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323Y1 -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323Y1
KR900009323Y1 KR2019880002181U KR880002181U KR900009323Y1 KR 900009323 Y1 KR900009323 Y1 KR 900009323Y1 KR 2019880002181 U KR2019880002181 U KR 2019880002181U KR 880002181 U KR880002181 U KR 880002181U KR 900009323 Y1 KR900009323 Y1 KR 900009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pper
sides
backrest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448U (ko
Inventor
이자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2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323Y1/ko
Publication of KR890017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3 (a)(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등받이 11 : 프레임
12 : 지지대 13 : 시이트
14 : 지지봉 15 : 요홈부
16 : 구멍 17 : 홈부
18 : 스톱퍼 19 : 공간부
20 : 걸림편 21 : 손잡이
22, 22' : 소공 23, 23' : 스프링
24 : 장공 25 : 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석에 있어서. 등받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또는 승합자동차에는 필요에 따라 내측 좌석의 통로측에 절첩형의 보조석을 장착하여 좀더 많은 인원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평상시에는 탑승자들로 하여금 통로를 통행하는데 있어서 방해됨이 없이 원할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체적과 공간 점유율이 작게 설계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조석은 작은 체적으로 실용있게 설계되어야만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조석은 절첩이 가능하고 작게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데는 어느 정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 했다고는 할 수 있겠으나 정상적인 사람이 보조석에 앉아 여행하는 경우에는, 보조석의 등받이가 너무 작아서 탑승자 등의 절반도 못미치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장시간 승차)시 피로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편안한 여행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피로감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보조석이 작게 설계된다는 것이 지극히 불편하다는 것을 감안하여 보조석의 본래 기능및 구비조건에 충실함을 기하고, 아울러, 보조석의 착석자들로 하여금 편리함을 느낄수 있는 보조석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를 안출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보조삭에 있어서, 등받이(10) 내부 양측에 프레임(11)과 그하단의 지지대(12)로 된 골조를 형성하여 통상의 시이트(13) 후방에 설치된 U형 지지봉(14)의 양측부로 지지하게 하되, 지지봉(14)의 일측부에 다수의 환형 요홈부(15)를 둥간격으로 형성하여 등받이(10)의 일측지지대(12)에 천공한 삽입 구멍(16)으로 지지봉(14)일측부가 끼워짐과 동시에 그 구멍(16)주위로 홈부(17)에 삽입된 스톱퍼(18)의 공간부(19)를 통하여 프레임(11) 내부로 출입이 자유롭게 하는 한편, 스톱퍼(18)의 공간부(19)로는 걸림편(20)을 돌출시키고 이것이 지지봉(14)의 요홈부(15) 하나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톱퍼(18)의 손잡이(21) 양측과 지지대(12)의 양측 소공(22)(22') 사이에 스프링(23)(23')을 탄지시켰으며, 상기 스톱퍼(18)의 공간부(19) 일측로는 장공(24)을 구획하여 지지대(12)의 하부로 부터 삽입된 핀(25)이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석의 착석자가 본인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본 고안의 스톱퍼 손잡이(21)를 스톱퍼(18)는 지지대(12)의 홈부(17)를 따라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 동작에 의해 스톱퍼(18)의 공간부(19)에 돌출된 걸림편(20)이 지지봉(14)의 요홈부(15)에서 벗어나게 되어 등받이(11)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때, 착석자가 필요한 만큼 등받이(11)의 높이를 조정한 후 스톱퍼(18)의 손잡이(21)에 가해던 힘을 해제하면 스톱퍼(18)는 지지대(12)와 손잡이(21) 사이에 탄지된 스프링(23)(23')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편(20) 또한 스톱퍼(18)와 함께 복귀 되면서 지지봉(14) 요홈부(15)의 하나에 안차되어 등받이(11)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톱퍼(18)에 구획된 장공(24)은 지지대(12)의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핀(25)에 끼워져 스톱퍼(18)의 이동벙위를 제한함은 물론 스톱퍼(18)가 좌우로 흔들이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등받이의 높이를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보조석에 있어서, 등받이(10) 내부 양측에 프레임(11)과 그 하단의 지지대(12)로 된 골조를 형성하여 통상의 시이트(13) 후방에 설치된 U형 지지봉(14)의 양측부로 지지하게 하되, 지지봉(14)의 일측부에 다수의 환형 요홈부(15)를 둥간격으로 형성하여 등받이(10)의 일측 지지대(12)에 천공한 삽입구멍(16)으로 지지봉(14) 일측부가 끼워짐과 동시에 그 구멍(16) 주위로 홈부(17)에 삽입된 스톱퍼(18)의 공간부(19)를 통하여 프레임(11) 내부로 출입이 자유롭게 하는 한편, 스톱퍼(18)의 공간부(19)로는 걸림편(20)을 돌출시키고 이것이 지지봉(14)의 요홈부(15)하나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톱퍼(18)의 손잡이(21) 양측과 지지대(12)의 양측 소공(22)(22') 사이에 스프링(23)(23')을 탄지시켰으며, 상기 스톱퍼(18)의 공간부(19) 일측로는 장공 (24)을 구획하여 지지대(12)의 하부로 부터 삽입된 핀(25)이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2019880002181U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900009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181U KR900009323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181U KR900009323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48U KR890017448U (ko) 1989-09-06
KR900009323Y1 true KR900009323Y1 (ko) 1990-10-10

Family

ID=192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181U KR900009323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3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48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5618A (en) Head-rest device
KR900009323Y1 (ko)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0128700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구조
KR100192821B1 (ko) 차량의 리어시트
KR0125168Y1 (ko) 수납이 가능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KR100502144B1 (ko) 버스용 시트
KR10022938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조립구조
JPS6122506Y2 (ko)
KR960000182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면적조절장치
KR0174417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차량의 리어 아암레스트
KR0159338B1 (ko) 트럭용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970005974Y1 (ko) 시트용 이동식 허리받침대 구조
KR20000012181U (ko) 차량의 조수석 풋 레스트
KR0142336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520568Y2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
KR0120078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JPH0614601Y2 (ja) 車両用シ−ト
KR960004066A (ko) 어린이용 시트로 변환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JPH0612169U (ja) 車輌用シート
KR980008738A (ko) 보조 시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프런트 시트
KR19980052308U (ko) 시트의 이동식 헤드레스트
KR19980030268A (ko) 승합차량용 시트의 다리 지지장치
KR19980018744U (ko) 차량의 조수석 좌,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