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242A - 데이터 판독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242A
KR20000035242A KR1019990048699A KR19990048699A KR20000035242A KR 20000035242 A KR20000035242 A KR 20000035242A KR 1019990048699 A KR1019990048699 A KR 1019990048699A KR 19990048699 A KR19990048699 A KR 19990048699A KR 20000035242 A KR20000035242 A KR 20000035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ing device
data reading
piddc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496B1 (ko
Inventor
야노마사유키
마스다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275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372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62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58814A/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3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12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 is persistent stor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소정의 이동부재상에 설치된 데이터 기록부를 갖는 필름 카트리지에 적합한 데이터 판독장치는,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또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 및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와,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비교하며, 또 상기 비교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타 판독장치에서, 동일한 데이타 기록부상의 데이타 판독동작은, 제1의 데이타판독장치와 제2의 데이타 판독장치 모두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의 데이타 판독장치와 제2의 데이타 판독장치에 의해 얻어진 판독의 결과는 서로 비교되어, 데이타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판독장치{DATA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카트리지의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진보된 포토 시스템이라 불리는 신규한 사진 시스템에 대응하는 카메라가 제품화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카메라에 사용하기 위한 필름 카트리지는 필름 카트리지내에 배치된 스풀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데이터 디스크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디스크상에, 필름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필름감도, 촬영 프레임 개수, 등)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디스크상에 형성된 바코드는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폭을 갖는 "WIDE" 패턴 및 비교적 좁은 폭을 갖는 "NARROW" 패턴이 병렬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부(소정의 일련의 정보군)와, 데이터부의 최후부를 나타내는 콰이어트존으로 구성된다.
필름 카트리지가 카메라의 카트리지 체임버로 장전되는 경우, 카메라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전원이 필름 카트리지내에 배치된 스풀을 회전시키고, 카트리지 체임버 내부에 실장된 반사형 광센서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상에 바코드로부터 막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며, 카메라의 연속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필름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게 한다.
그런데, 신규한 사진 시스템에서, 바코드상의 정보를 판독하기 이전에, 장전된 필름 카트리지의 사용상태가 "미사용" 상태 또는 "촬영" 상태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데이터 디스크의 정지위치에 관한 규정이 있다. 따라서, 바코드상의 정보를 판독하기 이전에, 먼저, 필름 카트리지의 사용상태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 필름 카트리지의 사용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DEP 판정이라 한다.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카메라에서, 필름 카트리지가 장전된 경우의 시점으로부터 모터가 반대로 회전되며, 그런 다음, DEP 판정 및 데이터 디스크 정보(바코드 정보)의 판독이 수행된다. 이들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필름 카트리지 밖으로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도2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콰이어트존에 대응하는 영역은 광센서의 위치를 완벽하게 통과한 경우의 시점 t3가 기준 타이밍으로서 설정되며, 데이터 디TM크의 회전의 개시점인 시점 t1으로부터 시점 t3까지 발생하는 광센서의 출력(출력펄스)의 변수가 카운트된다. 이렇게 하여 얻은 카운트의 값에 의거하여, 데이터 디스크의 초기정지위치가 판정된다.
그런 다음, 전방으로의 시점 t3로부터 얻어진 광센서의 출력신호가 감시되며, 광센서의 출력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시간 간격이 타이머 카운터 등에 의해 측정되어, 이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상의 "WIDE" 패턴과 "NARROW" 패턴간의 판정이 행해질 수 있다.
단일의 광센서를 이용한 상술한 배열을 갖는 종래의 카메라에서, 데이터 디스크상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데이터 디스크가 콰이어트존을 포함하는 1회전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데이터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데이터 디스크상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할 때에, 일반적으로 데이터 디스크의 회전이 안정적일 필요가 있다. 데이터 디스크의 회전이 예를 들어 진동 또는 충격 등의 기계적 외란으로 인하여 불안정할 경우,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은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러므로, "NARROW" 패턴의 코드는 "WIDE" 패턴의 코드로서 잘못 판독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디스크의 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이 데이터 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데이터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갑자기 사라지게 되는 경우, 바코드 정보를 정상적으로 판독할 수 없다는 가능성이 있다.
이런 데이터 판독의 신로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데이터 디스크상의 정보가 복수회 판독되는 것이 행해지며, 이렇게 하여 얻은 복수개의 데이터 판독결과가 검증을 위해 비교된다.
그러나, 단일의 광센서를 이용한 상술한 배열에서, 데이터 디스크는 1회의 판독에 대하여 1회전한다.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판독이 복수배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 디스크도 역시 복수회 회전되어야 한다. 도22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서, 판독은 두 번 수행된다. 예를 들어, 최초 판독결과가 두 번째와 다른 경우, 판독을 더 계속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판독이 불가능하다는 가정하에 동작을 저지시킬 필요가 있다.
필름이 카메라로 장전된 시각에서, 사진술용으로 준비하기 위한 필름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된 시각까지의 시간의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디스크상의 정보를 판독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무시될 수 없는 길이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데이타 디스크 정보 판독장치를 갖는 카메라의 경우에, 데이타 디스크상의 정보를 판독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의 기간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 의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각각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필름 카트리지에 설치된 데이터 디스크 및 각각의 센서들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수행될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5는 도1에 나타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 정확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하여 수행될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7은 도6에 나타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 의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 의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구현예의 전제로서 제공하는 장치인, 데이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디스크 판독장치의 배열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광센서 PIDDC 및 PIDDA의 출력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 및 데이터 디스크의 확대도이다.
도11은 도9에 나타낸 제어회로에 사용된 메모리의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2a 및 도12b는 데이터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데이터 ELC, Gc1 및 GC2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은 데이터 판독시에 도9에 나타낸 제어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14는 도13에 나타낸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15는 데이터 판독시에 동작을 포함하는 도9에 나타낸 제어회로의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서 제어회로에 사용된 메모리의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서 데이터 판독시에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18은 도17에 나타낸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순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서 데이터 판독시에 동작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20은 도19에서 나타낸 동작으로부터 계속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21은 일반적인 필름 카트리지에 설치된 데이터 디스크상에 바코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2는 종래의 데이터 디스크 정보 판독장치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PIDDA, PIDDC : 광센서
2, 3: 광반사기 등의 센서
4, 5: 변환회로
6: 모터
8 : 스위칭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소정의 이동부재상에 설치된 데이터 기록부를 갖는 필름 카트리지에 적합한 데이터 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또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 및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와,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비교하해서,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판독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데이터판독부상에서의 데이터판독작업은, 상기 제 1데이터판독장치와 제 2데이터판독장치의 양쪽에 의해 행하고, 그 제 1데이터판독장치 및 제 2데이터판독장치의 양쪽에 의해 얻어진 판독결과를 서로 비교해서 데이터판독부상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측면과 특성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바람직한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구현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1에 대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는,
장치 전체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1;
데이터 디스크 9의 바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예를 들어 광반사기 등의 센서 2 및 3;
상기 센서 2 및 3에 의해 얻어진 검출신호를 상기 CPU1에 의해 인식가능한 형태로 각각 변환하는 변환회로 4 및 5;
필름 카트리지의 스풀축 및 상기 스풀축과 맞물려진 데이터 디스크 9를 구동하는 모터 6; 및
상기 필름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에 장전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칭 8;
을 포함한다.
게다가, CPU1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 카운터는, 데이터 디스크의 회전중의 시간측정에 사용되며, 또 RAM은 바코드패턴의 판독결과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ROM에는, 제어용 기억 프로그램 및 고정된 데이터가 있으며, EEPROM에는, 조정 등의 각종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다.
현재, 필름 카트리지가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 장전되는 경우, 스위치 8은 닫혀진다. 상기 닫혀진 스위치 8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CPU1은 모터구동회로7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권선방향으로 상기 모터 6을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디스크 9의 회전은 상기 센서들 2 및 3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변환회로 4 및 5는, 상기 데이터 디스크 9의 회전의 검출결과를 "0" 및 "1"로 구성된 논리신호로 변환하며, 이것은 CPU1에 의해 감시된다. 이 경우에 출력될 제어신호는 도2의 타이밍 챠트에 도시된다.
도2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터 6에 통전을 개시하는 경우, 시점 t1 이후에, 신호 PR1 및 PR2가 상기 바코드의 상태(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의 변화에 따라서 센서들 2 및 3으로부터 출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들 2 및 3은 필름 카트리지 10의 스풀축 10a를 가로질러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또 데이터 디스크 9는 도2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180도 미만의 각도로 연장하는 데이터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터부에서 "0" 및 "1"의 신호는 각각의 센서 2 및 3으로부터 교대로 얻어진다.
종래의 배열에서 상기 DEP 판정은 도2의 경우에서 콰이어트존(quiet zone)의 검출시에 완료되지만(도2 참조), 도2의 경우에, 상기 DEP 검출은 시점 t2에서 완료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3의 PR2의 신호가 변화한 이후에 최초로 센서 2의 신호 PR1이 변화하는 경우의 시점 t2에서 데이터부의 선두부(또는 최후부)가 나타난다는 것은 명백한 일이기 때문에, 데이터 디스크 9의 초기정지위치는, 시점 t1의 통전개시시점으로부터 시점 t2까지의 간격중에 발생하는 신호 PR1 또는 PR2의 변화의 개수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CPU1에 내장된 타이머 카운터는, 센서 2의 신호 PR1의 변화에 따라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이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 9위에 데이터부의 바코드의 각각의 패턴에 대응하는 시간, 즉, 각도를 측정한다. 시점 t3까지 측정하면, 데이타부 전체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며, 이에 의해 제1회의 바코드측정결과가 구하여진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데이터부의 신호 PR2가 센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타이머 카운터는 다시 센서 3의 신호 PR2의 변화에 따라서 동작하게 되며, 이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 9 위의 데이터부의 바코드의 각각의 패턴에 대응하는 시간, 즉, 각도를 측정한다. 시점 t4까지 측정되면, 데이터부 전체의 측정동작이 완료되며, 이에 의해 제2회에 대한 바코드측정결과가 구하여진다.
그런 다음, 제1회 및 제2회의 바코드측정결과가 서로 비교된다. 상기 제1회 및 상기 제2회의 바코드 측정결과가 서로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그 결과 필름을 송출하는 제어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필름을 송출하는 제어동작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회 및 제2회의 바코드 측정결과가 기계적인 외란 등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 PR2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회의 판독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더 측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회의 바코드측정결과는 상기 제1회 또는 상기 제2회의 바코드측정결과와 비교되며, 데이터 판독의 고신뢰성을 나타내는 측정결과가 채택된다.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제4회, 제5회 등으로, 다수의 판독동작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권선방향으로 데이터 디스크 9의 바코드정보를 판독하는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에는, 두 개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바코드 정보를 교대로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데이터 디스크 9의 동일한 회전량에 대해서, 종래의 배열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의 2배의 양을 갖는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디스크상의 정보는 단기간에 판독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이 소정의 초기촬영위치를 통과하거나, 또는 초기촬영위치에서 필름을 정지하는 시점에서 복수회 판독된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검증에 대한 비교가 아직 완료되지 않으며, 그러므로 필름의 감도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가 얻어질 수 없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디스크의 불균일한 회전 등에 기인한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복수배의 재판독 동작이 단기간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필름 권선방향으로 데이터 디스크상의 정보를 판독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데이타의 검증에 대한 복수회의 비교가 단기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계적 외란에 기인한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판독동작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디스크상의 판독동작이 단기간에 완료되기 때문에, 필름 카트리지의 장전으로부터 노광준비상태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작감이 우수하며 셔터감이 유효한 카메라를 제공한다.
(제2구현예)
상술한 제1구현예에서는, 바코드에 관한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단지 하나의 타이머 카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회로배열에서는, 개별적인 타이머 카운터 TC1 및 TC2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2 및 센서 3의 신호 PR1 및 PR2에 각각 할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회로배열은 제1구현예에서 설명된 유효한 효과 이외에도,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2 및 3d의 실장위치의 불균일에 기인하여 신호 PR1 및 PR2의 상태변화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도, 타이머 카운터의 측정의 개시 및 종료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제3구현예)
상술한 제1구현예에서는, DEP 판정은 도2에 나타낸 시점 t2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센서 2 및 3의 출력신호 PR1 및 PR2의 레벨이 상기 DEP 판정공정중에 조정되는 배열로 채택되는 경우, 상기 DEP 판정은 시점 t2'에서 종료되도록 되어지며, 상기 시점 t2'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 t2보다 조금 더 이후로 된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르면, 이런 경우에도, 타이머 카운터는 신호 PR1 및 PR2의 변화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되어, 이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 9 위의 데이터부의 바코드의 각각의 패턴에 일치하는 시각, 즉, 각도를 측정한다. 시점 t3'까지 측정하면, 제1회의 바코드측정결과(소정의 일련의 정보군(본 실시예에서는, 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에 의해 발생된 13회의 변화))가 얻어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점 t4'까지 측정하면, 제2회의 바코드측정결과를 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8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 센서 2에 의해 얻어진 신호 PR1이 소정의 일련의 정보군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정보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센서 3에 의해 얻어진 신호 PR2의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에 의해 발생된 2회의 변화)은, 신호 PR1에 추가되며, 이에 의해 제1회의 일련의 정보군(바코드측정결과)이 보충된다. 또한, 센서 3에 의해 얻어진 신호 PR2가 소정의 일련의 정보군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정보를 판독하는데 사용된, 센서 2에 의해 얻어진 신호 PR1의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에 의해 발생된 2회의 변화)가 신호 PR2에 보충되며, 이에 의해 제2회의 일련의 정보군(바코드측정결과)이 보충된다.
그런 다음, 제1회 및 제2회의 바코드 측정결과가 서로 비교된다. 상기 제1회 및 상기 제2회의 바코드측정결과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발견되는 경우,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그 결과 필름 송출에 대한 제어동작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는, 데이터 디스크의 판독의 개시에 대한 타이밍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데이터 디스크상의 바코드 정보가 두 개의 센서에 의해 교대로 판독될 수 있는 그런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 디스크의 동일한 회전량에 대해서, 종래의 배열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의 2배의 양을 갖는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디스크상의 정보는 단기간에 판독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디스크의 불균일한 회전 등에 기인한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복수회의 재판독 동작이 단기간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에서 제3구현예의 경우에는, 필름 권선방향으로 모터가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 모터가 필름 재(再)권선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디스크에 대한 판독시간을 단축하는 동일한 유용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물론 모터가 필름 재권선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데이타 디스크 정보의 판독이 수행되는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내지 제3구현에에 따르면, 데이타 디스크가 필름 권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데이터 디스크 정보가 판독되는 시스템에서, 필름이 소정의 초기촬영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는 데이터 디스크 정보를 확실히 판독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제1 내지 제3구현예에 따르면, 데이터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데이터 디스크 정보판독장치는 단기간에 고신뢰성을 가지고 데이터 디스크 정보를 확실히 판독할 수 있다.
(제4구현예)
먼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전제로서 제공하도록 한 배열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한쌍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된 제1의 광센서 PIDDC, 및 상기 제1의 광센서 PIDDC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의 광센서 PIDDA가, 필름 카트리지에 설치된 데이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광센서 PIDDC는 데이터 판독용으로 사용되며, 또 광센서 PIDDA는 데이터 판독을 위한 타이밍을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게다가,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광센서 PIDDC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두번 판독하도록 하며, 또 제1회의 데이터 판독 및 제2회의 데이터 판독은 서로 비교된다.
도9는 데이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디스크 판독장치의 배열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9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광센서들 PIDDC 및 PIDD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디스크 102의 밝은 패턴과 어두운 패턴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된 반사형 광센서이다. 상기 데이터 디스크 102는 필름 카트리지위에 설치된 디스크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필름 프레임의 개수, ISO(필름감도), 필름의 종류 등의 데이터가 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으로 기록된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데이터 디스크 102의 확대도, 및 광센서들 PIDDC 및 PIDDA의 출력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10a 및 도10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밝은 패턴은 데이터 디스크 102위의 7개의 장소에 형성된다. 상기 광센서 PIDDC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데이터 디스크 102의 패턴을 판독한다. 신호를 수신할 때에, 후술하게될 제어회로는, 신호의 에지의 변화를 "1"∼"3"까지 세며, 또 시간 데이터 t1∼t3로서 각각의 에지와 그 다음의 에지와의 사이의 간격을 취한다. 그런 다음, 제어회로는, 필름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소자코드데이터(ELC: 3비트)로, ISO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캐릭터 데이터(GC1: 5비트)로, 및 필름의 종류를 나타내는 그래픽 캐릭터 데이터(GC2: 5비트)로 시간 데이터를 변환한다.
도9에 대하여 설명하면, 모터 103은 데이터 디스크 102를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디스크 102는, 필름 카트리지의 필름 공급 스풀에 맞물려진다. 모터 103을 구동하도록 배치된 모터구동회로 104는, 데이터 디스크 102가 정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광센서들 PIDDC 및 PIDDA를 통하여 시간 데이터로서 취하게될 밝은 패턴 및 어두운 패턴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PIDDC 검출회로 105는, 광센서 PIDDC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 수광검출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회로부; 및 광센서 PIDDC의 발광소자의 발광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회로부; 를 포함한다. PIDDA 검출회로 106은, 광센서 PIDDA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 수광검출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회로부; 및 광센서 PIDDA의 발광소자의 발광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107로 표시된 제어회로는, PIDDC 검출회로 105 및 PIDDA 검출회로 106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의 각각의 펄스시간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부; 펄스시간폭을 데이터 ELC, GC1 및 GC2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 및 검증을 위한 신규 데이터와 기존 데이터간의 비교를 위한 회로부;를 포함한다. 표시부 108은 데이터에 취해진 임의의 에러를 표시하도록 배치된다. EEPROM 109는 거기에 수광검출레벨, 발광레벨 등을 기억한다. 상기 수광검출레벨, 발광레벨 등은, PIDDC 검출회로 105 및 PIDDA 검출회로 106에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11은 카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회로 107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11에 대하여 설명하면, 메모리 "a"는 광센서 PIDDC의 수광소자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탈 출력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된 수광검출레벨을 기억하며, 메모리 "b"는 광센서 PIDDA의 수광소자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탈 출력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된 수광검출레벨을 기억하며, 메모리 "c"는 광센서 PIDDC의 수광소자의 발광레벨을 기억하며, 메모리 "d"는 광센서 PIDDA의 수광소자의 발광레벨을 기억한다. 상기 다양한 데이터는 EEPROM 109에 설정된 판독치에 의해 메모리 "a"∼"d"에 기억된다.
메모리 "e"는 광센서 PIDDC에 의해 데이터 디스크 102로부터 판독된 펄스폭 시간 데이터(1회전에 대하여 t1∼t13; 13개의 영역)를 기억하며, 메모리 "f"는 상기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필름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3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DDC_ELC_NEW)를 기억하며, 메모리 "g"는 상기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터(5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DDC_GC1_NEW)를 기억하며, 메모리 "h"는 상기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터(5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DDC_GC2_NEW)를 기억하며, 메모리 "i"는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필름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3비트)의 하나의 오래된 값(DDC_ELC_OLD)를 기억하며, 메모리 "j"는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터(5비트)의 하나의 오래된 값 (DDC_GC1_OLD)를 기억하며, 메모리 "k"는 광센서 PIDDC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진 펄스폭 시간 데이터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터 (5비트)의 하나의 오래된 값(DDC_GC2_OLD)를 기억한다.
PIDDC 에지 카운터 "1"는 광센서 PIDDC의 출력펄스신호의 변화수를 카운트 값(PIDDC_EC)로서 세도록 배열되며, PIDDA 에지 카운터 "m"는 광센서 PIDDA의 출력펄스신호의 변화수를 카운트 값(PIDDA_EC)로서 세도록 배열된다.
도12a 및 도12b는 데이터 디스크 102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데이터 ELC, GC1 및 GC2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판독은 데이타 디스크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지만, 데이터 디스크를 "재권선" 방향(필름 재권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행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데이터 디스크가 "재권선"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밝은 패턴은 데이터 디스크 102 위에 7개 위치에 형성되며, 두 개의 이웃하는 밝은 패턴들에 의해 샌드위치된 6개의 위치에 각각 어두운 패턴이 있다. 그러므로, 13개의 위치 전체에서 펄스폭들이 데이터 디스크 102 위에서 얻어짐으로써, 13개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13개의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1의 3개의 데이터는 데이터 ELC(소자 코드)를 나타내며, 남아 있는 10개의 데이터는 어두운 패턴을 위한 한 세트의 다섯개의 데이터와, 밝은 패턴을 위한 한 세트의 다섯개의 데이터로 분할된다. 데이터 GC1 (ISO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 GC2 (필름종류에 대한 정보)는 어두운 패턴을 위한 한 세트의 다섯개의 데이터 및 밝은 패턴을 위한 한 세트의 다섯개의 데이터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상기의 10개의 데이터에서 각각의 밝은 패턴을 위한 데이터 및 어두운 패턴을 위한 데이터는 두 개의 "WIDE" 패턴(1데이터당 20도) 및 세 개의 "NARROW" 패턴(1데이터당 8도)으로 구성된다. 상기 10개의 데이터의 폭의 합계는, 항상 128도의 고정값으로 된다. 따라서, 14도에 동등한 시간 값은 13개의 데이터로부터의 최초의 세개의 데이터를 제외함으로써 얻어진 10개의 데이터를 위한 펄스폭의 합계에 대응하는 시간으로부터 발견된다. 이렇게 하여 발견된 시간 값은 역치로서 설정되어, "WIDE" 패턴을 "데이터=1"로서 취급하며(판정되며) 또 "NARROW" 패턴을 "데이터=0"으로서 취급한다(판정된다).
"1" 또는 "0"에 관한 데이터의 판정이 수행된 이후에, ELC, GC1 및 GC2로 분할되면서, 데이터 디스크 2상의 데이터는 기억된다. 각각의 데이터 GC1 및 GC2는 패리티 데이터를 가지며, 각각의 데이터 GC1 및 GC2에서 "데이터=1"(WIDE)의 패턴의 총개수는 "2"이다.
데이터 판독은 일반적으로 두번 수행된다. 그런 다음, 제1회의 판독된 오래된 데이터(ELC_OLD, GC1_OLD 및 GC2_OLD) 및 제2회의 판독된 가장 신규한 데이터 (ELC_NEW, GC1_NEW 및 GC2_NEW)이 서로 비교된다. 상기 오랜된 데이터 및 가장 신규한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각각의 데이터 GC1 및 GC2의 패리티 데이터가 체크된다.
특히, 데이터 디스크 102가 2회전하는 동안에, 데이터 디스크 102상의 데이터 판독은 광센서 PIDDC에 의해 두번 수행된다. 그런 다음, 이렇게 하여 얻어진 두 개의 데이터는 체크를 위해 서로 비교되며, 그 결과 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한다.
이하, 데이터 판독중에 도9에 나타낸 제어회로의 동작은 도1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01에서, 데이터 판독을 수행하기 이전에, 카운트 값 PIDDC_EC(PIDDC 에지 카운터의 값) 및 카운트 값 PIDDC_EC(PIDDA 에지 카운터의 값)이 초기화된다. 다음 단계 S102에서, 출력신호를 받을 수 없는 경우 현재의 순서를 종료하기 위해 설치된 NG 타이머가 설정된다.
그런 다음, 단계 S103에서, NG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각이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상기 진행이 N.G.됨에 따라 순서는 종료된다.
NG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각이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경우, 순서는 단계 S104로 진행한다. 단계 S104에서, 광센서 PIDDC의 출력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상기 순서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카운트 값 PIDDC_EC는 1만큼 증가되어, 카운팅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단계 S106에서, 카운트값 PIDDC_EC가 "3≤PIDDC_EC≤10"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108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단계 S107에서, 카운트 값 PIDDA_EC는 "PIDDA_EC=0"으로 설정됨으로써, PIDDA 에지 카운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PIDDA 에지 카운터가 "PIDDA_EC=0"으로서 제거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펄스)가 다음회의 광센서 PIDDA에 의해 판독되는 경우, "1"로부터의 카운팅 동작이 다시 개시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1≤PIDDC_EC≤14"의 조건에서 PIDDA 에지 카운터가 제거되도록 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센서 PIDDA의 출력신호와 광센서 PIDDC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최초의 하나의 펄스와, 다른 하나의 최후의 하나의 펄스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광센서 PIDDC의 출력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는 조건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제거되도록 하여지는 경우, 광센서 PIDDA의 최초의 펄스 또는 최후의 펄스를 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있다.
다음 단계 S108에서, 카운트 값 PIDDC_EC가 "PIDDC_EC≥2"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109로 진행한다. 단계 S109에서, 펄스폭 시간 데이터(에지 n+1의 시각과 에지 n의 시각간의 차)는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에 기억된다. 게다가, "PIDDC 에지 카운터=1"의 경우에, 펄스폭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단계 S109가 취소되고, 순서는 즉시 단계 S114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04에서 광센서 PIDDC의 출력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순서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 광센서 PIDDA의 출력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103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111로 진행한다. 단계 S111에서, 카운트 값 PIDDA_EC는 1만큼 증가되어, 카운팅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단계 S112P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3≤PIDDA_EC≤10"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P114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1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3에서, 카운트 값 PIDDC_EC는 "PIDDC_EC=0"으로 설정되어, PIDDC 에지 카운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PIDDC 에지 카운터가 "PIDDC_EC=0"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펄스)가 다음회의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 경우, "1"로부터의 카운팅 동작이 다시 개시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1≤PIDDA_EC≤14"의 조건에서 PIDDC 에지 카운터가 제거되도록 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센서 PIDDC의 출력신호와 광센서 PIDDA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최초의 하나의 펄스와, 다른 하나의 최후의 하나의 펄스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광센서 PIDDA의 출력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는 조건에서 카운트 값 PIDDC_EC가 제거되도록 하여지는 경우, 광센서 PIDDC의 최초의 펄스 또는 최후의 펄스를 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있다.
단계 S114에서, PIDDC 에지 카운터의 값이 "PIDDC_EC≥14"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103으로 되돌아 가며, 그 후에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만약 그렇다면, 광센서 PIDDC의 데이터 취득동작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순서는 단계 S115로 진행한다. 단계 S115에서,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 값은 펄스폭 시간 길이에 따라서 수치 데이터로 변환된다. 즉,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 값은 데이터 DDC_ELC_NEW, DDC_GC1_NEW 및 DDC_GC2_NEW로서 기억된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1회의 시각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 디스크 102의 1회전시에 판독된다. 그런 다음, 동일한 판독이 다시 수행된다. 제어회로 107은 첫번째의 데이터와 두번째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한 다음, 각각의 데이터에 대하여 패리티 체크를 행함으로써, 이에 의해 데이터 판독이 O.K인지 또는 N.G.인지를 판정한다.
도14는 상술한 데이터 판독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 및 도14의 타이밍 챠트로부터 알 수 있듯이, PIDDA 에지 카운터의 값이 14가 된 이후에, PIDDC 에지부 카운터의 값이 1로부터 14가 될때까지, 상기 단계 S109에 기억된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 값은 수치 데이타로 변환된다. 상기 수치 데이타는 첫번째로 판독된 데이타로서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회의 판독된 데이타가 기억된다.
이하, 2회의 데이타 판독동작 및 패리티 체크동작을 포함한 제어회로 107의 일련의 동작을 도1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21에서, 수광검출레벨 및 발광레벨은 PIDDC 검출회로 105로 설정된다. 다음 단계 S122에서, 수광검출레벨 및 발광레벨은 PIDDA 검출회로 106에 설정된다. 그런 다음, 단계 S123에서, 광센서 PIDDC에 의해 제1회의 판독 데이타는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 다음의 단계 S124에서,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 가장 신규한 데이타는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로 복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타 DDC_ELC_NEW는 데이타 DDC_ELC_OLD로 설정되며, 데이타 DDC_GC1_NEW는 데이타 DDC_GC1_OLD로 설정되며, 데이타 DDC_GC2_NEW는 데이타 DDC_GC2_OLD로 설정된다. 그런 다음, 단계 S125에서, 광센서 PIDDC에 의해 제2회의 판독 데이타는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다음 단계 S126에서, 제1회의 판독 데이타 및 제2회의 판독 데이타는 서로 비교된다. 그러므로, 제2회의 가장 신규한 데이타 DDC_ELC_NEW와 제1회의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 DDC_ELC_OLD간의 비교, 제2회의 가장 신규한 데이타 DDC_GC1_NEW와 제1회의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 DDC_GC1_OLD간의 비교, 및 제2회의 가장 신규한 데이타 DDC_GC2_NEW와 제1회에 대한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 DDC_GC2_OLD간의 비교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단계 S127에서, 각각의 상기 비교의 결과가 O.K.인지를 체크한다(데이타 판독은 성공적이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128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순서는 단계 S123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다시 데이타 판독을 수행하며, 이후에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S128에서, 데이타의 패리티 체크가 수행된다. 패리티 체크의 세부항목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N.G인 경우, 순서가 종료되며, 데이타 판독이 실패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하며, 상기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O.K.인 경우, 순서가 종료하게 되며, 데이타 판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단계 S129 및 S130)
앞에서 설명한 장치에서는, 데이타 디스크 102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데이타 판독은 광센서 PIDDC에 의해 두번 수행된다. 그러므로, 항상 데이타 디스크 102가 2번 회전하게 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데이타 디스크 판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데이타 디스크 판독장치의 회로구성은 도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도9에 사용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서 제어회로 107에 사용될 데이타를 기억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메모리 및 카운터("a"∼"m")은 하기의 설명에서 생략되며, 새롭게 추가된 메모리들만(데이타 판독을 위한 광센서 PIDDC와 PIDDA 모두를 사용하기 위하여 추가된 메모리들만)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n"은 광센서 PIDDA에 의해 데이타 디스크 102로부터 판독된 펄스폭 시간 데이타(1회전당 t1~t13: 13면적)를 기억하는 PIDDA 펄스폭 시간 메모리를 나타내며, "o"는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3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을 기억하는 DDA_ELC_NEW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내며, "p"는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5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을 기억하는 DDA_GC1_NEW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내며, "q"는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5비트)의 가장 신규한 값을 기억하는 DDA_GC2_NEW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내며, "r"은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3비트)의 하나의 오랜된 값을 기억하는 DDA_ELC_OLD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내며, "s"는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5비트)의 하나의 오래된 값을 기억하는 DDA_GC1_OLD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내며, "t"는 PIDDA 펄스폭 시간 데이타로부터 발견된 수치 데이타(5비트)의 하나의 오래된 값을 기억하는 DDC_GC2_OLD 데이타 메모리를 나타낸다. 게다가, "u"는 DDC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 PIDDC_endf를 나타내고, 이것은 "PIDDC_EC=14"의 조건에서 설정되며, 광센서 PIDDC에 의한 데이타 판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v"는 DDC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 PIDDA_endf를 나타내고, 이것은 "PIDDA_EC=14"의 조건에서 설정되며, 광센서 PIDDA에 의한 데이타 판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도9∼도1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장치에서, 데이타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데이타 디스크 102는 2회전하는 것으로 되며, 상기 데이타 디스크 102는 각각의 2회전에 대한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다. 그런 다음, 데이타 판독의 두 개의 결과는 검증을 위하여 서로 비교된다. 그러므로, 데이타 판독을 위하여 비교적 장시간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데이타 디스크 판독장치에 있어서, 데이타 판독은 광센서 PIDDC 이외에도 광센서 PIDDA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이것은 단지 도9~도15에 나타낸 장치의 경우에 데이타 판독의 타이밍을 준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데이타 판독은 광센서 PIDDC와 광센서 PIDDA 모두에 의해 수행되며, 그 결과, 데이타 판독은 데이타 디스크 102의 1회전중에 두번 수행된다(이 경우, 데이타 판독의 타이밍을 작성하는 부담은, 현재 데이타 판독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광센서 PIDDC 및 광센서 PIDDA중 하나에 의해 제공된다). 그런 다음, 데이타 판독의 두 개의 결과는 검증을 위하여 서로 비교된다. 따라서, 데이타 판독을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의 절반을 감소할 수 있으며, 데이타 판독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르면, 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준비될 때까지 카메라로 신규한 필름의 장전으로부터 요구되는 촬영준비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즉, 양호한 동작감을 갖는 카메라가 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데이타 판독중의 동작을 도17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301에서, 데이타 판독을 수행하기 이전에, 카운트의 값 PIDDC_EC(PIDDC 에지 카운터의 값), 카운트의 값 PIDDA_EC(PIDDA 에지 카운터의 값), 플래그 PIDDC_endf(PIDDC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 및 플래그 PIDDA_endf(PIDDA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가 초기화된다. 다음 단계 S302에서, 출력신호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현재의 순서를 종료하기 위해 설치된 NG 타이머가 설정된다. 계속하여, 단계 S303에서, NG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가 N.G.된 것으로 되어 순서가 종료된다.
NG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순서는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단계 S304에서, 광센서 PIDDC의 출력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05로 지냉한다. 단계 S305에서, 카운트 값 PIDDC_EC는 1만큼 증가되어 카운팅응?? 계속한다. 계속하여, 단계 S306에서, 카운트의 값 PIDDC_EC가 "3≤PIDDC_EC≤10"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308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07로 진행한다. 단계 S307에서, 카운트 값 PIDDA_EC는 "PIDDA_EC=0"으로 설정되어, PIDDA 에지 카운터를 제거한다. 계속하여, PIDDA 에지 카운터가 "PIDDA_EC=0"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데이타(펄스)가 다음 시간을 위한 광센서 PIDDA에 의해 판독되는 경우, "1"로부터의 카운팅 동작이 다시 개시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1≤PIDDC_EC≤14"의 조건에서 PIDDA 에지 카운터가 제거되도록 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센서 PIDDA의 출력신호와 광센서 PIDDC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최초의 하나의 펄스와, 다른 하나의 최후의 하나의 펄스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광센서 PIDDC의 출력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는 조건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제거되도록 하여지는 경우, 광센서 PIDDA의 최초의 펄스 또는 최후의 펄스를 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있다.
다음 단계 S308에서, 카운트 값 PIDDC_EC가 "PIDDC_EC≥2"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09로 진행한다. 단계 S309에서, 펄스폭 시간 데이터(에지 n+1의 시각과 에지 n의 시각간의 차)는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에 기억된다. 게다가, "PIDDC 에지 카운터=1"의 경우에, 펄스폭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단계 S309가 취소되고, 순서는 즉시 단계 S320로 진행한다. 다음 단계 S310에서, 카운트 값 PIDDC_EC가 "PIDDC_EC=14"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320으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11로 진행한다. 단계 S311에서, PIDDC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가 설정된다(PIDDC_endf=1).
상기 단계 S304에서 광센서 PIDDC의 출력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순서는 단계 S312로 진행한다. 단계 S312에서, 광센서 PIDDA의 출력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303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13로 진행한다. 단계 S313에서, 카운트 값 PIDDA_EC는 1만큼 증가되어, 카운팅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단계 S314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3≤PIDDA_EC≤10"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S316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15으로 진행한다. 단계 S315에서, 카운트 값 PIDDC_EC는 "PIDDC_EC=0"으로 설정되어, PIDDC 에지 카운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PIDDC 에지 카운터가 "PIDDC_EC=0"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펄스)가 다음 시각을 위해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 경우, "1"로부터의 카운팅 동작이 다시 개시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1≤PIDDA_EC≤14"의 조건에서 PIDDC 에지 카운터가 제거되도록 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센서 PIDDC의 출력신호와 광센서 PIDDA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최초의 하나의 펄스와, 다른 하나의 최후의 하나의 펄스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광센서 PIDDA의 출력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는 조건에서 카운트 값 PIDDC_EC가 제거되도록 하여지는 경우, 광센서 PIDDC의 최초의 펄스 또는 최후의 펄스를 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있다.
다음 단계 S316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PIDDA_EC≥2"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17로 진행한다. 단계 S317에서, 펄스폭 시간 데이터(에지 n+1의 시각과 에지 n의 시각간의 차)는 PIDDA 펄스폭 시간 메모리에 기억된다. 게다가, "PIDDA 에지 카운터=1"의 경우에, 펄스폭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단계 S317가 취소되고, 순서는 즉시 단계 S320로 진행한다. 다음 단계 S318에서, 카운트 값 PIDDA_EC가 "PIDDA_EC=14"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320으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다면, 순서는 단계 S319로 진행한다. 단계 S319에서, PIDDA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가 설정된다(PIDDA_endf=1).
단계 S320에서, PIDDC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의 "PIDDC_endf=1"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체크하고, PIDDA 데이타 취득 종료 플래그의 "PIDDA_endf=1"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체크한다. 양자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순서는 단계 S322로 진행한다. 상기 조건들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즉, 데이타 취득 동작완료되지 않은 경우, 순서는 단계 S303으로 되돌아 가며, 이후에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S322에서,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와 PIDDA 펄스폭 시간 메모리의 값은 각각 펄스폭 시간 길이에 따라서 수치 데이터로 변환된다. 즉,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 값은 데이터 DDC_ELC_NEW, DDC_GC1_NEW 및 DDC_GC2_NEW로서 기억되며, 또 PIDDA 펄스폭 시간 메모리의 값은 데이터 DDA_ELC_NEW, DDA_GC1_NEW 및 DDA_GC2_NEW로서 기억된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데이타 디스크 102의 1회전에 대하여 2회의 데이파 판독이 가능하다.
도18은 상술한 데이타 판독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과 도18의 타이밍 챠트로부터 알 수 있듯이, PIDDA 에지 카운터의 값이 "1"로부터 "14"가 될 때까지 상기 단계 S317에 저장된 PIDDA 펄스폭 시간 메모리의 값과, PIDDC 에지 카운터가 "1"로부터 "14"가 될 때까지 상기 단계 S309에 저장된 PIDDC 펄스폭 시간 메모리의 값은 각각 수치 데이타로 변환되며, 상기 수치 데이타는 2회 판독된 데이타로서 기억된다.
그 사이에, 필름 카트리지의 구조적 배열을 고려하면, 필름 카트리지의 내부에 배치된 부재와 필름단의 간섭으로 인하여, 데이타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어느 장소에서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회전속도의 변화는 데이타 디스크 102상의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도9∼도15에 나타낸 장치의 경우에, 상기 회전속도의 변화가 광센서에 의한 데이타 판독중에 발생하는 경우, 펄스폭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패리티 에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서, 상기 요점의 관점에서, 데이타 디스크 102로부터 데이타의 판독은, 광센서 PIDDC와 광센서 PIDDA 모두에 의해 수행되며, 또 비정상 값(패리티 에러)가 광센서 PIDDC 및 광센서 PIDDA중 하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경우, 데이타 판독이 다시 수행된다. 그런 다음, 정상으로 간주될 단지 두 개의 데이타가 검증을 위해 서로 비교된다. 따라서,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패리티 에러가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 데이타에서 발생하는 경우, 데이타 판독이 다시 수행되며, 또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제1회의 데이타 및 제2회의 데이타가가 검증을 위해 서로 비교된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데이타 판독의 신뢰성을 손상하지 않고서도, 데이타 디스크의 회전속도의 검증에 기인하여 패리티 에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방법을 유효화하기 위한 제어회로 107의 일련의 동작을 도19 및 도2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401에서, 광수신검출레벨 및 광방출레벨은 PIDDC검출회로 105에서 설정된다. 다음 단계 S402에서, 광수신검출레벨 및 광방출레벨은 PIDDA 검출회로 106에서 설정된다. 그런 다음, 단계 S403에서, 보통 무익한 더미데이타가 광센서 PIDDC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를 위한 저장영역으로 삽입된다.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에 패리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이들 더미 데이타는 광센서 PIDDC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의 제1데이타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000B"의 더미 데이타는 데이타 DDC_ELC_OLD로 첨가되며, "00000B"의 더미 데이타는 DDC_GC1_OLD로 첨가되며, "00000B"의 더미 데이타는 데이타 DDC_GC2_OLD로 첨가된다.
다음 단계 S404에서, 보통 무익한 더미 데이타는,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를 위한 저장영역으로 삽입된다. 이들 더미 데이타는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의 제1의 데이타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000B"의 더미 데이타는 데이타 DDA_ELC_OLD로 첨가되며, "00000B"의 더미 데이타는 DDA_GC1_OLD로 첨가되며, "00000B"의 더미 데이타는 데이타 DDA_GC2_OLD로 첨가된다.
그런 다음, 단계 S405에서, 광센서 PIDDC 및 PIDDA에 의한 데이타 판독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연이은 단계 S406에서, 데이타 DDC_GC1_NEW와 데이타 DDC_GC2_NEW의 패리티 체크가 수행된다. 다음 단계 S407에서, 패리티 체크이 결과가 O.K인 경우, 순서는 단계 S408로 진행한다. 단계 S408에서, 데이타 DDA_GC1_NEW의 패리티 체크가 수행된다. 다음 단계 S409에서,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O.K.인 경우, 순서는 단계 S410으로 진행하며, 데이타 디스크 102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기인한 패리티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S410에서, 광센서 PIDDC에 의해 얻어진 가장 신규한 데이타 및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가장 신규한 데이타가 서로 비교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타 DDC_ELC_NEW와 데이타 DDA_ELC_NEW간의 비교, 데이타 DDC_GC1_NEW와 데이타 DDA_GC1_NEW간의 비교, 데이타 DDC_GC2_NEW와 데이타 DDA_GC2_NEW간의 비교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단계 S411에서, 각각의 상기 비교의 결과가 O.K.인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2회에 걸쳐 취득한 데이타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순서는 종료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 S403으로 되돌아 감으로써, 데이타 판독을 다시 수행하며, 이후에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 S407에서, 상기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N.G.이면, 순서는 도20에 나타낸 단계 S414로 진행한다. 단계 S414에서,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를 위한 패리티 체크가 수행된다(DDC_GC2_NEW 및 DDA_GC2_NEW). 다음 단계 S415에서, 패리티 체크이 결과가 N.G.이며, 순서는 도19에 나타낸 단계 S403으로 되돌아가며, 데이타 판독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O.K.이면, 상기 순서는 단계 S4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16에서, 가장 신규한 데이타와 상기 광센서 PIDDA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가 서로 비교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타 DDA_ELC_NEW와 데이타 DDA_ELC_OLD간의 비교, 데이타 DDA_GC1_NEW와 데이타 DDA_GC1_OLD간의 비교, 데이타 DDA_GC2_NEW와 데이타 DDA_GC2_OLD간의 비교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단계 S417에서, 각각의 상기 비교의 결과가 O.K.인지를 체크한다. 순서의 제1사이클에서, 더미 데이타가 비교를 위해 실시하게 될 데이타에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반드시 N.G.가 된다. 제2회의 데이타가 취득된 이후에, 제2회의 데이타가 제1회의 데이타와 동일한 경우,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O.K.가 되며, 그 결과 순서는 종료된다.
상기 단계 S417에서,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N.G.이면, 순서는 단계 S418로 진행한다. 단계 S418에서, 광센서 PIDDA에 의해 판독된 가장 신규한 데이타는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로 복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타 DDA_ELC_NEW는 데이타 DDA_ELC_OLD로 설정되고, 데이타 DDA_GC1_NEW는 데이타 DDA_GC1_OLD로 설정되며, 또 데이타 DDA_GC2_NEW는 데이타 DDA_GC2_OLD로 설정된다. 그런 다음, 순서는 도19에 나타낸 단계 S405로 되돌아감으로써, 데이타 판독을 다시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단계 S409에서,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N.G.이면, 순서는 단계 S412로 진행한다. 단계 S412에서, 가장 신규한 데이타 및 광센서 PIDDC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가 서로 비교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타 DDC_ELC_NEW와 데이타 DDC_ELC_OLD간의 비교, 데이타 DDC_GC1_NEW와 데이타 DDC_GC1_OLD와의 비교, 또 데이타 DDC_GC2_NEW와 데이타 DDC_GC2_OLD와의 비교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단계 S413에서,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O.K.인지를 체크한다. 순서의 제1사이클에서, 더미 데이타가 비교를 위해 실시하게 될 데이타에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반드시 N.G.가 된다. 제2회의 데이타가 취득된 이후에, 제2회의 데이타가 제1회의 데이타와 동일한 경우,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O.K.가 되며, 그 결과 순서는 종료된다.
상기 단계 S413에서, 상기 각각의 비교의 결과가 N.G.인 경우, 순서는 단계 S419로 진행한다. 단계 S419에서, 광센서 PIDDC에 의해 판독된 가장 신규한 데이타는 하나의 오래된 데이타에 복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타 DDC_ELC_NEW는 데이타 DDC_ELC_OLD로 설정되고, 데이타 DDC_GC1_NEW는 데이타 DDC_GC1_OLD로 설정되며, 또 데이타 DDC_GC2_NEW는 데이타 DDC_GC2_OLD로 설정된다. 그런 다음, 순서는 도19에 나타낸 단계 S405로 되돌아감으로써, 데이타 판독을 다시 수행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로우 챠트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패리티 체크의 결과가 N.G.이거나 또는 비교의 결과가 N.G인 이후에 데이타 판독이 다시 수행되는 회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타 판독이 종료되며, 필름 카트리지가 고장난 것으로 판정하고, 에러 표시가 도9에 나타낸 표시부 108에 나타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르면, 데이타 디스크로부터 데이타 판독은 광센서 PIDDA 및 광센서 PIDDC 모두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판독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게다가, 광센서 PIDDA 및 광센서 PIDDC중 하나에 의해 판독된 데이타에 패리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제1회의 데이타아 상기 광센서 PIDDA 및 광센서 PIDDC중 다른 것에 의해 얻어진 제2회의 데이타가 검증을 위해 서로 비교된다. 그러므로, 데이타 디스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기인한 패리티 에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4구현예에서, 데이타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판독되지만, 데이타 디스크가 바코드 이외에도 자기적으로 기록된 정보를 갖는 경우, 데이타를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판독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타 디스크가 디스크 형상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4구현예에서 설명한 필름 카트리지 이외에 다른 유형의 카트리지, 필름 이외에 기록 미디움을 갖는 카트리지, 다른 종류의 카트리지, 및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의 장전 또는 배출될 카트리지 이외에 다른 부재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제4구현예에서 카메라에 적용된 본 발명은, 카메라 이외에 다른 광학 기구, 다른 기구, 카메라에 적합한 장치, 광학기구 또는 다른 장치, 및 이들 기구 또는 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르면, 데이타 판독의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데이타 판독에 요구되는 시간을 대단히 감소할 수 있는 데이타 판독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르면, 정보기억부재의 이동속도의 변화 또는 데이타 기억 디스크 또는 바코드 디스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데이타 판독의 에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타 판독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Claims (13)

  1. 소정의 이동부재상에 설치된 데이터 기록부를 갖는 필름 카트리지에 적합한 데이터 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
    상기 이동하는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또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 및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와,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비교하며, 또 상기 비교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회전동작을 하며,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 및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회전위상과 다른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회전부재의 소정의 회전위상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 및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중 하나는,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와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중 다른 하나가 데이터 판독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회전부재가 1회전을 완료하기 이전에 데이터 판독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회로는,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 및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회로는,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 및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채택하지 않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회로는, 상기 제1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 및 상기 제2의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상기 제1의 판독장치와 상기 제2의 판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데이터 판독동작을 다시 수행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의 판독장치와 상기 제2의 판독장치는 데이터 판독동작을 광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의 판독장치와 상기 제2의 판독장치는 데이터 판독동작을 자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필름 카트리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필름 카트리지상에 설치된 회전부재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필름 카트리지의 필름 권선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바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판독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90048699A 1998-11-04 1999-11-04 데이터 판독장치 KR10036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27525A JP2000137262A (ja) 1998-11-04 1998-11-04 データ読取装置
JP1998-327525 1998-11-04
JP1999-62552 1999-03-10
JP11062552A JP2000258814A (ja) 1999-03-10 1999-03-10 データディスク情報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242A true KR20000035242A (ko) 2000-06-26
KR100363496B1 KR100363496B1 (ko) 2002-12-05

Family

ID=2640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699A KR100363496B1 (ko) 1998-11-04 1999-11-04 데이터 판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1417B1 (ko)
EP (1) EP1004958A3 (ko)
KR (1) KR100363496B1 (ko)
CN (1) CN1253310A (ko)
TW (1) TW473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9974B (zh) * 2021-01-26 2021-12-03 科东(广州)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存储卡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2497B2 (ja) * 1988-09-21 1998-03-30 株式会社テック 商品データ読取装置
JPH08248469A (ja) * 1995-03-09 1996-09-2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5541681A (en) * 1995-03-31 1996-07-30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pparatus and method for film double exposure prevention
JPH09230415A (ja) * 1996-02-21 1997-09-05 Minolta Co Ltd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の情報読取装置
KR0166688B1 (ko) * 1996-06-28 1999-05-01 이대원 에이피에스 카메라의 필름 위치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JPH1039366A (ja) * 1996-07-22 1998-02-13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カートリッジの使用状態識別方法
JPH1138485A (ja) * 1997-07-23 1999-02-12 Asahi Optical Co Ltd フィルムローディング装置を備えた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81417B1 (en) 2002-04-30
EP1004958A2 (en) 2000-05-31
CN1253310A (zh) 2000-05-17
TW473643B (en) 2002-01-21
EP1004958A3 (en) 2003-12-03
KR100363496B1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509B1 (ko) 사진 필름 카세트, 카메라 장치 및 방법
EP0548273B1 (en) Photographic film cassette
US5969322A (en) Apparatus having a film condition judging device
KR100363496B1 (ko) 데이터 판독장치
EP0687942B1 (en) Camera adapted to use film having magnetic recording part
EP0452962B1 (en) Camera using film with a memorizing portion
JPH05165090A (ja) カメラ用データ記録装置
US5895135A (en) Photographic camera
JPH08271970A (ja) 磁気ヘッド付きカメラ
EP06760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CAMERA OPERATING MODE.
JP3232166B2 (ja) スプール停止位置制御装置
US5734939A (en)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number of frames of film
US6554498B2 (en) Camera
JPH09230415A (ja)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の情報読取装置
JP2000258814A (ja) データディスク情報読取装置
JP3644568B2 (ja) バーコード識別システム
US6233405B1 (en) Camera and film cartridge display setting apparatus
EP0712028B1 (en) Camera
JPH0950072A (ja) 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
JPH10301155A (ja) カメラの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H09203923A (ja) 回転体の停止位置検出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H09203922A (ja) カメラ
JPH10260450A (ja) カメラ
JPH09203924A (ja) カメラ
JP2002244175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のエラー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