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14B1 -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 Google Patents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14B1
KR102619914B1 KR1020230082532A KR20230082532A KR102619914B1 KR 102619914 B1 KR102619914 B1 KR 102619914B1 KR 1020230082532 A KR1020230082532 A KR 1020230082532A KR 20230082532 A KR20230082532 A KR 20230082532A KR 102619914 B1 KR102619914 B1 KR 10261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friction
link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철
Original Assignee
장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철 filed Critical 장근철
Priority to KR102023008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65B13/322Friction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마찰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통해 밴드에 마찰열을 제공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웰딩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들어올려 밴드 압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Mounting Ease}
본 발명은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웰딩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휴대 가능한 툴(tool)의 형태로 플라스틱 밴드를 통해 상자 등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스트래핑은 먼저 플라스틱 재질의 밴드로 루프가 만들어지도록 물품을 감싼 후,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때,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일정 거리만큼 리프팅되어 플라스틱 밴드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플라스틱 밴드가 장착되면 일정한 텐션이 발생될 때까지 밴드를 당기고, 밴드의 겹친 부분를 용접하여 일정한 텐션을 갖는 루프를 생성한다.
종래의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사용자가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한 손으로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중 하강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715호 에너지 저장 수단을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2086호 스트래핑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5003호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밴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웰딩모듈이 리프팅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웰딩모듈 자체로 밴드를 압착 및 접합(용접)할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웰딩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웰딩모듈의 밴드 압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웰딩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웰딩모듈의 마찰 동작 시,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웰딩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마찰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통해 밴드에 마찰열을 제공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웰딩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들어올려 밴드 압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마찰제공유닛은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베벨기어로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모터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벨기어와 치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세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제공유닛은 일단이 상기 기어세트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편심원통요소를 포함하는 편심축; 상기 편심축에 따른 캠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며,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마찰블록부; 및 상기 마찰블록부가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딩모듈은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가압하여 밴드가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착유닛은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웜요소로 형성되는 제2샤프트; 일 측면에 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웜요소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웜기어부; 및 상기 돌출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마찰제공유닛이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2샤프트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축과 회동하는 위치결정링크; 및 일단의 위치가 상기 위치결정링크에 의해 결정되며, 타단이 상기 마찰제공유닛과 결합되는 커넥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유닛은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과 결합되는 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레버부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마찰제공유닛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부를 걸림쇠부를 통해 당겨진 상태로 고정하는 레버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사용자가 밴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웰딩모듈이 리프팅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웰딩모듈 자체로 밴드를 압착 및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웰딩모듈의 밴드 압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웰딩모듈의 마찰 동작 시,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용이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찰제공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압착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압착유닛에 의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는 마찰제공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보조축에 결합되는 링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레버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레버부와 레버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측면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용이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웰딩모듈(20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웰딩모듈(200), 레버유닛(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웰딩모듈(200)은 마찰제공유닛(230)을 통해 이중으로 겹친 밴드에 마찰열을 제공하여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한편, 레버유닛(300)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320)를 통해 마찰제공유닛(230)을 들어올려 밴드 압착 상태를 해제한다.
일 실시예에서, 웰딩모듈(200)은 제어부(미도시), 기어하우징(210), 모터부(220), 마찰제공유닛(230), 압착유닛(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웰딩모듈(200)은 기어하우징(210)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하우징(210)은 모터부(220)와 연결되는 기어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모터부(220)의 회전 방향, 웰딩 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딩 강도는 모터부(220)에 의해 마찰제공유닛(230)이 구동되는 시간에 따라 단계별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터부(220)는 기어하우징(21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모터부(220)는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모터부(220)는 회전 방향에 따라 마찰제공유닛(230) 또는 압착유닛(24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부(220)에는 마찰제공유닛(230)과 연결되는 제1샤프트(231) 및 압착유닛(240)과 연결되는 제2샤프트(241)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마찰제공유닛(230)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마찰제공유닛(230)은 모터부(220)에 의해 고속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여 밴드에 마찰열을 발생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찰제공유닛(230)은 제1샤프트(231), 기어세트부(232), 편심축(233), 마찰캠링크(234), 마찰블록부(235), 마찰플레이트부(236), 슬라이드가이드부(2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샤프트(231)는 일단이 모터부(220)와 결합되며, 타단이 베벨기어(2311)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세트부(232)는 모터부(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베벨기어(2311)와 치합되어 회동하며, 마찰제공유닛(2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세트부(232)는 기어하우징(2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샤프트(231)와 기어세트부(232)는 회동 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어세트부(232)는 제1샤프트(231)의 베벨기어(2311)와 치합되는 더블기어(2321)와, 더블기어(232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스퍼기어(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심축(233)은 일단이 기어세트부(232)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편심원통요소(2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심축(233)은 마찰캠링크(234), 슬라이드가이드부(237) 등과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마찰캠링크(234)는 일단이 편심원통요소(2331)와 축 결합되어 회동되며, 타단이 마찰블록부(235)와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찰캠링크(234)는 원통베어링을 통해 편심원통요소(2331)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캠링크(234)는 편심축(233)에 의해 편심 회전 운동하며, 마찰블록부(235)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블록부(235)는 편심축(233)에 따른 캠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을 하며, 그 양 측면에는 가이드돌기(23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2351)는 마찰블록부(2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돌기(2351)에는 마찰블록부(235)가 왕복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볼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찰블록부(235)의 하면에는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일정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찰블록부(235)의 하단에는 일 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352)의 상면은 슬라이드가이드부(237)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돌출부(2352)는 마찰블록부(235)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 효율을 향상시키며,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플레이트부(236)의 상면에는 밴드가 안착된다. 그리고, 마찰블록부(235)가 하강하면, 밴드를 압착시킬 수 있다. 마찰플레이트부(236)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마찰블록부(235)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찰플레이트부(236)와 베이스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되어, 마찰블록부(235)의 운동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플레이트부(236)의 하면은 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마찰플레이트부(236)와 결합되는 결합면이 마찰플레이트부(236)의 하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가이드부(237)는 마찰블록부(235)와 결합되며, 마찰블록부(235)가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내측면에 가이드돌기(2351)와 대응되는 가이드홈(237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가이드부(237)는 일단이 편심축(233)과 결합되며, 편심축(233)을 중심으로 하는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가이드부(237)의 상단은 압착유닛(240)과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가이드부(237)는 압착유닛(24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리프팅되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위치는 압착유닛(240)에 의해 마찰블록부(235)가 밴드를 압착하는 위치이며, 제2위치는 슬라이드가이드부(237)가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각도만큼 이격되어 밴드의 압착이 해제되는 위치이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가이드부(237)의 일 측면에는 토션스프링(237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드가이드부(237)에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하여 마찰블록부(235)에 의한 밴드 압착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2위치에 위치한 슬라이드가이드부(237)를 제1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압착유닛(24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압착유닛(240)은 마찰제공유닛(230)을 가압하여 밴드가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착유닛(240)은 제2샤프트(241), 웜기어부(242), 보조축(243), 제1링크부(2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착유닛(240)은 마찰제공유닛(230)이 구동되기 전에 모터부(220)에 의해 작동되며, 가압이 완료된 후에 비로소 마찰제공유닛(230)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샤프트(241)는 모터부(220)와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웜요소(2411)로 형성될 수 있다. 웜기어부(242)는 일 측면에 돌출핀(2421)이 형성되며, 모터부(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웜요소(2411)와 치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 제1링크부(244)는 돌출핀(2421)에 의해 회동되어, 마찰제공유닛(230)이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링크부(244)는 위치결정링크(2441), 커넥팅로드부(24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링크(2441)는 제1샤프트(231)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축(243)에 결합되어 축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보조축(243)은 기어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결정링크(2441)의 일단은 웜기어부(242) 측으로 돌출되어, 웜기어부(242)와 함께 회전하는 돌출핀(2421)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위치결정링크(2441)의 타단은 분기되어, 커넥팅로드부(2442)와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분기된 타단 중 어느 하나는 일부가 레버유닛(300) 측으로 연장되어 레버유닛(300)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팅로드부(2442)는 일단의 위치가 위치결정링크(2441)에 의해 결정되며, 타단이 마찰제공유닛(23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팅로드부(2442)의 길이는 각 단부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로드부(2442)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커넥팅로드부(2442)의 길이가 원래 길이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압착유닛(240)에 의해 마찰제공유닛(230)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제2위치에 있는 마찰제공유닛(230) 및 압착유닛(24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1위치에 있는 마찰제공유닛(230) 및 압착유닛(24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위치결정링크(2441)의 일단은 웜기어부(242)를 따라 회전하는 돌출핀(2421)에 의해 가압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위치결정링크(2441)의 타단 및 커넥팅로드부(2442)의 일단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마찰제공유닛(230)은 하방으로 가압되어 밴드를 압착한다.
도 5는 도 3의 보조축(243)에 결합되는 링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축(243)에는 위치결정링크(2441), 누름부재(2431), 듀얼암링크(333)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듀얼암링크(333)는 보조축(243)의 회동과 별개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결정링크(2441)와 누름부재(2431)에 대한 각 축홀의 단면은 보조축(243)의 횡단면과 합동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치결정링크(2441)가 회동하면, 보조축(243) 및 누름부재(2431)도 동시에 회동될 수 있다.
위치결정링크(2441) 및 보조축(243)이 회동하면서, 밴드 압착 과정이 완료되면, 누름부재(2431)에 의해 마찰제공유닛(230)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부재(2431)는 일 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누름부재(2431)의 일 측에는 모터부(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작버튼(2432)이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재(2431)는 회동하면서 동작버튼(2432)과 접촉하게 되며, 마찰제공유닛(230)이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누름부재(2431)는 위치결정링크(2441)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레버유닛(30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유닛(300)은 레버부(320), 제2링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부(320)는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310)과 결합되는 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부(320)는 기어하우징(210)과 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링크부(330)는 레버부(320)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레버부(320)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하여, 마찰제공유닛(230)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링크부(330)는 연장링크(331), 전환링크(332), 듀얼암링크(3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링크(331)는 일단이 레버부(320)와 결합되며, 웰딩모듈(200)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링크(331)의 타단은 전환링크(332)를 가압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320)의 타단이 사용자에 의해 상측으로 리프팅되면, 연장링크(331)는 회동하면서 연장링크(331)의 타단이 전환링크(332)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전환링크(332)는 기어하우징(210)의 일 측면과 결합되며, 레버축(310)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환링크(332)의 일단은 연장링크(331)와 접촉되며, 전환링크(332)의 타단은 듀얼암링크(333)와 접촉될 수 있다. 전환링크(332)는 연장링크(331)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을 그 방향을 전환하여 듀얼암링크(333)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환링크(332)는 일단이 연장링크(331)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동시에 타단이 듀얼암링크(333)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듀얼암링크(333)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듀얼암링크(333)는 보조축(243)에 결합되며, 보조축(24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듀얼암링크(333)는 제1암(3331), 제2암(3332), 보조스프링(3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암(3331)의 단부는 전환링크(332)와 접촉되며, 제2암(3332)의 단부는 위치결정링크(2441)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듀얼암링크(333)는 위치결정링크(2441)를 가압하여 밴드 압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암(3331)이 전환링크(332)에 의해 리프팅되면, 제2암(3332) 또한 상승하면서 위치결정링크(244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위치결정링크(2441)의 타단 및 커넥팅로드부(2442)의 일단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마찰제공유닛(230)이 리프팅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암(3331)의 일 측면에는 보조스프링(333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전환링크(332)에 의해 상승한 듀얼암링크(333)를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레버부(320)를 당겨진 상태로 고정하는 레버고정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부(320)의 일단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레버부(320)와 레버고정유닛(340)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버고정유닛(340)은 걸림쇠부(341), 고정해제버튼(3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고정유닛(340)은 레버부(3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그립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쇠부(341)는 걸림홈(321)에 결합되어 레버부(3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쇠부(341)는 레버부(320)의 일단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걸림홈(321)에 삽입되어 레버부(3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웰딩모듈(200)에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 중에 웰딩모듈(200)이 스프링의 탄성력 및 웰딩모듈(20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레버부(320)를 계속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이는 밴드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레버부(320)는 고정해제버튼(342)을 통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해제버튼(342)은 일단이 자동 스트래핑 장치의 그립부(미도시)에 축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해제버튼(342)은 타단이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면, 걸림쇠부(341)의 일단을 가압하여 걸림쇠부(341)가 축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쇠부(341)는 회전하면서 걸림홈(321)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레버부(320)의 고정도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웰딩모듈
210: 기어하우징 220: 모터부
230: 마찰제공유닛 231: 제1샤프트
2311: 베벨기어 232: 기어세트부
2321: 더블기어 2322: 스퍼기어
233: 편심축 2331: 편심원통요소
234: 마찰캠링크
235: 마찰블록부 2351: 가이드돌기
2352: 돌출부
236: 마찰플레이트부 237: 슬라이드가이드부
2371: 가이드홈 2372: 토션스프링
240: 압착유닛
241: 제2샤프트 2411: 웜요소
242: 웜기어부 2421: 돌출핀
243: 보조축 2431: 누름부재
2432: 동작버튼
244: 제1링크부 2441: 위치결정링크
2442: 커넥팅로드부
300: 레버유닛 310: 레버축
320: 레버부 321: 걸림홈
330: 제2링크부 331: 연장링크
332: 전환링크
333: 듀얼암링크 3331: 제1암
3332: 제2암 3333: 보조스프링
340: 레버고정유닛
341: 걸림쇠부 342: 고정해제버튼

Claims (7)

  1.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마찰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통해 밴드에 마찰열을 제공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웰딩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들어올려 밴드 압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웰딩모듈은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가압하여 밴드가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은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베벨기어로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모터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벨기어와 치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세트부;
    상기 압착유닛은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웜요소로 형성되는 제2샤프트;
    일 측면에 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웜요소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웜기어부; 및
    상기 돌출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마찰제공유닛이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2샤프트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축과 회동하는 위치결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링크의 일단은 상기 웜기어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핀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제공유닛은
    일단이 상기 기어세트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편심원통요소를 포함하는 편심축;
    상기 편심축에 따른 캠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며,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마찰블록부; 및
    상기 마찰블록부가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일단의 위치가 상기 위치결정링크에 의해 결정되며, 타단이 상기 마찰제공유닛과 결합되는 커넥팅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과 결합되는 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레버부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마찰제공유닛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부를 걸림쇠부를 통해 당겨진 상태로 고정하는 레버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KR1020230082532A 2023-06-27 2023-06-27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KR10261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532A KR102619914B1 (ko) 2023-06-27 2023-06-27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532A KR102619914B1 (ko) 2023-06-27 2023-06-27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14B1 true KR102619914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532A KR102619914B1 (ko) 2023-06-27 2023-06-27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5B1 (ko) 2008-04-23 2016-09-02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에너지 저장 수단을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1675003B1 (ko)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2302086B1 (ko) 2016-09-18 2021-09-1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스트래핑 장치
KR102315941B1 (ko)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KR102315927B1 (ko) * 2020-12-09 2021-10-22 주식회사 시노팩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413367B1 (ko) * 2021-10-05 2022-06-27 장근철 무게 배분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5B1 (ko) 2008-04-23 2016-09-02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에너지 저장 수단을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1675003B1 (ko)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
KR102302086B1 (ko) 2016-09-18 2021-09-1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스트래핑 장치
KR102315927B1 (ko) * 2020-12-09 2021-10-22 주식회사 시노팩 레버 작동에 따른 회동 구조를 달리하는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315941B1 (ko)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KR102413367B1 (ko) * 2021-10-05 2022-06-27 장근철 무게 배분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8678B (zh) 惯性驱动锁定装置
US7556135B2 (en) Parking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JP4756577B2 (ja) 緩衝装置
KR102619914B1 (ko)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
JPH0243647Y2 (ko)
KR102290127B1 (ko) 휴대용 전기 패킹 머신
CN115836011A (zh) 捆扎工具
CN102196739B (zh) 用于机动车的吸震座椅安全带搭扣
US6935216B1 (en) Belt tensioning device
US20060273090A1 (en) Lid device
MXPA03007559A (es) Tensor para cadena.
KR102315941B1 (ko)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KR102413367B1 (ko) 무게 배분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JP5035269B2 (ja) 位置決め組付装置
KR102541276B1 (ko) 용접 장치
KR100927129B1 (ko) 충격 감쇠 장치를 구비한 리미트 스위치
CN107774810B (zh) 一种旋转铆接装置
JP3118643U (ja) 組付け装置
JP4221141B2 (ja) 引戸錠用のロック解除駆動機構
CN113511358A (zh) 一种熔接装置
KR102619916B1 (ko)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CN219904842U (zh) 一种带手柄手持打包机的熔接装置
EP1348880A1 (en) Motorised actuator
JP5813705B2 (ja) 初期ワイヤ張力発生装置を備えた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11089311A (ja) ケーブル張力付与装置およびケーブル張力付与装置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