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849A -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849A
KR20000054849A KR1020000036796A KR20000036796A KR20000054849A KR 20000054849 A KR20000054849 A KR 20000054849A KR 1020000036796 A KR1020000036796 A KR 1020000036796A KR 20000036796 A KR20000036796 A KR 20000036796A KR 20000054849 A KR20000054849 A KR 2000005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receiving
class
sch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장흠
Original Assignee
안장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장흠 filed Critical 안장흠
Priority to KR102000003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849A/ko
Publication of KR2000005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학급별로 독립된 영역을 제공하여 복수의 구성원이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공동체를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학교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영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복수의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작업 정보를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영역으로 접속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프로세서와 콘텐츠 정보, 수신한 복수의 작업 정보, 코드 등을 축적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복수의 학교에서 각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경우에 동일한 형식의 홈페이지 양식을 공유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각각 독립된 홈페이지 구축이 가능하고, 복수의 학교간에도 효율적인 정보 교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lass by using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학급별로 독립된 영역을 제공하여 복수의 구성원이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이에 상응하여 통신망 사용자들의 기술 수준 역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게다가, 사용자 또는 단체들은 복수의 타 사용자 또는 타 단체와의 유대 관계를 오프라인(off-line)상에서만 유지하고 지속하는 방법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많은 사용자들이 인터넷 상에 개인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단체들이 인터넷 상에 광고용 홈페이지, 전자 상거래 운영을 위한 사이버 몰 등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학교의 경우에도 학교 자체를 홍보하거나 학사 정보를 제공하거나 학생간의 유대 관계를 지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있다.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의 예로는 '광양 제철남 초등학교(http://www.kcnnews. or.kr)', '강원 사대 부속 고등학교(http://www.kangwon.ac.kr/~sesim/)', '한양대학교(http://www.hanyang.ac.kr) 등이 있다. 각 학교에 속한 학생들은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학교와 관련한 일반 정보, 특정 행사 정보 등의 열람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학교 홈페이지는 각각의 학급마다 독립된 영역을 제공하지 못하여, 일반적인 정보만의 제공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학교 홈페이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학교에서 각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학교에서 독자적인 홈페이지 작성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복수의 학교간에 정보 교류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학교 홈페이지 시스템은 홈페이지 내에서 학생들에게 학습과 연관되는 문제를 제공하고, 학생의 학습과 관련한 성적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학교 홈페이지 시스템은 선생님들의 지속적인 토의 및 협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학교 내에서 각각의 학급마다 독립된 영역을 제공하여 학급 구성원간의 지속적인 유대 관계를 가질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학교에서 각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경우에 동일한 형식의 홈페이지 양식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각각 독립된 홈페이지 구축이 가능하고, 복수의 학교간에도 효율적인 정보 교류가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페이지 내에서 학생들에게 학습과 연관되는 복수의 문제를 제공하고, 학생이 제공된 문제를 통해 학습하는 경우에 학생의 학습 결과와 관련한 성적 처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학급을 관리하는 복수의 선생님들이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토의와 협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위한 초기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생님 방 항목의 세부 구성을 표시한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지 사항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 평가 출제를 위한 화면의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 평가 리스트 항목을 선택한 경우의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이 형성 평가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급 신문의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급 신문의 등록을 교사가 관리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단말기 120 : 제1 학교의 서버
130 : 중앙 서버 132 : 프로세서
134 : 저장 장치 150 : 제2 단말기
160 : 제2 학교의 서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커뮤니티 공간의 접속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로 접속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고, 제1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제2 서버로부터 접속 정보의 입력 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서버로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작업 영역 내에 포함되는 제2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이 제공되며, 해당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제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지정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방법이 제공되며, 해당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 코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한 해당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작업 정보와 제2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허용 방법이 제공되며, 해당 접속 허용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상 커뮤니티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름, 학번, 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상세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갱신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세 정보 중 학번, 반, 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방법이 제공되며, 해당 사용자 정보 갱신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공동체를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학교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영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와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복수의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작업 정보를 해당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영역에 접속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수신한 복수의 작업 정보, 상기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축적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은 제1 학생의 단말기(110 -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학교의 서버(120), 중앙 서버(130), 제2 학생의 단말기(140 -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학교의 서버(1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130)는 프로세서(132), 저장 장치(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학급에 접속하고자 하는 제1 학생이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제1 학교의 서버(120)로 접속하여, 단말기(110) 표시부에 출력된 복수의 학급 정보 중에서 제1 학생이 포함된 학급 정보(예를 들어, 1학년 1반)를 선택한다.
이후, 제1 학교의 서버(12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1 학생의 선택 정보를 중앙 서버(130)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130)는 제1 학생의 단말기(110)로 접속 정보의 입력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1 학생이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110)를 통해 접속 정보를 입력하여 중앙 서버(130)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130)는 적합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학급으로의 제1 이용자의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학급에 접속하고자 하는 제2 학생이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제2 학교의 서버(150)로 접속하여, 단말기(140) 표시부에 출력된 복수의 학급 정보 중에서 제2 학생이 포함된 학급 정보(예를 들어, 1학년 1반)를 선택한다.
이후, 제2 학교의 서버(15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2 학생의 선택 정보를 중앙 서버(130)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130)는 제2 학생의 단말기(140)로 접속 정보의 입력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2 학생이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140)를 통해 접속 정보를 입력하여 중앙 서버(130)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130)는 적합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학급으로의 제2 이용자의 접속을 허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학생들이 일차적으로 각각의 학교 서버(120, 150)로 접속하면, 학교 서버(120, 150)는 학생들의 선택 정보를 중앙 서버(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후 학생들의 가상 학급 접속, 가상 학급 내에서의 활동 등의 수행 단계는 학생 단말기(110, 140)와 중앙 서버(130)의 접속 관계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학생의 단말기(110, 150)와 중앙 서버(130)를 결합시킨다(예를 들어, 링크(link)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중앙 서버(130)는 복수의 학교, 복수의 학급에 포함되는 복수의 학생들의 작업 정보를 동일한 시간에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수신한 복수의 작업 정보는 이미 각각의 학교 서버(120, 160)에서 중앙 서버(130)로 접속하기 위해 요청되는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학교 서버를 통해 접속한 학생 단말기에서 출력되어질 필요가 있는 정보만의 선택적 검색을 통해 해당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만 각각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학생의 단말기(110, 140)의 표시부에는 학급 정보, 학급 구성원의 대화 정보, 학습 문제 정보 등의 필요한 정보만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40에서 학교 서버(220)는 중앙 서버(230)로부터 필요한 콘텐츠(즉, 학교 홈페이지)를 제공받는다. 학교 서버(220)와 중앙 서버(230)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학교 서버(220)는 항시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중앙 서버(230)는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항시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중앙 서버(230)가 복수의 학교 서버(220)를 관리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학교 서버(220)마다 독립적으로 부여되는 코드 정보를 통해 각각 구별되는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230)로부터 학교 서버(220)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는 학교 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예를 들어, 학교 연혁, 학교 행사, 게시판, 등)와 학교 내에 포함되는 학급 정보(예를 들어, 1학년 1반, 1학년 2반, 등) 등을 포함한다.
단계 250에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학생이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학교 서버(220)로 접속하면, 단계 260을 통해 학교 서버(220)는 해당 콘텐츠(즉, 학교 홈페이지)를 통신망을 통해 학생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단계 270에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학생은 단말기(210)의 화면상에 출력된 콘텐츠 정보(특정 학교 내에 포함되어진 학급 정보를 포함한다)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학급 정보(예를 들어, 1학년 1반)를 선택하고, 선택 정보를 학교 서버(220)로 전송한다.
단계 280에서 학교 서버(220)는 단계 270을 통해 수신한 학생의 선택 정보를 중앙 서버(230)로 전송한다. 단계 280을 통해 학생이 접속하는 서버는 학교 서버(220)로부터 중앙 서버(230)로 변경되며, 변경하는 방법은 서버간의 링크(link) 기능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80에서 중앙 서버(230)로 전송되는 선택 정보는 데이터 코드(data code)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코드 정보는 '연도' 표시 영역(연도 숫자 중 뒤의 2자리 숫자), '지역' 표시 영역(우편번호 앞의 3자리 숫자), '학교 설립 정보' 표시 영역(예를 들어, 공립학교는 0, 사립학교는 1, 국립학교는 2), '학교 등급' 표시 영역(예를 들어, 초등학교는 1, 중학교는 2, 일반 고등학교는 3, 실업고등학교는 4, 예술 고등학교는 5, 체육 고등학교는 6, 과학 고등학교는 7, 외국어 고등학교는 8, 기타는 9), '학교명' 표시 영역(학교명 영문 이니셜 문자 2자리), '학년' 표시 영역(학년 숫자 1자리), '학급' 표시 영역(숫자 2자리)을 포함하는 12자리 정보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계 28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바탕으로 중앙 서버(230)는 접속한 학생이 어느 학교, 몇 학년, 몇 반, 누구인지 판단할 수 있게되며, 학생의 단말기(210)로 전송되어야할 콘텐츠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코드 정보는 '연도' 표시 영역(연도 숫자 중 뒤의 2자리 숫자)을 생략할 수 있다. 즉, 학교 서버(220)로부터 중앙 서버(2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코드 정보는 10자리 정보로 구성되거나 12자리 정보로 구성된다.
10자리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학교 서버(220)에서 중앙 서버(230)로 전송하면, 중앙 서버(230)는 디폴트(default)로 적용되는 해당 년도 정보(즉, 2000년의 경우에는 00)를 상기 10자리 데이터 코드 정보에 부가하여 12자리 데이터 코드 정보로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코드 정보를 12자리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매년 연도 정보가 변경되므로 매년 각 학교 서버에 갱신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부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데이터 코드 정보를 10자리 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12자리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학교 서버(220)에서 중앙 서버(23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졸업생들이 재학 당시의 학생 및 교사와의 유대 관계를 지속시키기 위해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 경우에는 해당 학생들이 재학한 연도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단계 290에서 중앙 서버(23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결합된 학생의 단말기(210)로 식별자(ID)와 비밀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 단계 300에서 학생은 단계 290을 통해 수신하여 단말기(210) 화면상에 출력된 접속 정보 입력 영역에 해당 접속 정보를 입력하여 중앙 서버(230)로 전송한다.
단계 310에서 중앙 서버(230)는 단계 300을 통해 수신한 접속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하며, 검사하는 방법은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장치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다. 만일 유효하지 않은 접속 정보인 경우에는 손님(예를 들어, 학부모 등)으로 접속시키거나 접속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단계 310의 검사를 통해 단계 300을 통해 수신한 접속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즉, 학생이 선택한 학급의 홈페이지)를 저장 장치에서 검색하여 학생의 단말기(210)로 전송한다(단계 320). 단계 320을 통해 학생의 단말기(210)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대화방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320과 관련하여 다시 한번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한국 초등학교 1학년 1반'에 재학 중인 '홍길동', '심청이'가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앙 서버(230)에 접속하고, 동일한 시기에 '삼국 초등학교 1학년 1반'에 재학 중인 '변학도', '흥부'가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앙 서버(230)에 접속하였다고 한다.
'홍길동', '심청이', '변학도' 및 '흥부'라는 복수의 학생이 동시에 중앙 서버(230)에 접속하였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학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코드를 통해 이미 중앙 서버(230)는 '한국 초등학교 1학년 1반'에 '홍길동'과 '심청이'가 재학 중이고, '삼국 초등학교 1학년 1반'에 '변학도'와 '흥부'가 재학 중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230)는 상술한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학생을 학급별로 구분한다.
만일, '홍길동', '심청이', '변학도' 및 '흥부'라는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 단계 320을 통해 전송되는 해당 콘텐츠(즉, 학생이 선택한 학급의 홈페이지)의 양식(format)은 동일하더라도, 학생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학생 목록에는 동일한 학급에 속한 학생만 출력되며(예를 들어, '홍길동'과 '심청이', '변학도'와 '흥부'), 동일한 시기에 접속하고 같은 양식의 콘텐츠를 제공받는 학생일지라도 다른 학급의 학생들과 혼재되어 출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학급에 적용되는 홈페이지 양식을 하나만 제작하더라도, 상술한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학급에 독립적인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320 이후의 단계로서, 학생이 가상 학급에 접속하여 수행하는 동작은 이후 순서도와 화면 표시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중앙 서버는 학생 단말기로부터 대화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420에서 단계 410을 통해 수신한 대화 정보가 특정 학생에게만 제공되어져야 하는 '귓속말' 정보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단계 420의 검사 결과로 귓속말 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해당 학생을 검색한다. 단계 430에서 해당 학생을 검색하는 방법은 데이터 코드를 바탕으로 대화 정보를 입력한 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학생 중에서 대화 정보를 입력한 학생이 선택한 학생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단계 420에서 귓속말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동일한 영역 내에 포함되어진 복수의 학생의 단말기 화면상에 대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단계 440으로 진행하여, 현재 동일한 영역 내에 포함되어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복수의 학생 목록을 검색한다.
단계 430 내지 단계 440을 통해 해당 학생을 검색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학교 및 복수의 학급에 포함된 복수의 학생들의 대화 정보를 중앙 서버에서 통합 수신하더라도 적절한 학급 홈페이지에 해당 대화 정보가 출력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중앙 서버는 단계 410을 통해 수신한 대화 정보를 단계 430 내지 단계 440에서 검색된 학생에게 해당 대화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한 단계로 구현되는 채팅 서비스 뿐 아니라 학생 및 선생님이 가상 학급에 접속하여 수행하는 복수의 동작은 이후 화면 표시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위한 초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을 위한 초기 화면은 공지 사항 영역, 참여 학생 목록, 대화창 영역, 설문 조사 영역, 선택 영역 등을 포함한다.
공지 사항 영역은 선생님이 입력한 정보(예를 들어, 리포트 공지, 행사 공지, 등)를 출력하는 영역이며, 참여 학생 목록은 통신망과 결합된 학생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가상 학급에 접속한 학생 또는 선생님의 목록을 출력하는 영역이다.
대화창 영역은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상 학급에 접속한 학생 또는 선생님간에 주고받는 대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대화창 영역 하단의 '청소' 아이콘을 선택하면 대화창 영역에 출력된 대화 정보가 삭제된다.
대화창 영역에 출력되는 대화 명은 가상 학급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식별자(ID) 정보이며, 식별자 정보는 선생님이 입력하게 된다.
식별자 정보는 학생이나 선생님의 이름을 기준으로 적용되며, 학생의 이름 앞에는 숫자(예를 들어, 학급의 개인 번호)를 부여하고, 선생님의 이름 앞에는 문자를 부여하여 상호간에 구분이 가능하도록 적용한다. 따라서, 학생이 동명 이인인 경우에도 학교 정보, 학년 정보, 학급 정보, 식별자(ID) 정보를 바탕으로 상호간에 구분이 가능하며, 선생님의 경우에는 기본 분류 코드에 의해 구분되어진다.
선택 영역은 형성 평가 항목, 학급 신문 항목, 자료실 항목, 방명록 항목, 선생님 방 항목 등을 포함하며,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생님 방 항목의 세부 구성을 표시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의 전반적인 이해가 용이하도록 선생님 방의 세부 구성을 우선 설명하기로 하며, 선생님 방 항목은 선생님만이 이용할 수 있는 항목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상에는 설문 조사 작성 항목(도 6 참조), 공지 사항 작성 항목(도 7 참조), 형성 평가 출제 항목(도 8 내지 도 9 참조), 형성 평가 리스트 항목(도 10 내지 도 12 참조), 학생 계정 관리 항목, 담임 정보 등록 항목, 교무실 항목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학생 계정 관리 항목 및 담임 정보 등록 항목을 통해 선생님은 학급 구성원의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교무실 항목은 중앙 서버가 학교까지의 데이터 코드가 같은 선생님들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한 특정 양식(form)을 이용하기 위한 항목이다.
또한, 상기 교무실 항목은 데이터 코드의 동일성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동일 지역(예를 들어, 경기도, 등)에 위치하거나, 전국적인 규모로서 제공되는 선생님들의 모임의 장으로 적용하거나 상기 교무실 항목과 별도의 단체(예를 들어, 사이버 교사 총 연합회)와 연동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문 조사 작성 양식은 설문 제목 항목, 설문 내용 항목, 설문 문항 수 항목 등을 포함하며, 도시된 양식에 특정 설문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설문 조사 영역(도 4 참조)에 해당 설문 정보가 출력되어 학급 학생들이 해당 설문에 참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지 사항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지 사항 작성을 위한 양식은 제목 항목, 내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 만일 선생님이 특정 공지 사항을 도시된 양식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공지 사항 영역(도 1 참조)에 입력된 공지 사항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공지 사항 영역에 단지 공지 사항의 제목만을 출력하고, 학생이 해당 제목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 공지 사항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 평가 출제를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선생님이 형성 평가 문제를 출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평가를 위한 과목과 해당 과목을 위해 출제할 문제 수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아이콘을 선택하면, 단말기 화면상에 도 9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 화면상에 형성 평가 문제를 위한 제목 입력 항목, 질문 입력 항목, 보기의 수 선택 항목이 출력된다. 도 8을 통해 선택한 문제 수량 중에서 우선 1번 문제부터 제목과 질문을 입력한 후 질문에 대한 보기의 수를 입력한다. 입력된 과목, 총 문제의 수, 제목, 질문, 질문의 대한 보기 수, 학급 코드는 일정 영역(예를 들어, examintion_t테이블, 등)에 저장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문제의 제목, 질문, 보기의 수를 선택을 완료하고, '입력'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문제와 관련한 보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문제를 위한 보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상에는 보기 입력 항목(도 9를 참조하여 선택한 보기의 수량 만큼이다), 정답 입력 항목 등이 출력된다. 선생님은 화면상의 양식을 이용하여 질문의 대한 보기를 입력하고, 질문의 정답을 입력한다. 질문의 대한 질문 번호와 보기 번호, 보기 내용, 학급 코드 값은 일정 영역(예를 들어, examintions테이블, 등)에 저장된다.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입력한 총 문제의 수와 현재까지 입력 완료된 문제의 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9와 같은 화면을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하며, 화면상에 출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입력이 완료된 문제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 평가 리스트 항목을 선택한 경우의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만일 선생님이 특정 형성 평가 문제를 출제하고, 복수의 학생들이 해당 문제를 통해 학습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생님 단말기 화면상에는 현재까지 선생님이 출제한 복수의 형성 평가 문제와 현재까지 학습한 인원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만일 선생님이 출력된 복수의 과목 정보 중 '번호 2'의 '수학'을 선택한 경우에 도 11과 같은 화면 표시가 출력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 정보, 학생들의 오답율 정보 및 학급 평균 점수 정보가 함께 출력된다. 또한, 각각의 보기마다 학생들의 선택 빈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결과를 이용하여 선생님은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예측할 수 있고, 이후 강의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선생님이 출력된 복수의 학습 인원 정보 중 '번호 2의 수학' 항목 좌측에 표시된 '6명'을 선택한 경우에 도 12와 같은 화면 표시가 출력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선생님은 현재까지 '번호 2의 수학'을 학습한 복수의 학생들이 각각 획득한 점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학생들의 특정 문제를 통한 학습 결과를 수동으로 산출할 필요가 없이, 학생 각자의 학습 상황을 자동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이 형성 평가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복수의 선택 항목 중에서 형성 평가를 선택하고, 또한 복수의 형성 평가 문제 중에서 특정 형성 평가 문제를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 표시이다.
학생이 형성 평가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학생의 화면상에는 복수의 형성 평가 문제 목록이 출력되며, 학생 본인이 해당 문제를 학습했는지 여부와 관련한 정보도 출력된다. 따라서 만일 학생이 학습한 문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학습 결과가 출력되고, 또한 만일 학생이 학습하지 않은 문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제가 출력되어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상에는 선생님이 출제한 형성 평가 문제(도 8 내지 도 9 참조)정보가 출력되고, 출력된 문제 형태는 학생이 해당 문제를 통해 적합한 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출력된 복수의 문제 해결을 완료한 학생은 하단의 '결과'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4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학생은 도 13을 참조하여 학습한 학습 결과를 자신의 점수, 학급 평균 점수,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학급 전체의 정답률과 자신의 정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4의 결과를 통해 스스로 부족한 부분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급 신문의 작성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학급 신문은 기존의 웹 상에서의 게시판과 유사한 기능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학급 신문은 학급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가는 신문으로 학급의 학생이면 누구나 쉽게 기사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유효한 식별자를 가지지 못하여 손님(예를 들어, 학부모, 등)으로 입장하는 경우에는 신문 내용은 볼 수 있으나, 글을 등록시키지 못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급 신문의 등록을 교사가 관리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중앙 서버는 특정 학생 단말기로부터 학급 신문(도 15 참조)에 등록을 위해 작성한 특정 정보에 대한 등록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520에서 중앙 서버는 저장 장치를 검색하여,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의 학생들이 학급 신문에 등록하기 위해 작성하는 특정 정보를 검수하겠는지 여부의 설정 정보의 유무를 검색한다. 만일, 단계 520의 검사 결과로 교사가 해당 정보의 검수를 위한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53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70으로 진행한다.
단계 530에서 중앙 서버는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학급 신문 등록 요청 정보를 해당 교사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 540에서 중앙 서버는 교사 단말기로부터 학급 신문에 해당 정보의 등록을 허가하겠다는 등록 허가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540의 검사 결과로 만일 등록 허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570으로 진행하여 해당 정보를 학급 신문에 저장하고, 또한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50으로 진행한다.
단계 550에서 중앙 서버는 저장 장치를 검색하여, 교사가 등록 허가 정보의 수신 대기 시간을 지정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550에서 적용되는 수신 대기 시간은 교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등록 허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의 한도를 의미한다. 만일 단계 550의 검사 결과로 교사가 수신 대기 시간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40으로 진행하여 등록 허가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며,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60으로 진행한다.
단계 560에서 중앙 서버는 교사가 지정한 등록 허가 정보의 수신 대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수신 대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570으로 진행하여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해당 정보를 학급 신문에 등록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40으로 진행하여 교사로부터 등록 허가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예를 들어, 만일 교사가 24시간을 수신 대기 시간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단계 510을 통해 수신된 해당 정보는 교사로부터 등록 허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한, 학급 신문에 등록되기 위하여 최대 24시간을 대기하여야 하며,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자동으로 학급 신문에 등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도가 바뀌어 교사가 학생들의 정보를 신규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학생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학급의 학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학생 정보 갱신 방법이 제공된다.
학생 정보 갱신 방법(첨부 도면 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관련해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특정 학교에서 적용되는 1999년의 학생 정보로서 '1학년 2반 성춘향', '1학년 1반 홍길동', '1학년 5반 홍길동' 등이 저장 장치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고, 2000년에는 상술한 '1학년 2반 성춘향', '1학년 1반 홍길동'만이 '2학년 1반'에 편입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에 '2학년 1반'을 담당하는 교사는 상술한 복수의 학생에 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식별자, 전화번호, 주소 등)를 신규로 등록할 필요가 없이, 학생 정보 등록 영역에서 단지 상술한 학생의 이름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선택하면 중앙 서버가 저장 장치를 검색하여 해당 학생의 상세 정보를 교사 단말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우선, 교사가 '성춘향'을 검색한 경우에는 해당 학생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교사 단말기 표시부에는 '99년 1학년 2반 성춘향 - 1인이 검색되었습니다. 해당 학생으로 등록을 원하시면, 등록 아이콘을 선택해 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고, 교사가 등록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학생의 상세 정보가 '2학년 1반 성춘향'의 상세 정보로 갱신된다.
또한, 교사가 '홍길동'을 검색한 경우에는 해당 학생이 복수의 수량으로 중복되므로, 교사 단말기 표시부에는 '99년 1학년 1반 홍길동, 1학년 5반 홍길동 - 2인이 검색되었습니다. 1학년 1반 홍길동이 맞으면 1번, 1학년 5반 홍길동이 맞으면 2번을 선택해 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고, 교사가 '1학년 1반 홍길동'이 맞으므로, 1번을 선택하면, '1학년 1반 홍길동'의 상세 정보가 '2학년 1반 홍길동'의 상세 정보로 갱신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학교 내에서 각각의 학급마다 독립된 영역을 제공하여 학급 구성원간의 지속적인 유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학교에서 각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경우에 동일한 형식의 홈페이지 양식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각각 독립된 홈페이지 구축이 가능하고, 복수의 학교간에도 효율적인 정보 교류가 가능하다.
또한, 홈페이지 내에서 학생들에게 학습과 연관되는 복수의 문제를 제공하고, 학생이 제공된 문제를 통해 학습하는 경우에 학생의 학습 결과와 관련한 성적 처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학급을 관리하는 복수의 선생님들이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토의와 협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사용자가 통신망과 결합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커뮤니티 공간의 접속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교 서버로 접속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교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상기 학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학교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중앙 서버로부터 접속 정보의 입력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작업 영역 내에 포함되는 제2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 서버로 접속한 사용자가 학교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중앙 서버로 접속된 이후에는, 상기 학교 서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접속 관계를 단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커뮤니티 접속 요청 방법.
  5.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방법.
  8.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교 서버로부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특정 데이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한 해당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작업 정보와 제2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허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는 연도 정보, 지역 정보, 학교 구분 정보, 학년 구분 정보, 학급 구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허용 방법.
  10. 가상 커뮤니티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름, 학번, 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갱신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정보 중 학번, 반, 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세 정보의 수량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세 정보와 관련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방법.
  12.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상 공동체를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학교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영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와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복수의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작업 정보를 해당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영역에 접속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프로세서;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수신한 복수의 작업 정보, 상기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축적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14.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정보와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제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한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시스템.
  15.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 커뮤니티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한 해당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작업 정보와 제2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허용 시스템.
  16. 가상 커뮤니티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름, 학번, 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수신한 갱신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세 정보 중 학번, 반, 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갱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세 정보의 수량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세 정보와 관련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시스템.
  18.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정보와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도록 미리 지정된 제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요청 정보의 중개 장치.
  19.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학교 서버로부터 특정 작업 영역의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특정 데이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한 해당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작업 정보와 제2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허용 장치.
  20.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름, 학번, 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갱신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정보 중 학번, 반, 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갱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세 정보의 수량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세 정보와 관련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 장치.
KR1020000036796A 2000-05-18 2000-06-30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796A KR20000054849A (ko) 2000-05-18 2000-06-30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20 2000-05-18
KR20000026720 2000-05-18
KR1020000036796A KR20000054849A (ko) 2000-05-18 2000-06-30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49A true KR20000054849A (ko) 2000-09-05

Family

ID=2663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796A KR20000054849A (ko) 2000-05-18 2000-06-30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8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91A (ko) * 2000-08-01 2002-02-08 진용 사이버 스쿨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0735A (ko) * 2002-05-21 2003-07-16 김형석 회원 소속학교와 타학교와의 경쟁,도전 및 교류를 통한우정강화 시스템.
KR100656150B1 (ko) * 2000-06-09 2006-12-12 안종선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552A (ja) * 1997-10-01 1999-04-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コミュニティ生成・活動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電子コミュニティ生成・活動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9990041257A (ko) * 1997-11-21 1999-06-15 이희원 인터넷을 이용한 학교 정보 통신망
KR20000037493A (ko) * 2000-04-28 2000-07-05 안병윤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KR20010008029A (ko) * 2000-06-09 2001-02-05 안종선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9163A (ko) * 1999-10-29 2001-05-15 손우종 사이버 모임 주관 및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552A (ja) * 1997-10-01 1999-04-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コミュニティ生成・活動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電子コミュニティ生成・活動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9990041257A (ko) * 1997-11-21 1999-06-15 이희원 인터넷을 이용한 학교 정보 통신망
KR20010039163A (ko) * 1999-10-29 2001-05-15 손우종 사이버 모임 주관 및 운영 방법
KR20000037493A (ko) * 2000-04-28 2000-07-05 안병윤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KR20010008029A (ko) * 2000-06-09 2001-02-05 안종선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50B1 (ko) * 2000-06-09 2006-12-12 안종선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1291A (ko) * 2000-08-01 2002-02-08 진용 사이버 스쿨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0735A (ko) * 2002-05-21 2003-07-16 김형석 회원 소속학교와 타학교와의 경쟁,도전 및 교류를 통한우정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readie et al. Trends in analyzing access to information. Part I: cross-disciplinary conceptualizations of access
US65050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school environment
US20130290211A1 (en) Method of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etween learning communities
CA2740289A1 (en) System for managing relationships with constituents on social networks using crm (constitu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s
KR20160052258A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KR20000054518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Glogof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virtual library: Leadership in times of change
KR20000054849A (ko)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TRAD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mobile learning acceptance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of Malaysia: Online based learning
KR102341379B1 (ko) 교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633410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Chang et al. An approach to assisting teachers in building physical and network hybrid community-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 Taiwanese experience
KR20000024232A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시스템과방법
KR20000024282A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시스템및방법
KR20000072523A (ko)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03277B1 (ko) 비 교과 융합 역량 강화 온라인 교육 시스템
JP2006276396A (ja) 教育システム及び教育管理装置
KR20090001445A (ko) 고객 만족도 조사 전용단말 장치
JP6492764B2 (ja) 議論支援プログラム、議論支援方法および議論支援装置
Martinelli et al. Concretization of Online Accredit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Digital Technology-Based Education Services in the New Normal Era
KR102398068B1 (ko) 온라인 강의 제공 기관 맞춤형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579959B1 (ko) 진로 탐색 독서 시스템 및 진로 탐색 독서 관리 서버
KR100603991B1 (ko) 온라인 프랜차이즈를 통한 전화언어학습 및 운영시스템과 그 회원관리시스템
KR20160081681A (ko) 협력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