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938A -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38A
KR20000062938A KR1020000013639A KR20000013639A KR20000062938A KR 20000062938 A KR20000062938 A KR 20000062938A KR 1020000013639 A KR1020000013639 A KR 1020000013639A KR 20000013639 A KR20000013639 A KR 20000013639A KR 20000062938 A KR20000062938 A KR 2000006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ample
collimator
detector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819B1 (ko
Inventor
다무라고이찌
Original Assignee
핫토리 쥰이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토리 쥰이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핫토리 쥰이치
Publication of KR2000006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25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multiple collimators, e.g. Bucky screens; other devices for eliminating undesired or dispersed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by irradiating the sample with X-rays or gamma-rays and by measuring X-ray 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7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secondary emission
    • G01N2223/076X-ray fluoresc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형광 X-레이 분석장치에서, 회절 X-레이가 그것이 미세 결정의 혼합물로 구성되었을지라도 샘플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X-레이 광속의 평행 성분만을 단지 검출 할 수 있는 이동성 시준기 기구가 샘플과 X-레이 탐지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X-레이 통로상에 구비된다. 스펙트럼 측정이 시준기 기구를 삽입하는 하는 경우와 삽입하지 않는 경우에 동일한 샘플상에서 수행된다.

Description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Fluorescent X-ray Ana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X-레이를 샘플에 조사할때에 샘플로부터 2차적으로 생성되는 X-레이의 검출에 의해서 요소 분석을 수행하는 형광 X-레이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 X-레이 분석장치는, X-선원에서 방출된 일차 X선을 시료에 조사하여,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형광 X선을 검출하고, 에너지 강도 정보로서 스펙트럼을 얻음으로써 시료의 정성·정량 분석을 수행한다. 이 때, 결정성을 갖는 시료나 전연(extended)하였던것 같은 시료로부터는 형광 X-선 이외에 회절 X-선이 발생한다. 이것은 스펙트럼에 방해 피크로서 나타나 정성·정량 분석의 장해가 된다. 이것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회전기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회절 X-선의 제거에 시료 회전이 효과를 갖는 것은, 시료의 결정방향이 비교적 균일한 경우에 한정된다. 미소한 결정의 혼합물과 같이 결정면이 랜덤(random)한 시료의 경우는 회절 X-선이 제거될 수 없는 문제가 있어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료와 X-선검출기 사이의 X-선통로 상에 X-선 광속의 평행 성분만을 검출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시준기 기구를 제공한다.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시준기 기구를 삽입한 경우와 삽입하지 않은 경우의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되도록 하였다. 이 때, 시준기 기구를 삽입하면, 1차 X-선의 광속의 중심선 및 시료면과의 교점(이것은 1차 X-선의 조사중심으로서 참조됨)과, X-선 검출기의 검출영역중심 및 시료면 사이(이것을 추출 각으로 참조됨)에서 형성되는 각이 균일한 2차 X-선만이 검출기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시준기 기구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는 일정한 폭을 가진 추출 각의 2차 X-선을 검출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각각의 스펙트럼상에 나타나는 회절 X-선의 피크의 폭이 변화한다. 한편, 형광 X-선의 피크의 폭이 추출각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얻어진 2개의 스펙트럼을 관찰함으로써 회절 X-선에 의한 피크와 형광 X-선에 의한 피크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절 X-선 피크의 폭이 보다 작고, 형광 X-선 피크에 대한 방해가 적은 시준기 기구를 삽입하였을 때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또는 얻은 2개의 스펙트럼에 대한 간단한 연산처리로 회절 X-선 피크를 제거함으로써 회절 X-선에 의한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정성 및 정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 X-레이 분석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는 회절 X-레이 피크 생성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3은 회절 X-레이 제거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4는 병행판 시준기를 도시하는 일반도,
도5는 두 개의 병행 평판 시준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열을 도시하는 일반도,
도6은 다중 모세관 시준기를 도시하는 일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X선원 2: 시료
3: X선검출기 4: 시준기
5: 공중관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X-선 분석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었다. X-선원(X-ray source, 1)은 시료(2)상에 입사되는 X-선을 조사한다. 시료(2)로부터는 형광 X-선이나 회절 X-선을 포함하는 2차 X-선이 발생한다. 이때, 시료(2)와 검출기(3)의 사이의 X-선통로상에 배열된 시준기(4)에 의해 추출각이 일정한 2차 X-선만이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상태에서, 스펙트럼을 얻고, 그 후에 X-선 통로에서 시준기(4)를 이동시켜 스펙트럼을 취득한다. 이러한 구성의 장치에서, 시료부터 회절 X-선이 검출기에 도달하여 스펙트럼상에 피크가 나타나는 조건은 브래그의 식(Bragg's formula), 즉
nλ= 2 dsinθ ( θ: 브래그 각)...........(1)
로서 공지되었다. X-선원, 시료상의 일차 X-선의 조사 중심점 및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의 반이 φ로서 1/2로 주어지면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θ=(180°-2φ)/2 ...........(2)
한편, d는 시료를 구성하는 결정의 격자정수이고, λ는 회절 X-선의 파장, n은 계수이다. 따라서, 식 (2)를 식(1)에 대입하면,
nλ= 2 d cos φ..........(3) 이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시준기(4)를 X-선통로에 삽입하는 것은, 검출기에 도달하는 2차 X-선의 추출 각을 어떤 범위내로 좁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φ의 범위를 변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회절 X-선은 파장(에너지)범위내에서 변화할 것이다. 반면에, 시료에서 발생하는 형광 X-선은 범위(φ)에 의해서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들면, 도2는, 2차 X-선이 검출기에 도달하기 까지의 기하학적인 배열을, X-선원, 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사용하여, 범위(φ)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1차 X-선이 평행한 광속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 장치에서는 추출각의 범위의 변화와 비교해서 1차 X-선의 분산의 효과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어떤 효과도 아래의 설명에서는 크게 손실되지 않는다.
도2a는 시준기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의 모식도이다. 시료(2)에 1차 X-선이 조사되는 영역은 사선으로 표시되고, 2차 X-선은 이 부분으로부터 발생한다. 이 도면에서, X-선원, 제1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 및 제1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이 가장 커지는 것은, 시료상의 2차 X-선이 발생하는 영역의 안에서 검출기로부터 가장 먼 점 A와,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안에서 시료로부터 가장 먼 점 D를 맺는 선분 AD에 따라 취한 2차 X-선이고, 이 경우에, φ는 φ1 로서 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반대로, 이 각도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시료상의 2차 X-선이 발생하고 있는 영역의 안에서 검출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점 B와,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안에서 시료로부터 가장 가까운 점 C를 맺는 선분 BC에 따라 취한 2차 X-선이고, 이 경우에, φ는 φ2 로서 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시준기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X-선원, 제1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 및 제1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이 형성하는 각의 1/2은 φ1<φ< φ2의 범위를 취한다.
도2b는 시준기를 삽입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과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을 맺는 선을 포함하는 하나의 중공관상에 관한 범위(φ)를 검토한다.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는, 그러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이 공중관(5)주위에 평행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되고, 각각의 공중관은 동일한 각도 범위를 분명하게 취한다. 이 그림에서, X-선원, 제1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 및 제1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이 가장 커지는 것은, 공중관의 점 E와 점 G를 맺는 선분 EG의 연장선을 따라 취한 2차 X-선이고, 이 경우에, φ는 φ3 로서 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반대로, 이 각도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공중관의 점 F와 점H를 맺는 선분 FH의 연장선을 따라 취한 2차 X-선이고, 이 경우에, φ는 φ4 로서 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시준기가 삽입되어 있을 때의 X-선원, 제1시료상의 1차 X-선의 조사중심 및 제1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의 3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의 1/2은 φ4<φ< φ3 범위를 취한다. 한편, 야기되는 회절 X-선 피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고려되는 시료중의 결정구조의 격자정수를 D라고 하면, 시준기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장λ1= 2 D(cosθ 1)/n에서 파장λ2= 2 D(cosθ2)/n의 범위의 1차 X-선이 브래그 조건을 만족시키고, 이것은 회절하고 검출기에 도달하여, 스펙트럼상에서 시스템의 파장분해능을 포함하는 브로드(broad) 회절 피크로서 확인되었다. 한편, 시준기를 삽입한 경우에는, 브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파장범위는 λ3= 2 D(cosθ3)/n에서 파장λ4= 2 D(cosθ4)/n에 놓인다. 시준기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분명히 파장범위가 좁다. 도3a는 시준기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 취득한 스페트럼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피크 A, B 및 C가 관찰되었다. 다음에, 도3b는 시준기를 삽입하여 같은 시료를 측정하였을 때의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관찰된 피크 A, B 및 C중에서 피크 폭이 작아진 A 피크는 회절 X-선에 의한 것이고, 폭이 변화하지 않은 피크 B 및 C는 형광 X-선에 의한 것과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형광 X-선 피크 B에 회절 X-선 피크 A가 간섭하고 있는 스펙트럼(도3a)를 사용하는 대신에, 시준기를 삽입하여 취득한 스펙트럼(도3b)를 사용하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회절 X-선에 의한 방해 없이도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해진다.
한편, 시준기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회절 X-선 피크가 다른 형광 X-선 피크와 간섭하는 경우라도, 회절 X-선 피크만을 추출 및 제거하는 간단한 피크 분리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회절 X-선으로 인한 방해가 없는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해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준기는 금속의 박막을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한 하나의 병행판을 사용 할 수가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을 2개 사용하여 2차 X-선의 통로에 연속하여 또한 서로 수직하게 되도록 배열하면, 회절 X-선의 피크폭의 변화가 보다 커져 회절 X-선 피크의 검출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도6에 도시된바와 같이, 금속 또는 글래스의 중공관과 함께 묶은 다중-모세관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X-선을 조사함에 따라서 시료로부터 2차적으로 발생하는 X-선을 검출하여 원소분석을 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에 있어서, 시료와 X-선 검출기 사이의 X-선 통로중에 X-선 광속중 평행성분만을 검출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시준기 기구가 구비된다. 동일시료에 대하여 시준기 기구를 삽입한 경우와 삽입하지않은 경우의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하였기 때문에 시료가 미소한 결정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회절 X-선을 제거할 수가 있으므로 방해선이 없는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해졌다.

Claims (4)

1차 X-선을 발생시키는 X-선원과, 그 X-선을 조사하는 측정시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시료대와,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2차 X-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에 있어서,
X-선원에서 조사되는 X-선 광속의 중심선이 시료 테이블면과 교차하는 교점과, 검출기의 검출영역의 중심점 사이를 접속하는 라인과 평행한 2차 X-선만을 추출하는 시준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시준기 기구는 측정시료와 검출기의 사이의 X-선 통로중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시준기 기구가 금속의 얇은 판을 작은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한 병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시준기 기구가 금속 또는 글래스의 중공관을 묶은 다중 모세관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시준기 기구가 금속의 얇은 판자를 작은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한 병행판 2개이고, 2차 X-선의 통로에 연속하고 또한 서로 수직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X-선 분석장치.
KR1020000013639A 1999-03-18 2000-03-17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 KR100703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73852 1999-03-18
JP11073852A JP2000266702A (ja) 1999-03-18 1999-03-18 蛍光x線分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38A true KR20000062938A (ko) 2000-10-25
KR100703819B1 KR100703819B1 (ko) 2007-04-04

Family

ID=1353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639A KR100703819B1 (ko) 1999-03-18 2000-03-17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50593B1 (ko)
JP (1) JP2000266702A (ko)
KR (1) KR100703819B1 (ko)
DE (1) DE10012558A1 (ko)
TW (1) TW4995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795A (ko) * 2013-03-28 2014-10-0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 사이언스 이물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1749B2 (ja) * 2001-07-13 2011-07-27 株式会社堀場製作所 X線分析装置
CN1864062B (zh) * 2003-08-04 2011-11-02 X射线光学系统公司 使用在固定角位置的源和检测器的原位x射线衍射系统
JP5838109B2 (ja) * 2011-05-13 2015-12-24 株式会社リガク 複合x線分析装置
CN107735676B (zh) * 2015-04-02 2021-04-06 索雷克核研究中心 用于认证标记了xrf标记的对象的xrf装置和方法
DE102017223228B3 (de) * 2017-12-19 2018-12-27 Bruker Axs Gmbh Aufbau zur ortsaufgelösten Messung mit einem wellenlängendispersiven Röntgenspektrometer
KR20220113001A (ko)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집속 광학계를 이용한 x선 형광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0280A (en) * 1976-02-19 1977-08-23 Hitachi Ltd White x-ray diffractor
JPH0545306A (ja) 1991-08-20 1993-02-23 Hitachi Ltd X線分析装置
DE69323064T2 (de) * 1993-04-23 1999-07-15 Shimadzu Corp Ortsaufgelöste Analyse einer Probe mittels eines Röntgenfluoreszenzspektrometers
JPH0735706A (ja) * 1993-07-19 1995-02-07 Natl Inst For Res In Inorg Mater X線導管光学系による薄膜x線回折装置
DE69427152T2 (de) * 1994-07-08 2001-11-22 Muradin Abubekirovic Kumachov Verfahren zur führung von neutral- und ladungsträgerstrahlen und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9178676A (ja) 1995-12-22 1997-07-11 Toyota Motor Corp X線コリメータ及びx線放射装置
WO1997025614A1 (en) 1996-01-12 1997-07-17 Philips Electronics N.V. X-ray analysis apparatus including a rotatable primary collimator
JP3034470B2 (ja) * 1996-11-08 2000-04-17 理学電機工業株式会社 X線分析装置
JPH10227898A (ja) * 1997-02-12 1998-08-25 Rigaku Corp X線分析装置のソーラースリット装置
US6049588A (en) * 1997-07-10 2000-04-11 Focused X-Rays X-ray collimator for lithograph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795A (ko) * 2013-03-28 2014-10-0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 사이언스 이물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9566B (en) 2002-08-21
KR100703819B1 (ko) 2007-04-04
JP2000266702A (ja) 2000-09-29
US6850593B1 (en) 2005-02-01
DE10012558A1 (de)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0542B2 (en) Method and measuring arrangement for nondestructive analysis of an examination object by means of x-radiation
RU201287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внутренней структуры объекта
RU2001119066A (ru) Рентгеновский измерительно-испыт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JP4092037B2 (ja) 物質同定装置
KR100703819B1 (ko) 형광 엑스-레이 분석장치
WO2005005969A1 (ja) エネルギー分散型エックス線回折・分光装置
JP2002189004A (ja) X線分析装置
JP5261862B2 (ja) 回折格子の迷光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0504422A (ja) 2つのコリメータマスクを有するx線分析装置
JP2002195963A (ja) X線分光装置およびx線分析装置
JPH10507532A (ja) 複数の固定測定チャネルを有するx線分光計
JP2002529699A (ja) X線光学基準チャネルを有するx線回折装置
JPH0219897B2 (ko)
JP3476333B2 (ja) X線分析方法
JPH1151883A (ja) 蛍光x線分析装置および方法
JP4330981B2 (ja) 蛍光x線分析装置
SU949441A1 (ru) Рентгеновский спектрометр
WO1996000887A1 (en) An improved optical sensor and method
JPH11149000A (ja) レーザプラズマ軟x線のエネルギー測定装置
SU881592A2 (ru) Рентгеновский спектрометр
JPS61256243A (ja) 単色x線断層撮影装置
JPS6073445A (ja) 螢光x線分析装置
JPH04270943A (ja) 分光分析装置
JPS6315546B2 (ko)
JP2002093594A (ja) X線管およびx線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