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475A -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475A
KR20000052475A KR1019990057713A KR19990057713A KR20000052475A KR 20000052475 A KR20000052475 A KR 20000052475A KR 1019990057713 A KR1019990057713 A KR 1019990057713A KR 19990057713 A KR19990057713 A KR 19990057713A KR 20000052475 A KR20000052475 A KR 20000052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processing
processing method
filte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019B1 (ko
Inventor
야마조에마나부
스즈키야스토모
안자이카쯔히코
나가타코지
스즈키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525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95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963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367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5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93Modification of content of picture, e.g. retou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04N1/4074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using hist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처리의 매뉴얼 설정이 복잡하고 기술을 요구하므로 최종사용자가 화상에 대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렵다. 또한, 화질의 관점에서 볼 때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화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이 생성되고, 그 화상의 밝기가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검출되고, 또한 화상은 검출된 밝기에 응답하여 래스터화된 화상레이터에 설정되므로, 효과적인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원화상을 수정하는 화성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나, 포토스케너등이 최근에 보급됨에 따라서, 사진 화상은 쉽게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로 대표되는 출력장치가 고화질과 저렴한 가격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최종 사용자는 집에서 기록종이위에 쉽게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하는 개인 컴퓨터등의 장치를 갖고, 최종사용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망하는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편집하고, 잉크젯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한다.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라고 칭하는 처리를 일본국 특개평(NO.1-314389)에 공개되어 있으며, 일러스트레이션 편집처리는 일본국 특개평 3-91088과 일본국 특개평 3-91087에 공개되어 있다.
디지털 사진 화상의 편집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나 프린터가 고해상도와 저렴한 가격이므로, 예를 들면, 최종사용자는 자신의 안면 사진이 명함위에 중첩되는 명함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촬영된 화상의 사진 스티커를 그 장소에 프린터 할 수 있는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명함위에 사진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일반적인 명함제조시에 무표정한 안면 사진을 중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계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명함은 때로는 굳은 인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비공식적인 명함이 종종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안면사진뿐 아니라 사진 자체를 편집함으로써 얻어진 개성화된 사진을 중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편집처리로서, 세피아톤 변환으로 대표되는 단색편집처리와, 사진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변환시키는 편집처리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진 화상에 대한 다양한 필요성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사진화상을 편집하여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사진화상의 에지를 추출하고 개별적인 부분이 원화상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채색된다. 또한 사용자는 에지추출, 채색 등에 요구되는 다양한 매개변수를 미세하게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화실의 관점에서 볼 때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또한 알맞은 셋업을 얻기 위해서는 복잡한 셋업이나 뛰어난 사용자의 기술도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종사용자가 이와같은 셋업을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쉽게 실행할 수 있는 화성처리방법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시스템의 배열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프린터 구동기의 블록도;
도 3은 프린터 구동기의 화상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히스토그램 작성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일반 필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에서 6C 필터(5x5)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필터(3x3)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상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화성편집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편집될 화상의 선택 윈도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정된 모드를위한 선택 윈도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의 상세를 위한 셋업윈도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원화상데이터 생성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가상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5는 화상의 일괄처리시에 화상에지에 대한 필터처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A와 도 16B은 화상을 경사지게 설정할때에 영역을 분할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상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제3실시예의 특수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A에서 19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를 셋업하기 위해 사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0A는 원화상(JPEG)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B는 필터(3x3)를 사용하여 도20A에서 도시된 원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
도 20C는 필터(5x5)를 사용하여 도 20A에서 도시된 원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D는 도 20A에 도시된 원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와 단색편집의 결과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A는 원화상(TIFF)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B는 필터(3x3)을 사용하여 도 21A에서 도시된 원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C는 필터(5x5)를 사용하여 도 21A에서 도시된 원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호스트컴퓨터 101: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
102: 모니터구동기 103: 프린터구동기
104: 모니터구동기 105: 프린터
106: 모니터 107: 하드디스크
108: 중앙처리장치 109: 잼
110: 롬 111: 디지털 카메라
112: 입력장치 113: 장치구동기
105: 프린터 120: 화상보정처리부
121: 프린터용 보정처리부 11 : 화상표시프레임
12,32: 선행페이지 33,13: 후속페이지
14,24: 편집 15: 종료
16: 커서 25,35: 복귀
27: 상세설정 39: 입상설정
700:화상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제1화상의 에지를 추출하여 얻는 제1신호와 계조수를 감소하여 얻은 제2산호에 의거하여 제2 화상을 얻기 위하여 제1화상을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의 상세를 쉽게 셋업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목적은 복수의 수정모드중 소망의 수정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시키는 명령입력단계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수정모드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데 화상처리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복수의 수정모드를 수정단계에서 제1 화상을 제2 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래스터라이즈화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도 유효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제1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단계와; 각 분할영역의 처리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수정단계가 제2화상을 얻기위해 영역의 단계로 제1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종래의 방법보다 한층 더 밝은 계조로 효과적으로 화상데이터에 대해 행해질 수 있으므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의 상세내용을 쉽게 셋업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일러스트레이션(hand illustration)이 거의 유사한 신규의 처리를 실행한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고, 동일한 참조문자는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명세서에 구체화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이하 설명한다.
<제1실시예>
·시스템구성
도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화성처리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잉크젯 프린터 등의 프린터(105) 및 모니터(106)는 호스트컴퓨트(100)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컴퓨터(100)는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이트, 인터넷 브라우저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과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에 의하여 운영체제(102)에 발생되는 다양한 드로잉명령(화상드로잉명령, 텍스트 드로잉명령, 그래픽드로잉 명령)을 처리하여 프린터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린터 구동기(103) 및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에 의해 발생된 다양한 드로잉 명령을 처리하여 모니터구동기(104)를 소프트웨어 응용으로서 가진다.
도면번호(112)는 명령입력장치이고; (113)은 명령입력장치의 구동기이다. 예를들면, 다양한 명령을 운영체제(102)에 발행하기 위하여 모니터(106) 위에 표시된 다양한 정보를 가르키는 마우스가 접속되어 있다. 트랙볼, 펜, 터치패널 등의 다른 포인팅장치 또는 키보드가 마우스 대신에 접속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호스트컴퓨터(100)는 이들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로서, 중앙처리장치(CPU) (108), 하드디스크(HD)(107), 랜덤-액세스메모리 (RAM)(109),리드-온리메모리(ROM)(11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1에서 도시된 화상처리시스템의 일예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주식회사로 부터 이용가능한 윈도우98은 IBM으로부터 이용가능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PC-AT 호환의 개인 컴퓨터에 운영체제로서 설치되고 있고, 프린트를 행하는 소망의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모니터와 프린터가 개인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컴퓨터(100)에서는, 각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은 문자 등의 텍스트로 분류된 텍스트데이터와, 도형 등의 그래픽으로 분류된 그래픽데이터와, 자연화상등으로 분류된 화상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출력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화상데이터를 프린트 출력할때에,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은 프린터 출력 요구를 운영체제(102)에 보낸다. 이때에,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은 그래픽데이터에 대응하는 그래픽 도형 명령과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도형 명령을 포함하는 도형명령군을 운영체제(102)에 발행한다.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으로 부터 출력요구를 수신할 때에, 운영체제(102)는 출력프린터에 대응하는 프린터 구동기(103)에 도형명령군을 발행한다. 프린터 구동기(103)는 운영체제(102)로 부터 입력된 프린터요구와 도형명령군을 처리하고, 프린터 데이터를 프린터(105)에 전송한다. 프린터(105)가 래스터프린터일 경우에는,프린터 구동기(103)는 운영체제(102)로 부터의 드로잉명령에 대한 화상보정처리를 수행하고, RGB 24비트 페이지 메모리에 대해 차례로 명령어를 래해스터화 한다. 모든 드로잉 명령에의 래스터화를 완료할때에, 프린터 구동기(103)는 RGB 24 비트 페이지 메모리의 내용을 프린터(105)가 프린터할 수 있는 데이터형식, 즉 CMYK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프린터(105)에 전송한다.
호스터컴퓨터(100)는 목적화상을 감지하고 RGB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카메라 (111)를 접속하고, 하드디스크(107)에 의해 감지된 화상데이터를 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는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디지털카메라(111)에 의해 감지된 화상데이터는 JPEG에 의해 부호화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감지된 화상데이터는 프린터구동기(103)에 의해 복호화된 후에 화상데이터로서 프린터(105)에 전송될 수 있다.
·프린터 구동기 처리
프린터 구동기(10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도2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프린터 구동기(103)에는, 화상보정처리부(120)는 운영체제(102)로 부터 수신된 드로잉 명령군에 포함된 화상 드로잉 명령의 색정보에 대하여 화상데이터를 수정하는 화상보정처리와 화사아편집처리(나중에 설명함)를 싱행한다. 다음에, 프린터용 보정처리부 (121)는 처리된 색정보에 따라서 드로잉 명령을 래스터화하여 RGB 24 비트 페이지 메모리 상에 도트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린터용 보정처리부(121)는 마스크처리, 감마보정처리, 양자화처리 등을 프린터의 컬러 재현성에 따라서 화소단위로 실행하고 프린터의 특성에 의존하는 CMYK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프린터(105)에 전송한다.
화상보정처리부(120)에서 화상드로잉 명령으로 표시되는 원화상에 대한 화상처리에 대하여 도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그래픽 드로잉 명령이나 텍스트 드로잉 명령으로 표시되는 원화상은 이하에 설명되는 처리를 실행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원화상은 RAM(109)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보정처리부(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화상이 예로서, JPEG (S20,S21)에 의해 부호화된 경우 원화상을 복호화한다. 복호화한후, 화상정보처리부 (120)는 생성된 히스토그램에 따라서 히스토그램생성처리(S22)와 화상보정처리(S23)를 실행하고, 다음에 생성된 히스토그램에 따라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은 프린터용 보정처리부(121)를 통하여 출력가능한 자료로서 프린터(105)에 출력되고, 기록매체상에 프린트 출력된다.
·휘로 히스토그램 생성
도4는 스텝 S32에서 히스토그램생성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에 있어서, 스텝 S1에서 제어명령이 원화상 휘도 히스토그램 생성루틴을 입력하면, 스텝 S2에서 원화상의 화소로부터 휘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화소의 선택비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될 화상데이터는 350,000 화소를 가지는 경우,휘도 히스토그램이 모든화소(선택비=1(즉 100%))에 대하여 생성된다. 350,000 화소 이상을 갖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화소선택(샘플링)이 350,000 화소에 대한 화소수 전체의 비에 응답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3,500,000 화소를 갖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비는 3,500,000/350,000 = 10이고 휘도 히스토그램은 10화소당 1화소의 비도 생성된다. (선택비 = 10(즉 10%))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비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n=int(처리될 화상데이터의 총화소수 / 기준화소수 350,000)
(단, n<1일때 n=1, n은 양수)
다음에 스텝 S3에서 라인번호를 관리하는 카운터는 리세트되거나 소정의 초기값에 세트되고, 스텝 S4에서는 상기 카운터를 증가하여 주목라인의 라인번호를 가르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의 간인(샘플링)은 라인단위로 행해지므로, 선택비는 n이고, 선택비 n으로 라인번호를 나눈 나머지가 o이면,그 라인에 속한 화소는 처리되야할 (S5=Yes)화소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선택비는 10이고 라인번호를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그 라인에 속하는 화소는 처리될 화소로서 선택된다.
주목라인이 간인(샘플링)될 라인이면, 즉 처리되지 않는 라인이면, 흐름은 스텝S4로 복귀한다. 주목라인이 처리될 라인이면 흐름은 스텝 S6으로 진행하고, 주목화소에 속하는 각 화소는 차례로 선택되고 휘도변환과 색도변환이 주목화소에 대하여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휘도변환과 색도변화은 다음식에 의해 얻어진다.
Y (휘도) =int (0.30R + 0.59G + 0.11B) (Y는 양수)
C1(색도) =R-Y
C2(색도) =B-Y
휘도와 색도변환식은 상기 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식을 사용할 수 있는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백색위치(Bright Point)와 흑색위치(Shadow Point)의 검출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주목화소의 채도 S는
에 의해 계산된다. 채도 S가 소정의 채도값(Sconst(S7))보다 더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Sconst이면 그 화소의 정보는 휘도 히스토그램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다.
즉, S>Sconst이면, 흐름은 다음처리에서 그 화소의 값을 반영하지 않는 스텝S6으로 복귀한다. 일반적으로,백색위치의 채도는 고휘도 화소군의 평균채도로 부여되기 때문에, 그 채도값은 색흐름(Color Cast)에 의해 생성되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값보다 높은 채도를 갖는 화소는 백색위치의 계산으로부터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 처리의 효과의 일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예를 들면, 황색화소(R=G=255, B=0)의 휘도Y와 채도S는 상기 계산식으로부터 각각 226 및 227이 된다. 즉, 이 화소는 매우 높은 휘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충분히 높은 책도색을 지니고 있다. 화소는 무채색의 화소가 황색으로 흐르게 한 결과로서 얻어진다기 보다는 원래의 황색화소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고휘도/고채도 화소를 포함하는 휘도 히스토그램이 생성되는 경우, 에러는 백색위치 검출결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채도(Sconst)가 결정되고, 또한 이 값을 초과하는 채도를 갖는 화소는 히스토그램에서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백색위치 검출결과는 이와같은 고채도 화소에 기인하는 에러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백색위치의 검출정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화상의 평균농도를 검출하여야 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스텝 S7의 상기한 처리는 생략할 수 있다.
스텝 S7에서 판정한후, 휘도 히스토그램은 조건(S< Sconst)(S8)를 만족하는 화소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처리될 화소데이터 RGB는 8비트(256계조) 데이터이고, 또한 휘도 Y도 256의 깊이로 변환한다. 그러므로, 휘도히스토그램은 0내지 256의 범위에 있는 256 단계의 각 휘도값에 대응하는 화소의 발생빈도수를 계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계산된 색도값 C1과 C2는 예를 들면, 색흐름 보정처리시에 개별적인 휘도값을 갖는 화소의 평균색도를 계산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유지된다. 예를 들면, 발생빈도수, C1누적치, C2누적치 등의 3개의 멤버는, 0의 255의 인텍스 범위를 갖는 구조체 배열변수의 형태로 설정되고, 각 화소의 계산결과는 인덱스로서 그 화소의 휘도값을 갖는 각 부재에 반영된다.
주목화소에 대한 처리를 완료할 때에, 주목라인의 모든 화소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9). 처리된 화소가 여전히 주목라인에 남아있는 경우, 순서는 스텝S6으로 복귀하여 스텝 S6과 후속하는 스텝에서 처리를 반복한다. 주목라인에 있는 모든 화소에 대한 처리를 완료할때에, 스텝 S10에서 처리될 라인이 여전히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라인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경우, 흐름은 단계 S11에서 종료된다. 모든 라인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 흐름은 단계 S4로 복귀하여 주목라인으로서 다음 라인을 선택하고, 상기할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휘도히스토그램은 원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선택하면서 생성되므로, 휘도히스토그램은 백색위치와 흑색위치를 검출할때에 정밀도의 개선을 고려하여 최소로 요구되는 화소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화상보정처리
도3의 스텝S23에서, 원화상은 스텝 S22에서 얻은 휘도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화상보정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원화상의 백색점과 흑색점은 휘도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검출되고, 화상정보처리는 이와같이 얻는 백색위치와 흑색위치에 의거하여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칼라보정시에, 원화상의 색흐름을 보정하는 컬러흐림보정과, 원화상의 노출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휘도의 콘트라스트를 보정하기 위한 노출보정과, 출력화상의 색의 외관을 개서하는 채도보정 등을 행한다. 이들의 화상보정처리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화상보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스텝 S23에서 설명된 보정처리도 본 발명에서 생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
도3의 스텝S24에서는, 스텝S23에서 보정된 원화상은 스텝S22에서 얻은 휘도히스토그램에 의거해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원화상은 원화상을 핸드-일러스트레이트화된 화상으로 변환하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의 원리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지가 추출되어 색조를 저장하는 화상으로 변화된 원화상에 대하여 칼라톤에 저장되는 어떤 화상으로 변환시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5화소x5화소(이제부터는 단순히 5×5로 칭함)필터를 사용하여 원화상을 필터링한다.
도5는 이 필터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20A에서 도시된 원화상이 도5에서 도시된 필터(40)를 사용하여 필터링될 때, 도20C에 도시된 화상을 얻는다. 도20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진화상으로서 원화상의 에지부분이 추출되고, 계조수가 감소하고, 화면의 밝기가 증가하므로, 원화상은 핸드 일러스트레이션과 거의 유사한 인상을 부여하는 화상으로 변환된다. 도20A에서 도시된 화상은 캐논주식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한 디지털카메라인 파워샷 A5(표명)으로 촬영되고 810,000화소를 갖고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한 필터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화상의 에지를 추출하는 필터로서, 예를 들면, 라플라시안 필터(Laplacian Filter)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라플라시안 필터에서는 필터의 중앙에 위치한 주목화소의 계수(가중치)는 화상의 농도변환점의 추출, 즉 에지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주위 화소의 계수보다 크게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에지 추출을 위한 라플라시안 필터에서 계수의 총합은 "0"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용 필터(이제부터는 단순히 "필터"로서 칭함)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5에 도시된 필터(40),즉 도5에 도시된 계수를 구성하는 5x5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40에서, 주목화소의 계수는 "26"으로 설정되어 있고, 모든 주위의 화소는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계수의 총합은 "2"로 된다.
본 실시예의 필터는 도5에 도시된 필터에 제한되지 않고, 계수의 총합은 0보다 크거나 동일하여야 한다. 도6A 내지 도6C는 필터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6A는 필터(40)의 계수에서 "1"을 감산함으로써 주목화소의 계수가 "25"로 설정되는 필터(61)을 도시하고, 도6B는 필터(40)의 주목화소의 계수에 "1"을 가산함으로써, 주목화소의 계수를 "27"로 설정하는 필터(62)를 도시한다. 필터(61)을 사용하여 필터링된 화상은 필터(40)에 의해 얻어진 화상보다 더 어두워지고, 필터링된 화상은 필터(40)을 통해 얻은 화상보다 더 밝아진다. 그러므로 이 필터링 결과의 특성에 따라서, 필터(40)가 일반적인 필터로서 사용되면 필터(61)와 필터(62)는 각각 비교적 어두운 필터와 밝은 필터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필터의 특성은 다음의 사실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즉, 화상의 균일한 농도영역이 필터링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필터 계수의 총합이 "2"로 되는 경우, 산호값, 즉 화상의 밝기는 두배가 되고; 필터 계수의 총합이 "3"으로 되는 경우, 화상의 밝기는 세배로 된다.
도6C는 필터(40)에서 주목화소의 주위에 있는 주위화소의 계수가 간인(Thinning out)한 필터(63)를 도시한다. 이 필터에서 주목화소의 계수는 계수의 총합을 "2"로 유지하기 위해 "18"로 설정되어 있다. 필터(63)를 사용한 필터링에 의하면, 계수번호는 감소하고, 필터링시에 계산분량은 감소하여, 처리속도는 향상될 수 있다. 필터(62)의 계수는 수직,수평 및 경사진 방향에서 에지검출을 고려하면, 필터(62)의 계수는 간인된다.
5x5 필터를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필터의 예로서 설명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다른 크기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실용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크기는 nxn(n=2 x m+1(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상이한 수직적 크기와 수평적 크기를 갔을 수도 있다. 도7은 다른 크기를 갖는 필터의 일예로서 3x3 필터를 도시한다. 도20A에서 도시된 원화상은 도7A에 도시된 3x3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면 도20B에 도시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20B에 도시된 화상에서는, 원화상으로부터 에지가 추출되고 사진화상과 계조수가 감소하고, 밝기는 증가한다. 그러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효과는 5x5 필터(40)에 의거하여 도20C에 도시된 이미지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효과 보다 낮아진다. 이것은 5x5 필터는 추출된 에지를 더 두껍게 나타내도록 기능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처리시에, 변환된 화상의 추출에지의 두께는 필터의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그러므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시의 최적한 필터의 크기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5x5나 3x3 필터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원화상의 화상크기나 해상도와 또는 화상내의 목적물의 미세함 등에 좌우한다. 예를 들면, 큰 필터가 큰 사이즈나 고해상의 화상이나 거친 목적물을 포함하는 화상에 적용되거나, 또는 소형 필터가 작은 사이즈나 낮은 해상도의 화상이나 미세한 목적물을 포함하는 화상에 적응될때에 추출된 에지는 전자의 경우보다 두꺼워지거나 후자의 경우보다 얇아지게 된다. 한편, 필터의 크기는 목적물의 밝기에 따라서 설정되어도 된다. 더욱이, 필터의 크기는 요구되는 처리속도에 따라서 설정되도록 된다.
본 실시예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처리시에, 화상데이터의 계조수는 감소하지만, 밝기는 항상 증가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필터처리는 화상의 크기나 해상도 및 목적물의 미세함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매뉴얼 명령에 응답하여 선택되어도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매뉴얼 선택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3의 스텝S24에서는, 단계S23에서 보정된 원화상은 상기한 필터를 사용하여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81에서, 화상의 밝기는 상기 스텝S22에서 생성된 휘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검출된다. 검출방법으로서, 평균값, 중앙 또는 최대 빈도값은 휘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계산되고, 복수의 밝기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소정의 한계값과 비교된다. 예를 들면, 미리 통상의 밝기 레벨에 따라서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고, 소정의 범위보다 더 밝은 값을 갖는 화상은 "백색" 레벨을 갖도록 결정되고, 소정의 범위보다 낮은 밝기를 갖는 화상은 "흑색" 레벨을 갖도록 결정함으로써, 세종류의 상이한 밝기 레벨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81에서 검출된 백색레벨에 의거하여, 필터는 단계S82, S83 및 S84에서 설정된다. 즉, 원화상이 "백색" 레벨을 가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어두운 필터로서의 필터(61)는 스텝S82에서 설정되어 변환결과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원화상이 통상의 레벨을 가지는 경우, 통상의 필터로서의 필터(40)가 스텝S83에서 설정되고, 원화상이 "흑색"레벨을 갖을 경우, 상대적으로 밝은 필터로서의필터(62)가 스텝 S84에서 설정되어 변환된 화상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스텝S85에서, 원화상은 선택된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어, 적절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결정된 백색 레벨의 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레벨 단위로 적절한 효과를 제공하는 필터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 구동기(105)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므로, 원화상의 영역전체는 일괄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원화상은 복수의 라인으로 각각 구성된 영역블록으로 분할되고,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블록 단위로 행하여 진다. 그러므로, 변환된 화상에서 현저하게 되는 블록경계면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필터크기는 예를 들면, 3x5필터나 각 블록의 최종라인에 가까운 필터 등의 더 작은 필터로 변경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경계면의 연속성은 변환된 화상에서 유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화상은 화상데이터만을 수정하여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쉽게 실행하고, 또한 핸드 일러스트레이트화된 유사한 화상은 원화상의 분위기를 갖은 상태로 얻어지고, 그로 인해 화상의 밝기는 증가한다. 일러스트레이션 편집된 화상은 원화상보다 작은 계조수를 갖기 때문에 화상의 데이터 크기는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화상의 휘로 히스토그램이 생성되고, 원화상은 그 휘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화상보정처리를 실행한다. 화상보정처리후에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그러나, 휘도 히스토그램에 의거한 화상보정처리가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만이 히스토그램이 생성된 직후에 이루어지면 처리속도는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원화상의 노출상태 등에 응답하여 원하는 밝기를 지정하는 경우, 스텝 S22에서 히스토그램생성은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시의 필터제어는 배경과 목적물 사이의 콘트라스트 정보와 화상이 속해있는 화면정보 등의 화상보정처리에 의거한 매개변수에 의해 제어되고, 매개변수는 화상보정처리시에 색보정 등을 수행할 때에 판별조건으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휘도산호Y의 히스토그램이 생성된다. 또는 밝기검출은 원화상데이터 휘도/색도 변환을 실행하지 않고 G성분의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행하여 진다. 이경우에는, 처리속도의 증가는 휘도/색도 변환이 행하여 지지 않으므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화상은 RGB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원화상이 다른 형식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다른형식을 갖는 원화상 데이터는 RGB형식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데이터의 각각의 색요소는 원화상이 적용되는 데이터 형식에 일치하는 필터나 본 실시예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원화상이 YMC 형식을 갖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필터의 계수의 부호를 반전하여도 된다. 원화상이 YHS형식 등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화상이 휘도성분만 추출할 수 있는 Lab형식을 갖을 때, 휘도 성분만이 필터링되고, 이에의해 RGB형식의 구성요소 단위로 필터링한 계산양과 비교할 때 계산양을 감소시킬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은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도스캐너 등에 의해 주사된 사진화상이 입력되거나 또는 CD-ROM 등의 외부장치의 매체에 저장된 사진화상도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계수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화상에지를 추출하고 계조수를 감소하고 화상의 밝기를 증가함으로써 얻는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화상은 필터 계수제어 이외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Adob 주식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포토샵(상표명) 등의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핸드-페인트화된 화상을 얻기 위해 오일페인트 처리 등의 변환처리를 행한 후에 화상전체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계조수를 감소시키는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미리 프로그램을 설정하여도 되고, 이에 의해 도20C에 도시된 핸드-일러스트화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원화상에 대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임의의 편집명령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상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시스템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대한 시스템 배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는 제2실시예의 화상편집처리를 표시한 흐름도이다. 도9에서, 동일한 스텝번호는 제1실시예의 도3의 스텝번호와 동일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9에 도시된 처리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하는 처리는 소정의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에 의해 수행되고, 다른 처리는 프린터구동기(103)에 있는 화상보정처리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상화상선택
단계S31에서, 사용자는 편집된 화상을 선택한다. 도10은 편집된 화상에 대한 선택윈도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선택윈도우는 소정의 화상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101)을 기동할때에 모니터(106)에 표시된다. 도10에서 참조번호(11)은 본 실시예의 편집처리를 실행하는 후보화상의 축소화상(썸네일화상)(Thumbnail Image)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상표시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들의 화상은 하드디스크(107)로 부터 또는 CD-ROM 등의 외부저장장치의 매체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RAM(109)이나 ROM(110)으로부터 판독출력된다. 화상표시프레임(11)상에 표시된 화상이 썸네일화상(축소화상)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리스트에 표시된 ??네일화상중에 임의의 한 화상이 선택되고; 복호화된 후에 표시 되어도 된다. 참조번호(14)는 화상 편집처리를 기동하기 위해 명령하는 버튼을 나타내고,(15)는 화상 편집처리를 종료하기 위해 명령하는 버튼을 나타낸다. 다른 기능 버튼도 제공되어도 된다. "enit"버튼(14)상에 표시된 텍스트표시 "List image"는 화상표시프레임(11)상에 있는 현제 화면이 화상의 리스트 표시임을 나타내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10에 도시된 대상화상 선택윈도우상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명령입력장치에 의해 화상표시프레임(11)의 소망의 화상위로 스크린상의 커서(16)를 이동하고, 클릭 등의 실행명령을 실시하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10에서, 화상표시 프레임의 우측 단부에 표시된 화상이 선택되고, 굵은 프레임으로 강조되어 있다. 복수의 화상이 선택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선택하면서, 선택된 화상이 결정되고, 화상 편집처리 시작명령이 발생된다.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RGB 형식으로 RAM(109)의 소정의 영역으로 로드된다.
·편집모드선택
스텝S32에서, 실행될 편집모드(본 실시예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미리 준비된 복수의 편집모드중 임의의 하나를 지정한다. 편집모드 선택처리에 대하여 도11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11은 편집모든선택 윈도우를 도시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집된 화상을 선택한후에 모니터(106)상에 표시된다. 도11에서, 참조번호(21)은 편집모드 모니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편집모드표시 프레임을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는 편집모드 리스트는 화상의 윤곽을 나타내는 화상과 함께 실행된다. 편집모드표시 프레임(21)은 버튼(22) 또는 버튼(23)의 동작시에 선행페이지 또는 후속 페이지를 나타냄과 동시에, 다른 편집모드를 나타낼수 있다. 참조번호(27)는 상세를 설정할 때에 누른 버튼을 표시한다. 참조번호(24)는 화상편집처리를 시작하기 위해 명령하는 버튼을 나타내고, (25)는 도10에서 표시된 대상화상 선택 윈도우로 복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11에서도, 다른 기능버튼이 설치되어도 된다. "Return"버튼 (25)유에 표시된 텍스트표시 "EDIT LIST"는 편집모드 표시 프레임(21)상의 현제표시는 편집모드의 리스트 표시인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개별적인 편집모드의 상세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텍스트 데이터를 원화상에 대해서 중복하여 프린트하는 편집모드블릭모드 (brick mode) 등에 대해서는, 각 모드에 적합한 소정의 색을 나타내는 RGB데이터는 소정의 패턴과 함께 텍스트 데이터로서 RAM(109)이나 ROM(110)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된다.
도11의 편집모드표시 프레임(21)에 표시된 개별적인 편집모드의 윤곽을 나타내는 화상은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도 되는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도10에서 선택되어 편집될 화상데이트나 썸네일 데이터는 실제로 개별적인 모드에 응답하여 편집처리를 실제로 실행하고, 처리결과는 편집모드표시 프레임(21)상에 표시하여야 된다.
도11에 표시된 편집모드 선택 윈도우상에서, 사용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명령입력 장치에 의해 편집모드 표시 프레임(21)상에 있는 소망의 편집모드로 스크린상의 커서(26)을 이용시켜서, 클릭 등의 실행명령을 실행하여, 소망의 편집모드를 선택한다. 도11에서 "Illustration"모드가 선택되고 굵은 프레임에 의해 강조되어 있다.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위한 상세설정
또한 사용자가 이상태에서 상태설정버튼(27)을 클릭할때에, 사용자는 일러스트레이션모드에서 즉,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시에 임의로 편집처리에 대한 상세한 매개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12에서, 참조번호(31)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 프레임을 나타낸다. 버튼(32) 또는 버튼(33)의 동작시에, 화상표시프레임(31)은 사용지가 설정할 수 있는 다른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참조번호(35)는 도11에 도시한 편집모드 선택 윈도우로 복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을 나타낸다. 텍스트 표시 "Illustration mode details"은 화상표시프레임(31)상의 현재화면은 모의일러스트레이션 처리시에 상세 아이템을 설정하여야 하는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화상표시프레임(31)내에 표시된 필드(38)와 필드(39)는 각각 밝은 설정과 입상설정 매개변수로 사용된다. 밝기설정필드(38)에서, 사용자는 일러스트레이션 편집된 화상을 상대적으로 밝게하기를 원하는지 또는 어둡게 하기를 원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High brightness setting"버튼이나 "Low brightness setting" 버튼을 선택한다. 물론 "normal setting" 버튼은 디플트로써 선택된다. 필터는 선택된 밝기 매개변수에 응답하여 선택된다. 입상설정필드(39)에서, 입상편집처리가 실행되는지의 여부는 on 버튼 또는 off버튼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면, on 버튼은 디폴트로써 선택된다. 도12에 도시된 설정항목은 단순히 예이고, 다른 매개변수에 의거하여 설정된 항목이 제공되어도 되는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필터 크기의 설정에 알맞은 매개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상세항목을 설정하는 것을 완료할때에, 사용자는 "Rrtrun" 버튼(35)을 눌러서 도11에 도시된 편집모드 선택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edit" 버튼(24)를 클릭하여, 스텝S32에서 편집모드 셋업처리가 종료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세히 설정된 가상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개시된다.
제2실시예의 입상편집셋업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어서는 디지털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주로 실행한다. 그러므로, 편집될 화상은 이미 블록부호화,즉 JPEG 부호화를 실행하였기 때문에 블록부호화에 대한 특유한 블록왜곡이 현저하지는 않으나 생성된다.
제1실시예어서 도20A에 도시된 원화상예는 JPEG부호화된 다음에 복호화된 화상이다. 그러므로 도20C에 도시된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화상에서는, 필터링을 통하여 블록왜곡이 강조되기 때문에 미세한 잡음성분이 발생하여 입상을 형성한다. 그러나, 입상이 형성되므로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화상은 단조로운 인상을 전혀 주지 않는 유일한 화상이 된다. 제2실시예세서는 이와같은 입상이 일러스트레이션 효과의 하나 (입상효과)로 사용되고, 사용자는 그효과(입상효과)를 부가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9의 스텝S33에서는, 스텝S31에서 편집선택될 화상은 스텝S32에서 설정된 상세 매개변수와 편집모드에 의거하여 단독출력되고 편집될 원화상데이터로써 RAM(109)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된다.
·원화상 데이터 생성처리
일러스트레이션 모드가 선택될때에 실행되는 원화상 데이터 생성처리는 스텝S33에서 원화상데이터 생성처리의 일예로서 이하 설명한다. 도13은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에서 원화상 데이터 생성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41에서 입상편집셋업 매개변수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상편집셋업 매개변수가 "on"이면, 즉, 사용지가 입상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요구하면, 흐름은 단계 S42로 진행하여 편집될 선택화상이 블록부호화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편집될 화상이 블록부호화된 화상이면, 그 화상은 스텝S44에서 복호화된다. 한편, 편집될 화상이 블록부호화된 화상이 아니면, 그 화상은 스텝S43에서 JPEG에 의해 부호화 된다.
스텝43에서, 편집될 화상데이터는 화상데이터의 형식에 관계없이 JPEG 코드로 변환된다. 예를들면, 화상이 다른 형식에 의해 부호화되면, 화상은 복호화된 다음에 블록왜곡을 부여하기 위해 JPEG에 의해 부호화된다. 다음에 부호화된 화상은 스텝S44에서 복화화된다.
한편, 스텝S41에서 입상편집셋업 파매개변수가 "off"로 판정되면, 사용자는 입상효과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요구하였으므로 흐름은 스텝 S45로 진행하여 편집될 선택화상이 JPEG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편집될 화상이 JPEG 부호화 화상이면 그 화상은 스텝 S46에서 복호화된다. 또한 부호화된 화상은 스텝S47에서 평활화되어 불록왜곡을 제거한다. 한편, 스텝S45에서 편집될 화상이 JPEG 부호화 화상이 아니면, 화상은 예를들면, 화상의 형식에 응답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한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도13에서 도시된 흐름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입상편집셋업 매개변수가 "on"일 때 JPEG화상에 대한 처리속도는, 스텝S47에서 평활화가 스킵되었기때문에, 한층더 높게 된다.
·화상편집 모의 일러트레이션 처리
스텝S34에서는, 스텝S32에서 설정된 편집모드에서 화상편집처리는 원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실행된다. 스텝S34에서 화상편집처리의 일예로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14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4에서 도8과 동일한 스텝번호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도8의 스텝번호와 동일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14에서, 필터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에 있는 밝기 셋업 매개변수의 내용에 응답하여 스텝S82, 스텝S83 또는 스텝S84에서 설정되면, 이 필터는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설정되고, 스텝S81에서 판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danker edit" 셋업 매개변수가 선택되면, 비교적 어두운 필터로서의 필터(61)는 스텝S82에서 설정되고, "normal edit" 셋업 파라미터가 선택되면, 통상필터로서의 필터(40)가 스텝 S83에서 설정되고, "brighter edit"셋업 파라미터가 선택되면, 비교적 밝은 필터로서의 필터(62)가 스텝S84에서 설정된다. 선택된 필터에 의거하여, 원화상은 스텝S85에서 필터링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모의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입상편집 셋업매개변수가 ON 인지 OFF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21A내지 도21C는입상편집셋업 매개변수가 OFF인때에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1A는 TIFF형식으로 압축된 화상을 압축을 풀어서 얻은 화상을 도시한다. 즉, 이 화상은 JPEG에 특유한 임의의 블록왜곡을 가지지 않는다. 도21A는 일본화상전자 학회의 표준화상(SHIPP)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표준화상은 4,096x3,027(대략12.5백만)화소를 갖고 있다.
도21B와 21C는 필터(3x3)와 필터(5x5)를 사용하여 도 21A에 도시된 화상의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21C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입상의 생성이 억제된 단색 일러스트레이션 편집결과가 도20C에 도시된 입상화상과 비교하여 얻어진다. 도20A내지 도20C에서와 같이, 도21C에서 도시된 필터(5x5)에 의해 필터링된 화상은 도21B에 도시된 필터(3x3)을 사용하여 필터링된 화상보다 한층더 높은 일러스트레이션 편집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임의의 편집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모드의 상세화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처리시에 사용자가 특히 원하는 모드에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히스토그램생성 처리등이 실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속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특히 복수의 선택가능한 모드의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에서 편집처리를 예시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같이 특정한 편집모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편집처리가 소정의 순서로 실행되는 경우, 한층더 효과적인 편집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편집기능은 프린터 구동기에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운영체제가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시할때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설명서에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시에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와 영역은 RAM(19)의 소정의 영역에 확보되어 있다. 이 영역은 편집처리를 수행하는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행할때에 확보되거나 또는 영역이 필요할 때 확보된다.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과다의 메모리 영역은 확보딜 필요가 없으므로,한층더 넓은 메모리 영역이 다른 처리에 할당될 수 있고, 따라서 메모리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필터링에 의해 화면상에 실행된다.
그러나, 이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프린터 구동기에 의해 실행될 때에 다음의 문제가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 프린터등으로 나타내는 일련의 프린터는 사용된 메모리 크기를 절약하기 위하여 래스터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이경우에, 화상은 분할되어 처리되므로, 단일의 처리부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데이터를 항상 가질 수 없으며, 한 라인에 대해서만 극단의 경우로 처리된다. 따라서 화상에 대하여 화상이 필터링에 의하여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하는 경우, 주목화소 이외의 필터된 화소수는 매우 작게된다. 이것은 편집결과로서 얻은 화질의 악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3실시예는 래스터화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예시할 것이다.
제 3실시예에서, 프린터 구동기에 의한 시스템 구성과 처리윤곽은 제1실시예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결과 동일하므로,이에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
제3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필터를 사용하여 원화상의 RGB플레인을 필터링 함으로써, 원 화상은 쉽게 핸드 일러스트레이트화된 화상으로 변환된다. 계산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RGB데이터는 휘도와 색차 신호로 분리하여, 휘도신호만을 필터링하고, 색차신호는 소망의 밝기에 응답하여 주어진 상수를 곱한다. 휘도(Y)/색도(C1, C2) 변환은 다음식에 의해 계산된다.
Y = 0.3OR + 0.59G + 0.11B
C1 = R - Y
C2 = B - Y
휘도와 색도 변환식은 위의 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다른식을 사용할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휘도신호Y는, 예를들면 도5에 도시된 필터(40)을 사용하여 모의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행해진다. 주목화소의 계수(가중치)는, 원화상이 충분한 노출(표준밝기)을 가지면, 즉, 필터를 규정하는 계수의 총합이 "2"라는 규칙에 일치하여야 하는 경우, "26"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대적으로 어두운 화상을 얻어야 하는 경우, 주목화소의 계수는 "25"로 설정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밝은 화상을 얻어야 하는 경우에는 주목화소의 계수(가중치)는 "27" "28",......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노출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원 화상은 화상보정처리부(120)에 의해 보정되어야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19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소망의 밝기 레벨을 선택할 수 있고, 주목화소의 계수는 선택된 밝기 레벨에 응답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준밝기 레벨을 설정하기를 원하는 경우, 휘도신호Y는 Y'를 얻기위해 필터(40)를 사용하여 필터링되고, 색차신호 C1과 C2는 다음식에 의해 편집되어 진다;
C1' = K x C1
C2' = K x C2
여기서, K는 사용자가 지정한 밝기 레벨에 응답하는 산수이다. 예를 들면, 표준밝기레벨이 설정될 때에, K=2이고; 좀더 밝은 모드가 선택될때에 K=3,4,....가 설정된다. K는 정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얻은 Y', C1' 및 C2'는 R.G 및 B값으로 재변환되어, 제3실시예의 모의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완료한다.
·래스터화된 화상에 대한 대책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가 야기된다. 즉, 일련의 프린터는 산호화상을 일괄처리할 수 있는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는 달리, 소위 래스터라이제이션을 수행하므로, 화상은 분할처리되고, 따라서 필터(5x5)처리는 불가능하게 된다.
화상이 일괄처리 되는 경우에도, 화상의 상부,하부, 우측 및 좌측의 단부영역은 필터(5x5)처리를 행할 수 없다. 필터(5x5)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도15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15에서 참조번호(700)는 처리될 화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단일의 장방형은 단일의 화소를 나타낸다. 화상(700)의 좌측 상부영역에 위치한 주목화소(701)가 처리될 화소로 가정하면, 화소(701)는, 예를들면 필터(5x5)처리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영역의 화질은 필터(5x5)처리를 행할 수 있는 다른 영역의 화질과는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임의의 필터 처리시에도 발생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화상의 단부에서만 발생하므로, 시각적으로 현저하지 않고,따라서 심각하게 되지 않는다.
주목화소(701)를 처리하는 경우에, 주목화소에 인접한영역(702)에 위치하고 또한 5x5필터링을 행할 수 있는 화소(이제부터는 유효화소로 칭함)의 수에 응답하여 주목화소(701)의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목화소(701)에 대한 특별필터로써, 표준밝기 레벨을 갖는 출력이 요구될때에 계수의 총합이 "2"를 갖는 필터는 필터의 계수의 총합은 양인규칙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고, 영역(702)의 필터링시에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화상이 일괄처리되는 경우, 필터 처리는 화소의 세개이상의 열 또는 행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또한, 특정한 필터처리는 화상 단부에 대해서만 행해지므로 필터처리, 즉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거의 시각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완료된다. 시각적으로 전혀 부자연스럽지 않는 영역이 유효화소의 세 개이상의 열 또는 행에 대한 필터처리의 결과로써 형성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화상데이터가 프린터구동기에서 마찬가지로 래스터화 될 때에, 복수의 라인(즉, 3개 이상의 라인)에 대한 화상데이타가 반드시 분할된 처리 단위로서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신호화상은 복수의 지역단위로 처리되므로, 상이한 필터가 모든 처리부에서 사용되면, 화질차이는 영역의 경계선상에서 현저하게 된다.
극단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상이 비스듬히 설정되는 경우, 화상은 도16B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직사각형 영역을 확보한 영역(801)은 복수의 라인에 대한 일반 필터처리를 행하지만, 비직사각형영역(802)은 최악의 경우에 라인의 단위로 필터처리를 행하여야 한다. 그 결과, 처리결과 차이는 영역단위로 현저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는 화상이 특정한 형상, 즉 하트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의 원리는 주목화소와 주변화소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여야 하므로, 화소사이의 급격한 변화를 가지는 부분, 즉 에지부분이 강조된다. 즉, 본 발명의 본질은 주목화소와 주위화소의 차이를 한층더 강조시켜야 하므로,상기에서 언급한 결점은 형성될 수 있는 필터의 크기에 따라서 계수를 조정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17은 제3실시예에서 래스터하된 화상데이터에 대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화상데이터는 래스터화에 의해 주어진 처리단위로 분할되어 입력된다(S131). 처리단위로서 그 화상의 데이터의 라인수에 대응하여 필터가 설정된다. 처리될 데이터를 형성하는 라인수가 일반필터 처리를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2). 일반 필터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스텝S134로 진행하여 특정한 필터를 설정한다. 예를들면 처리될 데이터가 단일의행(또는 단일의 열)으로 되는 경우, 도18A에 도시된 특정의 필터가 사용되고; 처리될 데이터가 두개의 행(또는 2열)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18B에서 도시된 특정의 필터가 사용된다. 도18A 및 도18B에 도시된 각 특정의 필터에서 주목화소의 계수P는 사용자가 편집결과로서 소망하는 화상의 밝기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표준밝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필터는 계수의 총합이 "2"가 되도록 실행된다. 처리될 데이터가 한 개의 행의 화소대신에 한 개의 열의 화소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이와같은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처리될 화소데이터를 형성하는 라인의 수가 일반 필터 처리를 행할수 있는 경우, 일반필터(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x5)가 스텝S133에서 설정된다.
스텝135에서는 처리될 데이터는 스텝S133과 스텝S134에서 설정된 필터에 의거하여 필터링되고, 따라서 제3실시예서어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완성하게 된다. 단계 S136에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모든 화소데이터의 라인에 대하여 완료되는 것이 판정될때까지 스텝S131 내지 스텝S135에서의 처리는 반복된다.
제3실시예의 특정의 필터는 도18A와 도18B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pxq용 크기(p와 q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어도 된다.
도18A와 도18B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목화소 이외의 주변화소는 한층더 큰 계수를 가지도록 설정된다. 특정의 필터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주목화소의 계수는 주변화소의 계수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특정의 필터에서 주변화소의 계수는 2의 거듭제곱이 되도록 바람직하게 설정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방식으로, 시프트동작이 허용되고, 따라서 간단한 연산로드(Light Arithmetic load)와 짧은 처리시간을 기대할 수 있다.
"유효화소"의 개수는 일반필터를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라인 수를 갖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도 짧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경우에 앞의 기술한 원리를 마찬가지로 적용함으로써, 분할된 지역의 경계선에 관한 어떤 문제점도 회피할 수 있다.
한층 더 큰 계수가 설정됨에 따라, 특징(에지)은 한층더 현저하게 된다. 그러나 최적한 정도의 강도는 일반 처리시에 필터가 사용된 상태에서 밸런스에 의존하므로, 가중치는 출력결과를 참조하면서 바람직하게 최종적으로 조정된다. 예를 들면, 계수는 유효화소수 및 주목화소로 부터의 거리에 응답하여 바람직하게 변경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지수는 래스터화될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간에 처리될 수 있는 라인 수에 응답하여 조정되는 경우, 처리영역의 경계에서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화성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이 비스듬히 놓이거나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실시예는 화상의 RGB정보를 휘도/색도차 정보를 변환시키는 방법과, 휘도정보만을 필터링하는 방법과 요구되는 밝기에 의거한 상수를 색상차 성분에 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RGB 정보자체나 다른 형식의 화상데이터가 필터링 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RGB형식 이외의 형식을 갖는 원화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RGB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색상요소는 본 실시예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원화상데이터 자체가 원화상데이터 형식에 따라서 필터처리를 행할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화상데이터가 YMC형식을 갖고 있는 경우,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필터 계수의 부호가 반전되도 된다.
게다가, 제3실시예는 YHS형식, Lab형식 등을 갖는 원화상데이터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이와같은 형식에서는, 휘도성분은 원화상으로부터 쉽게 추출할 수 있으므로, 휘도성분만이 필터처리를 실시하므로 RGB 형식의 성분단위로 필터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비해서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필터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효과를 더욱더 높게 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진 화상의 실현성을 추구하는 고정세의 컬러화상처리와는 반대로, 세피아톤 처리로 대표되는 단색편집 처리에 대한 필요성도 여전히 높다. 단색편집처리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된 필터 처리에 의해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한 화상이 다시 단색편집을 행하는 경우, 단색 크레용에 의한 스케치와 같은 특유의 화상이 제공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단색효과를 지정할때에 임의의 색조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지정할때에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는 단색편집전에 실행된다.
예를들면, 사용자는 도19A내지 19C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제부터는 UI로 칭함)를 사용하여 소망의 화성처리를 설정하고, 처리결과를 미리 볼 수 있다.
도19A는 화성처리 셋업 UI의 디폴트윈도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도 19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체크박스를 체크한후에, 사용자는 콘트라스트(밝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콘트라스트" 조정 레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레버의 조정위치에 따라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한 예상화상이 표시된다.
도19C는 도19B에 도시되 "모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처리후에 "단색화" 즉, 단색편집으로 설정된 UI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단색효과의 설정시 사용자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피아 등의 색조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컬러바를 사용하여 색조 전체로부터 널리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색조를 지정할 수 있다. "단색효과"만을 선택함으로써, 무색을 사용하여 단색편집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9C 의하면, 황색을 띤 녹색이 사용자 지정 색상으로 설정되고, 또한 지정된 색상을 사용한 단색편집후의 예고 화상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UI에서 예고화상에 만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OK" 버튼을 선택하여 화상처리의 상세설정 윈도우를 닫고, 설정내용은 프린터 구동기에 있는 RAM(도시되지 않음) 등에 유지된다. 이 방식으로, 화성처리의 실행시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편집처리를 행한 화상은 유지된 설정내용에 의거하여 얻을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가 휘도/색차 신호의 단위로 행하는 경우, 색차 신호는 임의의 색조로 설정되고, 쉽고 빠른 단색편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0A에 도시된 원화상이 모의 일러스트렝션 처리와 세피아톤을 사용한 단색편집 처리를 행할때에, 도20D에 도시된 단색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4실시예에 의하면, 사진화상데이터는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 이외에 임의의 색조를 사용한 단색편집처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처리에 대한 지식이 결핍되어 있는 사용자이어도 다양한 형태와, 특유의 화상처리 등을 포함하는 소망의 처리를 행한 화상을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진화상을 한층높은 자유도로 편집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한층더 높은 원래의 성질을 갖는 화상이 쉽게 만들어진다.
제4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화상은 화상처리의 설정으로서 모의 일러스트레이션 처리와 단색편집처리를 실시한다. 다른 화상처리도 동시에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UI를 사용하여 편집화상의 거칠기를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해상도 변환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예를들면, 호스트컴퓨터, 인터페이스장치,판독기,프린터등)로 구성된 시스템 또는 단일의 장치(예를들면, 복사기,팩스밀리 장치등)로 구성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즉 CPU 또는 MPU)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출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매체로부터 판독출력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시키고,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는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광디스크,자기광학디스크,CD-ROM, 자기테이프,비휘발성 메모리카드,ROM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한 판독출력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에 의거하여 컴퓨터를 운영하는 OS(운영체제)에 의해 실행되는 일부 또는 모두의 실질적인 처리 연산에 의하여 수행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상처리 방법에 의하여 얻은 생산물, 즉 인쇄출력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확장카드에 또는 컴퓨터에 접속한 기능확장부에 형성된 메모리에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될 프로그램코드가 기록된후, 기능확장카드 또는 기능확장부에 포함되는 CPU등은 프로그램 코드의 지정에 따라서 일부 또는 전체의 처리를 행하여 상기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이전에 언급한 기록매체에 적용되는 경우에, 기록매체는 실시예에서 설명된 흐름도 (도3,도4,도5,도9, 도13,도14 및 도17)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JPEG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예를들면, 스케일 인텍스코딩으로 칭하는 방법)이 블록코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은 확실히 광범위하게 상이한 다수의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함에 기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6)

  1. 제2화상을 얻기 위하여, 제1화상의 에지를 추출하여 얻는 제1 산호와 계조수를 감소하여 얻은 제2신호에 의거하여, 제1화상을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신호는 제1화상의 계조수를 감소함과 동시에 밝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처리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2화상으로서 제1신호와 제2신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소정의 필터를 사용하여 제1화상을 필터링함으로써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계수를 가지며, 계수의 합은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6. 제5항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필터는 계수를 가지며, 계수의 총합이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양의 계수를 갖는 단일의 주목화소를 갖고, 기타의 모든 화소는 음의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5화소x5화소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계수가 26인 주목화소를 갖고, 기타의 모든 화소는 계수가 -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3화소x3화소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필터는 소정의 필터의 그와같은 계수에 의해 형성되고, 주목화소의 계수 이외의 다른 화소의 계수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1화상의 밝기에 의거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1화상이 어두워짐에 따라 필터에 한층 더 큰 계수의 총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제1화상의 휘도분포를 계산하는 휘도분포산출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수정단계는 휘도 분포에 의거하여 제1화상의 밝기를 검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1화상의 평균휘도에 의거하여, 제1화상의 밝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산출단계는 제1화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상기 휘도히스토그램의 중앙값에 의거하여 제1화상의 밝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의 최대 빈도에 의거하여 제1화상의 밝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휘도 분포에 의거하여 제1화상을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수정단계는 보정단계에서 생성된 보정조건에 의거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소정수의 라인을 구성하는 각 블록의 단위로 제1화상을 수정하는 단계와, 블록에서 수정하기 위한 목표라인 위치에 따라서 필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제1화상은 사진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처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화상이 불록부호화된 경우, 제1화상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1화상을 평활화한후 제2화상을 얻기 위하여 복호화 단계에서 복호화된 제1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제1화상이 블록부호화 화상이 아닌 경우 제1화상을 일시적으로 블록의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단계와 제2화상을 얻기위해 제1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제2화상을 기록매체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제1신호는 제1신호 전체의 속성에 따르는 농도두께를 갖는 에지를 추출함으로써 얻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체의 속성은 화상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체의 속성은 화상의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체의 속성은 수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소정의 단일수정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입력단계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는 수정모드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복수개의 수정모드는 수정단계에서 제1화상은 제2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명령입력단계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제1화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제1화상에 대한 수정모드로써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에서 상세한 수정내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수정단계는 명령입력단계에서 상세하게 설정된 내용에 의거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필터를 사용한 필터처리에 의해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세히 셋업된 내용은 수정된 화상의 밝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단계는 상세히 설정된 내용에 의거하여 설정된 수정화상의 밝기가 밝아짐에 따라 필터의 계수의 총계를 한층더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세히 설정된 내용으 수정된 화상이 입상화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셋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처리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세히 설정된 내용은 수정화상의 입상변환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1화상은 블록왜곡을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세히 설정된 내용은 수정화상의 입상변환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1화상은 JPEG 부호화 화상이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정모드는 제1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단색효과 모드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 단계는 제1화상을 제2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명령이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와 단색효과 모드를 지정하는 경우 제2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하는 단색효과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는 제1화상의 휘도와 색차신호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색효과 모드는 제2화상의 색차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화상처리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 단계가 단색효과 모드에 색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 방법은 제1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부할단계와; 각 분할 영역의 처리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수정단계는 제2화상을 얻기 위해 영역단위로 제1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분할단계는 영역단위로 제1화상을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지역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영역단위로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영역 단위로 설정된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처리를 실행하여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그 영역의 크기에 응답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영역의 라인 개수에 응답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설정된 필터는 다른 행과 열의 크기를 갖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방법.
  48. 제44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각 지역마다 필터계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필터는 계수를 갖고 있으며, 계수의 총합은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필터는 정의계수를 갖는 주목화소를 갖고 있고, 기타의 모든 화소는 음의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필터는 필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주목화소의 계수와 다른 화소의 계수의 절대치를 증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필터는 주목화소의 계수와 다른 계수를 갖고 있으며 계수는 2의 거듭제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3. 제44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소정의 크기보다 작지않는 크기를 갖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4. 제44항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사용자 명령에 의거하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5. 제1화상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제1화상의 에지를 추출하여 얻는 제1신호와 계조수를 감소하여 얻는 제2신호와 제2화상을 얻기 위해 제 1화상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수단과; 제 2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처리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수단은 소정의 필터를 사용해서 제1화상을 필터링하여 제2화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기록매체상에 제2화상을 프린트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8. 제55항에 있어서, 제1신호는 제1신호 전체의 속성에 따른 두께를 갖는 모서리를 추출하여 얻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9. 제55항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수정모드 중에 소망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명령입력수단과;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수정모드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 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복수의 수정모드는 상기 수정수단에 의해 제1화상을 제2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정모드는 제1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시키는 단색효과 모드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은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와 단색효과 모드의 양자를 지정하고, 상기 화상처리 수단은 제1화상을 제2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실행시키고, 또한 제2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시키는 단색효과 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2.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제1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단계와; 분할된 각 영역의 처리내용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수정단계는 제2화상을 얻기위해 영역단위로 제1화상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수단은 영역단위로 제1화상을 생성시킴으로써 복수의 영역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4. 제1화상에 의거하여 제2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제2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장치를 접속하는 화상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제1화상의 에지를 추출하여 얻은 제1산호와, 톤레벨의 개수를 감소하여 얻은 제2신호에 의거하여 제2화상을 얻기위해 제1화상을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수단은 소정의 필터를 사용하여 제1화상을 필터링함으로써 제2화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수단은 제1화상의 단위영역에서 상이한 필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출력장치는 기록매체상에 제2화상을 프린트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68. 제64항에 있어서, 제1화상을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를 부가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목적화상을 감지함으로써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광학적으로 사진을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생성하는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71.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수정모드중 소망의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입력수단과; 사용자 명령과 대응하는 수정모드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편집수단에 의해 제1화상을 제2화상으로 변환시키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정모드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화상처리시스템은, 복수의 수정모드는 제1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하는 단색효과 모드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사용자 명령은 일러스트레이션 모드와 단색효과 모드의 양자를 지정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제1화상을 제2화상으로 변환하는 일러스트레이션 모드를 실행한 다음에, 제2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환시키는 단색효과 모드를 실행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73. 화상처리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1화상의 에지를 추출하여 얻은 제1신호와 계조수를 감소하여 얻는 제2신호에 의거하여 제2화상을 얻기 위해 제1화상을 수정하는 수정단계의 코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74. 제1항내지 제54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5. 제1항내지 제54항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화상처리방법에 의해 수정된 제2화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6. 에지를 강조하고, 계조수를 감소하고, 밝기를 증가시키는 처리를 행한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9-0057713A 1998-12-14 1999-12-14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억매체 KR100374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55256 1998-12-14
JP35525698A JP3689574B2 (ja) 1998-12-14 1998-12-14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1999-189637 1999-07-02
JP18963799A JP3673675B2 (ja) 1999-07-02 1999-07-02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75A true KR20000052475A (ko) 2000-08-25
KR100374019B1 KR100374019B1 (ko) 2003-02-26

Family

ID=2650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13A KR100374019B1 (ko) 1998-12-14 1999-12-14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38810B1 (ko)
EP (1) EP1014688B8 (ko)
KR (1) KR100374019B1 (ko)
CN (1) CN1114888C (ko)
AT (1) ATE428995T1 (ko)
DE (1) DE69940719D1 (ko)
SG (1) SG751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594B1 (ko) * 2005-06-30 2008-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농도 결정 방법,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
KR20190124387A (ko) * 2018-04-26 2019-11-05 이용호 이미지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086A (ja) * 2001-10-11 2003-04-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323748B2 (ja) * 2002-02-21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3299116A (ja) * 2002-04-01 2003-10-17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46644A (ja) * 2003-02-14 2004-09-02 Pentax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519907B2 (en) * 2003-08-04 2009-04-14 Microsoft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age editing using an image stack
US7466868B2 (en) * 2003-10-03 2008-12-16 Adobe Systems Incorporated Determining parameters for adjusting images
US7412105B2 (en) 2003-10-03 2008-08-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Tone selective adjustment of images
US20050212726A1 (en) * 2004-03-16 2005-09-29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burn-in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burn-in on display device
JP3990375B2 (ja) * 2004-03-30 2007-10-10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050264849A1 (en) * 2004-05-28 2005-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Printer
US7502516B2 (en) * 2005-02-17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xtensible codec architecture for digital images
JP4766302B2 (ja) * 2005-03-22 2011-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17716B1 (ko) 2005-06-0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4765667B2 (ja) * 2006-02-27 2011-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GB2438905B (en) * 2006-06-07 2011-08-24 Tandberg Television Asa Temporal noise analysis of a video signal
US8456709B2 (en) * 2009-11-17 2013-06-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lookup table generation method
US8351099B2 (en) * 2009-11-19 2013-01-08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Hue specific monochromatic printing mechanism
JP4998590B2 (ja) * 2010-05-18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964293B (zh) * 2010-08-23 2012-01-18 西安航空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金相显微组织图像处理方法
JP5703707B2 (ja) * 2010-11-18 2015-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073872B (zh) * 2011-01-20 2012-10-10 中国疾病预防控制中心寄生虫病预防控制所 基于图像的寄生虫虫卵形状识别方法
US8818125B2 (en) * 2011-10-07 2014-08-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ene adaptive filter design for improved stereo matching
CN102810200A (zh) * 2012-06-15 2012-12-05 成都平行视野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批处理的方法
JP6593675B2 (ja) * 2014-02-28 2019-10-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796277B2 (ja) 2016-05-23 2020-1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493293A (zh) * 2018-10-30 2019-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显示设备
CN111080543B (zh) * 2019-12-09 2024-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71227D1 (en) 1981-09-12 1985-08-08 Hell Rudolf Dr Ing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rinting plates by means of printing irregularly distributed points
JPS60124170A (ja) 1983-12-09 1985-07-03 Canon Inc 画像読取り装置
USRE34309E (en) 1984-12-26 1993-07-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or device having plural photoelectric converting elements
US4825295A (en) 1985-08-09 1989-04-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US4914519A (en) 1986-09-19 1990-04-0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eliminating noise in a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JPS62172867A (ja) * 1986-01-25 1987-07-29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053896A (en) 1986-05-14 1991-10-01 Canon Kabushiki Kaisha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received data onto a recording medium
US5276581A (en) 1986-05-14 1994-01-04 Canon Kabushiki Kaisha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unrecorded memory
JPH07120767B2 (ja) 1986-09-19 1995-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US4835404A (en) 1986-09-19 1989-05-30 Canon Kabushiki Kaisha Photoelectric converting apparatus with a switching circuit and a resetting circuit for reading and resetting a plurality of lines sensors
JP2556486B2 (ja) 1986-11-14 1996-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ィルム読取装置
DE3839299C2 (de) 1987-11-20 1995-06-01 Canon Kk Bildverarbeitungseinrichtung
US5038223A (en) 1988-02-29 1991-08-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arting a pictorial or painter-like effect
JP2740517B2 (ja) 1988-06-15 1998-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EP0358459B1 (en) * 1988-09-08 1996-06-19 Sony Corpora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US5245432A (en) * 1989-07-31 1993-09-14 Image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digitized signal of an image to incorporate an airbrush effect
JPH0391087A (ja) 1989-09-04 1991-04-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5949556A (en) 1989-09-04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uitable for changing the number of colors in an image
JP2844573B2 (ja) 1989-09-04 1999-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2662105B2 (ja) 1991-04-08 1997-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密着型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ならびにファクシミリ
JPH06502055A (ja) 1991-04-26 1994-03-03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ビデオ・ディスプレイ上でグラフィカル・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ことによってデータ変換処理を実行できるようにしたコンピュータ/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
JPH0594523A (ja) 1991-10-01 1993-04-16 Yokogawa Medical Syst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3194041B2 (ja) 1992-06-08 2001-07-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MY138010A (en) 1992-06-11 2009-04-30 Canon Kk Contact type image sensor,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165747B2 (ja) 1992-09-28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3040896B2 (ja) * 1993-06-16 2000-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7114638A (ja) 1993-10-15 1995-05-0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H07121702A (ja) 1993-10-22 1995-05-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5621868A (en) 1994-04-15 1997-04-15 Sony Corporation Generating imitation custom artwork by simulating brush strokes and enhancing edges
JPH0888775A (ja) 1994-09-19 1996-04-02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処理装置
JPH08138043A (ja) 1994-11-10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JP3343457B2 (ja) 1994-12-22 2002-11-1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806287B2 (ja) 1995-01-13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画質評価装置
JP3700871B2 (ja) * 1995-11-11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変換装置
JP3950501B2 (ja) 1996-10-31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H10304184A (ja) 1997-05-02 1998-11-13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120724B2 (ja) * 1998-08-18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1060247A (ja) * 1999-06-14 2001-03-06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594B1 (ko) * 2005-06-30 2008-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농도 결정 방법,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
KR20190124387A (ko) * 2018-04-26 2019-11-05 이용호 이미지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8058A (zh) 2000-06-28
CN1114888C (zh) 2003-07-16
EP1014688B8 (en) 2009-07-15
EP1014688A3 (en) 2003-08-20
SG75190A1 (en) 2000-09-19
ATE428995T1 (de) 2009-05-15
KR100374019B1 (ko) 2003-02-26
DE69940719D1 (de) 2009-05-28
EP1014688A2 (en) 2000-06-28
EP1014688B1 (en) 2009-04-15
US7038810B1 (en)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019B1 (ko) 화상처리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및 기억매체
US79404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image processing,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n image processing program
US6608926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0900277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17717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903852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123392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pecifies edge pixel in target image using single-component image data
JP2005190435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1059276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program executable by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641785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581637A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1037303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executes halftone process on target image data including edge pixel
JP4208384B2 (ja) 画像変換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画像変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6018465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8369614B2 (en) Edge control in a digital color image via tone and size dependent dilation of pixels
JP3689574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1326815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1175843A (ja) 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673675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9016962A (ja) 画像印刷装置、画像印刷方法、画像印刷プログラム
US7817303B2 (en) Image processing and image forming with modification of a particular class of colors
JP5689090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0322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018204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3023374B2 (ja) 複写機の像域別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