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10B1 -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10B1
KR101633410B1 KR1020140152338A KR20140152338A KR101633410B1 KR 101633410 B1 KR101633410 B1 KR 101633410B1 KR 1020140152338 A KR1020140152338 A KR 1020140152338A KR 20140152338 A KR20140152338 A KR 20140152338A KR 101633410 B1 KR101633410 B1 KR 10163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channel
personnel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060A (ko
Inventor
박홍식
윤태수
채일진
최요셉
조덕용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업무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직접 거래를 유도하여 정보거래의 활성화의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육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Management method of an expandable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업무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직접 거래를 유도하여 정보거래의 활성화의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육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 및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고,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이어져 내려오는 오랜 시간 동안에 교육의 방법론적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가르침이라는 핵심적 요소는 절대적 맥락으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콘텐츠 개발 솔루션의 발전은 온라인 형태의 강의를 인터넷 또는 비디오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 방법론적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늘어가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79252호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인증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접속된 학습자가 수강목록에서 해당 강의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에게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동영상 학습부; 상기 동영상 학습을 마친 학습자에게 학습 평가(실력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 평가의 자동채점에 대응하여 오답 문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해설 아이콘을 생성하는 학습 관리부; 및 상기 학습자에 대한 정보, 수강목록에 대한 정보, 동영상 강의 정보, 문제 정보 및 해설 동영상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산업의 다변화에 따른 인재상이나 산업군 등의 연관정보 없이 교육기관에서 지정한 특정분야의 교육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특정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정보를 더 빠르고 체계적으로 얻고자 할 경우나 자기 수준에 맞는 과정을 찾고자 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1-0079252호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업무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팀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직접 거래를 유도하여 정보거래의 활성화의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교육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에의 접속 및 컨텐츠 정보의 운용을 인가받은 회원이 자신이 관리하게 되는 관리 인원을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DB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각 관리 인원 별로 인원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인원정보 채널이 상기 인원정보 DB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각 인원정보 채널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갖도록 하는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와; 상기 회원이 관리하게 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DB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컨텐츠 채널이 상기 컨텐츠 DB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컨텐츠 채널은 상기 컨텐츠 정보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각 컨텐츠 채널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갖도록 하는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와; 회원이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고, 컨텐츠 채널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는 컨텐츠 이용단계와; 회원이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인원정보를 검색하고, 인원정보 채널을 통해 인원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는 인원정보 이용단계와; 관리 인원을 인원정보 DB에 등록시킨 회원과 해당 관리 인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인원정보 채널이나 컨텐츠 채널을 활성화시킨 다음, 텍스트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인원정보 채널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에 등록하거나 업로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채널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에 등록하는 데이터 확장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에서 상기 인원정보 이용단계는 각 인원정보 채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 인원의 특성분석을 통해 인원정보를 이용하는 회원이 필요로 하는 인원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의하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업무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직접 거래를 유도하여 정보거래의 활성화의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육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 및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고,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가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회원 채널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채널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유료회원 서비스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거래회원 서비스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프로젝트의 생성, 등록, 저장, 관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DB와 컨텐츠 처리모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정보의 분할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통신연결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검색 서버와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와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서버, DB, 네트워크 기술, 컨텐츠의 온라인 이용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 컨텐츠 이용단계, 인원정보 이용단계, 데이터 확장생성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은 도 2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버(1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 위치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20)가 접속하게 되는 서버로서, 각종 컨텐츠 정보의 등록, 저장, 관리, 이용 등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서버(10)는 인원정보 DB(11), 인원정보 처리모듈(12), 컨텐츠 DB(13), 컨텐츠 처리모듈(14)을 구비한다.
인원정보 DB(11)는 인원정보의 누적적인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DB이다. 인원정보에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회원가입 절차를 거친 회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회원에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교육컨텐츠 이용자, 교육컨텐츠 관리자, 업무 컨텐츠 제공자, 업무 컨텐츠 이용자, 업무 컨텐츠 관리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원정보에는 회원이 아닌 비회원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인원정보 처리모듈(12)은 인원정보 DB(11)와 연동되어 인원정보의 관리와 공유 및 회원 간 인원정보의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컨텐츠 DB(13)는 교육컨텐츠, 업무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의 누적적인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DB이다.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에 연동되어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시킨다. 컨텐츠 정보가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된 사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인원정보도 이와 같은 형태로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서로 연동되는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인원정보 특성과 컨텐츠 정보 특성과 같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동패턴으로 조합시킬 수 있다. 즉 인원정보 특성에 따라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는데, 인원정보 특성에 맞추어 인원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하고, 각 인원에 연계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 중 해당 인원정보 특성에 관련되는 컨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해당 인원의 인원정보에 연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컨텐츠 정보 특성에 따라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는데, 컨텐츠 정보 특성에 맞추어 컨텐츠 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하고, 각 컨텐츠 정보에 연계되어 있는 인원정보 중 해당 컨텐츠 정보 특성에 관련되는 인원정보를 선택적으로 해당 컨텐츠 정보에 연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추가되어 누적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시계열 누적시켜 저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는 것으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의 등록, 관리, 공유를 위한 입력정보를 컨텐츠 서버(10)로 전달하게 되고, 컨텐츠 서버(10)로부터 공유 가능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 또는 비회원이 소지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는 일반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일반 이동통신기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먼저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과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는 컨텐츠 서버(10)에의 접속 및 컨텐츠 정보의 운용을 인가받은 회원이 자신이 관리하게 되는 관리 인원을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각 관리 인원 별로 인원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인원정보 채널(4)이 인원정보 DB(11)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관리 인원에는 회원뿐만 아니라 비회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원정보 채널(4)은 도 4에서와 같이 회원 채널(4)의 하위 채널로 생성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컨텐츠 채널(3)의 하위 채널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인원정보 채널(4)은 정보게시판(5)을 가질 수 있는데, 정보 게시판(5)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는 회원이 관리하게 되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컨텐츠 채널(3)이 컨텐츠 DB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채널(3)은 컨텐츠 정보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되도록 한다. 컨텐츠 채널(3)은 도 4에서와 같이 회원 채널(4)의 하위 채널로 생성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의 최 상위 채널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컨텐츠 채널(3)은 정보게시판(5)을 가질 수 있는데, 정보 게시판(5)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과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를 위하여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처리모듈(12)과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 별로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할당되도록 하는데, 컨텐츠 서버(10)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원채널 관리모듈(16)과 상태정보 관리모듈(17)을 구비하여 회원 별로 생성되는 회원 채널(2)을 관리하게 된다. 회원채널 관리모듈(16)은 회원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회원 채널(2)을 누적적으로 생성하고, 해당 회원 채널의 회원에게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회원 채널에서 누적적으로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 회원 채널(2) 내부에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이 추가적으로 생성되어 각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각각의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에 할당된다. 또한 회원 채널(2)은 각 컨텐츠 채널(3) 및 각 인원정보 채널(4) 별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게시판(5)을 포함하는데, 정보게시판(5)은 추가적인 생성이 가능하다. 각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에 포함되는 정보게시판(5)은 해당 회원 채널(2)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작성되는 텍스트 데이터, 해당 회원 채널(2)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업로드되는 업로드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컨텐츠 서버(10)의 상태정보 관리모듈(17)은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의 현재 상태정보가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또한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과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를 위하여 컨텐츠 서버(10)는 도 5에서와 같이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18)을 구비하는데,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18)은 컨텐츠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컨텐츠 채널(3)이 회원에 의해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컨텐츠 채널(3)에서 누적적으로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 컨텐츠 채널(3)은 하나 이상의 정보게시판(5)을 포함하는데, 정보게시판(5)은 추가적인 생성이 가능하다. 각 컨텐츠 채널에 포함되는 정보게시판(5)은 해당 컨텐츠 채널(3)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작성되는 텍스트 데이터, 해당 컨텐츠 채널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업로드되는 업로드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채널(3) 내부에 해당 컨텐츠 채널(3)과 관련된 인원정보가 등록, 저장되는 인원정보 채널(4)이 추가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이용단계는 회원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고, 컨텐츠 채널(3)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텐츠 이용단계는 컨텐츠의 유료 이용을 도모하여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는 컨텐츠 정보를 유료로 이용하게 되는 유료회원의 정보가 인원정보에 포함되도록 한다. 그리고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처리모듈(12)과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유료회원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필요시 인원정보도 유료회원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이용단계는 회원 간 컨텐츠 정보의 거래(판매와 구매)를 허용함으로써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는 컨텐츠 정보의 거래(판매와 구매)가 허용되는 정보거래회원의 정보가 인원정보에 포함되도록 한다. 그리고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처리모듈(12)과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정보거래회원 별로 설정된 컨텐츠 정보가 할당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0)는 정보거래회원 채널 관리모듈(15a)과 정보거래회원 거래 관리모듈(15b)를 구비하게 된다. 정보거래회원 채널 관리모듈(15a)은 정보거래회원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정보거래회원 채널(1)을 누적적으로 생성하고, 해당 정보거래회원 채널(1)의 정보거래회원에게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가 정보거래회원 채널(1)에서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하는 모듈이다. 정보거래회원 거래 관리모듈(15b)은 각 정보거래회원 채널(1)을 통한 컨텐츠 정보의 정보거래회원 간 직접 거래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모듈이다.
인원정보 이용단계는 회원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인원정보를 검색하고, 인원정보 채널(4)을 통해 인원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인원정보 이용단계는 각 인원정보 채널(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5),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5)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 인원의 특성분석을 통해 인원정보를 이용하는 회원이 필요로 하는 인원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서버(10)는 공개 선택되는 인원정보에 구직정보나 구인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기업의 채용과정과 회원의 취업활동에 도움을 줄수 있다. 구직정보에는 회원의 자기소개서,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인정보에는 업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는 도 8에서와 같이 인원정보에 기본 회원정보, 부가 회원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회원정보는 개인 회원의 성명, 주소, 연락처 및 업체 회원의 업체명,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고, 부가 회원정보는 개인 회원의 자기소개서, 롤모델,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 및 업체 회원의 업체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데이터 확장생성단계는 관리 인원을 인원정보 DB(11)에 등록시킨 회원이나 해당 관리 인원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인원정보 채널(4)이나 컨텐츠 채널(3)을 활성화시킨 다음, 텍스트 데이터를 작성하여 인원정보 채널(4)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5)에 등록하거나, 업로드 데이터를 컨텐츠 채널(3)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5)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 인원정보 처리모듈(12), 컨텐츠 DB(13), 컨텐츠 처리모듈(14)는 도 8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포인트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기관과 연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는 인원정보에 기본 회원정보, 부가 회원정보, 결제관련정보, 쇼핑관련정보, 메시지정보가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본 회원정보는 회원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되는 정보(업체 회원의 경우 업체명,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이고, 부가 회원정보는 회원의 자기소개서, 롤모델,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 등이 포함되는 정보(업체 회원일 경우 업체 정보가 포함)이며, 결제관련정보는 회원의 계좌정보, 회원에게 할당되는 포인트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쇼핑관련정보는 회원에 의해 주문 선택된 컨텐츠 정보, 회원에 의해 관심 선택된 컨텐츠 정보, 회원에 의해 구매 선택된 컨텐츠 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고, 메시지정보는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한 회원이 송수신하게 되는 송신메시지와 수신메시지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여 회원에 대한 포인트의 할당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육기관과 연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는 동영상, 이미지, 어셋데이터, 강의자료, 지적재산권, 연구발표자료, 연구논문자료 등이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DB(13)는 회원 별로 개설수업 목록와 수강 목록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DB(13)는 아카이브 자료DB(131)와 커뮤니티 자료DB(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카이브 자료DB(131)는 분야별 롤모델의 인터뷰 자료, 직무의 기반이 되는 세부전공분야별로 습득해야 하는 탑스킬 관련자료, 분야별 인재상이 갖추어야 되는 교육 관련자료 등이 등록 및 저장되는 DB이고, 커뮤니티 자료DB(132)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되는 DB이다.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가 수행되는 모듈이다. 특히 교육기관과 연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에 의해 수업이 개설되도록 하는 수업개설 서브모듈(141), 회원에 의해 개설된 수업의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수업관리 서브모듈(142), 회원에 의해 선택되는 수업이 수강되도록 하는 수강 서브모듈(143),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서브모듈(14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이 접속하여 정보 공유를 수행하게 되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DB(13)에 포함된 동영상, 이미지, 어셋데이터, 강의자료, 지적재산권, 연구발표자료, 연구논문자료나, 컨텐츠 처리모듈에 의해 개설된 개설수업 목록 등이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 중에서 상용 컨텐츠로 선택되는 것을 유료로 제공하거나, 회원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도 9에서와 같이 컨텐츠 처리모듈(14)을 통해 개인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 그룹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DB(13)에 개인 프로젝트 정보와 그룹 프로젝트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서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되는 컨텐츠 정보에 동영상, 동영상과 연관된 자료의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가능한 자료 정보게시판(5a), 동영상과 연관된 질의응답이 가능한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을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동영상은 설정된 기준시간 이하의 재생시간을 가지도록 분할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유닛(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동영상 유닛(6) 별로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이 할당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동영상 유닛(6),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이 하나의 세트(set)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유닛(6),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의 다수 세트가 단일한 컨텐츠 정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컨텐츠 정보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11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가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데, 컨텐츠 서버(10)가 컨텐츠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실시간 전송(streaming)하면서 N스크린(N screen) 기능도 제공하여 다종(多種)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a, 20b...20n)에서 컨텐츠 정보가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12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연동되어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30)를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 포함시켜 컨텐츠 정보의 확장적 공유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는 검색서버(40)를 구비하여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에 등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통신 인프라가 안정되게 구축되어 있는 장소나 지역의 경우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 간 연결이 인터넷과 인트라넷 모두를 통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장소나 지역의 경우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 간 연결이 인트라넷을 통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이 외부의 관리자에 의해 컨텐츠가 컨텐츠 서버(10)에 등록 및 저장되는 구조일 경우, 통신 인프라가 안정되게 구축되어 있는 장소나 지역에서는 컨텐츠 등록 및 저장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언제라도 가능하게 되나,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장소나 지역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설정시간에 한정하여 컨텐츠 서버(110)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한 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등록과 저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10)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업무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10)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5)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직접 거래를 유도하여 정보거래의 활성화의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육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정보거래회원 채널 2 : 회원 채널
3 : 컨텐츠 채널 4 : 인원정보 채널
5 : 정보게시판 5a : 자료 정보게시판
5b: 질의응답 정보게시판 6 : 동영상 유닛
10 : 컨텐츠 서버 11 : 인원정보 DB
12 : 인원정보 처리모듈 13 : 컨텐츠 DB
131 : 아카이브 자료DB 132 : 커뮤니티 자료DB
14 : 컨텐츠 처리모듈 141 : 수업개설 서브모듈
142 : 수업관리 서브모듈 143 : 수강 서브모듈
144 : 검색 서브모듈 15a : 정보거래회원 채널 관리모듈
15b : 정보거래회원 거래 관리모듈 16 : 회원채널 관리모듈
17 : 상태정보 관리모듈 18 :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
20, 20a, 20b, 20n : 클라이언트 단말기
30 :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 40 : 검색 서버
100 :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

Claims (2)

  1. 컨텐츠 서버에의 접속 및 컨텐츠 정보의 운용을 인가받은 회원이 자신이 관리하게 되는 관리 인원을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DB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각 관리 인원 별로 인원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인원정보 채널이 상기 인원정보 DB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관리 인원에는 회원과 비회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인원정보 채널은 회원 채널의 하위 채널과 컨텐츠 채널의 하위 채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이고, 각 인원정보 채널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갖도록 하는 인원정보 채널 생성단계와;
    상기 회원이 관리하게 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DB에 누적적으로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컨텐츠 채널이 상기 컨텐츠 DB에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컨텐츠 채널은 회원 채널의 하위 채널과 컨텐츠 채널의 최 상위 채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채널은 상기 컨텐츠 정보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각 컨텐츠 채널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갖도록 하는 컨텐츠 채널 생성단계와;
    회원이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고, 컨텐츠 채널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며, 회원이 상기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처리모듈을 통해 개인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 그룹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DB에 개인 프로젝트 정보와 그룹 프로젝트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으며, 회원 간 컨텐츠 정보의 판매와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DB에 컨텐츠 정보를 유료로 이용하게 되는 유료회원의 정보가 인원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처리모듈과 컨텐츠 처리모듈이 유료회원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동시에 필요시 인원정보도 유료회원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DB에 컨텐츠 정보의 판매와 구매가 허용되는 정보거래회원의 정보가 인원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처리모듈과 컨텐츠 처리모듈이 정보거래회원 별로 설정된 컨텐츠 정보가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정보거래회원 채널 관리모듈과 정보거래회원 거래 관리모듈이 구비되어 정보거래회원 채널 관리모듈을 통해 정보거래회원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정보거래회원 채널이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해당 정보거래회원 채널의 정보거래회원에게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가 정보거래회원 채널에서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하며, 정보거래회원 거래 관리모듈을 통해 각 정보거래회원 채널을 통한 컨텐츠 정보의 정보거래회원 간 직접 거래가 관리되고 운용되도록 하는 컨텐츠 이용단계와;
    회원이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인원정보를 검색하고, 인원정보 채널을 통해 인원정보를 확인, 이용하게 되며, 각 인원정보 채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 하나 이상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 인원의 특성분석을 통해 인원정보를 이용하는 회원이 필요로 하는 인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의 인원정보 DB에 누적적으로 등록되는 공개 선택된 인원정보에 구직정보나 구인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기업의 채용과정과 회원의 취업활동에 이용되도록 하되, 구직정보에는 회원의 자기소개서,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이 포함되고, 구인정보에는 업체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며, 개인 회원의 성명, 주소, 연락처 및 업체 회원의 업체명, 주소, 연락처가 포함되는 기본 회원정보, 개인 회원의 자기소개서, 롤모델,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 및 업체 회원의 업체정보가 포함되는 부가 회원정보가 인원정보에 포함되도록 하는 인원정보 이용단계와;
    관리 인원을 인원정보 DB에 등록시킨 회원과 해당 관리 인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인원정보 채널이나 컨텐츠 채널을 활성화시킨 다음, 텍스트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인원정보 채널의 텍스트 데이터 정보게시판에 등록하거나 업로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채널의 업로드 데이터 정보게시판에 등록하는 데이터 확장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2. 삭제
KR1020140152338A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63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38A KR101633410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38A KR101633410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060A KR20160066060A (ko) 2016-06-10
KR101633410B1 true KR101633410B1 (ko) 2016-06-24

Family

ID=5619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338A KR101633410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14A (ko) * 2019-05-31 2020-12-09 황재동 일정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5663B (zh) * 2019-10-18 2021-09-17 冯丽 一种用于法学艺术教育的教学装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88B1 (ko) * 2005-11-14 2006-03-10 이동희 온라인을 통한 개인 프로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858B1 (ko) * 2005-07-29 2006-08-28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 거래중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252A (ko)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58B1 (ko) * 2005-07-29 2006-08-28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 거래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0557488B1 (ko) * 2005-11-14 2006-03-10 이동희 온라인을 통한 개인 프로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14A (ko) * 2019-05-31 2020-12-09 황재동 일정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06707B1 (ko) * 2019-05-31 2021-09-30 황재동 일정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060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suf Al-Aama Technology knowledge management (TKM) taxonomy: using technology to manage knowledge in a Saudi municipality
KR101637905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Bertot et al. Public libraries and the Internet: Roles,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Kim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library makerspaces research
Essel et al. Adopting a Logic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Processes And Outcomes of KNUSTSpace on Research, Learning and Teaching: A Case of Empirical Research Output by Academic Staffs and Students
Fazeli et al. Towards a social trust-aware recommender for teachers
Sułkowski et al. Internet of things-new paradigm of learning. Challenges for business
KR101734508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
KR101633410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Scovotti et al. From Web 2.0 to Web 3.0: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courses
KR101686218B1 (ko) 기술이슈 상호소통 플랫폼 및 교육 플랫폼으로 확장가능한 온라인 기반 sns형 롤모델 운용시스템
Sudrajat et al. Innovation of entrepreneurship learning with business model canvas game
KR102226720B1 (ko) 멀티콘텐츠 유통관리용 확장형 온라인 범용 플랫폼 시스템
KR20220074048A (ko)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Public Library Association 2020 Public library technology survey: summary report
Augustyniak et al. The IP's guide to the galaxy of portal planning: Part I–drafting a portal vision
Barbosa et al.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 Reference Architecture for Developing Learning Environments.
Bedard et al. Library information technology collaborations at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Pima Challenges fac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anzania in using portals
Siricharoen User persona roles in the end-user web developing approach
Mietzner et al. Role and impact of maker spaces in universities third mission: The ViNN: Lab case
KR101643650B1 (ko) 공용서버 링크형 컨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시스템
Vidal et al. Next Practices: An Executive Guide for Education Decision Makers
Goumopoulos et al. An approach to advance STEM education practices based on IoT technologies and the CoPs paradigm
Bri et al. Analysis and comparative of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