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958A -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 Google Patents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958A
KR20000013958A KR1019980033125A KR19980033125A KR20000013958A KR 20000013958 A KR20000013958 A KR 20000013958A KR 1019980033125 A KR1019980033125 A KR 1019980033125A KR 19980033125 A KR19980033125 A KR 19980033125A KR 20000013958 A KR20000013958 A KR 20000013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frame
cart
moving car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958A/ko
Publication of KR2000001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22Gas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44Clamping or supporting circumfer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각설비 등에 설치되는 가스실린더(1)를 이동하기 위한 카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손잡이(11) 및 전후 주행용 로울러(12)를 구비한 중공형의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스실린더 안착부(13)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된 동력발생부(20)와, 이 동력발생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적재판(3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종 설비 내에 새로운 가스실린더(1)를 교체하거나 카트 내에 가스실린더(1)를 적재하고자 할 때 승강적재판(30)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실린더(1)의 적재 및 반출 작업이 용이하고, 콘트롤박스(15)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작동판(30)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가스실린더(1)의 이동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본 발명은 식각설비 등에 설치되는 가스실린더를 이동하기 위한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실린더의 적재 및 반출이 용이하고, 설비 내에 가스실린더의 교체시 조작이 간편하며, 가스실린더의 이동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 중에는 식각공정이 포함되며, 상기 식각공정(Etch Process)은 포토레지스트 현상 후 감광액 밑에 성장, 침적, 층착된 박막을 가스나 화공약품(Chemical)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플라즈마 등의 가스를 이용한 건식식각(Dry Etch)과, 케미컬을 이용한 습식식각(Wet Etch)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식각공정 중에서 건식식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스가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제반 공정에 필요한 유틸리티(Utility)의 하나로서 가스를 식각설비 내에 직접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편리하겠지만, 사전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가 필요한 주기에 이르렀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는 외부 업체에서 실린더 내에 가스를 충전한 후, 카트 등과 같은 운반도구를 사용하여 이를 식각설비가 구비된 위치까지 운반하고, 상기 식각설비 내의 소모된 실린더를 제거한 후, 새로운 실린더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는 가스실린더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카트로부터 가스실린더를 꺼내고자 할 때,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하고 있는 캐비닛의 하단부 및 실린더 저울의 설치 위치가 높아서 가스실린더를 들어내기가 어렵고, 따라서 가스실린더의 윗부분을 잡고 회전시켜 식각설비 내에 밀어넣는 조작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져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스실린더의 적재 및 반출이 용이하고, 설비 내에 가스실린더의 교체시 조작이 간편하며, 가스실린더의 이동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적재판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 내에 적용된 동력발생부의 일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실린더 10 ; 프레임
11 ; 손잡이 12 ; 주행용 로울러
13 ; 가스실린더 14 ; 가이드슬롯
15 ; 콘트롤박스 16 ; 실린더커버
20 ; 동력발생부 21 ; 모우터기어박스
22 ; 모우터 23 ; 감속기어
24 ; 권취풀리 25 ; 도르레
26 ; 와이어 30 ; 승강적재판
31 ; 가이드로울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는 손잡이 및 전후 주행용 로울러를 구비한 중공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스실린더 안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동력발생부와, 이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적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가스실린더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외측으로 개폐 가능한 실린더커버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는 손잡이(11) 및 전후 주행용 로울러(12)를 구비한 중공형의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스실린더 안착부(13)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된 동력발생부(20)와, 이 동력발생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적재판(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가스실린더(1)가 안착되는 안착부(30)의 외측으로 개폐 가능한 실린더커버(16)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커버(16)는 프레임(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개방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내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10)에 일체로 보강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승강적재판(3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적재판(30)의 양측부와 각각 인접하는 내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의 가이드슬롯(14)이 절개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1)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부(2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1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력발생부(20)는 적정 속도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우터기어박스(21)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모우터기어박스(21) 및 승강적재판(30)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26)와, 이 와이어(26)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도르레(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우터기어박스(21)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우터(22)와, 이 모우터(2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켜주는 감속기어(23)와, 이 감속기어(23)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우터(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26)를 감거나 풀어 주는 권취풀리(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적재판(30)은 상기 프레임(10)과 인접하는 양측 모서리부에 상기 프레임(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로울러(3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비의 사전 예방정비가 필요한 주기에 이르렀을 때 가스실린더(1) 내에 가스를 충전한 후, 본 발명의 카트를 사용하여 이를 설비의 위치까지 운반하고, 상기 설비 내의 소모된 가스실린더(1)를 제거한 후, 새로운 가스실린더(1)로 교체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카트의 손잡이(11)를 잡고 전방으로 밀게 되면 주행용 로울러(12)가 회전하면서 설비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때, 콘트롤박스(15)의 버튼을 조작하면 동력발생부(20)의 모우터(22)가 정방향으로 감속 회전할 때 상기 권취풀리(24)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26)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도르레(25)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26)를 풀림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26)가 신장될 때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로울러(31)가 회전하면서 내려감과 동시에 상기 승강적재판(30)도 가스실린더(1)를 적재한 상태로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스실린더(1)를 반출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스실린더(1)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안착부(13) 및 승강적재판(30)의 상면에 가스실린더(1)를 적재하게 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박스(15)의 버튼을 조작하여 동력발생부(20)의 모우터(22)가 역방향으로 감속 회전할 때 상기 권취풀리(24)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26)를 감아주게 되고, 이때 상기 도르레(25)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26)를 권취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며, 또한, 상기 와이어(26)가 권취될 때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로울러(31)가 회전하면서 올라감과 동시에 상기 승강적재판(30)도 가스실린더(1)를 적재한 채로 함께 상승하여 운반이 용이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실린더(1)를 운반할 때에는 상기 가스실린더(1)의 외측에 실린더커버(16)를 덮은 후 체결함으로써 상기 가스실린더(1)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는 각종 설비 내에 새로운 가스실린더(1)를 교체하거나 카트 내에 가스실린더(1)를 적재하고자 할 때 승강적재판(30)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가스실린더(1)의 적재 및 반출 작업이 용이하고, 콘트롤박스(15)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작동판(30)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가스실린더(1)의 이동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손잡이 및 전후 주행용 로울러를 구비한 중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스실린더 안착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적재판;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스실린더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외측으로 개폐 가능한 실린더커버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개방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내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보강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승강적재판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적재판의 양측부와 각각 인접하는 내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의 가이드슬롯이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적정 속도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우터기어박스;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모우터기어박스와 승강적재판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도르레;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모우터기어박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우터;
    상기 모우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주는 감속기어; 및
    상기 감속기어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우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주는 권취풀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의 이동용 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적재판은 상기 프레임과 인접하는 양측 모서리부에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로울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KR1019980033125A 1998-08-14 1998-08-14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KR20000013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125A KR20000013958A (ko) 1998-08-14 1998-08-14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125A KR20000013958A (ko) 1998-08-14 1998-08-14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58A true KR20000013958A (ko) 2000-03-06

Family

ID=1954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125A KR20000013958A (ko) 1998-08-14 1998-08-14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95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05A (ko) 2016-12-06 2018-06-15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실린더 이동용 카트
CN110217277A (zh) * 2019-04-30 2019-09-1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载气瓶搬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280986B1 (ko) * 2020-09-01 2021-07-23 (주) 한일사이메드 원심분리기용 바울의 장·탈착용 전동 틸팅 대차
KR102358744B1 (ko) 2021-08-12 2022-02-08 대한민국 이동형 가스실린더 수납 케이스
KR20220062773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스타웍스 유압을 이용한 원심분리기용 바울의 장·탈착용 전동 틸팅 대차
CN114954590A (zh) * 2022-07-12 2022-08-30 淄博安泽特种气体有限公司 一种气瓶可上下伸缩式转运车
CN116118839A (zh) * 2022-12-01 2023-05-16 中山小神童创新科技有限公司 气瓶翻转推车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05A (ko) 2016-12-06 2018-06-15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실린더 이동용 카트
CN110217277A (zh) * 2019-04-30 2019-09-1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载气瓶搬运装置及其操作方法
CN110217277B (zh) * 2019-04-30 2023-10-2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载气瓶搬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280986B1 (ko) * 2020-09-01 2021-07-23 (주) 한일사이메드 원심분리기용 바울의 장·탈착용 전동 틸팅 대차
KR20220062773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스타웍스 유압을 이용한 원심분리기용 바울의 장·탈착용 전동 틸팅 대차
KR102358744B1 (ko) 2021-08-12 2022-02-08 대한민국 이동형 가스실린더 수납 케이스
CN114954590A (zh) * 2022-07-12 2022-08-30 淄博安泽特种气体有限公司 一种气瓶可上下伸缩式转运车
CN116118839A (zh) * 2022-12-01 2023-05-16 中山小神童创新科技有限公司 气瓶翻转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467979A (en) Elevator for electric machine
KR20000013958A (ko) 가스실린더 이동용 카트
US3971484A (en) Truck mounted carpet handling equipment
JP2888818B1 (ja) 線材巻取ボビンの端末処理装置
US20210047060A1 (en) Wrapping machine
CN214648359U (zh) 一种设备运输装置
JP2017043169A (ja) エレベータ用制御ケーブルの送り出し機能付き運搬台車
US3738521A (en) Work handling apparatus
JPH10128736A (ja) ワイヤソー
EP0094784A2 (en) Apparatus for reeling
KR0140352Y1 (ko) 전동식 지게차용 배터리 반출구조
CN112223346A (zh) 一种移动机器人的收纳系统及其使用方法
CN217398106U (zh) 一种简易上丝小车装置
KR100273660B1 (ko) 쓰레기 수거차량용 암롤박스
KR100233036B1 (ko) 코일 권선장치의 코일 풀림 방지용 지그
JP4244413B2 (ja) 搬送設備
CN216145729U (zh) 一种电池包转运装置
CN216633562U (zh) 一种五轴联动式数控雕刻机
CN217732522U (zh) 一种方便安装的陶瓷材料升降机构
JPH0670312B2 (ja) 撚線機のボビン着脱装置
KR200327943Y1 (ko) 승강장치의 핸들구조
KR200196311Y1 (ko) 스틸슬리브의 이송장치
KR100899694B1 (ko) 스틸슬리브 재배열 기능을 가지는 슬리브 공급장치
JPS5834139Y2 (ja) 電動シ−トリフタ−の補助ハツカ−開閉装置
KR100261467B1 (ko) 트레이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