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65Y1 - 방음판 - Google Patents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65Y1
KR200253165Y1 KR2019980021491U KR19980021491U KR200253165Y1 KR 200253165 Y1 KR200253165 Y1 KR 200253165Y1 KR 2019980021491 U KR2019980021491 U KR 2019980021491U KR 19980021491 U KR19980021491 U KR 19980021491U KR 200253165 Y1 KR200253165 Y1 KR 200253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proof
assembled
nois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922U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성 filed Critical 김주성
Priority to KR2019980021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6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6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재에 소음이 흡입될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하여 방음의 효과를 상승시키며, 방음판들이 상/하로 적층 조립될 때 조립부가 견고하고 상호 경계부 틈사이로 소음이 유출되어 방음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앞판과 뒷판이 조립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는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앞판은 전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으로 확산 분포시킨 다수의 돌기들이 있고 상기 돌기들의 중앙에는 구멍이 있으며, 상기 앞판과 조립되는 뒷판은 상호 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부와 하면에 요입부를 가진 뒷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판
본 고안은 각종 도로 등에서 차량으로 인한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방음벽을 구성시키기 위한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고하면서 방음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개량된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도, 비행장, 그리고 각종 도로와 같이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소음을 줄이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연출하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에 방음벽이 설치된다. 상기 방음벽은 앞판과 뒷판 사이에 그라스-울(glass wool)을 소재로 하는 흡음재가 삽입된 방음판들이 상/하, 좌/우로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판은 제4도에서와 같이 앞판(10a)과 뒷판(20a)이 평행한 두께로 되고 내부에 흡음재(40)가 내장하게 되며 상기 앞판(10a)의 전면에 아래로 향하는 가이드(12a)와 구멍(14a)들이 있는데, 상기 방음판(200)들이 조립될 시에 앞판(10a)들은 지면으로부터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로서 차량에서 발생된 소음이 위로 퍼질 때 방음판이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입사각이 작아진다. 즉, 소음의 진행방향과 방음판은 수직으로 형성될 때 소음을 흡수하는 효율이 가장 커지는데 상기와 같이 방음판(200)은 지면에서 직각으로 되고 소음은 위로 향하게 됨으로 소음이 방음판에 흡수되는 면적이 적어지며 일부가 반사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방음판(200)은 지주대에 의존하는 단순한 적층식이므로 상/하로 적재시켰을 때 상호간의 결속력이 약하여 지진이나 태풍발생, 그리고 지면의 계속적인 진동으로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앞판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12a)들은 돌이나 기타 이물질이 충격을 가했을 때 쉽게 찌그러지거나 찢어지는 등 파손이 잦고 이는, 소음의 흡수력이 떨어지며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음재에 소음이 흡입될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하여 방음의 효과를 상승시킨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음판들이 상/하로 적층 조립될 때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하며, 상호 경계부 틈사이로 소음이 유출되어 방음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음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앞판과 뒷판이 조립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는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앞판은 전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으로 확산 분포시킨 다수의 돌기들이 있고 상기 돌기들의 중앙에는 구멍이 있으며, 상기 앞판과 조립되는 뒷판은 상호 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부와 하면에 요입부를 가진 뒷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 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방음판 본체의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음판들이 상/하로 조립되어 방음벽 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판 본체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앞판 12 : 돌기
14 : 구멍 20,20a : 뒷판
22 : 돌출부 24 : 요입부
28,28a : 절곡부 30 : 측판
40 : 흡음재 50,52 : 지주대
100,200 : 방음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음판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소음을 유입시키는 구멍을 가진 앞판(10)과, 양측판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구성시키는 뒷판(20)과, 상기 공간부에 내장되며 소음을 제거하게 되는 흡음재(40)로 크게 나뉘어 진다.
상기 앞판(10)은 전방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소음이 유입되는 통로인 구멍(14)을 가진 돌기(12)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가 확산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뒷판(20)가 체결하기 위한 굴절부(16)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뒷판(20)은 전방의 상/하 단부에 굴절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큰 상면과 하면을 가진다. 상기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위로 돌출되는 돌출부(22)와 요입부(24)가 있고, 타 방음판이 상하로 조립될 때 상기 돌출부(22)는 상측에 접하는 요입부(4)내부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뒷판(20)의 중앙 횡으로 전방을 향하는 절곡부(28)가 있다. 여기서 상기 앞판(10)과 뒷판(20)은 각 상/하 단부의 굴절부(16)(26)간에 끼워져 압착 조립되며, 양측에 상광하협 형상의 측판(30)이 나사(32)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앞판(10)과 뒷판(20)의 내부 공간에는 그라스-울 소재의 흡음재(40)가 내장되며 상기 흡음재(40)는 앞판(10)으로 밀착되며 뒷발의 절곡부(28)가 탄력적으로 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방음판(100)은 상/하, 좌우로 연속 조립되므로서 방음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방음판(100)의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앵글의 전/후 지지대(50,52)들을 지면에 입설을 시킨 다음, 상기 방음판(100)들을 위에서부터 끼워 넣어 조립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하로 조립되는 방음판(100)들은 상호 접하는 부분의 돌출부(22)와 요입부(24)들이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 방음판(100)들은 측면상 상광하엽식으로 상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가 지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방음판들이 조립되어 방음벽으로 설치되었을 시, 차량에서 발생된 소음을 흡수시키는 방음판을 소정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서 소음의 이동방향과 거의 수직상으로 흡수하게 되어 흡음효과가 크고, 또한 소음이 유입되는 구멍의 면적은 앞판에 형성되는 돌기들의 수에 따라 얼마든지 크게 할 수 있어, 종래의 구조에 비해 흡수되는 량이 많아 방음의 효율이 상승된다. 그리고 방음판 상부의 돌출부와 하부의 요입부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어지는 것으로 상/하로 적층 연결되는 방음판들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내구성이 강해질 뿐만 아니라 상/호 연결부의 틈새가 없어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된다. 그리고 단순한 종래의 방음벽에 비해 외관이 미려하다.

Claims (1)

  1. 앞판과 뒷판이 조립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는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앞판은 전면으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으로 확산 분포시킨 다수의 돌기들이 있고 상기 돌기들의 중앙에는 구멍이 있으며, 상기 앞판과 조립되는 뒷판은 상호 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부와 하면에 요입부를 가진 뒷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음판.
KR2019980021491U 1998-11-03 1998-11-03 방음판 KR200253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91U KR200253165Y1 (ko) 1998-11-03 1998-11-03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91U KR200253165Y1 (ko) 1998-11-03 1998-11-03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22U KR19990007922U (ko) 1999-02-25
KR200253165Y1 true KR200253165Y1 (ko) 2002-01-30

Family

ID=6950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491U KR200253165Y1 (ko) 1998-11-03 1998-11-03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6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91Y1 (ko) 2009-07-22 2009-11-11 (주) 케이 이엔씨 전면판의 탈착이 용이한 흡음형 방음판
KR200450614Y1 (ko) * 2008-02-01 2010-10-15 현수건설 주식회사 표면 절곡형 방음벽
KR101068695B1 (ko) * 2011-02-01 2011-09-29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날개형 방음벽유닛을 이용한 방음벽 지지장치
KR200456229Y1 (ko) 2008-10-10 2011-10-20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의 자연친화적인 방음벽 조립체
KR101164994B1 (ko) 2011-10-26 2012-07-1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방음벽 구조
KR101473302B1 (ko) * 2014-04-23 2014-12-16 신영기술개발(주) 흡음형 방음판
KR101886822B1 (ko) * 2016-12-07 2018-08-08 홍준화 흡음형 방음판 보수 공법 및 흡음형 방음판 보수 시스템
KR101952600B1 (ko) * 2018-04-30 2019-02-27 (주)씨앤씨엔지니어링 강결 보강 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43B1 (ko) * 2014-08-05 2015-06-19 (주)삼정스틸 방음판용 개스킷
KR101529642B1 (ko) * 2014-08-05 2015-06-19 (주)삼정스틸 부식 방지용 방음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4Y1 (ko) * 2008-02-01 2010-10-15 현수건설 주식회사 표면 절곡형 방음벽
KR200456229Y1 (ko) 2008-10-10 2011-10-20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의 자연친화적인 방음벽 조립체
KR200446591Y1 (ko) 2009-07-22 2009-11-11 (주) 케이 이엔씨 전면판의 탈착이 용이한 흡음형 방음판
KR101068695B1 (ko) * 2011-02-01 2011-09-29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날개형 방음벽유닛을 이용한 방음벽 지지장치
KR101164994B1 (ko) 2011-10-26 2012-07-1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방음벽 구조
KR101473302B1 (ko) * 2014-04-23 2014-12-16 신영기술개발(주) 흡음형 방음판
KR101886822B1 (ko) * 2016-12-07 2018-08-08 홍준화 흡음형 방음판 보수 공법 및 흡음형 방음판 보수 시스템
KR101952600B1 (ko) * 2018-04-30 2019-02-27 (주)씨앤씨엔지니어링 강결 보강 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22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165Y1 (ko) 방음판
KR100571539B1 (ko) 흡음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20070081543A (ko) 에이치빔 커버용 방음판
KR200386842Y1 (ko) 돌출형 방음판
KR200189328Y1 (ko) 도로용 방음벽의 음향 흡수장치
KR200428427Y1 (ko) 방음용 목재 중앙분리대
KR100436156B1 (ko) 방음벽 구조
KR200212289Y1 (ko) 방음패널 조립체
KR200423185Y1 (ko) 방음벽 설치용 방음판
KR20070088867A (ko) 터널식 흡음형 방음판
KR100466410B1 (ko)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KR20100000399U (ko) 방음 패널 구조체
KR100974128B1 (ko) 흡음패널
KR200194971Y1 (ko) 방음벽 구조
KR100726330B1 (ko) 방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0626679B1 (ko)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KR102356561B1 (ko) 교체가 용이한 방음패널 구조체
KR200252794Y1 (ko) 흡음형 방음판
JP3922168B2 (ja) 壁面の吸音構造
KR100622991B1 (ko) 방음판
KR100506855B1 (ko) 방음벽 구조체
KR101246781B1 (ko) 방음판 구조체
KR102199762B1 (ko) 흡음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