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798A - 모터로구동되는렌즈경통을가지는카메라 - Google Patents

모터로구동되는렌즈경통을가지는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798A
KR20000011798A KR1019990029012A KR19990029012A KR20000011798A KR 20000011798 A KR20000011798 A KR 20000011798A KR 1019990029012 A KR1019990029012 A KR 1019990029012A KR 19990029012 A KR19990029012 A KR 19990029012A KR 20000011798 A KR20000011798 A KR 20000011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movable barrel
camera
cam
driv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279B1 (ko
Inventor
가나이마사하루
아오사키고
소마히로시
나루세무쓰미
이자키도시히코
다케시타유키타카
나카모리마사오
사카모토데쓰오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54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356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890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668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90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890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60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89321A/ja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0001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는 동작하지 않는 동안 카메라 본체에 수납되고, 구동 링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본체로부터 근거리 영역(near range) 포커싱 위치 또는 원거리 영역(far range) 포커싱 위치로 돌출되는 이동 가능 렌즈 경통을 가진다. 구동 링과 이동 가능 경통을 연결시키는 캠 메카니즘에 의하여 구동 링을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이 수납 위치로 복귀한다. 구동 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이 클러치 메카니즘을 통하여 구동 링으로 전달된다. 클러치 메카니즘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위칭되고, 제2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을 다른 메카니즘으로 전달한다. 컨트롤러는 경통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참조하여 전원 스위치, 셔터 버튼 및 존 선택기를 포함하는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부재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모터로 구동되는 렌즈 경통을 가지는 카메라 {CAMERA WITH MOTOR-DRIVEN LENS BARREL}
본 발명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가지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모터에 의하여 단지 한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다른 방향으로의 모터 회전력은 다른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가지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즉석 카메라(instant camera)는 촬영 렌즈를 통하여 형성된 피사체( subject)의 광학적 상(image)에 대하여 즉석 필름을 노출시켜 1 매의 즉석 필름상에 사진을 촬영한다. 노출 후에, 필름 배출(feed out) 메카니즘이 구동되어 노출된 즉석 필름을 배출한다. 필름 배출 메카니즘은 클로(claw) 메카니즘과 한쌍의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로 구성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클로 메카니즘은 즉석 카메라에 장전된(loaded) 필름 팩(film pack)으로부터 노출된 즉석 필름을 꺼내서(rake) 현상 롤러로 공급한다. 다음에, 현상 롤러는 즉석 필름을 잡아서 즉석 카메라의 필름 출구(exit)를 통하여 배출한다. 즉석 필름이 현상 롤러를 통하여 압착되는 동안 현상액을 포함하는 포드(pod)가 쪼개져서 현상액이 노출된 즉석 필름 상에 퍼진다. 이에 따라, 즉석 필름 상에 촬영된 잠복된 사진(latent picture)이 현상되어 볼 수 있는 양화(positive picture)가 된다.
즉석 필름의 시트(sheet) 사이즈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즉석 카메라는 즉석 필름을 장착하기에 충분하게 큰 공간을 가져야 하며, 이에 따라 IX 240 타입 필름을 사용하는 35mm 카메라와 APS 카메라에 비하여 즉석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즉석 카메라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 4-194829는 촬영 렌즈를 가지는 렌즈 보드(board)가 벨로우즈(bellows)를 통하여 카메라의 바디에 설치되어, 보드가 카메라 본체의 프론트 월(front wall)로 접혀지거나, 프로트 월로부토 돌출될 수 있는 접을 수 있는(collapsible) 즉석 카메라를 개시하고 있다. 접을 수 있는 즉석 카메라는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고, 비싸진다.
종래의 컴팩트 카메라에 사용되어 왔고, 수납 위치(stowed position)와 돌출 위치(protrud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 렌즈 경통을 즉석 카메라에 삽입하는(introduce)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해결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동 가능 렌즈 경통이 모터에 의하여 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돌출되거나 제2 또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수납되기 때문에, 피름 배출 메카니즈용 모터 이외에 렌즈 경통을 구동시키는 제2 모터가 필요하다. 게다가. 촬영 렌즈가 렌즈 경통의 돌출이나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모터와는 다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포커싱 메카니즘을 통하여 포커스되는 경우, 즉석 카메라는 적어도 세 개의 모터를 탑재하여야 한다. 이것은 캠팩트화와 비용의 관점에서 불리하다.
모터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본 특허 번호 1869801은 광각단과 망원단 사이에서 렌즈 경통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이용하고, 다른 메카니즘 즉, 필름 이송(advancing) 메카니즘 또는 셔터 구동 메카니즘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또는 반대 방향의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개념(teaching)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9-236854는 모터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필름 이송, 감기 그리고 되감기 메카니즘을 구동시키고, 모터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나머지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지 개념만을 제안하고 있으며 실현을 위한 어떠한 구체적인 해결책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어떻게 모터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렌즈 경통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는 어떻게 촬영 렌즈의 포커싱을 하는 지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하나의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토크(torque)는 일반적으로 다른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와는 다르다.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대하여 동일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경우, 토크의 차이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메카니즘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없으며, 어떤 잡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 동안, 많은 즉석 카메라와 저가의 카메라가 비교적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고 비교적 작은 렌즈 조리개를 가지는 촬영 렌즈를 이용하였으므로, 촬영 렌즈는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 내에서 넓은 피사체 거리 영역을 카바하였다. 이러한 즉석 카메라 또는 저가의 카메라에서, 카바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거리는 주로 복수의 존 예를 들면, 근거리 존, 중간거리 존, 원거리 존으로 나뉘어지고, 촬영 렌즈는 각각의 피사체 거리 존에 대하여 결정된 복수의 포커싱 위치 중의 하나로 세팅되도록 고안된다. 자동 포커싱 장치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포커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존 포커싱 장치는 촬영자가 설정된 피사체 거리 존 중 하나를 지정하도록 하여 촬영 렌즈를 지정된 피사체 거리 존으로 포커싱한다.
종래의 존 포커싱 장치에서, 스위칭 레버 또는 다이얼 등과 같은 조작 부재는 상호 연결(interconnection) 메카니즘을 통하여 촬영 렌즈의 포커싱 링에 연결되어, 조작 부재를 통한 포커싱 링의 회전에 의하여 포커싱 위치를 스위칭한다. 그러므로 조작 부재는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상호 연결 메카니즘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촬영 렌즈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존 포커싱 장치의 조작 부재의 위치는 촬영자가 다루기 쉽지 않으며, 또한 다른 카메라 요소의 레이아웃(layout)에 제한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촬영 렌즈의 렌즈 경통이 광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을 렌즈 경통을 전후로 이동시키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하는데 사용하는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이용하고, 모터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다른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이용하고, 이들 메카니즘 사이의 필요한 토크의 차이를 고려한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존 포커싱 장치를 가지고, 카메라의 공간 효율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존 포커싱 장치의 조작 부재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는 촬영 렌즈의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광축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링(drive ring)을 포함하는 경통 구동 어셈블리; 촬영 렌즈를 수납하고, 촬영 렌즈의 광축을 따라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 및 경통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를 연결시켜서 상기 구동 링이 한번의 회전을 하는 동안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가 광축을 따라 적어도 한 행정(stroke)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캠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라, 제2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을 즉석 필름 유니트용 필름 배출 메카니즘 또는 롤 필름용 필름 이송 메카니즘 등의 제2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2 메카니즘을 위한 별도의 모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위칭되는 클러치 메카니즘을 통하여 구동 링과 모터를 연결함으로써, 모터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구동 링으로 전달되고, 모터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카메라의 제2 메카니즘으로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모터 구동 장치는 구동 링과 제2 메카니즘 사이의 필수 회전력의 차이에 따라,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로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전기량과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로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전기량을 다르게 공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는 이동 가능 경통을 포함하고, 반면에 캠 메카니즘은 이동 가능 경통과 구동 링 중 하나에 제공된 앤드리스 캠 홈(groove)과, 이동 가능 경통과 구동 링 중 나머지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캠 핀(pin)을 포함한다. 캠 핀은 축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형성된 축 가이드 슬릿(slit)을 통하여 앤드리스 캠 홈에 결합되고, 앤드리스 캠 홈은 광축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는 세그먼트를 가지기 때문에, 구동 링이 회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 캠 핀이 적어도 한번은 광축 방향의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광축 방향에 시프트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전방 세그먼트(front segment)를 가지는 앤드리스 캠 홈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가능 경통이 구동 링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돌출 위치로 단계별로 세팅될 수 있다.
촬영 렌즈가 이동 가능 경통의 서로 다른 돌출 위치에서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도록 하여, 이동 가능 렌즈 경통의 돌출과 수납을 위해 이용되는 모터 이외에 별도의 포커싱 모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는 광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광축을 따라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rear) 이동 가능 경통; 및 촬영 렌즈를 수납하고, 후방 이동 가능 경통에 연동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방 이동 가능 경통에 설치되는 전방(front) 이동 가능 경통을 포함한다. 반면에 캠 메카니즘은 후방 이동 가능 경통과 경통 구동 어셈블리를 연결시켜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이 구동 링과 함께 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한 회전당 광축을 따라서 적어도 한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1 캠 메카니즘; 및 후방 이동 가능한 경통과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을 연결시켜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이 1 회전을 하는 동안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광축을 따라 적어도 한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2 캠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제1 캠 메카니즘의 제1 앤드리스 캠 홈과 제2 캠 메카니즘의 제2 앤드리스 캠 홈은 서로 동일한 컨투어(contour)을 가지며, 이들 메카니즘의 캠 핀은 앤드리스 캠 홈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이동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광축 방향에서 시프트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전방 세그먼트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앤드리스 캠 홈을 제공하여,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구동 링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돌출 위치로 단계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 가능한 렌즈 경통의 돌출 및 수납과 또한 포커싱하는데 모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촬영 렌즈의 다른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여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의 서로 다른 돌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는 다른 피사체 거리 존 중에서 촬영 렌즈에 의하여 포커싱하고자 하는 피사체 거리 존을 선택하는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선택 부재를 가지는 존 포커싱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존 포커싱 장치는 존 선택 부재를 통하여 선택된 피사체 거리 존을 나타내는 존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피사치 거리 존에 대응하여 촬영 렌즈의 다른 포커싱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존 선택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여 촬영 렌즈를 서로 다른 돌출 위치 중의 하나로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렌즈의 포커싱이 존 선택 신호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선택 부재는 카메라 본체 상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촬영 렌즈와 존 선택 부재 사이에 상호 연결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이 수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이 돌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수납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수납 위치에서 캠 핀과 캠 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캠 경통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돌출 위치에서 캠 핀과 캠 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캠 경통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중간 위치에서 캠 핀과 캠 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캠 경통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돌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돌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모터를 렌즈 경통 메카니즘이나 즉석 카메라의 외부로 즉석 필름 유니트를 배출하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에 결합시키는 클러치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1은 모터가 렌즈 경통 메카니즘에 결합되는 제1 스위치 위치에서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설명도(explanatory)이다.
도 12는 모터가 필름 배출 메카니즘에 결합되는 제2 스위치 위치에서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사용되는 수납 위치에서의 촬영 렌즈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광축 단면도이다.
도 15는 돌출 위치에서의 도 1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광축 단면도이다.
도 16은 경통의 내주면 주위에 형성된 캠 홈을 나타내는 도 1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고정 경통과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의 전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구동 링 주위에 제공된 캠 면과, 캠 면의 컨투어(contour)로부터 구동 링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경통 위치 검출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링과 경통 위치 검출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여기서 구동 링의 회전 위치는 구동 링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광학적으로 검출되는 패턴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다른 각 세그먼트에 제공된 광학적으로 검출되는 패턴의 차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경으로서 고정 경통과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의 분해 전개도(unfold fragmentary view)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의 다른 변경으로서 고정 경통과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의 분해 전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위치에서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광축 단면도이다.
도 23은 돌출 위치에서의 도 22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광축 단면도이다.
도 24는 구동 링 주위에 형성된 캠 홈을 나타내는 도 22에 도시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구동 링의 전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모터의 회전력을 렌즈 경통 메카니즘이나 필름 배출 메카니즘으로 전달하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에 제공된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의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a는 경통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관련하여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공급되는 정의 구동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8b는 클로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관련하여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공급되는 부의 구동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공급되는 정의 구동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공급되는 정의 구동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1은 포커싱을 위하여 3개의 피사체 거리 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선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즉석 카메라의 회로와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즉석 카메라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4는 존 선택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가 두 개의 포커싱 위치 중 하나로 세팅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5는 두 개의 포커싱 위치를 가지는 카메라의 다른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이 보다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2)는 대체로 사각형인 카메라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앞으로 돌출되는 렌즈 후드(hood)(5)를 가진다. 내부에 촬영 렌즈(6)를 수납하고 있는 이동 가능한 렌즈 경통(7)이 렌즈 후드(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플래쉬 창(8)은 렌즈 후드(5)의 위에 위치되고, 셔터 버튼(9)과 파인더 대물 창(10)은 플래쉬 창(8)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11)와 필름 출구(12)는 카메라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11)가 오프되는 동안, 즉석 카메라(2)는 동작하지 않고, 이동 가능 경통(7)은 렌즈 후드(5)에 수납된다. 전원 스위치(11)가 온됨에 따라, 즉석 카메라(2)는 구동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 경통(7)은 렌즈 후드(5)로부터 물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즉석 카메라(2)의 카메라 본체의 후부(rear portion)에 필름 팩(15)을 수납하는 필름 팩 챔버(16)가 설치되어 있다. 촬영 요소(element)는 기본 프레임(17)에 설치되어 있고, 일체로 형성된 렌즈 후드(5)를 가지는 외부 커버(18)로 감싸져 있다. 외부 커버(18)에 힌지(hinge)되어 있는 리어 리드(rear lid, 이하 백커버로 명명함)(19)를 열어서 필름 팩(15)이 필름 팩 챔버(16)에 장전된다.
필름 팩(15)은 박스 형태의 케이스(20)에 복수의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즉석 필름 유니트(21)는 1매의 즉석 필름, 현상액 포드(pod), 포드로부터 현상액을 트랩(trap)하는 트랩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사각형 노출 개구(exposure aperture)(24)가 케이스(20)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노출 개구(25)가 기본 프레임(17)을 통하여 필름 챔버(1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노출 개구(24,25)는 수평적으로 길게 늘어진 큰 사이즈의 노출 프레임으로 정의된다. 노출 개구(24,25)를 통하여 필름 팩(15) 내의 가장 앞의 즉석 필름 유니트(21)의 노출면(exposure surface, 22)이 촬영 렌즈(6)를 통하여 형성된 피사체의 광학적 상에 노출된다.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는 케이스(20)와 기본 프레임(17)의 윗벽(top wall)을 통하여 형성된 슬릿(23,26)을 통하여 배출된다(discharge).
한 쌍의 현상 롤러(27)가 기본 프레임(17)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27)는 현상액 포드를 쪼개서(break) 노출면(22) 위에 현상액을 산포하는 동안 필름 출구(12)를 통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배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동 가능한 렌즈 경통(7), 고정 경통(30), 축 가이드 링(31) 및 캠 경통(32)을 포함하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이 렌즈 후드(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캠 경통(32)은 외주면 상에 가이드 핀(34)을 가지고, 가이드 핀(34)은 고정 경통(30)의 내주면 주위에 형성된 고리 모양의 가이드 홈(35)에 결합됨으로, 캠 경통(32)이 고정 경통(3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캠 경통(32)은 외주면 주위에 형성된 구동 기어(36)를 가지며, 이에 따라 캠 경통(32)이 구동 링으로 작용한다. 구동 기어(36)를 통하여 모터(70)(도 9에 도시됨)의 회전력이 캠 경통(32)으로 전달된다. 추후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캠 경통(32)은 모터(7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단지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축 가이드 링(31)은 이동 가능 경통(7)의 회전을 중지시키며, 이동 가능 경통(7)을 단지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축 가이드 링(31)은 링 부분(ring portion)(37)과 캠 경통(32)의 내부를 통하여 링 부분(37)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기본 프레임(17)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 돌기(axial projection)(38,39)로 이루어진다. 돌기(38,39)는 즉석 카메라(2)가 선택되는(elect) 경우, 링 부분(37)의 상하부(top and bottom)에 위치된다. 축 가이드 슬릿(40 또는 41)은 돌기(38,39)를 통하여 형성되고, 촬영 렌즈(6)의 광축(6a)을 따르는 광축 방향에서의 이동 가능 경통(7)의 이동 가능한 영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한편, 캠 경통(32)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 경통(7)의 이동 가능한 영역보다 더 길다. 이동 가능 경통(7)은 외주면 상에 4개의 캠 핀(44,45,46,47)을 가진다. 캠 핀(44∼47)은 서로 90°간격을 두고 있다. 이동 가능 경통(7)의 상하부에 있는 캠 핀(44.46)은 각각 축 가이드 슬릿(40,41)에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캠 경통(32)은 내주면의 주위에 형성된 제1 및 제2 캠 홈(50,51)을 가진다. 제1 캠 홈(50)은 순환하며, 항상 이동 가능 경통(7)의 캠 핀(45,47)과 결합된다.
제1 캠 홈(50)은 캠 경통(32)의 회전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세그먼트(55)와, 캠 경통(32)에 원주적으로 연장되고 제1 세그먼트(5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세그먼트(56), 제2 세그먼트(56)에 연결되어 있고 캠 경통(32)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obliquely) 또는 대각선으로(diagonally) 연장되어 있는 제3 세그먼트(57), 제3 세그먼트(57)에 연결된 원주적으로 연장된 제4 세그먼트(58) 및 제4 세그먼트(58)에 연결된 사선으로 연장되는 제5 세그먼트(59)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5 세그먼트(55∼59)는 캠 홈(32)의 내주면의 절반에 걸쳐 연장되고, 제1 캠 홈(50)의 나머지 절반은 동일한 순서의 동일한 세그먼트(55∼59)로 이루어진다. 제5 세그먼트(59)의 다른 끝(end)은 제1 캠 홈(50)의 다음 절반의 제1 세그먼트(55)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에 의하여 의미되는 바와 같이, 캠 경통(32)은 모터에 의하여 단지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동 가능한 렌즈(7)가 렌즈 후드(5)에 수납된 경우, 캠 핀(45,47)은 제4 세그먼트(58)에 위치된다. 캠 경통(32)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 핀(45,47)이 제3 세그먼트(57)를 따라 이동한다. 캠 경통(32)의 가이드 핀(34)과 고정 경통(30)의 고리 모양의 가이드 홈(35) 사이의 결합(engagement)으로 인하여 캠 경통(32)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캠 핀(45,47)이 제3 세그먼트(57)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 가능 경통(7)은 앞으로 즉, 물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캠 경통(32)이 수납 위치로부터 90°회전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핀(45,47)은 제2 세그먼트(56)에 위치되고, 이동 가능 경통(7)은 렌즈 후드(5)로부터 완전하게 돌출된다. 캠 경통(32)을 도 6에 도시된 완전하게 돌출된 위치로부터 90°로 회전시킴에 따라, 캠 핀(45,47)이 제1 캠 홈(50)의 제1 및 제5 세그먼트(55,59)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가능 경통(7)은 수납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 경통(7)이 캠 경통(32)이 360°회전하는 동안 두 행정(stroke)의 왕복 운동을 한다.
캠 핀(45,47)은 제2 세그먼트(56)에 위치되고, 이동 가능 경통(7)이 완전하게 돌출된 위치에서, 촬영 렌즈(6)의 초점(focal point)은 근거리 피사체 거리 존(near subject distance zone)에 있다. 캠 핀(45,47)이 제1 세그먼트(55)에 위치될 때까지 캠 경통(32)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7)은 조금 수축되고(retracted), 촬영 렌즈(6)의 초점은 원거리(far) 피사체 거리 존으로 세팅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어도, 이 실시예의 즉석 카메라(2)는 촬영자가 촬영 렌즈(6)를 근거리 피사체 거리 존이나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으로 포커싱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하는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선택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즉석 카메라(2)는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피사체 거리에 따라 촬영 렌즈(6)의 초점을 근거리 피사체 거리 존이나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으로 세팅하는 자동 포커싱 장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캠 홈(51)은 제1 캠 홈(50)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55,56)와 동일한 컨투어를 가지나, 제1 캠 홈(50)으로부터 90°시프트된다. 제3 및 제5 세그먼트(57,59) 대신에, 제2 캠 홈(51)이 개구단(65,66,67,68)에서 끝나는 짧은 대각선의 세그먼트를 가진다. 구동 링(32)이 회전함에 따라, 이들 개구단(65∼68)을 통하여, 이동 가능 경통(7)의 다른 한 쌍의 캠 핀(44,46)이 제2 캠 홈(51)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캠 경통(32)이 이동 가능 렌즈 경통(7)의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하여 설정된 각도θ로 회전하는 경우에, 캠 핀(44,46)이 축 가이드 슬릿(40,41)을 통하여 제2 캠 홈(51)에 결합되고, 따라서, 이동 가능 렌즈 경통(7)이 수납 위치로부터 앞으로 L 길이 만큼 이동한다. 캠 핀(44,46)은 항상 축 가이드 슬릿(40,41)에 결합되고, 캠 핀(45,47)은 항상 제1 캠 홈(50)에 결합되기 때문에, 캠 핀(44,46)이 제2 캠 홈(51)에 결합되지 않는 동안에도 이동 가능 렌즈 경통(7)은 광축(6a)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캠 경통(32)의 상측(image side) 가장 자리(rim)는 제1 캠 홈(50)의 제3 내지 제5 세그먼트(57∼59)을 따라 제거됨으로써(cut away), 두 개의 컷아웃(62,63)과 섞여진(interlaced) 두 개의 경사진 돌기(60,61)가 있다. 원주 방향에서의 컷아웃(62,63)의 길이는 경사진 돌기(60,61)의 길이보다 길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경사진 돌기(60,61)는 이동 가능 경통(7)의 돌출 위치에서 축 가이드 링(31)의 돌기(38,39) 위에 오버레이(overlay)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돌기(60,61)가 노출 개구(25)의 상하부측에 위치된다. 노출 개구(25)가 수평적으로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노출 개구(25)의 좌우측(25a,25b)이 상하부측(25c,25d)보다 짧기 때문에, 이동 가능 경통(7)이 돌출 위치에 있는 경우 즉, 즉석 카메라(2)가 구동되는 동안에, 캠 경통(32)의 간섭 없이, 촬영 렌즈(6)로부터의 광선(light beam)이 컷아웃(62,63)을 통하여 노출 개구의 대각선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 위치에 있는 동안 경사진 돌기(60,61)가 광축(6a)의 반대 수평측 상에서 촬영 렌즈(6)의 광 경로 내에 위치됨에도 불구하고, 즉석 카메라(2)는 그 위치에서 구동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그러므로, 캠 경통(32)의 직경은 컷아웃(62,63)에 의하여 최소화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즉석 카메라(2)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은 모터(70)에 의하여 단지 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출구(12)를 통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배출하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을 구동하는데 동일한 모터(70)가 사용된다. 이것을 위하여, 클러치 메카니즘(73)이 모터(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터(70)를 렌즈 경통 메카니즘(28) 또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에 결합시키는데 제공된다. 제1 방향으로의 모터(70)의 회전력이 입력(entrance) 기어(77)와 전달 메카니즘(71)을 통하여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으로 전달된다.
제2 방향으로의 모터(70)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메카니즘(74,75)과 입력 기어(76)를 통하여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으로 전달된다.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은 현상 롤러 쌍(27)과 클로(claw) 메카니즘(78)으로 이루어진다. 클로 메카니즘(78)은 모터(70)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 슬릿(23,26)을 통하여 케이스(20)로부터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꺼내고,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는 현상 롤러(27)를 통하여 압착되고, 필름 출구(12) 외부로 배출된다.
클러치 메카니즘(73)은 선(sun) 기어(80), 제1 및 제2 유성(planet) 기어(81,82) 및 암(83)으로 이루어진다. 제1 유성 기어(81)는 제2 유성 기어(8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암(83)의 일측단은 선 기어(80)의 회전 샤프트(80a)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성 기어(81,82)는 암(83)의 타측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통 회전 샤프트(81a)에 고정된다. 제2 유성 기어(82)는 선 기어(80)와 체결되도록 유지된다. 선 기어(80)는 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하여 두방향으로 회전된다. 선 기어(80)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유성 기어(81)는 자신의 축 상을 회전하면서 선 기어(80) 주위를 선회한다(revolve).
모터(7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 기어(80)는 도 10에 도시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83)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스윙(swing)하여 제2 유성 기어(82)를 입력 기어(76)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 유성 기어(81)를 입력 기어(77)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모터(70)의 회전력이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으로 전달된다. 한편, 모터(70)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 기어(80)는 도 10에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83)은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여 제1 유성 기어(81)를 입력 기어(77)로부터 분리시키고, 제2 유성 기어(82)를 입력 기어(76)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모터(70)의 회전력이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으로 전달된다.
입력 기어(76,77)는 카메라 본체 내에서 선 기어(80)의 위아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밑에 있는 입력 기어(77)에서 위에 있는 입력 기어(76)로 스위칭하는 경우, 암(83)은 반드시 중력에 대향하여 유성 기어(81,82)를 민다. 실패없이 이 방향으로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된 일치(one-tooth) 기어(84)가 유성 기어(81,82)의 스위칭 경로 중간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제2 유성 기어(82)가 스위칭 중간에 일치 기어(84)와 체결된다. 일치 기어(84)는 암(84)에게 선 기어(80)의 주위의 보조 회전력을 제공한다.
모터(70)는 컨트롤러(86)의 제어하에서 드라이버(85)를 통하여 구동된다. 컨트롤러(86)에 셔터 버튼(9), 백커버 개폐 스위치(87) 및 전원 스위치(11)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제공된다. 컨트롤러(86)는 전원 스위치(11)가 턴언됨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70)를 구동시켜, 이동 가능 경통(7)이 렌즈 후드(5)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또는 전원 스위치(11)가 턴오프됨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7)이 렌즈 후드(5)로 수납되도록 한다. 셔터 버튼(9)의 동작에 따라 노출이 이루어진 경우, 컨트롤러(86)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7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클로 메카니즘(78)이 왕복 슬라이드하게 되어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꺼내고, 현상 롤러(27)가 회전되어 노출된 필름 유니트(21)를 필름 출구(12)를 통하여 배출한다.
컨트롤러(86)는 또한 클로 위치 검출기(88)와 경통 위치 검출기(89)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클로 위치 검출기(88)는 클로 메카니즘(78)이 왕복 슬라이되는 경우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컨트롤러(89)는 모터(70) 구동을 중지시킨다. 경통 위치 검출기(89)는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 위치 또는 돌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컨트롤러(89)가 모터(70) 구동을 중지한다.
컨트롤러(89)는 항상 백커버 개폐 스위치(87)로부터의 동작 신호를 감시하여(monitoring) 백커버(19)가 열려 있는지 또는 닫혀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백커버(19)가 열려 있으면, 컨트롤러(86)는 셔터 버튼(9)으로부터의 동작 신호 뿐만 아니라 전원 스위치(11)로부터의 동작 신호를 무시한다. 따라서, 모터(70)는 백커버(19)가 열려 있는 한 어떠한 방향으로도 구동되지 않는다.
다음에, 즉석 카메라(2)의 동작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전원 스위치(11)가 오프되는 동안,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석 카메라(2)는 구동되지 않고 이동 가능 경통(7)은 수납 위치에 있는다. 전원 스위치(11)가 턴온되는 경우, 컨트롤러(86)는 백커버(19)가 닫혀 있고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되어 있고, 클로 메카니즘(78)이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모터(70)를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제1 방향으로의 모터(70)의 회전은 클러치 메카니즘(73)이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에 대한 입력 기어(77)로 스위칭되도록 함으로써, 모터(70)의 회전력이 캠 경통(32)의 구동 기어(36)로 전달된다. 캠 경통(32)이 회전함에 따라, 캠 핀(44,46)이 축 가이드 슬릿(40,41)을 따라 가이드되기 때문에 이동 가능 경통(7)이 회전되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캠 경통(32)이 수납 위치로부터 각도 θ만큼 회전되는 경우, 이동 가능 경통(7)은 수납 위치로부터 길이 L 만큼 외부로 이동하고, 캠 핀(44,46)은 개구단(66,68)을 통하여 제2 캠 홈(51)으로 삽입된다. 캠 경통(32)이 수납 위치로부터 90°회전하는 경우, 이동 가능 경통(7)은 완전하게 돌출되고, 캠 핀(44∼4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컨트롤러(86)는 경통 위치 검출기(89)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감시하고, 이동 가능 경통(7)이 완전하게 돌출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모터(70) 구동을 정지시킨다.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이 존 선택 장치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자동 포커싱 장치가 피사체가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6)는 캠 핀(45,47)이 제1 세그먼트(55)에 위치될 때 구동 링(32)을 정지시킨다. 그 다음에 셔터 버튼(9)이 눌려지는 경우, 노출 개구(25)의 뒤에 배치된 가장 정면의 즉석 필름 유니트(21)의 노출면(22)이 촬영 렌즈(6)를 통하여 형성된 피사체의 광학적 상에 노출된다. 피사체 휘도가 설정된 레벨보다 낮다면, 즉석 카메라(2)는 노출과 동시에 피사체를 향하여 플래쉬 창(8)으로부터의 빛을 발광한다.
노출 후에, 컨트롤러(86)는 모터(70)를 제2 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라 클러치 메카니즘(73)이 입력 기어(76)로 스위칭되고, 모터(70)의 회전력이 클로 메카니즘(73)과 현상 롤러(27)로 전달된다. 그 결과,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가 필름 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석 필름 유니트(22)가 현상 롤러(27)를 통하여 압착되는 동안, 현상액이 포드로부터 노출된 노출면(22)에 퍼지게 된다. 클로 메카니즘(73)이 한번 위아래로 슬라이드되는 경우, 즉석 필름 유니트(21)는 완전하게 꺼내진다. 그러므로, 컨트롤러(86)는 클로 위치 검출기(88)가 클로 메카니즘(78)이 한 행정의 왕복 슬라이드를 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모터(70) 구동을 정지시킨다.
전원 스위치(11)가 턴오프되어 촬영이 종료되는 경우, 컨트롤러(86)는 모터(70)를 구동시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모터(70)의 회전력이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으로 전달되어 캠 경통(3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동 가능 경통(7)이 돌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캠 핀(44∼4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캠 경통(32)을 이 위치로부터 90°회전시킴에 따라, 캠 핀(45,,47)은 제1 세그먼트(55)와 제5 세그먼트(59)를 통하여 제4 세그먼트(58)로 이동한다. 캠 핀(45,47)이 대각선으로 연장된 제5 세그먼트(59)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캠 핀(44,46)과 축 가이드 슬릿(40,41) 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이동 가능 경통(7)이 축 방향에서 뒤로 이동한다. 경통 위치 검출기(89)가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컨트롤러(86)는 모터(70) 구동을 정지시킨다.
위의 실시예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28)에서 한 방향으로 캠 경통(32)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이동되었어도, 본 발명은 수납 위치, 광각단 및 망원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줌 렌즈를 위한 렌즈 경통 메카니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모터(70)는 줌 버튼의 동작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줌렌즈는 수납 위치에서 광각단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망원단으로 이동한다. 또한 줌 버튼의 동작은 줌렌즈가 망원단에서 광각단 및 수납 위치로 뒤로 이동하도록 한다. 줌 버튼의 동작이 중지되는 경우, 줌 렌즈는 광각단 또는 망원단에서 정지한다.
위 실시예에서 캠 경통(32)이 360° 회전을 하는 동안, 이동 가능 경통(7)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두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캠 경통(32)이 고안되었어도, 이동 가능 경통(7)이 캠 경통(32)의 360°회전 동안에 한 행정 또는 두 행정 이상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캠 경통(32)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 실시예에서, 제2 방향으로의 모터(70)의 회전력이 즉석 카메라(2)의 필름 배출 메카니즘(72)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었어도, 본 발명은 롤 필름 예를 들어, 부로와인(Browine)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방향으로의 모터(70)의 회전력은 롤 필름용 필름 이송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90)를 나타낸다. 도 14는 수납 위치에서 촬영 렌즈의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나타내며, 여기서 이동 가능 렌즈 경통(103,105)은 카메라 본체(91)의 프론트 월(front wall)로부터 앞으로 돌출하는 렌즈 후드(92)로 완전하게 수납된다. 렌즈 경통(105)은 내부에 비트윈 렌즈 셔터(between-lens shutter)를 가지는 촬영 렌즈(106)를 수납하고, 렌즈 경통(10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렌즈 경통(103)은 이동하지 않고 카메라 본체(91)에 붙어 있는 고정 경통(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 링(102)이 촬영 렌즈(106)의 광축(106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경통(100)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광축(106a)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구동 링(102)은 외주면 주위에 형성된 구동 기어(102a)를 가지며, 모터(94)(도 13에 도시됨)의 회전력이 구동 링(102)으로 전달된다. 또한, 축 가이드 링(104)이 회전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한 렌즈 경통(103)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동 가능 렌즈 경통(103)에 대하여 축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 렌즈 경통(103,105)은 구동 링(102)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도 14에 도시된 수납 위치와 도 15에 도시된 돌출 위치 사이를 광축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렌즈 경통(105)은 돌출 위치에서 렌즈 경통(103)으로부터 앞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렌즈 경통(105)은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이라고 명명되고, 반면에 렌즈 경통(103)은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이라고 명명된다.
렌즈 조리개(109a)를 열거나 또는 닫기 위하여 렌즈 커버(107)를 구동시키는 렌즈 커버 구동 장치(108)가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에 단단하게 설치되어 있다. 렌즈 조리개(109a)를 가지는 정면 커버 플레이트(109)는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의 정면 끝(front end)에 고정된다.
도 1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경통(100)은 앤드리스 캠 홈(101a)과 내주면에 형성된 3개의 축 가이드 홈(101b)을 가진다. 축 가이드 홈(101b)은 광축(6a)에 대하여 서로 120°간격을 두고 있다. 축 가이드 링(104)은 후단(rear end)에 형성되고 외주면 주위에 서로 서로 120°간격을 두고 있는 3개의 키(key) 핀(104a)을 가진다. 또한 축 가이드 링(104)은 광축(6a)에 대하여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된 3개의 축 가이드 슬릿(104a)를 가진다. 키 핀(104a)은 고정 경통(101)의 축 가이드 홈(101b)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 링(102)은 120° 간격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3개의 축 홈(102b)를 가진다.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외주면 상에, 3개의 커플링(coupling) 핀(103a)과 3개의 캠 핀(103b)이 있다. 커플링(coupling) 핀(103a)은 서로 120°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구동 링(102)의 축 홈(102b)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캠 핀(103b)은 서로 120° 간격을 두고 있으며, 고정 경통(101)의 캠 홈(101a)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은 내주면 주위에 앤드리스 캠 홈(103c)을 더 가진다. 캠 홈(101a)과 캠 핀(103b) 사이의 결합, 축 가이드 홈(101b)과 키 핀(104a) 사이의 결합, 및 축 홈(102b)과 커플링 핀(103a) 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과 축 가이드 링(104)은 구동 링(102)의 회전에 따라 고정 경통(10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된다.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1)은 120°간격으로 외주면 주위에 형성되는 3개의 캠 핀(105a)을 가지며, 3개의 캠 핀(105a)은 축 가이드 링(104)의 축 가이드 슬릿(104b)를 통하여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홈(103c)에 결합된다. 렌즈 커버 구동 장치(108)는 후단 상에 3개의 가이드 핀(108a)을 가지며, 3개의 가이드 핀(108a)은 축 가이드 링(104)의 축 가이드 슬릿(104b)에 결합된다. 축 가이드 슬릿(104b)를 통한 캠 핀(105a)과 캠 홈(103c) 사이의 결합 및 가이드 핀(108a)과 축 가이드 슬릿(104b) 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은 광축(6a)과 일치하는 자신의 축상을 회전하지 않고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고정 경통(101)의 캠 홈(101a)과 축 가이드 홈(101b), 구동 링(102)의 축 홈(102b),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커플링 핀(103a)과 캠 핀(103b) 및 축 가이드 링(104)의 키 핀(104a)는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에 대한 캠 메카니즘을 구성한다. 한편,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홈(103c), 축 가이드 링(104)의 축 가이드 슬릿(104b),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의 캠 핀(105a) 및 렌즈 커버 구동 장치(108)의 가이드 핀(108a)은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에 대한 캠 메카니즘을 구성한다. 축 가이드 링(104), 전방 및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5,103), 비트윈 렌즈 셔터를 가지는 촬영 렌즈(106) 및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5)에 설치된 다른 부재들은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반면에 구동 링(102) 및 고정 경통(101)은 경통 구동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동 가능한 경통(103,105)이 도 14와 같이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핀(103b)은 고정 경통(101)에 있는 캠 홈(101a)의 최후미 지점(rearmost) C에 위치되고,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의 캠 핀(103a)은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홈(103c)의 최후미 지점 D에 위치된다. 구동 링(102)이 도 16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커플링 핀(103a)과 구동 링(102)의 축 홈(102b)의 결합 때문에,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캠 핀(103b)은 최후미 지점 C에서 캠 홈(101a)의 전방 세그먼트 A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도 회전하면서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이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 가이드 링(104)은, 키(key) 핀(104a)이 고정 경통(101)의 축 가이드 홈(101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의 캠 핀(105a)은 축 가이드 링(104)의 축 가이드 슬릿(104b)을 통하여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홈(103c)에 결합되고 또한 가이드 핀(8a)은 축 가이드 슬릿(104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최후미 지점 D로부터 캠 홈(103c)의 전방 세그먼트 E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캠 핀(103b)은 최후미 지점 C로부터 전방 세그먼트 A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은 회전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한다.
캠 홈(103c)의 전방 세그먼트 E는 최전방(frontmost) 세그먼트 E1과 전방 세그먼트 E2로 나누어진다. 캠 핀(103b)이 캠 홈(101a)의 전방 세그먼트 A에 도달하는 경우, 캠 핀(105a)은 캠 홈(103c)의 최전방 세그먼트 E1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105)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후드(hood)(92)로부터 완전히 돌출하게 된다. 돌출 위치에서 촬영 렌즈(106)는 근거리 포커싱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근거리 포커싱 위치에서 촬영 렌즈(106)의 초점은 근거리 피사체 거리 존(near subject distance zone)에 있게 된다. 캠 핀(105a)이 캠 홈(103c)의 최전방 세그먼트 E1에 근접하여 있는 전방 세그먼트 E2로 이동할 때까지 구동 링(10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핀(103b)이 전방 세그먼트 A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은 다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은 완전히 돌출된 위치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캠 핀(105a)이 전방 세그먼트 E2에 있는 동안 촬영 렌즈(106)는 원거리 포커싱 위치에 있게 되고, 이 때 촬영 렌즈(106)의 초점은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촬영 렌즈(106)의 초점은 구동 링(10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구동 링(102)을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캠 핀(103b,105b)은 최후미 지점 C와 D를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가능 경통(103,105)은, 구동 링(102)이 1 회전하는 동안에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3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한다.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모터(94)의 구동을 개시하고 중지시키기 위하여, 경통 위치 검출기(11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링(102)의 회전 위치와 이동 가능 경통(103)의 축 위치를 검출한다. 경통 위치 검출기(111)에는 레버(lever,111a)가 있어서 도 17에서 화살표 Y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윙 운동을 하고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레버(111a)의 선단은 구동 링(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 면(102c)과 접촉하게 된다. 캠 면(102c)은 동일한 컨투어와 동일하게 120°의 각도를 가지는 세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섹션은 A1, A2, B, C인 4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들은 구동 링(102)의 방사선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다.
세그먼트 A1은 캠 면 중에서 높이가 가장 높고, 각 위치는 근거리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며, 이 경우, 이동 가능 경통(103,105)은 완전히 돌출되어 있으며 캠 핀(103b,105a)은 각각 캠 홈(101a,103c)의 전방 세그먼트 A와 E1에 위치한다. 상기 대응은 도 16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세그먼트 A2는 세그먼트 A1보다 낮으며 각(angular) 위치는 원거리 포커싱 위치와 대응하며 도 16에 도시된 점선에 의하여 의미되는 바와 같이 캠 핀(105a)은 전방 세그먼트 E2에 위치하고 캠 핀(103b)은 전방 세그먼트 A에 위치한다. 세그먼트 B는 세그먼트 A2보다 낮으며 각 위치는 렌즈 경통 메카니즘의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의 변이 위치에 대응한다. 세그먼트 C는 캠 면(102c) 중에서 가장 낮으며 각 위치는 수납 위치에 대응하고 이 때 캠 핀(103b,105a)은 캠 홈(101a)(103c)의 최후방 지점 C와 D에 위치한다.
구동 경통(102)이 도 17의 P 화살표로 도시된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경통 위치 검출기(111)의 레버(111a)는, 캠 면(102c) 높이의 변화에 따라 차이 만큼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경통 위치 검출기(111)는 레버(111a)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모터(94) 구동을 제어하여 경통 위치 검출기(1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수납 위치, 근거리 포커싱 위치, 또는 원거리 포커싱 위치에서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렌즈 커버 구동 장치(8)는 이동 가능 경통(103,105)의 이동에 연동하여 렌즈 커버(107)를 구동시켜서,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이 돌출하는 경우에는 렌즈 커버(107)가 렌즈 개구를 열고,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렌즈 개구를 닫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 경통(103)(105)의 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캠 홈(101a)(103c)에 따라 구동 링(102) 주위에 캠 면(102c)을 제공함으로써 구동 링(102)의 회전 위치가 검출된다. 도 18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다른 경통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링 기어(102'a)를 제외하고 구동 링(102')은 외주면(102'd)에 캠 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대신, 반반사 블록(anti-reflection block)(102g)으로 이루어지는 상이한 패턴들이 외주면(102'd)의 각(angular) 세그먼트인 A1', A2', B', C'에 제공된다, 즉 프린트된다. 도 17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 링(102')의 외주면(102'd)은 원주 방향으로 3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지고, 캠 홈(101,103)의 세그먼트에 대응하여 각 섹션에 세그먼트 A1', A2', B', C'이 마련되고, 구동 링(102')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103,105)의 캠 핀(103b,105a)이 안에서 이동한다. 한 쌍의 포토 센서(120,121)는 구동 링(102)의 외주면(102'd) 가까이에 설치되며, 빛을 외주면(102'd)에 투사하고 반사된 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반반사 블록(102g)을 검출한다. 포토 센서(120)(121)는 구동 링(102')의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 A1의 반반사 블록(102g) 맞은 편에 제 1 포토 센서(120)가 있으며, 세그먼트 A2의 반반사 블록(102g) 맞은 편에 제 2 포토 센서(121)가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 A1이 통과할 때 제 1 포토 센서(120)는 제 2 포토 센서(121)보다 더 약한 빛을 검출하고, 세그먼트 A2가 통과할 때에 제 1 포토 센서(120)는 제 2 포토 센서(121)보다 더 강한 빛을 검출한다. 한편,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 C의 두 개의 반반사 블록(102g)은 두 개의 포토 센서(120,121)을 마주 보고 있어서 세그먼트 C가 통과할 때 포토 센서(120,121)는 둘 다 약한 빛을 검출한다. 나머지 세그먼트 B에는 반반사 블록(102g)이 없기 때문에 세그먼트 B가 통과할 때 포토 센서(120,121)는 강한 빛을 검출한다. 따라서, 구동 링(102)의 회전 위치와 이동 가능 경통(103,105)의 축 위치는 포토 센서(120,121)가 수신한 빛의 강도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구동 링(10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해서 이동 가능 경통(103,105)의 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였으나, 적절한 장치를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 엔코더(encoder) 등이 검출한 모터(94)의 회전 위치를 통하여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5)의 축 위치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의 캠 홈(103c)의 전방 세그먼트 E는 최전방 세그먼트 E1과 전방 세그먼트 E2로 나누어져 도 16에 도시한 렌즈 경통 메카니즘에 근거리 포커싱 위치와 원거리 포커싱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나,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103)에 있는 최전방 세그먼트 E1과 전방 세그먼트 E2 대신에 최전방 세그먼트 E' 만을 제공하고 고정 경통(101)의 캠 홈(101a)에 있는 전방 세그먼트 A를 최전방 세그먼트 A1과 제 2 전방 세그먼트 A2로 대체하여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101a)(103c)의 전방 세그먼트 A"와 E"에 각각 2 개의 단계를 제공하고, 단계별로 전방 세그먼트 A"와 E"를 이동시킴에 따라, 전방 이동 가능 경통(103)은 도 21의 A1, A2, A3에 나타난 바와 같이 3 개의 다른 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90)는 근거리, 중간거리, 및 원거리 피사체 거리 존 등과 같은 3 개의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를 가진다.
도 22와 도 23은 고정 경통(112), 구동 링(113), 및 이동 가능 경통(114)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촬영 렌즈(106)는 이동 가능 경통(114)에 수납된다. 고정 경통(112)은 내부 경통(112a)과 내부 경통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경통(112b)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축 슬릿(112c)은 내부 경통(112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180°의 간격을 두고 있다. 구동 링(113)은 내부 및 외부 경통(112a,112b) 사이에 고정되어 있어, 고정 경통(112)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나 축상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구동 링(113)은 외주면 주위에 링 기어(113a)와 캠 면(113b)을 가진다. 링 기어(113a)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 기어(115)와 결합된다. 캠 면(113b)은 도 17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위치 검출기의 레버(111a) 다음에 위치한다. 구동 링(113)은 도 24에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캠 홈(113c)을 더 포함한다. 이동 가능 경통(114)의 외주면에 18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의 캠 핀(114a)은 고정 경통(112)의 내부 경통(112a)의 축 슬릿(112c)을 통하여 캠 홈(13c)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구동 링(112)이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 가능 경통(114)이 축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구동 링(112)의 회전 이동에 따라 캠 핀(113b)이 캠 홈(113c)의 최후방 세그먼트 C에서 최전방 세그먼트 A1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114)은 도 22의 수납 위치에서 도 23의 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출 위치는 근거리 포커싱 위치와 대응한다. 구동 링(112)이 이동 가능 경통(114)의 돌출 위치에서 더 회전하여 캠 핀(114a)을 캠 홈(113c)의 제 2 전방 세그먼트 A2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 가능 경통(114)은 약간 뒤로 이동하고 촬영 렌즈(106)는 원거리 포커싱 위치로 세팅된다.
구동 링(112)을 180°회전시키면 이동 가능 경통(114)은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한행정의 왕복 운동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 경통(114) 및 촬영 렌즈(106)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 경통(114)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러한 요소들은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구동 링(113)과 고정 링(112)은 경통 구동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또한, 최전방 및 제 2 전방 세그먼트 A1과 A2에 추가하여 제 3 또는 그 이상의 세그먼트를 제공하여 이동 가능 경통(114)을 셋 또는 이상의 단계로 더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렌즈(106)의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 경통(103)(105 또는 114)을 돌출 및 후진시키기 위하여 구동 링(102 또는112)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해야 하므로, 다른 메카니즘을 구동하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의 모터(94)의 회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와 도 26은 카메라(90)를 즉석 카메라로 가정할 경우, 모터(9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터(94)의 회전력을 구동 링(102) 또는 카메라(90)의 필름 배출 메카니즘에 전송하는 클러치 메카니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필름 배출 메카니즘은 클로(claw)(78) 메카니즘과 한 쌍의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27)로 이루어진다. 도 22에서 모터(94)의 시계 방향 회전력은 모터 기어(131)와 베벨 기어(bevel gear)(132,133)를 통하여 유성(planetary) 기어 메카니즘(134)에 전달된다. 모터(9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성 기어 메카니즘(134)의 선 기어(sun gear)(134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다음, 유성 기어(134b)는 커플링 기어(135)와 결합된다. 커플링 기어(135)는 감소 기어 트레인(reduction gear train)(136), 베벨 기어(137,138), 감소 기어 트레인(139), 및 커플링 기어(140)을 통하여 구동 링(102)의 링 기어(102a)에 체결된다. 따라서, 구동 링(102)은 모터(94)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9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 기어(134a)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성 기어(134b)는 커플링 기어(141)와 맞물린다. 커플링 기어(141)는 기어(142,143,145,146)를 통하여 현상 롤러(27)에 연결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27)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을 배출한다. 커플링 기어(141)의 회전 이동은 또한 전달 메카니즘(147)를 통하여 클로 메카니즘(78)로 전달되며, 따라서, 클로 메카니즘(78)이 구동되어 노출된 즉석 필름이 현상 롤러(27)에 보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터(94)의 회전력은 모터(9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렌즈 경통 메카니즘과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하는데 번갈아 사용된다.
도 27은 상기에 설명한 즉석 카메라(90)의 제어 회로의 일예를 보여준다.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200)는 전력을 드라이버 IC(210)에 직접 공급하고, 레귤레이터(202)를 통하여 CPU(203)에 공급한다. 레귤레이터(202)는 전력을 안정화시킨다. 리셋 회로(204)는 레귤레이터(20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CPU(203)가 정상 동작을 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 이하인지 점검한다. 만일 출력 전압이 최소 전압 이하라면 리셋 회로(204)는 CPU(203)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90)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205), 배터리(200)의 잔존량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점검 회로(206), 액정 표시 장치(LCD,207), 표시 장치로서의 발광 다이오드(LED,208), 및 동작 스위치(209)가 CPU(230)에 연결되어 있다. 동작 스위치(209)는 전원 스위치, 셔터 버튼(93)으로 동작시키는 릴리즈 스위치, 및 존 선택 장치의 수동 동작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래쉬(flash) 회로(210), 클로 메카니즘(78)의 이동을 검출하는 클로 위치 검출기(211), 경통 위치 검출기(111), 기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정 발진기(213)가 CPU(203)에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버 IC(201)는 CPU(203)에 연결되어 있어서 CPU(203)의 제어에 따라 모터(94)와 제 2 모터(212)를 구동한다.
제2 모터(212)는 렌즈 사이의 셔터를 구동시킨다. 드라이버 IC(201)는 모터(94)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와 모터(212)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 회로로 이루어진다. 셔터가 열리기 시작할 때를 검출하는 셔터 센서(214), 피사체의 휘도를 검출하는 CdS 센서(215)가 드라이버 IC(201)에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버 IC(201)의 셔터 구동 회로는 CPU(203)의 명령에 따라 모터(212)의 구동을 시작하고, CdS 센서(215)를 통하여 검출되는 피사체 휘도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동안 셔터를 열어둔다.
드라이버 IC(201)의 모터 구동 회로는 정(positive)의 구동 전류 또는 부(negative)의 구동 전류를 모터(94)에 공급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각각 회전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으로의 모터(94)의 회전력은 구동 링(102)에 전달되고 제 2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전원 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 모터(94)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구동 링(102)을 회전시키고 , 촬영 렌즈(106)가 근거리 포커싱 위치에 세팅되면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춘다. 만일 촬영자가 존 선택 장치를 통하여 원거리 존을 선택하면 모터(94)는 촬영 렌즈(106)를 원거리 포커싱 위치에 두도록 구동된다.
전원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모터(94)는 제1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캠 핀(103b)은 전방 세그먼트 A에서 캠 홈(101a)의 최후방 지점 C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캠 핀(105a)은 전방 세그먼트 E에서 캠 홈(103c)의 최후방 지점 D로 이동한다. 캠 핀(103b,105a)이 최후방 지점 C와 D에 도착하면 모터(94)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 가능 경통(103,105)은 수납 위치로 세팅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대로 제2 실시예의 카메라(90)에 따르면, 모터(94)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 가능 렌즈 경통(103,105)의 돌출과 수납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간의 스위칭, 그리고 렌즈 커버(107)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카메라(90)에 수동 동작 존 선택 장치가 마련된다는 가정 하에 카메라(90)의 동작이 설명되었으나, 존 선택 장치 대신에 또는 존 선택 장치에 추가하여 자동 포커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관한 설명에있어서, 메카니즘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토크와 적절한 구동 속도는 메카니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동일한 모터(94)를 사용하여 다른 메카니즘을 구동할 때 생기는 차이에 따라 모터(94)의 회전력 또는 구동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28a와 도 28b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으로 모터(94)를 구동하고 구동 링(102)을 회전시키는 정의 구동 전류는 간헐적으로 모터(94)에 공급되고,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부의 구동 전류는 모터(94)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의 구동 전류와 부의 구동 전류는 동일한 크기 M을 갖는다. 크기 M은 부의 구동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 모터(94)가 적절한 회전력을 필름 배출 메카니즘에 공급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된다.
간헐적으로 정의 구동 전류를 공급하면, 단위 시간당 모터(94)에 공급되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전기력(electric power)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전기력보다 감소되어 결국 적절하게 감소된 회전력이 구동 링(102)에 공급된다. 모터(94)의 파워를 렌즈 경통 메카니즘에 충분한 토크를 줄 수 있을 만큼 낮추면 잡음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메카니즘은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모터(94) 구동을 시작하고 정지하는 것은 경통 위치 검출기(1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비록 경통 위치 검출기(111)가 구동 링(10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였어도, 경통 위치 검출기(111)의 검출 신호는 간략하게 도 28a의 온 오프 신호로 도시되며, 검출 신호의 온 상태는 구동 링(102)이 설정된 회전 위치 중의 하나로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부의 구동 전류가 모터(94)에 공급되기 시작하는 경우 클로 위치 검출기(212)의 출력 신호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하고, 클로 메카니즘(78)가 한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을 꺼내면 다시 온 상태로 돌아간다. 클로 위치 검출기(212)의 출력 신호가 온 상태로 되돌아가면 모터(94)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정의 구동 전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대신,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의 구동 전류의 크기 M보다 작은 크기 M'을 가지는 정의 구동 전류를 모터(94)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방향으로 단위 시간당 모터(94)에 공급되는 전기력을 줄이기 위하여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작은 크기 M"를 가지는 정 구동 전류를 렌즈 경통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모터(94)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9와 도 30에 비교를 위하여 모터(9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부의 구동 전류의 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즉석 카메라(300)을 나타낸다. 촬영 렌즈가 수납된 렌즈 경통(303)이 카메라 본체 정면에 설치된다. 렌즈 경통(303)은 수납 위치와 돌출 촬영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셔터 버튼(306)은 그립 부분(grip portion)(305)에 마련되고, 플래쉬 발광기(307)와, 뷰파인더(308)의 대물 창(objective window)(308a)이 셔터 버튼 위에 있다. 또한 존 포커싱 장치의 존 선택기(309)는 설정된 피사체 거리 존 중에서 하나의 피사체 거리 존을 선택하여 촬영 렌즈(304)가 초점을 맞추게 한다. 광 측정 창(310)은 렌즈 경통(303)의 정면에 마련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312), LCD(313), 필름 출구(314)는 카메라 본체(302)의 위쪽에 마련된다. 전원 스위치(312)가 턴온되는 경우 즉석 카메라(300)는 구동되고 렌즈 경통(303)은 촬영 위치로 이동한다. 전원 스위치(312)가 턴온되는 경우 렌즈 경통(303)은 수납 위치로 들어가고 즉석 카메라(300)는 구동되지 않는다.
촬영 렌즈(304)는 존 포커싱 타입이다. 본 실시예에서, 피사체 거리는 3 개의 존 즉, 근거리, 중간거리 및 원거리 존으로 나누어지며, 촬영자는 노출 전에 존 선택기(309)를 사용하여 세 개의 존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존에 따라 촬영 렌즈(304)는 사전에 설정된 포커싱 위치 즉, 근거리 포커싱 위치, 중간거리 포커싱 위치 및 원거리 포커싱 위치 중의 하나의 위치에 세팅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존은 0.7m에서 1.3m, 중간거리 존은 1.3m에서 3m, 원거리 존은 2.5m에서 무한대라고 하자. 근거리 존이 선택되면 촬영 렌즈(304)는 1.0m의 피사체 거리에 초점이 맞추어지는데 0.7m에서 1.3m 거리에 있는 피사체는 어떤 것이든 촬영 렌즈(304)의 피사계 심도에 포함된다. 중간거리 존이 선택되면 촬영 렌즈(304)는 1.8m의 피사체 거리에 초점이 맞추어지는데 1.3m에서 3.0m 거리에 있는 피사체는 어떤 것이든 파사계 심도에 포함된다. 원거리 존이 선택되는 경우 촬영 렌즈(304)는 과초점(hyper-focal) 거리 즉 5.0m에 초점이 맞추어지는데 2.5m에서 무한대의 거리에 있는 피사체는 어떤 것이든 피사계 심도에 포함된다.
선택 가능한 3 개의 피사체 거리 존에 대응하여 존 선택기(309)는 3 개의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를 가지며, 촬영자는 3 개의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 중에서 하나를 눌러 피사체 거리 존을 선택한다.
한 쌍의 현상 롤러(27)는 (도 32 참조.) 필름 출구(314)에 위치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를 필름 출구(314)를 통하여 배출한다. 21a는 즉석 필름 유니트(21)의 현상액 포드를 나타낸다.
도 32는 즉석 카메라(300)의 회로를 나타낸다. 전원 회로(325)는 전원 스위치(312)와 배터리(326)로 이루어진다. 전원 스위치(312)가 턴온되는 경우, 전기력은 배터리(326)로부터 즉석 카메라(300)의 다른 전기 소자로 공급된다. 시스템 제어기(327)는 전원 스위치(312)의 스위칭 조건을 모니터링하여 ROM(327a)에 저장된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즉석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327a)은 또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327b)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데이터와 파라미터를 임시 저장할 메모리로 사용된다.
존 선택기(309)의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는 리드선(lead wire) 또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통하여 시스템 제어기(327)에 연결된다. 푸시 버튼 스위치(309b)가 턴온되는 경우 중간거리 존 선택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327)로 출력한다. 푸시 버튼 스위치(309c)가 턴온되는 경우 원거리 존 선택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327)로 출력한다.
존 선택기(309)와 시스템 제어기(327)는 리드선 또는 플렉서블 기판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는 카메라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되어 즉석 카메라(300)를 손 쉽게 다룰 수 있으며 즉석 카메라(300)의 외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령 존 선택기(309)가 셔터 버튼(306)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촬영자는 손가락을 셔터 버튼에서 조금만 움직여서 존 선택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리드선 또는 플렉서블 기판은 작은 공간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즉석 카메라(300)를 보다 컴팩트하고 작게 설계할 수 있다.
LCD 드라이버(329)는 시스템 제어기(327)의 제어에 따라 LCD(313)을 구동하여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 수와 현재 선택된 존 등 사진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릴리즈 신호 발생기(328)는 셔터 버튼(306)에 연결되어 셔터 버튼(306)을 눌렀을 때 시스템 제어기(327)에게 릴리즈 신호를 발생시킨다. 휘도 측정 장치(330)는 광 측정 창(310) 후위에 위치하며 릴리즈 신호가 들어올 때 구동된다. 휘도 측정 장치(330)가 측정한 피사체 휘도를 토대로 노출 연산기(331)는 셔터 속도와 개구 크기로 이루어지는 노출 값을 결정하고 플래쉬 발광기(307)가 발광되는지의 여부도 결정한다. 노출 연산기(331)의 결과는 시스템 제어기(327)로 전송된다. 전원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플래쉬 회로(332)는 자동적으로 충전을 시작한다. 플래쉬 발광기(307)가 발광할 것을 노출 연산기(331)가 결정하면 플래쉬 회로(332)는 노출과 동시에 플래쉬 발광기(307)가 발광하도록 한다.
필름 배출 메카니즘(333)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7)와 클로 메카니즘로 이루어진다. 즉석 필름 유니트(21)가 각각 노출된 후, 시스템 제어기(327)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333)를 구동시켜 노출된 즉석 필름 유니트(21)가 현상롤러(27)와 필름 출구(31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렌즈 경통(303)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촬영 렌즈(304)가 수납 정지 위치, 근거리 포커싱 위치, 중간거리 포커싱 위치, 원거리 포커싱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렌즈 경통(303)은 도 2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경통(303)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렌즈 경통(303)은 클러치 메카니즘(342)를 통하여 모터(341)에 연결되며, 클러치 메카니즘(342)은 모터(3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터(341)의 회전력을 렌즈 경통(303) 또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333)에 전달한다.
회전 엔코더(rotary encoder)(345)는 초점 모터(341)의 회전 위치와 촬영 렌즈(304)의 축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모터(341)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회전 엔코더(345)는 엔코더 펄스를 시스템 제어기(327)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기(327)는 엔코더 펄스를 카운팅하여 촬영 렌즈(304)의 축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모터 드라이버(340)을 통하여 초점 모터(341)을 제어하여 촬영 렌즈(304)가존 선택기(309)를 통하여 선택된 피사체 거리 존에 대응하여 설정된 포커싱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세팅되도록 한다.
촬영 렌즈(304)에 있는 렌즈간 셔터(350)는 셔터 블레이드와 정지 조리개로 작용하는 프로그램 셔터로 구성된다. 릴리즈 신호가 들어오면 시스템 제어기(327)는 노출 연산기(331)에 의하여 결정된 노출값을 셔터 드라이버(351)로 보낸다. 이후, 셔터 드라이버(351)는 액츄에이터(352)를 구동시켜 셔터 속도와 노출값에 의하여 주어진 구경 크기에 따라 셔터를 여닫는다.
다음에, 도 33을 참조하여 즉석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렌즈 경통(303)은 촬영 위치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 스위치(312)가 턴온되기 전에 어떤 피사체 존이 선택되는지에 상관 없이, 모터(341)가 구동되어 촬영 렌즈(304)가 중간거리 포커싱 위치에 세팅된다. 그 후, 촬영자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따라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 중의 하나를 동작시켜 설정된 피사체 거리 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전원 스위치(312)의 턴온에 따라 촬영 렌즈(304)가 초기에 중간거리 포커싱 위치에 세팅됨으로, 중간거리 존이 선택되는 경우 촬영자는 촬영하기 위하여 어떠한 푸시 버튼 스위치(309a,309b,309c)도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촬영 피사체가 1.3m에서 3m의 중간거리 존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촬영 렌즈(304)의 디폴트 위치를 중간거리 포커싱 위치에 두는 것이 좋다. 더욱이, 촬영자가 피사체 거리 존을 선택할 것을 잊는다면 대부분의 사진의 초점 조건은 더 이상 나빠지지는 않을 것이다.
푸시 버튼 스위치(309c)를 눌러 원거리 존을 선택한다면 원거리 존 선택 신호가 시스템 제어기(327)에 공급되어 시스템 제어기(327)는 모터 드라이버(340)를 통하여 모터(341)를 구동하여 촬영 렌즈(304)가 원거리 포커싱 위치에 세팅된다.
푸쉬 버튼 스위치(309a 또는 309c)를 동작시킨 후에 푸쉬 버튼 스위치(309c)가 눌려져서 중간 거리 존이 선택되면, 중간 거리 존 선택 신호가 시스템 컨트롤러(327)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촬영 렌즈가 중간 거리 포커싱 위치로 리세트된다. 이렇게 하여 존 선택기(309)가 작동될때마다 촬영 렌즈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LCD(313)는 촬영자가 확인하도록 현재 선택된 거리 존을 표시한다. 뷰파인더(308)에 현재 선택된 거리 존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3개의 피사체 거리 존 중에서 적절한 하나를 선택한 후에, 촬영자는 셔터 버튼(306)을 누른다. 다음에, 릴리즈 신호 생성기(328)가 시스템 컨트롤러(327)로 릴리즈 신호를 출력하고, 시스템 컨트롤러(327)는 휘도 특정 장치(330)를 구동시키고, 피사체 휘도를 토대로 결정된 노출값을 셔터 드라이버(351)로 보잰다. 그 결과, 셔터(350)이 노출값에 따라 열렸다가 닫혀져서 즉석 필름 유니트(21)가 노출된다. 필요하다면, 플래쉬 발광기(307)가 구동되어 셔터(350)가 열려 있는 동안 피사체로 빛을 발사한다. 과노출(over-exposure)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거리 존이 선택된 경우에는 플래쉬 발광기(307)로부터 발사된 빛을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원거리 존이 선택된 경우에는 플래쉬 발광기(307)가 발광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노출 후에, 모터(341)는 모터 드라이버(340)를 통하여 역으로 구동되어 필름 배출 메카니즘(333)이 구동되어 필름이 필름 출구(313)를 통하여 배출된다. 노출된 즉석 필름(21)이 현상 롤러(27)를 통하여 압착되는 동안 현상액 포드(21a)가 쪼개져서 즉석 필름상에 현상액이 퍼지게 되어 피사체의 양화 영상이 수초안에 현상된다. 전원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327)는 모터(341)를 구동시켜 렌즈 경통(303)을 수납 정지 위치로 수납시킨다.
위의 실시예는 피사체 거리를 3개의 존으로 나누었지만, 촬영 렌즈의 과초점 거리가 비교적 짧다면 피사체 거리를 2개의 존으로 나누고 두 개의 포커싱 위치를 제공하여 단지 근거리에서 무한대까지의 임의 피사체 거리에서 충분한 포커싱 조건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4는 촬영 렌즈가 비교적 짧은 과초점 거리 즉, 2.6m를 가지고, 근거리 존과 과초점 거리 존에 대한 두 개의 포커싱 위치가 제공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순서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근거리 존과 과초점 거리에 대한 두 개의 두시 버튼 스위치가 존 선택 장치로서 제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실시예는 도 31 및 3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함으로써, 이 실시예의 필수적 특징에 관해서만 기술한다.
근거리 존에 대한 근거리 포커싱 위치에서, 촬영 렌즈는 0.8m의 피사체 거리에 대하여 포커싱되고, 피사계 심도 내에서 약 0.6m에서 1.3m의 임의 피사체를 포함한다. 과초점 거리 존에 대한 과초점 거리 포커싱 위치에서, 촬영 렌즈는 과초점 거리에 대하여 포커싱되며, 이에 따라 약 1.3m에서 무한대까지의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내에 포함된다.
1.3m에서 무한대까지의 과초점 거리 존에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 실시예의 촬영 렌즈는 초기에 전원 스위치가 턴오프된 다음에 바로 과초점 거리 포커싱 위치로 세팅된다.
즉석 필름 상의 촬영은 일반적으로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가 턴온되면 촬영 렌즈를 초기에 근거리 포커싱 위치로 세팅시키는 것도 상 배율(magnification)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나, 렌즈 경통이 모터를 단지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 경통의 축 위치를 두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다른 포커싱 위치 중에서 수납위치로부터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하여 촬영 렌즈를 초기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렌즈 경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 선택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촬영 렌즈(340)가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었어도, 존 선택기(309)를 통하여 포커싱 위치가 선택된 다음에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촬영 렌즈(304)를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 노출후에 촬영 렌즈(304)를 초기 포커싱 위치로 세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 가능한 포커싱 위치 중에서 초기 또는 디폴트(default) 포커싱 위치를 주문에 따라 맞추어서 촬영 렌즈(304)가 주문자에 의하여 지정된 초기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 거리를 3개의 존 이상으로 나누고 이에 대응하여 3개의 포커싱 위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각각의 피사체 거리 존의 범위는 위에 기술된 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 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대응하는 수만큼의 푸쉬 버튼 스위치를 선택 가능한 피사체거리 존에 제공하는 것 대신에, 존 선택 장치로서 하나의 조작 부재 즉, 하나의 후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여, 조작 부재의 각 동작 후에 피사체 거리 존이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가 턴온된 다음에 촬영 렌즈가 바로 초기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지 않는 경우, 존 선택 장치의 조작 부재로서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다이얼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존 선택기(309)와 포커싱 방법에 대하여, 촬영 렌즈(304)의 구성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어떠한 존 포커싱 타입의 렌즈 경통도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동 가능 렌즈 또는 렌즈군은 포커싱을 위하여 고정 경통에 따라 이동되거나, 전체 렌즈 시스템이 포커싱을 위해 이동된다. 필름 배출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는데 사용하는 모터d와는 독립적으로 포커싱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전원 스위치가 주문자에 의하여 직접 턴온 그리고 턴오프되었어도, 예를 들면 카메라에 렌즈 커버가 있다면 렌즈 커버를 수동적으로 열어서 전원 스위치를 간접적으로 턴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링 또는 캠 경통을 회전시키지 않고 구동 링 또는 캠 경통을 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촬영 렌즈를 서로 다른 피사체 거리 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 중 하나로 세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즉석 카메라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적석 카메라 뿐만 아니라 35m 카메라, 전기적 스틸 카메라 및 그외 다른 타입의 카메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Claims (29)

  1. 촬영 렌즈를 수납하고,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을 따라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광축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링(drive ring)을 포함하는 경통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경통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를 연결시켜 상기 구동 링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가 광축을 따라 적어도 한 행정(stroke)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캠 메카니즘
    을 포함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과 상기 모터 사이에 연결된 클러치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이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모터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링으로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의 제2 메카니즘으로 전달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이 유성 기어(planetary gear)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1매의 즉석 필름을 촬영하는 즉석 카메라이고, 상기 제2 메카니즘은 상기 즉석 필름이 매번 노출된 후에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상기 즉석 필름을 배출하는 필름 배출 메카니즘인 카메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과 상기 제2 메카니즘 간의 필요 회전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로 단위 시간당 공급되는 전기량과 상기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로 단위 시간당 공급되는 전기량을 다르게 공급하는 모터 구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는 이동 가능 경통을 포함하고,
    상기 경통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링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을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축 가이드 부재(menber)를 포함하며,
    상기 캠 메카니즘은 상기 이동 가능 경통과 상기 구동 링 중 하나에 마련된앤드리스 캠 홈(groove)과, 상기 이동 가능 경통과 상기 구동 링 중 나머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캠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캠 핀은 상기 축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형성된 축 가이드 슬릿(slit)을 통하여 상기 앤드리스 캠 홈에 결합(engaged)되고,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링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핀이 적어도 한번은 광축 방향의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90°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 링이 90°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contour)를 가지는 카메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120°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를 가지는 카메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90°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를 가지는 카메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은 후단(rear end)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광축의 반대 수평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광축의 반대 수직측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컷아웃(cutout)을 가지며,
    상기 캠 메카니즘은 상기 앤드리스 캠 홈과 상기 구동 링의 내주면 주위에 형성된 제2 캠 홈, 및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및 제2 쌍의 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캠 홈은 상기 앤드리스 캠 홈과 동일한 컨투어를 가지지만 상기 컷아웃에 의하여 분리되고 상기 앤드리스 캠 홈으로부터 90°시트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쌍의 캠 핀은 각각 광축을 가로질러 위치되고 다른 쌍의 캠 핀으로부터 90°간격을 두고 있고, 상기 제1 쌍의 캠 핀은 상기 앤드리스 캠 홈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쌍의 캠 핀은 상기 축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형성된 축 가이드 슬릿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링이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수납 위치로부터 90°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축 가이드 슬릿을 통하여 상기 제2 캠 홈에 결합되는
    카메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각각 광축의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은 상기 구동 링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돌출 위치로 단계별로 세팅되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방 세그먼트(front segment)를 포함하는 카메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가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다른 돌출 위치에서 다른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는 카메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는
    광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상기 광축을 따라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rear) 이동 가능 경통; 및
    상기 촬영 렌즈를 수납하고,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에 대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전방(front) 이동 가능 경통
    을 포함하고,
    상기 캠 메카니즘은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과 상기 경통 구동 어셈블리를 연결시켜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구동 링과 함께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한 회전당 상기 광축을 따라서 적어도 한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1 캠 메카니즘; 및
    상기 후방 이동 가능한 경통과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을 연결시켜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이 1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광축을 따라 적어도 한 행정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2 캠 메카니즘
    을 포함하는 카메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구동 어셈블리는 구동 링, 고정 경통 및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회전하는 것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캠 메카니즘은 상기 고정 경통과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 중 하나의 주위에 마련되는 제1 앤드리스 캠 홈과, 상기 고정 경통과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는 상기 앤드리스 캠 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캠 메카니즘은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과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 중 하나의 주위에 마련되는 제2 앤드리스 캠 홈과, 상기 후방 이동 가능 경통과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 중 나머지 하나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핀을 포함하는
    카메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캠 메카니즘의 캠 핀이 상기 제1 및 제2 앤드리스 캠 홈을 따라서 동일한 각도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각각 이동하는 카메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앤드리스 캠이 상기 구동 링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 링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핀이 상기 광축을 따라서 적어도 한번의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카메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90°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 링의 90°추가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를 가지는 카메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120°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를 가지는 카메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리스 캠 홈은 상기 구동 링이 90°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이 돌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투어를 가지는 카메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앤드리스 캠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 링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각각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적어도 2개의 전방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구동 링의 상기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돌출 위치로 단계별로 세팅되는 카메라.
  21. 제11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돌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링의 외주면의 서로 다른 각(angular) 세그먼트와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수납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이동 가능 경통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통 위치 검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메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구동 링의 외주면 주위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링의 방사(radial)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각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캠 면(surface); 및
    상기 캠 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 링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면의 높이의 차이를 검출하는 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 가능 경통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다른 돌출 위치로 세팅되는 경우 상기 촬영 렌즈가 다른 포커싱 위치로 세팅되는 카메라.
  24. 제1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피사체 거리 존(subject distance zone) 중에서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하여 포커싱하고자 하는 피사체 거리 존을 선택하는,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존 선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존 선택 부재를 통하여 선택된 피사체 거리 존을 나타내는 존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존 포커싱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촬영 렌즈의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는 상기 서로 다른 피사체 거리 존에 대응하여 결정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존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렌즈를 서로 다른 돌출 위치 중 하나로 세팅하도록 제어되는
    카메라.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은 상기 촬영 렌즈가 각각 서로 다른 피사체 거리 존을 포함(cover)하기 위하여 설정된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 중 하나로 세팅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카메라.
  26. 촬영 렌즈에 의하여 포커싱하고자 하는 복수의 피사체 거리 존 중 하나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하나의 선택된 피사체 거리 존을 나타내는 존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존 선택 장치; 및
    상기 존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렌즈가 설정된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 중 하나로 세팅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카메라.
  27. 제26항에 있어서,
    초기 포커싱 위치는 상기 서로 다른 포커싱 위치 중에서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가 턴온된 다음에 바로 상기 촬영 렌즈를 상기 초기 포커싱 위치로 세팅시키는 카메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포커싱 위치는 상기 촬영 렌즈가 과초점(hyper-focal) 거리에 포커싱되는 포커싱 위치인 카메라.
  29. 촬영 렌즈를 수납하고,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을 따라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광축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수동적으로 회전가능한 구동 링을 포함하는 경통 구동 어셈블리;및
    상기 경통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를 연결시켜 상기 구동 링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가 상기 광축을 따라 적어도 한 행정의 왕복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 가능 경통 어셈블리의 왕복 운동 동안에 상기 촬영 렌즈가 미리 설정된 포커싱 위치 중의 하나로 단계별로 세팅되도록 하는 캠 메카니즘
    을 포함하는 카메라.
KR10-1999-0029012A 1998-07-17 1999-07-16 모터로 구동되는 렌즈 경통을 가지는 카메라 KR100509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54898A JP2000035600A (ja) 1998-07-17 1998-07-17 カメラのゾーンフォーカス式ピント調節装置
JP98-202548 1998-07-17
JP98-256683 1998-09-10
JP10256678A JP2000089083A (ja) 1998-09-10 1998-09-10 カメラ
JP98-256496 1998-09-10
JP25668398A JP3779072B2 (ja) 1998-09-10 1998-09-10 カメラ
JP10256496A JP2000089082A (ja) 1998-09-10 1998-09-10 カメラ
JP98-256678 1998-09-10
JP10260145A JP2000089321A (ja) 1998-09-14 1998-09-14 カメラ
JP98-260145 1998-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98A true KR20000011798A (ko) 2000-02-25
KR100509279B1 KR100509279B1 (ko) 2005-08-18

Family

ID=2752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012A KR100509279B1 (ko) 1998-07-17 1999-07-16 모터로 구동되는 렌즈 경통을 가지는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08809B1 (ko)
KR (1) KR100509279B1 (ko)
CN (1) CN1198162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3013A1 (en) * 2006-05-11 2007-11-22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KR100862303B1 (ko) * 2006-05-11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62304B1 (ko) * 2006-05-12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88240B1 (ko) * 2006-05-17 2009-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7810B1 (en) * 1998-09-04 2005-03-15 Olympus Corporation Lens device for a camera with a stepping motor drive optimized for speed and power saving
JP2002318418A (ja) * 2001-02-13 2002-10-3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2258137A (ja) * 2001-03-05 2002-09-11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装置
US7813634B2 (en) 2005-02-28 2010-10-12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Autofocus camera
US7729603B2 (en) * 2005-02-28 2010-06-01 Siimpel Corporation Resolution adjustment for miniature camera
CN101271185B (zh) * 2007-03-22 2010-05-26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开机方法及其控制系统
US7869701B1 (en) * 2007-09-21 2011-01-11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Adaptive autofocus lens positioning
KR100980304B1 (ko) * 2008-11-25 2010-09-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US8760563B2 (en) 2010-10-19 2014-06-24 Hand Held Products, Inc. Autofocusing optical imaging device
US8692927B2 (en) 2011-01-19 2014-04-08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terminal having focus control
CN202949513U (zh) * 2012-12-07 2013-05-22 中怡(苏州)科技有限公司 网络监视器
CN103905739A (zh) * 2012-12-28 2014-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008372B1 (en) * 2013-06-12 2019-01-30 Vretmaskin El & Mekanik AB Pipe inspection device
JP6136791B2 (ja) * 2013-09-11 2017-05-3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1519982S (ko) * 2014-07-01 2015-03-23
JP2017126013A (ja) * 2016-01-15 2017-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7133026B2 (ja) * 2018-09-13 2022-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タ付きカメラ
EP3670270B1 (en) * 2018-12-18 2021-03-03 U-Shin Italia S.p.A. Deployment device of a camera for a motor-propelled vehicle
CN113063785A (zh) * 2021-03-23 2021-07-02 苏州小孚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尿有形成分分析的聚焦调节系统及其聚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930A (ja) * 1983-10-21 1985-05-18 Canon Inc 可変焦点カメラの鏡筒駆動機構
US4769664A (en) * 1984-03-19 1988-09-06 Canon Kabushiki Kaisha Barrel driving device for camera
US4671639A (en) * 1984-07-17 1987-06-09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electromagnetically driven lens barrel
JPH0627781B2 (ja) 1988-08-04 1994-04-13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卓上型電子部品加熱試験用ボックス
US5313244A (en) * 1989-06-28 1994-05-1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JPH0329932A (ja) * 1989-06-28 1991-02-07 Asahi Optical Co Ltd シャッター駆動機構
JP2604903B2 (ja) 1990-11-22 1997-04-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カメラ
JPH06137863A (ja) * 1992-10-23 1994-05-20 Casio Comput Co Ltd 測距装置
TW265423B (en) * 1994-02-04 1995-12-11 Nikon Corp Zoom lens barrel
JPH09236854A (ja) 1996-02-29 1997-09-0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駆動切換機構
JP3853879B2 (ja) * 1996-09-13 2006-1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の駆動機構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3013A1 (en) * 2006-05-11 2007-11-22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KR100862303B1 (ko) * 2006-05-11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US8068295B2 (en) 2006-05-11 2011-11-29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8659844B2 (en) 2006-05-11 2014-02-25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8922919B2 (en) 2006-05-11 2014-12-30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9891403B2 (en) 2006-05-11 2018-02-13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10746953B2 (en) 2006-05-11 2020-08-18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11415772B2 (en) 2006-05-11 2022-08-16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US11698508B2 (en) 2006-05-11 2023-07-11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es
KR100862304B1 (ko) * 2006-05-12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88240B1 (ko) * 2006-05-17 2009-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8809B1 (en) 2001-03-27
KR100509279B1 (ko) 2005-08-18
CN1198162C (zh) 2005-04-20
CN1243963A (zh) 200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279B1 (ko) 모터로 구동되는 렌즈 경통을 가지는 카메라
EP0466214B1 (en) Built-in flash system and camera
US6349173B1 (en) Camera with motor-driven lens barrel
JP2000147595A (ja) 補助駆動装置
US4405221A (en) Camera motor drive mechanisms
US6397006B1 (en) Optical head device of a self-propelled type
EP0441115B1 (en) Camera
JP2002182097A (ja) ズーム連動装置
JPH06222425A (ja) 一眼レフカメラ
KR0156376B1 (ko)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JPH09230429A (ja) レンズバリヤ開閉機構
JP2005292526A (ja) 撮像装置
JPH09281577A (ja) カメラ
JPH11174542A (ja) ストロボ装置
JP2000035600A (ja) カメラのゾーンフォーカス式ピント調節装置
US6490414B2 (en) Instant film unit advancing apparatus
JPH08240843A (ja) 閃光装置内蔵カメラ
JP2000089350A (ja) インスタントカメラ
JP2000089275A (ja) カメラ
JP2000089276A (ja) レンズ移動装置
JP3633121B2 (ja) カメラ
JP2002131809A (ja) カメラ
JPH10274738A (ja) カメラ
JPH09230424A (ja) レンズシャッタ装置
JPH09230195A (ja) レンズシャッタ鏡筒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