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399A - 방음벽 구조 - Google Patents

방음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399A
KR20000036399A KR1020000011167A KR20000011167A KR20000036399A KR 20000036399 A KR20000036399 A KR 20000036399A KR 1020000011167 A KR1020000011167 A KR 1020000011167A KR 20000011167 A KR20000011167 A KR 20000011167A KR 20000036399 A KR20000036399 A KR 20000036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ool
noise
air retention
panel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156B1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10-2000-001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156B1/ko
Priority to KR2020000006373U priority patent/KR200194971Y1/ko
Publication of KR2000003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차단을 위한 고효율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 후 방음판 내부에 개재되는 글라스 울과 글라스 울 사이에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흡음 공간을 형성하여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음 및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음벽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내부에 전, 후 글라스 울을 개재하여 소음을 흡음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글라스 울과 후면 글라스 울 사이에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공기 체류 패널을 개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 구조 {Structure of Soundproof BOARD}
본 발명은 고속도로, 일반도로, 지하철, 철도, 공장, 학교, 병원 및 공항 등 소음발생이 심한 장소에 설치하는 소음차단을 위한 고효율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이 심한 장소에 설치하는 방음벽은 다수의 구멍이 뚫어진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글라스 울을 내장하여 구멍을 통한 소음을 글라스 울에서 흡음하여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글라스 울은 소음을 흡수처리 하는데 적당하나, 장기간 사용 시 전, 후면판 사이의 글라스 울이 내구성을 가지고 있지 못해 전, 후 방음판 하방으로 내려앉는 경우가 발생되어 소음 차단에 매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글라스 울을 통한 소음은 1차 감쇄 되어 후면판에 머무르게 되므로 2차적 또는 3차적으로 소음을 차단시키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소음차단을 고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방음벽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소음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원가를 절감하고 가벼운 방음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입된 소음을 단계적으로 감쇄시켜 소음효과를 증대시킴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글라스 울과의 마찰력을 가지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공기체류 패널을 글라스 울과 글라스 울 사이에 개재시켜 글라스 울의 지지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통과한 소음을 상기 공기체류 패널에서 체류시키면서 더욱 감쇄 시켜 소음차단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음차단 효과를 증대시킴에 있어 스티로폼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벼운 방음벽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벽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예의 공기체류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패널이 글라스 울과 결합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공기체류 패널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패널이 글라스 울과 결합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공기체류 패널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패널이 글라스 울과 결합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설치상태도
도 9는 도 4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도 6의 설치상태도
도 11은 도 8의 작용 상태도
도 12는 도 9의 작용 상태도
도 13은 도 10의 작용 상태도
도 14는 다른 방음벽에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도
도 15는 또 다른 방음벽에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도
도 16은 또 다른 방음벽에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방음벽 11 : 전면판 11' : 끼움요홈부
11" : 절곡부 11B :흡음구멍 12 : 후면판
12' : 끼움걸림부 12 " : 요입부 12A : 공간부
13A, 13B : 1차, 2차 글라스 울
14 : 공기체류 채널 14A : 사각박스 14B : 공기체류구멍
14C :밀폐판 14D :흠음 소구멍 14E : 사각체
14F : 공기체류 공간부
본 발명은 복합피막(전, 후면판의 표면경도 강화를 위한 것임), 분체도장, 전사, 문양 등을 표현하는 전 , 후면판(11)(12) 각각의 상,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한 끼움 요홈부 및 끼움 걸림부(11')(12')을 형성하여 전, 후면판(11)(12)을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11)의 세로방향으로 사각파형의 절곡부(11")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공간부(11A)형성하며 상기 절곡부(11")에 다수의 흡음구멍(11B)을 형성한 다음 후면판(12)의 중앙부에 요입부(12")를 형성하여 후면판(12) 내부 상, 하부에 공간부(12A)를 형성하되, 상기 전면판(11)의 절곡부(11") 각각 내에 1차 글라스 울(13A)을 끼우고, 후면판(12) 내측부에 2차 글라스 울(13B)을 내설하여 이루어진 방음벽(10)의 하방 경사면과 방음벽(10) 상방의 경사면을 면접시킴과 동시에 방음벽(10) 양단을 면접시켜 방음벽(10)과 방음벽(10)을 상하좌우 연속 조립되게 구성하여 H빔과 H빔 사이에 방음벽(10)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 글라스 울(13A)과 2차 글라스 울(13B) 사이에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공기 체류 패널(14)을 개재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글라스 울(13A)(13B)각각은 전, 후면판(11)(12)각각의 내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공기체류 패널(14)이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글라스 울과의 상호 마찰력에 의해 마치 일명 "찍찍이"와 같이 상호 접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에서 공기체류 패널(14)은 도 1,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사각박스(14A)에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을 다수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박스(14A)내부에 형성된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 일측면에 밀폐판(14C)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밀폐판(14C)의 공기체류 구멍(14B)대응부에 다수의 흡음 소구멍(14D)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4, 도 5참조)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체(14E)를 일정간격으로 글라스 울(13A)과 글리스 울(13B)사이에 개재시켜 공기체류 공간부(14F)를 형성하는 구조이다.(도 6, 도 7 참조)
이와같은 공기체류 패널(14)은 도 8과 같은 구조의 전, 후면판(11)(12) 내부에 설치하거나, 도 14와 같이, 전면판(11)과 후면판(12)각각의 전, 후면에 절곡부(11")(12"')를 가지며, 후면판(12) 상, 하방에 끼움돌기(12B) 및 끼움요홈(12C)을 형성하고, 전면판(11)의 상부에는 끼움요홈(11C)을 형성한 전, 후면판(11)(12)내부에 설치하거나, 도 15와 같이,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내부에 설치하거나, 도 16과 같이 전면판(11)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 형성한 요입부(11D)를 가지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절곡부(11")에 형성된 다수의 흡음구멍(11B)은 원형 또는 반원형 또는 덮개가 형성된 장공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중 15는 방음벽(10)양측의 덮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도에서 발생된 소음은 전면판(11)뚫은 흡음구멍(11B)을 통해 인입되면서 절곡부(11")에 부딪쳐 1차 상쇄되고, 1차 상쇄된 소음은 1차 글라스 울(13A)에 흡수되어 2차 상쇄되며, 1차 글라스 울(13A)을 통과한 소음은 공기체류 패널(14)의 사각박스(14A)에 형성된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에 도달하게되나, 상기 공기체류 패널(14)후면에 또 다른 2차 글라스 울(13B)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체류 구멍(14B)에 위치한 소음은 상기 2차 글라스 울(13B)에 부딪쳐 일시적으로 체류함과 동시에 공명현상을 발생케 되므로 높은 주파수의 음이 감쇄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다시 감쇄된 소음은 2차 글라스 울(13B)에 의해 더욱 감쇄되어 지므로 소음은 단계적으로 감쇄된다.(도 11참조)
또한, 도 12와 같이,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박스(14A)내부에 형성된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 일측면에 밀폐판(14C)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밀폐판(14C)의 공기체류 구멍(14B)대응부에 다수의 흡음 소구멍(14D)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WU 있어 1차 글라스 울(13A)을 통한 소음은 상기 다수의 흠음 소구멍(14D)를 통하면서 더욱 상쇄되고, 그 이후에는 도 11과 같은 작용에 의해 소음이 감쇄된다.
또한, 도 13과 같이,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체(14E)를 일정간격으로 글라스 울(13A)과 글라스 울(13B)사이에 개재시켜 공기체류 공간부(14F)를 형성하고 있어 역시 도 11과 같은 작용을 가지게된다.
본 발명은 인입된 소음을 단계적으로 감쇄 및 일시적 체류를 통해 효율적으로 소음을 차단하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설치한 공기체류 패널을 통해 글라스 울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시 글라스 울이 전, 후면판 내부 아래로 쳐지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게되고 이로 인해 방음효과의 지속성을 가지는 신뢰성을 부여하고, 저렴하고 가벼운 스티로폼으로 소음차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고도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전 , 후면판(11)(12) 각각의 상,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한 끼움 걸림부 및 끼움 요홈부(11')(12')을 형성하여 전, 후면판(11)(12)을 결합한 다음 H빔과 H빔 사이에 방음벽(10)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전, 후면판(11)912)내부에 설치하는 1차 글라스 울(13A)과 2차 글라스 울(13B) 사이에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공기 체류 패널(14)을 개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체류 패널(14)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사각박스(14A)에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을 다수 형성한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박스(14A)내부에 형성된 다수 구획된 공기체류 구멍(14B) 일측면에 밀폐판(14C)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밀폐판(14C)의 공기체류 구멍(14B) 대응부에 다수의 흡음 소구멍(14D)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체류 패널(14)은 사각체(14E)를 일정간격으로 글라스 울(13A)과 글리스 울(13B)사이에 개재시켜 공기체류 공간부(14F)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구조.
KR10-2000-0011167A 2000-03-06 2000-03-06 방음벽 구조 KR10043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167A KR100436156B1 (ko) 2000-03-06 2000-03-06 방음벽 구조
KR2020000006373U KR200194971Y1 (ko) 2000-03-06 2000-03-07 방음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167A KR100436156B1 (ko) 2000-03-06 2000-03-06 방음벽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373U Division KR200194971Y1 (ko) 2000-03-06 2000-03-07 방음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399A true KR20000036399A (ko) 2000-07-05
KR100436156B1 KR100436156B1 (ko) 2004-06-23

Family

ID=1965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167A KR100436156B1 (ko) 2000-03-06 2000-03-06 방음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1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57B1 (ko) * 2001-09-12 2004-06-14 박기성 방음판 구조
KR20040099955A (ko) * 2003-05-20 2004-12-02 박기성 흡음 및 차음이 가능한 방음판
KR20050000936A (ko) * 2003-06-25 2005-01-06 최원갑 흡음패널
KR102222881B1 (ko) * 2020-06-12 2021-03-04 양완수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467B1 (ko) * 2018-04-26 2018-09-12 조규현 댐핑 시트와 반파장 기주공명 부재를 적용한 고성능 흡음형 방음판
KR102089776B1 (ko) * 2018-07-02 2020-03-17 조규현 댐핑 플레이트와 반파장 기주공명 부재를 적용한 고성능 흡음형 방음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693Y2 (ko) * 1972-11-18 1977-09-21
JPS5255223Y2 (ko) * 1973-02-09 1977-12-14
JPS5447020A (en) * 1977-09-22 1979-04-13 Nissan Motor Co Ltd Sound insulating wal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64833U (ja) * 1983-10-13 1985-05-08 大建工業株式会社 吸音材
JPH0325108A (ja) * 1989-06-20 1991-02-01 Kawatetsu Steel Prod Corp 吸音壁体構造
KR950000592Y1 (ko) * 1992-09-07 1995-02-04 안종환 폐타이어 방음벽
JP3425827B2 (ja) * 1995-07-21 2003-07-14 積水樹脂株式会社 金属多孔質吸音板
KR100358546B1 (ko) * 1995-08-09 2002-12-18 뒤르 메탈테히닉크 방음장치,특히도로변및터널용방음장치
JPH11148183A (ja) * 1997-11-17 1999-06-02 Hitachi Zosen Corp 強化プラスチック製吸音材およびその成形方法
KR19980087558A (ko) * 1998-06-02 1998-12-05 김태봉 천장용 발포 알루미늄 흡음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57B1 (ko) * 2001-09-12 2004-06-14 박기성 방음판 구조
KR20040099955A (ko) * 2003-05-20 2004-12-02 박기성 흡음 및 차음이 가능한 방음판
KR20050000936A (ko) * 2003-06-25 2005-01-06 최원갑 흡음패널
KR102222881B1 (ko) * 2020-06-12 2021-03-04 양완수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156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847B1 (ko) 누음 방지와 회절이 가능한 방음벽
KR100436156B1 (ko) 방음벽 구조
KR200194971Y1 (ko) 방음벽 구조
KR200253165Y1 (ko) 방음판
KR100436157B1 (ko) 방음판 구조
KR100291214B1 (ko) 요철형 방음판
KR200208140Y1 (ko) 방음벽 구조
KR200181682Y1 (ko) 방음벽 구조
KR200195893Y1 (ko) 방음벽 구조
KR101822972B1 (ko) 분리식 흡음패널
KR100472529B1 (ko)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20000016890A (ko) 흡음형 방음판
KR200359827Y1 (ko) 방음벽용 패널
KR200359829Y1 (ko) 방음 패널
KR200261486Y1 (ko) 양면방음패널
KR20040021360A (ko) 발포 알루미늄 방음벽
KR200265851Y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JPH10280702A (ja) 仮設用防音パネル
KR100401016B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192775Y1 (ko) 방음 패널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0405863B1 (ko)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KR200359828Y1 (ko) 방음벽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