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264B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264B1
KR102292264B1 KR1020170105344A KR20170105344A KR102292264B1 KR 102292264 B1 KR102292264 B1 KR 102292264B1 KR 1020170105344 A KR1020170105344 A KR 1020170105344A KR 20170105344 A KR20170105344 A KR 20170105344A KR 102292264 B1 KR102292264 B1 KR 10229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haft
output shaft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414A (ko
Inventor
전효정
김중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8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all of the meshing gears being supported by a pair of parallel shafts, one being the input shaft and the other the output shaft, there being no countershaft invol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 상기 차속변속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사륜 변속을 수행하는 사륜변속부; 상기 차속변속부에 연결된 출력축; 상기 사륜변속부에 연결된 전달축; 상기 출력축과 상기 전달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과 상기 전달축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달축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연결된 주차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Transmission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변속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는 차속변속부(110) 및 주차브레이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차속변속부(110)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차속변속부(110)는 입력축(13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한 후에, 변속된 구동을 출력축(140)으로 출력한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는 상기 출력축(14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는 상기 출력축(1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는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는 상기 출력축(140)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출력축(14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는 협소한 공간인 변속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가 상기 출력축(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를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경우, 상기 주차브레이크부(120)의 정비작업에 대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증대로 인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설치작업과 정비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정비시간 증대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 상기 차속변속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사륜 변속을 수행하는 사륜변속부; 상기 차속변속부에 연결된 출력축; 상기 사륜변속부에 연결된 전달축; 상기 출력축과 상기 전달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과 상기 전달축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달축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연결된 주차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 상기 차속변속부에 연결된 출력축;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케이스; 및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연결기어, 및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는 상기 연결기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차브레이크부를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브레이크부의 정비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일부 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변속기능,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는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1a,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차속변속부(1a)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주변속부(2) 및 부변속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부변속부(3)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변속부(3)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주변속부(2)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2차 변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부변속부(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변속부(2)가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부변속부(3)가 2차 변속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상기 부변속부(3)가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주변속부(2)가 2차 변속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1차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주변속부(2)는 제1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설치된 엔진일 수 있다.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다른 변속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주변속부(2)는 입력축(2a)을 통해 상기 제1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가 상기 부변속부(3)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3)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와 상기 부변속부(3) 사이에 다른 변속장치가 배치된 경우, 상기 주변속부(2)는 해당 변속장치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는 복수개의 기어(Gear), 상기 기어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 등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싱크로나이저 슬리브(Synchronizer Sleev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는 복수개의 기어, 상기 기어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Clutch) 등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가 상기 주변속부(2)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출력된 구동을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와 상기 주변속부(2)의 사이에 다른 변속장치가 배치된 경우, 상기 부변속부(3)는 해당 변속장치로부터 출력된 구동을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복수개의 기어, 상기 기어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등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복수개의 기어, 상기 기어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연결축(2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부변속부(3)에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또는 상기 주변속부(2)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부변속부(3)에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출력축(30)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차속변속부(1a)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부변속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부변속부(3)로부터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설치된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출력축(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설치된 전륜(前輪) 또는 후륜(後輪)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축(30)에는 분배기어(30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어(30a)는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으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어(30a)는 스파이럴 피니언 베벨 기어(Spiral Pinion Bevel Gea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부변속부(3)가 수용된 변속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에는 상기 연결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 및 상기 출력축(3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 및 상기 출력축(3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사륜변속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부변속부(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사륜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축(30)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륜을 회전시키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축(30)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을 회전시키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륜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슬리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클러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전달축(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사륜변속부(4)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부변속부(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에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부변속부(3) 및 상기 사륜변속부(4)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 상기 연결축(20), 및 상기 출력축(3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 상기 연결축(20), 및 상기 출력축(3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연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전달축(40)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전달축(40)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전달축(4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는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는 제1연결부재(51) 및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전달축(4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출력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됨으로써 상기 출력축(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복수개의 기어이(Gear Tooth)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도 8 내지 도 13에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연결을 표시한 점선은,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기어이들 간의 맞물림을 통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달축(40),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연결축(20)은 각각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 간에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 또는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출력축(30)과 상기 전달축(40)을 연결하는 연결부(5)를 이용하여 변속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5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5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 간에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주차브레이크부(6)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차 내지 정차시키는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에 간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가 상기 출력축(30)에 직접 연결된 종래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출력축(30)이 설치된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된 전달축(40) 쪽에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를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의 정비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단축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가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52)에 결합된 출력축(30)의 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전달축(40)의 타측(40b)에 연결된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가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연결부(5)를 통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은 상기 부변속부(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부변속부(3)의 외측에서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부변속부(3) 및 상기 출력축(30)에 대한 분해작업 없이도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를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에 대한 정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의 정비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단축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변속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습식 다판 브레이크(Brake)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원판 브레이크, 원뿔 브레이크, 벤드 브레이크, 또는 블록 브레이크 등 다양한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작업조건에 따른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운전자의 조작 및 제어부의 제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연결기어(61) 및 브레이크기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부변속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가 연결된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부변속부(3)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부변속부(3)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연결기어(61)는 치합(Meshing)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에 맞물림되는 브레이크기어(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브레이크기어(62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브레이크기어(621)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습식 다판 브레이크, 원판 브레이크, 원뿔 브레이크, 벤드 브레이크, 또는 블록 브레이크 등과 같은 다양한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를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으로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연결기어(61) 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연결기어(61) 간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출력축(3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를 상기 변속케이스(10)에 결합시키는 작업으로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연결기어(61)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연결기어(61)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출력축(3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 및 상기 출력축(30) 간의 연결 작업 및 연결 해제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변속케이스(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브레이크기어(621)가 상기 연결기어(61)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에 대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브레이크기어(621)가 상기 연결기어(6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에 대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는 상기 주변속부(2), 상기 부변속부(3), 상기 사륜변속부(4), 상기 연결부(5), 및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주변속부(2), 상기 부변속부(3), 상기 사륜변속부(4), 상기 연결부(5), 및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1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공(11)은 상기 변속케이스(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연결기어(61)에 대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에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기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결합기구(622)를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결합기구(622)는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기구(622)는 분진, 이물질 등이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기구(622)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기구(62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에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분리된 경우,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12, 도 7에 도시됨)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부(12)는 분진, 이물질 등이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폐쇄부(12)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1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변속케이스(10)는 구획판(10a,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0a)에는 상기 전달축(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0a)은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제1수용공간(10b, 도 5에 도시됨) 및 제2수용공간(10c, 도 5에 도시됨)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10b)에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0c)에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연결기어(6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제2수용공간(10c)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입공(11)은 상기 변속케이스(10)의 외부판(10d, 도 5에 도시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외부판(10d)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변속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제1구동기구(31), 제2구동기구(32), 및 제1슬리브(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출력축(30)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출력축(30)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연결축(2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제1슬리브(33)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분배기어(30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제1구동입력부재(311) 및 제1구동출력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는 상기 연결축(20)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구동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는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축(20)으로부터 입력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 및 상기 제1슬리브(3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기 출력축(30)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구(32) 및 상기 출력축(30)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기 연결축(2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기 제1구동기구(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제2구동입력부재(321) 및 제2구동출력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는 상기 연결축(20)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구동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축(20)으로부터 입력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 및 상기 제1슬리브(3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의 사이에서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또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되면,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되면,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2구동기구(3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출력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구(31) 또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1구동기구(31)와 상기 제2구동기구(3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제1입력기구(34) 및 제2입력기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연결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연결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기구(31)의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연결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1입력기구(3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연결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구동기구(32)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의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변속부(3)가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는 구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연결축(2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입력기구(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 또는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에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입력기구(34)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에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입력기구(34)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에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가 상기 제1슬리브(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슬리브(33)는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구동기구(32)가 상기 출력축(3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구동기구(32)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분배기어(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연결부(5)는 동작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기어(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브레이크기구(61)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는 구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연결축(2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입력기구(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 또는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가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에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와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 간의 직경 차이가 상기 제1입력기구(34)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 간의 직경 차이에 비해 더 크게 구현되면,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되었을 때의 변속 단수는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되었을 대의 변속 단수에 비해 더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입력기구(35)가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에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입력기구(35)와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에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가 상기 제1슬리브(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슬리브(33)는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가 상기 출력축(3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1구동기구(31)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분배기어(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연결부(5)는 동작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기어(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브레이크기구(61)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부변속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상기 제2구동기구(32), 및 상기 제1슬리브(33)에 추가로, 제3구동기구(36) 및 제2슬리브(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 상기 제2구동기구(32), 및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변속부(3)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 및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에 추가로, 제1구동연결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축(20)으로부터 입력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는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전달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전달축(40)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전달축(40)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제3구동출력부재(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는 상기 제1구동기구(31)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는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도 11 내지 도 13에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의 연결을 표시한 점선은,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가 기어이들 간의 맞물림을 통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달축(40),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연결축(20)은 각각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는 상기 제1구동기구(3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는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가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 간에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 또는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제2슬리브(37)를 이용하여 더 다양한 변속 단수로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가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에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가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에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에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제3구동출력부재(362)는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구동출력부재(362)는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출력부재(362)는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부터 입력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출력부재(362)는 복수개의 기어이를 이용하여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연결되면,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전달축(4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 또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사륜변속부(4)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제2슬리브(37)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사륜변속부(4) 및 상기 제2슬리브(37)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부변속부(3)가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는 구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슬리브(37)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축(2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입력기구(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 또는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에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가 상기 제1슬리브(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제2슬리브(37)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슬리브(33)는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구동기구(32)가 상기 출력축(3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구동기구(32)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분배기어(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연결부(5)는 동작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슬리브(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기어(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브레이크기구(61)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는 구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슬리브(37)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축(2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입력기구(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 또는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가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입력기구(35)에서 상기 제2구동기구(3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입력기구(35)는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입력기구(35) 및 상기 제2구동입력부재(32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구동출력부재(322)가 상기 제1슬리브(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리브(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슬리브(33)는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가 상기 출력축(3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1구동기구(31)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1구동기구(31)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분배기어(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연결부(5)는 동작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슬리브(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기어(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브레이크기구(61)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연결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는 구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2슬리브(37)가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리브(33),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축(20)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입력기구(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0)은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 또는 상기 주변속부(2,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된 다른 변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출력부재(312) 및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와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입력기구(34)에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입력기구(34)는 상기 제1구동입력부재(31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가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구동기구(31)에서 상기 제3구동기구(3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는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동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3구동입력부재(36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슬리브(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구동출력부재(36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슬리브(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37)는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사륜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륜변속부(4)는 상기 전달축(4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사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달축(40)은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상기 제2연결부재(52)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5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2연결부재(52)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연결부(5)는 동작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축(3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분배기어(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슬리브(33)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구동기구(31) 및 상기 제2구동기구(32)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축(40)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기어(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61)가 상기 브레이크기구(61)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경우,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륜변속부(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2 : 주변속부
3 : 부변속부 4 : 사륜변속부
5 : 연결부 6 : 주차브레이크부
10 : 변속케이스 20 : 연결축
30 : 출력축 40 : 전달축
31 : 제1구동기구 32 : 제2구동기구
33 : 제1슬리브 34 : 제1입력기구
35 : 제2입력기구 36 : 제3구동기구
37 : 제2슬리브 51 : 제1연결부재
52 : 제2연결부재 61 : 연결기어
62 : 브레이크기구

Claims (20)

  1.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1a);
    상기 차속변속부(1a)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사륜 변속을 수행하는 사륜변속부(4);
    상기 차속변속부(1a)에 연결된 출력축(30);
    상기 사륜변속부(4)에 연결된 전달축(40);
    상기 출력축(30)과 상기 전달축(40)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30)과 상기 전달축(40)을 연결하는 연결부(5); 및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연결된 주차브레이크부(6)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변속부(1a)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주변속부(2); 및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2차 변속을 수행하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부변속부(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구동기구(31), 상기 제1구동기구(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구동기구(32), 및 상기 제1구동기구(31)와 상기 제2구동기구(32)의 사이에서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된 제1슬리브(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리브(33)는 상기 제1구동기구(31) 또는 상기 제2구동기구(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출력축(3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부(2)에 연결된 연결축(20)을 포함하고,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된 제1입력기구(34), 및 상기 제1입력기구(3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축(20)에 결합된 제2입력기구(3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제1입력기구(34)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입력기구(34)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기구(32)는 상기 제2입력기구(35)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입력기구(35)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20), 상기 출력축(30), 및 상기 전달축(4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사륜변속부(4) 및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상기 제1슬리브(33)와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사이에서 상기 출력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전달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2슬리브(37)를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기구(36) 및 상기 제1구동기구(3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리브(37)는 상기 사륜변속부(4) 및 상기 제3구동기구(36)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를 포함하며,
    상기 제3구동기구(36)는 상기 제2슬리브(37)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사이에서 상기 전달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전달축(40)의 일측(40a)에 결합된 연결기어(61); 및
    상기 연결기어(61)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전달축(4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된 브레이크기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출력축(30)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되되,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3.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차속변속부(1a);
    상기 차속변속부(1a)에 연결된 출력축(30);
    상기 출력축(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케이스(10); 및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부(6)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부(6)는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된 연결기어(61), 및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기어(61)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기구(62)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변속부(1a)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주변속부(2);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1차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부변속부(3)는 상기 주변속부(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2차 변속을 수행하며,
    상기 출력축(30)은 상기 부변속부(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케이스(10)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11)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상기 연결기어(6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기구(622)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기구(622)를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기구(622)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변속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연결기어(61)에 맞물림되기 위한 브레이크기어(621)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기어(621)가 상기 연결기어(61)에 맞물림되거나 상기 연결기어(61)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변속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케이스(10)는 상기 브레이크기구(62)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11)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케이스(10)로부터 상기 브레이크기구(62)가 분리된 경우, 상기 변속케이스(10)에는 상기 출입공(11)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12)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변속부(1a)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하여 사륜 변속을 수행하는 사륜변속부(4), 상기 사륜변속부(4)에 연결된 전달축(40), 상기 출력축(30)과 상기 전달축(40)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30)과 상기 전달축(40)을 연결하는 연결부(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어(61)는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달축(40)에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기구(62)는 상기 전달축(40) 및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출력축(30)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기어(61)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0170105344A 2017-08-21 2017-08-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29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44A KR102292264B1 (ko) 2017-08-21 2017-08-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44A KR102292264B1 (ko) 2017-08-21 2017-08-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14A KR20190020414A (ko) 2019-03-04
KR102292264B1 true KR102292264B1 (ko) 2021-08-20

Family

ID=6576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44A KR102292264B1 (ko) 2017-08-21 2017-08-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02A (ja) 2002-09-18 2004-04-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用車両
JP2009045991A (ja) 2007-08-17 2009-03-05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148B2 (ja) * 1999-04-26 2005-08-24 良 渡部 四輪駆動型の農用トラクタ
JP6346037B2 (ja) * 2014-09-09 2018-06-2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02A (ja) 2002-09-18 2004-04-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用車両
JP2009045991A (ja) 2007-08-17 2009-03-05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14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082B2 (en) Work vehicle transmission and work vehicle having the same
EP3187353B1 (en) Two-speed electric drive unit
US9731598B2 (en) Multi-mode drive system for transaxle applications
US20060270507A1 (en) Split power transmission to include a variable drive
US7704182B2 (en) Automatic transmission
US10598259B2 (en)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KR20140015457A (ko)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기어를 갖는 선형 액추에이터
KR20130132768A (ko) 동력 분배 장치
EP28592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huttle shifts with a transmission of a work vehicle
JP2011509379A (ja) 遊星ギア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US20190162274A1 (en) Gear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EP3093180B1 (en) Dropbox assembly for transmission of work vehicle
KR10229226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06366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US8037776B2 (en) Gear brake device for a multi-speed manual transmission
EP0111037B1 (en) Vehicle transmission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ransmissions
KR102128288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차브레이크장치
JP2011020515A (ja) 作業車両
CN112297819A (zh) 四轮驱动系统及车辆
KR102583451B1 (ko) Pto 유압 제어 밸브 장치
JP2018159438A (ja) 作業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923710B2 (ja) 移動農機のミッションケース
JPS6324280Y2 (ko)
JP6369481B2 (ja) パワートレイン構造
KR0128518Y1 (ko) 중장비의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