016-03-14 2016-03-14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1106B (zh) * 2022-09-29 2024-04-23 赛力斯集团股份有限公司 变速器总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65B1 (ko) * 1997-01-23 2005-12-14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농기
JP2011231897A (ja) * 2010-04-28 2011-11-17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65B1 (ko) * 1997-01-23 2005-12-14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농기
JP2011231897A (ja) * 2010-04-28 2011-11-17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78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0060345B4 (de) Automatisch schaltbares Getriebe für Fahrzeuge
DE3248350C2 (ko)
US8029401B2 (en) Split path power shift transmission
US9039561B2 (en) Multi-ratio transmission
DE102005018804A1 (de) Antriebsstrang eines Automatikgetriebes
US20060270507A1 (en) Split power transmission to include a variable drive
WO2019091749A1 (d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achse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JP2019001453A (ja) 特に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用の全ホイールドライブ配置構成
US10352402B2 (en) Group manual transmission
DE102014101137A1 (de) In ein Getriebe integrierte elektromechanische Vorrichtung
KR102128288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DE60319794T2 (de) Getriebe für ein Rad-Arbeitsfahrzeug
KR10206366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DE102015105641B4 (de) Stufenloses getriebe mit zwei modi
KR10229226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EP0117945A2 (en) Vehicles incorporating a final drive reduction unit
DE102006018437A1 (de) Mehrstufengetriebe, insbesondere ein Automat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as für eine Front-Quer-Bauweise geeignet ist
JP2017061290A (ja) Pto軸の駆動装置
DE102009028366A1 (de) Koplanare Zahnradsätze verwendendes mehrstufiges Getriebe
JP2000170851A (ja) 多軸式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217905041U (zh) 用于田园管理机的竖直轴四驱驱动装置
DE102017120286B4 (de) Elektrische Antriebseinheit mit zwei Gängen und gestufter Laststufe
DE102017006754A1 (de)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Elektrofahrzeug
US11261944B2 (en) Powershift transmission
KR102063659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