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016B1 -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016B1
KR100401016B1 KR10-2001-0034979A KR20010034979A KR100401016B1 KR 100401016 B1 KR100401016 B1 KR 100401016B1 KR 20010034979 A KR20010034979 A KR 20010034979A KR 100401016 B1 KR100401016 B1 KR 10040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und absorbing
pillar
sou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323A (ko
Inventor
남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태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태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1-003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0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둥의 일 측면에 흡음부를 결합하고 기둥의 다른 일 측면에 차음부를 각각 결합되게 하여 기둥 두께의 공간을 소음실이 되도록 구성하므로 1차로 흡음부에서 소음을 상쇄하고, 2차로 흡음부와 차음부 사이의 공간에서 투과되는 소음을 상쇄하며, 동시에 차음부에서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SOUNDPROOFING WALL HAVING IMPROVED SOUNDPROOFING STRUCTURE AND THEREOF ESTABLISHMENT METHOD}
본 발명은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둥의 외측면에 흡음부와 차음부를 각각 결합되게 하여 기둥 두께의 공간을 소음실이 되도록 구성하여 1차로 흡음부에서 소음을 상쇄하고 2차로 흡음부와 차음부의 공간에서 투과되는 소음을 상쇄하며, 동시에 차음부에서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소음 차폐시설 또는 소음 흡음시설 등을 통해 도로변 또는 철로변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이나 기차의 통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주택단지 또는 학교 건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음파의 파장, 즉 주파수에 의해 소음이 전달되는 정도가 틀리고, 특히 주파수가 낮은 음파의 경우 보다 멀리 전달되어 보다 넓은 지역에 걸쳐 소음공해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음파에 의한 소음은 공기를 진동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심한 경우 건물의 유리창이 진동될 정도로 발생되어 주거환경이나 교육환경에 있어서 막대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소음에 대한 차단을 위해 주택단지가 밀집된 지역 주변의 도로변에 방음벽을 설치하여 왔고, 이러한 방음에 대한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져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다수개의 긴 슬릿형의 막대를 설치하여 단순히 소음을 차단하는 기존 방음벽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방음벽이 개발되어 보다 양호한 방음효율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벽에 있어서, 그 구조는 흡음판(12)을 설치하기 위해 기둥(11)으로는 일반적으로 H-빔을 사용하고, 이러한 각 기둥(11)의 내 측면에 흡음판(12)의 양측 단부가 걸리도록 한 후에 스프링이 장착된 고정구(14)를 이용하여 밀착되어 고정되게 설치하고, 기둥(11)의 상부에는 덮개(15)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방음벽은 그 구조상 흡음판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없고, 또한 흡음판에 의해서만 소음을 방지하기 때문에 낮은 파장의 소음이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방음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소음원에 의한 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고정구가 흡음판을 밀착시키기 못하게 되어 흡음판이 이탈되거나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흡음판이 고정위치를 이탈되게 되므로 소음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음벽은 그 결합구조에 의해 재질이 한정될 수밖에 없고, 이와 같이 재질이 한정되는 문제는 방음효율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의 외측면에 흡음부와 차음부를 각각 결합되게 하여 기둥 두께의 공간을 소음실이 되도록 구성하여 1차로 흡음부에서 소음을 상쇄하고 2차로 흡음부와 차음부의 공간에서 투과되는 소음을 상쇄하며, 동시에 차음부에서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지주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기둥에 흡음부를 결합하며, 상부에 덮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흡음부는 장방형의 케이스에 흡음재를 삽입되어 밀폐되고, 케이스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뒷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측으로 꺾여 "ㄷ" 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1차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둥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기둥의 후면부에는 흡음부를 통과한 소음이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측면과 양측면이 개구된 직각의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묵하게 들어가 케이스를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기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차음부가 결합되어 흡음부와 차음부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소음을 감쇄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방음벽에 있다.
상기 흡음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구멍은 면적은 전면부의 면적의 약 75%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ㄷ"자형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직각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또한 결합부는 측면 폭이 흡음부의 결합부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되고, 고정부의 양 단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흡음부는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의 길이는 기둥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음부의 케이스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ㄷ"자 형상의 개구 테두리에서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연장된 부분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보강구를 흡음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사이에 끼워 고정하므로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진 케이스의 하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에는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음부는 일 측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로 구성되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에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의 개방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또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케이스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고정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구에 의해 차음부가 기둥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지주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기둥에 흡음부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방음벽 설치방법에 있어서, 기둥의 일 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ㄷ"자형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직각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또한 결합부는 측면 폭이 흡음부의 결합부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되고, 고정부의 양 단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결합하고; 동시에 체결구에 장방형의 케이스에 흡음재를 삽입되어 밀폐되고, 케이스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뒷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측으로 꺾여 "ㄷ" 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흡음부를 번갈아 결합하고; 그리고, 기둥의 다른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부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의 개방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또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높이는 케이스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고정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결합하고; 동시에 일 측면과 양측면이 개구된 직각의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묵하게 들어가 케이스를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기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차음부를 번갈아 결합하는 방음벽 설치방법에 있다.
여기서, 차음부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진 케이스의 하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에는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는 종래의 방음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방음벽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일 구성요소인 흡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흠읍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흡음부를 기둥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흡음부의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일 구성요소인 차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차음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차음부를 기둥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를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방음벽 110 ... 흡음부
111,121a,121b ... 케이스 112 ... 구멍
113,153,173 ... 결합부 114 ... 흡음재
120,120a,120b ... 차음부 122,151,171 ... 고정부
123,152,161,172 ... 구멍 124a,124b ... 수용부
125 ... 차음재 130 ... 덮개
141 ... 지주 142 ... 기둥
150,170 ... 체결구 160 ... 보강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와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지주(141)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142)이 결합된다. 상기 기둥(142)은 일반적으로 H-빔을 이용하며, 상기 각 기둥(142)의 일 측면 사이에 흡음부(110)의 양 단부가 걸치도록 결합되고, 각 기둥(142)의 다른 측면 사이에 차음부(120)의 양 단부가 걸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42)의 상부에는 종래의 방음벽과 마찬가지로 덮개(130)가 결합된다.
상기 흡음부(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방형의 케이스(111)에 흡음재(114)를 삽입한 후에 밀폐시키고, 흡음부(1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12)을 형성시킨다. 상기 구멍(112)은 소음을 케이스(1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으로 소음이 상기 구멍(112)을 통해 케이스(1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흡음재(114)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상쇄된다.
이러한 구멍(112)의 면적은 전면부의 면적의 약 75%를 이루도록 형성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구멍(112)의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흡음부(110)의 구조가 약해지는 것은 이하 설명되는 결합구조 및/또는 보강구(160)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그리고 흡음부(110)의 길이는 기둥(142)에 결합되었을 때, 흡음부(110)의 양 단부 테두리가 두 기둥(142)의 각 중앙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부(110)의 후면에는 이하 설명되는 체결구(150)에 의해 기둥(1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113)는 흡음부(110)의 뒷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측으로 꺾여 "ㄷ" 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홈의 간격은 이하 설명되는 체결구(150)에 형성되는 결합부(153)의 폭과 일치하게 형성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너무 넓게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음부(110)를 기둥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15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3"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150)는 상기 흡음부(1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ㄷ"자형의 고정부(151)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151)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직각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3)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153)는 측면 폭은 상기 결합부(113)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51)의 양 단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52)이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체결구(150)의 길이는 기둥(142)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기둥(142)에 기둥(142)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체결구(150)를 각각 결합되게 하여 상기 흡음부(1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흡음부(110)에 형성된 결합부(113)를 양 단부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부(110)의 케이스(111)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강구(160)를 상기 흡음부(110)에 형성된 결합부(113)의 사이에 끼워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케이스(1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강구(160)의 구조는 "ㄷ"자 형상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사기 연장된 부분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61)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142)의 다른 일 측에 결합되는 차음부(120)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즉, 일 측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직각의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121a)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21a)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묵하게 들어가 케이스(121a)를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121a)를 기둥(142)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2)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23)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122)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진 케이스(121a)의 하부에는 수용부(124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4a)에는 연질재의 고무 등으로 구성된 차음재(125)가 부착된다. 상기 차음재(125)는 흡음부(110)에 의해 감쇄되고, 다시 기둥(142) 내부의 공간을 지나며 공기층에 의해 2차로 감쇄된 소음을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최종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차음재(125)는 낮은 진동수를 갖는 소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차음부(120a)의 구성요소인 케이스(121a)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음부(120)의 다른 형태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면과 양측면이 개구된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121b)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21b)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24b)에 상기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 차음재(125)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차음부(120b)는 방음벽(100)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각 차음부(120a,120b)의 구조는 설계상 변형(예를 들어 양 측면이 개구되지 않는 형태 등)을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음부(12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체결구(170)에 의해 기둥(142)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170)는 고정부(171)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고정부(171)의 개방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결합부(17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73)가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케이스(121a,121b)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고정부(171)에는 기둥(142)에 나사로 결합되도록 구멍(17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음벽(100)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지주(141)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14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기둥(142)의 일 측면에 기둥(14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체결구(150)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기둥(142)에 결합되는 체결구(150)는 체결구(150)의 일 단부가 일 측 기둥(142) 폭의 반 정도에 위치되게 하고, 다른 일 단부를 다른 기둥(142) 폭의 반 정도에 위치되게 하여 결합된다. 그 후 체결구(150)의 결합부(153)에 상기 흡음부(110)의 결합부(113)를 끼워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하는 순서는 각 체결구(150)를 기둥(142)에 결합한 상태에서 흡음부(110)를 옆에서 끼워 넣을 수도 있고, 체결구(150)와 흡음부(110)를 순서대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142)의 다른 측면에는 다른 체결구(170)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고, 상기 흡음부(110)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차음부(12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방음벽(100)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낮은 차음부(120b)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음부(120)의 높이를 맞추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의 외측면에 흡음부와 차음부를 각각결합되게 하여 기둥 두께의 공간을 소음실이 되도록 구성하여 1차로 흡음부에서 소음을 상쇄하고 2차로 흡음부와 차음부의 공간에서 투과되는 소음을 상쇄하며, 동시에 차음부에서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음원에 의한 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흡음판이 고정위치를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된 방음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체결구조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과 재질로 방음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지주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기둥에 흡음부를 결합하며, 상부에 덮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장방형의 케이스(111)에 흡음재(114)를 삽입되어 밀폐되고, 케이스(110)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12)이 형성되고, 케이스(111)의 뒷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측으로 꺾여 "ㄷ" 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113)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1차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둥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둥의 후면부에는 상기 흡음부를 통과한 소음이 소음원의 반대편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측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직각의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121a)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21a)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묵하게 들어가 케이스(121a)를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121a)를 기둥(142)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2)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23)이 형성되는 차음부(120)가 결합되어 상기 흡음부(110)와 차음부(1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소음을 감쇄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구멍(112)의 면적은 전면부의 면적의 약 7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제 1 항에 있어서, "ㄷ"자형의 고정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51)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직각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3)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결합부(153)는 측면 폭이 상기 흡음부(110)의 결합부(113)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51)의 양 단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52)이 형성되는 체결구(150)에 의해 상기 흡음부는 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50)의 길이는 기둥(142)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10)의 케이스(111)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ㄷ"자 형상의 개구 테두리에서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61)이 형성되는 보강구(160)를 상기 흡음부(110)에 형성된 결합부(113)의 사이에 끼워 고정하므로 케이스(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120)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122)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진 케이스(121a)의 하부에는 수용부(124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4a)에는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125)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120)는 일 측면과 양측면이 개구된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121b)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21b)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24b)에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125)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부(171)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71)의 개방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결합부(173)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결합부(173)가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케이스(121a,121b)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171)에는 기둥(142)에 나사로 결합되도록 구멍(172)이 형성되는 상기 체결구(170)에 의해 상기 차음부(120)가 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지주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기둥에 흡음부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방음벽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142)의 일 측면에 기둥(14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ㄷ"자형의 고정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51)의 개구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직각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3)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결합부(153)는 측면 폭이 상기 흡음부(110)의 결합부(113)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51)의 양 단부에는 기둥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52)이 형성되는 체결구(150)를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체결구(150)에 장방형의 케이스(111)에 흡음재(114)를 삽입되어 밀폐되고, 케이스(110)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12)이 형성되고, 케이스(111)의 뒷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측으로 꺾여 "ㄷ" 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113)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흡음부를 번갈아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기둥(142)의 다른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부(171)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71)의 개방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결합부(173)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결합부(173)가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케이스(121a,121b)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171)에는 기둥(142)에 나사로 결합되도록 구멍(172)이 형성되는 체결구(170)를 결합하고;
    동시에 일 측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직각의 틀체로 구성된 케이스(121a)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21a)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묵하게 들어가 케이스(121a)를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121a)를 기둥(142)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2)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23)이 형성되는 차음부(120)를 번갈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설치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122)에 의해양측으로 나누어진 케이스(121a)의 하부에는 수용부(124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4a)에는 연질재로 구성된 차음재(125)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설치방법.
KR10-2001-0034979A 2001-06-20 2001-06-20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KR10040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79A KR100401016B1 (ko) 2001-06-20 2001-06-20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79A KR100401016B1 (ko) 2001-06-20 2001-06-20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649U Division KR200265851Y1 (ko) 2001-06-21 2001-06-21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23A KR20020097323A (ko) 2002-12-31
KR100401016B1 true KR100401016B1 (ko) 2003-10-17

Family

ID=2771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979A KR100401016B1 (ko) 2001-06-20 2001-06-20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61B1 (ko) 2013-04-05 2014-06-18 김태환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0930B (zh) * 2015-10-20 2017-10-20 秦皇岛首创思泰意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隔音降噪减风吸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61B1 (ko) 2013-04-05 2014-06-18 김태환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23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502A (ko) 방음터널용 방음판 고정장치
KR100887413B1 (ko) 회절 및 간섭기능을 갖는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KR100401016B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및 그 설치방법
JP3640648B2 (ja) 防音装置
KR200265851Y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KR101038276B1 (ko) 방음벽용 패널
KR100648377B1 (ko) 방음벽
KR200313145Y1 (ko) 양면 흡음형 방음판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1128390B1 (ko) 방음패널
KR100552993B1 (ko) 방음벽 상단의 회절음 저감판
JP4152253B2 (ja) 防音体の取付け構造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JP2831562B2 (ja) 防音壁
KR20100081071A (ko) 방음패널
KR200261486Y1 (ko) 양면방음패널
KR200260049Y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KR101158666B1 (ko) 원통형 방음벽
KR200194971Y1 (ko) 방음벽 구조
KR200360496Y1 (ko) 방음벽 상단의 회절음 저감판
JP4059328B2 (ja) 防音壁
KR20100127445A (ko) 가설 방음벽
KR200283302Y1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KR200208807Y1 (ko)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