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784A -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 - Google Patents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784A
KR20000035784A KR1019997000719A KR19997000719A KR20000035784A KR 20000035784 A KR20000035784 A KR 20000035784A KR 1019997000719 A KR1019997000719 A KR 1019997000719A KR 19997000719 A KR19997000719 A KR 19997000719A KR 20000035784 A KR20000035784 A KR 2000003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ecorative
nozzle assembly
nozzle plate
choco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191B1 (ko
Inventor
아쿠다가와도쿠지
Original Assignee
아쿠다가와 도쿠지
아쿠다가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다가와 도쿠지, 아쿠다가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쿠다가와 도쿠지
Publication of KR2000003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20Apparatus for mould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23G1/201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23G1/21 - A23G1/28
    • A23G1/205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1/206Apparatu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18Apparatus for conditioning chocolate masses f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007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23G3/2015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the material being shaped at least partially by a die; Extrusion of filled or multi-layered cross-sections or plates,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cutt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007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23G3/2023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the material being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s on a surface or an article being completed
    • A23G3/203Apparatus for laying down the liquid, pasty or solid materials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r an article being completed,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ro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p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8Apparatus for decorat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색채가 다른 2종이상의 유동성식품재료의 각 흐름(A, B)을 다수로 분기시켜성형틀의 소정 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노즐조립체로서, 윗쪽 노즐 플레이트(11)와, 플레이트(11)의 아래쪽에 접하여 설비되는 하나이상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13)를 구비하고, 각 플레이트는, 각각 2이상의격리된 통로(11a,11b)를 구비하며, 플레이트(11)의 각 통로는, 재료의 한종류를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이고, 또한 각 통로는, 아래 쪽 노즐플레이트의 통로중 대응하는 1개의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구멍(11a',11b')을 하나이상씩 구비하고,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재료의 한종류를 1개의 단위 성형틀에 송출하는 송출구멍을 하나이상 구비하고, 또한 통로의 하나이상이 재료의 한종류를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수평유도통로(12a,13b)이고, 각 수평유도통로에 연통하는 플레이트(11)의 1개의 통로에 설비된 연통구멍의 수보다 이 수평유도통로에 구비되는 송출구멍(12a',13b')의 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 성형용 노즐조립체, 이것을 사용한 장식식품의 제조법과 장식초콜렛.

Description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FOOD, NOZZLE ASSEMBLY AND DECORATIVE CHOCOLATE}
종래, 색채가 다른 복수종류의 유동성 초콜렛재료를 성형틀에 충전하는 것에 의하여 모양을 입힌 초콜렛의 제조방법으로서는, 2색이상의 초콜렛재료를 미리 저류탱크내에서 혼합하여, 그 혼합재료를 성형틀에 충전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저류탱크안에서의 초콜렛재료의 혼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더구나, 저류탱크를 쓰기때문에 공간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색채가 다른 초클렛재료 각각을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다른 단일노즐로 부터 성형틀에 따로따로 충전하여, 그 성형틀내에서 합류 또는 혼합시켜서 고화하는 방법 (예컨대 특개평 9-23818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따로따로의 노즐을 맞출 필요가 있기때문에 공간효율이 나쁘고, 더구나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노즐을 맞춰서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모양이 한정되고, 또한 원하는 모양으로의 변경도 곤란하다. 또한, 각 초콜렛재료가 성형틀에 동시에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표면부위에 색채가 다른 모양이 형성될 뿐이고, 초콜렛안의 깊은 부분까지 색채가 다른 모양이 미치는 것은 제조할 수 없다.
소정색의 유동성 초콜렛재료를 미리 성형틀내에 주입하여 고화시킨 후에, 이것과 색채가 다른, 다른 종류의 유동성 초콜렛재료를 주입하여 고화시키는 방법이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초콜렛재료를 2단계이상으로 나눠 성형틀에 충전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방법이 번잡하고, 더구나, 색채가 다른 모양의 경계가평활하게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색채가 다른 복수종류의 유동성 초콜렛재료 등의 식품재료를 성형틀에 충전하여,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입힌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쓰는 노즐조립체 및 해당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장식초콜렛에 관한 것이다.
도1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의 (a)는, 도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로는 횡단면도이다.
도3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도3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로는 횡단면도이다.
도5의 (a) 및 (b)는Y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c)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의 (a)는, 도5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로는 종단면도, (c)는 (b)의 c-c선에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7(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의 (a)는, 도7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 (c)는 (b)의 c-c선에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9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의 (a)는, 도9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 (c)는 (b)의 c-c선에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11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의 (a)는, 도1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 (c)는 (b)의 c-c선에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13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14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 이다.
도15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16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17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18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19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0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1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2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3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4의 (a)∼(c)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d)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도25의 (a)∼(d)는,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e)는 성형틀의 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얻어진 장식초콜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을 용이하게, 또한 각 장식식품에 대략 동일모양을 갖는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모양을 원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공업적으로 유용한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을, 효율적으로, 더구나 작은 공간에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더구나, 다종다양한 원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공업적인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쓸 수 있는 노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균일성이 우수한 모양을 갖고, 표면이 평활하며, 다른 색채끼리의 경계가 시각적으로 우수한 장식초콜렛을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식품재료를, 1개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에 충전하여,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식품재료의 각각을, 상기 성형틀에 충전하기위한 소정량으로 각각 계량하여, 계량된 각 식품재료를,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갖는 노즐조립체 윗쪽의 상기 각 통로에 연통하는 각 주입영역에 거의 동시에 따로따로 공급하고, 노즐조립체내에 있어서 각 식품재료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분기시켜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시키고, 상기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되는 각 식품재료를, 1개 단위의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여 합류시켜, 합류시킨 식품재료를 고화하여 성형틀로부터 이형하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식품재료의 각각을, 상기 성형틀에 충전하기 위한 소정량으로 각각 계량하여, 계량된 각 식품재료를,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갖는 노즐조립체 윗쪽의 상기 각 통로에 연통하는 각 주입영역에 거의 동시에 따로따로 공급하고, 노즐조립체내에서 각 식품재료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분기시키고, 성형틀에 충전하기 직전에 상기 분기한 각 식품재료를 합류시켜서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송출시켜, 상기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합류하여 송출되는 각 식품재료를, 1개 단위의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고, 고화하여 성형틀로부터 이형하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식품재료의 각각의 흐름을 다수로 분기시켜 1개 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의 소정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기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쓰는 노즐조립체로서,
그 노즐조립체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와, 그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접하여 설비하는 적어도 1개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윗쪽 노즐 플레이트 및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구비하며,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이고, 또한 각 통로는,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중의 대응하는 1개의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적어도 1개씩 구비하고,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1개 단위의 성형틀로 송출하는 송출구멍을 적어도 1개씩 구비하고, 또한 통로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수평유도통로이고, 각 수평유도통로에 연통하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1개의 통로에 설비된 연통구멍의 수보다 이 수평유도통로에 구비되는 송출구멍의 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성형용 노즐조립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초코렛으로서,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표면 및 안쪽 깊은 부분까지에 연속하여 가지며, 또한 표면에서의 색채가 다른 모양의 경계가 평활한 장식초콜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식품재료를, 1개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에 충전하여,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유동성식품재료로서는, 예컨대, 초콜렛재료 ; 어묵 등의 가공식품재료 ; 젤리재료 ; 쿠키, 케이크 등의 굽는 과자재료를 들 수 있다. 식품재료의 점도는, 원하는 모양에 따라서, 색채가 다른 각 식품재료가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되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색채는, 백색 및 흑색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성형틀이란, 예컨대, 초콜렛이면, 장식초콜렛 1개를 제조하기위한 성형틀내에 구분된 1구획이고, 이 구획은 1이나 2이상이더라도 좋다. 공업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복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식품재료의 각각을, 상기 성형틀에 충전하기 위한 소정량으로 각각 계량한다. 이 계량은, 예컨대, 계량기가 붙은 디포짓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계량된 각 식품재료를,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갖는 노즐조립체 윗쪽의 상기 각 통로에 연통하는 각 주입영역에 거의 동시에 따로따로 공급하고, 노즐조립체내에 있어서 각 식품재료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분기시켜 노즐조립체의 아래쪽에서 따로따로 송출시킨다.
상기 노즐조립체로서는 후술하는 노즐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노즐조립체에 있어서는, 식품재료를 주입영역에 거의 동시에 공급하여, 거의 동시에 각 식품재료를 따로따로 합류시킴없이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시키는 것, 그리고 주입영역으로부터 공급된 각 식품재료의 흐름의 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분기시키고, 흐름을 원하는 수 늘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얻어지는 장식식품의 모양을 다종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노즐조립체를 포함하는 장치자체의 공간효율을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장식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되는 각 식품재료를, 1개의 단위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여 합류시키고, 합류시킨 식품재료를 고화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성형틀로부터 이형하는 것에 의해서 장식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합류란, 다른 색채의 식품재료가 혼합하여 별도의 색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다른 색채의 상태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고 서로 접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각 식품재료를, 1개의 단위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여 합류시키는 대신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상기 노즐조립체안에서 분기시킨 후, 성형틀에 충전하기 직전에 상기 분기한 각 식품재료를 합류시켜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송출시키고, 1개의 단위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고, 고화하여 성형틀로부터 이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틀에 충전하기 직전에 식품재료를 합류시킴으로써, 물결형태 등의 더욱 복잡한 모양으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다른 색채의 식품재료가 합류한 경계를, 성형틀내에서 선염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선염모양은 상기 경계부분만이고, 얻어지는 장식식품은,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다.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는,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 식품재료의 각각의 흐름을 다수로 분기시켜 1개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의 소정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기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조립체이다.
그 노즐조립체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와, 그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아래쪽으로 접하여 설비된 적어도 1개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윗쪽 노즐 플레이트 및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구비한다.공업적으로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아랫면에,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병렬로복수구비한 모양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레이트란, 연직방향으로 연장한 노즐 및종래의 초콜렛 재료 등을 미리 혼합하기 위한 저류탱크와 같이 연직방향으로 긴 것이 아니고, 되도록 얇은 판모양의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각 노즐을 플레이트로 함으로써, 공간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노즐에 공급할 때의 식품재료의 점도 및 공급압이 동일하면, 종래의 연직방향으로 긴 노즐을 쓰는 것 보다도 단시간에 성형틀에 각 식품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에 있어서,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또한, 윗쪽 노즐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중 대응하는 1개의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적어도 1개씩 구비한다. 따라서, 윗쪽 노즐 플레이트로부터의 각 식품재료의 흐름은, 합류하지 않고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에 공급된다.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1종을 1개의 단위의 성형틀로 송출하는 송출 구멍을 적어도 1개씩 구비하고, 또한 통로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수평유도통로이다. 또한, 각 수평유도통로에 연통하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1개의 통로에 설비된 연통구멍의 수보다 이 수평유도통로에 구비되는 송출구멍의 수가 많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윗쪽 노즐 플레이트로 공급된 각 식품재료의 흐름의 수보다, 아래쪽 노즐 플레이트의 수평유도통로를 통과한 식품재료의 흐름의 수가 많게 된다.
즉, 적은 공급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노즐의 연직방향의 길이에 관계없이, 식품재료의 흐름을 용이하게 분기시킬 수 있고, 윗쪽 노즐 플레이트와, 적어도 1개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여러가지 맞추는 것에 의해, 다종다양한 모양의 설계 확장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다종다양한 모양은, 복수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연직방향으로서로 접하여 설비하는 것, 그리고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독립하여 송출되어오는 색조가 다른 식품재료를 합류시켜 1단위의 성형틀에 송출시키는 합류노즐을 더 설비함으로써,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이 합류노즐은, 전술한 제조방법에서의,다른 색채의 식품재료가 합류한 경계를, 성형틀내에서 선염모양으로 하는 것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장식초콜렛은,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표면 및 내부깊은 곳까지 연속하여 갖고, 또한 표면에 있어서의 색채가 다른 모양의 경계가 평활하다. 이 때,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표면 및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하여 갖는 것은, 성형틀에 충전하였을 때의 장식초콜렛의 윗표면의 모양과, 이장식초콜렛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모양이 대략 동일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상기 표면에 있어서 색채가 다른 경계의 적어도 일부는, 경계에서의 각 색채가 혼합한 선염모양이어도 된다. 또한, 장식초클렛의 모양은,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모양이 2회 이상 되풀이되고 있는 균일성이 우수한 복잡한 모양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태양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1
도1은, 윗쪽 노즐 플레이트(11),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 및 합류노즐(14)로 이루어지는 노즐조립체의 분해사시도와, 성형틀(15)의 사시도이다.
도1의 (a)에 있어서 윗쪽 노즐 플레이트(11)는, 서로 격리된, 수평방향으로 유동성초콜렛 재료를 유도하는 통로(11a,11b)를 구비한다. 통로(11a,1lb)는, 도1(b)에 나타낸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의 통로(12a,12b)에 각각 대응하여 연통하는 연통구멍(11a',11b')을 구비한다.
도1의 (b)에 있어서의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의 통로(12a)는, 상기 연통구멍(11a')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 재료의 흐름(A)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어 확산시키는 수평유도통로이고, 이 수평유도통로(12a)에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11a)에 천설(穿設)된 1개의 연통구멍(11a')에 대하여 8개의 송출구멍(12a')이 천설되어 있다.
한편, 통로(12b)는, 상기 연통구멍(11b')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재료의 흐름(B)을,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의 더욱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에, 상기 흐름(A)과 합류시키지 않고 공급하는 통로이다.
도1의 (c)에 있어서의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의 통로(13a)는, 상기 연통구멍(12a')에서 공급되어오는 흐름(A)을, 아래 쪽의 합류노즐(14)에 그대로 공급하는 통로이다.
한편, 통로(13b)는, 상기 연통구멍(12b)에서 공급되어오는 흐름(B)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키는 수평유도통로이고, 이 수평유도통로(13a)에는,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12b)에서의 1개의 연통구멍에 대하여 8개의 송출구멍(13b')이 천설되어 있다.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의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합류노즐(14)은, 송출구멍(13a) 및 (13b')에서 각각 따로따로 송출되는 흐름(A, B)을 합류시켜, 성형틀(15)로 유도, 충전한다. 이 때, 각 초콜렛 재료는 급속하게 온도가 저하해가기 때문에, 성형틀(15)내에서 거의 혼합되지 않고, 각 초콜렛재료의 색채를 유지한 상태, 즉,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합류상태 그대로의 색채가 2종이상으로 명료하게 분리된 모양을 형성하여 고화한다.
상기 윗쪽 노즐 플레이트(11),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2),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 및 합류노즐(14)은, 사용시에 이 순서로 각각 접하여 조립된다. 또한, 윗쪽 노즐 플레이트(11)에, 통로(11a,11b)를 각각 복수 설비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수의 제1의 아래 쪽 노즐플레이트(12),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 및 합류노즐(14)을 병렬적으로 윗쪽 노즐 플레이트(11)에 설치하고, 각각의 합류노즐(14)의 아래 쪽에 성형틀(15)을 배치함으로써, 대략 동일모양을 갖는 장식초콜렛을 복수개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성형틀(15)은 각각 독립이어도 되고 일체로 되어있어도 된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계량기가 부착된 디포짓터에서 소정량의 색채가 다른 각 초콜렛재료(A, B)를 각기 개별로 윗쪽 노즐 플레이트(11)의 통로(11a,11b)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1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졌다.
장식초콜렛(1O)에 있어서, A 및 B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초콜렛 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 색채가 다른 초콜렛으로서, 각각 2회 이상 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초콜렛 A 및 B의 경계는, 색채가 명료하게 분리되어있고, 또한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 2의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 2의 (b)에 나타난 대로이고, 도2의 (a)에 나타난 장식초콜렛(10)을 윗쪽(또는 아래 쪽)에서 본 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10)에 있어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한 모양이 표면 뿐 만 아니라 내부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도3의 (a)∼(e)에 있어서, (d)이외는, 도 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d)의 (14)는, 도 1의 (d)와 같이 합류노즐이지만, 도 3의 (d)에 나타난 합류노즐(14)은, 유공판(有孔板)(14a)을 구비한다. 이 유공판(14a)은,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13)의 송출구멍(13a,13b')에서 송출되어오는 초콜렛재료의흐름(A, B)을 합류시켜, 개구(14a')에서 합류한 상태로 아래쪽으로 유도한다. 이때문에, 합류노즐(14)로부터 송출되어, 성형틀(15)로 유도, 충전되는 흐름(A, B)은, 성형틀(15)에 충전될 때까지 그 일부가 혼합하여, 후술하듯이,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의 색채가 다른 모양외 경계가 선염모양으로 된다.
다음에, 실시예 1와 같이, 도 3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4의 (a)는, 도3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1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졌다.
장식초콜렛(1O')에 있어서,(A) 및 (B)는, 상기 도1에서 설명한 초콜렛 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 색채가 다른 초콜렛이고, 각각 2회 이상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초콜렛(A) 및 (B)의 경계는, 각 색채가 혼합한 선염모양(S)으로 되어 있지만, 색채가 다른 초콜렛(A) 및 (B)는 선염모양(S)을 경계로하여 분리하고 있다. 또한 이 경계, 및 선염모양(S)의 표면은 모두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 4의 (b)에 나타난대로이고, 도 4의 (a)에 나타내는 장식초콜렛(10')을 윗쪽 (또는 아래 쪽)에서 본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10')에 있어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이 표면 뿐 만 아니라 내부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1 및 2에 있어서, 합류노즐(14)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얻어진 장식초콜렛도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표면 및 내부깊은 곳까지 연속하여 설비하고, 또한 평면을 평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5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21) 및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노즐조립체의 분해사시도와, 성형틀(24)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의 윗쪽 노즐 플래이트(21)는, 서로 격리된, 수평방향으로 유동성 초콜렛재료를 유도하는 통로(21a,21b)를 구비한다. 통로(21a,21b)는, 도5(b)에 나타난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의 통로(22a∼d)에 각각 대응하여 연통하는 연통구멍(21a',21b')을 구비한다.
도 5의 (b)에 있어서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의 통로(22a)는, 상기 연통구멍(21a')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 재료의 흐름(A)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키는 수평유도통로이고, 이 수평유도통로(22a)에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21a)에 천설된 3개의 연통구멍(21a')에 대하여 6개의 송출구멍(22a')이 천설되어 있고, 연통구멍(21a')의 1개는 송출구멍이 되는 통로(22c)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통로(22b)는, 상기 연통구멍(21b')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재료의 흐름(B)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키는 수평유도통로이고, 이 수평유도통로(22b)에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21b)에 천설된 3개의 연통구멍(21b')에 대하여 6개의 송출구멍(22b')이 천설되어 있고, 연통구멍(21a')의 1개는 송출구멍 이되는 통로(22d)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윗쪽 노즐 플레이트(21) 및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는, 사용시에 이순서로 각각 접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소정량의 색채가 다른 각 초콜렛재료(A, B)를 각기 개별로 윗쪽 노즐 플레이트(21)의 통로(21a,21b)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함으로써,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를 통과하고, 각각의 흐름(A, B)은 분기하여 성형틀(24)의 소정위치로 유도되어, 원하는 모양을 갖는 장식초콜렛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도시하지않은 계량기가 부착된 디포짓터로부터 소정량의 색채가 다른 각 초콜렛재료(A, B)를 각기 개별로 윗쪽 노즐 플레이트(21)의 통로(21a,21b)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5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2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졌다.
장식초콜렛(20)에 있어서,(A) 및 (B)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초콜렛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 색채가 다른 초콜렛이고, 각각 2회 이상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초콜렛(A) 및 (B)의 경계는, 색채가 명료하게 분리되어 있고, 또한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는, 도2의 (b)에 나타난 대로이다. 이 도2의 (b)에 나타내어진 c-c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2의 (c)에 나타난 대로이고, 도2의 (a)에 나타난 장식초콜렛(20)을 윗쪽 (또는 아래 쪽)에서 본 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20)에 있어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이 표면 뿐 만아니라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4
도 7의 (a)∼(d)에 있어서, (c) 이외는, 도 5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과 동일하기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c)의 (23)은, 수평유도통로(23a)를 구비하는 합류노즐이고, 수평유도통로(23a)에는, 14개의 송출구멍이 되는 개구(23a')가 설비되어 있다. 이 합류노즐(23)은,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22)의 송출구멍(23a'∼d')에서 송출되어오는 초콜렛재료의 흐름(A, B)을 합류시켜, 개구(23a')에서 합류한 상태로 아래쪽으로 유도한다. 이 때문에, 합류노즐(23)로부터 송출되어, 성형틀(24)로 유도, 충전되는 흐름(A, B)은, 성형틀(24)에 충전될 때까지 그 일부가 혼합하여, 후술하듯이,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의 색채가 다른 모양의 경계가 선염모양이 된다.
다음에, 실시예 3과 같이, 도 7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의 (a)는, 도7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2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졌다.
장식초콜렛(20')에 있어서, (A) 및 (B)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초콜렛 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색채가 다른 초콜렛으로서, 각각 2회 이상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초콜렛(A) 및 (B)의 경계는, 각 색채가 혼합한선염모양(S)으로 되어 있지만, 색채가 다른 초콜렛(A) 및 (B)는 선염모양(S)을 경계로 하여 분리하고 있다. 또한 이 경계, 및 선염모양(S)의 표면은 모두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8의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는, 도8의 (b)에 나타난 대로이다. 이 도8의 (b)에 나타난 c-c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8의 (c)에 나타난 대로이고, 도8의 (a)에 나타난 장식초콜렛(20')을 윗쪽 (또는 아래 쪽)에서 본 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20')에 있어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한 모양이 표면 뿐 만 아니라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5
도 9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31),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2) 및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3)로 이루어지는 노즐조립체의 분해사시도와 성형틀(35)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의 윗쪽 노즐 플레이트(31)는, 서로 격리된, 수평방향으로 유동성초콜렛재료를 유도하는 통로(31a,31b)를 구비한다. 통로(31a,31b)는, 도9(b)에 나타난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2)의 통로(32a,32b)에 각각 대응하여 연통하는 연통구멍(31a',31b')을 구비한다.
도 9의 (b)에 있어서의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2)의 통로(32a)는, 상기 연통구멍(31a')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 재료의 흐름(A)을,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2)의 더욱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제2의 아래 쪽 노즐플레이트(33)에,흐름(B)와 합류시키지 않고 공급하는 통로이다.
한편, 통로(32b)는, 상기 연통구멍 (31b')에서 공급되어오는 초콜렛 재료의 흐름(B)을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 키는 수평 유도통로이고, 이 수평유도통로(32b)에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31b)에 천설된 3개의 연통구멍(31b')에 대하여 7개의 연봉구멍(32b')이 천설되어 있다.
도9의 (c)에 있어서의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3)의 통로(33a)는, 상기 연통구멍(32a)에서 공급되어오는 흐름(A)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키는 2개의 수평유도통로이고, 각 수평유도통로(33a)에는,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32a)에서의 1개의 연통구멍에 대하여 4개의 송출구멍(33a')이 천설되어있다.
한편, 통로(33b)는, 상기 연통구멍(32b')에서 공급되어오는 흐름(B)을, 성형틀(35)에 그대로 공급하는 송출구멍이다.
성형틀(35)의 저부에는, 상기 초콜렛재료의 흐름(A, B)과 다른 초콜렛재료(C)를 충전할 수 있는 별모양의 아래틀(35a)이 설비되고, 이 아래틀(35a)에는 미리 별도의 색채를 갖는 초콜렛(C)이 고화한 상태로 충전되고, 상기 초콜렛재료(A, B)는, 이 상태로 성형틀35에 각각 충전된다.
상기 윗쪽 노즐 플레이트(31), 제1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2) 및 제2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3)는, 사용시에 이 순서로 각각 접하여 조립된다.
다음에, 도9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계량기가 부착된 디포짓터로부터 소정량의 색채가 다른 각 초콜렛재료(A, B)를 각기개별로 윗쪽 노즐 플레이트(31)의 통로(31a,31b)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10의 (a)는, 도9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3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졌다.
장식초콜렛(30)에 있어서,(A) 및 (B)는,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초콜렛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 색채가 다른 초콜렛으로서, 각각 2회 이상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또한,(C)는 도9에서 설명한 미리 성형틀(35)내에 고화해 놓은 초콜렛(C)이다. 상기 초콜렛 A 및 B의 경계는, 색채가 명료하게 분리되어있고, 또한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1O의 (a)에 나타난 b-b선에 따르는 종단면도는, 도10의 (b)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이 도10의 (b)에 나타난 c-c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10의 (c)에 나타난 대로이고, 도10의 (a)에 나타내는 장식초콜렛(30)를 아래 쪽에서 본 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30)에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한 모양이 표면뿐 만 아니라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6
도 11의 (a)∼(e)에 있어서, (d) 이외는, 도9에 나타내는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과 동일하기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의 (d)의 (34)는, 수평유도통로(34a)를 구비하는 합류노즐이고, 수평유도통로 (34a)에는 15개의 송출구멍이 되는 개구(34a')가 설비되어 있다. 이 합류노즐(34)은,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33)의 송출구멍(33a',33b)에서 송출되어오는 초콜렛 재료의 흐름(A, B)을 합류시켜, 개구(34a')에서 합류한 상태로 아래쪽으로 유도한다. 이 때문에, 합류노즐(34)로부터 송출되어, 성형틀(35)로 유도, 충전되는 흐름(A, B)은, 성형틀(35)에 충전될 때까지 그 일부가 혼합하여, 후술하듯이, 얻어지는 장식초콜렛의 색채가 다른 모양의 경계가 선염모양이 된다.
다음에, 실시예 5와 같이, 도 11에 나타내는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에 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12의 (a)는, 도11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식초콜렛(30')의 사시도이고, 제조를 되풀이하여 행한 경우에도 대략 동일 모양의 장식초콜렛이 얻어진다.
장식초콜렛(30')에 있어서,(A) 및 (B)는,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초콜렛 재료의 흐름(A, B)에 대응하는 고화한 각각 색채가 다른 초콜렛이고, 각각 2회 이상되풀이된 모양으로 되어있다. 또한,(C)는 도11에서의 미리 성형틀(35)내에 고화해놓은 초콜렛(C) 이다. 이 초콜렛(A) 및 (B)의 경계는, 각 색채가 혼합한 선염모양(S)으로 되어있지만, 색채가 다른 초콜렛(A) 및 (B)는 선염모양(S)을 경계로 하여분리되어 있다. 또한 이 경계, 및 선염모양(S)의 표면은 모두 평활한 면이었다. 또한, 도12의 (a)에 나타난 b-b 선에 따르는 종단면도는, 도12의 (b)에 나타난 대로이다. 이 도12의 (b)에 나타난 c-c 선에 따르는 횡단면도는, 도12의 (c)에 나타내는 대로이고, 이 도12의 (a)에 나타난 장식초콜렛(30')을 아래 쪽에서 본 상태와 대략 동일한 모양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장식초콜렛(30)에서는,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한 모양이 표면 뿐 만 아니라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19
도 13∼도 25에 나탸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각 도에 나타난 장식초콜렛을 제조하였다. 이들은, 모두 실시예 1∼6에 나타난 노즐조립체를 변형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얻어진 장식초콜렛은, 모두 실시예1∼6과 같이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한 모양을 표면 및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하여 갖고, 또한 표면에서의 색채가 다른 경계는 평활하였다.
도 13∼도 25에 나타난 노즐조립체 및 성형틀은, 모두 실시예1∼6에 나타난노즐조립체를 변형한 다른 실시예이고, 각 노즐 플레이트, 합류노즐 및 성형틀의 기본적인 작용 및 사용방법은 실시예1∼6에 의거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각 도면에서의 번호 만을 설명한다.
41,51,61,71,81,91,101,111,121은 윗쪽 노즐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41a, 41b, 51a, 51b, 61a, 61b, 71a, 71b, 81a, 81b, 91a, 91b, 101a, 101b, 111a, 111b, 121a, 121b는 수평방향으로 초콜렛 재료를 유도하는 통로를 나타낸다. 41a', 41b', 51a', 51b', 61a', 61b', 71a', 71b', 81a', 81b', 91a', 91b', 101a', 101b', 111a', 111b', 121a', 121b'는 연통구멍을 나타낸다. 42, 43, 52, 53, 62, 63, 72, 73, 82, 83, 92, 93, 102, 103, 112, 113, 122, 123은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42a, 43b, 52a, 53b, 62a, 63b, 72a, 73b, 82a, 83b, 92a, 93b, 102a, 103b, 112a, 113b, 122a, 123b는 수평유도통로를 나타낸다. 42a', 42b, 43a, 43b', 52a', 52b, 53a, 53b', 62a', 62b, 63a, 63b', 72a', 72b, 73a, 73b', 82a', 82b, 83a, 83b', 92a', 92b', 93a, 93b', 102a', 102b, 103a, 103b' , 112a', 112b, 113a, 113b', 122a', 122b, 123a, 123b'는 연통구멍 또는 송출구멍을 나타낸다. 74, 84, 94, 124는 합류노즐을 나타낸다. 74a', 84a', 94a', 124a'는 개구를 나타낸다.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는 성형틀을 나타낸다. 40, 50, 60, 70, 70', 80, 80', 90, 90', 100, 110, 120, 120'는 얻어진 장식초콜렛를 나타낸다.
한편, 도17, 도19, 도21, 도25에 있어서는, 초콜렛재료의 흐름(A) 및 (B)의 일부를 각 합류노즐에 의해 성형틀에 충전하기 전에 합류시킨 예이지만, 예컨대, 도4, 도8, 도12에 나타난 것 같은 경계에서 선염모양으로는 되지 않고, 색채가 2종으로 명료하게 분리된 물결모양으로 되었다. 이것은, 합류노즐에 천설된 개구의 크기 및 초콜렛 재료의 점도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들의 요건을 변경함으로써 선염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조립체에 이용하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 아래 쪽 노즐플레이트 및 합류노즐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그 크기도 얻어지는 장식식품의 크기, 한번에 제조하는 장식식품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Claims (9)

  1.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식품 재료를, 1개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에 충전하여,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의 각각을, 상기 성형틀에 충전하기 위한 소정량으로 각각 계량하여,
    계량된 각 식품재료를,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갖는 노즐조립체 윗쪽의상기 각 통로에 연통하는 각 주입영역에 대략 동시에 따로따로 공급하고, 노즐조립체내에서 각 식품재료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분기시켜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시키고,
    상기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따로따로 송출되는 각 식품재료를, 1개 단위의 성형틀로 대략 동시에 충전하여 합류시키고,
    합류시킨 식품재료를 고화하여 성형틀로부터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2.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 식품재료를, 1개이상의 단위 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에 충전하여, 색채가 2종 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갖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의 각각을, 상기 성형틀에 충전하기 위한 소정량으로 각각 계량하여,
    계량된 각 식품재료를,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갖는 노즐조립체 윗쪽의 상기 각 통로에 연통하는 각 주입영역에 거의 동시에 따로따로 공급하고, 노즐조립체 내에서 각 식품재료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식품재료의 흐름을 분기시켜, 성형틀에 충전하기 직전에 상기 분기한 각 식품재료를 합류시켜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에서 송출시키고,
    상기 노즐조립체의 아래 쪽으로부터 합류하여 송출되는 각 식품재료를, 1개의 단위 성형틀에 거의 동시에 충전하고, 고화하여 성형틀로부터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가, 유동성 초콜렛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의 제조방법.
  4. 색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유동성식품 재료의 각각의 흐름을 다수로 분기시켜서 1개이상의 단위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틀의 소정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장식식품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노즐조립체에 있어서,
    그 노즐조립체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와, 그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아래쪽으로 접하여 설비하는 적어도 1개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윗쪽 노즐플레이트 및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2개의 격리된 통로를 구비하고,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이고, 또한 각 통로는,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통로중의 대응하는 1개의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구멍를 적어도 1개씩 구비하고,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각 통로는, 상기 식품재료의 한종류를 1개의 단위성형틀에 송출하는 송출구멍을 적어도 1개씩 구비하고, 또한 통로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식품재료의 1종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수평유도통로이고, 각수평유도통로에 연통하는 윗쪽 노즐 플레이트의 1개의 통로에 설비된 연통구멍의 수보다 이 수평유도통로에 구비되는 송출구멍의 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식품 성형용 노즐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를 연직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독립하여 송출되어오는 색조가 다른 식품재료를 합류시켜 1단위의 성형틀에 송출시키는 합류노즐을, 상기 아래 쪽 노즐 플레이트의 아래쪽으로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조립체.
  7. 제 3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초콜렛으로서, 색채가 2종이상으로 분리된 모양을 표면 및 내부 깊은 곳까지 연속하여 갖고, 또한 표면에서의색채가 다른 경계가 평활한 장식초콜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서의 색채가 다른 경계의 적어도 일부가, 경계에서 각 색채가 혼합한 선염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초콜렛.
  9. 제 7 항에 있어서,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모양이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초콜렛.
KR1019997000719A 1997-05-28 1998-05-28 장식초콜렛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 KR100365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38618 1997-05-28
JP9138618A JP3052194B2 (ja) 1997-05-28 1997-05-28 チョコレート菓子を製造するノズルとそのノズルを使用したチョコレート菓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784A true KR20000035784A (ko) 2000-06-26
KR100365191B1 KR100365191B1 (ko) 2002-12-26

Family

ID=1522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719A KR100365191B1 (ko) 1997-05-28 1998-05-28 장식초콜렛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83539B1 (ko)
EP (1) EP0968656B1 (ko)
JP (1) JP3052194B2 (ko)
KR (1) KR100365191B1 (ko)
CN (1) CN1081443C (ko)
AU (1) AU728650B2 (ko)
CA (1) CA2262602C (ko)
DE (1) DE69832264T2 (ko)
WO (1) WO1998053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3299B2 (ja) * 1998-06-12 2005-06-22 芥川製菓株式会社 装飾食品の製造装置
JP4009369B2 (ja) * 1998-08-07 2007-11-14 芥川製菓株式会社 装飾食品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
JP3658505B2 (ja) * 1998-08-07 2005-06-08 芥川製菓株式会社 複合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WO2000041574A1 (en) * 1999-01-15 2000-07-20 Kellogg Company Food products and co-injection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US6099880A (en) * 1999-05-24 2000-08-08 Nabisco, Inc. Variable-width swirl pattern in candy
AU2001281604A1 (en) * 2000-08-25 2002-03-04 Chocolate Graphics Pty Ltd Chocolate with raised design
AU2003900246A0 (en) * 2003-01-17 2003-02-06 Mars, Incorporated Improvements in food deposition apparatus
DE10304525A1 (de) * 2003-02-04 2004-08-12 Bühler Bindler GmbH Herstellung schalenartiger Verzehrgüter aus einer kakaohaltigen oder schokoladeähnlichen Fettmasse
US7264836B2 (en) * 2003-03-21 2007-09-04 Kraft Foods Holdings, Inc. Production of triple coextruded baked bar goods
US7470119B2 (en) 2004-05-18 2008-12-30 Wm. Wrighley Jr. Company Confection center fill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60329A1 (en) * 2004-05-18 2005-11-24 Christianita Yusuf Production of liquid center filled confections
US20060034976A1 (en) * 2004-08-12 2006-02-16 Cotten Gerald B Dual textured swirled confections
JP2006101744A (ja) * 2004-10-04 2006-04-20 Akutagawa Seika Kk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方法
KR100741443B1 (ko) * 2006-01-25 2007-07-23 주식회사 한불후치피아 낱장마다 색무늬 모양이 변하는 슬라이스 치즈 제조장치
KR100721651B1 (ko) * 2006-07-28 2007-05-23 김진석 다기능 구이기
JP4867577B2 (ja) * 2006-10-27 2012-02-01 東洋製罐株式会社 充填ノズル
JP4862089B2 (ja) * 2010-07-12 2012-01-25 芥川製菓株式会社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AU2013232388B2 (en) 2012-03-12 2016-08-11 Anne-Christine MCKIBBEN Edible wafer
US8870561B2 (en) * 2012-03-16 2014-10-28 Bbs Corporation Layer sequence repeater module for a modular disk co-extrusion die and products thereof
KR101367396B1 (ko) 2012-05-01 2014-03-13 임선식 초콜릿 공급장치
JP6304702B2 (ja) * 2013-04-04 2018-04-04 株式会社ロッテ バー・スティックタイプの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518408A (en) * 2013-09-20 2015-03-25 Kraft Foods R & D Inc Apparatus and Methods
AU2020336865A1 (en) * 2019-08-29 2022-02-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epositing method and deposito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8251A (en) * 1921-04-30 1927-05-10 William B Laskey Method of making candy
US1839719A (en) * 1928-12-11 1932-01-05 Racine Confectioners Machinery Apparatus for molding confections
US1865097A (en) * 1931-05-01 1932-06-28 Dilman C Gilham Molding process
US2874649A (en) * 1956-12-17 1959-02-24 Allen Crawford Ltd Process for producing candies with inset designs
US2893605A (en) * 1958-05-26 1959-07-07 Ralph F Anderson Dispensing valve
US3307503A (en) * 1964-07-30 1967-03-07 Internat Food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candy bars
US3342143A (en) * 1965-09-02 1967-09-19 Nat Dairy Pro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dible product
US3545981A (en) * 1967-06-01 1970-12-08 Bartons Candy Corp Method of making candy
US3690896A (en) * 1970-05-15 1972-09-12 Gen Mills Inc Process for forming a multi-colored food product
US3876743A (en) * 1971-09-03 1975-04-08 Kellog Co Process for producing overlaid extrudates
DE2643855C2 (de) * 1976-09-29 1983-03-3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Prägen von Bonbons
JPS5519475A (en) * 1978-07-28 1980-02-12 Dai Ichi High Frequency Co Ltd Butt pressure welding method of large-diameter pipe and apparatus thereof
JPS5754554A (en) * 1980-09-17 1982-04-01 Meiji Seika Kaisha Ltd Preparation of oily or fatty confection with sterically attached decoration
US4421773A (en) * 1981-05-05 1983-12-20 Akutagawa Chocolate Co., Ltd. Process for molding chocolate to make chocolate block having ornamental pattern and internal hollow cavity
US4480974A (en) * 1983-03-30 1984-11-06 Akutagawa Confectionery Co., Ltd. Continuous and automatic apparatus for molding chocolate block having ornamental relief pattern
JPS6242715A (ja) * 1985-08-14 1987-02-24 Toyobo Co Ltd 抗菌性を有するエレクトレツトフイルタ−用複合材料
JPS62104551A (ja) * 1985-10-29 1987-05-15 Morinaga & Co Ltd チヨコレ−ト入りアイスクリ−ムの製造法
US5019404A (en) * 1986-10-20 1991-05-28 Kraft General Foods, Inc. Multicolor confection extrusion system
US4925380A (en) * 1986-10-20 1990-05-15 Kraft, Inc. Multicolor confection extrusion system
US4778683A (en) * 1986-12-04 1988-10-18 Chocolate Pix, Inc. Method of forming a multi-color chocolate product
US5378483A (en) * 1993-08-19 1995-01-03 The Pillsbury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frozen novelty
US5435143A (en) * 1994-03-04 1995-07-25 Nestec, Ltd.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hardened confections having complementary parts joined in a unit
JP3430303B2 (ja) * 1995-07-10 2003-07-28 株式会社ロッテ 混合チョコレート菓子の製法およびその実施に使用するノズル
JP3009835B2 (ja) * 1995-08-11 2000-02-14 株式会社コバード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JPH0994175A (ja) * 1995-09-29 1997-04-0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多層絞り出し容器
US6039554A (en) * 1995-12-18 2000-03-21 Akutagawa Confectionery Co., Ltd.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ified articles
JP2751097B2 (ja) * 1995-12-18 1998-05-18 芥川製菓株式会社 型流し機構、及び該型流し機構を用い、所定の混交模様を施してなる固化形成物品を製造する固化形成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2602C (en) 2002-09-17
CN1081443C (zh) 2002-03-27
KR100365191B1 (ko) 2002-12-26
EP0968656A4 (en) 2000-04-12
DE69832264D1 (de) 2005-12-15
JP3052194B2 (ja) 2000-06-12
WO1998053699A1 (fr) 1998-12-03
US6383539B1 (en) 2002-05-07
DE69832264T2 (de) 2006-07-27
JPH10327756A (ja) 1998-12-15
CN1228010A (zh) 1999-09-08
EP0968656B1 (en) 2005-11-09
EP0968656A1 (en) 2000-01-05
AU728650B2 (en) 2001-01-11
CA2262602A1 (en) 1998-12-03
AU7453798A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191B1 (ko) 장식초콜렛의 제조방법, 노즐조립체 및 장식초콜렛
JP3658505B2 (ja) 複合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100366259B1 (ko) 장식초콜렛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6039554A (en)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ified articles
JP3898368B2 (ja) 可塑性食品素材の成形方法
WO2006038580A1 (ja)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方法
JP4575276B2 (ja)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に用いるモールド
JP2003235453A (ja) 模様付チョコレート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CN201010706Y (zh) 多色塑胶喷丝地垫的喷丝成型装置
JP3233606B2 (ja) 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チョコレートを製造するノズル
JP2010227121A (ja)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方法に用いるモールド
JP2751097B2 (ja) 型流し機構、及び該型流し機構を用い、所定の混交模様を施してなる固化形成物品を製造する固化形成物品の製造方法
JP2001145460A (ja) チョコレート
JP2000050802A (ja) 装飾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JPS6377Y2 (ko)
JP2000152751A (ja) チョコレ―ト菓子
IES20030674A2 (en) Sweet manufacture
IE20030674U1 (en) Sweet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