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77A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1677A KR20190041677A KR1020170133182A KR20170133182A KR20190041677A KR 20190041677 A KR20190041677 A KR 20190041677A KR 1020170133182 A KR1020170133182 A KR 1020170133182A KR 20170133182 A KR20170133182 A KR 20170133182A KR 20190041677 A KR20190041677 A KR 20190041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k
- vehicle
- cushion frame
- seat
- upper tr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6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관골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면서, 탑승자가 시트쿠션과 시트벨트 사이를 통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측에 설치되는 어퍼트랙(12)과,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쿠션 프레임(15)을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13)(14)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측에 설치되는 어퍼트랙(12)과,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쿠션 프레임(15)을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13)(14)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관골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면서, 탑승자가 시트쿠션과 시트벨트 사이를 통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는 통상적으로 상기 탑승자가 편안한 상태로 착좌하는 것을 목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시트는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저감되는 구조도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에는 시트벨트가 적용되어, 상기 차량의 충돌시, 상기 시트로부터 상기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아울러, 상기 차량에는 상기 탑승자의 충돌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백과 니볼스터도 적용된다.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탑승자의 후방에서 상기 탑승자가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면, 상기 에어백과 상기 니볼스터는 상기 탑승자의 전방에서 상기 탑승자가 앞으로 밀려오지 않도록 밀어내게 된다.
상기 시트벨트는 상기 탑승자의 복부를 가로지르도록 착용되는데, 상기 차량의 충돌시, 상기 시트벨트는 상기 탑승자의 복부를 가압하고, 상기 탑승자의 하체는 앞으로 쏠리기 때문에,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관절부위인 관골구에 인장하중을 가한다. 상기 에어백과 니볼스터는 상기 시트벨트와 반대로 상기 관골구에 압축하중을 가한다.
충돌 초기에는 상기 시트벨트에 의한 구속력이 작용하고, 이후 상기 에어백과 상기 니볼스터에 의한 구속력이 작용한다. 상기 탑승자와 상기 시트의 위치에 의해 상기 탑승자의 무릎거리(무릎과 차량 실내 전단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다. 이에 따라 무릎거리가 길면 상기 탑승자의 무릎이 에어백이나 니볼스터에 닿기 전에 최대의 인장하중이 작용하고, 무릎거리가 짧으면 에어백과 니볼스터에 의해 압축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골구에 작용하는 인장하중과 압축하중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무릎거리도 적절한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트랙에 따르면, 쿠션 프레임이 위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트랙 어셈블리(1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시트 트랙의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 트랙 어셈블리(110)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로워트랙(111)과, 상기 로워트랙(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트랙(112)과, 상기 어퍼트랙(112)에 하단이 힌지연결되는 전방연결링크(113) 및 후방연결링크(114)와, 상기 연결링크(113)(114)의 상단에 힌지연결되고 쿠션이 설치되는 쿠션 프레임(115)을 포함한다. 펌핑노브(117)를 작동시켜 상기 펌핑노브(117)에 설치되는 피니언(117a)를 회전시켜, 펌핑로드(116)가 상기 피니언(117a)이 치합되는 부위를 전진시키는 펌핑에 의해 상기 쿠션 프레임(115)이 상승한다.
상기 시트 트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115)은 위로 볼록한 곡선의 궤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하단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각도변화가 급격하고, 상단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각도변화가 줄어든다. 상기 시트 트랙의 충돌성능은 각도변화의 중간각도에서 측정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단보다 하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측정된다.
하지만, 실제 차량에서는 상기 탑승자의 체구가 작을수록 상기 쿠션 프레임(115)의 높이를 높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충돌성능을 하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측정하게 되면, 여성 또는 체구가 작은 남성의 경우, 충돌시 상기 시트의 쿠션과 상기 시트벨트 사이로 이탈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시트 쿠션이 설치되는 쿠션 프레임의 궤적을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무릎거리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여 탑승자의 관골구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주성이 확보되도록 한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체구가 작은 탑승자가 시트 쿠션과 시트벨트 사이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의 충동 성능 평가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위치하는 높이가 상단에 인접하도록 한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측에 설치되는 어퍼트랙과,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쿠션 프레임을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위로 오목한 궤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트랙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어퍼트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서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링크와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어퍼트랙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링크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각 서포트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상단과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프레임에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핀을 수용하는 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홈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승강 궤적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홈의 중심선은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트랙은 상기 플로워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워 패널에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로워트랙이 체결되고, 상기 어퍼트랙이 상기 로워트랙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링크 중에서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후방연결링크의 하부에는 상기 후방연결링크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트랙에는 상기 로워트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트랙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어퍼트랙의 전진을 제한하는 트랙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스토퍼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따르면, 탑승자의 위치를 높이면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탑승자의 상해, 특히 관골구의 상태를 저감시켜 시트 트랙의 충돌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시트벨트 웨빙 체결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탑승자가 시트 쿠션과 시트벨트 사이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탑승자의 무릎과 차량의 실내의 전단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의 궤적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내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의 궤적을 도시한 개략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인이 상승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임이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전과 슬라이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임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전과 슬라이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걸림돌기와 시트 트랙 스토퍼를 적용된 상태에서 쿠션 프레임이 상승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의 궤적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내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의 궤적을 도시한 개략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인이 상승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임이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전과 슬라이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쿠션 프레임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전과 슬라이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서 걸림돌기와 시트 트랙 스토퍼를 적용된 상태에서 쿠션 프레임이 상승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10)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측에 설치되는 어퍼트랙(12)과,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쿠션 프레임(15)을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13)(14)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어셈블리(10)에서,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
로워트랙(11)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워트랙(11)은 상기 차량의 플로워 패널의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된다.
어퍼트랙(12)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워트랙(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트랙(12)이 상기 로워트랙(11)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의 위치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쿠션 프레임(15)은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이 설치된다. 상기 쿠션 프레임(15)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13)(14)를 이용하여 상기 어퍼트랙(12)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13)(14)는 바람직하게는 2개로 구비되어,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어퍼트랙(12)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링크(13)(14)가 상기 어퍼트랙(12),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연결되는 부위를 반전(反轉)시켜, 상기 연결링크(13)(14)의 상단은 어퍼트랙(12)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13)(14)의 하단은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힌지연결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퍼트랙(12)에 상기 어퍼트랙(1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12a)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트랙(12)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서포트(12a)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12a)는 상기 연결링크(13)(14)와 동수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링크(13)(14)가 전방연결링크(13)와 후방연결링크(14)로 각각 형성된다면, 상기 서포트(12a)도 2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12a)는 위로 볼록한 형태로, 특히 차량의 후측 상방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링크(13)(14)와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힌지 연결되는 부위와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서포트(12a)의 상단은 상기 연결링크(13)(14)의 상단과 힌지핀(13a)(14a)을 이용하여 힌지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13)(14)의 하단은 상기 쿠션 프레임(15)에 힌지핀(15a)을 이용하여 힌지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13)(14)의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하부에서 힌지연결되는 바, 상기 연결링크(13)(14)는 상단에서 상기 어퍼트랙(12)과 힌지연결되고, 하단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15)에 힌지연결된다. 이는 종래기술 대비, 상기 연결링크에서 연결되는 부재가 서로 반전되는 것이다. 즉, 종래기술의 시트 트랙에서는 상기 연결링크의 상단에서 쿠션 프레임과 힌지연결되고, 하단에서 어퍼트랙에 힌지연결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링크(13)(14)의 상단은 상기 어퍼트랙(12)에 힌지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쿠션 프레임(15)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쿠션 프레임(15), 상기 어퍼트랙(12), 상기 전방연결링크(13)과 상기 후방연결링크(14)는 4절링크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전방연결링크(13)과 상기 후방연결링크(14)가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전방연결링크(13)과 상기 후방연결링크(14)가 상기 어퍼트랙(12)에 연결되는 부위보다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쿠션 프레임(15)은 상기 서포트(12a)에 매달린 형태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기 전방연결링크(13)과 상기 후방연결링크(14)에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어퍼트랙(12)이 상기 전방연결링크(13)과 상기 후방연결링크(14)에 연결되는 부위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승강시, 도 6과 같은 궤적을 갖는다. 상기 쿠션 프레임(15)은 위로 오목한 궤적,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의 후측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시트 트랙의 궤적에서 하단에 인접할수록 각도변화가 작고, 상다에 인접할수록 각도변확가 크기 때문에 시트 트랙의 시험평가시 쿠션 프레임의 위치(각도변화의 중간지점)가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상승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궤적 중에서 상단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15)에는 상기 어퍼트랙(12)과 상기 연결링크(13)(14)를 연결하는 힌지핀(13a)(14a)이 상기 쿠션 프레임(15)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홈(15b)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홈(15b)은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승강 궤적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홈(15b)은 위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후방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작동홈(15b)의 중심선은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링크(13)(14)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가 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승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탑승자가 상기 펌핑노브(17)를 작동시키면, 상기 펌핑노브(17)에 설치된 피니언(17a)이 회전하면서, 상기 펌핑로드(16)가 상기 피니언(17a)에 치합되는 부위가 전진하면서, 상기 쿠션 프레임(15)을 상승시킨다. 상기 펌핑노브(17)를 작동시켜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승되도록 하는 구조는 통상의 시트 트랙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탑승자가 계속하여 상기 펌핑노브(17)를 작동시키면, 상기 펌핑로드(16)가 상기 피니언(17a)과 치합되는 부위가 상기 펌핑로드(16)의 전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쿠션 프레임(15)은 도 7c를 거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연결링크(14)에 걸림돌기(14b)를 형성하고, 상기 로워트랙(11)에 상기 걸림돌기(14b)에 접하는 트랙스토퍼(11a)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링크(13)(14) 중에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연결링크(14)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연결링크(14)로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4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4b)는 상기 후방연결링크(14)에서 상기 후방연결링크(14)가 상기 쿠션 프레임(15)과 힌지연결되는 부위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트랙스토퍼(11a)는 상기 로워트랙(1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트랙스토퍼(11a)는 상기 로워트랙(11)에서 상기 어퍼트랙(12)이 결합되는 부위를 우회한 후, 상기 로워트랙(1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트랙스토퍼(11a)는 상기 어퍼트랙(12)이 정해진 거리만큼 전진하면 상기 걸림돌기(14b)가 상기 트랙스토퍼(11a)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어퍼트랙(12)의 전진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트랙스토퍼(11a)는 상기 트랙스토퍼(11a)의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트랙스토퍼(11a)는 상단으로 갈수록 차량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트랙스토퍼(11a)가 상단으로 갈수록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4b)와 상기 트랙스토퍼(11a)가 접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쿠션 프레임(15)의 높이에 따라 상기 어퍼트랙(12)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가 달라지며, 그 거리는 상기 어퍼트랙(12)의 위치가 높을수록 상기 어퍼트랙(12)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는 짧아진다.
도 8a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단에서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9a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단에서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의 상태, 즉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트랙(12)이 d1만큼 이동하면 상기 트랙스토퍼(11a)에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되어(도 8b 참조), 상기 어퍼트랙(12)은 d1만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15)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트랙(12)이 d1 보다 긴 d2만큼 전진해야 상기 트랙스토퍼(11a)에 접촉되므로(도 9b 참조), 상기 어퍼트랙(12)은 d2만큼 차량의 길이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트랙(12)의 위치가 높을수록 상기 어퍼트랙(12)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는 짧아진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도 6의 시트 트랙의 궤적에 상기 걸림돌기-트랙스토퍼의 구조가 적용된 상태의 시트 트랙의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도 6과 동일하지만, 상기 걸림돌기-트랙스토퍼의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어퍼트랙(12)의 위치가 높을수록 상기 어퍼트랙(12)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는 짧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트랙스토퍼의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어퍼트랙(12)이 상단에 가까울수록 전진할 수 있는 거리가 줄어들고, 하단에 가까울수록 전진할 수 있는 거리가 늘어나게 되므로, 탑승자의 무릎과 차량의 실내의 전단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체구가 작은 탑승자의 착석 포지션을 높이면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충돌시 상해를 저감시킨다. 그리고, 시트벨트 웨빙 체결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탑승자가 시트 쿠션과 시트벨트 사이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10 : 시트 트랙 어셈블리 11 : 로워트랙
11a : 트랙스토퍼 12 : 어퍼트랙
12a : 서포트 13 : 전방연결링크
13a : 힌지핀 14 : 후방연결링크
14a : 힌지핀 14b : 걸림돌기
15 : 쿠션프레임 15a : 힌지핀
15b : 작동홈 16 : 펌핑로드
17 : 펌핑노브 17a : 피니언
110 : 시트 트랙 어셈블리 111 : 로워트랙
112 : 어퍼트랙 113, 114 : 연결링크
115 : 쿠션프레임 116 : 펌핑로드
117 : 펌핑노브 117a : 피니언
11a : 트랙스토퍼 12 : 어퍼트랙
12a : 서포트 13 : 전방연결링크
13a : 힌지핀 14 : 후방연결링크
14a : 힌지핀 14b : 걸림돌기
15 : 쿠션프레임 15a : 힌지핀
15b : 작동홈 16 : 펌핑로드
17 : 펌핑노브 17a : 피니언
110 : 시트 트랙 어셈블리 111 : 로워트랙
112 : 어퍼트랙 113, 114 : 연결링크
115 : 쿠션프레임 116 : 펌핑로드
117 : 펌핑노브 117a : 피니언
Claims (12)
- 차량의 플로워 패널측에 설치되는 어퍼트랙과,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쿠션 프레임을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위로 오목한 궤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어퍼트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서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링크와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어퍼트랙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링크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각 서포트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상단과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프레임에 상기 어퍼트랙과 상기 연결링크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핀을 수용하는 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승강 궤적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의 중심선은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연결링크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랙은 상기 플로워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 패널에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로워트랙이 체결되고,
상기 어퍼트랙이 상기 로워트랙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 중에서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후방연결링크의 하부에는 상기 후방연결링크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트랙에는 상기 로워트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트랙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어퍼트랙의 전진을 제한하는 트랙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스토퍼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182A KR102417394B1 (ko) | 2017-10-13 | 2017-10-13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182A KR102417394B1 (ko) | 2017-10-13 | 2017-10-13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1677A true KR20190041677A (ko) | 2019-04-23 |
KR102417394B1 KR102417394B1 (ko) | 2022-07-06 |
Family
ID=6628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3182A KR102417394B1 (ko) | 2017-10-13 | 2017-10-13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73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94274A1 (en) * | 2020-12-22 | 2022-06-23 | Lear Corporation | Anti-submarine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1367Y1 (ko) * | 1994-06-23 | 1998-07-15 | 전성원 |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
JP2004182122A (ja) * | 2002-12-04 | 2004-07-02 | Tachi S Co Ltd |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
JP2005247195A (ja) * | 2004-03-05 | 2005-09-15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両用シート |
KR20080106639A (ko) | 2007-06-04 | 2008-12-0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 트랙 |
KR20090015452A (ko) * | 2007-08-08 | 2009-02-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
KR20170062021A (ko) * | 2015-11-27 | 2017-06-07 | 주식회사다스 |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
-
2017
- 2017-10-13 KR KR1020170133182A patent/KR1024173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1367Y1 (ko) * | 1994-06-23 | 1998-07-15 | 전성원 | 승용차의 보조시트 장치 |
JP2004182122A (ja) * | 2002-12-04 | 2004-07-02 | Tachi S Co Ltd |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
JP2005247195A (ja) * | 2004-03-05 | 2005-09-15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両用シート |
KR20080106639A (ko) | 2007-06-04 | 2008-12-0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 트랙 |
KR20090015452A (ko) * | 2007-08-08 | 2009-02-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
KR20170062021A (ko) * | 2015-11-27 | 2017-06-07 | 주식회사다스 |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94274A1 (en) * | 2020-12-22 | 2022-06-23 | Lear Corporation | Anti-submarine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
US11554696B2 (en) * | 2020-12-22 | 2023-01-17 | Lear Corporation | Anti-submarine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7394B1 (ko) | 2022-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01676C9 (ru) | Рама спинки сидень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US5005894A (en) | Automotive seat with suspension device | |
US20140361571A1 (en) |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 |
US10913379B2 (en) | Retention device for vehicle seat | |
KR20010101019A (ko) | 안티-서브-마리닝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팬 | |
JP5873186B2 (ja) | 事故における車両座席の後方への変位を選択的に制御し、かつ削減するための装置 | |
US4941637A (en) | Safety slide with rollers for vehicle seats | |
KR102060093B1 (ko) |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 | |
KR20190041677A (ko)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
KR101875430B1 (ko) |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 |
DE102015207841A1 (de) | Fahrzeugsitz und Fahrzeug | |
KR20140071699A (ko) |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 |
JP2006192986A (ja) |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 |
DE102005003546B4 (de) | Sicherheitssystem | |
EP2018294B1 (fr) | Agencement de sieg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systeme d'anti sous-marinage formant notamment pantographe | |
KR20150063697A (ko) |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 |
CN111762068A (zh) | 一种座椅和具有其的车辆 | |
KR20130084281A (ko) | 차량용 스텝 시스템 | |
KR100764500B1 (ko) | 화물 차량의 리어 가드 | |
EP4403412A1 (en) | A safety arrangement for a height-adjustable seat structure and a vehicle seat in a truck, lorry or bus using such safety arrangement | |
KR20230164390A (ko)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
KR19980054566A (ko) | 보강판을 갖는 자동차의 시트 쿠션 | |
KR100526967B1 (ko) | 차량용 시트쿠션의 처짐 방지장치 | |
JP5648599B2 (ja) | 車両のシート構造 | |
KR100747876B1 (ko) |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