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04Y1 -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04Y1
KR200495004Y1 KR2020200004186U KR20200004186U KR200495004Y1 KR 200495004 Y1 KR200495004 Y1 KR 200495004Y1 KR 2020200004186 U KR2020200004186 U KR 2020200004186U KR 20200004186 U KR20200004186 U KR 20200004186U KR 200495004 Y1 KR200495004 Y1 KR 200495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attached
footrest
r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순
Original Assignee
강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순 filed Critical 강형순
Priority to KR2020200004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납작한 사각통 형상으로, 개방된 일측의 내측 단부에 내측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양측에 힌지돌기가 각각 돌출되게 결합된 선두 지지판; 사각판의 형태로 양측에 힌지탭이 결합되어 선두 지지판의 힌지돌기에 힌지결합되고, 외측에 결합된 제1 벨크로가 부착된 밀착판; 일측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제2 벨크로가 부착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해 승용차의 전방석 대시보드 하부에 부착되며, 제1 벨크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판; 및 일측이 선두 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시트 안착부 위에 놓이며, 선두 지지판에 삽입된 부분의 외부에 내측 단턱에 걸리도록 외측 단턱이 형성된 말단 지지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A rest pedestal for a front car seat}
본 고안은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승용차의 전방석 탑승자가 졸음이 올 때 전방석 시트에 앉은 채 발을 올려놓고 편히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승용차의 전방석 대시보드의 하부에 부착되는 밀착판과 밀착판에 힌지결합되어 시트 위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판이 포함되어 구성된 휴식용 발 받침대에 대한 것이다.
승용차는 탑승자가 목적지에 신속하고 안전하며,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날이 갈수록 새로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장치나 운전자의 운전을 돕는 자율운전보조장치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신고안 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승용차가 판매되고 있지만 아직도 대다수 운전자들은 운전대를 잡고 운전을 스스로 하고 있고,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전으로 연중 수많은 사람이 교통사고로 다치거나 생명을 잃고 있으며, 부주의한 운전 중에서도 졸음운전이 사망사고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고 한다.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 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에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전 중 어쩔 수 없이 졸음이 올 때는 안전한 휴게소나 졸음쉼터 등에서 잠깐 동안 자는 것이 교통사고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한다.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승용차 운전자들은 운전석의 좌석을 뒤로 민 후 등받이를 뒤로 젖혀 평탄화한 후 수면을 취하지만, 수면 중 발의 위치가 낮고, 무릎이 구부러져 수면 후 피로가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 불편한 점이 있고, 기존에 질환이 있는 경우나 발에 부종이나 무릎관절이 있는 경우에는 발을 들고 쭉 편 상태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승용차의 전방석에서 편히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048174호에서는 승용차의 전방좌석 시트의 하부에 있는 수납공간에 서랍과 같이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발 받침대가 제시되었고, 공개 실용신안 1998-0007398호에서는 시트의 하부에 있는 수납함에 삽탈할 수 있는 평판형상의 발 받침대가 제시되었다.
상기 고안들은 승용차의 전방좌석의 하부에 발 받침대가 설치되어 간편하게 인출하여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다고 하나, 발 받침대가 시트의 밑에 설치되어 높이가 낮으므로 발 받침대에 발을 올려놓는다 해도 발을 쭉 펼 수가 없어 개선 효과가 미흡하고, 운전석의 하부에 발 받침대가 설치된 경우 발 받 침대가 단단히 고박되지 않으면 저절로 튀어나와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운전 중 진동으로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3193호에서는 좌석 앞에 설치하여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는 도우넛 형상을 이루는 발 받침대로, 하측 에어매트의 상부에 벨크로를 부착하고, 하부에 벨크로가 부착된 상측 에어매트를 하측 에어매트의 상부에 적층하여 수면 중 사용하고, 트렁크에 보관하도록 구성된 발 받침대가 제시되었다.
상기 특허기술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발을 높이 올려 쭉 뻗을 수 있고, 휴식 중에만 설치되므로 안전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효과는 있으나, 잠시 사용하는 에어매트의 용적이 너무 커서 평소에 수납공간을 지나치게 잠식할 수 있고, 에어매트의 공기를 넣고 빼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4817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73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319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승용차의 전방좌석에서 휴식 중 발을 충분히 높여 수평으로 쭉 뻗을 수 있으며, 작고 간단한 구조로 가격이 저렴하고, 보관과 설치가 간편하며, 안전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발 받침대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납작한 사각통 형상으로, 개방된 일측의 내측 단부에 내측 단턱(25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양측에 힌지돌기(280)가 각각 돌출되게 결합된 선두 지지판(200); 사각판의 형태로 양측에 힌지탭(550)이 결합되어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힌지돌기(280)에 힌지결합되고, 외측에 결합된 제1 벨크로(600)가 부착된 밀착판(500); 일측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제2 벨크로(800)가 부착되어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해 승용차의 전방석 대시보드(150)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벨크로(6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판(700); 및 일측이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시트 안착부 위에 놓이며, 상기 선두 지지판(200)에 삽입된 부분의 외부에 상기 내측 단턱(250)에 걸리도록 외측 단턱(480)이 형성된 말단 지지판(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승용차의 대시보드 하부에 미리 부착된 부착판에 밀착판을 부착 후 신장시켜 시트 위에 올려놓는 간편한 설치로, 승용차의 전방좌석에서 휴식 중 발을 수평으로 쭉 뻗을 수 있고,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발 부종이나 무릎 관절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할 때만 전방좌석에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운전 중 안전사고나 소음이 유발되지 않으며, 보관 시에는 밀착판을 접고 지지판을 접으므로 크기가 줄어들어 수납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지지판의 하부에 시트보호패드가 부착되어 시트를 손상하지 않으며, 수면 중 발이 뒤꿈치 안착 홀에 들어가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2단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3단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발 받침대의 3단 접힌 상태도
도 5는 도 3의 분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 전방좌석 발 받침대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휴식용 발 받침대의 승용차 앞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승용차의 후방쪽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2단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식용 발 받침대의 3단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 받침대의 3단 접힌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휴식용 발 받침대는 크게 납작한 사각통 형상을 이루는 선두 지지판(200), 선두 지지판(200)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기울기 조절과 접힐 수 있는 밀착판, 밀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승용차의 대시보드(150) 하부에 부착되는 부착판(700)과, 선두 지지판(200)의 후미에 삽입되어 발 받침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선두 지지판은 폭이 30 ~ 50cm 정도이고, 30cm 내외의 길이를 가진 사각통으로, 전방의 양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280)가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밀착판 힌지탭(550)의 두께만큼 절삭된 곳에 힌지돌기(280)가 형성되어 이후 결합된 힌지탭(550)이 선두 지지판(200)의 측면과 평면을 이룰 수 있게 하면 제품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힌지돌기(280)가 있는 부분을 별도로, 선두 지지판(200)의 전방측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막대의 양측면에 힌지돌기(280)를 형성하여 전방측에 끼워 삽입하고, 접합부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며, 힌지돌기(280)가 설치된 부분은 이후에 삽입되는 말단 지지판이나 중간 기지판(300)이 삽입된 후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선두 지지판(200)의 후미 개방된 단부의 내측에는 1~2mm 정도 돌출된 단턱(250)이 형성되어 후미에 삽입된 말단 지지판(400)이나 중간 지지판(300)이 단턱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선두 지지판(200)의 전방 측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발 뒤꿈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7cm내외의 지름을 가진 뒤꿈치 안착 홀(230)이 형성되면 휴식자의 발이 수면 중에 옆으로 떨어져 잠을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두 지지판(200)의 전방에는 사각판의 형태로 상기 힌지돌기(28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힌지탭(550)이 양측에 결합된 밀착판이 힌지결합된다. 밀착판은 힌지탭(550)을 축으로 90도 이상 회전하여 선두 지지판(200)과 평행이 될 때까지 접어져 보관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밀착판의 힌지부분은 승용차마다 대시보드(150) 하부를 이루는 각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차종에서도 기울기에 맞추어 호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밀착판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부착판(700)과 결합을 위한 제1 벨크로(600)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밀착판을 대시보드(150)의 하부에 부착시키기 위해 대시보드(150)의 하부에는 상기 밀착판의 제1 벨크로(600)와 상응하여 후면에 제2 벨크로(800)가 부착되고, 전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부착판(700)이 승용차의 시트 높이에 맞추어 부착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충분히 높여 수평으로 쭉 뻗을 수 있게 하여 편안한 수면이 가능하게 한다.
승용차에 따라서는 대시보드(150)의 하부에 핸들 축이 돌출된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부득이 밀착판과 부착판(700)의 해당 부분을 호 형상으로 제거하여 부착판과 밀착판을 부착시킬 수 있다.
말단 지지판은 선두 지지판(200)의 후방에 삽입되는 지지판인데, 보관 시 발 받침대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선두 지지판(200)의 폭과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말단 지지판(400)은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출입하고 선두 부분에 지지판의 내측 단턱(250)과 대응되도록 1~2mm정도 돌출되고 2cm 내외의 폭을 가진 외측 단턱(480)이 형성되어 말단 지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말단 지지판(400)의 바닥면 일부에는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보호패드(420)가 끝 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시트보호패드(420) 소재로는 얇은 면직물이나 실리콘 등이 사용되어 접촉부분의 마찰에 의해 훼손되지 않게 할 수 있고, 말단 지지판(400)의 후방 상단 모서리 부분은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가 접촉되므로 둥그렇게 라운딩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지지판(300)은 선두 지지판(200)과 말단 지지판(400)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발 받침대의 길이를 더 연장시키고 2단에서 3단 삽입으로 길이를 축소시켜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 지지판(300)의 크기는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선두 지지판(200)의 폭과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말단 지지판은 중간 지지판에 삽입될 만큼 폭과 두께가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중간 지지판(300)의 외부에는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내측 단턱(250)과 대응하는 돌출된 외측 단턱(380)이 형성되고, 개방된 단부의 내측에 내측 단턱(350)이 형성되어 후미에 삽입되는 말단 지지판(4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발 받침대의 접혀진 조립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발 받침대는 선두 지지판(200)에 말단 지지판(400) 또는 중간 지지판(30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판들이 관통되는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홀(210)이 형성되고, 고정 홀(210)에 삽입되어 접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은 핀의 형태로 끼우는 것이나 노끈의 형태로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핀, 볼트, 노끈이 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선두 지지판(200)이 측면에 연결 끈 등으로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플라스틱이나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요한 경우 선두 지지판, 말단 지지판 또는 중간 지지판의 다리와 맞닿는 상부에 얇은 천 등이 부착되면 접촉에 의한 알레르기 현상이나 이질감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승용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승용차의 전방좌석에서 발을 수평으로 쭉 뻗고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운전중에는 전방좌석에 고정하지 않아 운전 중 안전사고나 소음을 유발하지 않으며, 보관 시에는 밀착판이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줄어들어 수납공간을 잠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100 : 휴식용 발 받침대 150 : 대시보드
200: 선두 지지판 205: 차단벽
210: 고정 홀 230: 안착 홀
250: 선두지지판 내측 단턱 280: 힌지돌기
300: 중간 지지판 350: 중간 지지판 내측 단턱
380: 중간 지지판 외측 단턱 400: 말단 지지판
420: 시트보호패드 480: 말단 지지판 외측 단턱
500: 밀착판 550: 힌지탭
600: 제1 벨크로 700: 부착판
800: 제2 벨크로

Claims (5)

  1. 납작한 사각통 형상으로, 개방된 일측의 내측 단부에 내측 단턱(25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양측에 힌지돌기(280)가 각각 돌출되게 결합된 선두 지지판(200);
    사각판의 형태로 양측에 힌지탭(550)이 결합되어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힌지돌기(280)에 힌지결합되고, 외측에 결합된 제1 벨크로(600)가 부착된 밀착판(500);
    일측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제2 벨크로(800)가 부착되어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해 승용차의 전방석 대시보드(150)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벨크로(6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판(700); 및
    일측이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시트 안착부 위에 놓이며, 상기 선두 지지판(200)에 삽입된 부분의 외부에 상기 내측 단턱(250)에 걸리도록 외측 단턱(480)이 형성된 말단 지지판(400); 이 포함되어 승용차의 대시보드(150) 하부와 시트 위를 연결하여 발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식용 발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선두 지지판(200)과 말단 지지판(400) 사이에 사각통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선두 지지판(200)에 삽입된 부분의 외부에 상기 내측 단턱(250)에 걸리도록 외측 단턱(380)이 형성되며, 후미 내측에 내측 단턱(350)이 형성되어 상기 말단 지지판(4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중간 지지판(300);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식용 발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지지판(200)의 상부에 발 뒤꿈치가 삽입될 수 있는 뒤꿈치 안착 홀(23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식용 발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지지판(200), 말단 지지판(400) 또는 중간 지지판(300)에 접혔을 때 서로 관통될 수 있도록 동심원으로 이루어진 고정 홀(210); 및
    상기 고정 홀(210)에 삽입되어 접힌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식용 발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지지판(400)의 하부에 부착된 시트보호패드(420);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식용 발 받침대.

KR2020200004186U 2020-11-19 2020-11-19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KR200495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86U KR200495004Y1 (ko) 2020-11-19 2020-11-19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86U KR200495004Y1 (ko) 2020-11-19 2020-11-19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04Y1 true KR200495004Y1 (ko) 2022-02-14

Family

ID=8025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86U KR200495004Y1 (ko) 2020-11-19 2020-11-19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4607A1 (en) * 2022-02-21 2023-08-2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river's Seat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98A (ko) 1996-06-14 1998-03-30 구자홍 전자 간이 교환기를 이용한 목장 착유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8174A (ko)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오일여과기의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 표시장치
KR20000012181U (ko) * 1998-12-15 2000-07-05 홍종만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20120133193A (ko) 2011-05-30 2012-12-10 한지우 차량용 발 받침대
KR20200107231A (ko) * 2019-03-07 2020-09-16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차량 보조석 다용도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98A (ko) 1996-06-14 1998-03-30 구자홍 전자 간이 교환기를 이용한 목장 착유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8174A (ko)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오일여과기의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 표시장치
KR20000012181U (ko) * 1998-12-15 2000-07-05 홍종만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20120133193A (ko) 2011-05-30 2012-12-10 한지우 차량용 발 받침대
KR20200107231A (ko) * 2019-03-07 2020-09-16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차량 보조석 다용도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4607A1 (en) * 2022-02-21 2023-08-2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river's Seat Structure
US11945340B2 (en) * 2022-02-21 2024-04-0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river's sea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729B1 (en) Foldable chair with an inflatable back and seat assembly
US7681939B2 (en) Collapsible armrest for a vehicle door
US5640726A (en) Safety rail for sleeping beds
US6799802B1 (en) Head support device
US6742837B1 (en) Car seat netting systems
KR200495004Y1 (ko) 승용차의 전방석에 설치되는 휴식용 발 받침대
KR101468156B1 (ko)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US6702065B2 (en) Folded tire step and wheeled caddy apparatus
US201602572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vehicle-rider arm rest
US10576861B1 (en) Whiplash injuries prevention headrest apparatus and drowsy driving prevention alarm
US7232141B1 (en) Bicycle side chair apparatus
US20080289110A1 (en) Inflatable travel aid
JPH0316550U (ko)
KR20200001167U (ko) 캠핑용 자동차 휴식 장치
KR102552371B1 (ko) 에어매트가 구비된 차량용 리어시트
JPH0352237U (ko)
JP3151321U (ja) 立位休息具
CA2948514A1 (en) Chair systems and method
JP2607476Y2 (ja) 椅 子
KR0134774Y1 (ko) 차량용 안전테이블
JP2000016137A (ja) 車両のフットレスト
JP2003200772A (ja) 自動車用の休息足掛け台
US3298043A (en) Controllably adjustable automobile bed-platform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US20180132622A1 (en) Chair system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