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664B1 -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664B1
KR100444664B1 KR10-2001-0056726A KR20010056726A KR100444664B1 KR 100444664 B1 KR100444664 B1 KR 100444664B1 KR 20010056726 A KR20010056726 A KR 20010056726A KR 100444664 B1 KR100444664 B1 KR 10044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eat
seat
recliner
locker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957A (ko
Inventor
김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6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5Slide construction roller-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프론트시트백을 전후로 조절하는 시트트랙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함과 함께, 시트트랙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하여, 프론트시트쿠션을 리어시트쿠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에게 발과 다리를 올려 놓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시트트랙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Apparatus for moving rear front seat cush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트쿠션에 간단한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프론트 시트쿠션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발을 올려놓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는 여러가지 타입의 메카니즘 장치를 적용하여,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 프론트시트에 적용된 각각의 메카니즘을 첨부한 도 6a,6b,6c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시트백(65)을 후방으로 젖힘과 함께 리어시트쿠션(70)과 평행을 이루도록 최대한 뒤로 젖히는 구조가 있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리어시트쿠션과 프론트시트백이 서로 평행을 이루어 넓은 면적이 안락공간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프론트시트쿠션을 최대한 앞으로 당긴 후, 프론트시트백을 최대한 젖히는 배열 동작이 복잡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다.
2) 기존에 프론트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너와는 달리 그 치합 및 장치가 다른 메카니즘의 리클라이너를 별도로 개발하여 설치함에 따라 원가가 크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3) 프론트시트백을 뒤로 젖힐 때, 리어시트쿠션과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제거된 후에도 프론트시트백의 끝단부가 리어시트쿠션에 꽉 끼이게 되는 간섭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첨부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시트백의 정중앙부위에 별도의 받침대(72)를 후방으로 젖혀지게 설치하고, 이 받침대(72)의 후면에 당김용 피스(piece)를 부착한 구조가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상기 받침대(72) 후면의 당김용 피스를 당기면, 받침대(72)가 뒤로 젖혀지면서 수평상태가 되고, 프론트시트백(65)에 홀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상기 프론트시트백(65)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발을 뻗는 동시에 다리를 받침대(72)에 올려놓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리어시트의 승객이 프론트시트백의 홀을 통하여 전방으로 발을 뻗고 있는 고정적인 자세이므로, 제한적인 홀의 크기에 따라 승객이 발과 다리의 위치를 좌측 및 우측등으로 바꾸지 못하여 오히려 불편한 점이 있다.
2) 피스(piece)화된 프론트시트백의 받침대로 인하여, 프론트시트에 승차한 승객의 등부분에 대한 승차감이 오히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3) 프론트시트백의 내부의 프레임등을 받침대를 피하여 골격화시키고, 받침대를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첨부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시트백(65)의 하단 커버에 별도의 풋레스트(Foot rest) 사출품(74)을 수납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가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상기 풋레스트 사출품(74)을 사용위치로 후방 회동시켜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별도의 풋레스트를 사출 성형으로 구비하는 작업과 그에따른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2) 프론트시트백의 후면 하단에 설치되므로, 리어시트의 바닥면의 공간이 협소화되는 단점이 있고, 프론트시트백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추세에 역행하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기존에 프론트시트백을 전후로 조절하는 시트트랙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함과 함께, 시트트랙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하여, 프론트시트쿠션을 리어시트쿠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에게 발과 다리를 올려 놓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여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작으로, 프론트 시트쿠션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작으로, 프론트 시트쿠션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6b,6c는 종래에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프론트 시트에 적용된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트랙 12 : 리클라이너
14 : 하부브라켓 16 : 시트레일
18 : 안내홀 20 : 안내바
22a,22b : 스토퍼단 24 : 텐션스프링
26,28 : 잠금홈 30 : 텐션와이어
32 : 리클라이너 락커 34 : 시트레일 락커
36 : 고정단 38 : 손잡이단
40 : 락킹체 42 : 케이스
50 :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
52 : 관통홀 54 : 압축스프링
60 : 프론트시트쿠션 65 : 프론트시트백
70 : 리어시트쿠션 72 : 받침대
74 : 풋레스트 사출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트랙(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전후에 스토퍼단(22a,22b)이 일체로 형성되며, 프론트시트백용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내바(20)와;
상기 안내바(20)에 인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앞단끝은 상기 앞쪽의 스토퍼단(22a)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 전면에 고정되는텐션스프링(24)과;
양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연장된 텐션 와이어(30)와, 이 텐션와이어(30)의 양측단끝에 장착되고 외측면 상하에는 각각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와 시트레일 락커(34)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면에는 고정단(36)이 일체로 형성된 락킹체(40)와, 상기 텐션와이어(30)의 후단끝에 장착된 손잡이단(38)과, 상기 락킹체(40)를 커버하며 상기 시트트랙(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42)로 구성된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50)로 구성하되;
상기 락킹체(40)의 리클라이너 락커(32)를 상기 프론트시트백 리클라이너의 하부브라켓(14) 내측면에 형성시킨 잠금홈(26)에 삽입시켜 락킹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시트레일 락커(34)를 상기 시트레일(16)의 후단쪽 내측면에 형성시킨 잠금홈(28)에 삽입시켜 락킹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바(20)가 삽입되는 안내홀(18)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락킹체(40)의 리클라이너 락커(32)는 상기 시트레일 락커(34)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시트트랙(10)에 형성된 관통홀(52)을 지나, 상기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에 형성된 잠금홈(26)에 잠금/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42)의 내부에 위치한 락킹체(40)의 고정단(36)에는 압축스프링(54)이 삽입되어, 상기 락킹체(40)의 내벽면과 상기 케이스(42)의 내벽면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위치되는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단면도이다.
상기 프론트 시트쿠션의 장착 구조를 보면, 플로어패널에 시트레일(16)이 장착되고, 이 시트레일(16)에는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시트트랙(10)이 설치되며, 시트트랙(10)의 상면쪽과 상기 프론트시트쿠션의 저면이 서로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트랙(10)의 전후 조절 이동에 의하여, 프론트 시트쿠션의 전후거리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트랙(10)의 상면에 전후에 스토퍼단(22a,22b)이 일체로 형성된 안내바(20)를 장착하게 되는 바, 실질적으로 상기 스토퍼단(22a,22b)이 시트트랙(10)의 상면에 볼팅과 같은 방법으로 장착되고, 스토퍼단(22a,22b) 사이의 안내바(20)는 시트트랙(10)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프론트시트백은 그 하단 측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에 의하여 전후 경사각이 조절되는 바, 상기 리클라이너(12)는 프론트시트백에 장착되는 상부브라켓과, 이 상부브라켓의 하단부에 힌지로 결합된 하부브라켓(14)으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너 레버(미도시됨)를 조작하면, 프론트시트백이 상기 상부브라켓과 함께, 고정된 상태로 있는 하부브라켓(14)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프론트시트백의 전후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에 전후로 관통된 안내홀(18)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바(20)의 후단부에 위치되게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바(20)에 텐션스프링(24)을 먼저 삽입하여, 텐션스프링(24)의 앞단끝을 상기 앞쪽의 스토퍼단(22a)에 고정시키고, 텐션스프링(24)의 후단끝을 상기 안내바(20)의 후부쪽에 위치되게 삽입된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 전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 전면과 상기 앞쪽의 스토퍼단(22a)에 고정된 텐션스프링(24)은 인장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가 잠금홈(26)에 잠금/삽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잠금홈(26)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시트레일(16)의 후단부 내측면에도 잠금홈(28)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50)을 첨부한 도 4a,4b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50)은 양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형태의 텐션 와이어(30)와, 이 텐션와이어(30)의 양측단끝에 장착된 락킹체(40)와, 상기 텐션와이어(30)의 후단끝에 장착된 손잡이단(38)과, 상기 락킹체(40)를 커버하며 시트트랙(10)의 내측면에부착되는 케이스(4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킹체(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럭형의 판체로서, 그 외측면 상하에는 각각 바 형태의 리클라이너 락커(32)와 시트레일 락커(3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상기 텐션와이어(30)의 양측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단(3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와 시트레일 락커(34)는 상기 케이스(4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는 시트레일 락커(42)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는 상기 시트트랙(10)에 형성된 관통홀(52)을 지나 상기 하부브라켓(14)에 형성된 잠금홈(26)에 삽입되고, 상기 시트레일 락커(34)는 상기 시트레일(16)에 형성된 잠금홈(28)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텐션와이어(30)의 후단끝에 장착된 손잡이단(38)은 최초 프론트시트쿠션의 후부쪽 저면에 위치되고, 당김 동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고리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상기 손잡이단(38)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텐션와이어(30)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락킹체(40)는 그 내측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54)을 압축시키며 안쪽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체(40)의 리클라이너 락커(32)가 상기 하부브라켓(14)의 잠금홈(26)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동시에 상기 락킹체(40)의 시트레일 락커(34)도 상기 시트레일(16)의 잠금홈(28)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와 시트레일 락커(34)의 잠금상태가 해제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단(38)을 계속 당겨주게 되면, 상기 시트트랙(10)이 시트레일(16)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하부브라켓(14)은 상기 인장상태로 있던 텐션스프링의 복원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하여,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트랙(10)과 결합되어 있는 프론트시트쿠션(60)이 후방쪽의 리어시트쿠션(70)과 인접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고, 프론트시트백(65)을 리클라이너(12) 조작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이에따라,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객에게 후방으로 이동된 프론트시트쿠션에 발과 다리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비용이 많이 들던 구조와는 달리 시트트랙에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송용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함과 함께 장치를 간단하게 개선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한 번의 손잡이단 조작으로 리어시트의 승객에게 안락한 공간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또한, 리어시트쿠션에 대하여 쿠션정도와 평행도가 낮은 프론트시트백이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보다, 쿠션정도와 평행도가 더 좋은 프론트시트쿠션이 평행하게 위치되어 보다 안락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시트트랙(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전후에 스토퍼단(22a,22b)이 일체로 형성되며, 프론트시트백용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내바(20)와;
    상기 안내바(20)에 인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앞단끝은 상기 앞쪽의 스토퍼단(22a)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하부브라켓(14)의 하단부 전면에 고정되는 텐션스프링(24)과;
    양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연장된 텐션 와이어(30)와, 이 텐션와이어(30)의 양측단끝에 장착되고 외측면 상하에는 각각 상기 리클라이너 락커(32)와 시트레일 락커(34)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면에는 고정단(36)이 일체로 형성된 락킹체(40)와, 상기 텐션와이어(30)의 후단끝에 장착된 손잡이단(38)과, 상기 락킹체(40)를 커버하며 상기 시트트랙(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42)로 구성된 프론트시트쿠션 후방 이동용 구조물(50)로 구성하되;
    상기 락킹체(40)의 리클라이너 락커(32)를 상기 프론트시트백 리클라이너의 하부브라켓(14) 내측면에 형성시킨 잠금홈(26)에 삽입시켜 락킹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시트레일 락커(34)를 상기 시트레일(16)의 후단쪽 내측면에 형성시킨 잠금홈(28)에 삽입시켜 락킹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바(20)가 삽입되는 안내홀(18)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체(40)의 리클라이너 락커(32)는 상기 시트레일 락커(34)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시트트랙(10)에 형성된 관통홀(52)을 지나, 상기 리클라이너(12)의 하부브라켓(14)에 형성된 잠금홈(26)에 잠금/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2)의 내부에 위치한 락킹체(40)의 고정단(36)에는 압축스프링(54)이 삽입되어, 상기 락킹체(40)의 내벽면과 상기 케이스(42)의 내벽면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위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KR10-2001-0056726A 2001-09-14 2001-09-14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KR10044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726A KR100444664B1 (ko) 2001-09-14 2001-09-14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726A KR100444664B1 (ko) 2001-09-14 2001-09-14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957A KR20030023957A (ko) 2003-03-26
KR100444664B1 true KR100444664B1 (ko) 2004-08-18

Family

ID=2772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726A KR100444664B1 (ko) 2001-09-14 2001-09-14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10B1 (ko) * 2015-11-13 2017-02-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케이블 길이보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31U (ko) * 1988-08-20 1990-02-27
KR19980023706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시트백에 설치된 발받침용 쿠션
KR19990028575A (ko) * 1995-07-04 1999-04-15 쉔 그레고리 조정 가능한 좌석 장착 장치
JPH11170895A (ja) * 1997-12-08 1999-06-29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9990029217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시트트랙 슬라이딩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31U (ko) * 1988-08-20 1990-02-27
KR19990028575A (ko) * 1995-07-04 1999-04-15 쉔 그레고리 조정 가능한 좌석 장착 장치
KR19980023706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시트백에 설치된 발받침용 쿠션
JPH11170895A (ja) * 1997-12-08 1999-06-29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9990029217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시트트랙 슬라이딩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957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17B2 (en) Vehicle seat
KR960012613B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RU2006114025A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кресл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ассажиров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US7478882B2 (en) Motor vehicle seat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US7093897B2 (en) Automobile vehicle seat adaptable to accommodate a child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US6293622B1 (en) Seat device
US6585321B1 (en) Seat adjuster for vehicle seat
KR10044466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JP6788558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3768428B2 (ja) 車両用シート
JP3211180B2 (ja) 跳上げ腰掛け
KR102366118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JP2569461Y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GB2317820A (en) Reclining child seat stowed in a vehicle seat
JPH09109746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S6211710Y2 (ko)
JP3410300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のチルトロック機構
US20220388435A1 (en) Vehicle seat having legrest with seat cushion function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0152191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