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066A -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 Google Patents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066A
KR20000018066A KR1020000000809A KR20000000809A KR20000018066A KR 20000018066 A KR20000018066 A KR 20000018066A KR 1020000000809 A KR1020000000809 A KR 1020000000809A KR 20000000809 A KR20000000809 A KR 20000000809A KR 20000018066 A KR20000018066 A KR 2000001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retroreflective
parts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00000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066A/ko
Publication of KR2000001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전사지의 기본 구성층으로서 이형제층, 잉크층, 접착제층에 유리구슬입자층을 삽입시키고 이때에 사용되는 기술과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포장도로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에 직접 재귀반사표면을 형성하거나 전사형, 시트형, 스티커형의 재귀반사체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과 이들의 재귀반사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The Preparation and Devices for the Retro-Reflective Surface and Materials}
본 발명은 종래의 전사체들이 전사기능에 너무 치우치고 다른 기능층의 역할을 과소평가해 왔기 때문에 이들 전사체의 용도와 개념을 다층인쇄체로 보고자 한다. 그리고 새로운 기능층으로서 유리구슬입자층을 추가하여 전사기능 보다도 재귀반사 기능이 주 기능으로 전환된 재귀반사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전사체는 기본적으로 기질, 이형제층, 표면보호층, 잉크층, 접착제 또는 점착제층, 피도착물 같이 여러 다른 화합물로 구성된 다층구조체이고 재귀반사체도 역시 기질, 반사층, 표면보호층과 같이 여러 종류의 화합물로 구성된 다층구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들간의 각 구성층의 화합물을 적절히 응용하면 보다 경제적인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전사기술로서 재귀반사체를 제조하게 되면 이들 다층구조체는 기질과 이형층이 떨어져나가고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그리고 표면보호층만 남게되고 이형층이 도포된 기질은 다시 제조공정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매우 저렴해지고 불필요한 기질층이 없어지면서 제품의 질이 여러모로 향상된다. 즉, 전사방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체는 반사층과 기질층이 없으며 실제로 재귀반사 기능에 꼭 필요한 잉크층과 유리구슬입자층만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3M사와 REFLEXITE사 들로부터 제조되는 종래의 재귀반사체들은 반사층의 형성에 너무 많은 제조비용을 들인듯 싶다.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도 충분히 재귀반사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렵고 비싼 공정으로 재귀반사체를 제조하여 일반생활화 하지 못하였고 특수용도로서만 사용하게끔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는 재귀반사표면의 조건이 매우 민감하여 똑같은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재귀반사표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같은 구조에서 여러번 실험을 끝까지 해야하는데 쉽게 포기하고 다른 어렵고 비싼 제조방법으로 진행되어진 듯 싶다.
HALLENSTVET등의 WO-97-23,788(A)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종래의 재귀반사체들의 제조공정이 너무 비싼 공정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통상의 인쇄기계의 로러만을 사용하여 저렴하게 재귀반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도 반사층의 형성을 위하여 알루미늄 금속포일을 기질로 사용하고 금속락커를 코팅하였다는 것은 반사층 형성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과 유리구슬입자 모양을 그대로 노출시킬수 있도록 한 표면보호코팅만으로 재귀반사 기능과 색깔을 우수하게 나타내고 이 간단한 방법은 포장도로 상에서 직접 시공하는데도 매우 유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은 전사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렴한 재귀반사체의 제조기술과 이 기술을 포장도로의 시공현장에 적용시키고 이들의 새로운 용도개발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저렴한 제조원가로 인하여 일반생활용품에 까지 대중화시키고자 한다.
재귀반사 테이프 또는 시트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MINNESOTA MINING AND MFG 사의 M.L. GEBHARD 등에 의해 1943년, US-2,326,634(A)에서 노출형 재귀반사체의 제조를 발표하였으며, 이후 1946년, US-2,407,680(A)는 밀폐형, US-4,025,159 (A)는 캡슐형의 재귀반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구슬 입자층에 알루미늄 증착시켜 렌즈형으로 제조한 것이다. 최근에는 US-2,326,634(A)는 프리즘 박막층을 이용한 재귀반사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이외에도 85년 이후부터 29건의 특허등록을 하였다. 그리고 프리즘 박막층에 의한 재귀반사 테이프는 주로 REFLEXITE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WO-99-37,470(A), WO- 98-12,581(A) 등이 있다. 이들 두회사 이외의 관련 특허들은 WO-98-30,380(A), WO-97-23,788(A), US-4,618,518(A), US-4,712,867(A) 등이 발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은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 첫째, 전사기술을 이용하여 인쇄 또는 코팅기계로서 재귀반사체를 제조하는 것과 둘째, 재귀반사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과 셋째, 인쇄 또는 코팅기계를 이동식 기계로 간소화하여 포장도로에서 재귀반사체표면을 직접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사기술로 만들어지는 재귀반사체는 전사형, 시트형, 스티커형이 있으며 이들은 전사체의 구성층에서 일부분을 빼거나 순서를 바꿈에 따라서 형성된다. 도 1은 전사형 재귀반사체의 다층구조의 종단면도를 보여주며 기질, 이형제, 표면보호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 잉크층의 순서로 인쇄 또는 코팅된 다층구조를 보여주고, 사용되는 순간에 피도착물 또는 재귀반사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고 난 뒤에 이형제층과 기질이 벗겨지게 된다. 이 경우 제품의 표면이 평판 같이 매끄럽기 때문에 재귀반사 효율이 떨어지지만 내구성과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2은 시트형 재귀반사체의 다층구조의 종단면도를 보여주며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만으로 구성된 다층구조를 보여주고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은 제품의 제조에만 필요하고 상품으로 완성될 때 분리되어 감겨져서 다시 제조공정에 투입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매우 저렴해 진다. 그리고 이것은 원가절감의 효과보다는 전사지의 기본 개념으로서 불필요한 기질을 제거 함으로서 제품의 질을 높이는 것이 주 목적이다. 그리고 사용할 때에 접착제를 피도착물 또는 재귀반사체에 도포하고 접착시켜서 사용한다. 이 경우 시공은 다소 불편하지만 재귀반사효과와 물성이 뛰어나고 제조비용이 가장 저렴하다.
도 3은 스티커형 재귀반사체의 다층구조의 종단면도를 보여주며 기질, 이형제층, 점착제,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으로 구성된 다층구조를 보여주고, 이형층 위에 점착제를 제일 먼저 도포하고 난 뒷 공정은 시트형의 제조 순서와 같다. 사용할 때에 기질과 이형제층을 제거하고 미리 도포된 점착제로 피도착물에 밀착시켜서 사용한다. 이 경우 사용상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고 재귀반사효과도 좋으나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비교적 약하지만 도로표식용 구조물에 사용하는데는 무방하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전사 기술을 이용하면 제조 순서만 바꾸어서 다양한 상품의 형태로 바뀔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귀반사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재귀반사각을 넓혀서 운전자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재귀반사광을 보기 위하여 인쇄층에 평면코팅을 하고 난 뒤에 도 4와 같이 패턴인쇄를 하여 굴곡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5은 패턴모양으로 인하여 형성된 표면 구조의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잉크들은 색깔을 나타낼 뿐만이 아니고 재귀반사 효율을 높이는데 필요한 반사기능도 한다. 반사기능을 하기 위한 잉크는 기본적으로 금속분말을 염료로 염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흰색염료는 상품화 된 것이 없기 때문에 흰색안료를 사용하였으며 다행히 흰색안료 만은 예외적으로 반사효가가 좋았다. 흰색안료로서 티탄디옥사이드를 사용하였고 형광염료로서는 MDAC(4-methyl-7diethyl-Amino-Cumarone)를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흰색 이외의 색깔은 금속분말을 염료로 염색한 것을 혐광염료와 바인더를 함께 사용한다. 이 잉크들이 유리구슬입자들을 렌즈처럼 잘 감싸게 되면 반사층이 따로 없어도 재귀반사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종래의 재귀반사체에서는 색깔있는 필름층으로 색깔을 내기 때문에 이 필름층에서 빛의 소멸이 발생하여 반사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 잉크층은 색깔을 나타낼 뿐만이 아니고 약간의 발광작용을 하여 빛의 증폭효과를 보여주었다.
유리구슬입자층의 도포방법은 세가지의 가능한 방법이 있으며 통상의 연마체의 도포기계와 같은 방법의 코팅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첫째, 잉크를 코팅한 뒤에 유리구슬 입자를 과량으로 자유낙하하여 도포하고 잉크가 묻지 않은 것들을 털어내는 방법이다. 둘째, 연마체의 제조공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2∼3만 볼트의 과전압에서 유리구슬을 튀겨서 미리 도포된 잉크에 과량으로 묻힌 뒤에 잉크가 묻지않은 것들을 털어내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세 번째 방법으로, 유리구슬입자 또는 투명 바안더와 유리구슬들을 혼합한 것을 도 6과 같은 장치로 스프레이 하는 방법이 있다. 이 스프레이 방법은 스프레이에 주입되는 용액을 공기압으로 잘 분산되도록 노즐과 캡이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구슬 입자들이 용액과 함께 잘 분산되도록 분사된다.
포장도로에서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을 직접 도포하여 재귀반사표면을 형성하는 간이 이동식 기계는 스프레이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동차 타이어에 의한 내마모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표면보호층은 UV코팅액이 비교적 바람직하며, 그리고 포장도로의 상태에 따라서 재귀반사체를 다음과 같이 병행하여 사용함도 바람직하다. (1)포장도로의 포장상태가 좋거나, 도색후의 짧은 건조시간을 요구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제조된 시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포장도로에 밀착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2)포장도로의 포장 상태가 나쁘거나, 최소의 공사비를 요구하는 경우, 스프레이로 시공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3)건널목 같은 경우는 기호, 문자, 무늬가 미리 인쇄된 시트 또는 전사형 시트로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전사형 재귀반사체 다층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시트형 재귀반사체 다층구조의 종단면도
도 3은 스티커형 재귀반사체 다층구조의 종단면도
도 4는 잉크층의 패턴모양
도 5는 패턴모양이 도포된 잉크층의 종단면도
도 6은 유리구슬입자를 도포하는 스프레이 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기질 20 : 이형제층 30 : 표면보호층
40 : 유리구슬입자층 50 : 평면 잉크층 51 : 패턴 모양의 굴곡인쇄층
60 : 접착제층 61 : 점착제층 70 : 피도착물
80: 스프레이 81: 콤푸레샤 82 : 유리구슬입자 원액통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과 재귀반사용 전사시트의 특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서 기질(10)은 두께가 12㎛∼1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화합물로 제조된 필름들을 사용한다. 이형제(20)은 실리콘 코팅액(일본국/신월화학제품, 상품명 KS778)을 5㎛∼50㎛ 두께로 도포된 기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표면보호층(30)는 UV코팅으로서 상품명 라드락(대한민국/고려화학제품)을 사용하거나, 아크릴-우레탄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알키드계, 에폭시계 수지등으로서 고강도, 내마모성의 표면보호 역할을 하며 10㎛∼100㎛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하는 방법은 도포되는 두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로라-코팅은 3~10㎛, 바-코팅은 10∼200㎛의 도포 두께가 요구될 때에 적합하고, 스프레이-코팅은 10㎛이상의 두께로서 평면이 아닌 표면에도 사용된다.
유리구슬입자층(40)은 45㎛~500㎛의 입경(일본국/도시바-바로티니주식회사제품, 상품명 HGB-253)으로서 고 휘도의 광학용을 사용하였으며, 분말 상태로서 충분량을 자유낙하 하고 난 뒤에 UV코팅액이 묻지 않은 것들을 털어내거나 또는 2만∼3만볼트의 과전압으로 건 상태에서 튀겨서 부착하고 난 뒤에 UV코팅액이 묻지 않은 것들을 털어 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잉크층(50)은 바탕색깔을 나타냄과 동시에 재귀반사 기능을 하는 층이다. 흰색의 경우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비닐, 알키드, 아세탈, 등의 투명수지를 바인더로서 100 중량부와 안료로서 티탄디옥사이드 (미국/듀폰사, 제품명 R-902) 5∼40 중량부와 그리고 형광염료로서 MDAC(4-methyl-7diethyl-Amino-Cumarone) 1∼20 중량 부와 알루미늄 분말 0∼20중량부를 혼합하여 10㎛∼100㎛의 비교적 후막 도포를 위하여 바-코팅이 바람직하다. 흰색 이외의 색은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분말, 염료, 그리고 형광염료를 사용하여 잉크를 제조한다. 염료는 (독일국/ BASF사, 상품명 Thermoplast)으로 사용하였고, 노란색 염료로는 (독일국/ BASF사, 상품명 Thermoplast 골드-옐로 104) 혹은 (일본국/Sumika Fine Chem. 사, 상품명 Sumiplast Orange HRP)등과 같은 염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쇄층의 굴곡을 주는 방법으로서 첫 번째 인쇄층은 5㎛∼50㎛의 정도로 전체적으로 평면 도포하고 두 번째는 도 4와 같이 패턴이 새겨진 동판으로 10㎛∼100㎛ 정도의 두께로서 잉크가 묻는 원의 직경 d1은 1mm∼5mm가 바람직하며 원과 원 사이의 간격 d2은 0.1mm∼2mm가 바람직하며, 도 5과 같은 굴곡표면의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이들 재귀반사체의 색깔을 나타내는 것은 잉크층의 기본적인 색깔을 바탕으로 하고 염료로 투명 바인더를 엷게 염색한 것으로 표면코팅을 하여 전체적인 색깔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잉크층은 반사층의 효과와 함께 약간의 발광체의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접착제층(40)은 최종적으로 상품의 완성도를 결정하게 되는 기능층이며.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피도착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작업시간이 제한되어 있기 경우는 다음과 같은 까다로운 물성을 요구한다. 1) 접착이 수초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2) 초기 접착이 자동차 바퀴의 마찰에 떨어져나가지 않을 만큼 강해야 한다. 3) 초기 접착 이후 계속적으로 24시간 이내에 상온에서 경화가 진행된다. 4)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온도 차이와 비 또는 습기에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는 접착제로서는 순간적으로 열가소성이며 상온 경화형 타입의 접착제로서 에폭시, 우레탄,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타입의 접착제는 유기용제에 접착제를 녹인 것을 재귀반사체에 코팅하고 120℃ 정도의 열풍을 가하면서 도로에 밀착시키는 방법이며, 도로에 접착 된 후에도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상온에서 경화가 진행되어 견고한 물성으로 변할 수 있는 접착제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수용성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였고, 수용성 경화제로서 (대한민국/국도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상품명 H-23) 70 중량부를 물 150 중량부에 잘 혼합한 것을, 에폭시 주제로서 (대한민국/국도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YD-012) 100 중량부, 콜탈 100 중량부, 톨루엔 700 중량부, 아세톤 70 중량부의 혼합물과 섞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구성 화합물들은 인쇄 또는 코팅순서에 따라서 전사형, 시트형, 스티커형의 재귀반사체로 제조된다.
도 6은 포장도로에서 재귀반사표면을 직접 형성하기 위하여 투명 바안더 100 중량부에 유리구슬 5∼40중량부을 혼합하여 스프레이로 뿌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스프레이에 주입되는 공기압은 0.3kg/cm2∼4kg/cm2정도로 강제 주입하여 용액이 노즐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유리구슬이 잘 분산되기 위하여 교반장치가 부착된 실린더 형태의 용액통(82)으로 고안된 장치를 사용하였다. 노즐(80)은 T자형으로서 (미국/스프레이-시스템사제품, 상품명 1895-SS형)을 사용하고 공기압은 0.3kg/cm2∼3kg/cm2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노즐의 캡의 구경은 0.1mm ∼ 5mm가 바람직하고 내, 외부공기 혼합형으로서 분사각도는 30°∼60°를 사용하여 용액을 고루게 분사시켰다. 그리고 유리구슬 분말만을 스프레이하고 난 뒤 표면보호코팅을 따로 해도 무방하다. 위에서 제조된 잉크로서 흰색 또는 노란색의 잉크를 종래의 페인트처럼 포장도로에 도포한 위에 도 6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구슬을 분사하고 표면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포장도로 상에서 재귀반사표면을 직접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이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흰색 잉크 제조)
흰색 안료로서 티탄디옥사이드(미국/듀폰사 제품,상품명 R-902 ) 20 중량부, 형광증백제 MDAC(4-methyl-7diethyl-Amino-Cumarone) 1 중량부, 알루미늄 분말 5 중량부를 아크릴-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아세톤 100중량부와 톨루엔 100 중량부의 혼합용매에 희석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노란색 잉크 제조)
금속분말로는 청동분말로서 (일본국/FUKUDA사 제품, 상품명 4L7) 10 중량부를 오렌지색 염료 (독일국/BASF사, 상품명 Thermoplast 골드옐로 104) 1 중량부와 우레탄 주제 (대한민국/대산화학, 상품명 DS100) 20 중량부와 우레탄 경화제 (대한민국/대산화학, 상품명 DH100) 20 중량부의 혼합물을 아세톤 200 중량부에 희석하여 60℃의 싸이로에 분산시키면서 건조한 것을 30℃에서 24시간 경화시켜서 오렌지색 금속분말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금속분말 20 중량부와 용매에 녹는 아크릴-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아세톤과 톨루엔 혼합용액 200 중량부에 희석하여 잉크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포장도로 노란색 차선 시공)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잉크를 포장도로 위에 도포하고 도 6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구슬입자(일본의 도시바-바로티니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HGB-253) 20 중량부, UV 코팅액 (대한민국의 고려화학 제품, 상품명 라드락) 100 중량부와 오렌지색 염료 (독일국/BASF사, 상품명 Thermoplast 골드옐로 104) 1 중량부와 메탄올 100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도 6의 원액통(82)에 넣고 공기압을 0.7kg/cm2로 하고 T자형의 스프레이 노즐(80)은 (미국/스프레이-시스템사제품, 상품명 1895-SS형)과 외부공기 혼합형의 캡으로서 구경은 1.0mm, 분사각도가 60°을 사용하고 공기압을 0.7kg/cm2로서 용액을 고루게 분사시켜 도포하고 UV램프로 경화시켰다.
실시예 4. (전사형 재귀반사체 제조)
실리콘 이형제로서 (일본국/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KS778)이 3㎛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러프탈레이트(PET) 24㎛ 두께의 필름을 구입하여 UV코팅액 (대한민국의 고려화학 제품, 상품명 라드락)을 20㎛ 도포하고 평균입도 60㎛의 유리구슬입자(일본의 도시바-바로티니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HGB-253)을 충분량으로 낙하 시키면서 털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단층으로 도포하고 UV램프로 경화시켰다. 이 후에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잉크를 20㎛로 도포하여 열풍 건조시켜서 원하는 재귀반사체를 완성시킨다.
이렇게 완성된 재귀반사체는 상품명 H-23(대한민국/국도화학공업주식회사제품) 70 중량부, 물 150 중량부로 혼합한 수용성 경화제를 만들고, 에폭시수지를 주제로하고 (대한민국/국도화학공업주식회사제품, 상품명 YD-012) 100 중량부, 콜탈 100 중량부, 톨루엔 70 중량부, 아세톤 70 중량부로 혼합한 주제 혼합물을 수용성 경화제 혼합물과 섞어서 40㎛ 두께로 재귀반사체에 도포한다.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된 재귀반사체는 120℃로 가열 건조되면서 도로에 밀착하고 기질을 벗겨낸다. 이때 초기 인장접착강도는 110 kg/ cm2이며, 24시간 후의 인장접착강도는 230 kg/cm2이었다.
실시예 5. (시트형 재귀반사체)
실리콘 이형제로서 (일본국/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KS778)이 3㎛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러프탈레이트(PET) 24㎛필름을 구입하여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잉크를 20㎛로 도포하고 평균입도 60㎛의 유리구슬입자(일본의 도시바-바로티니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HGB-253)을 충분량으로 낙하시키면서 털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단층으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 후에 다시 UV코팅액 (대한민국의 고려화학 제품, 상품명 라드락)을 20㎛ 도포하고 UV램프로 경화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재귀반사체는 이형층이 도포된 기질과 각각 분리하여 감아 상품으로 출하하고 사용 시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피도착물에 접착시킨다.
실시예 6. (스티커형 재귀반사체)
실리콘 이형제로서 (일본국/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KS778)이 3㎛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러프탈레이트(PET) 24㎛필름을 구입하여 알키드수지의 점착제를 20㎛로 도포하여 열풍 건조시키고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잉크를 스프레이로 20㎛ 두께로 도포하고 평균입도 60㎛의 유리구슬입자(일본의 도시바-바로티니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HGB-253)을 충분량으로 낙하시키면서 털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단층으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 후에 다시 UV코팅액 (대한민국의 고려화학 제품, 상품명 라드락)을 20㎛ 도포하고 UV램프로 경화시킨 후에 감아서 상품으로 출하한다. 사용 시는,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을 벗기면 점착제층이 나와서 피도착물에 밀착시켜 사용한다.
실시예 7. (굴곡 재귀반사표면)
실시예 5, 6, 7의 잉크층 형성과정에서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잉크를 먼저 10㎛ 두께로 전체적으로 평면 도포하고 건조 한 후에 두 번째로 도 4와 같이 패턴이 새겨진 동판으로 30㎛의 두께로서 도포한다. 이때 잉크가 묻는 원의 직경 d1은 3mm이고 원과 원 사이의 간격 d2은 0.5mm로 하여 열풍건조시키고 나머지 공정은 실시예 5, 6, 7과 같이 행하여 굴곡 재귀반사 표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8. (재귀반사체의 문자, 숫자, 무늬 등의 인쇄)
실시예 5, 6, 7의 재귀반사체의 제조에서 인쇄 또는 코팅되는 모든 부분을 문자, 숫자, 무늬 등의 패턴이 새겨진 동판으로 도포하고 재귀반사 인쇄물로 만든다.
본 발명에 의해서 재귀반사체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포장도로의 시공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뿐만이 아니고 일상생활 용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기호, 무늬 등으로 미리 재귀반사체에 인쇄되었기 때문에 포장도로 상에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본 발명은 기질이 존재하지 않고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 만으로 구성된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를 포장도로에 직접 형성하는 것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제 1항의 잉크층에 있어서 흰색잉크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비닐, 알키드, 아세탈, 등의 투명수지를 바인더로 하여 100 중량부와 흰색안료로서 티탄디옥사이드 5∼40 중량부 그리고 형광염료로서 MDAC(4-methyl-7diethyl-Amino-Cumarone) 1∼20 중량부와 알루미늄 분말 0∼40중량부를 유기용매 50∼3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흰색잉크 또는 페인트의 제조에 관한다.
  3. 제 1항의 잉크층에 있어서 흰색 이외의 잉크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비닐, 알키드, 아세탈, 등의 투명수지를 바인더로 하여 100 중량부와 금속분말 5∼30 중량부, 염료 1∼20 중량부, 그리고 형광염료 1∼20 중량부를 사용하여 흰색 이외의 색깔을 나타내는 잉크 또는 페인트의 제조에 관한다. 금속분말은 알루미늄, 청동, 구리분말 등을 사용하고, 염료로는 독일국, BASF사의 상품명 Thermoplast 또는 일본국, Sumika Fine Chem. 사의 상품명 Sumiplast와 같이 투명한 색깔을 내는 염료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고 이들 염료들이 형광염료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으며 더욱 좋다.
  4. 제 1항에 있어서, 장치는 도 6과 같이 교반이 가능하고 공기의 가압이 가능한 원액통(82)와 구경이 0.1∼5mm이고 분사각도가 30°∼ 60°인 내, 외부공기 혼합형의 캡이 내장된 노즐(80)로 구성된 장치를 말하며, 그리고 이 장치를 포함하여 열풍 건조장치 및 기타의 도장장치들로 구성된 일체의 장치를 말한다.
  5. 제 1항에 있어서, 재귀반사체는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에 표면보호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 잉크층의 순서로 인쇄 또는 코팅된 것이며 사용 시에는 접착제를 피도착물 또는 재귀반사체에 도포하여 접착시키고 난 뒤에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을 벗겨내는 전사형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그리고 단일색을 포함하여 문자, 기호, 숫자 등으로 인쇄된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6. 제 1항에 있어서, 재귀반사체는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에 점착제층,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의 순서로 인쇄 또는 코팅된 것이며 사용 시에는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을 벗겨내어 접착시키는 스티커형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그리고 단일색을 포함하여 문자, 기호, 숫자 등으로 인쇄된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7. 제 1항에 있어서, 재귀반사체는 제조공정에서 이형제가 도포된 기질이 벗겨지고 잉크층, 유리구슬입자층, 표면보호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 시에는 접착제를 피도착물 또는 재귀반사체에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시트형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그리고 단일색을 포함하여 문자, 기호, 숫자 등으로 인쇄된 재귀반사체를 말한다.
  8. 제 5, 6, 7항에 있어서, 재귀반사체의 피도착물은 포장도로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포함한 모든 도로표식용 구조물에 사용된다.
  9. 제 5, 6, 7항에 있어서, 재귀반사체의 피도착물은 문구용을 포함한 모든 생활용품에 사용된다.
  10. 제5, 6, 7항에 있어서, 잉크층은 재귀반사 효율을 넓히는 목적으로 2도이상 인쇄 또는 코팅된다. 첫 번째 코팅은 민무늬로 평면으로 코팅되고 두 번째부터는 도4과 같은 패턴으로 인쇄 또는 코팅되어 표면에 굴곡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000000809A 2000-01-08 2000-01-08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KR20000018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809A KR20000018066A (ko) 2000-01-08 2000-01-08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809A KR20000018066A (ko) 2000-01-08 2000-01-08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66A true KR20000018066A (ko) 2000-04-06

Family

ID=1963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809A KR20000018066A (ko) 2000-01-08 2000-01-08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06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954A (ko) * 2000-07-14 2002-01-26 이병호 빛 반사체가 구비된 도로 야광 안전 경계석
KR100354714B1 (ko) * 2000-04-25 2002-09-30 김정열 유리구슬 비드전사지 제조방법
KR20030007989A (ko) * 2001-06-26 2003-01-24 주식회사 브로드켐 유리구슬 전사 방법
KR100371619B1 (ko) * 2000-04-25 2003-02-11 김정열 스크린인쇄방법을 이용한 유리구슬비드제조방법
KR100973980B1 (ko) * 2010-02-02 2010-08-05 정영호 내구성 및 우천시 재귀반사도가 우수한 재귀반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재귀반사체
KR20210134522A (ko) * 2021-10-18 2021-11-10 주) 길빛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 도색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910A (ja) * 1994-07-22 1996-04-02 Nippon Carbide Ind Co Inc 再帰反射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153701A (ja) * 1996-11-19 1998-06-0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再帰性反射シート
KR19980042968A (ko) * 1998-05-13 1998-08-17 김일한 고내구성 축광 재귀반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H11305020A (ja) * 1998-04-24 1999-11-05 Hisao Ogi 微小球突出型着色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JPH11305019A (ja) * 1998-04-24 1999-11-05 Hisao Ogi 微小球突出型補強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910A (ja) * 1994-07-22 1996-04-02 Nippon Carbide Ind Co Inc 再帰反射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153701A (ja) * 1996-11-19 1998-06-0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再帰性反射シート
JPH11305020A (ja) * 1998-04-24 1999-11-05 Hisao Ogi 微小球突出型着色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JPH11305019A (ja) * 1998-04-24 1999-11-05 Hisao Ogi 微小球突出型補強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KR19980042968A (ko) * 1998-05-13 1998-08-17 김일한 고내구성 축광 재귀반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714B1 (ko) * 2000-04-25 2002-09-30 김정열 유리구슬 비드전사지 제조방법
KR100371619B1 (ko) * 2000-04-25 2003-02-11 김정열 스크린인쇄방법을 이용한 유리구슬비드제조방법
KR20020006954A (ko) * 2000-07-14 2002-01-26 이병호 빛 반사체가 구비된 도로 야광 안전 경계석
KR20030007989A (ko) * 2001-06-26 2003-01-24 주식회사 브로드켐 유리구슬 전사 방법
KR100973980B1 (ko) * 2010-02-02 2010-08-05 정영호 내구성 및 우천시 재귀반사도가 우수한 재귀반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재귀반사체
KR20210134522A (ko) * 2021-10-18 2021-11-10 주) 길빛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 도색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4271C (en) Adhesive tape for painting
AU764759B2 (en) Adhesion-enhancing surfaces for marking materials
GB1458253A (en) Multicoloured reflective articles
WO2005106541A1 (ja) 色相可変型再帰性反射シート
US20030211299A1 (en) Adhesion-enhancing surfaces for marking materials
CN103777262A (zh) 反光物品工艺
WO2013172862A1 (en) Decorative sheet
CN104334364A (zh) 纹理化热转印标签
KR20000018066A (ko) 재귀반사표면과 재귀반사체의 제조와 장치
CN207619318U (zh) 粘着膜
CN106029391A (zh) 标记基底的方法
CN216466684U (zh) 一种tpu多层改色车衣
JPH07295487A (ja) 光再帰性反射塗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1329670A (ja) 滑り防止テープ
JP2015031809A (ja) 再帰性反射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321432B1 (ko)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다층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702998U (zh) 干擦片
CN216697638U (zh) 冷烫变色膜
CN218561325U (zh) 一种激光防伪反光膜标签
JP2013059921A (ja) ビーズ装飾体及びビーズによる表面装飾方法
JP2001317171A (ja) 滑り防止テープ
JPH0225679Y2 (ko)
JP2000135772A (ja) 金属光沢調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04545A (ja) 路面用装飾シート
US20060216453A1 (en) Durable pigment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