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67Y1 -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367Y1
KR0121367Y1 KR2019940014798U KR19940014798U KR0121367Y1 KR 0121367 Y1 KR0121367 Y1 KR 0121367Y1 KR 2019940014798 U KR2019940014798 U KR 2019940014798U KR 19940014798 U KR19940014798 U KR 19940014798U KR 0121367 Y1 KR0121367 Y1 KR 0121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pace
lever
side plat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165U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4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367Y1/ko
Publication of KR960001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뒷 시트의 시트쿠션과 앞 시트의 시트백 사이에 생기는 공간에 어린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어린이가 잠을 자거나 놀 수 있는 장소를 확보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뒷 시트의 시트쿠션(1)을 중간플로워 패널(2)의 양측에 고정한 브래킷(3)(3')에 설치하여 시트쿠션(1)의 하부와 중간플로워 패널(2)사이에 공간부(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4)의 중간플로워 패널(2)의 양측에 고정레일(5)(5')을 고정하여 이동레일(6)(6')을 끼워 설치하고, 이동레일(6)(6')에 축(10)으로 지지링크(7)(7')(8)(8')를 설치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돌기(9)(9')를 보조시트(11)의 측판(12)(12')에 뚫은 슬롯(13)(13')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보조시트(11)를 상기 공간부(4)에 위치되게 하며, 보조시트(11)의 측판(12)에 구멍(15)을 뚫어 레버(16)를 끼워 설치한 후 레버(16)에 링크(17)(17')를 고정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8)(18')가 지지링크(7)(7')에 뚫은 구멍(19)(19')에 걸리게 되는 로크기구(20)를 설치하며, 그리고 상기 측판(12)에 형성된 구멍(15)에는 홈(21)을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22)으로 탄설된 볼(23)을 설치하여 레버(16)에 형성된 홈(24)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B-B 선 단면 확대도.
제5도 본 고안의 실시예의 레일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트쿠션 3,3':브래킷
4:공간부 5:고정레일
6:이동레일 7,7',8,8':지지링크
9,9':돌기 11:보조시트
13,13':슬롯 16:레버
17,17':링크 18,18':고정돌기
19,19':구멍 20:로크기구
본 고안은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앞 시트와 뒷 시트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보조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시트는 그 크기를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그 배열도 성인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뒷 시트의 시트쿠션과 앞 시트의 시트백 사이에는 탑승자의 탑승을 위하여 일정 폭을 유지하여야 하고 뒷 시트의 시트쿠션과 플로워 패널 사이에도 일정높이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한 일정폭과 일정높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은 어린이의 신체조건과 비교할 때 너무 커서 뒷 시트에 어린이가 탑승하였을 때에 주행중 급제동 등에 의하여 어린이가 공간에 빠지는 경우가 있고, 뒷 시트의 시트쿠션에서 어린이들이 놀 때에도 상기한 공간이 제약요건이 될 뿐 아니라 시트 쿠션만으로는 장소가 협소하여 놀이 등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뒷 시트의 시트쿠션과 앞 시트의 시트백 사이의 공간에 어린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놀이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뒷 시트의 시트쿠션을 중간 플로워 패널에 고정한 브래킷에 설치하여 시트쿠션 하부에 보조시트 설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플로워 패널의 양측에 고정레일을 고정하여 이동레일을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동레일에 지지링크를 설치하여 그 선단의 돌기를 보조시트의 측판에 뚫은 슬롯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보조시트를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게 하며, 지지링크에 로크기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시트의 시트쿠션(1)을 중간플로워 패널(2)의 양측에 고정한 브래킷(3)(3')에 설치하여 시트쿠션(1)의 하와 중간플로워 패널(2) 사이에 공간부(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4)의 중간플로워 패널(2)의 양측에 고정레일(5)(5')을 고정하여 이동레일(6)(6')을 슬라이딩 되게 끼워 설치하고, 동시에 이동레일(6)(6')에 지지축(10)으로 지지링크(7)(7')(8)(8')를 설치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돌기(9)(9')를 보조시트(11)의 측판(12)(12')에 뚫은 스롯(13)(13')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보조시트(11)를 상기 공간부(4)에 위치되게 하며, 보조시트(11)의 측판(12)에 구멍(15)을 뚫어 레버(16)를 끼워 설치한 후 레버(16)에 링크(17)(17')를 고정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8)(18')가 지지링크(7)(7')에 뚫은 구멍(19)(19')에 걸리게 되는 로크기구(20)를 설치하며, 그리고 상기 측판(12)에 형성된 구멍(15)에는 홈(21)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2)으로 탄설된 볼(23)을 설치하여 레버(16)에 형성된 홈(24)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5는 이동레일(6)(6')에 설치한 돌기로서 보조시트(11)를 앞 시트의 시트백(14) 방향으로 빼어냈을 때 고정레일(5)(5')에 형성한 걸림턱(26)에 거려 이동레일(6)(6')이 고정레일(5)(5')에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며, 28은 지지축(10)에 감은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로크기구(20)는 일측 지지링크(7)(7')에만 설치하였으나 타측 지지링크(8)(8')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제1도 상태에서 로크기구(20)의 레버(16)를 잡아당겨 링크(17)(17')에 형성한 고정돌기(18)(18')를 지지링크(7)(7')에 뚫은 구멍(19)(19')에서 빼고 보조시트(11)를 상면에서 누르면 지지링크(7)(7')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9)(')가 측판(12)(12')에 뚫은 슬롯(13)(13')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접혀지므로 보조시트(11)를 시트쿠션(1)과 플로워 패널(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에 밀어넣어 두었다가, 보조시트(1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보조시트(11)를 앞 시트의 시트백(14) 방향으로 잡아당겨 이동레일(6)(6')을 고정레일(5)(5')에서 슬라이딩 시켜 보조시트(11)를 빼어낸 후 보조시트(11)를 들어 올리면 지지링크(7)(7')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9)(')가 슬롯(13)(13')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그 높낮이가 시트쿠션(11)과 거의 동일하게 되면서 앞 시트백(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차폐되는 것이다.
그 후에 레버(16)를 측판(12) 측으로 밀어서 링크(17)(17')에 형성된 고정돌기(18)(18')를 지지링크(7)(7')에 뚫은 구멍(19)(19')에 밀어 넣으면 고정돌기(18)(18')가 구멍(19)(19')에 결합되면서 지지링크(7)(7')가 로크되어, 지지링크(7)(7')가 슬롯(13)(13')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조시트(11)의 상방에서 하중을 가하더라도 보조시트(11)가 접혀지지 않으므로 보조시트(11)위에서 어린이들이 편하게 잠을 자거나 놀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뒷 시트의 시트쿠션과 중간플로워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보조시트를 밀어 넣어 두었다가 어린이들이 탑승하거나 뒷 시트에 화물 등을 적재할 경우에 보조시트를 앞 시트백 방향으로 빼어내서 앞 시트백과 뒷 시트의 시트쿠션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차폐하므로서 주행시의 급제동에도 어린이가 상기 공간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주행시에 어린이들이 뒷 시트의 시트쿠션에서 잠을 자거나 놀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편안하게 잠을 자거나 유쾌한 놀이를 할 수 있으며, 뒷 시트에 화물을 적재할 때에도 그 적재상태가 양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뒷 시트의 시트쿠션을 중간 플로워 패널에 고정한 브래킷에 설치하여 시트쿠션 하부에 보조시트 설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플로워 패널의 양측에 고정레일을 고정하여 이동레일을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동레일에 지지링크를 설치하여 그 선단의 돌기를 보조시트의 측판에 뚫은 슬롯에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설치하며, 지지링크에 로크기구를 설치하여서 된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기구는 보조시트의 측판에 구멍을 뚫어 레버를 끼워 설치한 후 레버에 링크를 고정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지지링크에 뚫은 구멍에 걸리게 한,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KR2019940014798U 1994-06-23 1994-06-23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KR0121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798U KR0121367Y1 (ko) 1994-06-23 1994-06-23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798U KR0121367Y1 (ko) 1994-06-23 1994-06-23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65U KR960001165U (ko) 1996-01-17
KR0121367Y1 true KR0121367Y1 (ko) 1998-07-15

Family

ID=1938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798U KR0121367Y1 (ko) 1994-06-23 1994-06-23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77A (ko) * 2017-10-13 201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77A (ko) * 2017-10-13 201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65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368A (en)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KR960012613B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EP0618102B1 (en) Vehicle seat support assembly
EP1661752B1 (en) Vehicle seat device
KR0121367Y1 (ko)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US20220340054A1 (en) Passenger seat assembly with child car seat rail system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0502144B1 (ko) 버스용 시트
JP3870416B2 (ja)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GB2418137A (en) A sea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in a vehicle
KR200147887Y1 (ko) 장애자용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JPH08188071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08398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745180B2 (ja) 身体障害者用座席
EP0621174B1 (en) Seat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JPS6135013B2 (ko)
KR0138217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19990015764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225490Y1 (ko) 리어시트폴딩장치
KR20000012181U (ko)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JPH0332431Y2 (ko)
KR970000211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JP3368526B2 (ja) 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0126308Y1 (ko) 자동차용 시이트 슬라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