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576A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576A
KR20000022576A KR1019990006321A KR19990006321A KR20000022576A KR 20000022576 A KR20000022576 A KR 20000022576A KR 1019990006321 A KR1019990006321 A KR 1019990006321A KR 19990006321 A KR19990006321 A KR 19990006321A KR 20000022576 A KR20000022576 A KR 2000002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hoistway
control syste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557B1 (ko
Inventor
오제끼아끼히로
나까지마유따까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함(32)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31)와, 평형 추(35)와, 로프(34)와, 가이드 레일(36A, 36B, 37A, 37B)과,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sliding door pocket)(71)에 배설한 엘리베이터 함(32)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2)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두껍 닫이(71)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으로서의 가이드 레일(38A)에 제어 장치(42)와는 다른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중의 적어도 1개로 된 보조 제어 장치(45)를 배설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제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을 불필요하게 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이용자가 타는 엘리베이터 함과,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중량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평형 추와, 엘리베이터 함과 평형 추를 권상기를 경유해서 접합하는 로프와, 엘리베이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건물 내의 공간에 관해, 엘리베이터 함이 승강하는 승강로에 대해 권상기와 제어 장치(제어반)를 수납하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은 일반적으로 승강로 최상부의 별실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용품은 옵션 대응품도 포함해서 모든 기계실 내에 설치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제어 용품의 보수는 주로 기계실 내에서의 확인 작업이었다.
그런데 고층 아파트 등의 집합 주택에서는, 일조권 등의 건축 조건의 관계상, 건물의 최상부에 충분한 크기의 기계실이 확보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기계실을 건물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등이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도, 건물에는 기계실을 위한 공간이 필요해지며,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비해 엘리베이터 구동시의 소음·진동이 크고, 또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냄새가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승강장 부근이나 함에 설치하고, 권상기를 승강로 최상부나 최하부에 수납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층계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 수납부인 두껍 닫이(sliding door pocket)의 깊이를 다른 층계의 그것보다 크게 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수납부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수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수납부는 승강장 도어가 수납되는 두껍 닫이의 승강장측에 설치되고, 수납부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수납한다. 그리고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의 빈 공간에 배치하도록 소형화·박형화한 것이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 함이 상하 이동하는 승강로의 공간 이외에 종래의 기계실을 위한 건물 공간이 불필요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라 부르고, 그 일례로서 일본국 특개소 59-1632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 예는 제어 장치를 특정 층계의 승강장의 두껍 닫이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객용 사양은 부가 가능한 옵션을 한정하고, 3방 틀 내에 모든 제어 장치 용품을 수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3방 틀 내에 다 수납할 수 없는 용품은 개별적으로 승강로 내 등에 수납 장소를 확보하고 있었다.
도 1은 이와 같은 공지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승강로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본 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권상기(31)는 로프(34)를 개재하여 함(32) 및 평형 추(35)를 구동하고 있다.
함(32)은 2개의 가이드 레일(36A, 36B)(가이드 레일(36B는 본 도면의 지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36A)과 겹친 상태로 되어 있다)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또 평형 추(35)는 2개의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 37B)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그리고 기계실을 없게 하기 위해서, 권상기(31)는 함 가이드 레일(36A)의 최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권상기 부착대(이하 취부대라한다)(47)에 재치 고정되고, 또 로프(34)는 함 하부 시브(sheave)(32)로 함(32)을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평형 추(35)도 평형 추 상부 시브(38)로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프(34)는 평형 추 로프 히치(hitch)(39)와 함 로프 히치(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관장하는 제어 장치(42)는 승강장 도어(41)가 개방 상태일 때 수납되는 두껍 닫이(71) 내에 수납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가 실현되고 있다.
함(32)의 하부에는 2개의 함 하부 시브(33)가 있으며, 로프(32)는 함 가이드 레일(36B) 상부의 로프 히치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을 2 : 1 로빙이라 부르고 있다. 권상기(31)와 평형 추(35)를 함(32)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2 : 1 로빙으로 인하여, 승강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승강로는 함(32)의 크기와 권상기(31)의 크기만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측의 외관도를 나타낸 도 3a와 승강장측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 3b에서, 승강장 3방 틀(51)에는 승강장 도어(41)를 수납하는 두껍 닫이부에 제어 장치 도어(53)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53)의 내부에 제어 장치(42)가 수용되어 있다. 또 승강장 조작반(52)이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이 승강장 조작반(52)의 호출 버튼을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장치 도어(53)는 이용자가 간단하게 열 수 없도록 제어 장치 도어 키(5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어(53)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개폐 검지기(5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사용하는 승강장 가까이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42)을 설치하게 되므로, 장난 등으로 인해 3방 틀(51) 등에 설치한 제어 장치 도어(53)를 연 경우에는, 제어 장치 도어(53)를 연 사람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함 내의 이용자가 제어 장치(42)의 오조작에 의해 위험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즉 장난 등으로 인해 제어 장치(42) 내의 전원을 끊는 등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함이 주행시라도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함 내의 이용자가 갇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에 반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보수를 행하는 전담 보수원은 이 제어 장치 도어(53)를 열고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기계실 내에서의 작업이 되기 때문에 작업 중에 제삼자가 들어오는 일이 없어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제어 장치(42)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 이용자, 즉 승강객이나 통행인이 섞어 왕래하는 장소에서 보수원이 작업하게 되어, 대단히 위험하다. 제어 장치(42)에는 통상 3상 200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어서, 아이들 등이 불의로 가까이 와서 장치에 닿아서 감전한다거나, 보수원에도 위험이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어 장치 도어(53)에는 제어 장치 도어 키(56)를 취부하여 제삼자가 용이하게 열 수 없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어 장치(53)를 열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도록 문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개폐 검지부(55) 및 조작 회로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이하에, 최상층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42)을 설치하고, 제어 장치 도어(53)에 개폐 검지기(55)를 취부한 제어 장치(42)의 회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어 장치(4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42)는 주로 전원부(57)와 주 회로부(58)와 제어 회로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57)는 건물로부터의 동력선(서전 전선(59))을 브레이커 등으로 구성된 주 전원부(60)가 받아서, 제어 회로부(70)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제어 회로부(70)는 16 비트나 32 비트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CPU(61)가 제어하는 것이며, 어드레스나 데이터를 관리하는 버스(62)에 여러 가지 장치가 부가되어 있다. 즉 제어 회로부(70)는 CPU(61)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256 KB 정도의 프로그램 기억부(72)와, 변화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RAM 등을 사용한 128 KB 정도의 데이터 기억부(63)와, 건물 관련의 데이터나 속도, 정지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기억 장치를 사용한 사양 데이터 기억부(64)와, 외부 신호를 입력하여 CPU(61)가 판독할 수 있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는 신호 입력 버퍼(65)와, CPU(61)가 취급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 버퍼(66)를 갖는다.
한편, 주 회로부(58)는 CPU(61)와 결합한 함(32)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한 속도 제어부(58A)와, 권상기(31)를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로 구동하는 주 회로 구동부(58B)를 구비한다. 주 회로 구동부(58B)의 구동 상황은 펄스 제너레이터(73)에 의해 펄스수로 검출한다. 그 검출 신호를 위치 검출부(69)에 입력하여 함(32)의 위치 검지나 권상기(31) 구동의 속도 제어에 사용하고 있다.
개폐 검지기(55)에 의한 신호는 신호 입력 버퍼(65)에 입력된다. 이 신호는 통상 DC 24V 정도의 신호이지만, 신호 입력 버퍼(65) 내에서 포토커플러 등에 의해 전압 변환된 후, CPU(61)가 판독할 수 있는 신호(DC 5V 정도)가 되어 개폐 검지 신호로서 레지스터에 보존된다.
또 신호 입력 버퍼(65) 및 신호 출력 버퍼(66)는 전선수 삭감을 위해 고속의 직렬 전송을 참조하고 있으며, 직렬 전송 케이블(67)을 통해 각 층의 승강장 조작반(52)과 신호 교환을 행하고 있다. 또 테일 코드(68)는 함 조작반(도시하지 않음)과 신호 교환을 행하고 있다.
이 테일 코드(68)에는 인터폰(54)의 통신 케이블이 들어 있으며, 함(32) 내의 승객은 호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서 인터폰(54)이나 건물 관리자 또는 엘리베이터 보수 회사와 통화할 수 있다.
상술한 기기 구성 및 제어 장치(42)에 의해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 1)
제어 장치(42)는 박형화가 요청되고 있기 때문에, 기본 기능만을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본 기능을 넘는 고객용 사양이 요구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등의 보조 제어 장치 중의 적어도 1개로 되는 보조 제어 장치는 승강장 수납부 이외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보조 제어 장치의 대표적인 설치 장소로서는 함(32)이 상하 이동하는 승강로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승강로 치수는 건물의 배치상, 가장 작은 치수로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승강로의 최상부(정상부)와 최하부(바닥)에 근소한 공간이 있을 뿐이다.
또 기기의 취부에는 승강로 벽에 기기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나, 건물의 구조에 따라서는 고정용의 나사를 취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승강로 벽에 설치하면, 승강로 그 자체가 습도가 높은 환경이기 때문에 결로(結露) 등에 의한 물 방울이 벽을 개재하여 기기내로 침입하여 기기 파손이 생기는 일도 있었다.
한편 바닥에 기기를 설치하면, 태풍, 큰 비 등에 의한 침수의 가능성이 있어서, 방수용의 상자 등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문제점 2)
승강로에 보조 제어 기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제어 장치(42)와 승강로 내의 보조 제어 기기간에는 상술한 고속 직렬 신호선이나 DC 24V 정도의 신호선이나 AC 100V 전원선이 부설되지만, 이들 전선의 분리는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즉 전선을 벽에 부설하기 때문에 전선을 분리하는 부분이 없고, 또 경년 변화에 의한 배선의 부조 등을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고속 직렬 신호의 동작에 노이즈의 형태로 영향을 주는 일도 있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영향을 주어, 아주 강한 노이즈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고정으로 이어지는 일도 있었다.
(문제점 3)
승강로 정상부에 보조 제어 기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중량이 있는 기기는 고정하기 어려워서 작업원이 혼자서 들 수 있는 중량으로서 10kg 이하로 할 필요가 있었다. 이는 정상부이기 때문에 체인 블록 등의 훅의 부근이므로 작업용 기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량이 있는 기기는 바닥에 설치하게 되어서 문제점 1의 결점이 발생하게 되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어 장치(42) 및 그 제어 장치(42) 이외의 옵션 대응의 보조 제어 장치의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점의 배려는 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승강로 내에 설치한 제어 장치(42), 보조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기기(제어 용품)를 점검할 때는, 보수원이 함 상에 타고 점검 운전하면서 용품의 설치 장소를 찾아서, 점검하기 쉬운 위치에 보수원이 스스로 함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승강로 내는 어둡기 때문에, 점검 작업에는 조명 기구가 필요하다, 또 승강로 내에 설치한 용품을 점검 중에 잘못해서 평상 운전으로 복귀시키지 않도록 보수원은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승강장의 도어가 수납되는 두껍 닫이 내에 제어부가 수납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건물 구조의 제약이나 습도 등의 승강로에 특유한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제어부 또는 보조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어 기기의 보수 점검 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
도 2는 상기 횡 단면도.
도 3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승강장의 외관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
도 6은 상기 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
도 8은 상기 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
도 10은 상기 횡 단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보조 제어 장치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 제어 장치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로의 종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승강로 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17은 선택한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따라 정지 위치가 변화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 및 상기 평형 추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의 두껍 닫이 근방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용품에 배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로의 제어 수단의 고정에 대해 승강로 벽으로 할 필요성이 없어져서 거치 공사가 용이해질 뿐 아니라, 승강로 벽으부터 제어 수단을 떨어지게 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결로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는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 및 상기 평형 추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 및 평형 추의 레일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발명의 효과 외에, 승강 거리에 따른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는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 및 상기 평형 추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형 추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로프 히치 및 상기 함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로프 히치 중의 적어도 한 쪽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 외에, 설치 기기의 하중을 가이드 레일 상부에 가하게 되므로 중량이 있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여도 건물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권상기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고,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특정 층계에서 승강로 근방에 수납함으로써 기계실을 없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등의 보조 제어 기기 중의 적어도 1개로 되는 보조 제어부를 수납하는 제어 용품 박스와,
상기 제어 용품 박스를 승강로 단면 공간에 배치하여, 취부 고정하기 위한 박스 배치 고정부와,
엘리베이터 함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취부 위치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가까이 온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점검 위치 검출부와,
함상에서 행하는 함상 점검 운전시에 점검 위치 검출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점검 위치 정지부를 갖춘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를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수납하고, 그 박스를 박스 배치용 고정 수단에 의해 승강로 단면 공간에 배치하여, 취부 고정한다. 함상 점검 운전 중에 엘리베이터 함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취부 위치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가까이 오면 제어 용품 점검 위치 검출 수단이 작동하여, 제어 용품 점검 위치 정지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로 내에 설치한 제어 수단 또는 보조 제어 수단을 점검하기 쉬운 위치에 엘리베이터 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1 내지 도 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껍 닫이(71)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인 가이드 레일(36A)에 지지재(43A, 43B)를 사용해서 보조 제어 장치(45)를 고정하고, 그 보조 제어 장치(45)를 승강로 정상부에 있는 권상기(31)의 좌측 상부에 위치하게 하고 있다. 보조 제어 장치(45)는 제어 장치(42)와는 다른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중의 적어도 1개로 된다.
여기서 지지재(43A, 43B)를 상세히 설명한다.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6A)에는 권상기(31)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볼트부를 이용해서 보조 제어 장치(45)를 취부하고 있다. 즉 가이드 레일(36A)의 볼트부에 지지재(43A, 43B)의 한 쪽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지지재(43A, 43B)는 승강로의 벽면에 거리를 두면서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위치하게 하고, 또 그 다른 단부측에 보조 제어 장치(45)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하 2개의 지지재(43A, 43B) 중에서 적어도 하부의 지지재(43B)를 L자형으로 함으로써, 보조 제어 장치(45)를 수용하는 형태가 되고, 이에 따라 지지재(43B)는 보조 제어 장치(45)를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다.
또 상하의 지지재(43A, 43B)는 다 같이 20mm 정도의 너트 등을 미리 용접함으로써, 보조 제어 장치(45)의 취부이 용이해진다. 이 지지재(43A, 43B)는 6인승의 엘리베이터로 약 1m 정도의 길이, 두께 5mm, 폭 20mm 정도의 강판을 사용하면 충분한 강도가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36A)의 진동으로 보조 제어 장치(45)가 승강로 벽에 닿아서 소음을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이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조 제어 장치(45)와 벽은 10mm 이상 떨어지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36A)의 진동은 그 블래킷에 의해 억제되므로, 가이드 레일(36A)의 진동은 그다지 문제는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두껍 닫이(71)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인 가이드 레일(36A)에 착안하고, 나아가서 함(32)과 승강로 사이의 가이드 레일(36A)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며 또한 가이드 레일(36A)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를 이용해서 보조 제어 장치(4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조 제어 장치(45)의 설치시에는,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되며, 또 승강로 벽에 새로운 고정 부재나 엘리베이터 용품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어 장치(45)를 권상기(31)와 동등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보수원은 보조 제어 장치(45)와 권상기(31)의 보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지지재(43A, 43B) 외에 새로이 지지재(44)를 추가하여 보조 제어 장치(45)를 지지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도 두껍 닫이(71)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으로서 가이드 레일(36A)에 착안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어 장치(45)에 인입할 AC 100V 등의 전원선은 지지재(43A, 43B)를 개재하여 권상기(31)측으로부터 보조 제어 장치(45)에 공급되고, 신호선은 지지재(44)를 개재하여 권상기 취부대(47)로부터 보조 제어 장치(45)에 공급되고 있다. 이는 상기 전원선 및 신호선과 권상기(31)의 전원(즉 모터 동력선)간의 위치 관계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다. 제어 장치(42)로부터 가이드 레일(36A)을 개재하여 모터 동력선이 부설되므로, 권상기(31)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선 및 신호선과 모터 동력선을 동일하게 부설하는 것이 요망되기 때문이다.
한편, 신호선은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을 개재하여 권상기 취부대(47)에 집합시키고, 지지재(44)로부터 보조 제어 장치(45)에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전선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지지재(44)는 신호선의 부설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서는 레일로부터만이었던 지지재(43A, 43B)를 권상기 취부대(47)로부터 비스듬히 추가(한 쪽 단부를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보조 제어 장치(45)의 취부 강도가 증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재(44)는 보조 제어 장치(45)를 직접 지지하는 것은 아니므로, 지지재(43A, 43B)와 같이 두께 5mm의 강판이 아니어도 두께 2mm 정도의 강판을 사용하여도 강도적으로 충분하고, 또 신호선을 고정하는 취부 구멍을 30cm 정도마다 뚫는 것이 요망된다.
한편, 이 보조 제어 장치(45)에는 직렬 전송 케이블(67)로 제어되는 기판류가 수용된다. 이것은 신호 입력 버퍼(65)나 신호 출력 버퍼(66)를 확장하는 기기이다. 이들은 건물 사양에 따라 취부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이점 외에 특히 직렬 전송을 사용하는 회로를 보조 제어 장치(45)에 수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를 도 9에 나타낸 승강로 종 단면도, 도 10에 나타낸 승강로 횡 단면도 및 도 11에 나타낸 취부 상세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두껍 닫이(71)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으로서, 함 가이드 레일(36A) 및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에 착안하고 있다.
도 9∼도 11에서, 함 가이드 레일(36A)과 승강로 벽 사이에는 권상기(31)를 설치하는 공간이 있다. 본 실시예는 그 공간에 보조 제어 장치(46A, 46B, 46C)를 설치하고 있다. 적어도 레일 브래킷(50) 이외의 가이드 레일(36A)에 보조 제어 장치(46A, 46B, 46C)를 설치한 것이다. 통상, 레일 브래킷(50)은 5m마다 설치되므로 보조 제어 장치(46A, 46B, 46C)의 승강로 방향의 길이를 1m로 하면, 3, 4 대의 보조 제어 장치를 수용 가능하다. 그리고 레일 브래킷(50)의 길이는 15cm이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 거리에 상당한 치수 내에 보조 제어 장치(46A, 46B, 46C)를 설치할 수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보조 제어 장치를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하는 실시예와 비교해서 수많은 보조 제어 장치(46)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하는 기기마다 보조 제어 장치(46A, 46B, 46C)를 할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열을 발생하는 저항,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변압기, 직렬 전송 기판과 같은 기기의 특성에 따른 보조 제어 장치로 할 수 있어서, 복수 기기를 특성에 따른 기기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기본 구성이 제3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보조 제어 장치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취부을 개량한 것이다.
도 12에 취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함 가이드 레일(36A)과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과 승강로로 둘러싸인 공간은 200mm×200mm 정도밖에 안되며, 보조 제어 장치(46)를 직접 레일(36A, 37A)에 고정하면, 그 후의 보수 점검, 교환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L자형의 지지재(49)의 한 쪽 단부를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에 볼트 등에 의해 취부하고, 그 지지재(49)의 다른 쪽 단부측에 보조 제어 장치(46)를 어떤 수단에 의해 고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수원은 보조 제어 장치(46)의 점검을 함(32)으로부터 함 가이드 레일(36A)이 설치된 방향을 향해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상술한 문제점 방지를 위해 유효하게 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를 도 13의 승강로 종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는 평형 추 로프 히치(39)를 통상보다도 하부에 설치하고, 그 히치(39)의 상부에 보조 제어 장치(48)를 취부하고 있다. 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46A)의 최상단에 지지재(49)의 한 쪽 단부를 고정하고, 그 지지재(49)의 다른 쪽 단부측에 보조 제어 장치(48)를 고정한 것이다. 지지재(49)의 강도는 가이드 레일(37B)에 비하면 약하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37B)의 정상부에서 보조 제어 장치(48)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은 지지재(49)의 강도 유지를 위해서는 유효하다.
이 보조 제어 장치(48)에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등의 배터리 구동용의 기기를 배치하는 것이 요망된다.
제5 실시예에서는, 지지재(49)를 포함한 기구에 의해 보조 제어 장치(48)를 로프 피치부(39)와 함께 수납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의 미관이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제1∼제5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어 장치(48)에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중의 적어도 1개로 된 기기를 수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를 수납할 수가 있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4, 도 15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주행 제어 장치(4)는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제어하는 중심적인 장치이다. 주행 제어 장치(4)는 기억 장치(3)를 개재하여 함 호출이나 승강장 호출의 존재를 확인아여 엘리베이터를 주행시키고, 엘리베이터의 주행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 장치(3)에 저장한다. 함 위치의 검출은 권상기(20)의 회전에 비례해서 출력하는 펄스 제너레이터(1)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행하여진다. 펄스 제너레이터(1)의 검출 신호는 펄스 입력 장치(2)를 개재하여 기억 장치(3)에 보내어져서, 여기에 정기적으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대해,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1)를 부가한 것이다. 이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1)는 후술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및 제어 용품 수납 박스 B에 수납된다.
여기서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1)는 엘리베이터 함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취부 위치 펄스치로부터 미리 저장이 끝난 일정 위치의 펄스에 가까와진 것을 펄스치의 차를 연산해서 검출하는 점검 위치 검출부(10)와, 운전 조작을 함상에서 행하는 함상 점검 운전시에 점검 위치 검출부(10)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점검 위치 정지부(11)와, 권상기(20)에 관계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등을 조명하기 위한 AC 100V의 백열등 등에 의한 승강로 정상부 조명(12)과, 점검 위치 검출부(10)가 작동하였을 때에 승강로 정상부 조명(12)을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정상부 조명 자동 점등부(13)와, 후술하는 박스 개폐부에 취부한 스위치 등으로 되며, 후술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수납 박스 개폐부(14)와,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는 평상 운전에 의한 주행을 금지로 하는 평상 운전 금지부(15)를 갖는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실시예의 승강로 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a는 권상기(20)가 설치되는 측의 측면도, 도 15b는 승강로를 천정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권상기(20)를 취부하고 있는 레일(21)의 정상부에는 2개의 박스 배치 고정용 브래킷(18)이 취부되어 있다. 이 브래킷(18)은 그 길이 방향이 함의 깊숙한 방향을 따르고 또 수평이 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박스 배치 고정용 브래킷(18)에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및 제어 용품 수납 박스 B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박스 A, B가 다 같이 함(22)의 투영면을 제외한 승강로 단면 공간에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두껍 닫이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용품으로서, 권상기(20)를 취부하고 있는 레일(21)에 착안하여, 그 레일(21)에 설치한 2개의 박스 배치 고정용 브래킷(18)에 의해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B를 고정하고 있다. 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B에는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1)를 수납하지만, 이 외에 제1∼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주행 제어 장치(제어 장치)(4)와는 다른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중의 적어도 1개로 된 기기를 수납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로 내에 설치한 제어부를 점검하기 쉬운 위치에 엘리베이터 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또 승강로 내 용품을 점검하는 작업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6 실시예의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1)에 점검의 대상으로 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엘리베이터의 보수용 데이터 수납 장치 예를 들어 콘솔(5)의 조작에 의해 기억 장치(3) 내의 데이터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제어 용품 점검 대상 선택부(16)와, 기억 장치(30에 설정되어 있는 정지 위치 데이터를 점검 대상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된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점검하는 데 적절한 검출 위치에 재설정하는 정지 위치 설정 전환부(17)를 추가해서,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2)를 구성하여, 복수의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7은 선택한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의해 정지 위치가 변화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부호 A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부호 B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B, 부호 C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C, 부호 D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D를 나타내고 있다. 또 부호 L은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 C, D로부터 함 정지 위치까지의 설정 길이, 부호 H1은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를 선택한 때의 함상 정지 위치, 부호 H2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 C를 선택한 때의 함상 정지 위치, 부호 H3은 제어 용품 수납 박스 D를 선택한 때의 함상 정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를 선택한 경우에는 함상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 A의 위치로부터 길이 L만큼 내려간 위치 H1이 정지 위치로 설정된다. 길이 L은 통상 1300mm 정도로 설정한다.
단, 이것은 기억 장치(3)에 의해 데이터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00mm의 경우에, 펄스치가 1mm/펄스이면 0514H로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용품 수납 박스 C를 선택한 경우에는 위치 H2가, 제어 용품 수납 박스 D를 선택한 경우에는 위치 H3이 각각 정지 위치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복수 개소에 배치한 경우에도 점검하는 데 적합한 위치에 엘리베이터 함을 정지시킬 수 있다. 승강로 정상부는 보수원이 서서 작업하는 데는 충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보수원은 구부린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대단히 유효한 수단이라 말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18은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며, 도 16의 제어 용품 점검 위치 검출부(10) 대신에 감열 센서에 의한 인체 감지부(30)를 설치하여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3)를 구성하고 있다. 이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3)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수납된다.
그리고 승강로 내는 습도가 높아서, 통상의 스위치에 의할 경우에 오동작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100-3)에서는, 인체 감지부(30)로서 감열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도 1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업 효과가 얻어진다. 즉 함상 점검 운전 중에 승강로 내에 설치한 제어 용품을 점검하기 쉬운 위치에 엘리베이터 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승강로 내 용품을 점검하는 작업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권상기(31)의 함 도어(40)측에 보조 제어 장치(45)를 취부한 경우의 예를 제시하였으나, 함 도어(40)와 반대측에 취부하여도 좋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함 가이드 레일(36)에 한 쪽 단부가 고정된 지지재(430에 의해 보조 제어 장치(45)를 취부한 경우의 예를 제시하였으나, 지지재(43)를 설치하지 않고 함 가이드 레일(36)에 볼트 등에 의해 직접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지지재(43)를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신호선 및 전원선은 지지재(43)를 이용해서 부설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에 배설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은 함 가이드 레일(36) 이외의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을 사용하거나, 또는 승강로 기기 취부 전용의 수직 부재(레일 상당의 부재)로 하여도 좋다.
제2 실시예에서는, 권상기 취부대(47)로부터 지지재(44)를 설치하는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제어 장치(42)로부터 직접 지지재를 세워 올려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 장치(42)로부터 직접 신호선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예의 효과보다 높아진다. 또 지지재를 권상기의 보수 기기나 방음 장치의 취부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권상기(31)의 하부에 복수의 보조 제어 장치(46)를 설치한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레일 브래킷간에 1개의 긴 보조 제어 장치(46)를 설치하고, 내부의 기기를 건물 사양마다 변경함으로써도 대응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보조 제어 장치(46)가 한 종류가 되는 것이 이점이 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평형 추 가이드 레일(37A)의 배면에 지지재(49)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함 가이드 레일(36A)로부터 지지재(49)를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지지재(49)는 L자형뿐만이 아니라, 함 가이드 레일(36A)로부터 옆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통상은 레일간에 보조 제어 장치(46)가 수용되고, 보수시에는 함 가이드 레일(36A)의 옆으로 보조 제어 장치(46)를 인출할 수가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중량이 있는 기기로 해서 설명하였으나, 보조 제어 장치(45)와 같이 경량의 것이어도 좋다. 또 평형 추 가이드 레일은 함 가이드 레일이어도 마찬가지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6∼제8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검출 위치를 펄스 제너레이터(1)로부터의 출력치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위치에 스위치나 광 검출기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의 도어가 수납되는 두껍 닫이 내에 제어 장치가 수납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건물 구조의 제약이나 습도 등의 승강로에 특유한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 또는 보조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기기의 보수 점검 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 및 상기 평형 추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의 두껍 닫이 근방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용품에 배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용품은 상기 레일과, 상기 권상기와, 상기 레일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는 로프 히치부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를 고정하고 또한 종류가 다른 전원선 및 신호선을 부설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 또는 상기 권상기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제어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및 지진 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함이 상기 보조 제어부의 취부 위치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가까이 온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함상에서 행하는 함상 점검 운전시에 검출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부
    를 갖는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함상 점검 운전시에 상기 검출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상기 조명부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자동 점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점검 대상의 상기 보조 제어부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상기 보조 제어부를 점검하는 데 적절한 검출 위치에 설정하는 정지 위치 설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검출부 대신에, 승강로 정상부 또는 상기 보조 제어부에 설치하여 인체가 가까이 왔을 때 반응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인체 감지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승강로 정상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인체 감지부가 동작하였을 때에 상기 조명부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자동 점등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보조 제어부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와,
    상기 보조 제어부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는 평상 운전에 의한 주행을 금지로 하는 평상 운전 금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1.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는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 및 상기 평형 추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된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 및 평형 추의 레일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함측으로부터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제어부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함의 레일 또는 상기 평형 추의 레일 배면에 배치된, 상기 레일의 폭보다 긴 지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등의 보조 제어 기기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4.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함을 구동하는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 추와,
    상기 평형 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상기 권상기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함을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함 레일, 및
    상기 평형추를 승강가능하게 안내하는 평형추 레일과,
    상기 승강로에 연통되고 소정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두껍 닫이에 배설된 상기 엘리베이터 함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형 추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프 히치 및 상기 함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프 히치의 적어도 한 쪽 상부에 재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보조 기능을 관장하는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등의 보조 제어 기기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6. 권상기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고,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특정 층계에서 승강로 근방에 수납함으로써 기계실을 없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감시반의 표시 장치, 에어콘 전원용 변압기, 지진 감지기 등의 보조 제어 기기의 적어도 하나로 되는 보조 제어부를 수납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와,
    상기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승강로 단면 공간에 배치하고, 취부 고정하기 위한 박스 배치 고정부와,
    엘리베이터 함이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취부 위치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가까이 온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점검 위치 검출부와,
    함상에서 행하는 함상 점검 운전시에 점검 위치 검출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점검 위치 정지부를 갖춘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와,
    함상 점검 운전시에 점검 위치 검출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상기 조명부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정상부 조명 자동 점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점검의 대상으로 하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선택된 제어 용품 수납 박스를 점검하는 데 적절한 검출 위치에 설정하는 정지 위치 설정 전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위치 검출부 대신에, 승강로 정상부 또는 제어 용품 수납 박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체가 가까이 왔을 때에 반응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인체 감지부가 작동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승강로 정상부를 조명하기 위한 정상부 조명부와,
    인체 감지부가 동작하였을 때에 상기 정상부 조명부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자동 점등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시 오퍼레이션 장치는
    상기 제어 용품 수납 박스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 검출부와,
    상기 제어 용품 수납 박스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평상 운전에 의한 주행을 금지로 하는 운전 금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19990006321A 1998-09-08 1999-02-25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0302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99098 1998-09-08
JP98-253990 1998-09-08
JP30996298A JP4115015B2 (ja) 1998-09-08 1998-10-30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98-309962 1998-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76A true KR20000022576A (ko) 2000-04-25
KR100302557B1 KR100302557B1 (ko) 2001-09-22

Family

ID=2654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321A KR100302557B1 (ko) 1998-09-08 1999-02-25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36523B1 (ko)
EP (1) EP0985627B1 (ko)
JP (1) JP4115015B2 (ko)
KR (1) KR100302557B1 (ko)
CN (2) CN1184126C (ko)
DE (1) DE69927565T2 (ko)
MY (1) MY124381A (ko)
TW (1) TW585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934B1 (en) * 2000-01-06 2003-09-30 Mcgrath, Iii James J.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restricted spaces
SG100645A1 (en) * 2000-03-31 2003-12-26 Inventio Ag Auxiliary device for displacing a payload receptacle of a lift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a cage in a shaft of a lift
DE50114596D1 (de) * 2000-03-31 2009-02-05 Inventio Ag Hilfseinrichtung zum Verschieben einer Nutzlastaufnahme eines Aufzuges
JP4849712B2 (ja) * 2000-11-08 2012-01-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US6848544B2 (en) * 2001-01-26 2005-02-01 Inventio Ag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JP2003020171A (ja) * 2001-07-09 2003-01-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ITMI20012558A1 (it) * 2001-12-04 2003-06-04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US20060175136A1 (en) * 2002-07-18 2006-08-10 Otis Elevator Company Rooftop control unit for an elevator system having a removable cover
JP4189382B2 (ja) * 2002-07-18 2008-12-03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取外し可能なカバー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屋上用制御ユニット
EP1562849B1 (de) * 2002-11-18 2006-08-02 Inventio Ag Aufzugssteuerung eingebaut im türpfosten
EP1449802B1 (en) * 2003-02-24 2007-10-24 Inventio Ag Combination elevator doors
JP2005008414A (ja) * 2003-06-18 2005-01-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設備、このエレベーター設備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設備を最新化する方法
US20060266592A1 (en) * 2003-06-20 2006-11-30 Andes Monzon Compact bedplate with integrated, accessible dead end hitches
JP2005047679A (ja) * 2003-07-29 2005-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ZA200406979B (en) 2003-09-29 2005-09-28 Inventio Ag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 lift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JP4515078B2 (ja) * 2003-11-18 2010-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60059163A (ko) * 2004-11-25 2006-06-01 장순길 변속 장치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WO2006057510A1 (en) * 2004-11-25 2006-06-01 Soon Gil Jang Elevator
CN100569616C (zh) * 2005-04-28 2009-12-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监视系统
JP2008114944A (ja) * 2006-11-01 2008-05-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TWI402207B (zh) * 2008-09-01 2013-07-21 Fujitec Kk 電梯的安全裝置
EP2376359B1 (en) 2008-12-19 2015-01-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KR101036496B1 (ko) * 2009-01-23 2011-05-24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비접촉식 전원 공급장치
EP2408704A4 (en) 2009-03-20 2015-10-07 Otis Elevator Co CONTROLLING THE VIBRATION OF AN ELEVATOR ELEMENTS
JP2011068437A (ja) * 2009-09-24 2011-04-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のリニューアル方法
ITPG20100030U1 (it) * 2010-11-19 2012-05-20 Umberto Ernesto Bonetti Scala verticale dinamica con recupero energetico
EP2530043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P2530044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US9815665B2 (en) 2012-01-06 2017-11-14 Otis Elevator Company Battery mounting in elevator hoistway
US9573791B2 (en) *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KR101334452B1 (ko) * 2013-07-29 2013-11-29 윤일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모니터 시스템
JP6440862B2 (ja) * 2015-11-12 2018-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333110B1 (en) * 2016-12-09 2022-05-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7400755B (zh) * 2017-06-21 2019-07-05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卷扬提升式rh真空处理系统及其卷扬提升结构和支承装置
JP2019099325A (ja) *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JP6803878B2 (ja) * 2018-08-29 2020-12-23 三菱日立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装置
CN110456844B (zh) * 2019-07-18 2021-06-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控制柜防凝露设备、方法、装置及电梯
CN111204632B (zh) * 2020-02-27 2022-02-22 苏州易米克电子有限公司 利用电梯通讯线作松闸装置通讯和触发功能复用的控制方法
CN112279031B (zh) * 2020-10-28 2022-04-26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的校准方法及电梯的校准装置
CN113173481B (zh) * 2021-05-24 2022-10-11 河南理工大学 一种实现副立井双码平衡节能的提升系统及提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270A (ja) 1983-03-07 1984-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装置
JPH0764507B2 (ja) 1988-11-08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三方枠装置
JPH0737308B2 (ja) * 1989-06-13 1995-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H03138277A (ja) * 1989-10-23 1991-06-12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改造作業工法
JP2870335B2 (ja) * 1992-11-11 1999-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操作盤
US6148962A (en) * 1993-06-28 2000-11-21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FI95456C (fi) * 1994-05-04 1996-02-12 Kone Oy Järjestely hissikuilun seinän aukossa ja kojetaulu
FI96198C (fi) * 1994-11-03 1996-05-27 Kone Oy Vetopyörähissi
JPH1036022A (ja) * 1996-07-11 1998-02-10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の点検用制御盤の取付構造
FI103498B (fi) * 1996-09-05 1999-07-15 Kone Corp Järjestely hissikoneiston jarrun avaamiseen
US6076638A (en) * 1999-04-22 2000-06-20 Disney Enterprises, Inc. Special effects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5627A2 (en) 2000-03-15
US6336523B1 (en) 2002-01-08
JP4115015B2 (ja) 2008-07-09
EP0985627A3 (en) 2002-10-02
DE69927565T2 (de) 2006-07-20
EP0985627B1 (en) 2005-10-05
CN1247150A (zh) 2000-03-15
JP2000143108A (ja) 2000-05-23
DE69927565D1 (de) 2006-02-16
CN1611438A (zh) 2005-05-04
CN100339289C (zh) 2007-09-26
CN1184126C (zh) 2005-01-12
MY124381A (en) 2006-06-30
TW585829B (en) 2004-05-01
KR100302557B1 (ko) 200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7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US20140224591A1 (e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KR101257719B1 (ko) 엘리베이터 그룹 및 엘리베이터 그룹을 제어하는 방법
KR10044059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7264087B2 (en) Control of a counterweightless elevator using total mass of the elevator
EP0719724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machine spac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CN1044996C (zh) 牵引滑轮电梯、提升机构和设备容置室
US20080053756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car and counterweight and method for arrang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0208762A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配線方法および装置
AU2004253610B2 (en) Lift assembly with cabin electrics integrated in the cabin roof
JP2006137514A (ja) 分割機器群式エレベータ
JP2862681B2 (ja) 本設用品使用の工事用エレベータ据付方法
US20080116016A1 (en) Dumbwaiter System with Integrated LCD Display, Improved Mode Controls, and Complimentary Baskets and Carts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159453A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
JPH09267978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73730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2000072352A (ja) エレベータ火災管制装置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CN101161579A (zh) 井道内安置的数台无机房电梯并联/群控系统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468846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2318137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AU2010214698A1 (en) A residential lift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