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936A - 흡음패널 - Google Patents

흡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936A
KR20050000936A KR1020030041541A KR20030041541A KR20050000936A KR 20050000936 A KR20050000936 A KR 20050000936A KR 1020030041541 A KR1020030041541 A KR 1020030041541A KR 20030041541 A KR20030041541 A KR 20030041541A KR 20050000936 A KR20050000936 A KR 2005000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absorbing material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갑
Original Assignee
최원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갑 filed Critical 최원갑
Priority to KR102003004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936A/ko
Publication of KR2005000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 E04B2001/8438Slot shaped h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효과가 배가된 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하판(44) 및 측판(46), 후면판(42)이 결합되어 박스형으로 형성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 내부 후면판(42)상에 부착되는 후면흡음재(10b)와, 상기 후면흠음재(10b)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전면흡음재(10a)와,
상기 전면흡음재(10a)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흡음재(10a)와 소정간격을 이뤄 공간부(32)를 형성한채 상하판(44)에 고정되되, 대략 긴판상으로서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틈(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반사판(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반사판을 통해 음파(고음)를 확산시킴과 동시에 틈을 통해 유입된 음파를 흡수하고 소진시킬 수 있으며, 헬름홀츠구조로 된 두 흡음재 사이의 공간부에서 저음을 흡수하여 저역공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저역과 고역의 음파를 한꺼번에 흡수하고 소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 흡음효과가 현저하게 배가된 흠음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흡음패널{sound absorption panel}
본 고안은 건축용 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음(音)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부재가 구비된 콘벡스(convex)구조의 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이 특히 많이 발생되는 강당, 체육관, 각종 공장, 주차장 등의 벽면등에는 판상의 흡음재가 시공되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흡음재에 반사되거나 흡수되어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음재들은 판상의 부재 표면에 흡음목적의 표면처리시공을 별도로 행하여 벽 전체에 부착하여서 된 것이 있었으며, 아니면 긴 천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달아두거나 하여 음반사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실내의 공명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어 왔던 패널 형태의 방음, 흡음시설은 유리섬유(fiber glass fabric), 폴리에치렌폼과 같은 발포폼의 양면에 합판, 플라스틱판과 같은 경질 판을 접합시켜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음시설은 내부에 충입된 흡음재에 음파가 직접 닿게 하여 음반사율을 감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흡음재 만으로는 흡음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는 것이었고,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음을 흡수하여 공명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된 흡음패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역 및 고역의 음파를 동시에 흡음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흡음재에 비해 현저하게 그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패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하판(44) 및 측판(46), 후면판(42)이 결합되어 박스형으로 형성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 내부 후면판(42)상에 부착되는 후면흡음재(10b)와, 상기 후면흠음재(10b)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전면흡음재(10a)와,
상기 전면흡음재(10a)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흡음재(10a)와 소정간격을 이뤄 공간부(32)를 형성한채 상하판(44)에 고정되되, 대략 긴판상으로서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틈(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반사판(20)으로 구성되는 흡음패널을 제안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패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횡방향 단면도,
도 3 은 콘벡스(convex)구조에 의해 음파가 반사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 는 흡음패널을 벽면에 시공한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흡음패널
10a, 10b : 흡음재 20 : 반사판
22 : 틈 30, 32 : 공간부
40 : 케이스 42 : 후면판
44 : 상하판 46 : 측판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패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횡방향 단면도, 도 3 은 콘벡스(convex)구조에 의해 음파가 반사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 는 흡음패널을 벽면에 시공한 상태 예시도이다.
먼저 발명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흡음패널(100)은 상하판(44) 및 측판(46), 후면판(42)이 결합되어 박스형으로 형성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 내부 후면판(42)상에 부착되는 후면흡음재(10b)와, 상기 흠음재(10b)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전면흡음재(10a)와, 상기 흡음재(10a)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흡음재(10a)와 소정간격을 이뤄 공간부(32)를 형성한채 상하판(44)에 고정되되, 긴판상으로서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틈(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반사판(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본 구성외에, 상기 전면흡음재(10a)는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20)들은 상기 전면흡음재(10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호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40)는 목재 혹은 플라스틱재질등으로서 측면판(46), 후면판(42), 상하판(44)을 별도로 성형한후 이를 조립하여서 내부가 빈 박스형태로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케이스(40) 내부 후면판(42) 전면에는 통상 사용되는 유리섬유재질 혹은 석면재질등의 후면흡음재(10b)를 부착하여 주게 되며, 이의 전면으로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후면흡음재(10b)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재질의 전면흡음재(10b)를 고정하여 전면흡음재(10a)와 후면흡음재(10b) 사이에 공간부(30)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30)는 통해 외부로 부터 흡수된 음파가 흡수되어 소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저명한 물리학자인 헬름홀츠(Helmholtz)가 제안한 구조를 응용한 구조로서 헬름홀츠구조라 알려져 있으며 낮은 주파수대의 음파(저음)를흡수하여 저역공진(Low frequency resonance)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전면흡음재(10a)의 전면에는 대략 긴 판상의 반사판(20)이 구비되어 전면흡음재(10a)와 일정간격을 두고 공간부(32)를 형성한채 상기 케이스(40)의 상하판(44)의해 고정되어 나란히 배열 되며, 이때 상기 반사판(20)은 각 판끼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틈(22)을 형성하면서 배열된게 된다. 여기서, 상기 틈(22)은 음파가 유입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면흡음재(10a)와 반사판(20)은 유입되는 음파를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확산키기 위해 굴곡된 호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이는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전체적인 형태가 호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통상 콘벡스(convex)구조라 하며, 호의 만곡정도를 조절하여 확산시키고자 하는 음파의 주파수 대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전면흡음재(10a)와 반사판(20) 사이에는 형성된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음파중 일부는 상기 반사판(20)에 의해 분산되는 동시에, 상기 틈(20)을 통해 유입된 일부 음파는 전면흡음재(10a)에 의해 일부 흡수되고 나머지는 다시 반사되어 반사판(20)의 배면에 부딪침을 반복하면서 소진되게 되는 것이며, 두 흡음재(10a)(10b)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부(30)와 연계되어 고음 및 저음의 음파를 동시에 확산시킬 수 있는 이중의 흡음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흡음패널(100)은 도 3 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차례로 부착하여 시공하여 주면 되는 것이며, 그 패널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제어하고자 하는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그 패널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음은 선택적인 사안으로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 내부에 두 흡음재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반사판이 일정간격으로 틈이 형성되어있어, 반사판을 통해 음파(주로 고음)를 확산시킴과 동시에 틈을 통해 유입된 음파를 흡수하고 소진시킬 수 있으며, 헬름홀츠구조로 된 두 흡음재 사이의 공간부에서 저음을 흡수하여 저역공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저역과 고역의 음파를 한꺼번에 흡수하고 소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 흡음효과가 현저하게 배가된 흠음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흡음패널(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판(44) 및 측판(46), 후면판(42)이 결합되어 박스형으로 형성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 내부 후면판(42)상에 부착되는 후면흡음재(10b)와, 상기 후면흠음재(10b)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전면흡음재(10a)와,
    상기 전면흡음재(10a)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흡음재(10a)와 소정간격을 이뤄 공간부(32)를 형성한채 상하판(44)에 고정되되, 대략 긴판상으로서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틈(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반사판(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흡음재(10a)는 호형으로 형성되며, 반사판(20)은 상기 전면흡음재(10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호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패널.
KR1020030041541A 2003-06-25 2003-06-25 흡음패널 KR20050000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1A KR20050000936A (ko) 2003-06-25 2003-06-25 흡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1A KR20050000936A (ko) 2003-06-25 2003-06-25 흡음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097U Division KR200328974Y1 (ko) 2003-06-25 2003-06-25 흡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936A true KR20050000936A (ko) 2005-01-06

Family

ID=3721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541A KR20050000936A (ko) 2003-06-25 2003-06-25 흡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093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615U (ko) * 1979-09-12 1981-04-25
KR950027681U (ko) * 1994-03-23 1995-10-18 흡음판
KR20000036399A (ko) * 2000-03-06 2000-07-05 박기성 방음벽 구조
KR20020072345A (ko) * 2001-03-09 2002-09-14 한국기계연구원 흡음형 방음패널
KR20030060189A (ko) * 2002-01-07 2003-07-16 박춘종 목재 방음판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615U (ko) * 1979-09-12 1981-04-25
KR950027681U (ko) * 1994-03-23 1995-10-18 흡음판
KR20000036399A (ko) * 2000-03-06 2000-07-05 박기성 방음벽 구조
KR20020072345A (ko) * 2001-03-09 2002-09-14 한국기계연구원 흡음형 방음패널
KR20030060189A (ko) * 2002-01-07 2003-07-16 박춘종 목재 방음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702B2 (en) Acoustic metamaterial architectured composite layers,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for noise control using the same
EP2226791B1 (en) Accoustic structure
JPH0718759A (ja) 吸音装置
KR101712945B1 (ko) 멀티 슬릿 공명형 방음판
RU2414565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цеха
RU28502U1 (ru) Двустенная панель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KR200328974Y1 (ko) 흡음패널
KR20050000936A (ko) 흡음패널
JPH08177142A (ja) 内装用吸音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内装用音響板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JPH0657850A (ja) 低音吸音部材および音響室構造
KR200384324Y1 (ko) 흡음형방음벽
JPH05197383A (ja) 吸音体
CN211446650U (zh) 一种用于隔声屏障顶部的透明吸声帽
CN105575379A (zh) 消声室以及用于其的消声器
RU2648726C1 (ru) Шум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KR100673623B1 (ko) 방음유닛, 방음벽 및 방음터널
JPH05333866A (ja) 吸音体
JP3135263U (ja) 音響調整パネ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室内構造
KR100383465B1 (ko)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RU2334062C2 (ru) Кубический штучный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ь
KR960004924Y1 (ko)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JP2008031775A (ja) 建物の吸音構造
KR20020072345A (ko) 흡음형 방음패널
JP2000309989A (ja) 吸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