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367A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367A
KR20000048367A KR1019990061029A KR19990061029A KR20000048367A KR 20000048367 A KR20000048367 A KR 20000048367A KR 1019990061029 A KR1019990061029 A KR 1019990061029A KR 19990061029 A KR19990061029 A KR 19990061029A KR 20000048367 A KR20000048367 A KR 2000004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optical
shaft
supported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397B1 (ko
Inventor
시오미데쓰히로
모리시타도모아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21/081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 G11B21/083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광학 픽업 장치를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정보 신호를 기록(기입) 및/또는 재생(독출)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다. 베이스 섀시는 광학 장치가 장착된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헤드 이송 기구는 광학 픽업 장치를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는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한다. 이송축의 베어링부는 베이스 섀시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HEAD FEED MECHANISM FOR DISK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이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따라 광학 픽업 장치를 이동시켜 정보 신호의 기록(기입) 및/또는 재생(독출(讀出))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헤드 이송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디스크에 및/또는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른바 광 디스크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k), CD-ROM(read only memory) 등, 또는 광자기 디스크(OD: optical magnetic disk) 등이다.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턴테이블 상에 광 디스크를 수평으로 장착하여 회전 구동하는 한편, 광학 픽업 장치의 광학 헤드 수단에 의해 레이저광을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수직으로 조사(照査)하고 있다. 그리고, 광학 헤드를 광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정보 기록면에 정보 신호를 기입하거나, 미리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를 독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정보 신호가 기록된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과 그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설치된 광학 픽업 장치의 광학 헤드가, 어느 결정된 경사 범위에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는, 광학 헤드의 경사가 정보 신호 재생의 정확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광 디스크의 고밀도, 고정밀도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광학 헤드의 대물 렌즈의 광축을 정보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광 디스크의 경사, 스핀들 모터의 수직도, 대물 렌즈의 수직도 등에는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대물 렌즈의 광축을 정보 기록면에 대하여 정밀하게 수직으로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므로, CD나 CD-ROM 등의 광 디스크를 정보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광 디스크와 대물 렌즈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각의 허용 범위를 1.2 °이내(광 디스크의 경사각 규격이 0.6 °이내이고, 광 디스크 장치측에서의 스핀들 모터나 대물 렌즈의 경사각 규격이 0.6 °이내임)로 규격을 통일하고 있다. 그리고, 광 디스크가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광학 픽업 장치를 경동(傾動)시킴으로써 대물 렌즈의 광축을 결정된 경사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틸트(disk tilt) 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내측에 대략 4각형을 이루는 개구부가 형성된 판형(板形)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스핀들 섀시(2)와, 개구부가 형성된 판형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픽업 섀시(3)를 구비하고 있다. 픽업 섀시(3)는 스핀들 섀시(2)보다 약간 작다. 픽업 섀시(3)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축부(3a)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스핀들 섀시(2)에는 축부(3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부(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베어링부(2a)와 축부(3a)와의 조합에 의해, 픽업 섀시(3)가 스핀들 섀시(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2)의 전후 방향의 한쪽에는 틸트 구동 기구(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틸트 구동 기구(4)의 작동에 의해 픽업 섀시(3)가 스핀들 섀시(2)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 섀시(2)의 전후 방향의 다른 쪽에는, 스핀들 모터(5)가 회전축을 위로 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스핀들 모터(5)의 회전축에는, 광 디스크가 장착되는 턴테이블(6)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 픽업 섀시(3)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축(3b)과 가이드부(도에 나타나지 않음)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축(3b) 및 가이드부에는 광학 픽업 장치(7)의 슬라이드 부재(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그 슬라이드 부재(8)에는 도시하지 않은 랙(rack)이 고정되어 있고, 이 랙에는 헤드 이송 기구(9)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기어가 맞물려 있다. 이 헤드 이송 기구(9)를 구동시켜 회전력을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함으로써, 광학 픽업 장치(7)가 턴테이블(6)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도록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8)에는, 턴테이블(6)에 장착된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과의 경사각을 검출하는 틸트 센서(10)가 탑재되어 있다. 이 틸트 센서(10)는 정보 기록면으로 향해 광을 발사하는 동시에, 그 정보 기록면에서 반사되어 온 광을 받아 광 디스크의 휨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틸트 센서(10)의 검출 결과에 따라 픽업 섀시(3)의 경사를 변경함으로써, 정보 기록면의 경사에 대한 광학 픽업 장치(7)의 광학 헤드(7a)의 광축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한쌍의 가이드축(3b)과 가이드부로 광학 픽업 장치(7)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광학 픽업 장치(7)의 슬라이드 부재(9)에 장착된 랙을 픽업 섀시(3)에 설치한 헤드 이송 기구(9)의 말단 기어에 맞물리고, 헤드 이송 기구(9)의 구동력을 랙에 전달시켜 광학 픽업 장치(7)를 턴테이블(6)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도록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감속 기어가 필요하게 되어, 사용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져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장치 전체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와 이송축을 조합한 이송 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이 이송 기구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이송축의 축 방향을 일치시켜 연결한 것이다. 스테핑 모터는 모터 홀더를 통해 픽업 섀시에 고정되는 동시에, 이송축의 선단 부분도 개개의 베어링 부재를 통해 픽업 섀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 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감속 기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 스테핑 모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효한 수단이었다.
그런데, 스테핑 모터는 발생하는 토크(torque)가 작기 때문에, 모터나 베어링 부재의 장착 정밀도를 높힐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스테핑 모터 및 이송축의 장착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장착 작업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부품 개수가 많아져 비경제적이라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나아가, 스테핑 모터 및 이송축의 장착 정밀도가 나쁘면, 스테핑 모터의 부하(負荷)가 커져 작동 불량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축의 베어링부를 베이스 섀시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베어링부에 이송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사용하여 적합한 헤드 이송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메인 섀시 및 그 밖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디스크 트레이(disk tray)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섀시 및 베이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2축 커버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턴테이블을 단면(斷面)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척 플레이트(chuck plate) 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트레이 반송(搬送)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것으로, 턴테이블이 하강한 언로딩(unloading)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트레이 반송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것으로, 턴테이블이 상승한 로딩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섀시를 나타낸 것으로, 픽업 섀시가 전방으로 틸트(tilt)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베이스 섀시를 나타낸 것으로, 픽업 섀시가 후방으로 틸트한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2: 메인 섀시, 13: 디스크 트레이, 14: 베이스 홀더, 15: 베이스 유닛, 20: 로딩 모터, 27: 척 캠(chuck cam), 33: 광 디스크(광 디스크), 35: 개구부, 36: 베이스 섀시, 44: 스핀들 섀시, 45: 픽업 섀시, 47: 턴테이블, 48: 광학 픽업 장치, 51: 스핀들 모터, 56: 틸트 모터, 58: 틸트 캠, 68: 광학 헤드, 69: 이송축, 70: 이송 모터, 73: 캠 피스(cam piece), 76: 슬라이드 랙(rack).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있어서, 헤드 이송 기구는 베이스 섀시, 광학 픽업 장치, 및 픽업 이송 기구를 구비한다. 베이스 섀시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 디스크가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광학 픽업 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하여 광학 헤드를 면하게 하여 상기 적재된 정보 신호의 기입 및/ 또는 독출을 행한다. 픽업 이송 기구는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며, 상기 이송축은 상기 베이스 섀시와 일체로 설치된 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 트레이, 베이스 섀시, 광학 픽업 장치, 및 픽업 이송 기구를 구비한다. 디스크 트레이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 디스크를 디스크 장착 위치로 반송한다. 베이스 섀시는 상기 광 디스크가 장착된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광학 픽업 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하여 광학 헤드를 면하게 하여 정보 신호의 기입 및/또는 독출을 행한다. 픽업 이송 기구는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며, 상기 이송축은 상기 베이스 섀시와 일체로 설치된 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는 스핀들 섀시, 픽업 섀시, 드라이브 유닛, 및 드라이브축을 구비한다. 픽업 섀시는 상기 스핀들 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픽업 섀시의 제1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기 픽업 섀시의 제2 부분에 근접한 상기 픽업 섀시에 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브축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말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2 말단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한 추가 양태에 있어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 헤드 이송 기구용 스핀들 섀시는 제1 및 제2 측면 구조 부재, 전면 및 후면 구조 부재, 개구부, 베어링부, 제1, 제2 및 제3 구멍, 축부, 및 캠 피스를 포함한다. 제1 측면 구조 부재와 제2 측면 구조 부재는 제1 평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면 구조 부재 및 후면 구조 부재는 제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어 있다. 개구부는 최소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구조 부재에 의해 한정된다. 베어링부는 상기 제1 측면 구조 부재의 제1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구멍은 상기 제1 측면 구조 부재의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제2 및 제3 구멍은 상기 제2 측면 구조 부재의 대향하는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구조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캠 피스는 상기 제2 측면 구조 부재로부터 상기 전면 구조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1)를 나타낸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메인 섀시(12), 디스크 트레이(13), 베이스 홀더(14), 및 베이스 유닛(15)을 구비한다. 메인 섀시(12)는, 상자형이고, 그 상부와 전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13)는 메인 섀시(12)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출입된다. 베이스 홀더(14)는 메인 섀시의 요부(凹部) 내에 수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 유닛(15)은 베이스 홀더(1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섀시(12)는 얕은 4각형의 상자체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섀시(12)는 그 저면(底面)의 중앙부에는 후단부까지 연장되는 대략 4각형을 이루는 요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16)의 저면은 앞이 처진 사면(斜面)으로 되어 있으며, 디스크 트레이(13)의 출입 방향인 전후 방향 X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한쌍의 베어링부(17, 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부(17, 17)는, 수평 방향 및 전후 방향 X와 수직인 좌우 방향 Y의 양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홀더(14)의 양 측면 후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축부(14a, 14a)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부(17, 17)에 축받이되어 있다. 그리고, 요부(16)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 Y로 연장된 서로 평행을 이루는 가이드 돌부(突部)(18)와 장공(長孔)(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섀시(12)의 저면 전단부에는 모터용 시트(seat)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부(12a)에는 메인 섀시(12)의 이면측에서 로딩 모터(20)가 나사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 로딩 모터(20)의 회전축(20a)은 메인 섀시(12)의 저면을 관통하여 요부(16) 내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20a)에는 구동 풀리(21)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풀리(21)에는 고무 벨트(22)의 일단이 걸쳐있고, 그 고무 벨트(22)의 타단에는 저면 전단부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 종동(從動) 풀리(23)가 걸쳐져 있다.
종동 풀리(23)는 메인 섀시(12)의 저면 전단부에 세워 설치된 제1 지지축(1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제1 지지축(12b)에 나사맞춤된 고정 나사(24)에 의해 이탈 방지되어 있다. 이 종동 풀리(23)의 하면에는, 기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기어에는 중간 기어(25)의 중부 기어(25b)가 맞물려 있다. 이 중간 기어(25)는 동일하게 저면 전단부에 세워 설치된 제2 지지축(12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중간 기어(25)의 중부 기어(25b) 상면에 설치한 상부 기어(25a)에는, 동일하게 저면 전단부에 세워 설치된 제3 지지축(12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기어(26)가 맞물려 있다.
또한, 중간 기어(25)의 중부 기어(25b)의 하면에는 하부 기어(25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기어(25c)에는,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캠(27)의 랙(27a)이 맞물려 있다. 이 척 캠(27)은 가로가 긴 직사각형으로 된 블록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일면측으로 돌출하는 랙(2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척 캠(27)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척 캠(27)의 랙(27a)과 반대측의 면에는, 베이스 홀더(14)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동작시키기 위한 캠 홈(2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척 캠(27)의 캠 홈(27b)은 전후 방향의 양단에 설정된 상하의 수평부와, 이 상하 수평부를 서로 경사지게 연통하는 사면부를 가지고 있다. 이 캠 홈(27b)에는, 베이스 홀더(14)의 전단면에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캠 핀(2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또한, 척 캠(27)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이 척 캠(27)을 수동 조작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핀(27c, 27d)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하(下)조작 핀(27d)은,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섀시(12)의 장공(19)을 관통하여 이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척 캠(27)의 상(上)조작 핀(27c)의 기부에는 스프링받이 피스(27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이 피스(27e)에는 인장(引張) 코일 스프링(29)의 일단이 걸려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타단은, 메인 섀시(12)의 시트부(12a)에 형성된 스프링받이 피스(12e)에 걸려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의해, 척 캠(27)은 항상 시트부(12a)측으로 당겨져 있다. 따라서, 척 캠(27)이 시트부(12a)측의 단부(端部)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캠 핀(28)이 캠 홈(27b)의 하(下)수평부에 위치하고 있어 베이스 홀더(14)는 앞이 처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척 캠(27)이 시트부(12a)로부터 떨어지는 측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캠 핀(28)이 캠 홈(27b)의 상(上)수평부에 위치하고 있어 베이스 홀더(14)는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메인 섀시(12)의 전면 개구부는 트레이 출입구(30)로 되어 있다. 이 트레이 출입구(30)의 양 측부를 에워싸는 측면 피스의 각 내면에는 복수의 트레이 가이드(31)가 설치되고, 또, 저면 피스에는 복수의 가이드 핀(32a, 3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트레이 가이드(31) 및 가이드 핀(32a, 32b)으로 디스크 트레이(13)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한쌍의 가이드 레일(13a, 13a) 등을 규제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3)가 메인 섀시(12)에 대하여 전후 방향 X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트레이 출입구(30)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트레이(13)는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스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낸 CD나 CD-ROM 등의 광 디스크(33)를 가로 놓기로 하여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수용부(34)와, 이 디스크 수용부(34)의 중앙부로부터 트레이 센터에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된 장공형의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수용부(34)는 직경 12cm의 광 디스크(33)가 탑재되는 대경부(34a)와, 이 대경부(34a)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직경 8cm의 광 디스크(33)가 탑재되는 소경부(34b)를 가지고 있다.
또, 디스크 트레이(13)의 개구부(35)는 디스크 수용부(34)의 소경부(34b)의 중심부보다 앞에서 개구되어 있어, 대경부(34a)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디스크 수용부(34)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개구부(35)의 크기 및 형상은 베이스 유닛(15)의 상부가 완전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디스크 트레이(13)의 좌우 양측 에지에, 서로 전후 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13a, 13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3)의 하면 한쪽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가이드 레일(13a)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랙과 가이드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랙에는 메인 섀시(12)에 지지된 구동 기어(26)가 맞물리고, 이 구동 기어(26)의 회전력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3)가 전진 또는 후퇴 동작된다. 이 랙은 디스크 트레이(13)가 최후단의 직전까지 이동했을 때, 구동 기어(26)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가이드 홈에는 메인 섀시(12)의 전부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핀(32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고, 이 가이드 핀(32a)에 의해서도 디스크 트레이(13)의 이동이 규제되어, 전후 방향 X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트레이(13)의 전후 이동은 트레이 이송 검출 스위치(37)에 의해 검출되고, 이 트레이 이송 검출 스위치(37)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3)가 광 디스크(33)를 배출하는 이젝트(eject)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가, 광 디스크(33)를 디스크 장착 위치로 반송하는 세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트레이 이송 검출 스위치(37)는 메인 섀시(12)의 하면에 장착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3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 이송 검출 스위치(37)의 작동 부재(37a)는 메인 섀시(12)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디스크 트레이(13)의 이동 궤적 상에 돌출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38)에는, 로딩 모터(20)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단자(39)가 탑재되어 있는 동시에, 척 캠(27)의 동작을 검출하는 캠 검출 스위치(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캠 검출 스위치(40)의 작동 부재(40a)는 척 캠(27)에 설치된 입력부(27f)의 이동 궤적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척 캠(27)이 시트부(12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캠 검출 스위치(40)가 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에서 나타낸 부호 (41)은 메인 섀시(12)의 하면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은 메인 섀시(12)의 요부(16) 내에 수납되는 베이스 홀더(14)는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베이스 홀더(14)는, 바닥이 얕은 대략 4각형을 이루는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판에는 전술한 캠 핀(28)이 설치되고, 또, 좌우 양 측면판의 후단부에는 한쌍의 축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홀더(14)의 저면판에는, 스핀들 모터 등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개구공(42a)과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공(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판 상면의 3개소에는, 베이스 유닛(15)을 위치 결정하여 탄성 지지하기 위한 철부(凸部)(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철부(14b)에는, 탄성 인슐레이터(insulator)(43)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15)은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베이스 유닛(15)은 정보 신호의 재생에 도움이 되는 광 디스크(33)가 장착되는 턴테이블(4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핀들 섀시(44)와, 턴테이블(47)에 장착된 광 디스크(33)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독출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48)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픽업 섀시(4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핀들 섀시(44)와 픽업 섀시(45)로 베이스 섀시(36)가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15)의 스핀들 섀시(4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피스(44a)와 좌우의 측면 피스(44b, 44c)와 후면 피스(44d)를 가지는 프레임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전면 피스(44a)만이 다른 피스의 대략 2배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전면 피스(44a)의 한쪽 코너부와, 측면 피스(44b)의 전단부와, 후면 피스(44d)의 대략 중앙부의 합계 3개소에는, 인슐레이터(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49)는 평면 C자형의 클릭(click)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지지부(49)에 인슐레이터(43)의 잘록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를 상부로부터 인슐레이터(43) 내로 삽입하고, 선단의 나사부를 철부(14b)의 상면에 형성한 나사공에 나사맞춤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유닛(15)이 3개의 인슐에이터(43)를 통해 베이스 홀더(1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스핀들 섀시(44)의 전면 피스(44a)에는, 모터 장착 시트(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 장착 시트(50)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1)가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개의 고정 나사(52a)로 체결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스핀들 모터(51)의 회전축(51a)은 모터 장착 시트(50)의 관통공(50a)을 관통하여 스핀들 섀시(44)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스핀들 모터(51)의 회전축(51a)에는, 오프셋 와셔(offset washer)(53)가 끼워 맞춰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오프셋 와셔(53)의 상방에는 턴테이블(47)이 끼워 맞춰 고정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47)의 상면 중앙부에는 링 고정부(47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링 고정부(47a)에는 처킹 링(chucking ring)(54)이 끼워 맞춰 고정되어 있다. 이 처킹 링(54)에는, 중앙의 구멍과 동심(同心)을 이루도록 마그넷(54a)이 매설(埋設)되어 있다. 이 처킹 링(54)에 광 디스크(33)의 중앙공을 끼워 맞춤으로써, 그 광 디스크(33)가 턴테이블(47)에 위치 결정된다.
도 8에 나타낸 부호 (55)는 회전축(51a)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오프셋 스프링이다. 이 오프셋 스프링(55)은 모터 장착 시트(50)를 횡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 중도부가 오프셋 와셔(53)에 맞물리고, 그 양단부가 모터 장착 시트(50)에 맞물려 있다.
또한, 모터 장착 시트(50)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1)와 횡렬(橫列)이 되도록 틸트 모터(56)가 장착되어 있다. 이 틸트 모터(56)는 1개의 고정 나사(52b)로 체결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틸트 모터(56)의 회전축(56a)은 모터 장착 시트(50)의 구멍(50b)을 관통하여 스핀들 섀시(44)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틸트 모터(56)의 회전축(56a)에는 틸트 기어(57)가 끼워 맞춰 고정되고, 이 틸트 기어(57)에는 틸트 캠(58)의 기어부(58a)가 맞물려 있다. 이 틸트 캠(58)은 전면 피스(44a)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지지축(5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틸트 캠(58)의 상면에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캠면(58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58b)의 높이 방향의 스트로크분만큼 픽업 섀시(45)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동작되게 된다.
또, 스핀들 섀시(44)의 측면 피스(44b, 44c) 및 후면 피스(44d)는 그 단면 형상이 전후 방향의 대략 전장에 걸쳐 L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핀들 섀시(44) 전체의 강성(剛性)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양 측면 피스(44b, 44c)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횡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으로 한쌍의 베어링부(60, 6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부(60, 61)에는 픽업 섀시(45)에 설치된 한쌍의 회동축부(6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베어링부(60)는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동시에 상면에 개구된 박스형의 상자체 에지(60a)와, 이 상자체 에지(60a)의 내부에 형성된 V자형의 받침면(60b)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면(60b)에 한쪽의 회동축부(63)를 탑재하고, 그 회동축부(63)를 누름 피스(62)로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회동축부(63)의 이탈 방지가 이루어진다. 누름 피스(62)는 고정 나사(52c)로 상자체 에지(60a)에 체결 고정된다. 다른 쪽의 베이링부(61)는 V자형의 받침면(61a)과, 이 받침면(61a)을 에워싸는 아치형의 누름 피스(61b)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피스(61b)는 측면 피스(44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의 회동축부(63)를 내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받침면(61a)과 함께 회동축부(6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픽업 섀시(45)는 스핀들 섀시(44)의 전면 피스(44a)를 제외한 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도록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픽업 섀시(45)는 스핀들 섀시(44)의 전면 피스(44a)의 후방에 배치되고, 그 전면 피스(44a)에 인접되는 전면 피스(45a)와, 좌우로 대향한 한쌍의 측면 피스(45b, 45c)와, 후방으로 연속된 후면 피스(45d)를 가지는 프레임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형 부재의 내측에, 광학 픽업 장치(48)의 광학 헤드(68)가 관통되는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 피스(45b, 45c) 및 후면 피스(45d)는 그 단면 형상이 전후 방향의 대략 전장에 걸쳐 L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픽업 섀시(45) 전체의 강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양 측면 피스(45b, 45c)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한쌍의 회동축부(6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면 피스(45b, 45c) 및 후면 피스(45d)의 높이는 스핀들 섀시(44)의 측면 피스(44b) 등과 대략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 섀시(45)를 스핀들 섀시(44)의 소정 위치에 겹쳐 맞춤으로써, 이 중합(重合) 부분의 높이가 스핀들 섀시의 전면 피스(44a) 부분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픽업 섀시(45)의 전면 피스(45a)는 좌우의 측면 피스(45b, 45c)를 상면만으로 연결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면 피스(45a)의 상면에는, 그 연장 방향인 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한쪽의 측면 피스(45b)측을 낮게 한 사면부(45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 피스(45a)가 턴테이블(470의 하측으로 들어가는 픽업 섀시(45)의 단에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픽업 섀시(45)의 전면 피스(45a)에 사면부(45e)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베이스 섀시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켜 조립 작업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픽업 섀시(45)의 후면 피스(45d) 상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45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돌기(45f)에 의해 차광판(65)이 후면 피스(45d) 상에 고정 나사(52d)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차광판(65)은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고, 가장 외측으로 이동한 광학 픽업 장치(48)의 광학 헤드(68)의 상방, 특히, 대물 렌즈(68a)를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픽업 섀시(45)의 한쪽의 측면 피스(45b)의 전단 에지에는 삽입 통과공(66a)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베어링부(66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부(前部) 삽입 통과공(66a)에는, 이송 모터(70)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가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삽입 통과공(66a)에 삽입 통과된 이송축(69)의 선단부가 베어링부(66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이송축(69)은 이송 모터(70)의 회전축으로 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이 이송축(69) 자체가 이송 모터(70)의 로터(rotor)를 구성하고 있다. 이 이송 모터(70)는 측면 피스(45b)의 전단에 고정되어, 고정측인 브래킷(bracket)(70a)을 2개의 고정 나사(52e)로 체결함으로써, 픽업 섀시(45)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이송축(69)과 반대측의 픽업 섀시(45)의 다른 쪽 측면 피스(45c)의 내측에는, 이송축(69)과 평행을 이루도록 가이드축(71)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측면 피스(45c)의 전단 에지 및 후단 에지에는 한쌍의 삽입 통과공(72)이 형성되어 있고, 양 삽입 통과공(72)에 양 단부를 압입(壓入)함으로써 가이드축(71)의 양단(兩端)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픽업 섀시(45)의 다른 쪽 측면 피스(45c)의 상부 전단 에지에는, 틸트 캠(58)측으로 돌출하는 캠 피스(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피스(73)에는 판 스프링(74)의 자유단(自由端)이 압접(壓接)되어 있고, 이 판 스프링(74)의 스프링력으로 힘이 가해져 캠 피스(73)가, 틸트 캠면(58b)에 압접되어 있다. 그리고, 판 스프링(74)의 고정단은 고정 나사(52f)에 의해 스핀들 섀시(44)의 전면 피스(44a) 상면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이송축(69) 및 가이드축(71)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광학 픽업 장치(48)는, 양 축(69, 71)에 가이드되어 턴테이블(47)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광학 픽업 장치(48)는 광학 헤드(68)가 탑재된 슬라이드 부재(75)를 가지고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75)의 한쪽에는 베어링공(75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베어링공(75a)에 이송축(6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이송축(69)의 나사 홈에는, 슬라이드 부재(75)의 하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랙(76)의 랙부(76a)가 맞물려 있다. 이 랙부(76a)는 탄성 피스를 통해 고정 피스(76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 피스(76b)를 고정 나사(52g)로 체결함으로써, 슬라이드 랙(76)이 슬라이드 부재(75)에 고정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75)의 다른 쪽에는 베어링부(75b)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베어링부(75b)에 가이드축(7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전술한 이송축(69)과 이송 모터(71)와 슬라이드 랙(76)으로, 광학 픽업 장치(48)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송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축(69)과 슬라이드 랙(76)으로 감속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광학 픽업 장치(48)의 광학 헤드(68)는 대물 렌즈(68a)를 포커스 방향(상하 방향) 및 트래킹 방향 (횡 방향)으로 독립하여 움직이게 할 수 있는 2축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2축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서는 오로지 전자력(電磁力)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의 지지 방식의 차이에 의해 분류되는 판 스프링 방식의 2축 액추에이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2축 액추에이터로서 그 밖의 형식의 와이어 지지 방식, 힌지(hinge) 방식, 축 슬라이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나타낸 (77)은 2축 액추에이터를 덮는 2축 커버이며, 이 2축 커버(77)에는 대물 렌즈(68a)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창(7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섀시(12)의 상부에는, 디스크 트레이(13)의 상방을 가로지르도록 척 홀더(8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척 홀더(8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고 횡 방향으로 긴 4각형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공(8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80a)에는 척 플레이트(81)의 3개의 레그(leg) 피스(82)가 느슨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레그 피스(82)는 외주면이 원주의 일부를 이루도록 원호(圓弧) 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레그 피스(82)의 내부에는, 처킹 링(54)에 내장된 마그넷(54a)에 의해 흡착되는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크형의 요크판(yoke plate)(83)이 수납되어 있다.
이 처크 홀더(80)의 관통공(80a)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각 레그 피스(82)의 선단부에는 요크 누름판(8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요크 누름판(84)과 척 플레이트(81)에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척 홀더(80)를 끼워넣음으로써, 이 간극의 범위 내에서 척 플레이트(81)를 그 평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80a)과 3개의 레그 피스(82)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정함으로써, 그 간극의 범위 내에서 척 플레이트(81)를 그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섀시(12), 디스크 트레이(13) 및 베이스 홀더(14)의 재질로서는 ABS 수지가 적합하지만, 그 밖의 합성 수지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베이스 섀시(36)를 구성하는 스핀들 섀시(44) 및 픽업 섀시(45)의 재질로서는 유리 섬유가 65% 함유된 PPS(폴리페닐렌 술피드)가 적합하지만, 그 밖의 합성 수지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하여 광 디스크(33)의 재생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먼저,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1)에 전원을 투입한 후,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을 눌러 디스크 트레이(13)를 꺼내 이젝트 상태로 함으로써, 디스크 수납부(34)가 노출되어, 그 대경부(34a) 또는 소경부(34b)에의 광 디스크(33)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디스크 수납부(34)에 원하는 광 디스크(33)를 탑재한 후, 예를 들면, 재생 버튼을 눌러 로딩 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3)가 디스크 장착 위치로 반송된다. 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10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척 홀더(80)는, 도 9에 나타낸 척 홀더(80)를 약간 변형하여, 디스크 수납부(34) 및 개구부(35)의 전체를 동시에 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디스크 트레이(13)의 반송 시, 재생 버튼 등의 조작에 의해 로딩 모터(20)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이 구동 풀리(21)로부터 고무 벨트(22)를 통해 종동 풀리(23)에 전달된다. 이 종동 풀리(23)의 회전력이 중간 기어(25)의 중부 기어(25b)로부터 상부 기어(25a)를 통해 구동 기어(26)에 전달된다. 이 구동 기어(26)의 회전력이 디스크 트레이(13)의 랙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 가이드(31) 및 가이드 핀(32a, 32b)에 가이드되어 디스크 트레이(13)가 메인 섀시(12)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디스크 트레이(13)가 최후단까지 이동하는 동안, 중간 기어(25)의 하부 기어(25c)는 척 캠(27)의 랙(27a)과는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척 캠(27)은 이동하지 않는다.
그 후, 디스크 트레이(13)가 최후단까지 이동하면, 디스크 트레이(13)의 하면에 형성된 캠 홈 내로 척 캠(27)의 상부 조작핀(27c)이 들어가고, 이 캠 홈에 가이드되어 척 캠(27)이 약간 이동한다. 그 결과, 척 캠(27)의 랙(27a)이 하부 기어(25c)에 맞물려, 로딩 모터(20)로부터의 토크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13)가 최후단에 도달하면, 디스크 트레이(13)의 랙과 구동 기어(2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로딩 모터(20)로부터의 토크의 전달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로딩 모터(20)의 회전력이 하부 기어(25c)로부터 랙(27a)에 전달되면, 척 캠(27)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로딩 모터(2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척 캠(27)의 이동에 의해, 캠 홈(27b)에 맞물려 있는 베이스 홀더(14)의 캠 핀(28)이, 캠 홈(27b)의 하수평부로부터 사면부를 거쳐 상수평부로 이동한다. 그 결과, 베이스 홀더(14)가 후단부의 축부(14a)를 통해 상방으로 요동되어 대략 수평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11이다.
이 때, 베이스 홀더(14)의 전부(前部)가 들어 올려지면, 이 베이스 홀더(14)에 인슐레이터(43)를 통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유닛(15)의 요동측에 지지되어 있는 턴테이블(47)이, 디스크 트레이(13)의 개구부(35) 내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47)에 장착되어 있는 처킹 링(54)이 광 디스크(33)의 중앙공(33a) 내로 들어가, 광 디스크(33)가 턴테이블(47) 상에 탑재된다. 이 때, 턴테이블(47)에 의해 광 디스크(33)가 약간 들어 올려지는 동시에, 척 홀더(80)에 지지되어 있는 척 플레이트(81)가 처킹 링(54)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넷(47a)에 흡착된다.
그 결과, 광 디스크(33)가 턴테이블(47)과 척 플레이트(81)로 협지(挾持)된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33)가 턴테이블(47)과 회전 방향으로 일체로 되고, 스핀들 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소정 회전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와 동시 또는 전후하여, 이송 모터(70)가 구동된다. 그 결과, 이송축(69)의 회전에 의해, 광학 픽업 장치(48)의 슬라이드 부재(75)가 턴테이블(4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광학 픽업 장치(48)가 턴테이블(4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턴테이블(47)에 장착되어 있는 광 디스크(33)의 경사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광 디스크(33)의 경사량의 검출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광학 픽업 장치(48)가 광 디스크(3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광학 헤드(68)의 대물 렌즈(68a)로부터 광 디스크(33)의 정보 기록면으로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레이저광이 되돌아 올 때까지의 시간을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광 디스크(33)의 경사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광 디스크(33)의 경사량을 보정하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핀들 섀시(44)와 픽업 섀시(45)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47)측으로 경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광 디스크(33)의 경사가 검출되면, 틸트 모터(56)가 구동되어, 그 회전력이 회전축(56a)으로부터 틸트 기어(57)에 전달된다. 이 틸트 기어(57)의 회전에 의해, 이 틸트 기어(57)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58a)로부터 틸트 캠(58)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틸트 모터(56)의 회전량에 따라 틸트 캠(58)이 회전 구동된다.
이 틸트 캠(58)의 캠면(58b)에는, 판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의해 픽업 섀시(45)의 캠 피스(73)가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 결과, 캠 피스(73)가 캠면(58b)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픽업 섀시(45)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63)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그 경사 자세를 변화시킨다. 이 틸트 캠(58)의 회동에 의해, 그 캠면(58b)의 가장 높은 위치가 캠 피스(73)와 접촉하면, 픽업 섀시(45)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틸트 기구의 조정에 의해 광 디스크(33)의 경사량이 조정되었을 때, 광학 픽업 장치(48)에 의해 광 디스크(33)의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이 광학 픽업 장치(48)에 의한 정보 신호의 재생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광학 헤드(68)의 대물 렌즈(68a)로부터 정보 기록면으로 향해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이 레이저광의 반사광이 대물 렌즈(68a)를 통해 수광됨으로써, 그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또, 디스크 트레이(13)의 이젝트 시에는, 전술한 로딩 시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을 눌러 이젝트 조작을 선택하면, 로딩 모터(20)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력이 구동 풀리(21), 고무 벨트(22), 종동 풀리(23) 및 중간 기어(25)의 하부 기어(25c)를 통해 랙(27a)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척 캠(27)이 로딩 모터(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캠 핀(28)이 눌려 내려간다. 그 결과, 베이스 홀더(14)가, 도 11에 나타낸 수평 상태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앞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홀더(14)에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유닛(15)이 하방으로 요동되어, 광 디스크(33)를 탑재하고 있는 턴테이블(47)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턴테이블(47)의 하강 동작에 의해, 척 플레이트(81)가 떼어진다. 계속해서, 턴테이블(47)의 처킹 링(54)이 광 디스크(33)의 중앙공(33a)으로부터 빠져 나가고, 광 디스크(33)가 디스크 트레이(13)의 디스크 수납부(34)에 탑재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3)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 이송 기구의 이송축(69)의 베어링부(66b)를 베이스 섀시(36)와 일체로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이송축(69)의 장착 정밀도를 높여 고정밀도의 헤드 이송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송축(69)을 베이스 섀시(36)의 두께 내에 수납함으로써, 헤드 이송 기구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형 타입뿐만 아니라 포터블형 타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CD나 CD-ROM 등의 독출 전용의 광 디스크를 정보 기록 매체로서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새로이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를 정보 기록 매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CD 등의 광 디스크를 나(裸) 상태로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광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납한 정보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독출)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보의 기록만을 행하는 기록 전용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정보의 기록 및 재생 양쪽을 행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 디스크가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섀시(base chassis);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하여 광학 헤드를 면하게 하여 상기 적재된 정보 신호의 기입 및/ 또는 독출(讀出)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optical pick-up device); 및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는 픽업 이송 기구(pick-up feed mechanism)를 구비한 헤드 이송 기구(head feed mechanism)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은 상기 베이스 섀시와 일체로 설치된 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광학 헤드의 광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frame)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섀시의 두께 내에 상기 이송축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턴테이블이 장착되는 스핀들 모터가 고정된 스핀들 섀시; 및
    상기 이송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픽업 섀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섀시는 상기 스핀들 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이송 기구는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이송축에 따라 구동시키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은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이송 기구.
    구.
  7.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 디스크를 디스크 장착 위치로 반송(搬送)하는 디스크 트레이(disk tray);
    상기 광 디스크가 장착된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섀시;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하여 광학 헤드를 면하게 하여 정보 신호의 기입 및/또는 독출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 및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는 픽업 이송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은 상기 베이스 섀시와 일체로 설치된 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광학 헤드의 광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섀시의 두께 내에 상기 이송축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턴테이블이 장착되는 스핀들 모터가 고정된 스핀들 섀시; 및
    상기 이송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픽업 섀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섀시는 상기 스핀들 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이송 기구는 상기 광학 픽업 장치를 상기 이송축에 따라 구동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은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섀시가 완전히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4. 스핀들 섀시;
    상기 스핀들 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픽업 섀시의 제1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픽업 섀시;
    상기 제1 부분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기 픽업 섀시의 제2 부분에 근접한 상기 픽업 섀시에 지지된 드라이브 유닛; 및
    상기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말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2 말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축에 지지된 광학 픽업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축은 상기 광학 픽업 장치에 지지된 기어(gear) 기구에 의해 맞물려 있는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섀시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 및
    상기 스핀들 섀시에 장착된 고정단(固定端)과, 상기 돌기와 접촉하고 있는 자유단(自由端)을 가지고, 상기 픽업 섀시를 소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이브 유닛은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용 헤드 이송 기구.
  19. 제1 평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측면 구조 부재 및 제2 측면 구조 부재;
    제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전면(前面) 구조 부재 및 후면 구조 부재;
    최소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구조 부재에 의해 한정된 개구부;
    상기 제1 측면 구조 부재의 제1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
    상기 제1 측면 구조 부재의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구멍;
    상기 제2 측면 구조 부재의 대향하는 말단부에 형성된 제2 및 제3 구멍;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구조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부; 및
    상기 제2 측면 구조 부재로부터 상기 전면 구조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캠 피스(cam piec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 헤드 이송 기구용 스핀들 섀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구조 부재의 제2 부분에 지지된 드라이브 유닛;
    상기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말단부(端部),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2 말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축; 및
    상기 제2 및 제3 구멍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및 제3 구멍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어셈블리 헤드 이송 기구용 스핀들 섀시.
KR1019990061029A 1998-12-25 1999-12-23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KR100710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70845 1998-12-25
JP37084598A JP4075174B2 (ja) 1998-12-25 1998-12-25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ヘッド送り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67A true KR20000048367A (ko) 2000-07-25
KR100710397B1 KR100710397B1 (ko) 2007-04-24

Family

ID=1849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029A KR100710397B1 (ko) 1998-12-25 1999-12-23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51182B1 (ko)
EP (1) EP1014350B1 (ko)
JP (1) JP4075174B2 (ko)
KR (1) KR100710397B1 (ko)
CN (1) CN1173363C (ko)
DE (1) DE699279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179B2 (ja) * 1999-01-07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KR100408394B1 (ko) * 2001-01-2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5158203A (ja) * 2003-11-28 2005-06-16 Orion Denki Kk トラバースユニットの脱落防止手段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4260668B2 (ja) * 2004-03-31 2009-04-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4869A (ja) * 1985-12-05 1987-06-17 Seiko Epson Corp ブレキシブルデイスクドライブ
JPS6386164A (ja) * 1986-09-30 1988-04-16 Toshiba Corp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のリ−ドスクリユ機構
JPH0614256Y2 (ja) 1987-03-06 1994-04-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デイスクプレ−ヤ
KR970004685B1 (ko) * 1987-08-18 1997-04-02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헤드이동장치
DE68923833T2 (de) 1988-06-20 1996-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Optischer Kopf mit Kippkorrekturservomechanismus.
JPH02161664A (ja) * 1988-12-15 1990-06-21 Canon Electron Inc ディスク装置
US5172361A (en) * 1989-06-01 1992-12-15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apparatus
JPH03162779A (ja) * 1989-11-21 1991-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ャリッジ送り装置
JP2917488B2 (ja) * 1990-10-22 1999-07-12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608705A (en) * 1992-03-19 1997-03-04 Sony Corporation Disk loading apparatus with rotationally engaging disk table
JP2991028B2 (ja) 1994-03-16 1999-12-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駆動機構
JPH08147901A (ja) * 1994-11-25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の送り装置
JPH08167162A (ja) 1994-12-15 1996-06-25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47784B2 (ja) * 1995-07-26 2000-06-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MY132591A (en) 1995-10-26 2007-10-31 Sony Corp Optical disc apparatus.
JP4367973B2 (ja) 1996-10-04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送り機構並びに光学ピックアップの送り機構
US6208606B1 (en) * 1996-10-08 2001-03-27 Kabushiki Kaisha Toshiba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H10116479A (ja) * 1996-10-11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ヘッド調整装置
KR100194941B1 (ko) * 1996-11-25 1999-06-15 윤종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 조정장치
JPH10199093A (ja) * 1996-12-27 1998-07-31 Nakamichi Corp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283741A (ja) 1997-04-03 1998-10-23 Mitsumi Electric Co Ltd ウォームギヤを用いたスライド送り機構
US6219314B1 (en) * 1998-06-22 2001-04-17 U.S. Phillips Corporation Disc changer with rotatable disc support and disc player including the disc changer
JP2000195063A (ja) * 1998-12-26 2000-07-14 Kitano Shoji Kk 光ヘッド調整装置
JP4075179B2 (ja) * 1999-01-07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JP2001101673A (ja) * 1999-09-29 2001-04-13 Nec Corp 光ヘッド支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4350B1 (en) 2005-10-26
EP1014350A2 (en) 2000-06-28
JP4075174B2 (ja) 2008-04-16
EP1014350A3 (en) 2002-02-13
US6751182B1 (en) 2004-06-15
JP2000195196A (ja) 2000-07-14
KR100710397B1 (ko) 2007-04-24
DE69927924T2 (de) 2006-07-27
CN1258914A (zh) 2000-07-05
DE69927924D1 (de) 2005-12-01
CN1173363C (zh)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6797B1 (en) Loading apparatus for a disc-shaped record medium
US4841499A (en) Multi-disc player
KR100649904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그 턴테이블
KR20010098660A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US20050270915A1 (en) Disc drive apparatus, disc drive unit and optical pickup device
US6175544B1 (e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N100412958C (zh) 盘驱动单元以及盘记录和/或复制设备
KR100710397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US7103895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recorder and/or player
KR100686301B1 (ko) 디스크 드라이브와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4700338A (en) Automatic loading disc player
CN100476972C (zh) 记录和/或再现装置
JP4114269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位置調整方法
US5343447A (en) Self-cooling optomagnetic disk device with locking internal mechanism
US7461389B2 (en) Adaptor member for a disc drive
US7010799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408191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位置調整方法
US6438076B1 (en) Information recording or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20090249379A1 (en) Optical pickup feed device
JP2003208748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019508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ヘッド送り機構
JP200019506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ヘッド送り機構
JPH11224482A (ja) 記録再生装置
JP40854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196807B2 (ja)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