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613A -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613A
KR20000035613A KR1019990051920A KR19990051920A KR20000035613A KR 20000035613 A KR20000035613 A KR 20000035613A KR 1019990051920 A KR1019990051920 A KR 1019990051920A KR 19990051920 A KR19990051920 A KR 19990051920A KR 20000035613 A KR20000035613 A KR 2000003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container
absorbing system
basic
sym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수와도미니끄
Original Assignee
트랑뉘끌레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랑뉘끌레르 에스아 filed Critical 트랑뉘끌레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0003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08Shock-absorbers, e.g. impact buffers for contai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사능 물질용 이송 또는 저장 콘테이너와 일체인 쇼크 흡수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것은 상기 콘테이너(1,2)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있으며 다량의 기본적인 단편(6)들로 채워져있는 감싸인 공간(6)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을 구비하는데, 상기 기본적인 단편들은 회전에 있어서 대칭이 적어도 3 중인 세개의 수렴하는 대칭축을 가지며, 예를 들면 작고, 속이 채워지거나 또는 중공형의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Shock absorbing system for containers of radio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방사성 물질의 콘테이너 (또는 포장) 둘레에 배치된 쇼크 흡수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조사(照射)된 핵 연료 또는 다른 방사성 물질의 이송 및/또는 저장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 톤 내지 100 또는 150 톤 이상 범위의 중량을 가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으로써 상기 포장은 상기 방사성 물질의 이송 또는 저장에 적용되는 규정에서 필요한 안전 기준을 충족시키는 조건 하에서 정해진 낙하 시험을 견딜 수 있다.
조사된 연료 또는 그 어떤 다른 방사성 물질의 이송 및/또는 저장용 콘테이너는, 방사능을 차폐하기 위한 필요성에 기인하여, 강철 또는 주철로 제작된 두터운 (예를 들면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두께) 금속 벽을 가지는데, 그 무게는 수 톤 내지 150 톤 이상의 범위로 크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금속 콘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두꺼운 원통형 슬리이브를 구비하는데, 그 내측에는 방사성 물질 또는 연료 요소가 배치되어 양 단부도 마찬가지로 두꺼운 베이스 및 뚜껑으로 폐쇄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슬리이브에 고정된 킹핀(kingpin)에 의해 취급된다. 원통형 슬리이브는 직선, 원형 또는 다각형(직사각형, 정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콘테이너들은 이들이 적용 규정에 의해 정해진 테스트를 견딜 수있도록, 특히 소위 9 미터 높이로부터의 자유 낙하 시험을 견딜수 있도록, 쇼크 흡수 시스템이 설치되어야만 한다. 쇼크 흡수기는 이들이 모든 발생 가능한 낙하 각도에 유효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쇼크 흡수 장치는 금속의 케이싱을 가지는데, 상기 금속 케이싱은 콘테이너의 단부에 캡(cap)을 씌우게 되며 콘테이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수직 낙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축에 직각인 축에 따른) 측방향 낙하 또는 (콘테이너의 단부 코너에서의) 경사 낙하에 대해서도 흡수를 제공하도록 금속 본체를 지나서 돌출한다.
도 1은 공지된 쇼크 흡수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콘테이너의 단부에 캡을 씌우며 뚜껑(2)으로 폐쇄되고 킹핀(3)으로 취급되는 슬리이브(1)를 구비한다. 상기 쇼크 흡수 장치는 목재편(5)으로 채워진 구획부로 나뉘어진 금속의 케이싱(4)을 구비하는데, 상기 목재편의 섬유는 여러 방향에서 효과적인 쇼크 흡수를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충격에 기인한 응력이 섬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질때에만 효과적인 쇼크 흡수가 이루어지는 결과상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쇼크 흡수 장치로써는 케이싱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등방성의 쇼크 흡수 (즉, 낙하 각도에 무관하게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쇼크 흡수)를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목재편이 채워져 있는 상기의 구획된 케이싱을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등록 제 4806771 호에 개시된, 알루미늄 정도로 부드러운 속이 채워진(solid) 금속 커버로 대체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속이 채워진 금속을 쇼크 흡수부로 사용하는 것은, 등방성을 가지며, 동일체화되는 것이 잘 이루어지고, 재생 가능하며, 시간에 있어서 안정적인 크러쉬(crush) 특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속이 채워진 금속은 현저한 중량 증가에 이르게 되며, 그리고 속이 채워진 금속은 높은 크러쉬 저항을 가지므로, 낙하하는 동안에 콘테이너에 전달되는 가속도도 높고, 일반적으로 목재로 채워진 케이싱에서 얻어지는 가속도보다도 높아서 속이 채워진 금속의 적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속이 채워진 금속보다 덜 경직되고 중량이 가벼운 쇼크 흡수 시스템을 가지는 것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3675746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보다 큰 튜브안에 배치되어 적재된 복수개의 금속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튜브의 주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크러쉬(crush)되는데 충분한 저항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쇼크의 흡수가 너무 유연성이 없고 그리고 효과적이지 못할때, 축방향 (버클링)에서 너무 높게 된다. 따라서, 격벽을 가진 케이싱내에 상기의 튜브를 위치시키고 그러한 튜브들을 특정한 방향으로 각 구획부내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서조차도, 기껏해야 위에서 설명된 섬유의 여러 배향을 가진 목재가 채워진 케이싱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도의 쇼크 흡수의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쇼크 흡수의 등방성을 향상시키도록 일본 특허 제 04042097 호가 공지되었는데, 이것은 격벽화된 케이싱을 사용하고, 각 구획부는 예를 들면 압출된 알루미늄의 절단편이나 또는 래슁 링(Rasching ring)의 유형인 작은 금속편을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채워진다.
상기의 작은 편들은 개별적인 이방성 행동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은 단지 쇼크 흡수의 등방성과 특정한 조건에 있어서 평균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우선 임의적인 적재가 이루어져야만 하며, 각 금속편의 배향은 이웃하고 있는 금속편의 배향과 상이할 필요가 있다; 각 금속편의 이방성 행동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평균적인 등방성은 이방성 적재의 모든 위험을 배제시킬 수 있다;
- 또한 적재는 모든 환경하에서 금속편의 양호한 결합으로써 가능한한 규칙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금속편들 사이의 공간은 금속편의 균일한 분포를 보장하도록 가능한한 규칙적이어야 한다.; 쇼크 흡수의 등방성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조건은 부분적으로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 금속편들이 상이한 배향을 가지게 되는 최초의 임의적인 금속편 분포 조건과 거의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싱내에 구획부가 존재하는 것은 금속편의 움직임 가능성을 제한하면서 금속편의 충분히 균일한 분포를 향상시키고, 그리고 특히 그것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사전 조치에도 불구하고, 쇼크 흡수가 본질적으로 등방성이어야 하는직면한 규정을 그러한 시스템으로써 유효한 것으로 입증하는 것이 곤란하여 이방성 적재의 위험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과, 그리고 금속편의 분포가 각 구획부내에서 또는 하나의 구획부로부터 다른 구획부로 충분히 균일하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균일하고, 가능한 한 가벼우며 그리고 취급이 용이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콘테이너가 모든 가능한 각도로부터 낙하하는 경우에 본질적으로 등방성인 충격의 흡수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현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방사성 물질을 위한 금속제의 이송 또는 저장용 콘테이너인, 콘테이너와 일체화된 쇼크 흡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콘테이너를 덮고 그리고 감싸여진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은 적어도 세개의 대칭적인 수렴 축을 가지는 다량의 기본적인 단편(pieces)들로써 채워지고, 상기 회전에 있어서 대칭은 적어도 3 중(3-fold)이고, 즉, 주어진 지점으로부터 동일한 지점을 얻기 위해서 단지 120℃ 의 회전만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축들의 상호 교차 지점은 단편의 대칭 중심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따라서 상기 단편은 중심 대칭을 가진 단편인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본적인 단편들은 정삼각형 표면을 가진 사면체, 육면체 및, 다수의 같은 표면을 가진 모든 등면(等面)의 다면체와, 그리고 또한 구를 포함한다.
육면체나 또는 특히 중심 대칭을 가지는 구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구는 또한 단순한 형태 및, 제한되지 아니한 수의 대칭 정점을 가지므로, 완벽한 균일성 및 등방성을 가진다.
이러한 단편들은 충분한 소성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강화되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세라믹, 수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편이 사용되는데, 바람직스럽게는 강철, 알루미늄, 구리 또는 그들의 합금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콘테이너를 낙하시키는 경우에서와 같이, 강한 충격하에서 파괴됨이 없이 높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변형되는 양호한 성능을 가진다.
만약 기본적인 단편이 수지라면 속이 채워진 단편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만약 기본적인 단편이 금속이라면 그것이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언급된 대칭의 조건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그것을 중공형으로 만드는 것이 특히 유리한다.
일반적으로 케이싱은 콘테이너의 각 단부에 고정되며, 따라서 슬리이브, 베이스 및, 뚜껑의 단부를 덮게 된다. 그것의 돌출 부분도 슬리이브 측벽의 단부에 돌출된다. 케이싱은 콘테이너의 단부를 완전히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직선의 L 형상인 단면을 가져서 콘테이너의 단부 코너를 덮게 되며 뚜껑 또는 베이스의 중심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중간 케이싱은 본 발명의 기본 단편으로 채워져서 고정될 수 있으며, 슬리이브의 단부 사이에서 슬리이브를 둘러싼다.
케이싱은 일반적으로 케이싱을 설치하는 동안에 그리고 통상적인 취급 조건하에서 구의 중량을 통한 변형을 견디기에 충분한 두께의 박판 강철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금속이며, 반면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하의 경우에 파괴됨이 없이 변형하도록 충분히 얇다. 강철 박판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보호되어야할 콘테이너의 중량에 따라서 2 내지 8 mm 이다. 케이싱은 다른 재료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그 어떤 유형의 외측 또는 내측 강화부를 사용하여 케이싱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조치가 취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의 두 벽을 연결하고 충전용 구들 사이에 배치되는 횡단 타이(tie)가 그것이다. 이것은 쇼크의 흡수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특히 효과적이면서 제조가 간단하며, 구획부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케이싱에 의해서 형성되는 둘러싸인 공간도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cm 사이의 높이를 가진다; 그 높이는 필요한 흡수의 정도 (예를 들면 보다 무거운 콘테이너)와 함께 증가하거나 또는 기본적인 단편의 변형 용이성과 함께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칭적인 단편들이 사용된다는 사실은, 그 어떤 특별한 사전 조치를 취할 필요 없이 전체의 둘러싸인 공간내에 일정하고, 집약적이며 균일한 적재를 달성하기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구들은 임의적으로 정위치에 위치하여 그 자체로써 자동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는 적재상의 분리 위험이 없다. 따라서, 중심 대칭을 이루고, 그러므로 등방성이며 등방성의 적재에 이르게 되는 구와 같은 대칭적인 기본 단편의 사용은, 낙하 각도에 무관하게 구조를 통해서 등방성의 흡수를 제공한다.
기본 단편은 20 내지 80 mm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것들이 너무 작으면, 그것의 제조 및, 특히 그것을 중공형으로 하는 것이 얇은 부분을 초래하게 되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만약 그것들이 너무 크면 크러쉬 저항의 분포 균일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케이싱의 둘러싸인 부분의 높이와 기본 단편의 직경 사이의 비는 2 내지 20 %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기본적인 단편의 속을 파낼때, 특히 금속 구일때, 일정한 벽 두께를 가지는 중공형 단편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러나 일정한 직경을 가진 몇개의 동일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속이 채워진 단편으로부터도 기본 단편을 얻을 수 있는데, 상기 구멍은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횡단할 수 있으며, 구멍의 분포는 항상 상기에 설명된 대칭 조건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중공 비율(중공부 체적과 단편 체적 사이의 비율)은 필요한 크러쉬 저항에 적합화된다. 이것은 30 내지 90 %, 바람직스럽게는 40 내지 80 % 사이에 있다. 일정한 두께의 벽을 가진 중공형 단편에 대해서는, 벽 두께와 평균 직경 사이의 비율이, 보다 큰 사이즈 또는 외접원에 기초하여, 통상적으로 0.03 내지 0.3 사이이며, 이것은 상기 언급된 중공 비율의 범위에 합치한다.
본 발명의 기본 단편, 특히 중공형 단편은 충격하에서 변형되며, 관형 단편의 사용과는 반대로, 특이한 그들의 대칭 특성에 기인하여, 적용된 작용력의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유사한 방식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가진다는 점과, 따라서 낙하의 각도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쇼크 흡수 시스템에 유효한 등방성의 충격 흡수를 제공한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또한, 기본 단편의 직경과 그들의 중공 비율을 조합함으로써, 필수적인 등방성 행동 특성을 유지하면서 모든 유형의 콘테이너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합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정한 체적이면서 일정한 외측 직경과 가변하는 길이를 가지는 콘테이너에 적합화될 수 있는 동일한 유형의 케이싱에 대해서, 본 발명 시스템의 쇼크 흡수 특성을 그 길이와 하중에 따라 변화하는 콘테이너의 중량에 적합화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채워지는 단편의 크기 및/또는 중공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단편은 모두 동일하지만, 상이한 직경의 단편들 또는 상이한 중공 비율이 동일한 케이싱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점진적인 쇼크 흡수 특성을 얻도록 중첩된 베드(bed)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스럽게는 기본적인 단편이 위치된 이후에, 상기 단편들 사이의 틈으로 퍼져나가는 결합제(예를 들면 세멘트, 아교, 수지)를 케이싱에 부가할 수 있다; 고형화 이후에 결합제는 그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특히 단편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그러하며, 또는 케이싱이 부분적으로 파손된 경우에 쇼크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단편들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장 무거운 것부터 가장 가벼운 것까지 모든 유형의 콘테이너에 대해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모든 것은 고려중인 콘테이너에 쇼크 흡수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크러쉬 저항 특성을 단편들에게 부여하도록 기본적인 금속 단편의 크기와 중공화 비율을 적합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편들의 대칭성은, 예를 들면 상기 단편의 제조 공정과 연결된 잔류물 또는 결함 (다듬질되지 아니한 부분, 내측 공동으로의 접근 구멍, 기계 가공 표시부등)의 존재에 의해서 영향받는 것으로 간주되지 아니하며, 상기 결함들이 단편들의 등방성 행동을 현저하게 위태롭게 하는 종류가 아닌한, 본 발명의 대칭성이 그렇게 되지 않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즉, 이러한 유형의 결함을 구비하는 적어도 3 중의 대칭성을 가지는 단편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들게 된다.
도 1은 목재로 채워진 격벽화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종래 기술의 쇼크 흡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단부들중 하나에 본 발명의 쇼크 흡수 시스템이 구비된 콘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3은 중심 대칭이 이루어진 중공형 단편들의 상이한 유형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 뚜껑 3. 킹핀(kingpin)
4. 케이싱 4a. 벽
6. 구 7. 중간 케이싱
8. 내측 지주 10. 구멍
도 1 에는 이미 설명된 콘테이너를 위한 두꺼운 금속제 슬리이브(1)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는 두꺼운 뚜껑(2)으로 폐쇄되어 있다. 콘테이너는 킹핀(3)으로 다루어진다. 케이싱은 콘테이너의 전체 단부에 캡을 씌우며 그것의 돌출 부분은 슬리이브(1)의 외측벽의 단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케이싱은 벽(4a)에 의해서 구획부로 분리되는데, 각 구획부는 섬유들이 적절하게 배향되는 목재편을 포함한다. 정해진 지점에서의 쇼크 흡수는 목재의 섬유 방향에 따르고, 그리고 상기 섬유에 대한 충격의 방향에 따른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만약 배열된 튜브의 배향이 상기 섬유와 같은 것을 적재하여 상기 목재를 대체한다면 동일한 유형의 것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을 도시하는 도 2에서, 케이싱(4)은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6)로 충전되는데, 상기 구(6)는 모두가 동일하고 (단지 몇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콘테이너의 단부 전체에 캡을 씌우고 있다. 케이싱은 내측의 지주(8)를 구비한다. 이것은 단지 콘테이너 단부의 일부에 캡을 씌울 수 있으며 L 형상의 직선 단면을 구비한 링을 형성할때 뚜껑(2)의 노출된 부분을 남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슬리이브를 감싸는 중간 케이싱(7)이 슬리이브에 끼워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단부 케이싱의 것들과 상이한 중공형 구(6a)로 채워지는데, 이는 상기 영역에서 필요한 크러쉬 저항 특성이 같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형인 기본 단편을 도시하는데, 우선 도 3a 에서 구의 분해된 측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구멍(10)은 단편의 중심 대칭을 간섭하지 않도록 천공되었다. 구멍(10)은 구의 표면에서 직각의 대칭을 가지는 3 축 시스템의 각 단부에 이르게 되며, 대칭인 축들중 하나에 중심을 둔 각 구멍들은 구를 통해서 중심을 경유하여 직각으로 교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멍을 가지는 구는 4 중(4-fold)의 대칭을 유지한다.
사면체를 통해서 사면체의 정점으로부터 그 중심으로 또는 대향하는 면의 중심으로 교차하는, 구 내에 있는 정삼각형의 사면체의 정점에 위치하는 4 개의 구멍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 는 중공형 구 형상의 기본적인 단편에 대한 분해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단편은 60 내지 80 mm 의 직경을 가지는 중공형 구에 대해서 예를 들면 대략 10 mm 에 달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구멍의 형태로 제조 공정상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 는 각 표면의 대칭축상에 중심을 둔 구멍(11)을 가지는 정육면체 형상의 기본 단편을 도시하는 분해 상태의 측면도이며, 상기 구멍은 정육면체를 통해서 그 중심에서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구멍들은 정육면체의 균형을 저하시키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핵 연료나 방사성 물질용 콘테이너에 대하여 충분한 쇼크 흡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7)

  1. 방사성 물질용 이송 또는 저장용 콘테이너와 일체화된 쇼크 흡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콘테이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그리고 회전에 있어서의 그 대칭이 적어도 3 중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세개의 수렴하는 대칭축을 가진 다량의 기본 단편들로 채워져 있는 감싸인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대칭축의 수렴 지점인 대칭의 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구 및, 등면의 다면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강철, 알루미늄, 구리 및, 그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속이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일정한 두께의 벽을 가진 중공형 단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구멍들에 의해서 횡단되며, 상기 구멍들은 적어도 3 중인 상기 기본 단편들의 대칭을 유지하면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중공화된 체적과 단편의 체적 사이의 비율로서 정의되는, 중공화된 기본적인 단편의 중공 비율은 30 내지 90 %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기본 단편들의 중공 비율은 40 내지 80 %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의 벽을 가지는 중공형 기본 단편은 그 재료의 두께와 그 평균 직경 사이의 비율이 0.03 내지 0.3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 단편은 20 내지 80 mm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감싸여진 공간의 높이는 10 내지 100 cm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감싸여진 공간내에 횡단 타이(tie)에 의해 형성되는 강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적인 단편들은 결합제내에 파묻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흡수 시스템.
  15. 적어도 하나의 쇼크 흡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방사성 재료의 이송 또는 저장용 콘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쇼크 흡수 시스템은 상기 콘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그리고 회전에 있어서의 그 대칭이 적어도 3 중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세개의 수렴하는 대칭축을 가지는 다량의 기본 단편들로 채워져 있는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재료의 이송 또는 저장용 콘테이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의 각 단부에서 쇼크 흡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 단부를 연결하는 슬리이브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쇼크 흡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KR1019990051920A 1998-11-23 1999-11-22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 KR20000035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4868 1998-11-23
FR9814868A FR2786309B1 (fr) 1998-11-23 1998-11-23 Dispositif amortisseur de chocs pour conteneurs de matieres radioact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13A true KR20000035613A (ko) 2000-06-26

Family

ID=953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920A KR20000035613A (ko) 1998-11-23 1999-11-22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4311B1 (ko)
EP (1) EP1005049A1 (ko)
JP (1) JP2000162386A (ko)
KR (1) KR20000035613A (ko)
FR (1) FR2786309B1 (ko)
TW (1) TW444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2321D0 (en) 2000-05-23 2000-07-12 British Nuclear Fuels Plc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s
JP4111037B2 (ja) * 2003-04-04 200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ャスク用緩衝体
JP4250474B2 (ja) * 2003-07-31 2009-04-08 株式会社東芝 キャスク
US8731129B2 (en) * 2004-08-10 2014-05-2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ask buffer body
JP2011247701A (ja) * 2010-05-25 2011-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格納容器
JP4681681B1 (ja) * 2010-07-02 2011-05-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キャスク用緩衝体
JP2014048190A (ja) * 2012-08-31 2014-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緩衝装置及び緩衝装置の製造方法
FR3020173B1 (fr) * 2014-04-22 2019-06-21 Tn International Emballage pour le transport et/ou l'entreposage de matieres radioactives, comprenant un amortisseur d'angle a efficacite renforcee
JP6722553B2 (ja) * 2016-09-07 2020-07-15 日立造船株式会社 緩衝構造体
FR3080705B1 (fr) * 2018-04-27 2020-10-30 Tn Int Emballage de transport et/ou d'entreposage de matieres radioactives permettant une fabrication facilitee ainsi qu'une amelioration de la conduction thermique
US11721447B2 (en) * 2019-12-27 2023-08-08 Holtec International Impact amelioration system for nuclear fuel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4219A (en) * 1962-05-02 1967-02-14 Little Inc A Energy absorbing materials
FR1411473A (fr) * 1964-10-09 1965-09-17 Lemer & Cie Conteneur de transport pour produits radioactifs résistant aux chocs et au feu
US3667593A (en) * 1970-03-30 1972-06-06 John M Pendleton Flowable dunnage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with flowable and compliable inflated dunnage material
US3999653A (en) * 1975-03-11 1976-12-28 The Dow Chemical Company Packaging for hazardous liquids
DE3006507A1 (de) * 1980-02-21 1981-08-27 Nukem Gmbh, 6450 Hanau Stoerfallschutz fuer die lagerung selbsterhitzender radioaktiver stoffe
DE3028424C2 (de) * 1980-07-26 1984-05-30 Transnuklear Gmbh, 6450 Hanau Stoßdämpfer
DE3503057A1 (de) * 1985-01-30 1986-07-31 Hoechst Ag, 6230 Frankfurt Aufschaeumbares kunststoffgranulat und daraus hergestelltes packmaterial
SU1295076A1 (ru) * 1985-02-13 1987-03-07 Busarov Yurij P Виброудароизол тор
US4972087A (en) * 1988-08-05 1990-11-20 Transnuclear, Inc. Shipping container for low level radioactive or toxic materials
SE467613B (sv) * 1988-09-06 1992-08-17 Exploweld Ab Foerfarande foer uppbyggnad av verktyg foer bearbetning medelst chockvaagsalstrande energikaellor
JP2892442B2 (ja) * 1990-06-07 1999-05-17 木村化工機株式会社 緩衝構造体
DE4025257A1 (de) * 1990-08-09 1992-02-13 Bio Pack Verpackungs Gmbh Co Stossdaempfendes huellmaterial zur verwendung in verpackungsbehaelter
US5312665A (en) * 1992-08-20 1994-05-17 Michelsen Packaging Company Biodegradable loose-fill pack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86309A1 (fr) 2000-05-26
JP2000162386A (ja) 2000-06-16
TW444208B (en) 2001-07-01
US6234311B1 (en) 2001-05-22
FR2786309B1 (fr) 2001-01-26
EP1005049A1 (fr)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5613A (ko) 방사성 물질 콘테이너용 쇼크 흡수 시스템
JP3357361B2 (ja) 有害物質のための耐衝撃性容器
US4934661A (en) Inertial barrier array
US4423802A (en) Shock absorbers
JPS6316522B2 (ko)
JP3032810B2 (ja) 使用済み核燃料輸送キャスクのための衝撃リミッター
EP0128418B1 (de) Betonbehälter zur Aufnahme bioschädlicher Stoffe
US4815605A (en) Air transport container for dangerous materials
US4914306A (en) Versatile composite radiation shield
CN110494927A (zh) 用于运输乏核燃料的容器的冲击限制器
JP4111037B2 (ja) キャスク用緩衝体
KR100320969B1 (ko) 격납용기및격납용기의제조방법
EP2823488A1 (en) System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uranium hexafluoride
JP3516990B2 (ja) 原子燃料体運搬用燃料収納容器
JPS6326439A (ja) 緩衝装置
US4806771A (en) Solid, soft, light metal impact skirts for radioactive waste and other shipping containers
JP3032752B1 (ja) 輸送容器用の緩衝体
EP1447322B1 (de) Unterseeboot mit einem Flüssiggasbehälter
JPH032696A (ja) 核燃料航空輸送容器
US4292127A (en) Nuclear fuel pins
KR100315717B1 (ko) 단조강본체로이루어진핵연료조립체용용기
JPH0442097A (ja) 緩衝構造体
EP3805627A1 (de) Schutzvorrichtung für druckgasbehälter
JP7194646B2 (ja) キャスク用緩衝体
EP0234890A2 (en) Improved cases for radioactive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