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258A -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258A
KR20160052258A KR1020140152333A KR20140152333A KR20160052258A KR 20160052258 A KR20160052258 A KR 20160052258A KR 1020140152333 A KR1020140152333 A KR 1020140152333A KR 20140152333 A KR20140152333 A KR 20140152333A KR 20160052258 A KR20160052258 A KR 2016005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contents
information
channe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905B1 (ko
Inventor
박홍식
윤태수
채일진
최요셉
조덕용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9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Management method of online education service using an expandable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 및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고,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이어져 내려오는 오랜 시간 동안에 교육의 방법론적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가르침이라는 핵심적 요소는 절대적 맥락으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콘텐츠 개발 솔루션의 발전은 온라인 형태의 강의를 인터넷 또는 비디오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 방법론적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늘어가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79252호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인증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접속된 학습자가 수강목록에서 해당 강의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에게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동영상 학습부; 상기 동영상 학습을 마친 학습자에게 학습 평가(실력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 평가의 자동채점에 대응하여 오답 문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해설 아이콘을 생성하는 학습 관리부; 및 상기 학습자에 대한 정보, 수강목록에 대한 정보, 동영상 강의 정보, 문제 정보 및 해설 동영상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산업의 다변화에 따른 인재상이나 산업군 등의 연관정보 없이 교육기관에서 지정한 특정분야의 교육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특정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정보를 더 빠르고 체계적으로 얻고자 할 경우나 자기 수준에 맞는 과정을 찾고자 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1-0079252호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팀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수업을 개설하되, 수업 개설시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수업소개 메뉴, 교육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수강 메뉴,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에 의해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수업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고,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소개 메뉴에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를 등록하는 수업개설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을 검색하고, 필요시 수업에 대한 수강을 신청하는 수강신청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에 설정기간 단위로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는 수업자료 등록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강신청한 수업의 수강수강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기간 단위의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학습하는 수업 수강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업의 수업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수업 게시판 이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강신청단계에서 교육컨텐츠 이용자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의 과거 이력을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에 대응하는 과거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와 수업게시판 메뉴에 누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상기 수업개설단계는 개설된 수업을 수강신청한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등록, 저장되는 수강 인원정보 메뉴가 해당 수업 채널의 하위 메뉴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강신청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신청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에 해당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자동등록되도록 하되,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를 통해 수강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수강관리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팀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를 개설하되, 프로젝트 개설시 프로젝트 관리정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등록되도록 하고, 프로젝트 진행율이 관리되는 프로젝트 진행율 메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관리되는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 메뉴,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가 등록, 저장, 관리되는 작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프로젝트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개설단계와; 프로젝트 참여인원이 프로젝트 채널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를 등록하고, 프로젝트 참여인원에 포함된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 진행율과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젝트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상기 프로젝트 개설단계에서 프로젝트 채널은 회원 채널과 연동되어 회원 채널로부터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회원 채널은 프로젝트 채널과 연동되어 해당 프로젝트 채널에 등록된 해당 회원의 자료가 링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교육컨텐츠 관리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수업 이외의 특별 교육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되,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등록시 특별 교육컨텐츠 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소개 메뉴, 특별 교육컨텐츠 동영상 자료가 등록되는 동영상 메뉴, 교육컨텐츠 관련 질의응답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는 특별 교육컨텐츠 개설단계와; 특별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특별 교육컨텐츠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이용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은 분야별 롤모델의 인터뷰 동영상을 제공하는 롤모델 유닛, 직무의 기반이 되는 세부전공분야별로 습득해야 하는 탑스킬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탑스킬 유닛, 분야별 인재상이 갖추어야 되는 교육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인재상 유닛으로 구분되어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 회원 채널, 수업 채널은 서로 연동되어 서로 링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상기 회원 채널,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및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의 하위메뉴는 라이브러리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 의하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 및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고,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가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회원 채널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회원 채널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업개설 단계를 통한 수업개설 화면창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업개설 단계에서 생성되는 수업소개 메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업개설 단계에서 생성되는 수업수강 메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업개설 단계에서 생성되는 수업게시판 메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업개설 단계에서 생성되는 수강 인원정보 메뉴의 예시도;
도 11은 교육컨텐츠 제공자 수강관리단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의 프로젝트 개설/수행 단계의 블록도;
도 13은 내지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개설단계와 프로젝트 수행 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의 예시도;
도 17은 특별 교육컨텐츠의 개설과 이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의 블록도;
도 18은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통해 개설되고 이용되는 특별 교육컨텐츠의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회원 채널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채널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5는 프로젝트의 생성, 등록, 저장, 관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DB와 컨텐츠 처리모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정보의 분할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통신연결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검색 서버와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와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서버, DB, 네트워크 기술, 컨텐츠의 온라인 이용, 교육컨텐츠 온라인 제공시스템/방법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 수업개설 단계, 수강신청단계, 수업자료 등록단계, 수업 수강단계, 수업 게시판 이용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버(1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 위치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20)가 접속하게 되는 서버로서, 각종 컨텐츠 정보의 등록, 저장, 관리, 이용 등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서버(10)는 인원정보 DB(11), 인원정보 처리모듈(12), 컨텐츠 DB(13), 컨텐츠 처리모듈(14)을 구비한다.
인원정보 DB(11)는 인원정보의 누적적인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DB이다. 인원정보에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회원가입 절차를 거친 회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회원에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교육컨텐츠 이용자, 교육컨텐츠 관리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원정보에는 회원이 아닌 비회원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인원정보 처리모듈(12)은 인원정보 DB(11)와 연동되어 인원정보의 관리와 공유 및 회원 간 인원정보의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컨텐츠 DB(13)는 교육컨텐츠, 업무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의 누적적인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는 DB이다.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에 연동되어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시킨다. 컨텐츠 정보가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된 사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인원정보도 이와 같은 형태로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서로 연동되는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인원정보 특성과 컨텐츠 정보 특성과 같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동패턴으로 조합시킬 수 있다. 즉 인원정보 특성에 따라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는데, 인원정보 특성에 맞추어 인원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하고, 각 인원에 연계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 중 해당 인원정보 특성에 관련되는 컨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해당 인원의 인원정보에 연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컨텐츠 정보 특성에 따라 개별 인원정보와 개별 컨텐츠 정보를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는데, 컨텐츠 정보 특성에 맞추어 컨텐츠 정보를 분류 및 계열화하고, 각 컨텐츠 정보에 연계되어 있는 인원정보 중 해당 컨텐츠 정보 특성에 관련되는 인원정보를 선택적으로 해당 컨텐츠 정보에 연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와 컨텐츠 DB(13)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추가되어 누적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시계열 누적시켜 저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는 것으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의 등록, 관리, 공유를 위한 입력정보를 컨텐츠 서버(10)로 전달하게 되고, 컨텐츠 서버(10)로부터 공유 가능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 또는 비회원이 소지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는 일반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일반 이동통신기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먼저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는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도 4에서와 같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교육컨텐츠 제공자는 교사, 교수, 강사, 직장의 관리자 등이 될 수 있으며, 일반인, 직장인, 학생도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도 있다.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도 5에서와 같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교육컨텐츠 이용자는 학생, 수강생, 일반인, 직장인 등이 될 수 있다.
수업개설단계는 도 6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수업을 개설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수업개설단계는 도 7에서와 같이 수업 개설시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수업소개 메뉴, 도 8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수강 메뉴, 도 9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에 의해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수업 채널이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수업개설단계에서 교육컨텐츠 제공자는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소개 메뉴에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를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수업개설단계는 도 10에서와 같이 개설된 수업을 수강신청한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등록, 저장되는 수강 인원정보 메뉴가 해당 수업 채널의 하위 메뉴로 생성되도록 한다.
수강신청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을 검색하고, 필요시 수업에 대한 수강을 신청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수강신청단계에서 교육컨텐츠 이용자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의 과거 이력을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에 대응하는 과거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와 수업게시판 메뉴에 누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강신청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신청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에 해당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자동등록되도록 한다.
수업자료 등록단계는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에 설정기간 단위로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수업 수강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강신청한 수업의 수강수강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기간 단위의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학습하는 단계이다.
수업 게시판 이용단계는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업의 수업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11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제공자 수강관리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데, 교육컨텐츠 제공자 수강관리단계는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를 통해 수강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12에서와 같이 프로젝트 개설단계, 프로젝트 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개설단계는 교육컨텐츠 제공자나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도 13에서와 같이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팀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를 개설하는 단계이다. 프로젝트 개설단계는 프로젝트 개설시 프로젝트 관리정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등록되도록 하고, 도 14에서와 같이 프로젝트 진행율이 관리되는 프로젝트 진행율 메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관리되는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 메뉴, 도 15에서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가 등록, 저장, 관리되는 작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프로젝트 채널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개설단계에서 프로젝트 채널은 회원 채널과 연동되어 도 16에서와 같이 회원 채널로부터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회원 채널은 프로젝트 채널과 연동되어 해당 프로젝트 채널에 등록된 해당 회원의 자료가 링크되도록 한다.
프로젝트 수행단계는 프로젝트 참여인원이 프로젝트 채널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를 등록하고, 프로젝트 참여인원에 포함된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 진행율과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17에서와 같이 특별 교육컨텐츠 개설단계,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이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 교육컨텐츠 개설단계는 교육컨텐츠 관리자가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여 도 18에서와 같이 수업 이외의 특별 교육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0)에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특별 교육컨텐츠 개설단계는 특별 교육컨텐츠 등록시 도 19에서와 같이 특별 교육컨텐츠 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소개 메뉴, 도 20에서와 같이 특별 교육컨텐츠 동영상 자료가 등록되는 동영상 메뉴, 도 21에서와 같이 교육컨텐츠 관련 질의응답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은 분야별 롤모델의 인터뷰 동영상을 제공하는 롤모델 유닛, 직무의 기반이 되는 세부전공분야별로 습득해야 하는 탑스킬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탑스킬 유닛, 분야별 인재상이 갖추어야 되는 교육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인재상 유닛으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다.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이용단계는 특별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특별 교육컨텐츠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 회원 채널, 수업 채널은 서로 연동되어 서로 링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에서 회원 채널,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및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의 하위메뉴는 라이브러리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처리모듈(12)과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 별로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할당되도록 하는데, 컨텐츠 서버(10)는 도 22에서와 같이 회원채널 관리모듈(16)과 상태정보 관리모듈(17)을 구비하여 회원 별로 생성되는 회원 채널(2)을 관리하게 된다. 회원채널 관리모듈(16)은 회원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회원 채널(2)을 누적적으로 생성하고, 해당 회원 채널의 회원에게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회원 채널에서 누적적으로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 회원 채널(2) 내부에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이 추가적으로 생성되어 각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가 각각의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에 할당된다. 또한 회원 채널(2)은 각 컨텐츠 채널(3) 및 각 인원정보 채널(4) 별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게시판(5)을 포함하는데, 정보게시판(5)은 추가적인 생성이 가능하다. 각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채널(3)과 인원정보 채널(4)에 포함되는 정보게시판(5)은 해당 회원 채널(2)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작성되는 텍스트 데이터, 해당 회원 채널(2)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업로드되는 업로드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컨텐츠 서버(10)의 상태정보 관리모듈(17)은 회원 채널(2)에 설정된 컨텐츠 정보와 인원정보의 현재 상태정보가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0)는 도 23에서와 같이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18)을 구비하는데,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18)은 컨텐츠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운용되는 컨텐츠 채널(3)이 회원에 의해 누적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컨텐츠 채널(3)에서 누적적으로 등록, 저장, 관리 및 운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 컨텐츠 채널(3)은 하나 이상의 정보게시판(5)을 포함하는데, 정보게시판(5)은 추가적인 생성이 가능하다. 각 컨텐츠 채널에 포함되는 정보게시판(5)은 해당 컨텐츠 채널(3)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작성되는 텍스트 데이터, 해당 컨텐츠 채널에 접속한 인원에 의해 업로드되는 업로드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채널(3) 내부에 해당 컨텐츠 채널(3)과 관련된 인원정보가 등록, 저장되는 인원정보 채널(4)이 추가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 인원정보 처리모듈(12), 컨텐츠 DB(13), 컨텐츠 처리모듈(14)는 도 24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포인트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인원정보 DB(11)는 인원정보에 기본 회원정보, 부가 회원정보, 결제관련정보, 쇼핑관련정보, 메시지정보가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본 회원정보는 회원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되는 정보(업체 회원의 경우 업체명,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이고, 부가 회원정보는 회원의 자기소개서, 롤모델, 개인 역량, 전공, 학습분야, 작품 포트폴리오, 개인 플랜 등이 포함되는 정보(업체 회원일 경우 업체 정보가 포함)이며, 결제관련정보는 회원의 계좌정보, 회원에게 할당되는 포인트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쇼핑관련정보는 회원에 의해 주문 선택된 컨텐츠 정보, 회원에 의해 관심 선택된 컨텐츠 정보, 회원에 의해 구매 선택된 컨텐츠 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고, 메시지정보는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한 회원이 송수신하게 되는 송신메시지와 수신메시지 등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여 회원에 대한 포인트의 할당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는 동영상, 이미지, 어셋데이터, 강의자료, 지적재산권, 연구발표자료, 연구논문자료 등이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의 등록과 저장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DB(13)는 회원 별로 개설수업 목록와 수강 목록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DB(13)는 아카이브 자료DB(131)와 커뮤니티 자료DB(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카이브 자료DB(131)는 분야별 롤모델의 인터뷰 자료, 직무의 기반이 되는 세부전공분야별로 습득해야 하는 탑스킬 관련자료, 분야별 인재상이 갖추어야 되는 교육 관련자료 등이 등록 및 저장되는 DB이고, 커뮤니티 자료DB(132)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되는 DB이다.
컨텐츠 처리모듈(14)은 컨텐츠 정보의 관리와 컨텐츠 정보의 회원 간 공유를 위한 정보처리가 수행되는 모듈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에 의해 수업이 개설되도록 하는 수업개설 서브모듈(141), 회원에 의해 개설된 수업의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수업관리 서브모듈(142), 회원에 의해 선택되는 수업이 수강되도록 하는 수강 서브모듈(143),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서브모듈(14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모듈(14)은 회원이 접속하여 정보 공유를 수행하게 되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DB(13)에 포함된 동영상, 이미지, 어셋데이터, 강의자료, 지적재산권, 연구발표자료, 연구논문자료나, 컨텐츠 처리모듈에 의해 개설된 개설수업 목록 등이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 중에서 상용 컨텐츠로 선택되는 것을 유료로 제공하거나, 회원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도 25에서와 같이 컨텐츠 처리모듈(14)을 통해 개인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 그룹 프로젝트의 생성과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DB(13)에 개인 프로젝트 정보와 그룹 프로젝트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서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되는 컨텐츠 정보에 동영상, 동영상과 연관된 자료의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가능한 자료 정보게시판(5a), 동영상과 연관된 질의응답이 가능한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을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동영상은 설정된 기준시간 이하의 재생시간을 가지도록 분할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유닛(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동영상 유닛(6) 별로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이 할당되어 도 26에서와 같이 동영상 유닛(6),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이 하나의 세트(set)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유닛(6), 자료 정보게시판(5a), 질의응답 정보게시판(5b)의 다수 세트가 단일한 컨텐츠 정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컨텐츠 정보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분류 및 계열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27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가 인터넷, 인트라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데, 컨텐츠 서버(10)가 컨텐츠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실시간 전송(streaming)하면서 N스크린(N screen) 기능도 제공하여 다종(多種)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a, 20b...20n)에서 컨텐츠 정보가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도 28에서와 같이 컨텐츠 서버(10)와 연동되어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30)를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에 포함시켜 컨텐츠 정보의 확장적 공유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10)에 접속하는 검색서버(40)를 구비하여 컨텐츠 서버(10)의 컨텐츠 DB(13)에 등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통신 인프라가 안정되게 구축되어 있는 장소나 지역의 경우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 간 연결이 인터넷과 인트라넷 모두를 통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장소나 지역의 경우 컨텐츠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 간 연결이 인트라넷을 통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100)이 외부의 관리자에 의해 컨텐츠가 컨텐츠 서버(10)에 등록 및 저장되는 구조일 경우, 통신 인프라가 안정되게 구축되어 있는 장소나 지역에서는 컨텐츠 등록 및 저장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언제라도 가능하게 되나,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장소나 지역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설정시간에 한정하여 컨텐츠 서버(110)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한 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등록과 저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 구축되는 컨텐츠 서버(10)에 다양한 회원 클라이언트(교사, 교수, 기타 교육자, 기업인, 학생, 직장인, 일반인 등)가 접속하여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서버(10)에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계층적으로 정렬된 트리구조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한편, 라이브러리 형태의 채널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중층적으로 링크되어 인원정보와 컨텐츠 정보의 검색, 관리, 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인원정보나 컨텐츠 정보 별로 정보게시판(5)이 할당되어 부가적인 각종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교육컨텐츠의 제공, 이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교육컨텐츠의 이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이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팀작업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온라인 상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정보거래회원 채널 2 : 회원 채널
3 : 컨텐츠 채널 4 : 인원정보 채널
5 : 정보게시판 5a : 자료 정보게시판
5b: 질의응답 정보게시판 6 : 동영상 유닛
10 : 컨텐츠 서버 11 : 인원정보 DB
12 : 인원정보 처리모듈 13 : 컨텐츠 DB
14 : 컨텐츠 처리모듈 16 : 회원채널 관리모듈
17 : 상태정보 관리모듈 18 : 컨텐츠 채널 관리모듈
20, 20a, 20b, 20n : 클라이언트 단말기
30 : 외부 컨텐츠 공유서버 40 : 검색 서버
100 :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

Claims (8)

  1.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의 회원 채널을 생성시키는 교육컨텐츠 이용자 회원 채널 생성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수업을 개설하되, 수업 개설시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수업소개 메뉴, 교육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수강 메뉴,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에 의해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수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수업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고,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소개 메뉴에 수업소개용 텍스트 데이터를 등록하는 수업개설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을 검색하고, 필요시 수업에 대한 수강을 신청하는 수강신청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에 설정기간 단위로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는 수업자료 등록단계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강신청한 수업의 수강수강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기간 단위의 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 텍스트 자료를 학습하는 수업 수강단계와;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수업의 수업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수업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수업 게시판 이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강신청단계에서 교육컨텐츠 이용자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의 과거 이력을 현재 개설되어 있는 수업에 대응하는 과거 수업의 수업수강 메뉴와 수업게시판 메뉴에 누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개설단계는 개설된 수업을 수강신청한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등록, 저장되는 수강 인원정보 메뉴가 해당 수업 채널의 하위 메뉴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강신청단계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신청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에 해당 교육컨텐츠 이용자의 인원정보가 자동등록되도록 하되,
    교육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개설한 수업의 하위 메뉴인 수강 인원정보 메뉴를 통해 수강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교육컨텐츠 제공자 수강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교육컨텐츠 제공자와 교육컨텐츠 이용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자신의 회원 채널을 통해 팀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를 개설하되, 프로젝트 개설시 프로젝트 관리정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등록되도록 하고, 프로젝트 진행율이 관리되는 프로젝트 진행율 메뉴,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가 관리되는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 메뉴,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가 등록, 저장, 관리되는 작업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프로젝트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개설단계와;
    프로젝트 참여인원이 프로젝트 채널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관련정보를 등록하고, 프로젝트 참여인원에 포함된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 진행율과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젝트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개설단계에서 프로젝트 채널은 회원 채널과 연동되어 회원 채널로부터 프로젝트 참여인원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회원 채널은 프로젝트 채널과 연동되어 해당 프로젝트 채널에 등록된 해당 회원의 자료가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교육컨텐츠 관리자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수업 이외의 특별 교육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누적적으로 등록시키되,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등록시 특별 교육컨텐츠 소개용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소개 메뉴, 특별 교육컨텐츠 동영상 자료가 등록되는 동영상 메뉴, 교육컨텐츠 관련 질의응답 텍스트 자료가 등록되는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갖는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이 생성되도록 하는 특별 교육컨텐츠 개설단계와;
    특별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교육컨텐츠 이용자가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메뉴를 선택하여 특별 교육컨텐츠 관련 텍스트 자료를 등록시키는 특별 교육컨텐츠 게시판 이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은 분야별 롤모델의 인터뷰 동영상을 제공하는 롤모델 유닛, 직무의 기반이 되는 세부전공분야별로 습득해야 하는 탑스킬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탑스킬 유닛, 분야별 인재상이 갖추어야 되는 교육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는 인재상 유닛으로 구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 회원 채널, 수업 채널은 서로 연동되어 서로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채널,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및 수업 채널, 프로젝트 채널, 특별 교육컨텐츠 채널의 하위메뉴는 라이브러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KR1020140152333A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KR10163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33A KR101637905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33A KR101637905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58A true KR20160052258A (ko) 2016-05-12
KR101637905B1 KR101637905B1 (ko) 2016-07-08

Family

ID=5602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333A KR101637905B1 (ko) 2014-11-04 2014-11-04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57A (ko) 2021-06-22 2022-12-29 장동혁 교육 컨텐츠 및 실시간 교육 제공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132A (ko) 2019-05-20 2019-06-14 정성용 지식공유서버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를 수행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 시스템 및 수행방법
KR102252981B1 (ko) * 2019-08-30 2021-05-1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플랫폼 기반 강의컨텐츠 생성방법
KR20200037189A (ko) 2020-03-31 2020-04-08 정성용 지식공유서버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를 수행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 시스템 및 수행방법
KR20220049903A (ko) 2020-10-15 2022-04-22 배금진 비대면 강의-학습 중개 플랫폼 시스템
KR20210028625A (ko) 2021-03-03 2021-03-12 정성용 지식공유서버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를 수행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 시스템 및 수행방법
KR20230024765A (ko) 2021-08-12 2023-02-2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반영구 화장 양방향 실습 교육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2A (ko) * 2003-11-05 2005-05-11 박홍준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00014130A (ko) * 2008-08-01 2010-02-10 서봉현 영재교육을 위한 전자교육 시스템
KR20110079252A (ko)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6614A (ko) * 2012-12-28 2014-07-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트리트래킹 방식의 온라인 강의시스템 및 강의방법
KR20140093777A (ko) * 2013-01-15 2014-07-29 최종환 스포츠 클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2A (ko) * 2003-11-05 2005-05-11 박홍준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00014130A (ko) * 2008-08-01 2010-02-10 서봉현 영재교육을 위한 전자교육 시스템
KR20110079252A (ko)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온라인 강의를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6614A (ko) * 2012-12-28 2014-07-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트리트래킹 방식의 온라인 강의시스템 및 강의방법
KR20140093777A (ko) * 2013-01-15 2014-07-29 최종환 스포츠 클럽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57A (ko) 2021-06-22 2022-12-29 장동혁 교육 컨텐츠 및 실시간 교육 제공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905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05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Broisin et al. Lab4CE: a remote laboratory for computer education
Krotov Critical success factors in m-learning: A socio-technical perspective
Mtebe et al. Integrating ICT into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University of Dar es Salaam
Chung Relationship building in entrepreneurship liaison work: One business librarian's experience a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lemanne et al. The rural public library as leader in community broadband services
KR101734508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
KR101686218B1 (ko) 기술이슈 상호소통 플랫폼 및 교육 플랫폼으로 확장가능한 온라인 기반 sns형 롤모델 운용시스템
KR101633410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Khurana et al. Leveraging technology to buil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academic institutes
Azarov et al. Methods of creating an Electronic University
Gumienny et al. Tele-Board in use: applying a digital whiteboard system in different situations and setups
Moumoutzis et al. Coursevo: A Multimedia Online Learning Platform to Support Onlife Communities and its Extension with Gamification Facilities
Majeed Mobile Learning and education
Oliveira et al. Social network analytics i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with EduBridge social
Yaskin et al. Blackboard Learning System™(Release 6)
KR20160081681A (ko) 협력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Murillo et al. Experiences in volunteer dynamics,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for the purpose of deploying telemedicine solutions in remote areas in developing nations
Averill et al. An observatory of eLearning in Small Medium Enterprises (SMEs) in Europe-The Promise versus the Reality
Rodosthenous et al.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empowering Distance Education in the Open University of Cyprus
Banner et al. Choosing online collaborative tools
KR101643650B1 (ko) 공용서버 링크형 컨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시스템
KR20240029007A (ko) 사용자별 화이트보드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sekakubo Refactor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for multi-device use in developing countries
Gleasen The Future is E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