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390A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4390A KR20230164390A KR1020220064092A KR20220064092A KR20230164390A KR 20230164390 A KR20230164390 A KR 20230164390A KR 1020220064092 A KR1020220064092 A KR 1020220064092A KR 20220064092 A KR20220064092 A KR 20220064092A KR 20230164390 A KR20230164390 A KR 202301643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bolster
- cushion
- link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연동하여 탑승자의 승하차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시트 쿠션용 볼스터를 상하로 작동시켜 볼스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쿠션 레일과; 시트 쿠션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 쿠션을 이동시키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스터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쿠션 레일과; 시트 쿠션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 쿠션을 이동시키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스터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연동하여 탑승자의 승하차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시트 쿠션용 볼스터를 상하로 작동시켜 볼스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탑승자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 및 구성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시 급회전하거나 또는 곡선 구간 등에서 좌우 선회시 차량의 탑승자는 원심력에 의하여 밖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탑승자는 자신의 신체가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그러한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의 좌우 측면에는 차량이 선회하거나 급회전할 때 탑승자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시트 볼스터가 구비되고 있다. 통상 시트 볼스터는 시트 쿠션 또는 시트 백의 양쪽 측면 부분이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시트 볼스터로 에어셀의 팽창 또는 수축을 통해 탑승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기능도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에어셀의 팽창 또는 수축을 통하여 탑승자를 시트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기능도 발현되고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시 탑승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시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도 추가되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시트 쿠션에 구비된 시트 볼스터는 시트 쿠션의 양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시 탑승자의 신체에 시트 볼스터가 눌리거나 시트 쿠션의 커버링이 쏠리면서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런데,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전 시트 쿠션에 구비된 시트 볼스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시에 탑승자의 둔부와 시트 볼스터가 간섭되고, 이에 따라 전술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연동하여 탑승자의 승하차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시트 쿠션용 볼스터를 상하로 작동시켜 볼스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쿠션 레일과; 시트 쿠션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 쿠션을 이동시키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스터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 연동수단은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하강시키고,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연동수단은, 상기 볼스터 브래킷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면서 일측면으로 락킹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동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을 따라 상기 연동 브래킷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는 락킹 가이드와; 상기 락킹 가이드의 가이드 경로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락킹핀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락킹 플레이트와; 힌지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되, 일측은 상기 락킹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링크와; 일측이 상기 연동 브래킷의 하단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링크와; 상기 쿠션 레일에 링크 서포트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측이 접촉되면서 상기 제 1 링크를 회동시키고, 제 2 링크를 승하강시키는 스토퍼핀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에는 상기 락킹핀이 거치되거나 해제되는 락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홈은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면서 상기 락킹핀이 거치되는 거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가 가이드핀에 의해 연결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핀이 소정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볼스터 브래킷의 사이에는 상기 볼스터 브래킷이 하방으로 이동시 압축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의 상방으로 원위치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되면서 제 1 링크의 일측이 정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되면서 제 2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동 브래킷과 함께 볼스터 브래킷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다음 다시 설정된 구간까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과 함께 연동 브래킷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 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링크의 일측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를 함께 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이 단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락킹핀이 통과되는 제 1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연통홀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락킹핀이 개구된 제 1 연통홀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브래킷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 가이드는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상단이 가이드되는 상부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하단이 가이드되는 하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간 지점에는 상기 제 1 연통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락킹핀이 통과되는 제 2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2 연통홀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락킹핀이 개구된 제 2 연통홀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락킹 가이드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곡률정도(R값)와 제 2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제 2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연동하여 시트 쿠션에 구비된 볼스터를 승하강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하차시에는 볼스터를 하강시켜 탑승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볼스터의 변경 및 파손과 시트 쿠션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승차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승하차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시트 쿠션용 볼스터를 상하로 작동시켜 볼스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시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연동하여 시트 쿠션에 구비된 볼스터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차량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쿠션 레일(100)과; 시트 쿠션의 측부에 배치되어 쿠션 레일(1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시트 쿠션을 이동시키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과;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스터 브래킷(300)과;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볼스터 브래킷(3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 연동수단(400)을 포함한다.
쿠션 레일(100)은 시트 쿠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수단이다. 쿠션 레일(100)은 시트 쿠션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시트 쿠션의 양측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다.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은 쿠션 레일(1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시트 쿠션의 측부에 한 쌍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시 탑승자와 볼스터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하강 연동수단(400)이 설치되는 수단으로서, 시트 쿠션의 측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 중 차량의 도어쪽에 구비되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승하강 연동수단(400)이 한 쌍의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볼스터 브래킷(300)은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쿠션의 측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 중 차량의 도어쪽에 구비되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에 볼스터 브래킷(300)이 설치된다. 물론 승하강 연동수단(400)이 한 쌍의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볼스터 브래킷도 한 쌍의 구비되어 한 쌍의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모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볼스터 브래킷(300)은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일측면에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승하강 연동수단(400)은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볼스터 브래킷(3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승하강 연동수단(400)으로는 볼스터 브래킷(30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면서 일측면으로 락킹핀(411)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동 브래킷(410)과;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420)과; 베이스 브래킷(420)의 측면을 따라 연동 브래킷(410)이 승하강되도록 베이스 브래킷(42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브래킷(42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430)이 구비된다.
연동 브래킷(410)은 볼스터 브래킷(30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는 수단으로서, 볼스터 브래킷(300)과 마찬가지로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타측면에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볼스터 브래킷(300)의 절곡된 상단과 연동 브래킷(410)의 절곡된 상단이 서로 고정되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양측면과 상부를 대략 "ㄷ"자 형태로 덮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볼스터 브래킷(300)과 연동 브래킷(410)이 일체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상단 영역에서 승하강된다.
그리고, 연동 브래킷(410)의 일측면에는 락킹핀(411)이 돌출되도록 연결된다.
베이스 브래킷(420)은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 브래킷(430)이 베이스 브래킷(42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 브래킷(420)과 가이드 브래킷(430) 사이에는 연동 브래킷(410)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브래킷(430)에는 연동 브래킷(410)에 구비된 락킹핀(411)이 통과되는 제 1 연통홀(431)이 형성된다.
제 1 연통홀(431)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락킹핀(411)이 제 1 연통홀(431)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어 연동 브래킷(410)의 하강시에는 락킹핀(411)이 제 1 연통홀(431)의 하방을 통하여 가이드 브래킷(430)으로부터 인출되고, 연동 브래킷(410)의 승강시에는 락킹핀(411)이 제 1 연통홀(431)의 하방을 통하여 제 1 연통홀(431)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이드 브래킷(430)에 제 1 연통홀(431)을 형성하여 볼스터 브래킷(300) 및 연동 브래킷(410)의 승하강시에 가이드 브래킷(4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승하강 연동수단(400)으로는 가이드 브래킷(43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는 락킹 가이드(440)와; 락킹 가이드(440)의 가이드 경로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락킹핀(411)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락킹 플레이트(450)이 더 구비된다.
락킹 가이드(440)와 락킹 플레이트(450)는 연동 브래킷(410)에 구비된 락킹핀(411)을 단속하여 평상시에는 볼스터 브래킷(30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시에 볼스터 브래킷(300)이 하강될 수 있도록 볼스터 브래킷(3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락킹 가이드(440)는 가이드 브래킷(430)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락킹 플레이트(450)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락킹 가이드(440)는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락킹 플레이트(450)의 상단이 가이드되는 상부 가이드부(441)가 형성되고, 하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락킹 플레이트(450)의 하단이 가이드되는 하부 가이드부(442)가 형성된다.
또한, 락킹 가이드(440)는 볼스터 브래킷(300) 및 연동 브래킷(410)의 승하강시에 락킹핀(411)이 락킹 가이드(4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 지점, 즉 가이드 브래킷(430)에 형성된 제 1 연통홀(431)과 대응되는 지점에 락킹핀(411)이 통과되는 제 2 연통홀(443)이 형성된다.
제 2 연통홀(443)도 제 1 연통홀(431)과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락킹핀(411)이 제 1 연통홀(431)을 통과한 다음 제 2 연통홀(443)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어 연동 브래킷(410)의 하강시에는 락킹핀(411)이 제 2 연통홀(443)의 하방을 통하여 가이드 브래킷(430)으로부터 인출되고, 연동 브래킷(410)의 승강시에는 락킹핀(411)이 제 2 연통홀(443)의 하방을 통하여 제 2 연통홀(443)로 인입되도록 한다.
락킹 플레이트(450)는 락킹 가이드(440)의 가이드 경로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락킹핀(411)의 승하강을 직접적으로 단속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락킹 플레이트(450)에는 락킹핀(411)이 거치되거나 해제되는 락킹홈(451)이 형성된다.
락킹홈(451)은 락킹 플레이트(450)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면서 락킹핀(411)이 거치되는 거치턱(452)이 형성된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락킹 플레이트(450)가 락킹 가이드(440)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락킹 플레이트(450)에 형성된 락킹홈(451)의 거치턱(452)에 락킹핀(411)이 거치됨에 따라 연동 브래킷(410)이 상승된 상태로 그 위치가 고정된다.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 시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따라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락킹 플레이트(4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락킹핀(411)이 락킹 플레이트(450)에 형성된 락킹홈(451)의 거치턱(452)에 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연동 브래킷(410)이 하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된 구간이라 함은 일반적인 동작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최후방 위치까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설정된 구간을 초과한다는 의미는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최후방 위치를 초과하여 추가적으로 작동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승하강 연동수단(400)으로는 힌지핀(461)에 의해 베이스 브래킷(420)에 설치되어 힌지핀(461)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되, 일측은 락킹 플레이트(450)가 연결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링크(460)와; 일측이 연동 브래킷(4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링크(470)와; 쿠션 레일(100)에 링크 서포트(481)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전후방향 이동시 제 1 링크(460) 및 제 2 링크(470)의 타측이 접촉되면서 제 1 링크(460)를 회동시키고, 제 2 링크(470)를 승하강시키는 스토퍼핀(480)이 더 구비된다.
제 1 링크(460)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락킹 플레이트(4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되, 설정된 구간 내에서는 락킹 플레이트(450)를 이동시키지 않고,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락킹 플레이트(45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제 1 링크(460)는 힌지핀(461)에 의해 베이스 브래킷(420)에 설치되어 힌지핀(461)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되, 일측은 락킹 플레이트(450)가 연결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1 링크(46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접촉되고, 계속하여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이에 따라 제 1 링크(460)의 일측이 회동되면서 락킹 플레이트(4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 1 링크(460)의 일측에는 락킹 플레이트(450)가 가이드핀(463)에 의해 연결되는 가이드홀(462)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462)은 가이드핀(463)이 소정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소정 구간이라 함은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의 최후방까지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 2 링크(470)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에 연동 브래킷(4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제 2 링크(470)는 일측이 연동 브래킷(4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링크(47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접촉되고, 계속하여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이에 따라 제 2 링크(470)의 일측이 스토퍼핀(48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링크(470)의 타측에 연결된 연동 브래킷(410)을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토퍼핀(480)은 쿠션 레일(100)에 링크 서포트(481)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핀(480)이 제 1 링크(460)와 제 2 링크(470)의 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스토퍼핀(480)의 위치에 따라 제 1 링크(460)의 회동 반경과 제 2 링크(470)의 승하강 범위가 결정된다.
특히, 제 1 링크(460)와 제 2 링크(470)는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면서 거동되는 양상이 서로 다르기도 하고,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의 후방 이동시 제 1 링크(460)가 먼저 스토퍼핀(480)에 접촉되고, 이어서 제 2 링크(470)가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도록 제 1 링크(460)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곡률정도(R값)와 제 2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링크(460)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제 2 링크(470)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 브래킷(420)과 볼스터 브래킷(300)의 사이에는 볼스터 브래킷(300)이 하방으로 이동시 압축되어 볼스터 브래킷(300)의 상방으로 원위치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490)이 구비된다.
그래서, 연동 브래킷(410)이 제 2 링크(47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스프링(490)이 압축된다. 그리고, 제 2 링크(470)에 의해 연동 브래킷(410)이 하강하는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연동 브래킷(410)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평상시 설정된 구간 내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차량의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이 작동하면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후방으로 이동되지만 아직까지 설정된 구간 내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계속 후방으로 이동되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한 범위에서 설정된 구간으로 진입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는 승하강 연동수단(400)에 의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볼스터 브래킷(300)을 하강시키고,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볼스터 브래킷(300)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된다.
부연하자면,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평상시 설정된 구간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 1 링크(460)와 제 2 링크(470)가 스토퍼핀(480)과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락킹핀(411)이 락킹 플레이트(450)의 락킹홈(451)에 형성된 거치턱(452)에 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래서, 볼스터 브래킷(300) 및 연동 브래킷(410)은 상승된 위치에 배치되고, 볼스터는 시트 쿠션의 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하차를 시도하게 되면, 차량의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이 작동하면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구간 내에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1 링크(460)가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면서 제 1 링크(460)의 일측이 정방향으로 회동되기 시작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463)이 가이드홀(462)에 간섭되면서 소정 범위만큼 락킹 플레이트(450)가 후방으로 이동되기 시작된다. 다만, 락킹 플레이트(450)의 후방 이동구간이 충분하지 않아 락킹 플레이트(450)에서 락킹핀(411)의 단속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계속하여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더 이동되면 락킹 플레이트(450)에서 락킹핀(411)의 단속이 해제된다. 그래서 연동 브래킷(410)이 하강될 준비가 되지만, 아직까지 제 2 링크(470)는 스토퍼핀(48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연동 브래킷(410)이 하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1 링크(46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면서 제 1 링크(460)의 일측이 정방향으로 회동되어 락킹 플레이트(450)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411)이 완전히 해제되고, 제 2 링크(47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면서 제 2 링크(47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연동 브래킷(410)과 함께 볼스터 브래킷(3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부연하자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460)가 정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락킹 플레이트(450)에서 락킹핀(411)의 단속이 완전히 해제되고, 제 2 링크(470)가 스토퍼핀(480)에 접촉되면서 스토퍼핀(480)에 의해 제 2 링크(47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 2 링크(470)의 일단에 고정된 연동 브래킷(410)이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볼스터 브래킷(300)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볼스터는 시트 쿠션의 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된 상태가 되면서 탑승자의 하차시 탑승자의 둔부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탑승자가 시트 쿠션에 승차하고 운전을 하기 위하여 시동을 걸게 되면, 차량의 시트 이지 엑세스(Seat Easy Access) 기능이 작동하면서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사이드 브래킷(200)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다음 다시 설정된 구간까지 전방으로 이동되면, 볼스터 브래킷(300)과 함께 연동 브래킷(410)은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 상태로 복귀되고, 제 1 링크(460)의 타측이 스토퍼핀(480)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링크(460)의 일측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락킹 플레이트(450)를 함께 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411)이 단속된다.
부연하자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460)의 일측이 역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락킹 플레이트(4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제 2 링크(470)가 스토퍼핀(48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서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락킹 플레이트(450)에 형성된 락킹홈(451)의 거치턱에 연동 브래킷(410)의 락킹핀(411)이 거치되면서 연동 브래킷(410)의 상승된 상태로 그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쿠션 레일
200: 쿠션 사이드 브래킷
300: 볼스터 브래킷 400: 승하강 연동수단
410: 연동 브래킷 411: 락킹핀
420: 베이스 브래킷 430: 가이드 브래킷
431: 제 1 연통홀 440: 락킹 가이드
441: 상부 가이드부 442: 하부 가이드부
443: 제 2 연통홀 450: 락킹 플레이트
451: 락킹홈 452: 거치턱
460: 제 1 링크 461: 힌지핀
462: 가이드홀 463: 가이드핀
470: 제 2 링크 480: 스토퍼핀
481: 링크 서포트 490: 스프링
300: 볼스터 브래킷 400: 승하강 연동수단
410: 연동 브래킷 411: 락킹핀
420: 베이스 브래킷 430: 가이드 브래킷
431: 제 1 연통홀 440: 락킹 가이드
441: 상부 가이드부 442: 하부 가이드부
443: 제 2 연통홀 450: 락킹 플레이트
451: 락킹홈 452: 거치턱
460: 제 1 링크 461: 힌지핀
462: 가이드홀 463: 가이드핀
470: 제 2 링크 480: 스토퍼핀
481: 링크 서포트 490: 스프링
Claims (13)
- 차량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쿠션 레일과;
시트 쿠션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 쿠션을 이동시키는 쿠션 사이드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되는 볼스터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스터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연동수단은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하강시키고,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연동수단은,
상기 볼스터 브래킷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면서 일측면으로 락킹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동 브래킷과;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을 따라 상기 연동 브래킷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는 락킹 가이드와;
상기 락킹 가이드의 가이드 경로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락킹핀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락킹 플레이트와;
힌지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되, 일측은 상기 락킹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링크와;
일측이 상기 연동 브래킷의 하단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링크와;
상기 쿠션 레일에 링크 서포트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측이 접촉되면서 상기 제 1 링크를 회동시키고, 제 2 링크를 승하강시키는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에는 상기 락킹핀이 거치되거나 해제되는 락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은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면서 상기 락킹핀이 거치되는 거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가 가이드핀에 의해 연결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핀이 소정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볼스터 브래킷의 사이에는 상기 볼스터 브래킷이 하방으로 이동시 압축되어 상기 볼스터 브래킷의 상방으로 원위치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되면서 제 1 링크의 일측이 정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되면서 제 2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동 브래킷과 함께 볼스터 브래킷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 사이드 브래킷이 설정된 구간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다음 다시 설정된 구간까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볼스터 브래킷과 함께 연동 브래킷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 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타측이 상기 스토퍼핀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링크의 일측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를 함께 전방으로 이동시켜 락킹핀이 단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락킹핀이 통과되는 제 1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연통홀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락킹핀이 개구된 제 1 연통홀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브래킷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락킹 가이드는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상단이 가이드되는 상부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하단이 가이드되는 하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간 지점에는 상기 제 1 연통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락킹핀이 통과되는 제 2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2 연통홀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락킹핀이 개구된 제 2 연통홀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락킹 가이드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1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곡률정도(R값)와 제 2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 1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가 제 2 링크의 타단이 형성하는 호의 절곡정도(R값)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4092A KR102670565B1 (ko) | 2022-05-25 | 2022-05-25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4092A KR102670565B1 (ko) | 2022-05-25 | 2022-05-25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4390A true KR20230164390A (ko) | 2023-12-04 |
KR102670565B1 KR102670565B1 (ko) | 2024-05-28 |
Family
ID=8916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4092A KR102670565B1 (ko) | 2022-05-25 | 2022-05-25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056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0326A (ja) * | 2007-04-10 | 2008-10-30 | Toyota Boshoku Corp | 車両用シート |
KR20100062246A (ko) * | 2008-12-01 | 2010-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18641B1 (ko) | 2013-12-27 | 2015-05-07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의 시트 쿠션 |
JP6562005B2 (ja) * | 2017-01-20 | 2019-08-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の乗降サポート構造 |
-
2022
- 2022-05-25 KR KR1020220064092A patent/KR1026705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0326A (ja) * | 2007-04-10 | 2008-10-30 | Toyota Boshoku Corp | 車両用シート |
KR20100062246A (ko) * | 2008-12-01 | 2010-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18641B1 (ko) | 2013-12-27 | 2015-05-07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의 시트 쿠션 |
JP6562005B2 (ja) * | 2017-01-20 | 2019-08-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の乗降サポート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0565B1 (ko) | 202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00813B2 (en) | H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seat | |
KR101407198B1 (ko) | 후방 절첩 모션을 갖는 절첩 편평 좌석 조립체 | |
KR101014493B1 (ko) |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볼스터 장치 | |
CN101365607A (zh) | 可折叠平放的座椅组件 | |
EP1568536B1 (en) | Vehicle seat | |
US20100264714A1 (en) |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 |
US20060103211A1 (en) |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 |
KR102060093B1 (ko) |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 | |
KR102670565B1 (ko) |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 |
US6769737B2 (en) |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 |
KR20240044881A (ko) | 차량의 시트레일 록킹장치 | |
JP2007111121A (ja) | 乗物用シート | |
JP3949571B2 (ja) | 折り畳みシート | |
KR100889436B1 (ko) | 차량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 |
KR20110023201A (ko) |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자동변경 장치 | |
JP4848902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4948065B2 (ja) |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用のヘッドレスト装置 | |
JP3869316B2 (ja) | 自動車用シート | |
JP2005067325A (ja) | ダイブダウンシート | |
KR100384030B1 (ko) |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테이블 | |
KR20140129517A (ko) |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 |
KR102060156B1 (ko) |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 |
KR20190041677A (ko) | 관골구 상해 방지를 위한 차량의 시트 트랙 어셈블리 | |
JPS597151Y2 (ja) | 車両のシ−トリフタ装置におけるロツク装置 | |
JP4156466B2 (ja) | 車両用シー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