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048A -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048A
KR20220074048A KR1020200162102A KR20200162102A KR20220074048A KR 20220074048 A KR20220074048 A KR 20220074048A KR 1020200162102 A KR1020200162102 A KR 1020200162102A KR 20200162102 A KR20200162102 A KR 20200162102A KR 20220074048 A KR20220074048 A KR 2022007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user
information
self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제은
Original Assignee
차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제은 filed Critical 차제은
Priority to KR102020016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048A/ko
Publication of KR2022007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개설된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강좌의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강좌의 수강 여부, 수강할 상기 강좌의 강좌명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들의 강좌 수강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강좌의 등록 또는 상기 물품의 제공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이다.

Description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SELF-IMPROVEMENT AND COMMUNITY}
본 발명은 취미 또는 재능을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공유된 취미나 재능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통신망의 발달로 인터넷 사용 인구가 증가하며 특히 대다수의 인구가 온라인으로 상시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공유와 지식의 습득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종 인터넷 사이트나 이메일(e-mail), 다양한 메신저 서비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인터넷 등 네트워크의 발달 및 보급에 의해, 온라인을 통해서도 사람 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이들 간 정보 공유가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 공유보다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다. 온라인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과 정보 공유, 지식 공유, 재능 공유는 지역적 제한이나 연령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보다 폭넓은 네트워크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2893호는, 강의자의 단말기로부터 강의자 개인정보 및 강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강의자 개인정보 및 강의정보를 분류하고,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학습자의 단말기로부터 강의정보 검색요청에 따른 요청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데이터를 분석하여 항목별로 해당 자료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요청이 통합검색 요청일 경우, 상기 검색된 강의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요청이 선별검색 요청일 경우, 상기 검색된 자료 중에서 학습자의 개인 정보에 적합한 강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강의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가 전송받은 강의정보를 출력하고, 학습자로부터 해당 강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받은 강의데이터 및 결제수단이 포함된 수강정보를 학습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으면, 해당 강의를 수강하기 위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정보데이터를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6-0102893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연령, 지역, 취미 등을 토대로 취미 공유, 재능 기부, 강좌 서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취미가 강좌 수강과 재능 기부로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준비물 등을 제공하는 기능까지 포함하며, 심사를 거쳐 튜티에게 튜터 자격을 부여하는 과정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재능 기부를 통한 사용자 간 친목을 도모하고 그룹을 형성하여 소통할 수 있는 편의 기능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에 비교적 익숙하지 않은 연령대의 사용자들도 온라인을 통한 강좌 서치와 커뮤니티 참여가 용이하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유상인 경우 일반 강좌, 무상인 경우 재능기부로 분류)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개설된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강좌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강좌의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강좌의 수강 여부, 수강할 상기 강좌의 강좌명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들의 강좌 수강을 등록하는 강좌 연결 지원부;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 및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에 의한 상기 강좌의 등록 또는 상기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에 의한 상기 물품의 제공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좌의 수강을 등록함에 따라 납부할 상기 강좌의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수강할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를 통해 등록된 상기 강좌에 대해 지불받은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를 통해 요청된 상기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상기 물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강좌를 등록하면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물품을 취합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하고, 상기 온라인 주문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중에서 상기 강좌를 개설한 하나 이상의 튜터를 포함하는 튜터 리스트와, 상기 튜터의 강좌를 수강하는 하나 이상의 튜티를 포함하는 튜티 리스트을 관리하며, 상기 튜티 중에서 상기 튜터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튜티에게는 자격 심사를 통해 튜터 자격을 부여하고 상기 튜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튜터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상기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추가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개설된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강좌의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강좌의 수강 여부, 수강할 상기 강좌의 강좌명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들의 강좌 수강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강좌의 등록 또는 상기 물품의 제공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강좌의 수강을 등록함에 따라 납부할 상기 강좌의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수강할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등록된 상기 강좌에 대해 지불받은 상기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기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상기 물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강좌를 `등록하면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물품을 취합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하고, 상기 온라인 주문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중에서 상기 강좌를 개설한 하나 이상의 튜터를 포함하는 튜터 리스트와, 상기 튜터의 강좌를 수강하는 하나 이상의 튜티를 포함하는 튜티 리스트을 관리하며, 상기 튜티 중에서 상기 튜터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튜티에게는 자격 심사를 통해 튜터 자격을 부여하고 상기 튜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상기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령, 지역, 취미 등을 토대로 취미 공유, 재능 기부, 강좌 서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미가 강좌 수강과 재능 기부로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준비물 등을 제공하는 기능까지 포함하며, 심사를 거쳐 튜티에게 튜터 자격을 부여하는 과정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능 기부를 통한 사용자 간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편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에 비교적 익숙하지 않은 연령대의 사용자들도 온라인을 통한 강좌 서치와 참여가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시스템(100)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은 제1 사용자 그룹, 제2 사용자 그룹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그룹은 강좌를 개설하거나 재능 기부를 하는 튜터 그룹, 제2 사용자 그룹은 튜터가 개설한 강좌를 수강하거나 재능 기부를 받는 튜티 그룹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되거나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친목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제1 사용자 그룹, 즉 튜터 그룹에 속한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그룹, 즉 튜티 그룹에 속한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친목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친목 그룹에는 튜터 그룹에 속한 사용자와 튜티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튜티만으로 구성된 친목 그룹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튜터끼리 친목 그룹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친목 그룹을 통해 폴더나 서버를 공유하고 웹페이지나 대화방 등을 통해 취미나 재능 활동의 결과물을 공유하며 이에 대해 댓글이나 대화 메시지, 게시글 등을 통해서 소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제1 사용자의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제2 사용자의 단말, 제3 사용자 단말(120c)은 제3 사용자의 단말, 제4 사용자 단말(120d)은 제4 사용자의 단말로 각각 대응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는 튜티 또는 튜터 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강좌에 튜티 또는 튜터로서 참여할 수 있다. 여기서 강좌는 취미나 자기계발 등을 위한 유/무상, 1회성 또는 다회성 수업일 수 있으며, 특히 무상으로 진행되는 강좌는 튜터의 재능 기부로 지칭될 수 있다. 예컨대 지역 문화 센터나 복지 센터 등에서 개설되는 다양한 수업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가 정보를 제공하는 강좌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사용자들 중 튜터가 소규모로 튜티를 모집하여 진행하는 수업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좌에 해당될 수 있다.
강좌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강좌의 경우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해 장소 대관 또는 장소 알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강좌의 경우 튜터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서버를 통해 강의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튜티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의 경우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해당 강좌로의 접근 경로(예컨대 url 주소 등)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강좌 정보 제공 이후 강좌 수강 시에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서버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구성원, 즉 튜터 또는 튜티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튜터 그룹과 튜티 그룹을 나누어서 관리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참여하는 강좌별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20)과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보다 구체적인 기능과 구성부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 강좌 정보 관리부(220), 강좌 연결 지원부(230),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 결제 처리부(250), 추가 정보 입력부(260), 튜터 리스트 관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좌 정보 제공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미도시)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메모리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사용자 별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나 수강 신청 시, 또는 그 이후에도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연령대나 성별, 직업 등에 대한 정보, 거주하는 지역, 특기나 취미 또는 관심사, 배우고 싶은 분야,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 원하는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지출할 수 있는 금액대 등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를 저장하고 이후 변동 사항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회원 탈퇴 시 정보 삭제 등을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정확한 연령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출생년도를 인증하거나, 사용자의 정확한 거주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지역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강좌 정보 관리부(220)는 주로 튜터와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강좌 정보 관리부(22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강좌가 유상으로 진행된다면 일반 강좌로 분류되며, 무상으로 진행되는 강좌의 경우 재능 기부로 따로 분류하여 지칭할 수 있다. 강좌 정보 관리부(220)는 사용자 중 튜터에 해당되는 사용자가 개설 예정에 있거나, 튜티가 모집된다면 개설하고 싶은 강좌 또는 이미 개설한 강좌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강좌 정보 관리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개설된 강좌에 한정하지 않고, 온라인 상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강좌들에 대한 정보를 검색 등을 통해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강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강좌 정보 관리부(220)는 인터넷 상에 다른 정보와 혼재된 채로 유통되는 강좌나 재능 기부 등에 대한 정보를 따로 수집하고 취합하여 일괄적으로 저장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강좌 정보 제공부(220)는 강좌 정보에 대한 검색 능력이 떨어지는 계층, 특히 연령대가 높은 시니어 계층이 본인들이 필요로 하는 강좌의 개설에 대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강좌 정보 제공부(220)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강좌들은 예컨대 주변의 공공 또는 사설 교육기관, 대학교, 백화점 문화센터나 지역 문화센터, 복지 센터 등에서 개설되는 강좌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강좌에 대한 정보를 강좌 정보 제공부(220)가 한 곳에 모아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에 근거하여 적합한 추천 강좌 목록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튜터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강좌 정보를 입력받는 외에 이러한 다양한 강좌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강좌 정보 제공부(220)는 프로그램 또는 인공 지능 등으로 강좌 정보를 자동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부터 강좌 정보를 선별 또는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강좌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는 또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관리자가 검색하여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에 강좌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에 자발적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사용자 별 추천 강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먼저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가 수집한 사용자 정보와 강좌 정보 제공부(220)가 수집한 강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강좌를 선택하여, 선택된 강좌들을 포함하는 강좌 추천 목록 생성하거나 강좌 정보들을 특정 순서에 따라 정렬(sorting)할 수 있다.
예컨대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특정 사용자의 거주 지역과 연령대 그리고 관심사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개설된 강좌 중 해당 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되는 강좌들을 추린 후 해당 강좌들을 모아 해당 사용자를 위한 강좌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강좌 정보에 대한 선별없이 사용자에게 모든 강좌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예컨대 해당 사용자의 거주지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강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의 관심사와 연령대 등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순서에 따라 강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50대 이상의 중년층 또는 노년층인 경우,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해당 연령대에 적합한 강좌나 튜터, 취미활동, 재능기부, 친목 커뮤니티 등을 추천할 수 있다. 특히 50대 이상의 중년층과 노년층은 인터넷 검색 능력이 20대나 30대에 비하여 미흡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연령대의 사용자는 검색 능력이나 스킬의 부족으로 인해 본인에게 맞는 강사나 강좌, 커뮤니티 등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강좌 연결 지원부(230)가 적합한 강좌 등을 추천하여 목록을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 사용에 취약한 연령대의 사용자도 도움되는 정보로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또한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수강할 강좌를 선택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강좌를 실제로 수강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신호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수강할 강좌나 참여할 재능 기부의 강좌명 또는 모임명 등 해당 강좌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또는 강좌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강좌의 수강을 신청하는 수강 신청서를 전자 문서를 통해 제출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강좌 연결 지원부(230)를 통한 수강 신청 또는 수강 등록, 또는 강좌 선택 신호의 입력을 통해 강좌의 수강 여부를 확정하고 수강할 강좌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강좌 연결 지원부(230)는 프리랜서 강사들을 튜티들과 연결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프리랜서 강사들로부터 강사 정보와 강좌 정보를 미리 입력받으면, 프리랜서 강사의 정보와 튜티들의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프리랜서 강사의 경력이나 프로필을 제공하고 해당 강사가 개설하는 강좌로 연결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타 강사의 경우 강좌 개설 시 사용자들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강사의 활동 사실을 알릴 수 있으며, 스타 강사의 특화된 수업이 있는 경우 이러한 강좌의 개설이 가능하고, 튜티 모집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아이디나 전화번호, 이메일, 초대 코드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를 특정 강좌에 초대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강좌 수강을 위한 튜티 그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초대를 통해 강좌의 수강생을 모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강좌 수강이 확정되면, 해당 사용자가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알려주거나, 물품을 키트화하여 제공해 주거나, 해당 물품들의 인터넷 주문을 대행해 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는 해당 사용자가 수강하기로 한 강좌 정보에 따라, 해당 강좌의 수강 시 필요한 물품들을 미리 구비했다가 해당 물품을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강좌가 확정되면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는 우선 해당 강좌를 수강하는 데에 필요한 물품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물품들의 재고를 확보한 상태에서 리스트에 상응하는 서플라이 키트를 구성하고, 해당 서플라이 키트를 직접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등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는 해당 물품의 재고를 직접 구비하지 않고, 해당 물품의 구매를 위한 온라인 주문을 대행해 줄 수도 있다. 예컨대 강좌가 확정되면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는 우선 해당 강좌를 수강하는 데에 필요한 물품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들을 온라인으로 주문하여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의 물품의 온라인 주문 과정에서 최저가 검색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로부터 유상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된 비용을 지불받아 결제를 처리한다. 먼저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가 강좌 연결 지원부(230)를 통해 강좌를 등록하거나 또는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로부터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받거나 주문한 경우,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해당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다.
결제 처리부(250)가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를 통해 요청된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물품을 키트화하여 튜티에게 제공하는데, 예컨대 구비된 키트에 대한 발송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물품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강좌를 등록하면,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240)와 결제 처리부(250)는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물품을 모두 취합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일괄적으로 온라인 주문하고, 온라인 주문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은 강좌별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50)의 비용 결제 방법은 각종 전자화폐나 실시간 계좌 입금, 핸드폰 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250)는 강좌 연결 지원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강좌의 수강을 등록하면, 이에 따라 납부할 해당 강좌의 수강료를 사용자 즉 튜티로부터 지불받을 수 있다. 튜티로부터 입금되거나 결제된 수강료는 이후 튜터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결제 처리부(250)는 해당 강좌를 개설한 사용자가 강좌 연결 지원부(230)를 통해 등록된 강좌에 대해 수강료를 지불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을 수 있다. 튜터가 강좌 연결 지원부(230)를 통해 튜티를 모집하고 수강료를 받게 되었으므로 튜티에게 해당 강좌를 추천하거나 소개한 것에 대한 댓가로 수수료를 징수한다.
또한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가 대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대관료를 결제할 수 있다. 강좌의 진행을 위해 공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대관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해 대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대관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 처리부(250)를 통해 지불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입력부(260)는 사용자가 강좌 수강이나 취미활동 등에 따른 결과물을 업로드하여 게시, 공유하거나 강좌에 대한 후기글, 소감글, 추천글 등을 작성하거나 기타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강좌의 수강이나 본인의 취미활동과 관련된 정지 영상이나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입력부(26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나 강좌 정보 이외에도 사용자 개개인의 활동의 결과물과 같은 부가적인 데이터 파일이나 강좌 수강 관련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공유,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입력부(260)는 강좌별로 별도의 게시판이나 공유 폴더를 생성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그룹, 즉 앞서 설명한 친목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친목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끼리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음성파일 등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간 강좌나 본인 활동의 결과물 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폴더 공유 서비스,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나 대화방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들의 친목 그룹은 반드시 동일한 강좌를 통해서만 형성되는 그룹은 아니며, 재능이나 취미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그룹이다. 그룹에 참여할지 여부 역시 사용자가 강좌의 수강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튜터 리스트 관리부(270)는 사용자들 중에서 강좌를 개설한 하나 이상의 튜터를 포함하는 튜터 리스트와, 튜터의 강좌를 수강하는 하나 이상의 튜티를 포함하는 튜티 리스트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튜터는 일정 자격을 갖춘 사용자들로만 선별하여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는데, 튜터 리스트 관리부(270)는 튜티 중에서 상기 튜터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튜티에게는 자격 심사를 통해 튜터 자격을 부여하고 튜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처음부터 자격 검증을 통해 튜터로만 활동하는 사용자는 물론이고, 튜티로 활동하다가 튜터의 자격을 중도에 취득한 사용자 역시 튜터로 등록될 수 있다. 다만 튜터 그룹에 포함되기 위해 튜티는 일정 자격 심사를 거친 후 일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한하여 튜터로 인정되어 튜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튜터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해 관련 강좌를 일정 시간 이상 수강할 것,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해 재능 기부에 일정 시간 이상 참여할 것,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가 미리 지정한 커리큘럼을 수료할 것, 관련 분야의 공인된 자격증을 취득하고 이에 대한 증명 서류를 업로드 할 것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관심사, 연령대, 거주 지역, 원하는 강좌의 내용, 분야, 가격대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변동 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하고, 사용자에게 정확도가 보장된 추천 강좌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되는 강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강좌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320). 강좌 정보는 강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고, 다양한 문화/교육기관이나 영리 또는 비영리 단체 등에 의해 개설된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강좌들에 대한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검색 기능에 의해 검색 결과로서 수집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해 수집 및 입력된 정보일 수도 있다.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이후 사용자의 접속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강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특히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강좌 추천을 제공할 수도 있다(S330). 이 경우 사용자는 본인의 연령대나 관심사, 거주지, 예산, 선호하는 튜터 등에 부합하는 강좌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수강할 강좌를 선택하여 강좌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S340)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사용자에게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들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좌 수강을 위해 필요한 물품들 즉 준비물을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경우, 서플라이 키트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350).
사용자가 복수의 강좌를 수강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강좌 각각에 대해 필요한 서플라이 키트를 모두 신청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플라이 키트를 강좌 별로 구분하여 일괄적으로 신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서플라이 키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서플라이 키트를 요청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해당 사용자가 서플라이 키트를 요청한 강좌 정보를 확인하여, 서플라이 키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60). 서플라이 키트의 제공 방법은 다양하게 예시될 수 있는데, 예컨대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들을 키트화하여 미리 제작한 서플라이 키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발송하거나,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들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해당 리스트에 상응하는 물품들을 온라인으로 주문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강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튜터로부터 강좌 정보를 입력받는다(S410).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입력된 강좌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강좌를 개설할 수 있다. 그리고 튜터는 해당 강좌의 샘플 영상을 제작하여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에 업로드할 수 있다.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업로드 된 샘플 영상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S420).
개설된 강좌를 수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수강 등록을 하면 해당 강좌의 튜티가 확정된다(S430). 그리고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해당 강좌가 유상 강좌인 경우, 튜티로부터 강좌 수강료와 서플라이 키트의 제공 비용 등을 지불받을 수 있다(S440).
해당 강좌를 수강하기로 확정한 튜티들로부터 수강료가 지불되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수강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튜터에게 전달할 수 있다(S450). 그리고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를 통한 강좌 수강 등록건에 대해서 튜터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을 수 있다(S460).
이후, 개설된 강좌가 개시되고, 강좌의 개시 시점에 맞추어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110)는 해당 강좌를 수강하는 사용자 즉 튜티들 중 서플라이 키트를 신청한 튜티들에게 서플라이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S4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도 있고,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그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근거리에 거주하는 이웃들을 취미나 관심사를 중심으로 만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친목 도모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역문화센터와 같은 오프라인 기반의 커뮤니티에 한정되어 있던 강좌를 온라인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샘플 영상과 같은 맛보기 수업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강좌 선택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에 따르면, 튜티로 활동하던 사용자도 일정 자격 요건을 갖추는 경우 튜터로 등록되게 함으로써 동기를 부여하고 재능 기부나 평생 교육의 선순환에 기여하게 수 있으며, 서플라이 키트 제공이나 대관료, 수강료, 수수료 결제를 통해 수익 창출의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통해, 온라인 활동에 익숙치 않은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재능 기부를 활성화함으로써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사장되기 아까운 기술이나 재능, 노하우들을 발굴하여 지역 사회에 확산시키고 자기계발의 기회를 고루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시스템
110: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120: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유상인 경우 일반 강좌, 무상인 경우 재능기부로 분류)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개설된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강좌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강좌의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강좌의 수강 여부, 수강할 상기 강좌의 강좌명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들의 강좌 수강을 등록하는 강좌 연결 지원부;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 및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에 의한 상기 강좌의 등록 또는 상기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에 의한 상기 물품의 제공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좌의 수강을 등록함에 따라 납부할 상기 강좌의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수강할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강좌 연결 지원부를 통해 등록된 상기 강좌에 대해 지불받은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서플라이 키트 제공부를 통해 요청된 상기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상기 물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강좌를 등록하면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물품을 취합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하고, 상기 온라인 주문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중에서 상기 강좌를 개설한 하나 이상의 튜터를 포함하는 튜터 리스트와, 상기 튜터의 강좌를 수강하는 하나 이상의 튜티를 포함하는 튜티 리스트을 관리하며, 상기 튜티 중에서 상기 튜터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튜티에게는 자격 심사를 통해 튜터 자격을 부여하고 상기 튜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튜터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상기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추가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상기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는 다른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친목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9.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연령, 거주지역, 취미, 관심사, 원하는 강좌의 희망 가격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개설된 강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강좌의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강좌의 수강 여부, 수강할 상기 강좌의 강좌명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들의 강좌 수강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구비해야 할 물품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강좌의 등록 또는 상기 물품의 제공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강좌의 수강을 등록함에 따라 납부할 상기 강좌의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수강할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등록된 상기 강좌에 대해 지불받은 상기 수강료를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강좌를 개설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기 강좌의 수강에 필요한 상기 물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을 지불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강좌를 등록하면 상기 강좌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물품을 취합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하고, 상기 온라인 주문에 따른 비용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중에서 상기 강좌를 개설한 하나 이상의 튜터를 포함하는 튜터 리스트와, 상기 튜터의 강좌를 수강하는 하나 이상의 튜티를 포함하는 튜티 리스트을 관리하며, 상기 튜티 중에서 상기 튜터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튜티에게는 자격 심사를 통해 튜터 자격을 부여하고 상기 튜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상기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강좌의 수강과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상기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는 다른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친목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방법.
KR1020200162102A 2020-11-27 2020-11-27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KR20220074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2A KR20220074048A (ko) 2020-11-27 2020-11-27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2A KR20220074048A (ko) 2020-11-27 2020-11-27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48A true KR20220074048A (ko) 2022-06-03

Family

ID=8198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102A KR20220074048A (ko) 2020-11-27 2020-11-27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0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247B1 (ko) 2023-12-13 2024-04-29 이혜원 커리어 진단 및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93A (ko) 2005-03-25 2006-09-28 정성엽 온라인상에서의 강의 정보 제공 및 그에 따른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93A (ko) 2005-03-25 2006-09-28 정성엽 온라인상에서의 강의 정보 제공 및 그에 따른 결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247B1 (ko) 2023-12-13 2024-04-29 이혜원 커리어 진단 및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The roles of social media in tourists’ choices of travel components
US20230061225A1 (en) Interne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ee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via structured feedback loop
Etter et al. Activists in the dark: Social media algorithms and collective action in two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lt et al. Location-based crowdsourcing: extending crowdsourcing to the real world
Bateman et al. Research note—the impact of community commitment on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Walton et al. Public access, private mobile: The interplay of shared access and the mobile Internet for teenagers in Cape Town
Roblek et al. Complexity of a sharing economy for tourism and hospitality
US20130290211A1 (en) Method of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etween learning communities
Nordling Public policy’s role and capability in fostering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A case of ecosystem-based policy in Finland
US20230252540A1 (en) User applications store and connecting, registering, following with and synchronizing or accessing user data of user applications from/to parent application and other user applications
Salem et al. The voice of travelers: leverag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tourism development 2018
Agarwal et al. How can professional associations continue to stay relevant? Knowledge management to the rescue
KR102271723B1 (ko) 독서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mith Strategies for E-Commerce Adoption in a Travel Agency
Sarkar a mission to converge for inclusion? The smart city and the women of Seelampur
Gomez et al. Lending a visible hand: An analysis of infomediary behavior in Colombian public access computing venues
WO201212748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nitoring, tracking, updating, measuring and facilitate maintaining user status & state
KR20220074048A (ko) 자기계발 및 커뮤니티 장치 및 방법
Giménez et al. City library network knowledge management for social cohesion: The case of Santa Coloma de Gramenet, Barcelona, Spain
Kumar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ourists’ perceived benefits of Facebook contents of the State tourism departments
Zakakis et al. Museum promotion and cultural salience: the agenda of the Athenian Acropolis Museum
Althaus et al. What price culture?–a taxonomy of the admission pricing policy at museums
Eggenschwiler et al. Retailing in the metaverse: A framework of managerial considerations for success
Fatima Does it matter to have rapport and social interaction on a group tour?
Bassett TripAdvisor as a ‘geo-pastoral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