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493A -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493A
KR20000037493A KR1020000022793A KR20000022793A KR20000037493A KR 20000037493 A KR20000037493 A KR 20000037493A KR 1020000022793 A KR1020000022793 A KR 1020000022793A KR 20000022793 A KR20000022793 A KR 20000022793A KR 20000037493 A KR20000037493 A KR 2000003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database
virtual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윤
Original Assignee
안병윤
주식회사 인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윤, 주식회사 인버스 filed Critical 안병윤
Priority to KR102000002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493A/ko
Publication of KR2000003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정보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데이터 이동의 경로가 되는 공동망 및 상기 공동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현실 학교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갖는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가상 학교 내에 학생 및 교사가 현실 학교에서처럼 교내 및 교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Virtual school system using internet and method for educ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학교의 정규 교육 방식은 학생과 교사 모두가 학교에 출석한 상태에서, 교사가 정해진 교과 과정에 따라 학생을 가르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현재의 정규 교육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 및 학생 모두가 모일 수 있는 학교라는 장소가 있어야 하고, 교육시간도 주간에 맞춰야 하는 등,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이 따른다. 이러다 보니, 학교로부터 먼 곳에 거주하는 학생은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등교시간은 이르고, 하교시간은 늦어서, 상대적으로 학습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장거리 이동에 따른 육체적 피곤함 등으로 학습에 임했을 때의 학습 효과가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따른 부담은 교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즉, 교사는 정해진 교과 과정을 준비하여 수업시간에 학생들을 가르치고, 시험 등을 통해 가르친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평가해야 하며,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일 경우, 각 학생의 성격이나 취미, 가정 환경 등 세세한 분야까지 신경을 써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업무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이러다 보니, 교사의 교과 과정에 대한 준비가 소홀해 질 수 있고, 이것은 교육의 질 저하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학교 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과외가 성행하고 있고 학원에서 보충 학습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들어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원격 교육을 제공하는 사이트나 학원과 고액 과외의 대안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을 강의하는 사이트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사이트는 정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목의 일부를 가르치고, 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등 학교 교육의 기능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교 그 자체의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즉, 학교 교육은 학년 별로 반별로 학생의 학습 능력에 따라 교사의 지도하에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가 가능한 반면, 상기 사이트와 접속자 사이에는 학교의 교사와 학생과 같은 특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사이트들은 접속자에게 단순한 지식 전달 작용을 하는데 그치며, 학교와 같은 무형/유형의 울타리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현실의 학교와 동등한 교육 과정을 가상 공간에 구현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가상 학교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서버에 구축된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하부 데이터베이스로써 각 가상 학교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상 학교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방법 중에서 교사 및 학생이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특정 가상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상 학교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서버 110:공동망
100a:접속부 100b:인터페이스
100c:운영시스템 100d:학교 데이터베이스
100e: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100f:기타 데이터베이스
100g:기록매체
D1, D2, D3:A 내지 C학교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정보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데이터 이동의 경로가 되는 공동망 및 상기 공동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현실 학교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갖는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가상 학교 내에 학생 및 교사가 현실 학교에서처럼 교내 및 교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교사용, 학생용, 산학협력 업체용 단말기로써 상기 공동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또는 차량 장착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또는 휴대폰이다.
상기 서버 및 정보통신 단말기에 상기 인터넷과 접속되는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운용을 위한 운용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또, 상기 운용 시스템의 제어 하에 인터넷을 통해 전송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디스 플레이하기 위한 부속 설비가 내재되어 있다.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상 학교에 대한 홈페이지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홈페이지에는 해당 가상 학교의 현실 교과 과정과 동일한 교과 과정이 구축되어 있다.
또, 상기 각 학교의 홈페이지에는 해당 학교에 속하는 교사 관리 데이터 베이스, 학생 관리 데이터베이스, 교과목 관리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축되어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실 학교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갖는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가상 학교 내에 학생 및 교사가 현실 학교에서처럼 교내 및 교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server)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상 학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가상 학교에서 상기 현실 학교와 동일한 교내 및 교외활동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현실 학교와 동일한 학교 교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사 모두가 언제라도 서버에 접속가능 하여 시간적 제약이 없어지고, 모두가 재택 근무와 재택 수업이 가능하여 학생 및 교사의 거주지와 학교간의 공간적 거리에 따른 제약이 없어진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업무에 보다 충실할 수 있으며, 학생은 현실 학교에서 일회성으로 지나쳐버릴 수 있는 정규 교육 과정을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효과와 학습의 질이 모두 높아진다. 또, 서버에 구축된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거나 동아리 방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년별 반별 다양한 정보의 교류가 가능하여 자연스럽게 학교의 정보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서버를 나타내고, 110은 인터넷과 같은 공동망을 나타내며, 120, 130, 140은 모두 공동망(110)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데, 120 및 130은 학생이 사용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140은 교사가 사용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는 공동망(110)에 모두 세 개의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 140)가 연결되어 있으나, 더 많은 정보통신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다. 즉, 공동망(110)에는 학생이 사용하는 제3, 제4의 정보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교사가 사용하는 제2, 제3의 정보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 140)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것으로 공동망(110)을 통해 서버(100)와 데이터, 예컨대 문자, 그림, 음성, 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공동망(11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모든 문서를 검색하여 그 문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브라우저, 예컨대 익스플로러(explorer)나 네스케이프(netscape) 등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교사는 정보통신 단말기(140)를 사용하여 자신이 맡은 교과목에 대해서 강의할 내용을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서 서버(100)의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해 둘 수 있고, 학생은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를 사용하여 원하는 교과목의 교육 일정을 확인할 수 있고, 강의 내용을 듣거나 볼 수 있다.
서버(100)는 공동망(110)을 통해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 140)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으로써, 학교에 재학중인 총 학생의 30%가 동시에 접속하더라도 적절한 서비스와 서비스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 서버(100)에는 접속부(100a)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부(100a)에는 서버(100)를 공동망(110)에 연결되게 하는 모뎀이나 네트워크 어뎁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 입력되는 데이터를 서버(100)내의 해당 장치로 전송하거나 서버내에서 접속부(100a)로 전송시키는 인터페이스(100b)가 구비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00b)는 서버(100)에 구비된 운영 시스템(100c)에 연결되어 있다. 운영 시스템(100c)은 서버(100)를 구성하는 장치들을 각각 제어하여 서버(100)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또, 서버(100)에는 현실 학교에서 학생이나 교사 또는 접속 자격이 있는 자에게 미리 부여한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00e)가 구축되어 있고, 적어도 2개교 이상의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가 구축되어 있다. 또, 접속자가 서버(100)에 접속할 때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서버의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나 기타 부수적인 정보, 예컨대 운영자 관리 지침 등이 기록되어 있는 기타 데이터베이스(100f)가 구축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각 구성요소가 외부의 신호에 대해 특정한 작업을 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100g)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로부터 서버(100)에 구비된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에 기록된 특정 데이터를 보고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서버(100)는 이 신호를 수신하고, 학생이 접속이 허용된 자이면,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서 정보통신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즉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100g, 예; CD-ROM, HDD,...)가 서버에 구비되어 있다.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로 인해, 서버(100)는 해당 학교의 교사 및 학생 모두에게 현실 학교에서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에 현실 학교에서 실행되는 모든 과정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 데이터베이스(D1, D2, D3,...)가 구축되어 있다. 하부 데이터베이스(D1, D2, D3,...)는 각 학교의 데이터베이스를 모아 둔 것으로, 참조부호 D1, D2 및 D3는 각각 A학교, B학교 및 C학교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각 하부 데이터베이스(D1, D2,...)에는 해당 학교의 홈페이지가 기록되어 있고, 해당 학교의 교육 과정과 관련된 보다 세분화된 데이터베이스가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의 하부 데이터베이스로써, A 학교 데이터베이스(D1)를 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생이 몇 학년 몇 반인지 남성인지 여성인지 등이 기록되어 있는 학생 관리 데이터베이스(300)를 비롯해서, 학생이 수강 신청한 과목이 기록되어 있는 수강신청 데이터베이스(310),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출한 시험문제, 예컨대 모의고사나 중간고사 또는 기말고사 문제 등이 기록되어 있고, 학생이 치른 시험 문제 답지가 기록되어 있는 시험 문제 데이터베이스(320), 학생에게 부과할 과제 및 상기 과제에 대해 학생이 제출한 과제물이 체계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과제물 데이터베이스(330), 학교내에 갖추어진 각종 동아리를 기록해 놓은 동아리방 데이터베이스(340), 학생에게 가르쳐야할 과목이 무엇인지 과목별 담당 교사가 누구인지 등을 관리하기 위한 과목관리 데이터베이스(350), 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 관리를 위한 학생정보 데이터베이스(360), 질문과 응답 자료 데이터베이스(370), 학생들을 평가한 결과를 학년별 학급별 성별 등으로 평가한 것을 기록한 평가관리 데이터베이스(380), 학교에 재직중이거나 외부 협력자의 관리를 위한 교사관리 데이터베이스(390), 재학중의 학생 실습을 위한 산업체 또는 졸업후의 학생 취업을 위한 산업체 및 학교와 결연을 맺고 있는 산업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산학관련 데이터베이스(400), 졸업후의 진학자를 위한 상급 학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상급 학교 데이터베이스(410), 학생들에 대한 년간, 반기, 분기, 월별, 주간별 교육 일정이 기록되어 있는 교육일정관련 데이터베이스(410) 등이 구축되어 있다.
이외에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학생 및 교사의 교내/교외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성격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별로 접근에 제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학생정보 데이터베이스(360)나 평가관리 데이터베이스(380), 교사관리 데이터베이스(390) 등은 자료의 입력에서부터 그 관리까지 교사나 서버 운영자 또는 학교 운영자 등(이하, '교사 등'이라 한다)이 직접 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접근할 수 있는 자를 교사 등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수강신청 데이터베이스(310)나 질문과 응답 자료 데이터베이스(370), 산학관련 데이터베이스(400), 교육 일정 데이터베이스(410) 등은 학생의 수강 및 학습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므로, 학생 누구에게나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하더라도 비 회원인 경우, 즉 해당 학교의 학생도 아니면서 학교장 등에 의해 동등한 자격자로 인정되지 않은 자 등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양호한 관리를 위해 그 접근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접근 제한은 교사나 학생 등의 식별 정보, 예컨대 아이디(ID) 정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또는 교사 등에게만 접근이 허용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00)와 다른 별도의 서버에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공동망(110)에 연결되어 있는 산업체 서버(150)는 해당 학교와 협력관계에 있는 산업체의 서버로써, 학생은 산학 관련 데이터베이스(400)나 상기 산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졸업후의 진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상 학교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학교 교육은 교사와 학생 어느 한쪽에 의해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양자가 모두 참가하는 과정이며, 가상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오프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교사와 학생이 직접 마주할 수 없고, 양자에게 주어지는 시간적 공간적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조건도 교사나 학생에 따라 다들 수 있다. 즉, 교사는 가르치는 입장이고, 학생은 가르침을 받는 입장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이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과정과 그 안에서 활동하는 내용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가상 학교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교사의 입장과 학생의 입장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교사도 학생도 아닌 단순 접속자에게는 가상 학교가 어떠한 것인가를 알게 하는 수준에서 접근을 허용하고, 학교 생활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은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 접속자는 '게스트(guest)'로 처리하고 별도의 식별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학생이나 교사 모두에게는 이미 각자 등급에 맞는 식별정보가 주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먼저, 교사가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과정과 가상 학교에서의 활동을 살펴본다. 이때, 교사가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것은 여러 접근 목적이 있겠으나 설명의 편의 상, 자신이 가르칠 과목에 대해 수립된 교육 일정을 교육일정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와 함께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교사는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40)를 사용하여 공동망(110)에 접속한 다음, 서버(100)에 접속한다(500). 이에 대해, 서버(100)는 접속자에 대해 ID와 비밀번호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입력하게 한다. 이에 대해, 교사는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40)에 구비된 입력수단, 예컨대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식별정보를 서버에 입력한다(510). 교사의 식별정보가 정확한 것으로 판명이 되면, 서버(100)는 교사가 자신이 속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공동망(140)을 통해 교사의 정보통신 단말기(140)에 제공하고, 교사의 정보통신 단말기(140)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교사의 정보통신 단말기(140)의 화면에 교사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박스들(B1, B2, B3, ...)은 클릭함으로써 서버(100)의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에 기록되어 있는 각 학교를 화면상에 표시하게 하는 아이콘과 같은 역할을 하는 박스를 나타낸다. 교사는 자신이 속한 가상 학교의 박스(예컨대, 제1 박스(B1))를 클릭하여 선택한다(520).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이 재직중인 학교의 가상 학교에 들어가게 된다.
한편,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자의 등급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서버(100) 접속 단계에서 확인한 식별정보와는 별도로 접속자가 특정 가상 학교에 접속하고자 할 때는 제2의 식별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서버(100)는 교사가 입력하는 제2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00e)에 기록된 것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로부터 교사가 선택한 특정 가상 학교의 데이터(예컨대, 홈페이지, 기타 상기 가상 학교의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공동망(110)에 올릴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 다음, 교사의 정보통신 단말기(140)에 제공한다. 교사의 정보통신 단말기(140)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교사가 볼 수 있는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교사는 선택한 가상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교육 일정을 입력하기 위해 '교육일정'부분을 클릭하고, 서버(100)가 제공하는 교육일정 관련 자료 입력화면에 자신이 수립한 자신의 교과목에 대한 교육일정을 입력한다(530).
방법 설명의 서두에서 밝힌바와 같이, 교사는 상기 가상 학교에 접근하여 상기 교육일정 입력외에, 각종 시험을 위한 문제를 시험문제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록해 둔다거나,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부과할 과제를 과제물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해 둘 수도 있고, 전날 부과한 과제에 대해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물을 과제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또, 학생들의 수강신청 시간에 맞춰 가상 강의실을 열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실시할 수도 있고, 강의를 미리 녹화 다음, 이를 과목 관리 데이터베이스(350)에 기록해 두고, 학생들이 필요한 시간에 수강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 학기초라면, 1년 동안 가상 학교에서 자신이 가르칠 과목에 대한 강의 교재를 준비하여 과목 관리 데이터베이스(350)에 기록해 둘 수도 있고, 학기를 진행하면서 교재 수정도 가능하다. 또, 질의 및 응답 데이터베이스(370)에서 진로나 학습 등에 대한 질의 내용을 보고 그에 대한 응답도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사는 자신이 속한 학교의 가상 학교를 통해서 교재 제작/배포에서부터 과제물 부과, 강의, 자신이 담당교사인 경우에는 자신이 맡은 학생에 대한 학습 체크, 활동 사항 체크, 진로 상담, 학생 지도 등 현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과정 및 생활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현실 학교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불가능했던 교육 과정 및 생활이 가능하다.
다음에는 학생이 가상 학교에 접근하는 과정과 가상 학교에서의 활동을 살펴본다. 이때, 설명의 편의 상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학생 수는 한 명인 것으로 가정하고, 학생이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목적도 교사가 교육일정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아래의 설명은 접속하는 학생의 수가 2명 인상인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6과 함께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학생은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공동망(110)에 접속한 다음, 서버(100)에 접속한다(600). 이에 대해, 서버(100)는 접속자에 대해 식별 정보를 입력하게 한다. 학생은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에 구비된 입력수단, 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610). 서버(100)는 학생이 입력한 식별 정보를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00e)에 기록된 것과 비교하여 동일한 것으로 인정되면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에 서버 홈페이지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는 상기 서버 홈페이지를 학생이 볼 수 있는 형태로 화면에 나타낸다. 학생은 상기 서버 홈페이지에서 자신이 속하는 현실 학교의 가상 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한 영역, 예컨대 '가상 학교'영역을 클릭한다. 이에 대해, 서버(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가상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학생 정보통신 단말기(12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상기 화면을 학생이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낸다. 학생은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의 화면에 나타낸 가상 학교 선택 화면에서 자신이 속하는 가상 학교가 표시된 박스를 클릭하여 가상 학교를 선택한다(620). 이때, 서버(100)는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에 접속자가 해당 학교의 정당한 학생인지 또는 접속 자격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2의 식별 정보를 요구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의 식별 정보가 필요한 경우, 학생 정보통신 단말기(120)는 이를 학생이 볼 수 있는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고, 학생은 자신의 현실 학교에서 알려준 식별정보, 예컨대 ID나 비밀번호 등을 자신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와 공동망(110)을 통해 서버(100)에 입력한다. 서버(100)는 학생 정보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별정보가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00g)에 기록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판명되면, 학교 데이터베이스(100d)에서 학생이 선택한 학교의 홈페이지를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에 제공하고, 학생의 정보통신 단말기(120)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가상 학교의 홈페이지를 학생이 볼 수 있는 형태로 화면에 나타내 준다. 여기서 '교육일정' 부분을 클릭하여 교육일정 데이터베이스(420)에 기록된 특정 과목에 대한 향후 교육일정을 확인한다(630).
이외에도 학생은 현실 학교에서와 같이 다양한 교내 및 교외 활동을 상기 가상 학교에서 할 수 있다. 즉, 학생은 바로 옆에 동료 학생이 없을 뿐, 현실 학교와 마찬가지로 수강신청을 할 수 있고, 수강 신청한 과목에 대해 강의를 들을 수도 있으며, 멀티미디어 강의실에서 다양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자료를 얻을 수도 있다. 또, 과제물 데이터베이스(330)를 확인하여 교사로부터 부여된 과제가 어떤 것인지 확인 할 수도 있고, 기 부여받은 과제가 있다면 그에 대한 과제물을 과제물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의 시험문제 데이터베이스(320)에서 시험문제 문제를 내려 받아서 원격 시험을 치를 수도 있다. 곧 현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중간, 기말 고사와 같은 정기 시험과 수시로 실시되는 비 정기 시험을 치를 수도 있다. 또, 서버(100)의 질의 및 응답 데이터베이스(370)를 통해서 자신의 담당 교사 또는 진로 상담 교사에게 자신의 진로나 학업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점에 대해 상담을 할 수 있고, 유사한 사례를 볼 수도 있어, 자신의 학업 생활이나 향후의 진로계획을 세우는데 참조할 수 있다. 또, 학교 홈페이지의 게시판에 학교에 대한 건의 사항이나 요구 사항 학생들에 대한 공지 사항 등을 게재할 수도 있다. 또, 학교 홈페이지에서 '동아리방'을 클릭하여 자신이 속한 동아리의 현황을 볼 수 있고, 동아리 회원에 대해 공지사항을 알릴 수도 있으며, 동아리의 향후 일정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동아리 방에는 동급생뿐만 아니라 선후배가 모두 가입될 것이므로, 동급생 및 학년별로 정보교환이 가능하다. 또, 산학관련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취업 가능한 산업체와 취업 분야, 산업체별 취업 안내, 산업체별 취업 동향 또는 자신의 학교와 결연을 맺고 있는 산업체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 상급 학교 데이터베이스(410)에서 향후, 자신이 진학할 상급 학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어서 자신의 진학준비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5에 도시한 화면 구성을 학교명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서버(100)에 각 학교간의 공조 및 협의 등을 위해 학교장 등이 잠여할 수 있는 학교 협의체(가칭) 사이트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의 주요 내용만을 기재한 것으로, 부수적인 서비스가 더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용을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의 전부로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실 학교를 그대로 사이버 공간에 옮겨놓은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가상 학교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상 학교에서 현실 학교와 동일한 효과 또는 그 이상의 학교 교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사 모두가 언제라도 서버에 접속가능하므로, 현실학교에서 교사 및 학생 등에게 주어지는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양자가 모두 재택이 가능하여 거주지와 학교간의 공간적 거리에 따른 제약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업무에 보다 충실할 수 있으며, 학생은 학교라는 공동체 생활 속에서 현실 학교에서 일회성으로 지나쳐버릴 수 있는 정규 교육 과정을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효과와 학습의 질이 모두 높아진다. 또, 서버에 구축된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거나 동아리 방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년별 반별 다양한 정보의 교류가 가능하여 자연스럽게 학교의 정보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상 학교 시스템을 이용하면, 현실의 중학교나 고등학교를 가상 학교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현실의 학원 수강이나 개인 과외 등에 따른 과중한 과외비 지출을 줄여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크게 해소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데이터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정보통신 단말기들;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데이터 이동의 경로가 되는 공동망; 및
    상기 공동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현실 학교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갖는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가상 학교 내에 학생 및 교사가 현실 학교에서처럼 교내 및 교외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하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교사용, 학생용, 산학협력 업체용 컴퓨터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식별정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제2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상 학교가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데이터베이스에 학기별 시험문제 또는 모의고사 문제가 기록되어 있는 시험문제 데이터베이스와 동아리방 데이터베이스, 과제물 데이터베이스, 산학관련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시스템.
  6. 공동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현실 학교와 동등한 교육 환경을 갖는 가상 학교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가상 학교 내에 학생 및 교사가 현실학교에서처럼 교내 및 교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학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와, 상기 가상 학교에 접속하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상기 학교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상 학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가상 학교에서 현실 학교에서와 동일한 교내 및 교외 활동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공동망에 접속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교사용, 학생용, 산학협력 업체용 컴퓨터 단말기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가상 학교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사 및 학생은 제2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및 학생의 제2의 식별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는 상기 선택한 가상 학교에서 자신의 교과목에 대해 수립한 교육일정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은 상기 선택한 가상 학교에 접속하여 동아리 방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학교 교육 방법.
KR1020000022793A 2000-04-28 2000-04-28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KR20000037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93A KR20000037493A (ko) 2000-04-28 2000-04-28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93A KR20000037493A (ko) 2000-04-28 2000-04-28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493A true KR20000037493A (ko) 2000-07-05

Family

ID=1966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793A KR20000037493A (ko) 2000-04-28 2000-04-28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4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849A (ko) * 2000-05-18 2000-09-05 안장흠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792A (ko) * 2000-08-01 2000-11-06 최현호 웹 db를 이용한 서버/클라이언트 교육 통합 소프트웨어알고리즘 및 비지니스모델
KR20020011291A (ko) * 2000-08-01 2002-02-08 진용 사이버 스쿨 운영방법 및 시스템
WO2002063525A1 (en) * 2001-02-08 2002-08-15 Jong-Hae Kim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199A (ja) * 1996-07-25 1998-02-13 Ricoh Co Ltd 教育支援システム
KR19980010852U (ko) * 1996-08-09 1998-05-15 김욱한 자동차공조기용 송풍홴
JPH10171337A (ja) * 1996-12-06 1998-06-26 Roehm Properties Bv バーチャル教室システム
US5904485A (en) * 1994-03-24 1999-05-18 Ncr Corporation Automated lesson selection and examination in computer-assisted education
KR20010082995A (ko) * 2000-02-22 2001-08-31 황인욱 웹 기반의 원격 강의 시스템
KR20010096774A (ko) * 2000-04-14 2001-11-08 강인화 인터넷의 학습도우미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4485A (en) * 1994-03-24 1999-05-18 Ncr Corporation Automated lesson selection and examination in computer-assisted education
JPH1040199A (ja) * 1996-07-25 1998-02-13 Ricoh Co Ltd 教育支援システム
KR19980010852U (ko) * 1996-08-09 1998-05-15 김욱한 자동차공조기용 송풍홴
JPH10171337A (ja) * 1996-12-06 1998-06-26 Roehm Properties Bv バーチャル教室システム
KR20010082995A (ko) * 2000-02-22 2001-08-31 황인욱 웹 기반의 원격 강의 시스템
KR20010096774A (ko) * 2000-04-14 2001-11-08 강인화 인터넷의 학습도우미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849A (ko) * 2000-05-18 2000-09-05 안장흠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792A (ko) * 2000-08-01 2000-11-06 최현호 웹 db를 이용한 서버/클라이언트 교육 통합 소프트웨어알고리즘 및 비지니스모델
KR20020011291A (ko) * 2000-08-01 2002-02-08 진용 사이버 스쿨 운영방법 및 시스템
WO2002063525A1 (en) * 2001-02-08 2002-08-15 Jong-Hae Kim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GB2393013A (en) * 2001-02-08 2004-03-17 Kim Jong-Hae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GB2393013B (en) * 2001-02-08 2005-05-04 Kim Jong-Hae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7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Fontana Online learning communities
Lynch et al. Web-based education
Liu et al. Factors affecting faculty use of video conferencing in teaching: A mixed-method study
Bates et al. Web-medi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KR2000003749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학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Levenson et al. The current state of brief therapy training i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accredited graduate and internship programs.
KR20010096739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킨 학습 방법
Beach et al. Canadian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KR20070037962A (ko) 가정방문학습 및 학원강의형 오프라인교육과 온라인화상네트워크상의 교육시스템을 결합한 교육비즈니스모델
Suhaimi et al. Managemen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science learning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outh Jakarta junior high schools
Ogannisy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ant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bachelors
WO2007139958A2 (en) Centralized internet and intranet-based communication plat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Nasseh A study of computer-based dista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Indiana
WO2019055485A1 (en) INTERACTIVE DIGITAL INFRASTRUCTURE APPLICATION
Addawood Faculty perceptions of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Saudi Arabian Universities
Ajayi et al. Perceived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open education resources of distance learning programme in Nigeria
Davenport Factors related to the Tennessee K-12 educators' implementation of the Internet into classroom activ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ansouri Perceptions of first-time participants in a state-agency-sponsored online graduate program and their implications for online education planning, development and support
Becker The concept of a university of the world
AKINTOLA LEARNERS’SUPPORT SERVICES IN SINGLE AND DUAL-MODES DISTANCE LEARNING INSTITUTIONS IN SOUTHWEST NIGERIA
Mohamed et a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in Smart Bahraini Universities
Kuck Barriers to implementing distance education: A case study in the community colleges
KIPKOECH CHALLENGE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TECHNICAL INSTITUTIONS: A CASE OF SELECTED TECHNICAL TRAINING INSTITUTES IN NANDI COUNTY, KENYA.
Nwosu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Management of Schools in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