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313A - 스트랩핑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랩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313A
KR20000029313A KR1019990046546A KR19990046546A KR20000029313A KR 20000029313 A KR20000029313 A KR 20000029313A KR 1019990046546 A KR1019990046546 A KR 1019990046546A KR 19990046546 A KR19990046546 A KR 19990046546A KR 20000029313 A KR20000029313 A KR 2000002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nd
spindle
strapp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644B1 (ko
Inventor
플래비오 핀조
기안카를로 할티너
베른드 마르셰
루도비고 드펠리스
Original Assignee
빈테르 마르틴
오르가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테르 마르틴, 오르가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빈테르 마르틴
Publication of KR2000002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65B13/327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물품을 밴드로 묶기 위한 스트랩핑 장치(strapping apparatus)로서, 상기 장치는 인장 구동기에 작동되게 연결되며 밴드를 인장시키기 위해 의도되는 인장 장치, 밴드의 두 개 층을 밀봉하기 위한 용접 장치, 및 밴드를 상기 스트랩핑 장치 상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되감기 로크를 구비하며, 가능성이 가장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 장치에 레버(91)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 상에서 모터 샤프트에 작동되게 연결되는 편심기(94)가 폐쇄 장치의 모터 샤프트에 대해서, 편심 운동을 상기 레버(91)에 전달할 목적으로 작동하며, 용접 슈(86)가 상기 레버(91)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편심 운동이 상기 용접 슈의 진동 왕복 운동을 일으키도록 상기 레버(91)가 베어링 지점(90)에 선회되게 장착된다. 그 결과로, 마찰 용접 작업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트랩핑 장치{STR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을 밴드로 묶기 위한 스트랩핑 장치(strapping apparatus)에 관한 것인데, 이 스트랩핑 장치는 인장 구동기에 작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밴드를 인장하기 위해 의도된 인장 장치, 밴드의 양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폐쇄 장치, 및 스트랩핑 장치에 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되감기 로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고정식이고 영구적으로 설치된 것이 아닌, 즉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구동되고 본선으로부터 독립된 전원, 예컨대 축전 배터리와 같은 전원이 제공되는 주로 휴대용, 이동용 스트랩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끈에 최대로 가해질 수 있는 인장력이 사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낮은 축전 배터리 용량에 의해 제한 받는다는 문제점이 항상 있는데, 한번의 축전 배터리 충전으로 수행될 수 있는 끈의 개수는 미리 결정된다. 밴드 루프에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인장력은 밴드 루프를 형성 및 폐쇄하는 동안에, 상기 밴드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흔히 안내된다는 사실에 의해 또한 감소되는데, 스트랩핑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물품에 놓여진다. 일단 밴드 루프가 마찰 용접에 의해 폐쇄되면, 스트랩핑 장치는 물품에서 제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이것에 의해 밴드 루프에서 빠지게 된다. 그 결과 이미 폐쇄된 밴드 루프에 의해 묶여진 주변이 감소되기 때문에, 밴드의 인장력은 또한 줄어든다.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의 회전 운동은 용접 슈의 병진 진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경우에 용접 슈는 다른 밴드의 상부에 하나의 밴드를 놓는 (플라스틱) 밴드의 두 개 층중의 하나에 대해 압력을 가하며, 상기는 결과적으로 함께 가열되어 용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축전 배터리 충전의 이용에 대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효율을 갖는 스트랩핑 장치를 제공할 목적에 기초를 두고 있다. 상기와 관련해서, "효율"이란 특정의 배터리 용량으로 달성될 수 있는 특정의 밴드 장력을 갖는 끈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은 최대 축전 배터리의 일부 용량을 사용하여, 특정 개수의 끈을 사용할 때 끈마다 달성될 수 있는 최대 밴드 장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밴드의 두 개 층을 용접하기 위해 용접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가 스트랩핑 장치의 효율에 대해 또한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스트랩핑 밴드는 감소된 양의 전기 에너지로 요구되는 온도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그 결과로, 축전 배터리로 달성될 수 있는 스트랩핑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각각의 스트랩핑에서 달성될 수 있는 밴드 인장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따라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부에 언급된 스트랩핑 장치의 경우에 용접 장치가 레버를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 상에서, 모터 샤프트에 작동되게 연결되는 편심기가 모터 샤프트에 대해서 편심 운동을 상기 레버에 전달할 목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레버의 타단부는 용접 슈에 작동되게 연결되며, 레버는 피벗 스핀들 상의 상기 용접 슈의 양단부 사이에 선회되게 장착되며, 그 결과 편심 운동은 상기 용접 슈의 진동 및 필수적인 직선 왕복 운동을 발생시킨다. 용접 슈가 레버의 선회 운동에도 불구하고 필수적으로 직선 운동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버 상에 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힘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상기 스프링 힘은 전체 용접 작업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연속 운동 동안 상기 레버를 결과적으로 용접되어질 밴드 상으로 가압한다. 실제로, 이들 방법은 이전에 공지된 용접 장치의 경우에서 보다 마찰 용접 작업을 위해 더 적은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해야하는 용접 장치의 모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전력 손실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장치의 경우에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는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데, 그 지지부에 대해 레버는 회전 선회운동만을 할 수 있다. 레버가 지지부 상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에 매우 간단한 구조 설계의 해결이 얻어진다.
편심기가 레버 내의 슬롯과 같은 틈새, 예컨대 포크에 배치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정반대의 지점에 상기 레버에 대해 놓이는 경우가 여기서 선호된다.
실행되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아주 정숙한 용접 작업을 가능케 함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방편의 실시예는 지지부가 회전 스핀들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접 슈를 밴드 상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힘이 레버 상의 지지부를 거쳐 용접 슈로 가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용접 슈가 교각형 지지부 상에 용접되는 2개의 밴드 층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효율을 개선하는데 또한 기여할 수 있다. 교각형 지지부는 톱니 모양이 되어야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랩핑 장치는 밴드가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되감기 로크를 구비한다. 상기 경우에서, 폐쇄 장치는 2개의 되감기 로크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치는 밴드가 인장 작업 동안에 인장 장치에 의해 폐쇄 장치로부터 "들어가는(pushed in)" 것이 아니라 "빠지게 되는(pulled out)" 분야에서 특히 성공적임이 판명되었다. 즉, 이 배치는 인장 장치가 인장 방향에서 폐쇄 장치 뒤에 배치되는 스트랩핑 장치의 구조적 설계이다. 그러나, 인장 휠이 고정될 수 있는 제 3 되감기 로크가 있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에, 인장 휠은 인장 방향으로 회전운동에 대해 적어도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장 작업 동안 폐쇄 장치를 통해 빠진 밴드가 폐쇄 및 절단 작업을 위해 이미 가해진 밴드 장력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으로 마찰 용접되고 절단된 밴드의 단면이 다시 밴드 장력에서 실질적으로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밴드의 종방향 확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에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한 용접 슈의 운동이 밴드의 가열로 더 낫게 전환이 될 수 있고, 플라스틱 밴드를 절단하는 동안 깨끗한 절단 에지부가 형성된다는 이점을 준다. 인장 하에 있는 플라스틱 밴드는 절단하는 동안 갈라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되감기 로크를 위한 제어 기능이 손잡이 레버에서 제어판을 통해 되감기 로크로 전달되는, 개시부에서 언급한 스트랩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판은 바람직하게 현존하는 모든 되감기 로크에 제어 기능을 전달한다. 이것은 개별적인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이동형 수작업 장치로 의도된 스트랩핑 장치의 무게가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모든 제어 기능이 중앙 손잡이 레버에서 개시되기 때문에, 스트랩핑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또한 결과적으로 더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의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며 공간 절약형의 설계가 피벗 레버를 통해 손잡이 레버에 연결되는 제어판에 제공될 수 있다. 전동 수단, 예컨대 회전 스핀들은 제어판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전동 수단에 의해 되감기 로크가 록킹 위치에서 삽입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적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손잡이 레버가 제 1 단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를 도시한 제 1 측면도.
도 2는 손잡이 레버가 다른 위치에 있는, 도 1의 스트랩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스트랩핑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스트랩핑 장치의 회전 스핀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스트랩핑 장치의 인장 구동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장 단계 중에 있는 도 5의 인장 구동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용접 작업 중에 있는 도 5의 인장 구동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스트랩핑 장치의 추가 회전 스핀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스트랩핑 장치의 되감기 로크를 제 1 단부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되감기 로크를 제 2 단부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손잡이 레버가 제 2 단부 위치에 있는, 도 3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손잡이 레버가 중간 위치에 있는, 도 3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4의 B-B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4의 C-C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에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용접 장치와 다른 용접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실행 가능한 용접 장치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D-D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삽입 위치에 있는 도 16의 용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폐쇄 장치 5, 6, 26 : 되감기 로크
7 : 베이스 플레이트 14 : 제어판
18, 56 : 회전 스핀들 30 : 인장 휠
37 : 로커 38 : 로커 축
39, 40 : 교각형 롤러 48, 57 : 편심 스핀들
58 : 록킹 레버 82 : 회전 스핀들
83 : 지지부 86 : 용접 슈
91 : 레버 94 : 편심기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이고, 이 장치의 하우징(1)에는 인장 구동기(2), 용접 장치로서 설계된 폐쇄 장치(3), 절단 장치(4), 및 3개의 되감기 로크,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은 단지 2개의 되감기 로크(5, 6)를 갖는 인장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은 2개의 암(11, 12)으로 분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7)를 이들 구성요소 바로 밑에 구비한다. 이 2개의 암(11, 12)은 서로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개구부를 제공한다. 물품 위에 스트랩핑 장치를 배치하기 위해 암(11)의 지지 표면부(11a)는 상기 장치가 또한 둥근 물품 상에 확실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오목하게 굽어질 수 있다.
배터리 또는 축전 배터리(8)가 제공된 스트랩핑 장치의 모든 기능은 하우징(1) 상에 장착된 손잡이 레버(9)에 의해 개시되는데, 이 손잡이 레버는 제 1 단부 위치에서 제 2 단부 위치로 회전 스핀들(10) 주위에서 선회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피벗 암(13)은 회전 스핀들(10) 상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배치된다. 피벗 암(13)은 또한 플레이트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어판(14) 상에 체결 고정되며, 이 제어판은 또한 제 2 피벗 암(15)과 이에 결합된 버트 스트랩(butt strap)(16)을 구비한다. 버트 스트랩(16)에는 슬롯형 링크(17)가 제공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제 2 피벗 암(15)의 회전 스핀들(18) 상에 2개의 레버 암(20, 21)을 갖는 제 1 이중 레버(19)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레버 암(20, 21)의 단부 각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롤러가 있다. 제 1 이중 레버의 선회 범위에, 제 3 되감기 로크(26)에 속하는 제 2 이중 레버(25)의 레버 암(24)이 있다. 제 2 이중 레버(25)는 인장 구동기의 피벗 스핀들(27) 상에 배치되고 캐치(28)가 제공된 제 2 레버 암을 구비한다.
또한 피벗 스핀들(27) 상에 장착된 인장 구동기(2)는 손잡이 레버의 작동에 의해 피벗 스핀들(27)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인장 구동기(2)는 직류 모터의 샤프트 상에 배치된 인장 휠(30)을 구비하는데, 이 인장 휠은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동일한 샤프트 상에 인장 휠(30)에 대해 같은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은 유성 기어 메커니즘의 링 기어(31)인데, 이 링 기어의 주변에는 2개의 대향 눌림부(35, 36)가 제공된다. 눌림부(35, 36)는 제 3 되감기 로크(26)의 캐치(28)와의 맞물림을 위해 의도된 것이다. 상기의 맞물림에 의해, 링 기어(3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못할 수 있다. 회전 코스 방향에 대한 모든 기준은 항상 도면에 각각 주어진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감속(step-down)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된 유성 기어 메커니즘이 인장 휠(30)에 대해 같은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뿐만 아니라 직류 모터가 전술한 2개의 구성요소에 대해 같은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배치는 또한 스트랩핑 장치로 높은 효율을 달성하는데 기여한다. 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성 기어 메커니즘은 수작업 스트랩핑 장치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2가지 단계 대신에, 3가지 감속 스테이지를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7)(도 1 참조)의 제 2 암(12)은 인장 휠(30) 바로 밑에 배치된다. 이 제 2 암(12)의 눌림부에 로커 축(38)(도 5 내지 도 7)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로커(37)가 있다. 로커(37)의 장착은 로커 축(38)에 대해 자유로이 방향 전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경우에 수행되며, 이것에 의해서 밴드 또는 인장 휠(30)의 작용 압력 크기와 유효 방향에 따라 상기 로커는 스스로 정렬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2개 로커 암의 단부에 부착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교각형 롤러(39, 40)가 각각의 경우에 있는데, 이 롤러는 스트랩핑 밴드 상에 직접 신축성 있는 인장 구동기의 벨트, 예컨대 V-벨트를 사용함이 없이 작용한다. 로커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교각형 롤러(39, 40)의 2개 축 중에서, 하나의 축 또는 교각형 롤러는 로커 축(38)의 전면에 인장 방향(화살표 43)에 대해 위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교각형 롤러는 로커 축 뒤에 위치되어 있다. 로커 축(38)에서 교각형 롤러(39, 40)의 축까지 거리는 결과적으로 실제로 같다. 더욱이, 인장 휠의 회전 스핀들에서 로커 축(38)까지 가상적인 연결선(41)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암(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되게 정렬되는 것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될 수 있다.
인장 휠(30)은 피벗 스핀들(27) 주위에서 선회운동에 의해 2개의 롤러(39, 40)와 접촉될 수 있다. 2개의 교각형 롤러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인장 휠의 적절한 감김 각도(α)가 얻어지는 방식으로 크기를 가져야 한다(도 6). 이것은 감김 각도가 상기와 같은 크기를 가져서 인장 휠에 대해 밴드의 미끄럼이 실질적으로 회피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인장 휠 보다 훨씬 더 작은 2개의 교각형 롤러(39, 40) 사이의 거리는 인장 휠의 반경에 대략 70% 이다. 이 값은 예컨대 로커에 인장 휠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힘, 표면 성질과 인장 휠의 재질, 및 밴드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최종적으로, 기하학적 조건 때문에, 로커(37)에 인장 휠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합력이 로커 축과 교차하지 않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력이 로커에 인장 휠에 의해 가해질 때, 로커 축(38) 주위에 토크가 항상 있고, 이 토크에 의해 인장 휠에 대해 로커의 매우 양호한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 방향(화살표 43)의 배면에 로커(37)의 교각형 롤러(40)와 동일한 로커(37)의 샤프트 상에 장착된 선회 가능한 캐치(44)가 또한 있다. 도 5에 도시된 기본 위치에서, 캐치(44)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된다. 상기 기본 위치에서, 인장 휠(30)은 캐치(44) 상에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인장 휠(30)과 교각형 롤러(39, 40) 사이에 갭을 형성하고, 이 갭 속으로 도 6에 도시된 인장될 밴드(45)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인장 휠(30)은 반시계 방향 회전운동 동안 캐치(44)에 걸리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캐치는 다른 단부 위치로 가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전환하고, 인장 휠(30)은 로커(37)로 하강될 수 있다. 이것은 스트랩핑 장치의 인장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 인장력이 밴드 루프(46)에 가해진다. 로커(37)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2개의 교각형 롤러(39, 40)가 인장하는 동안 발생하는 힘을 흡수하고 그 힘을 베이스 플레이트(7)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도 1에 도시된 전면 되감기 로크(5)는 편심 스핀들(48) 상의 슬리브 형상의 단면(47)에 도 4의 도면의 상응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또한 회전 스핀들(18)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은 전면 또는 제 1 되감기 로크(5)가 회전 스핀들(1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되감기 로크(5)에는 스프링(미도시됨)이 제공되며, 이 스프링은 대략 밴드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이 작용에 의해 되감기 로크(5)는 베이스 플레이트(7)의 제 1 암(11) 상에서 압력을 받는다. 회전운동의 전달은 편심 스핀들 상에 배치되고 슬리브 형상의 단면에 제공된 구동 캠(50)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구동 캠(49)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도 4 및 도 15). 되감기 로크(5)의 편심 스핀들(48)과의 결합은 결과적으로 2개의 구동 캠(49, 50)의 정확한 물림에 의해 발생한다.
제 2 피벗 암(15)의 회전 스핀들(18) 일단부에 인덱스 플레이트(51)가 또한 있는데, 이 인덱스 플레이트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회전 스핀들(18)에 연결된다. 인덱스 플레이트(51)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42)에 의해 시계 방향 회전운동을 위해 힘을 받는다. 인덱스 플레이트(51)는 그 단부 면에 커플링 중 물림부(54a, 54c)(도 14 참조)를 구비하며, 이 물림부에 의해 인덱스 플레이트(51)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피벗 암(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물림부(54a, 54c)는 인덱스 플레이트(51)의 단부면 상에 정반대의 관계로 제각기 배치된다. 2개의 다른 물림부(54b, 54d)는 피벗 암(15) 상에 위치되어 있고, 또한 정반대의 관계로 놓여있다. 피벗 암(15)의 물림부는 인덱스 플레이트의 2개 물림부 사이에 제각기 맞물리기 때문에, 인덱스 플레이트(51)와 피벗 암(15) 사이의 어떤 회전 위치에서, 물림부의 정확한 맞물림의 형태로 회전 고정식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벗 암(15)은 인덱스 플레이트(51)에 걸리는 반면, 다른 회전 위치에서 2개의 요소 사이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제 2 피벗 암(15)과 달리, 이중 레버(19)는 편심 스핀들(4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추가의 물림 클러치(도 4 및 13)에 의해 제 2 피벗 암(15)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 커플링은 또한 서로 맞물리는 4개의 물림부(55a 내지 55d)를 구비한다. 위에서 기술된 물림 커플링과 비교해서, 이중 레버(19)의 물림부(55c, 55d)는 피벗 암(15)의 물림부(55a, 55b)에 대해 주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서, 모든 회전 위치로 이중 레버(19)와 피벗 암(15) 사이에 회전 고정식 연결부를 제공한다. 편심 스핀들(48) 상의 이중 레버(19)의 회전 위치는 결국 피벗 암(15)과 제어판(14)을 통해 손잡이 레버(9)에 의해 결정된다. 손잡이 레버(9)의 각각의 위치는 또한 결국 회전 스핀들(18)(도 3 및 도 4)에 대하여 편심 스핀들(48)의 대응 위치를 갖는다.
제 2 되감기 로크(6)는 하우징(1)(도 1 및 도 8) 상에 장착된 제 2 회전 스핀들(56)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 2 되감기 로크(6)의 슬리브형 록킹 레버(58)는 회전 스핀들(56)에 대하여 편심으로 정렬된 제 2 편심 스핀들(57) 상에 배치된다. 편심 스핀들(57)은 회전 스핀들(56)에 일체로 연결된다. 록킹 레버(58)와 편심 스핀들(57)은 편심 스핀들(57)의 구동부(57a)(도 8 내지 도 10)에 대해 록킹 레버(58)의 러그(58a)와 접촉함으로써 회전 스핀들(56)의 어떤 회전 위치에서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고정식 연결부는 도 9에 도시되고, 록킹 레버(58)와 편심 스핀들(57) 사이에 회전 연결부가 없는 배치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캐치 레버(59)로 표시된 슬리브가 또한 회전 스핀들(56) 상에 있다. 캐치 레버(59)의 2개 암(60, 61) 중 하나는 제어판(14)(도 3)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버트 스트랩(16)의 슬롯형 링크(17)로 안내된다. 선회 가능한 캐치(64)는 캐치 레버(59)의 다른 암(61)으로 작용할 수 있고, 록킹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운동에 대하여 캐치 레버(59)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장 스프링(62)은 캐치 레버(59)의 암(61)에 부착되며, 이 인장 스프링에 의해 암(61)은 캐치(64)에 대해 압력을 받게 된다. 캐치(64)는 또한 제어판(14)의 러그(65)에 의해 그 록킹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캐치 레버(59)는 회전의 양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손잡이 레버(9)에 의해 개시된 제어판(14)의 운동은 특히 제 2 회전 스핀들(56)의 회전운동을 유도하고, 이것에 의해 록킹 레버(58)는 회전 스핀들(56)(도 1, 도 3 및 도 8)에 편심되게 선회운동을 한다. 이러한 선회운동에 의해, 록킹 레버(58)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66)는 베이스 플레이트(7)의 제 1 암(11)의 경사면(67)(도 9 및 도 10) 상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다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66)의 압력이 작용하는 톱니모양의 표면(68)은 이미 경사면과의 제 1 접촉 시 경사면(67)에 대해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게 하기 위하여, 록킹 플레이트(66)가 인장 스프링(69)에 의해 로딩된다. 게다가, 인장 스프링(69)에 의해 생기는 회전운동은 록킹 플레이트의 러그(70)에 의해 제한을 받으며, 이 러그는 록킹 플레이트(66)가 경사면에서 들어올려질 때 록킹 레버(58)와 접촉하게 된다.
록킹 플레이트(66)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동안 가능한 최대 가속을 받고, 손잡이 레버(9)의 작동 이후, 밴드를 높은 죔력으로 신속히 고정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먼저 편심 스핀들(57)에 대하여 록킹 레버(58)의 회전 고정이 해제되어야 한다. 이것은 캐치 레버(59)를 해제하는 캐치(64)에 의해 발생된다(도 3). 캐치 레버(59) 상에 배치된 바이어스형 인장 스프링(62)은 다음에 캐치 레버(59)의 순간 회전운동을 하게 하고, 결국 제 2 회전 스핀들(56) 또는 편심 스핀들(57)의 순간 회전운동을 또한 하게 한다. 따라서, 구동부(57a)는 러그(58a)를 해제하고, 이러한 이유로 유사한 바이어스형 인장 스프링(69)은 그 후 편심 스핀들(57) 상에서 록킹 레버(58)를 선회시킨다. 시계방향으로 발생하는 2가지 회전운동, 즉 회전 스핀들(56)에 대한 편심 스핀들(57)의 회전과 편심 스핀들(57) 상에 따라서 그에 따른 록킹 레버(58)의 회전운동은 록킹 레버가 베이스 플레이트(7)의 방향으로 큰 가속을 받는 효과를 미친다. 록킹 레버는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가는데, 이것으로 록킹 플레이트(66)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밴드에 압력을 가한다. 러그(58a)의 구동부(57a) 배치와 일측부 상에 인장 스프링(69)(도 9 및 도 10)의 유효 방향, 그리고 인장 스프링(62)의 유효 방향과 타측부에 슬롯형 링크(17)(도 3)의 길이는, 록킹 플레이트가 밴드를 가볍게 누르기 직전에 캐치 레버(59)가 슬롯형 링크(17)의 일단부에 버트 스트랩(16)에 대하여 부딪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일치된다. 따라서, 회전 스핀들(56)의 회전운동은 정지되고, 록킹 레버의 러그는 편심 스핀들(57)의 구동부(57a)에 대해 더 이상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록킹 레버(58)는 그 후 편심 스핀들(57)에 대해서만 선회하고 밴드에 압력을 가한다. 이 때문에 인장 스프링(69)은 또한, 압력이 작용하는 표면(68)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사면(6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록킹 플레이트는 그 전체 압력이 작용하는 표면을 밴드와의 제 1 접촉으로부터 밴드 정면 위에 압력을 가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스트랩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실행 가능한 폐쇄 장치의 일부가 매우 개략적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폐쇄 장치는 캠(77)(도 1)에 대하여 교각형 캠(81)이 장착된 활꼴부(80)의 형태로 전달 요소를 구비하는데, 이것에 의해 교각형 캠(81)에는 롤러가 제공된다. 더욱이, 활꼴부(80)는 스트랩핑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암(11)의 회전 스핀들(82)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활꼴부(80)는 따라서 마찰 용접의 원리에 근거하여 폐쇄 장치로 레버(9)의 선회운동 중 일정한 부분을 특히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활꼴부(80)와 동일한 회전 스핀들(82) 상에 장착된 것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부(83)이며, 이 지지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암(11) 상의 압축 스프링(84)을 통해 지지된다. 지지부(83) 상에 배치된 것은 전기 모터(85)이고, 이 전기 모터에 의해 용접 슈(86)의 진동운동이 발생된다. 지지부(83)에는 베어링 지점(90)이 제공되며, 이 지점에 각이져서 바깥으로 향하는(angled-away) 단일 레버(91)가 결합된다. 상기 경우에, 모터(85)의 구동 샤프트(92)는 회전 스핀들(82)과 레버(91)용 베어링 지점(90) 사이에 위치되며, 3개의 구성요소 모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연결선(87) 상에 대체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83)는 탄성스프링 요소(93), 바람직하게는 컵-스프링 조립체를 통해 활꼴부(80)에 대하여 지지된다.
레버의 일단부(91a)는 포크와 같이 설계되고, 이들 중 2개의 암은 일단부가 개방된 슬롯(93)을 형성한다. 레버(91)의 타단부(91b)에 관절 방식으로 장착된 것은 용접 슈(86)이다. 레버(91)의 포크에 안착된 것은 편심 요소(94) 상에 배치된 비마찰 레이디얼 베어링이다.
편심 요소는 상기 경우에 모터의 샤프트(92) 상에 편심으로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원형의 주변 표면이 제공되며, 이 표면에 비마찰 베어링의 내륜이 장착되어 있다. 비마찰 베어링(94a)은 포크의 두 개 암에 대하여 그 외륜의 주변 표면(94b)과 함께 안착된다.
최종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것은 톱니모양의 교각형 플레이트(96)이며, 이 플레이트(96)에 대하여 밴드의 층이 용접작업 중에 압력을 받게 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교각형 플레이트(96)는 폐쇄 장치에서 밴드의 종방향에 대하여 실질로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축(97)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암(11)에 배치된다. 더욱이, 축(97)은 용접 슈(86)의 피벗 스핀들(86a)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움직이며, 또한 밴드(45)의 종방향에 실질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손잡이 레버(9)와 캠(77)이 교각형 캠(81)(또한 도 1 참조)에 작용할 때, 폐쇄 장치는 도 18에 도시된 삽입 위치에서 도 16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동안에, 지지부(83)는 스프링 요소(93)를 통해 활꼴부(80)에 의해 함께 이동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하여, 손잡이 레버(9)의 상기 이동은 또한 폐쇄 장치의 모터(85)에 스위치를 넣고, 이것에 의해 편심 요소(94)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포크에서 편심으로 회전하는 편심 요소(94)는 베어링 지점에 대해 원호를 따라서 레버(91)의 진동 선회운동을 하게 한다. 용접 슈는 그 때문에 또한 이중 화살표(95)로 표시된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마찰 용접에 요구되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용접 슈가 밴드와 일정하게 접촉하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요소(93)는 지지부(83)에 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레버(91)의 사실상 아치형 선회운동으로 인해 용접 슈(86)의 들어올려짐이 회피될 있다. 압축 스프링(84)은 지지부(83)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고 스프링 요소(93)에 저항한다.
따라서, 연결선(87)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움직이는 편심운동의 성분이 용접 슈(86)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선(87)에 대략 평행한 편심운동의 성분은 포크의 슬롯에 의해 보정되고 레버(91)에 어떠한 운동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전체 폐쇄 장치의 선회 가능한 배치는 밴드(45)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용접 슈(8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다른 밴드 두께에 의해 발생된 용접 슈(86)와 베이스 플레이트(7) 간의 다른 거리를 보정하는 것이 또한 상기 방식에 의해 가능하다. 폐쇄 장치의 상기 설계와 특히 고정 위치의 회전 스핀들(82)로의 전체 폐쇄 장치의 결합은 또한 전체 폐쇄 장치가 용접 단계 동안 진동운동을 하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용접 단계"란 여기서는 밴드(45)의 2개 층이 서로 용접되는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장치, 특히 플라스틱 밴드의 정숙한 마찰 용접이 가능하다는 것이 도시되었다.
물품 주위에 밴드 루프(46)를 배치 밀봉하고 밴드의 공급부에서 물품을 분리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핑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장치는 먼저 물품 상에 그 베이스 플레이트(7)로 배열되어야 한다. 더욱이, 손잡이 레버(9)는 시작 위치에 위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시작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대응한다. 손잡이 레버(9)의 상기 위치에서, 제 1 되감기 로크(5)의 록킹 플레이트(71)와 절단 장치의 교각형 커터(74)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의 도시와 달리, 상기 단계에서 밴드는 스트랩핑 장치로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제 2 및 제 3 되감기 로크(6, 29)는 적당할 때 상기 지점에서 해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되감기 로크(6)의 록킹 플레이트(66)는 베이스 플레이트(7)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위치로 배치된다. 더욱이, 제 3 되감기 로크의 캐치(44)(도 5)는 링 기어(31)와 맞물리지 않고, 인장 장치(2)는 로커(37)에서 상승되어 진다. 용접 장치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의 암(11)에서 상승되어 진다.
그 후에, 손잡이 레버(9)는 단부 위치로 선회되고, 이 위치에서 손잡이 레버는 선회 장치 위쪽 하우징(1)에 안착된다(도 1). 손잡이 레버(9)의 상기 제 1 운동은 제 1 피벗 암(13)을 통해 제어판(14)으로 전달된다. 제어판(14)은 또한 제 2 피벗 암(15)을 향해 선회한다. 이 위치에서, 제 2 피벗 암(15)의 물림부(54b, 54d)는 인덱스 플레이트(51)의 물림부(54a, 54c)와 맞물리기 때문에, 회전 운동은 인덱스 플레이트(51)로 전달되고, 그 결과 또한 회전 스핀들(18)로 전달된다. 회전 스핀들(18)의 상기 운동은 회전 스핀들(18)과 맞물리는 제 1 되감기 로크(5) 사이에 (캠(49, 50)을 구동시키는) 연결을 또한 유도한다. 따라서, 회전 스핀들(18)의 회전운동은 되감기 로크(5)로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71)는 베이스 플레이트(7)에서 상승한다. 더욱이, 손잡이 레버(9)와 함께 선회하는 캠(77)으로 인해, 절단 장치의 교각형 커터(74)가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에서 상승되고, 이것에 의해 밴드(75) 단부의 삽입을 위해 스트랩핑 장치의 밴드 가이드는 완전히 해제된다(도 1).
그 후에, 밴드는 스트랩핑 장치로 삽입되어 물품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중에, 밴드 루프(46)는 베이스 플레이트(7)의 개구부(76)를 통과하고, 밴드의 단부와 밴드 루프(46)의 추가 단면이 되감기 로크(6) 아래에 있는 반면, 밴드(75)의 확장된 단부가 되감기 로크(5) 아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장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어서, 손잡이 레버(9)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중간 위치로 다시 선회된다. 손잡이 레버(9)가 스프링 부하를 받을 때, 상기 목적을 위해 손잡이 레버를 해제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이것에 의해 손잡이 레버는 스스로 중간 위치에 있음을 가정한다. 손잡이 레버(9)의 상기 운동에 의해, 편심 스핀들(48)은 반시계 방향(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따른 회전 방향)으로 인덱스 플레이트(51)를 통해 선회되고, 이것에 의해 제 1 되감기 로크(5)는 베이스 플레이트(7)의 암(12)으로 하강되고, 록킹 플레이트(71)는 이와 베이스 플레이트(7) 사이에 밴드(75)의 시작부를 고정한다. 손잡이 레버의 상기 운동은, 손잡이 레버(9)의 회전 스핀들(10) 상에 또한 위치된 캠(77)이 절단 및 폐쇄 장치(3, 4)의 제어판(78)을 작동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폐쇄 장치의 경우에, 캠(77)은 교각형 캠(81)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교각형 커터(74)는 밴드로 하강되는 반면, 폐쇄 장치의 상태는 바뀌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더욱이, 현재 적어도 밴드(45)는 또한 인장 휠(30)과 로커(37)의 교각형 롤러(39, 40) 사이의 갭으로 또한 삽입되어야 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밴드를 인장하기 위하여, 손잡이 레버(9)의 (미도시된) 인장 버튼이 작동되고, 이것에 의해 인장 구동기(2)의 직류 모터가 걸리게 된다. 모터의 구동 운동은 유성기어 메커니즘을 통해 인장 휠(30)로 전달되는데, 이 인장 휠은 반시계 회전운동을 통해 밴드를 (미도시된) 공급 롤러의 방향(도 2 및 도 5의 화살표(43))으로 다시 잡아당긴다. 구상된 인장이 밴드에 가해질 때 인장 휠의 운동은 정지되고, 이 목적을 위해 실제 모터의 순간 전류는 전류의 설정점 값과 비교된다. 설정점 값에 도달하면, 모터는 스위치 오프 되고, 모터 전류의 설정점 값은 특정 타입의 밴드의 어떤 바람직한 설정점 밴드 장력에 상응한다.
상기 인장 단계 동안에, 되감기 로크(5)는 밴드의 단부를 고정시킨다. 더욱이, 캐치(28)는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되며, 이 위치에서 캐치는 링 기어(31)의 일방향 회전으로만 회전운동을 하게 하여, 인장 휠(30)의 회전방향에서 정반대로 선회시킨다. 링 기어(31)는 인장 휠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인장 휠은 이것에 의해 인장 방향의 정반대 회전 운동에 대해 정지하게 된다. 인장 휠은 결국 인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최대 180°만큼 선회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적어도, 캐치는 링 기어(31)의 2개 눌림부(35, 36) 중 하나와 스냅방식으로 연결된다.
일단 상기 인장 단계가 완료되면, 손잡이 레버(9)는 중간 위치(도 2 및 도 3 참조)에서 시작하여 도 11에 도시된 제 2 단부 위치로 전달된다. 개시된 제어판(14)의 운동은 결국 제어판(14)의 러그(65)가 록킹 위치로부터 캐치(64)를 선회시키고, 이것에 의해 캐치 레버(59)가 반시계 회전운동을 하지 않는 효과를 낳는다. 제 2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손잡이 레버(9)의 운동 동안에, 버트 스트랩(16)은 그 후 반시계 방향으로 캐치 레버(59)를 선회시킬 수 있다(도 12). 중간 위치로부터 제 1 단부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손잡이 레버(9)의 운동 경우와는 달리, 캐치 레버는 슬롯형 링크(17)의 단부 중 하나에 안착되고 제어판(14)의 운동으로 버트 스트랩(16)에 의해 연결된다.
캐치 레버(59)가 회전 스핀들(56)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캐치 레버(59)의 운동은 베이스 플레이트(7)의 방향에서 록킹 플레이트(66)의 하강을 유도하고, 이것에 의해 되감기 로크(6)는 밴드를 고정시킨다. 위에서 기술된 록킹 플레이트(66)의 연결로 인해, 록킹 플레이트는 밴드와의 제 1 접촉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7) 표면의 경사면(6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그 결과 밴드는 매우 신속하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제 2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손잡이 레버(9)의 운동 동안에, 제어판(14)은 피벗 암(15)과 이중 레버(19) 사이의 커플링이 맞물리는 방식으로 제 2 피벗 암(15)이 위치되는 위치에 이르게 된다. 손잡이 레버(9)가 제 2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 2 피벗 암(15)은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7에 도시된 단부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중 레버(19)를 선회시킨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중 레버(19)는 인장 단계 동안 제 2 이중 레버(25)의 레버 암(24)과 접촉하지 않는다. 손잡이 레버(9)의 추가적 운동 동안에만 2개 암(20, 21) 중 하나가 레버 암(2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캐치(28)는 링 기어(31)를 해제시킨다. 인장 휠(30)에 작용하는 제 3 되감기 로크는 결국 해제된다. 이것은 미리 가해진 밴드 장력이 인장 휠(30)과 제 2 되감기 로크(6) 사이의 밴드 단면에 의해 필수적으로 다시 시작되는 효과를 낳는다. 그러나, 2개의 되감기 로크(5, 6) 사이에 실질로 위치된 밴드 루프 상의 밴드 장력은 바뀌지 않은 채 남아있다.
제 2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손잡이 레버(9)의 추가적 선회 운동에 의해, 교각형 커터(74)는 그 후 작동되고 밴드 루프(46)를 밴드에서 분리시킨다. 이어서, 용접 장치는 마찰 용접에 의해 밴드의 양단부를 접합시킨다. 두 가지 작동이 손잡이 레버(9)에 의해 개시되는데, 이 운동이 캠(77)에서 제어 플레이트(78)로 전달되며, 이것은 또한 교각형 커터와 용접 장치를 작동시킨다. 절단 작업과 용접 작업 모두는 상기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은 밴드 단면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훨씬 더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과 변경이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되고, 기대될 수 있다.

Claims (14)

  1. 물품을 밴드로 묶기 위한 스트랩핑 장치(strapping apparatus)로서, 인장 구동기에 작동되게 연결되고 밴드를 인장시키기 위해 의도되는 인장 장치, 밴드의 두 개 층을 밀봉하기 위한 용접 장치, 및 상기 스트랩핑 장치 상에 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되감기 로크를 구비하는, 상기 스트랩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장치는 레버(91), 폐쇄 장치의 모터 샤프트에 관련하여, 편심 운동을 상기 레버(91)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 상에 작용하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 작동되게 연결되는 편심기(94), 및 상기 레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용접 슈(shoe)(86)가 제공되며, 상기 편심기의 운동이 상기 용접 슈의 진동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레버(91)가 베어링(90) 상에 선회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을 밴드로 묶기 위한 스트랩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피벗 스핀들은 상기 폐쇄 장치의 구동기가 또한 배치되는 지지부(83) 상에 장착되며, 상기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7)에 관계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회전 스핀들(82) 상에 피벗 운동을 실행시킬 목적으로,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며, 상기 장치의 손잡이 레버의 피벗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요소가 상기 스핀들(82) 상에 또한 위치되며, 상기 전달 요소(80) 및 상기 레버(91)가 서로 작동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활꼴부(80)로 구성되는 상기 전달 요소와 상기 레버(91) 사이의 작동 연결부는 상기 전달 요소와 상기 지지부(83)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8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계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구성 요소 상의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그 자체 상의 탄성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91)는 그 자체의 장방향 확장부에 굽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핀들(82), 상기 모터 샤프트의 축, 및 상기 레버(91) 베어링(90)의 피벗 스핀들이 공통 직선 연결 라인(87)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단계 동안, 상기 용접 슈(86)가 선회될 수 있게 장착되는 인접 플레이트(96) 쪽으로 상기 밴드의 층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구동기(2)는 상기 인장 방향의 폐쇄 장치(3)의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되감기 로크가 상기 폐쇄 장치(3)의 전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되감기 로크가 상기 폐쇄 장치(3)의 후측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되감기 로크(5,6,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핑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동 수단에 작동되게 연결되는 필수적인 플레이트-형상의 제어판(14)이 제공되며, 상기 작동 수단의 운동은 상기 제어판(14)의 피벗 운동을 야기하며, 상기 제어판에 결합되고 상기 되감기 로크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및 그와 반대로 전달되어질 수 있는 다수의 전달 수단에 상기 제어판의 상기 피벗 운동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되감기 로크(5,6,26) 및 또한 회전 스핀들(18,56)로서 설계되는 전달 수단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되감기 로크가 상기 회전 스핀들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상기 스핀들의 어떤 회전 위치에서 상기 되감기 로크를 작동시키고 다른 위치에서 상기 되감기 로크를 해제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은 제 2 되감기 로크가 작동될 수 있는 또 다른 회전 스핀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되감기 로크(5,6,26)가 록킹 레버(58)에 의해 편심 스핀들 상에 장착되고, 상기 편심 스핀들(48,57)은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 스핀들에 대해 편심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편심 스핀들에 대해 상기 회전 스핀들의 어떤 회전 위치에서 상대 회전 운동이 상기 록킹 레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14. 제 1항, 제 2항, 제 11항, 제 12항, 및 제 13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1 부분은 상기 폐쇄 장치에 할당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은 상기 인장 장치에 할당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 개 부분들 사이에 밴드 루프가 안내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핑 장치.
KR1019990046546A 1998-10-29 1999-10-26 스트랩핑 장치 KR100330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982189/98 1998-10-29
CH218998 1998-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313A true KR20000029313A (ko) 2000-05-25
KR100330644B1 KR100330644B1 (ko) 2002-03-29

Family

ID=422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546A KR100330644B1 (ko) 1998-10-29 1999-10-26 스트랩핑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32306B1 (ko)
EP (1) EP0999133B1 (ko)
JP (1) JP3061274B2 (ko)
KR (1) KR100330644B1 (ko)
CN (1) CN1095788C (ko)
AT (1) ATE237500T1 (ko)
AU (1) AU731489B2 (ko)
BR (1) BR9904966A (ko)
CA (1) CA2287624C (ko)
DE (1) DE59905049D1 (ko)
NZ (1) NZ500502A (ko)
TW (1) TW4678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27B1 (ko) * 2020-12-09 2021-10-22 주식회사 시노팩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0499B2 (en) * 2004-11-24 2006-09-05 Hsiu-Man Yu Chen Strap pressing device for a strap packing apparatus
US7331165B1 (en) * 2006-11-01 2008-02-19 Hsiu-Man Yu Chen Packing machine with an adjustable band-compressing stroke
CN102026872B (zh) 2008-04-23 2015-07-15 信诺国际Ip控股有限责任公司 带有传动装置的捆扎设备
CN201411059Y (zh)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带有储能器的捆扎设备
CN201411060Y (zh)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移动式捆扎设备
CN102026875B (zh) 2008-04-23 2016-01-20 信诺国际Ip控股有限责任公司 带有拉紧装置的捆扎设备
US10518914B2 (en) 2008-04-23 2019-12-31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US9254932B2 (en) 2008-04-23 2016-02-09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with an electrical drive
US8070039B1 (en) 2010-08-25 2011-12-06 APCI, Inc. Linear friction welder
CH705743A2 (de) 2011-11-14 2013-05-15 Illinois Tool Works Umreifungsvorrichtung.
US8967216B2 (en) 2011-12-01 2015-03-03 Apci, Llc Linear friction welder with helical groove
WO2014072775A1 (de) 2012-09-24 2014-05-15 Illinois Tool Works Inc. Umreifungsvorrichtung
CH708294A2 (de) 2013-05-05 2014-12-15 Orgapack Gmbh Umreifungsvorrichtung.
AT514814B1 (de) * 2013-12-19 2015-04-15 Teufelberger Gmbh Mobile Umreifungsvorrichtung
PL3105129T3 (pl) 2014-02-10 2019-07-31 Orgapack Gmbh Urządzenie opasujące
DE202015009004U1 (de) 2015-07-08 2016-06-10 LINDER GmbH Umreifungs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Packguts
DE102015111051A1 (de) 2015-07-08 2017-01-12 LINDER GmbH Umreifungs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Packguts
CH711364A2 (de) * 2015-07-30 2017-01-31 Signode Ind Group Llc Halteeinrichtung mit integrierter Ladestation für eine Umreifungsvorrichtung.
US10099313B2 (en) 2015-08-07 2018-10-16 Apci, Llc Linear friction welding system with phase change assembly
US11981464B2 (en) 2016-11-06 2024-05-14 Golden Bear LLC Strapping tensioning and sealing tool
US10745158B2 (en) 2016-11-06 2020-08-18 Golden Bear LLC Strapping tensioning and sealing tool
US10414526B2 (en) * 2017-01-25 2019-09-17 Hsiu-Man Yu Chen Belt pressing structure of packing tool
USD864688S1 (en) 2017-03-28 2019-10-29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WO2019165142A1 (en) 2018-02-21 2019-08-29 Golden Bear LLC Strapping tool
US10737353B2 (en) 2018-09-19 2020-08-11 Apci, Llc Torque controlled linear friction welder system
CN109398940A (zh) * 2018-11-07 2019-03-01 顺丰科技有限公司 扎带锁紧机构、电子扎带、控制系统及使用方法
IT201900006286A1 (it) * 2019-04-24 2020-10-24 Itatools S R L Reggiatrice
US11560247B2 (en) 2020-05-27 2023-01-24 Golden Bear LLC Strapp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038A (en) * 1958-05-09 1961-11-01 Seal Less Strapping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ensioning flexible package binding and like material
US3411551A (en) * 1965-03-17 1968-11-19 Interlake Steel Corp Manual strapping tool
CH465844A (fr) * 1966-11-08 1968-11-30 Forsch Anstalt Fur Mechanik Procédé de soudure de deux pièces minces en matière plastique par frottement des pièces l'une contre l'autre
US3442733A (en) * 1965-08-13 1969-05-06 Signode Corp Combination strap tensioning and sealing tool
US3799835A (en) * 1972-07-24 1974-03-26 Fmc Corp Anti-crease friction weld strapping tool
CH586135A5 (ko) * 1974-06-24 1977-03-31 Strapex Ag
US4313779A (en) * 1979-07-30 1982-02-02 Signode Corporation All electric friction fusion strapping tool
ES2022492B3 (es) * 1987-03-20 1991-12-01 Strapex Ag Aparato tensor para una cinta de embalaje
ATE95475T1 (de) * 1988-09-08 1993-10-15 Strapex Ag Spann- und verschliessgeraet fuer ein umreifungsband aus kunststoff.
CH679571A5 (ko) * 1989-08-15 1992-03-13 Konrad Feinmechanik Ag A
DE9316072U1 (de) * 1993-10-21 1994-01-05 Cyklop Gmbh Vorrichtung zum Spannen und Verschließen von Umreifungsbändern
EP0664256B1 (de) * 1994-01-24 1997-03-05 Orgapack Ag Spann- und Verschliessvorrichtung zum Umreifen eines Gegenstandes mit einem Kunststoffb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27B1 (ko) * 2020-12-09 2021-10-22 주식회사 시노팩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61274B2 (ja) 2000-07-10
AU731489B2 (en) 2001-03-29
JP2000128115A (ja) 2000-05-09
CA2287624C (en) 2006-01-24
EP0999133B1 (de) 2003-04-16
ATE237500T1 (de) 2003-05-15
NZ500502A (en) 2000-10-27
EP0999133A1 (de) 2000-05-10
AU5605999A (en) 2000-05-04
CN1253098A (zh) 2000-05-17
TW467843B (en) 2001-12-11
US6332306B1 (en) 2001-12-25
CN1095788C (zh) 2002-12-11
DE59905049D1 (de) 2003-05-22
KR100330644B1 (ko) 2002-03-29
CA2287624A1 (en) 2000-04-29
BR9904966A (pt) 200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644B1 (ko) 스트랩핑 장치
KR100340122B1 (ko) 스트랩핑 장치
KR100340259B1 (ko) 스트랩핑 장치
CA1046396A (en) Automatic strapping machine
JP6412003B2 (ja) 旋回可能なロッカーを有する結束装置
JP4402376B2 (ja) ストラップ締め付け工具
KR20190034662A (ko) 스트래핑 장치
CZ106796A3 (en) Device for stretching and connecting binding bands
JPS6013893B2 (ja) 結束装置
US4001064A (en) Manual strapping tool
MXPA99009905A (en) Fleja device
MXPA99009903A (es) Aparato flejador
MXPA99009904A (es) Aparato flejador
CA2543952C (en) Dual motor stra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