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81U -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81U
KR20000012181U KR2019980025081U KR19980025081U KR20000012181U KR 20000012181 U KR20000012181 U KR 20000012181U KR 2019980025081 U KR2019980025081 U KR 2019980025081U KR 19980025081 U KR19980025081 U KR 19980025081U KR 20000012181 U KR20000012181 U KR 200000121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guider
foot rest
gui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5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181U/ko
Publication of KR20000012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81U/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보다 안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발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는 조수석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전면에 장착되는 대시보드와,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에 수납되는 풋 레스트와, 상기 풋 레스트의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풋 레스트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소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발판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발판의 인출된 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본 고안은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보다 안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발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은 운송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생활의 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은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생활에 필요한 모든 편의시설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편의시설은 차량의 주행상태 뿐만 아니라 정지한 상태에서의 휴식공간도 제공하여야 한다.
종래의 차량은 앞좌석의 시트백이 뒤로 눕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앞뒤좌석의 공간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앞좌석의 시트백이 180도 전개되어 차량의 앞 뒤 좌석을 이어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앞뒤좌석이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수석의 사람이 길게 누워 잠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으나 휴식을 취하는 사람의 발은 앞좌석 시트 밖으로 나가 허공에 둘 수밖에 없다. 이는 차량의 설계구조상 일정한 수준의 승객실 길이와 주행시 탑승자의 앉은 자세에서 확보해야 하는 레그 룸(leg room)공간등, 만일의 사태에 발생되는 충돌시의 안전 공간까지도 고려되어 앞좌석 시트의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계상의 제한으로 실제로 앞좌석 시트백을 180도 전개하여 누워보면 마땅히 발을 올려놓을 공간이 없어 몸을 웅크리거나 발을 대시보드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보다 안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수석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발판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수석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전면에 장착되는 대시보드와,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에 수납되는 풋 레스트와, 상기 풋 레스트의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풋 레스트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소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발판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발판의 인출된 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풋 레스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수석 풋 레스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풋 레스트에 결합된 발판이 조수석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수석 풋 레스트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발판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더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조수석 풋 레스트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발판이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c는 도 5b에서 발판의 계속적인 인출에 따라 가이더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풋 레스트(12)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수석 풋 레스트(12)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풋 레스트(12)에 결합된 발판(14)이 조수석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수석 풋 레스트(12)에 형성된 가이드부(16)와 상기 가이드부(16)에 결합되어 발판(14)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더(18)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조수석 풋 레스트(12)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발판(14)이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발판(14)의 계속적인 인출에 따라 가이더(18)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본 고안은 조수석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전면에 장착되는 대시보드(10)와,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10)에 수납되는 풋 레스트(12)와, 발판(14), 가이드부(16), 가이더(18)로 구성한다.
상기 발판(14)은 상기 풋 레스트(12)의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10)로부터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풋 레스트(12)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일종의 쿠션이다.
상기 가이드부(16)는 상기 발판(14)의 양측에 소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발판(14)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16)는 상기 풋 레스트(1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18)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통로인 안내홈(20)과, 상기 가이더(18)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판(22)과, 상기 가이더(18)의 길이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더(18)는 상기 가이드부(16)와 상기 발판(14)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16)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발판(14)의 인출된 상태를 지지한다. 상기 가이더(18)는 장공형의 가이드 홀(26)과, 상기 가이드부(16)에 형성된 걸림턱(24)에 걸리는 스토퍼(28)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16)로부터 슬라이딩되는 발판(14)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상기 발판(14)의 양측면 일단에는 상기 가이더(18)에 형성된 가이드 홀(26)에 끼워져 상기 발판(14)의 인출시 상기 가이더(18)를 연동시키는 제1돌기(30)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14)의 양측면 타단에는 상기 인출된 발판(14)의 삽입시 상기 가이더(18)를 연동시키는 제2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12)의 장착위치는 상기 차량의 조수석 전방에 형성되는 글로브 박스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풋 레스트(12)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글로브 박스내에 수납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글로브 박스의 구조를 약간 변경하고, 상기 글로브 박스의 개폐부에 풋 레스트(12)를 장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풋 레스트(12)의 사용시 그 높이를 앞좌석의 시트 높이정도로 두어 뒷좌석에서부터 앞좌석을 지나 풋 레스트(12)면을 같은 수준의 높이로 두어 승객이 누웠을 때 편안한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수석 탑승자의 발이 위치되는 공간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즉, 기존의 보조석 레그 룸을 설계시 필요한 모든 공간을 그대로 두고 보다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므로써 차량의 생활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보다 유용하게 할 수 잇다.
상기 풋 레스트(12)는 조수석 탑승자뿐만 아니라 뒷좌석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뒷좌석에도 장착할 수 있다. 즉, 전방 좌석의 후면에 풋 레스트(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장착하여 뒷좌석 탑승자가 충분한 휴식과 편안함을 추구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12)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 대시보드(10)에 풋 레스트(12)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레스트(12)가 열리는 과정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가 개폐되는 과정과 동일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레스트(12)가 대시보드(10)로부터 열려진 상태에서 발판(14)을 조수석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발판(14)과 가이더(18)가 인출된다. 이와는 반대로 발판(14)을 대시보드(10)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풋 레스트(12)로부터 인출된 발판(14)과 가이더(18)는 가이드부(16)를 따라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풋 레스트(12)로부터 발판(14)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 5a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조수석 풋 레스트(12)가 대시보드(10)로부터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발판(14)을 조수석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다. 이때 발판(14)을 계속 슬라이딩시키면 발판(14)의 양측면 일단에 형성된 제1돌기(30)는 가이더(18)의 장공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돌기(30)에 의해 상기 발판(14)과 가이더(18)는 연동하게 되며, 결국 도 5c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발판(14)과 가이더(18)가 인출된다.
도 5c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14)과 가이더(18)가 도 5a에 도시된 상태로 삽입되는 과정은 전술한 발판(14)의 인출과정과 역순이다. 이때 상기 발판(14)의 양측면 일단에 형성된 제1돌기(30)는 상기 가이더(18)의 가이드 홀(26)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발판(14)의 양측면 타단에 형성된 제2돌기(32)는 상기 가이더(18)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더(18)가 안내홈(20)으로 삽입되도록 힘을 전달한다. 즉, 상기 발판(14)의 인출 및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더(18)가 연동되는 것은 상기 발판(14)의 제1, 제2돌기(30, 3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는 발판을 승객의 발목부위에 맞추어 슬라이드시켜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보다 편하고 바르게 위치시켜 발의 피로를 덜어주고, 발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납하므로써 조수석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공간을 보다 여유 있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수석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전면에 장착되는 대시보드와,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에 수납되는 풋 레스트와,
    상기 풋 레스트의 타단이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풋 레스트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소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발판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발판의 인출된 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풋 레스트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통로인 안내홈과, 상기 가이더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판과, 상기 가이더의 길이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장공형의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발판의 움직임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양측면 일단에는 상기 가이더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끼워져 상기 발판의 인출시 상기 가이더를 연동시키는 제1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양측면 타단에는 상기 인출된 발판의 삽입시 상기 가이더를 연동시키는 제2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2019980025081U 1998-12-15 1998-12-15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200000121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81U KR20000012181U (ko) 1998-12-15 1998-12-15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81U KR20000012181U (ko) 1998-12-15 1998-12-15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81U true KR20000012181U (ko) 2000-07-05

Family

ID=6950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081U KR20000012181U (ko) 1998-12-15 1998-12-15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18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93A (ko) * 2001-04-21 2001-07-13 송학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KR200495004Y1 (ko) * 2020-11-19 2022-02-14 강형순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93A (ko) * 2001-04-21 2001-07-13 송학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KR200495004Y1 (ko) * 2020-11-19 2022-02-14 강형순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3903A (ko) 간이침대 겸용 운송수단 시트
KR20000012181U (ko)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100502144B1 (ko) 버스용 시트
KR200147887Y1 (ko) 장애자용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JPH11321419A (ja) 車両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装置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900009323Y1 (ko)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19980017745U (ko) 리어시트 수납식 취침용 베개
KR100195024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
JPH0614602Y2 (ja) 車両用シ−ト
KR10022938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조립구조
KR0121367Y1 (ko)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JPH0614601Y2 (ja) 車両用シ−ト
KR200141702Y1 (ko) 차량용 디포짓트박스의 발판구조
KR10044466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JPH06225821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0185171Y1 (ko) 시트벨트변경구조
KR0137061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0175818B1 (ko) 다용도 받침대가 구비된 자동차의 앞좌석 등받이
KR0128834Y1 (ko) 자동차 앞좌석 시트의 절첩식 등받이
KR19990006411U (ko) 3 도어형 자동차의 시트
KR19990027159U (ko) 자동차용 시트 가이드레일구조
KR19980036741U (ko) 승용차의 뒷좌석 푸트 레스트 장치
KR19980047111U (ko) 자동차의 뒷좌석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