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616A - 전자기기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616A
KR20000052616A KR1019990064451A KR19990064451A KR20000052616A KR 20000052616 A KR20000052616 A KR 20000052616A KR 1019990064451 A KR1019990064451 A KR 1019990064451A KR 19990064451 A KR19990064451 A KR 19990064451A KR 20000052616 A KR20000052616 A KR 2000005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ontrol panel
sheet
electronic device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431B1 (ko
Inventor
나리토미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나리도미 마사노리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리도미 마사노리,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리도미 마사노리
Publication of KR2000005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8Insertion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밀폐성, 명료성, 조작성을 만족하여 저렴화(底廉化)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시판되는 광투과성의 열가소성 함성수지제의 시트(10)가 기체(基體)로서 사용되고, 이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인쇄층(11)이 저면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 오목형상부(14)를 형성하고, 이것에 합성수지를 충전시켜서 누름버튼(4)을 만든다.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 외피(19)의 접촉면(29)은 사출성형시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29)에는 수지는 흐르지 않는다. 누름버튼(4)과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 사이의 틈(38)에 금형을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이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 등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상의 제약도 적어지게 되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제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전자기기의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컴퓨터 관련기기, 통신기기의 보급에 따라, 이들에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어패널 등의 입력조작부는 극단적인 저비용화가 요청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부품의 고정밀도화와 더불어 방진(防塵),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제어패널은 저비용으로 보급을 도모하기 위하여 궁극적인 비용절감이 요구되어지고, 특히 프린트기판을 포함한 스위칭구조의 비용절감이 요망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를 위한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공개 평9-259696호 공보). 제안된 것은 기본적으로는 손가락이 접촉하는 버튼본체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지만, 통상 그 표면에는 인쇄된 표시부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부는 손가락으로 빈번히 접촉되는 관계로 마찰에 의해 표시부가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다른 방법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지만, 시트를 이용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채용하였다고 해도 공정수가 증가하여 저비용화된 키시트에 사용하면 공정수의 증가에 따라 채용하는 의미가 반감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제안한 누름버튼과 제어패널을 사출성형으로 조립하는 것(일본국 특허제2649025호 등)은, 누름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제어패널의 개구부와의 사이의 틈은 사출성형금형의 구조때문에 커지지 않을 수 없다. 전자기기의 구조, 디자인상 이물의 혼입 등 때문에 누름버튼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한 이 틈은 매우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배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패널의 개구부와 이것에 삽입배치된 누름버튼 사이의 틈을 작게 한 전자기기의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밀성 표시의 명료성, 조작성을 만족하고, 게다가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산성이 뛰어난 전자기기의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누름버튼의 외피가 되는 시트의 평면도,
도 3은 시트에 돌기형상의 이면(裏面)측이 되는 오목형상부를 열성형하는 공정의 설명도,
도 4는 키시트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3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제4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제5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제6실시형태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누름버튼 지지체와 케이스커버(3)를 일체로 하기 위한 사출성형금형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전화기 2 : 전화기 본체
3 : 케이스커버 4 : 누름버튼
8 : 개구부 9 : 손가락 접촉부
10 : 시트 11 : 인쇄층
14 : 시트 오목형상부 15 : 금형
17 : 가열판 19 : 누름버튼 외피
24 : 키시트
28, 37, 68, 82, 84 및 95 : 누름버튼 지지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름과 같은 수단을 채택한다.
제1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은,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제어패널부재에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지지하기 위한 누름버튼 지지부와,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날로 이루어진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가 밀착하여 상기 누름버튼을 작동시켰을 때에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서 상기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접촉이 비접촉상태로 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이면(裏面)에 형성된 단부(段部)이고,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를 사출성형할 때에 사출성형금형 내에서 용융된 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사출성형시의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수지의 흐름은 휴효하게 저지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의 사이는 일체로 접합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체의 열융착을 사출성형시에 방해하는 비융착제를 도포한 것이 좋다.
제1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은, 시트에 열성형으로 복수의 누름버튼 외피가 되는 오목부를 성형하고, 상기 오목부가 성형된 상기 시트를 사출성형금형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시트로 하고, 상기 키시트를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며, 상기 키시트, 상기 키시트를 삽입배치하기 위한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캐비티에 사출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는 범용의 시트가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투명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합성수지와의 접합으로 융착하는 것이 최적이다.
제2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은, 시트를 열성형으로 복수의 누름버튼 외피가 되는 오목부를 성형하고, 상기 시트를 단체(單體)의 상기 누름버튼 외피마다에 절단하며, 상기 누름버튼 외피를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누름버튼 외피, 상기 누름버튼 외피를 삽입배치하기 위한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사출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또는 제2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 외피의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 외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표면에 접하고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이 좋다.
제1 또는 제2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열성형의 공정 전에 상기 시트에 누름버튼의 표시층을 인쇄한 것이 좋다.
또, 제1 또는 제2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3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은 복수의 누름버튼을 성형하고, 상기 누름버튼마다에 절단하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을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버튼, 상기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사출하며, 상기 캐비티에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표면에 접하여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누름버튼이 투명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이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성형하였을 때의 러너(runner)가 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의 표시층을 인쇄한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제3의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의 사이는 일체로 접합되지 않아도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체의 열융착을 사출성형시에 방해하는 비융착제를 도포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을 휴대용 전화기에 채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제어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휴대용 전화기(1)는 합성수지제의 전화기 본체(2)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전화기 본체(2) 내에는 전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IC 등의 전자기기가 내장되어 있다.
전화기 본체(2)는 2몸체로 구성되어 그 두께 중심의 분할면(6)으로 2분할 된다. 전화기 본체(2)의 상면에는 한쪽의 케이스커버(3)가 배치되고, 그 이면에는 다른쪽의 이면 본체(5)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커버(3)는 제어패널의 기능과 전화기 본체(2)로서의 양쪽 기능을 다하는 것으로, 복수의 누름버튼(4)이 배치되어 키군(7)을 구성한다. 케이스커버(3)와 이면 본체(5)는 작은나사 또는 노치(notch) 등의 고정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표시부의 인쇄)
케이스커버(3) 내에는 후술하는 누름버튼(4)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누름버튼(4)의 외피로서 도 2의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균일한 시트인 시트(10)를 사용한다. 시트(10)는 예를 들면 단층으로 두께 0.25㎜∼0.8㎜정도의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즉 광투과성인 구형상(矩形狀)으로 컷트된 얇은 필름형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다. 시트(10)는 인장강도가 높아 파괴되기 어렵게 많은 메이커에 의해서 양산되고 있고, 저렴한 것이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시트(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숫자,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13)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13)는 이면에서 인쇄된 인쇄층(1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의 각 인쇄층(11)을 상면으로 한 상태(도시상)에서 손가락 접촉부(9) 이면의 위치에 필요한 표시부(13)를 인쇄하여 인쇄층(11)으로 한다. 단, 이 인쇄층(11)은 숫자,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13)만을 빼고 시트(10)의 전면에 바탕색으로서 인쇄하여도 된다. 시트(10)은 투명재료이기 때문에 이면에서 합성수지재료의 색으로 표시부(13)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인쇄층(11)의 인쇄는 실크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수단으로 행한다. 시트(10)는 평판이기 때문에 이 표면상으로의 인쇄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트(10)의 상하위치에는 위치결정용 구멍(12)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10)의 각 인쇄층(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키군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각 인쇄층(11)의 이면측이 누름버튼(4)으로서 형성되었을 때 손가락 접촉부(9)가 되도록 후술하는 열성형에 의해 볼록형상으로 성형한다.
(시트의 열성형)
다음에, 키시트의 성형을 압공성형(프레셔성형)으로 행한 경우의 성형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시트(10)에 돌기형상의 이면측을 이루는 오목형상부를 성형하는 공정의 설명도이다. 인쇄가 완료된 시트(10)의 인쇄층(11)을 상면이 되도록 금형(15)상에 놓는다. 이 금형(15)으로의 시트(10)의 재치(載置)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의 바로 아래에 각 인쇄층(11)에 대응하여 열성형용 오목부(16)가 형성된 위에 배치한다. 금형(15)의 바로 위에는 접합면이 평면형상인 가열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5)의 상면에 시트(10)의 인쇄층(11)과 금형(15)의 열성형용 오목부(16)가 각각 대응하도록 시트(10)의 위치결정용 구멍(12)에 위치결정핀(도시하지 않음)을 결합시켜서 재치한다. 시트(10)의 상면에 가열판(17)을 압접(壓接)시킨 상태로 시트(10)를 가열하여 연화시킨다.
연화(軟化)된 상태의 시트(10)의 상면에 가열판(17)측에서 0.1MPa 이하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면서, 금형(15)의 아랫쪽에서는 열성형용 오목부(16)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서 시트(10)의 하면측을 흡인한다. 이 흡인과 가열로 각 인쇄층(11)에 대응한 복수의 시트 오목형상부(14)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의 각 인쇄층(11)이 시트 오목형상부(14)의 저면 내측(볼록형상의 이면)에 위치하고, 그 반대측의 표면이 누름버튼(4)의 손가락 접촉부(9)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 손가락 접촉부(9)는 누름버튼(4)의 형상에 맞추어서 성형되고, 사각형상,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등의 임의의 형으로 형성된다. 또, 시트(10)의 열성형은 압공성형(프레셔성형)이 아니라, 열가소성 시트를 금형상에 고정하고, 히터로 가열하여 연화한 시트를 진공에서 틀에 불어넣어서 성형하는 진공성형이어도 된다. 또한 가열판(17)을 볼록형으로 하여 열성형하는 것이어도 된다.
(키 내부의 사출성형)
도 4의 (a) 내지 (c)는 시트(10)에 형성된 각 시트 오목형상부(14) 내에 사출성형으로 수지가 충전되는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 오목형상부(14)가 형성된 시트(10)의 손가락 접촉부(9)를 가동측 형판(20)의 캐비티(18)에 형성된 캐비티 오목부(22)에 삽입배치한다. 시트(10)를 캐비티 오목부(2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동측 형판(20)에 재치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측 형판(25)을 압접시킨다. 가동측 형판(20)과 고정측 형판(25)을 압착한 상태에서 시트(10)의 각 시트 오목형상부(14)에 대응하여 고정측 형판(25)의 게이트(26)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가동측 형판(20)의 접합면을 나타낸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의 각 시트 오목형상부(14) 내에 게이트(26)를 통하여 용융수지(27)가 공급되고, 이것이 시트(10)의 면과 동일하게 충전되어서 볼록형상의 키군(7)을 설치한 키시트(24)가 완성된다. 합성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탄성중합체(elastomer) 등 누름버튼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 시트(10)와 사출되는 용융수지(27)는 서로 열융착되는 합성수지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한 것이 좋다.
(제어패널으로의 키 조립)
다음에, 이 완성된 키시트를 제어패널에 조합할 때의 조립방법을 나타낸다. 도 5의 (a) 내지 (d)는 제1실시형태로서의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에서 서술한 공정으로 키시트(24)를 제조한다(도 5의 (a) 참조).
누름버튼(4)은 일정의 폭을 갖는 누름버튼날(21)이 형성되도록 키시트(24)로부터 절단된다. 누름버튼날(21)은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에 삽입후 이 이면에서 걸기 위한 것이다. 누름버튼(4)은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에 삽입된다(도 5 (c)). 이 케이스커버(3)와 임시로 조립된 누름버튼(4)은 사출성형금형인 고정측 형판(25) 내의 캐비티(23)에 삽입된다. 그 후, 게이트(26)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사출되어 캐비티(23)와 누름버튼(4)으로 구획되는 공동부(空洞部)를 충전한다.
이 용융수지의 사출에 의해 누름버튼 지지체(28)는 그 용융열로 케이스커버(3)의 표면을 녹여서 열융착한다.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날(21)의 접촉면(29)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29)에 누름버튼 지지체(28)를 사출할 때 용융수지는 흐르지 않는다. 누름버튼(4)의 외주와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 사이의 틈(38)에 코어 등을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 등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상의 제약도 적어지게 되었다. 최소의 틈(38)은 쓰레기, 물 등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접촉면(29)은 열융착되지는 않기 때문에, 누름버튼(4)을 누르면 누름버튼 지지체(28)가 탄성변형되고, 접촉면(29)만이 케이스커버(3)로부터 떨어져서 상하로 움직여 누름버튼(4)으로서의 스위치기능을 다한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시트(10)에 인쇄층(11)을 인쇄하는 것이었지만, 이 인쇄층(11)을 키시트(24)의 단계에서 이면(도 5의 (a)의 상면)에 인쇄한 것이어도 된다. 단, 키시트(24)의 캐비티 오목부(22)에 충전되는 합성수지는 실질적으로는 투명이 아니면 안된다.
제2실시형태
전술한 누름버튼(4)의 내실은 누름버튼 지지체(28)와는 다른 재질의 것이었지만 누름버튼 지지체(28)와 일체로 사출성형금형 내에서 일체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도 6의 (a) 내지 (c)는 이 공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트(10)를 절단하여 복수개로 된 누름버튼 외피(19)를 만든다.
케이스커버(3)의 이면에는 각 누름버튼(4)을 1개단위로 배치하기 위해 독립하여 구획된 누름버튼 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 공간(30)은 2단으로 계단형상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커버(3)의 표면에 가까운 이면의 누름버튼 재치단부(31)는 누름버튼날(21)을 걸어맞추기 위한 것이다. 먼저 케이스커버(3)를 사출성형금형(32)에 삽입한다(도 6 참조).
이 케이스커버(3)를 사출성형금형(32)에 삽입하고, 누름버튼 재치단부(31)에 누름버튼날(21)을 삽입한다. 케이스커버(3)의 누름버튼 재치단부(31)와 누름버튼날(21)은 접촉면(33)으로 밀착되어 있다. 한편, 누름버튼 재치단부(31)의 외주에는 누름버튼 지지체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 지지체단부(34)의 외주에는 누름버튼 공간(30)을 구획하는 리브(35)가 누름버튼(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출성형금형(32)과 누름버튼 외피(19)와 케이스커버(3)의 리브(35)로 둘러싸인 공간이 캐비티(36)가 된다. 그 후, 게이트(40)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사출되어 캐비티(36)를 충전한다. 이 사출에 의해 누름버튼 지지체(37)는 그 용융열로 케이스커버(3)의 표면을 녹여서 열융착한다.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 외피(19)의 접촉면(33)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33)에는 용융수지가 흐르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접촉면(33)은 융착되지 않는다. 이 밀착된 접촉면(33)으로 수지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 외피(19)와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 사이의 틈(38)에 수지가 흘러들어가는 일도 없다. 따라서, 이 틈(38)에 코어 등의 삽입도 필요 없고,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소형화 등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상의 제약도 적어지게 되었다. 누름버튼(4)을 누르면 누름버튼 지지체(37)가 탄성변형하여 접촉면(33)만이 케이스커버(3)로부터 떨어져서 상하로 움직이고 누르버튼(4)으로서의 스위치기능을 다한다.
제3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버튼 외피(19)를 사용한 것이었지만, 이것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도 7의 (a) 내지 (c)는 다른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최초에 필요한 각 누름버튼(4)을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성형한다. 누름버튼(4)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과 같이 비교적 경질로 투명한 엔지니어링 합성수지로 성형한다. 각 누름버튼(4)을 연결하고 있는 러너(53)를 붙인 상태로 누름버튼(4)의 이면에 인쇄한다(도 7의 (a) 참조). 누름버튼(4)의 외주에는 누름버튼날(51)이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러너(53)를 붙인 상태에서 누름버튼(4)의 이면은 전면이 단일평면이다.
이 이면에 누름버튼(4)에 필요한 문자, 기호, 바탕색 등의 표시부(52)를 인쇄한다. 누름버튼(4)을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투명이기 때문에 이면에서 인쇄하여도 문자, 기호, 바탕색 등의 표시부(52)가 표시된다. 그 후 러너(53)를 절단하여 개별의 1개단위의 누름버튼(4)으로 한다. 이 케이스커버(3)를 사출성형금형(55)에 삽입하고, 누름버튼 재치단부(65)에 누름버튼날(51)을 삽입한다.
케이스커버(3)의 누름버튼 재치단부(65)와 누름버튼날(51)의 사이에는 접촉면(61)으로 밀착되어 있다. 한편, 누름버튼 재치단부(65)의 외주에는 누름버튼 지지체단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 지지체단부(64)의 외주에는 누름버튼 공간(60)을 구획하는 리브(66)가 누름버튼(4)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출성형금형(55)과 누름버튼(4)과 케이스커버(3)의 리브(66)로 둘러싸인 공간이 캐비티(67)로 된다. 그 후, 게이트(70)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사출되어 캐비티(67)를 충전한다. 이 사출에 의해 누름버튼 지지체(68)는 그 용융열로 케이스커버(3)의 표면을 녹여서 열융착한다.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4)의 접촉면(61)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61)에는 용융수지가 흐르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접촉면(61)은 융착되지 않는다.
앞에서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접촉면(61)은 융착되지 않는다. 이 밀착된 접촉면(61)에서 용융수지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4)의 외주와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 사이의 틈(38)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 틈(38)을 메우기 위한 코어 등을 배치할 필요도 없고,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다. 누름버튼(4)를 누르면 누름버튼 지지체(68)가 탄성변형되고, 접촉면(61)만이 케이스커버(3)로부터 떨어져서 상하로 움직여 누름버튼(4)으로서의 스위치기능을 다한다.
제4실시형태
도 8의 (a), (b)는 제4실시형태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도 8의 (a)는 키시트에 슬릿(80)을 넣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사출성형금형에 케이스커버(3)와 키시트(24)를 삽입하여 사출성형하는 상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최초에 앞에서 서술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키시트(24)의 시트(10) 부분의 외주부와, 키시트(24)의 사이에 소망형상의 슬릿(80)을 구멍뚫기, 형체뚫기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슬릿(80)이 형성된 키시트(24)는 케이스커버(3)와 함께 사출성형금형(81)에 삽입된다.
그 후, 가동형을 닫아서 누름버튼 지지체(82) 및 스위치구동용 돌기(83)가 형성된다. 용융수지가 사출되면 용융수지는 슬릿(80)을 관통하여 케이스커버(3)의 모재와 열융착된다. 그러나 앞에서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커버(3)와 키시트(24)의 접촉면(79)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79)에는 용융수지가 흐르는 일이 없다. 이 틈(38)에 코어 등의 삽입도 필요 없어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면(79)은 열융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버튼(4)을 누르면 누름버튼 지지체(82)가 탄성변형되고 접촉면(79)만이 케이스커버(3)로부터 떨어져서 상하로 움직여 누름버튼(4)으로서의 스위치기능을 다한다.
제5실시형태
도 9는 제5실시형태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키시트(24)에 슬릿(80)을 넣은 점에서는 제4실시형태와 같지만, 시트(10)에 인쇄한 후, 이것을 열성형하여 성형시트(88)를 만든다. 이 열성형된 성형시트(88)를 사출성형금형(87)에 케이스커버(3)와 함께 삽입한다. 그 후, 가동형을 닫아서 누름버튼 지지체(84) 및 스위치구동용의 돌기(85)가 형성된다.
용융수지가 사출되면,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용융수지는 슬릿(80)을 관통하여 케이스커버(3)의 모재와 융착된다. 그러나 앞에서 서술한 각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커버(3)와 키시트(24)의 접촉면(86)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86)에는 용융수지가 흐르지 않는다. 이 틈(38)에 이것을 메우기 위한 코어 등을 배치할 필요도 없고 틈(38)도 최소로 할 수 있다. 틈(38)의 폭이 좁기 때문에 용융수지가 이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으므로 접촉면(86)은 열융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제5실시형태는 누름버튼(4)과 누름버튼 지지체(84)를 동일재료로 만들 수 있다.
제6실시형태
앞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모두 누름버튼, 케이스커버 및 누름버튼 지지체를 사출성형금형 내에서 일체로 열융착 또는 프라이머(primer)층을 통하여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일체로 조립되면 누름버튼을 눌렀을 때 움직이기 위한 여유가 적고, 누름버튼의 압압동작이 약간 딱딱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제6실시형태는 이 누름버튼 조작이 딱딱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제6실시형태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누름버튼 지지체와 케이스커버(3)를 일체로 하기 위한 사출성형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사출성형금형에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91)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누름버튼(91)의 저면과, 이 누름버튼날(94)의 외주면에는 비융착제(92)가 도포되어 있다. 비융착제(92)는 누름버튼 지지체(95)와 누름버튼(91)이 열융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비융착제(92)는 열융착을 방해하는 소재로 여분의 것을 사출성형시에 나머지 성분을 석출하지 않으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즉, 누름버튼(9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와 열융착하지 않고 또한 누름버튼 지지체(95)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양자, 또는 한쪽에 열융착하지 않는 것이라면 합성수지, 유지(油脂) 등의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91)을 삽입한 후, 사출성형금형(90)의 가동형을 닫아서 누름버튼 지지체(95)가 형성된다. 이 용융수지가 사출되면 용융수지는 케이스커버(3)의 모재와 열융착된다. 그러나, 앞에서 서술한 각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날(94)의 접촉면(93)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면(93)에는 용융수지가 흐르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누름버튼날(94)과 케이스커버(3)의 접촉면(93)은 열융착되지 않는다.
또, 케이스커버(3)의 개구(開口)와 누름버튼(91) 사이의 틈(96)을 메우기 위한 코어 등의 삽입도 필요하지 않아 틈(96)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융착제(92)가 누름버튼 지지체(95)와 누름버튼(91)의 열융착을 방해한다. 이 때문에 누름버튼(91)을 스위치동작을 위해 압압하면 누름버튼 지지체(95)가 휘어지기 쉽게 된다.
따라서, 누름버튼(4)을 누르면 누름버튼 지지체(95)가 용이하게 탄성변형하고, 접촉면(93)만이 케이스커버(3)로부터 떨어져서 상하로 움직여 누름버튼(4)으로서의 스위치기능을 다한다. 또한 이 제6실시형태와 같이, 앞에서 서술한 각 제1실시형태 및 제3실시형태에도 마찬가지로 누름버튼에 비융착제(92)를 도포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외의 실시형태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커버(3)와 누름버튼 지지체(28), (37), (68), (82), (84), (95)가 일체로 열융착되는 것이었지만, 제어패널, 프레임 등의 다른 부재라도 누름버튼을 지지하는 동일의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부재를 구별하는 것은 아니고 누름버튼(4)을 설치한다고 하는 의미라면 누름버튼(4)을 부착하는 부재를 묻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형태 내지 제5실시형태에서는 누름버튼 지지체(28), (37), (82), (84)와 케이스커버(3)는 사출성형금형 내에서 열융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열융착이 아니라 실리콘계의 프라이머 등의 프라이머제을 미리 케이스커버(3)에 도포하고, 이것을 개재시켜서 열융착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사출성형의 용융수지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사출성형할 때는 열융착이 아니라 접착작용에 의해서 양자를 결합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접착제를 미리 케이스커버(3)에 도포시켜서 누름버튼 지지체(28)와 케이스커버(3)를 접착시킨다. 이 때, 누름버튼 지지체(28), (37), (82), (84)와 케이스커버(3)는 열융착이 아니라 주로 접착작용에 의해서 양자는 결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커버(3)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으로 성형되는 마그네슘 합금, 소성가공에 의해서 성형된 금속판, 다이캐스트법으로 만들어진 다이캐스트용 합금 등이어도 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공정으로 기밀성이 좋은 제어패널과 그 제조가 가능하다. 또, 누름버튼의 표시부가 외피로 커버되거나 또는 이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접촉 등에 의한 오염,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누름버튼의 외주에 날을 배치하고 이 날과 누름버튼이 배치되는 제어패널을 사출성형으로 조립할 때에 접촉하여 용융수지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과 이것을 배치한 제어패널의 개구부 사이의 틈에 코어를 삽입할 필요없이 틈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제어패널에 탄성적으로 휘게하여 지지하기 위한 누름버튼 지지부와,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날로 이루어진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가 밀착하여 상기 누름버튼을 작동시켰을 때에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서 상기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접촉이 비접촉상태로 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이면에 형성된 단부이고,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를 사출성형할 때에 사출성형금형 내에서 용융된 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부의 사이는 일체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체의 열융착을 방해하는 비융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
  5. 시트에 열성형으로 복수의 누름버튼 외피가 되는 오목부를 성형하고,
    상기 오목부가 성형된 상기 시트를 사출성형금형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시트로 하고,
    상기 키시트를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키시트, 상기 키시트를 삽입배치하기 위한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캐비티에 사출하여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6. 시트를 열성형으로 복수의 누름버튼 외피가 되는 오목부를 성형하고,
    상기 시트를 단체(單體)의 상기 누름버튼 외피마다에 절단하고,
    상기 누름버튼 외피를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누름버튼 외피, 상기 누름버튼 외피를 삽입배치하기 위한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오목부와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 외피의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 외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표면에 접하여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열성형의 공정 전에 상기 시트에 누름버튼의 표시층을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9. 서로 연결된 복수의 누름버튼을 성형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개개로 절단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삽입배치하기 위한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을 사출성형금형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버튼, 상기 제어패널부재 및 상기 사출성형금형으로 구획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캐비티에 충전하여 누름버튼 지지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 외주에 형성된 누름버튼날과 상기 제어패널부재의 표면이 접하여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부를 상기 제어패널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날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이 투명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이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성형하였을 때의 러너가 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의 표시층을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 지지체의 열융착을 방해하는 비융착제를 상기 누름버튼 지지체의 사출전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19990064451A 1999-01-22 1999-12-29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0602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4240 1999-01-22
JP1424099 199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16A true KR20000052616A (ko) 2000-08-25
KR100602431B1 KR100602431B1 (ko) 2006-07-20

Family

ID=1185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451A KR100602431B1 (ko) 1999-01-22 1999-12-29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71457B2 (ko)
EP (1) EP1022756B1 (ko)
KR (1) KR100602431B1 (ko)
CN (1) CN1206889C (ko)
DE (1) DE60034162T2 (ko)
MY (1) MY127679A (ko)
SG (1) SG89313A1 (ko)
TW (1) TW49871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48A (ko) * 2001-07-03 2001-11-14 오종현 컨트롤패널의 누름버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누름버튼
KR100452507B1 (ko) * 2001-09-25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단턱이 구비된 러버버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0407B2 (en) 2001-06-22 2004-06-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226639A1 (en) * 2002-06-06 2003-12-11 Chun-Chen Che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JP3900063B2 (ja) * 2002-10-30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のケース
DE10258209A1 (de) * 2002-12-12 2004-06-24 Siemens Ag Einga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Modul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7151237B2 (en) *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1758139A4 (en) * 2004-04-05 2010-01-13 Sunarrow Ltd KEY UNIT WITH REINFORCING PLATE
EP1746616A4 (en) * 2004-05-07 2010-01-13 Sunarrow Ltd KEY UNIT WITH CARRIER FRAME
EP1768146A4 (en) * 2004-05-28 2010-01-13 Sunarrow Ltd KEY UNIT WITH HOUSING
US20060076702A1 (en) * 2004-10-07 2006-04-13 Fu-Chi Tsai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ing of an electronic product with surface decoration thereon
WO2006047905A1 (de) * 2004-11-08 2006-05-11 Georg Kaufmann Formenbau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teils durch spritzgiessen oder spritzprägen oder hinterpressen von kunststoffmaterial
ATE457221T1 (de) * 2004-11-08 2010-02-15 Georg Kaufmann Formenbau Ag Verfahren zum hinterspritzen, hinterpressen oder quellflussprägen und entsprechendes formwerkzeug
US7745751B2 (en) * 2005-05-02 2010-06-29 Shin-Etsu Polymer Co., Ltd Member for push-button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53448B2 (en) *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7022929B1 (en) * 2005-07-20 2006-04-04 Delphi Technologies, Inc. Detectable push-pull-though details for switch pad
US7731663B2 (en) * 2005-09-16 2010-06-08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end parameter based on respiration rate distribution
US7897888B2 (en) * 2006-03-30 2011-03-0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Key fob device and method
US20070241021A1 (en) * 2006-04-12 2007-10-18 Nokia Corporation Thermoforme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US7586056B2 (en) * 2006-09-15 2009-09-08 Shin-Etsu Polymer Co., Ltd Resin molded body, receiving ji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sh button switch member
CN101296584B (zh) * 2007-04-25 2011-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机壳的制造方法
JP4872876B2 (ja) * 2007-09-28 2012-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サート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5270129B2 (ja) * 2007-10-19 2013-08-21 株式会社アルファ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構造
TW201025383A (en) * 2008-12-29 2010-07-01 Ichia Tech Inc Thin-type keycap structure, keypa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045968A (zh) * 2009-10-13 2011-05-04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壳体及其制造方法
TWI618625B (zh) * 2014-10-03 2018-03-2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物件的製法及其製品
KR101864825B1 (ko) * 2016-04-19 2018-06-05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디스펜서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CN109501125A (zh) * 2019-01-26 2019-03-22 庐江凯胜塑胶有限公司 一种双色加模内成型电源按键注塑成型工艺方法
US20220219297A1 (en) * 2021-01-08 2022-07-14 Snap-On Incorporated Double overmolded display hous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611A (en) 1975-01-10 1976-05-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ushbutton keyboard system having plural level wire-like contact
DE3011674C2 (de) * 1980-03-26 1984-07-26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Tastatur
US4555600A (en) 1981-02-23 1985-11-26 Apm Corporation Vandal-resistant shield for telephone keypad
US4400596A (en) 1982-01-15 1983-08-23 Amp Incorporated Membrane switch with sequentially closable contacts
US4980522A (en) 1988-06-13 1990-12-25 Mitsubishi Denki Kabiushiki Kaisha Operating key switch unit
DE9014472U1 (ko) 1990-10-16 1991-01-24 Fritz Hartmann Geraetebau Gmbh & Co Kg, 8523 Baiersdorf, De
EP0677858A3 (en) * 1990-10-30 1996-06-12 Teikoku Tsushin Kogyo Kk Key layer for use in a key switch.
US5478051A (en) * 1993-03-24 1995-12-26 Emhart Inc. Belt providing continuous lining up of plastics components
GB2255234B (en) 1991-03-27 1995-09-27 Hitachi Telecomm Tech Panel unit of dealing board
US5528235A (en) 1991-09-03 1996-06-18 Edward D. Li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US5219067A (en) 1992-02-04 1993-06-15 Trimble Navigation Limited Keyboard pad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EP0565959B1 (en) 1992-04-14 1996-08-28 MOTOROLA GmbH A keypad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US5510584A (en) 1995-03-07 1996-04-23 Itt Corporation Sequentially operated snap action membrane switches
TW328924B (en) * 1995-06-09 1998-04-01 Daisei Plastic Kk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WO1997038842A1 (en) * 1996-04-12 1997-10-23 Motorola Inc. Elastomeric keypa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5710398A (en) 1996-05-20 1998-01-20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Hinged push button cluster
JP3151553B2 (ja) 1996-11-29 2001-04-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3445B2 (ja) * 1997-02-18 1999-05-24 サンアロー株式会社 照光式キ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0590Y1 (ko) * 1998-12-30 2001-10-25 서평원 필름을이용한인-몰드형플라스틱버튼
TW446616B (en) * 1999-01-27 2001-07-21 Taisei Plastics Co Ltd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48A (ko) * 2001-07-03 2001-11-14 오종현 컨트롤패널의 누름버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누름버튼
KR100452507B1 (ko) * 2001-09-25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단턱이 구비된 러버버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1786A1 (en) 2001-08-09
EP1022756A3 (en) 2001-05-02
SG89313A1 (en) 2002-06-18
DE60034162D1 (de) 2007-05-16
KR100602431B1 (ko) 2006-07-20
CN1206889C (zh) 2005-06-15
US6571457B2 (en) 2003-06-03
CN1262598A (zh) 2000-08-09
DE60034162T2 (de) 2008-01-03
TW498710B (en) 2002-08-11
EP1022756A2 (en) 2000-07-26
MY127679A (en) 2006-12-29
EP1022756B1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31B1 (ko)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0633843B1 (ko)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US5681515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elastomeric keypad
KR100362027B1 (ko) 키이탑플레이트및이의제조방법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2681064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1126577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3409000B2 (ja) 電子機器の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3045658B2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に用いる金型装置
WO1997038842A1 (en) Elastomeric keypa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4068913B2 (ja) フィルム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59696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H11288632A (ja) 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
JP2000285762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ユニット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0644859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649025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4006352A (ja) 電子機器のキー
JP2002197933A (ja) キートップ、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2736B2 (ja) 押釦シート部材
JP4628553B2 (ja) 押ボタ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6123B2 (ja) キートップの製造方法
JP2002184255A (ja) 押ボタンユニットの成形方法
JP2000231847A (ja) 電子機器のキーとその製造方法
JP2002367471A (ja) キートップ板及びキートップ取付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