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927B1 -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 Google Patents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927B1
KR102315927B1 KR1020200171299A KR20200171299A KR102315927B1 KR 102315927 B1 KR102315927 B1 KR 102315927B1 KR 1020200171299 A KR1020200171299 A KR 1020200171299A KR 20200171299 A KR20200171299 A KR 20200171299A KR 102315927 B1 KR102315927 B1 KR 10231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inge
housing
tension
structur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철
김형조
이명호
민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노팩
장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노팩, 장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노팩
Priority to KR102020017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면하우징이 전면하우징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후면하우징과 전면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1)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거치요소와, 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요소를 포함하는 고정커버부; 상기 고정커버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제1힌지부가 형성되며, 힌지 회동을 하는 베이스부; 및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전면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면서 상기 베이스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AUTO PACKAGING TOOL WITH DIFFERENT ROTARY STRUCTURE ACCORDING TO OPERATING OF LEVER}
본 발명은 자동 포장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 등을 포장할 때 사용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의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포장용 공구는 휴대 가능한 툴(tool)의 형태로 플라스틱 밴드를 통해 상자 등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포장은 먼저 플라스틱 밴드로 루프가 만들어지도록 물품을 감싼 후, 자동 포장용 공구를 통해 일정한 텐션이 발생될 때까지 플라스틱 밴드를 당기는 과정을 갖는다. 그 다음, 2겹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플라스틱 밴드를 접합하는 후속 과정을 통해 물품 등에 일정한 텐션을 갖는 루프를 생성한다.
종래 자동 포장용 공구는 대개 비슷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는 하우징과 그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 등의 구성과 그 배열 구조 등에 기인한다. 종래 하우징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 부분에 손잡이가 위치한다. 그리고, 공구의 전방에는 텐션닝과 용접을 위한 부품들이 위치하였다. 그러나, 종래 자동 포장용 공구는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고장 등에 대처하기 어렵고, 구매와 유지 등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두 경쟁업체가 개발한 자동 포장용 공구와 전혀 다른 새로운 컨셉의 자동 포장용 공구를 출시하기 위해 새로운 작동 방식과 구조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5003호 (2016.11.04. 등록)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3247호 (2016.04.11. 등록) 텐셔너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34662호 (2019.04.02. 공개) 스트래핑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자동 포장용 공구와 전혀 다른 컨셉의 형상과 작동 구조를 갖는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동 포장용 공구 대한 종래 설계를 새롭게 하여, 하우징부 내부에 대한 공간 활용 등을 새롭게 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부 뿐만 아니라, 레버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고자 한다.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텐션유닛과 용접어셈블리의 배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하고자 한다. 스트래핑을 위해 자동 포장용 공구에 플라스틱 밴드를 삽입할 때,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동 포장용 공구의 제품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제품 원가를 절감하여 경영상 이익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 포장용 공구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면하우징이 전면하우징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후면하우징과 전면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1)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거치요소와, 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요소를 포함하는 고정커버부; 상기 고정커버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제1힌지부가 형성되며, 힌지 회동을 하는 베이스부; 및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전면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면서 상기 베이스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부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제1힌지부의 제1힌지축방향과 상기 제2힌지부의 제2힌지축방향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서 상기 후면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레작용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에는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부는 일단이 상기 레버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힌지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와 결합되는 링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힌지부에 형성되는 제3힌지축방향과,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에 형성되는 핀축방향은 서로 수직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에 미리 설정되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텐션유닛;이 더 배치되며, 상기 텐션유닛을 구성하는 텐션휠의 휠축방향은 상기 제2힌지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휠은 상기 전면하우징의 하측 개구를 통해 일부 노출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텐션휠의 외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곡면홈이 형성되는 I형보강빔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텐션휠에 대향하는 텐션용널링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텐션용널링플레이트는,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는 종래 자동 포장용 공구와 전혀 다른 컨셉의 형상과 작동 구조를 갖는다. 즉, 자동 포장용 공구 대한 종래 설계를 새롭게 하여, 하우징부 내부에 대한 공간 활용 등을 새롭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는 그 사이에 고정커버부가 개재되어 조립되는 바, 텐션유닛과 용접어셈블리는 고정커버부로 인해 하우징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부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는 텐션휠의 휠축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힌지 회동 하는 바, 사용자는 자동 포장용 공구의 전면하우징에서 플라스틱 밴드를 보다 보다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 뿐만 아니라, 레버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여 새로운 형태의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 포장용 공구의 제품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제품 원가를 절감하여 경영상 이익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포장용 공구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의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레버부의 당김 동작에 따라 베이스부가 회동 동작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의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레버부의 당김 동작에 따라 베이스부가 회동 동작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의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는 하우징부(100), 고정커버부(200), 베이스부(300), 레버부(400), 텐션유닛(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포장용 공구는 플라스틱 밴드를 미리 설정되는 인장력으로 당긴 후, 2겹으로 겹쳐진 부분을 가압한 상태에서 국부적으로 제공되는 마찰열을 통해 용접하는 과정으로 스트랩핑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플라스틱 밴드는 PP 또는 PET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부(100)은 상측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되며, 후면하우징(120)이 전면하우징(110)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하우징부(100)는 전면하우징(110)과 후면하우징(120)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하측에 자동 포장용 공구의 각 종 부품(유닛, 구성요소)가 수용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백(bag)과 같은 형상으로 지면에 직립(연직 방향)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의 내부공간은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하우징(110)의 하측에는 베이스부(300)가 소정 각도(a) 범위 이내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면하우징(110)에는 텐션휠(5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측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하우징(110)의 손잡이부(130) 내측면에는 레버부(400)의 당김 동작을 제한하는 제한돌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면하우징(120)은 전면하우징(110)과 비대칭적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면하우징(120)은 전면하우징(110)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전면하우징(110) 하측에 베이스부(300)가 배치되는 구조에 기인한다. 또한, 전면하우징(110)과 후면하우징(120)이 결합될 때, 바닥 부분에는 그 사이에 고정커버부(200)가 개재된다. 또한, 후면하우징(120)의 바닥 부분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에는 제1결합홈(121)과 제2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121)은 베이스부(300)의 거치요소(21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제2결합홈(122)은 지레작용돌출요소(31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고정커버부(200)는 후면하우징(120)과 전면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일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커버부(200)는 1)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거치요소(210)와, 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요소(220)를 포함한다.
고정커버부(200)는 하우징부(100) 내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용접어셈블리의 일부를 보호하고, 용접어셈블리의 구성요소에 대한 결합 관계를 유지하며, 용접어셈블리의 배열 구조를 고정시키는 용도를 갖는다. 거치요소(210)는 수용홈을 이용하여 용접어셈블리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거치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요소(210)는 후방으로 돌출된다. 나사산요소(220)는 용접어셈블리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치합되도록 한다. 나사산요소(220)는 고정된 위치를 갖는 바, 치합되는 용접어셈블리의 일 구성요소가 회동되면, 그 구성요소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거치요소(210)와 나사산요소(220)는 고정커버부(200)의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고정커버부(200)는 텐션유닛(500)이 거치되는 원형거치요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고정커버부(200)의 하단과 결합되어 제1힌지부(h1)가 형성되며, 힌지 회동을 한다. 제1힌지부(h1)에는 힌지핀이 삽입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부(300)는 제1힌지부(h1)에서 후면하우징(1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레작용돌출요소(310)를 포함한다. 또한, 지레작용돌출요소(310)에는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00)에는 텐션휠(510)의 외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곡면홈(321)이 형성되는 I형보강빔(320)이 배치될 수 있다. I형보강빔(320)은 베이스부(300)의 일 측면에서 베이스부(300)에 압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텐션휠(510)은 원통형으로 외주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부는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가할 때, 플라스틱 밴드 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널링부는 텐션휠(510)의 외주면에서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텐션휠(510)의 외주면에는 널링부의 양측으로 민 무늬의 논(non)널링부가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부(300)가 전면하우징(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논널링부는 곡면홈(321)과 밀착 결합된다. 레버부(400)의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베이스부(300)와 전면하우징(110) 사이의 각도(a)는 증가한다.
또한, 베이스부(300)에는 텐션휠(510)에 대향하는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가 배치되며,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는,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는 널링부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다. 플라스틱 밴드는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와 널링부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부(300)에는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의 하측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며, 텐션용널링플레이트(330)의 높이는 플라스틱 밴드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레버부(400)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전면하우징(110)과 베이스부(300) 사이의 각도(a)가 증가하면서 베이스부(300)가 회동되도록 한다. 레버부(400)는 손잡이부(130) 하측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그립하여 자동 포장용 공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부(40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선회 가능하다. 또한, 레버부(400)는 타측 단부에 제3힌지부(h3)가 형성된다.
제1힌지부(h1)의 제1힌지축방향(j1)과 제2힌지부(h2)의 제2힌지축방향(j2)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축방향(j1)과 제2힌지축방향(j2)은 서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힌지축방향(j1)은 제1힌지부(h1)에 삽입되는 힌지핀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2힌지축방향(j2)은 제2힌지부(h2)에 삽입되는 힌지핀의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레버부(400)의 일측에는 당김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당김버튼부는 사용자의 검지에 의해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레버부(400)는 사용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의해 당김 동작이 가능하다. 당김버튼부는 당김 동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신호는 텐션유닛(500) 등의 작동을 위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레버부(400)의 타측 단부에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은 당김 상태에 있는 레버부(4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레버부(400)는 제한돌부(131)에 의해 당김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레버부(400)는 일단이 레버부(4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힌지부(h3)와 결합되고, 타단이 지레작용돌출요소(310)와 결합되는 링크바(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바(410)는 직선 막대 형상으로 하우징부(100)의 높이(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레작용돌출요소(310)에는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바(410)와 베이스부(300)는 링크바(410)의 타단 핀홀과 지레작용돌출요소(310)의 장방형홀(311) 사이를 관통하는 고정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바(410)에 당김 동작이 가해질 때, 베이스부(300)는 장방형홀(311)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당김 거리 이후 힌지 회동을 시작한다. 또한, 제3힌지부(h3)에 형성되는 제3힌지축방향(j3)과, 지레작용돌출요소(310)에 형성되는 핀축방향(j4)은 서로 수직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는 텐션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00) 내부에는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에 미리 설정되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텐션유닛(500)이 더 배치되며, 텐션유닛(500)을 구성하는 텐션휠(510)의 휠축방향(j5)은 제2힌지축방향(j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텐션유닛(500)은 텐션모터(520), 텐션모터(520)의 구동축과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텐션기어요소(530) 및 텐션기어요소(530)에 의해 회동하는 텐션휠(5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모터(520)는 텐션휠(510)의 상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는 하우징부(100)의 내부공간에 대한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텐션유닛(500)은 높이(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레버부(400)에 당김 동작을 제공하면 베이스부(300)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동을 하면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사용자는 그 사이에 플라스틱 밴드를 끼워 배치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당김 동작을 해제하면, 레버부(400)에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물품 등의 표면에 자동 포장용 공구를 위치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베이스부(300)가 가압되도록 한다. 그 결과, 베이스부(300)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역방향 힌지 회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텐션휠(510)과 곡면홈(321)이 서로 밀착 결합된다. 여기서, 당김버튼부 등의 동작을 통해 텐션유닛(500)을 작동시켜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하우징부 200: 고정커버부
300: 베이스부 400: 레버부
500: 텐션유닛

110: 전면하우징 120: 후면하우징
121: 제1결합홈 122: 제2결합홈
130: 손잡이부 131: 제한돌부
210: 거치요소 220: 나사산요소
230: 원형거치요소

310: 지레작용돌출요소 311: 장방형홀
320: I형보강빔 321: 곡면홈
330: 텐션용널링플레이트 410: 링크바
510: 텐션휠 520: 텐션모터
530: 텐션기어요소
h1: 제1힌지부 h2: 제2힌지부
h3: 제3힌지부 j1: 제1힌지축방향
i2: 제2힌지축방향 j1: 제3힌지축방향
j4: 핀축방향 j5: 휠축방향

Claims (8)

  1.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면하우징이 전면하우징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후면하우징과 전면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1)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거치요소와, 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요소를 포함하는 고정커버부;
    상기 고정커버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제1힌지부가 형성되며, 힌지 회동을 하는 베이스부; 및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전면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면서 상기 베이스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서 상기 후면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레작용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에는 높이 방향으로 장방형홀이 형성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제1힌지부의 제1힌지축방향과 상기 제2힌지부의 제2힌지축방향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일단이 상기 레버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힌지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와 결합되는 링크바;를 더 포함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부에 형성되는 제3힌지축방향과, 상기 지레작용돌출요소에 형성되는 핀축방향은 서로 수직 관계에 있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에 미리 설정되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텐션유닛;이 더 배치되며,
    상기 텐션유닛을 구성하는 텐션휠의 휠축방향은 상기 제2힌지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휠은 상기 전면하우징의 하측 개구를 통해 일부 노출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텐션휠의 외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곡면홈이 형성되는 I형보강빔이 배치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텐션휠에 대향하는 텐션용널링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텐션용널링플레이트는,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0200171299A 2020-12-09 2020-12-09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31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9A KR102315927B1 (ko) 2020-12-09 2020-12-09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9A KR102315927B1 (ko) 2020-12-09 2020-12-09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927B1 true KR102315927B1 (ko) 2021-10-22

Family

ID=7827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99A KR102315927B1 (ko) 2020-12-09 2020-12-09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14B1 (ko) * 2023-06-27 2023-12-29 장근철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337A (ko) * 1998-10-29 2000-05-25 빈테르 마르틴 스트랩핑 장치
KR20000029313A (ko) * 1998-10-29 2000-05-25 빈테르 마르틴 스트랩핑 장치
KR101613247B1 (ko) 2008-04-23 2016-04-18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텐셔너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1675003B1 (ko)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20190034662A (ko) 2016-09-18 2019-04-02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스트래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337A (ko) * 1998-10-29 2000-05-25 빈테르 마르틴 스트랩핑 장치
KR20000029313A (ko) * 1998-10-29 2000-05-25 빈테르 마르틴 스트랩핑 장치
KR101613247B1 (ko) 2008-04-23 2016-04-18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텐셔너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1675003B1 (ko)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20190034662A (ko) 2016-09-18 2019-04-02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스트래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14B1 (ko) * 2023-06-27 2023-12-29 장근철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927B1 (ko)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JP5356365B2 (ja) ヒンジ装置
WO2019124516A1 (ja) 自転車梱包具
JP6638569B2 (ja) 園芸用結束機
US20040251153A1 (en) Display pack having tool try-on structure
JP2005508743A (ja) 流体を放出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ためのハウジングならびにその内部に配置される貯蔵ホルダさらには流体リザーバから流体を所定量だけポンピングするための構成
FR2813864A1 (fr)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selective de deux produits
EP1251966A2 (fr)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a organe de prehension
FR2685744A1 (fr) Assemblage d'un embrayage et d'un volant avec amortisseur.
FR2783177A1 (fr) Machine automatique a melanger la peinture
FR2458710A1 (fr) Disque d'embrayage a friction
FR2881238A1 (fr) Perfectionnements aux peripheriques d'entree pour ordinateur ou similaire
FR2886567A1 (fr) Timon anti-vibration pour compacteur vibrant
FR2591998A1 (fr) Emballage perfectionne pour livres, disques et objets analogues
FR2909048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 double sens pour mecanisme d'articula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siege comprenant un tel ensemble d'articulation.
EP1556618B1 (fr) Distributeur de fluide sous pression
FR2651975A1 (fr) Boite poudrier.
FR2628708A1 (fr) Emballage perfectionne permettant le controle d'un appareil tel que notamment recepteur de television
EP0627721B1 (fr) Dispositif de présentation en vente d'une brosse rotative
FR2705311A3 (fr)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e freinage dans des conditions de stationnement de véhicules à moteur équipés du changement automatique de vitesse.
WO2002102680A1 (fr)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P0688925A1 (fr) Verrou rotatif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és d'assemblage
FR2779330A1 (fr) Poudrier compact capable d'exposer l'interieur de celui-ci
US5977461A (en) Transmission structure for decorative objects
JP3030015U (ja) ライター包装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