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376B1 -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376B1
KR0156376B1 KR1019970014702A KR19970014702A KR0156376B1 KR 0156376 B1 KR0156376 B1 KR 0156376B1 KR 1019970014702 A KR1019970014702 A KR 1019970014702A KR 19970014702 A KR19970014702 A KR 19970014702A KR 0156376 B1 KR0156376 B1 KR 015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built
flash unit
lev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로 아라이
데쯔지 쇼노
Original Assignee
마쯔모또 도오루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0581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30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5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30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5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41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1620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4224U/ja
Priority claimed from JP2789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29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27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6022B2/ja
Priority claimed from KR96072223A external-priority patent/KR970009133B1/ko
Application filed by 마쯔모또 도오루,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모또 도오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플래시 유니트가 돌출 위치에서 정상 발광되고 수납실내의 수납 위치에서 매크론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 되고 돌출 위치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바운싱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폽업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폽업장치는 케이싱의 내장 플래시 시스템의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4-포인트 연결 장치에 의해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며, 4-포인트 연결 장치 각각은 서로 엇갈리지 않는 2 쌍의 전방 및 후방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회전 레버의 전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중 대응측면에 피봇 상태로 되어 있어, 전방 및 후방의 회전 레버는 케이싱을 수납 위치에서 상향 전진시켜서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내장 플래시의 발광부가 도시된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자동 초점장치를 가진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본체내에 결합된 내장 플래시가 도시된 정면도.
제3도는 내장 플래시가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며, 광축을 따라 취해진 카메라 본체 부분 수직 단면도.
제4도는 내장 플래시가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 부분 단면도.
제5도 및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적절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 상태의 부분 수직 단면도.
제8도는 돌출 상태의 부분 수직 단면도.
제9도 및 10도는 로크 장치의 일 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
제11도는 수납실의 후면이 도시된 사시도.
제12도는 내장 플래시에 의한 발광범위와, 카메라 렌즈에 의한 사진 촬영범위 사이의 관계가 설명된 도면.
제13도 및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내장 플래시를 가진 카메라가 도시된 각 수납 상태 및 돌출 상태 각각의 수직 단면도.
제15도는 카메라의 외형이 도시된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내의 내장 플래시 장치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부분 사시도.
제16a는 제15도에 도시된 장치의 변형이 도시된 도면.
제17도 및 18도는 각각 제5실시예에 따른 정상 발광 위치와 수납위치의 플래시 유니트의 단면도.
제19도는 내장 플래시 장치의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수납실 22 : 확산 렌즈
23 : 제논관 25 : 집광 렌즈
27 : 천정관 42 : 샤프트
50 : 로크 레버 51 : 결상 렌즈
56 : 광원
본 발명은 내장 플래시가 구비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분야에 있어서 자동 기계화의 증진으로 자동초점장치 및 내장 플래시를 포함하는 많은 카메라가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렌즈를 통해 전달된 피사체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기초로 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상기 형태의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내의 자동 초점 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피사체의 조도가 낮은 경우나 또는 피사체가 백색벽과 같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출력은 거리를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사체를 향해 콘트라스트 패턴(스트라이프 패턴)을 방사하기 위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를 설치하여, 낮은 조도 또는 낮은 콘트라스트의 경우에, 보조 스포트 투사기로부터 콘트라스트 패턴을 방사함으로써 초점을 맞추는데 필요한 콘트라스트를 얻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는 내장 플래시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어 왔다. 따라서, 문제의 해결책은 제안된 공간을 갖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내의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를 위한 공간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그 목표물로서 클로즈-업 거리로부터 무한 거리까지의 범위내의 피사체를 갖는다. 최적의 초점 거리 렌즈는 피사체의 종료와 피사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선택된다. 교환가능 렌즈의 실린더 길이는 그 초점거리에 따라 확대된다. 최근에, 줌 렌즈의 증진으로, 종래의 고정 초점 거리 교환 가능 렌즈 대신에, 광학 렌즈로부터 망원 렌즈까지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줌 렌즈를 사용하는 사진사들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줌 렌지의 실린더 길이는 최대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만일 줌 렌즈가 최소 초점 거리 위치로 이동되어도, 실린더 길이는 그렇게 짧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장 플래시 장치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 병합되어 있는 경우에, 렌즈 실린더에 의해 발광이 막히지 않도록 카메라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내장 플래시에 있어서, 플래시는 플래시부분 또는 연결 장치(link mechanism)에 제공된 핀을 카메라 본체에 제공된 후크와 결합시키는 로크 장치에 의해 수납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로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발광부에 눌려 수납위치 아래로 이동되고 난 다음 핀을 후크와 결합한 후에 눌린 압력이 해제되면, 핀과 후크 사이에 항상 빈틈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가 압력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거나 또는 다른 표현으로는, 돌출 위치를 향해 약간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이유 때문에, 수납실의 개방 라인부분과 플래시의 천장판 사이에 작은 공간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간은 사용자에게 정밀한 기계로서의 카메라의 조정 성능과 외형에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
또한 카메라에는 고정식과 수납식의 2 가지 형태의 내장 플래시가 있다. 종래의 수납식 내장 플래시는 돌출 방향으로 스프링 수단에 의해 진전된 플래시 유니트가 평상시 정지/결합 수단에 의해 수납 위치에 유지되는 방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중에, 정지/결합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돌출 위치로 플래시 유니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돌출에 기인하는 쇼크는 피할 수 없으며, 더우기 높은 수준의 작동 감각을 얻을 수 없다. 부가적으로, 쇼크가 정밀한 기계인 카메라에 악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수납식 내장 플래시에 따라, 발광 표면이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 보다 더 상향인 바운싱(bouncing) 위치로 플래시의 발광표면을 이동할 수 없다. 만일 바운스 촬영이 필요하면, 다른 외부 플래시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들의 인식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를 제공하는데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가 낮은 조도의 경우나 또는 콘트라스트의 경우에 사용된다는 사실과 내장 플래시가 주로 낮은 조도의 경우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는 폽업 장치에 의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내장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에 인접되게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에 인접되게 제공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가 플래시와 함께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에 선택적으로 폽업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와 플래시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보장하는 것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조정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카메라는 양호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및 플래시는 사용되지 않을 때 수납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며, 플래시 자체를 더 높고 진전된 발광 위치로 쉽게 배치시키는 것이다.
4-포인트 연결 장치에 의한 회전 장치가 상기 형태의 내장 플래시를 불쑥 튀어오르게 하기 위한 장치(pop-up mechanism, 여기서 간단히 폽업 장치라 부름)에 적합한 결론을 근거로, 본 발명을 제안하였다. 즉, 본 발명의 내장 플래시 폽업 장치는, 내장 플래시의 좌, 우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4 포인트 연결 장치에 의해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케이싱이 배치되며, 4 포인트 연결 장치 각각은 두쌍의 전방 및 후방 레버로 구성되며, 전방 및 후방 회전 레버 각각의 쌍의 일 단부는 수납실의 양측면 중 대응되는 것에 피봇되고, 그리고 전방 및 후방 회전 레버의 다른 단부는 케이싱의 양측면 중 대응되는 것에 피봇된다. 상기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부품수가 적은 것을 장점으로 하며, 조립공률이 양호하고, 동작이 확실한 것 등을 장점으로 한다. 또한, 플래시가 더 높고 더 전진된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조건을 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폽업 장치를 로킹하기 위한 로크 장치를 제공하여, 플래시가 수납 위치에 배치될 때 수납실이 플래시의 천장판을 확실하게 덮도록 함으로써 천장판과 수납실이 개방 라인 사이에 어떤 공간의 발생도 방지하며, 또한 수납실로부터 천장판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 플래시를 이동시키는 회전 레버를 가진 내장 플래시 형태에 관한 것이며, 플래시 수납 위치로 이동된 회전 레버의 정지 표면과 결합/해제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정지/결합 표면을 가진 로크 레버가 수납실에 대해 피봇되고, 로크 레버의 상부 정지/결합 표면은 회전 레버가 플래시 하우징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웨지(wedge) 동작을 하는 웨지 표면으로 형성되고, 로크 레버가 회전 레버의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로크 레버의 상부 정지/결합 표면이 회전 레버의 정지/결합 표면과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래시 유니트가 어떤 충격없이 높은 수준의 작동감각을 얻기 위해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또한 플래시 유니트의 발광 표면이 피사체를 향한 방향보다 더 상향으로 향한 바운싱 위치로 플래시 유니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내장 플래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돌출 위치로 이동되는 플래시 유니트가 전기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기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장 플래시에 있어서, 카메라의 상부에, 발광 표면이 피사체를 향하는 정상 발광 위치와, 발광 표면이 피사체를 향한 방향보다 더 아래로 향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래시 유니트를 배치하며, 플래시 유니트는 전기 모터에 의해 정상 발광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로 이동된다.
적절하게, 플래시 유니트가 전기 모터에 의해 바운싱 위치, 정상 발광 위치 및, 하우징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플래시 유니트는 더욱 더 발광 표면이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보다 더 상향으로 향한 바운싱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서, 바운스-사진 촬영을 이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내장 플래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정가능 방출각을 가진 수납식 내장 플래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떤 충격없이 높은 수준의 작동 감각을 얻기 위해 돌출 위치와 하우징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플래시 유니트가 배치된 내장 플래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고, 발광 표면이 노출되는 정상 발광 위치와 발광 표면이 노출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플래시 유니트와, 플래시 유니트의 발광 표면의 전방에 제공되며, 정상 발광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로 플래시 유니트와 함께 이동되도록 배치된 집광 렌즈가 제공되고, 정상 발광 위치에서의 플래시 유니트와 집광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적절하게, 플래시 유니트와 집광 렌즈는 전기 모터에 의해 이동되어, 정상 발광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의 집광 렌즈와 플래시 유니트의 이동에 의한 어떠한 충격도 없게 되며, 높은 수준의 작동 감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원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내장 플래시의 발광부가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고, 제2도는 자동 초점장치를 가진 일반 리플렉스 카메라 본체내에 부착된 내장 플래시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제3 및 4도는 내장 플래시의 폽업 장치를 도시하는 카메라 본체를 광축을 따라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 플래시의 케이싱(20)은 2 박스(21a, 21b)로 분할되므로써, 플래시 F 가 1박스(21a)내에 제공되고, 거리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는 다른 박스(21b)내에 제공되어 있다. 수집 렌즈(22)는 박스(21a)의 정면에 설치되고, 제논관(발광 소자)(23) 및 반사 미러(24)는 박스(21a)의 배면에 부착되어있다. 수집 렌즈와 함께 형성된 집광 렌즈(25)는 박스(21a)의 정면에 설치되며, 거리를 측정 가능하게 하도록 스트라이프 패턴을 방사시키기 위한 스포트라이트 투사기(26)는 박스(21b)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싱(20)은 그것이 돌출 위치와 하우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폽업 장치를 통해 카메라 본체(10)의 펜타하우스(12)내에 제공된 수납실(16)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제3도 및 4도를 참조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된다.
케이싱(20)을 하우스하기 위한 수납실(16)은 펜타하우스(12)내에 수납된 펜타 프리즘(14)의 상부정면에 제공되어 있다. 케이싱(20)은 수납실(16)에 넣어져 있을 때 펜타하우스(12)와 함께 폐쇄된 외형을 형성하는 천장판(27)을 갖는다.
폽업 연결 장치(수단)는 측면판(28)과 수납실(16)의 벽 사이에 제공되는데, 측면판(28)은 케이싱(2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구조는 우측의 구조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은 일 측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샤프트(34, 40)는 각기 측면판(28)내에 형성된구멍(28a, 28b)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레버(32) 및 제 2 레버(38)는 각각 샤프트(34, 40)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레버(32, 38)의 다른 단부는 샤프트(36, 42)를 통해 수납실(16)내의 펜타하우스(12)에 각각 부착되므로서, 케이싱(20)에 대해 4-바아 연결 장치로된 폽업 장치(pop-up mechanism composed of four-bar linkage)를 형성한다. 샤프트(36)의 굽힘부에서 U 형 제 1 레버(32)가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은 제 2 레버(38)의 샤프트(42)에 부착되므로서, 제 2 레버(38)를 도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동시키거나 환언하면 케이싱(20)을 상향 및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더우기, 로크 레버(50)는 샤프트(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일 단부는 샤프트(42)에 고정되어, 로크 레버(50)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로크 레버(50)의 이동 범위는 로크 레버(50)의 한 부분과, 수납실의 내부벽 사이의 접촉으로 제안된다. 케이싱(20)이 수납실(16)내에 위치될 때, 로크 레버(50)의 최상 단부는 제 1 레버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 1 레저(32)의 로크 표면(32a)과 맞물림으로서, 케이싱(20)은 비틀림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하우징 위치내에 지지되어 돌출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
로크 표면(32a)과 로크 레버(50)의 맞물림은 펜타하우스(12)측에 부착된 도시되지 않은 언로크 부재를 통해 로크 레버(50)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풀어진다.
상술된 내장 플래시에 있어서, 케이싱(20)이 언로크 부재의 동작에 의해 돌출 위치로 이동될 때, 플래시 F 및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는 제2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노출된다. 상기 상태에서, 내장 플래시의 제논관(xemon tube)(23)은 발광준비를 개시하며, 반면에,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는 스포트라이팅 준비를 완료한다. 만약, 사진사가 카메라 본체(10)의 촬영버튼을 누르면, 스포트라이트 투사기(26)는 활성화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방사하고,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콘트라스트를 참고로 카메라 본체(10)내에서 검출된다. 다음에, 렌즈가 거리 검출 신호에 따라 초점 위치로 이동된다. 만약 촬영 버튼(릴리스 버튼)을 더욱 더 아래로 누르면, 미러의 상향이동, 초점면의 주행 및 제논관(23)의 발광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완성되어진다.
상술된 동작 방법은, 플래시 유니트 F 및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즉, 낮은 조도의 경우에 적용된다. 실제로, 상기 방법은 빈번하게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내장 플래시를 쉽게 다룰 수 있다. 물론,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는 낮은 콘트라스트의 경우에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는 케이싱(20)의 폽업에도 불구하고 플래시 F 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은 일체로 형성되지만, 플래시와 스포트라이트 투사기용 케이싱을 분할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플래시와 스포트라이트는 서로 독자적으로 스윙-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연결 장치가 플래시 및 스포트라이트 케이싱 각각에 대해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폽핑시키기 위한 장치의 종류 및 위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예로서, 상기 장치는 카메라 본체(10)에서의 그립부, 필름 테이크-업부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폽업 장치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플래시 F 및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5 및 6도는 초점 검출 보조 라이트 돌출 장치,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보조 스포트 투사기 S 내의 광학 시스템의 적절한 형태의 측면도 및 투시도이다. 상기 장치는 TTL 형의 AF 시스템이 내장된 카메라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결상 렌즈(taking lens)(51)는 카메라내에 포함되어 있다. 초점에 형성되어질 피사체(도시생략)의 영상을 필름 표면(52)상에 나타내기 위해서, 결상 또는 이미징 렌즈(51)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초점 검출의 결과에 대응해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 또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구동되도록 사용된다.
결상 렌즈(51)는 또한 초점 검출 시스템에서 렌즈로 사용될 수 있어서, 렌즈(51)를 통해서 피사체로부터 방사되는 광의일부가 가동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콘트라스트의 검출 또는 위상차(phase difference)의 검출과 같은 초점 검출의 다수의 원리에 따라 동작될 수 있는 초점 검출 장치로 향한다.
공지된 렌즈 구동 회로에 의한 초점 검출 장치의 출력은 이미징 광축 L1-L2을 따라 결상 렌즈(51)를 이동시켜 결상 렌즈(51)를 피사체에 초점이 있게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검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를 구성하는 투사광 유니트 S 는 결상 렌즈(51)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투사 광 유니트 S 는 투사 렌즈(54), 패턴 표면(55) 및 광원(56)의 통합 조립체이다. 광 유니트(53)의 각 부품의 배치 및 구성은 아래에 기술된다. 첫째로, 투사 렌즈(54)의 광축 l1-l2이 결상 렌즈(51)의 광축 l1-l2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두 광축은 서로 점 C1에서 교차한다. 패턴 표면(55), 즉 광원(56)으로부터 광을 확산하여 통과시키는 광 전송부는 투사 렌즈(54)를 통해 통과하며, 직각으로 광축 l1-l2 과 교차하는 평면(54a)에 경사져 있다. 일반적으로 선택된 투사광 유니트(53)는 틸팅(tilting) 광 시스템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물체 평면이 광축을 교차하는 렌즈를 통하는 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면, 생성된 영상면은 쉬브-리프(Schib-Lief) 법칙에 따라 물체 평면에 대해서 공간적으로 경사진다. 그러므로 투사광 유니트 S 에 있어서, 패턴 표면(55)에 대하여 주름진 표면의 패턴 이미지면(55')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표면(55)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경사진 방법으로 형성(즉 초점)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징 렌즈(51)는 광축 L1-L2이 패턴화된 이미지면(55')에 부분적으로 놓이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투사광축 l1-l2을 직각으로 교차하는 표면(54a)의 연장선은 이미징 렌즈(51)의 광축 L1-L2상에 위치된 점 C0에서 패턴 표면(55)의 연장선과 교차한다.
패턴 표면(55)의 뒤에 배치된 광원(56)으로부터 나온 광은 패턴 표면을 통화하며 패턴 표면(55)상의 점 P1내지 P4의 이미지가 각각 패턴화된 이미지면(55')상의점 P1내지 P4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표면(55)에서의 명백하고 불명확한 라인이 교체 패턴이 이미징 광축 L1-L2과 평행인 방향으로 평면(55')상에 정렬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적색광은 인간의 눈으로는 실제로 감응할 수 없는 저광도의 파장영역이다.
상술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S 에 있어서, 만일 피사체가 패턴화된 이미지면(55')상에 위치되면,양호한 콘트라스트의 샤프한 패턴 이미지를 피사체와의 거리에는 무관하게 항상 투사할 수 있다.
패턴화된 이미지면(55')은 패턴 표면(55)의 크기를 증가시키므로써 확대될 수 있으며, 이 크기가 증가되고 광원(56)에 의해 보다 밝은 조도가 제공되면, 초점 검출 범위는 광 유니트(53)의 검출 용량으로 허용 가능한 가장 먼 점까지 확장될 수 있다.
능동 또는 수동 방법으로 달성되는 초점 검출은 일반적으로 거리 측정 영역으로 언급되는 이미징 범위에서만 일어난다. 예상될 수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거리 측정 영역은 이미징 렌즈의 광축 L1-L2의 부근에 놓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결상 렌즈(51)의 광축 L1-L2은 정확한 초점 검출 및 초점 조정을 하도록 패턴화된 이미지면(55')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일광 투사광 유니트 S 가 아주 클 수도 있는 거리 측정 영역내에 있는 아무 피사체나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투사 렌즈(54), 패턴표면(55) 및 광원으로된 하나의 조합된 장치는 본 발명에서 특정된 레이아웃의 조건을 만족시킬 정도로 카메라 본체내에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콘트라스트 패턴을 방사하는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가 폽업 장치를 통해 카메라 본체에 제공된 내장 플래시의 플래시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가 플래시와 분리되어 제공될 필요는 없다. 더우기, 만일 거리 측정용 보조 스포트라이트 투사기 및 플래시는 피사체가 너무 어두워 콘트라스트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에 동시에 사용되며, 2 가지 모두 동시에 돌출 위치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제7 내지 11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제7도 및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 플래시 폽업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며, 여기서 제7도는 수납 상태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고, 제8도는 돌출 상태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제9도 및 10도는 로크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펜타 프리즘(114)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본체(110)의 상단부에 제공된 펜타하우스(112)내에 수납되어 있다. 내장 플래시의 케이싱을 수납하는 수납실(116)은 펜타하우스(112)의 상단 정면에 제공되어 있다. 수납실(116)은 케이싱(120)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상단부를 가진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타프리즘(114)을 수납하는 리세트(116a)는 수납실(116)의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수납실(116b)은 리세스(116a)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20)은 케이싱(120)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 펜타하우스(112)와 함께 외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단 플레이트(122), 수납실(116)의 리세스(116a)에 상응하는 하단 플레이트(123) 및, 상단 플레이트(122)와 하단 플레이트(123)의 양측에 위치되며 하나만이 도시된 측면 플레이트(124)를 갖는다, 제논관(광 방사기)(128) 및 반사경(130)은 상단, 하단 및 측면 플레이트(122, 123, 124)로 둘러싸여진 발광실(125)내에 수납되어 있다. 참조번호 126 는 발광실(125)의 전방부를 덮는 수집 플레이트를 표시한다.
제 1 회전 레버(132)와 제 2 회전 레버(138)의 각 일 단부는 샤프트(134, 140)를 각각 통하여 케이싱(120)의 각 측면 플레이트(124)의 외면에 피봇되어 있다. 샤프트(134)는 제논관(128)의 중앙 뒤에 배치되고, 샤프트(140)은 후부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회전 레버(132)의 다른 단부는 수납실(116) 측벽의 상단 정면부내에 배치된 샤프트(136)상에 피봇되며, 제 2 회전 레버(138)의 다른 단부는 동일한 하단 후부에 배치된 샤프트(142)상에 피봇되어 있다. 케이싱(120)의 폽업 장치는 제 1 및 제 2 회전 레버(132, 138)에 의해 형성된 4-포인트 연결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회전 레버(132)의 쌍과 제 2 회전 레버(138)의 쌍은 수납실(116)의 반대편에 제공되는 연결-수납실(116b)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제 1 회전 레버(132)의 쌍은 연결 아암(13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아암(133)은 4-포인트 연결장치 쌍의 맞물리는 동작을 확고히 하는 작용을 한다. 샤프트(142)는 펜타-프리즘(114)의 상단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회전 레버(132) 각각은 연결-수납실(116b) 각각의 내부에서 L-자형이며, 샤프트(136)는 제 1 회전 레버(132)의 굽힘부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20)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제 1 회전 레버(132)는 실제로 수평으로 되며, 제 2 회전 레버(138)는 정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집 렌즈(126)을 유지하고 케이싱(120)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케이싱(120)의 돌출 위치에서, 제 2 회전 레버(138)는 실제로 수직으로 되고, 제 1 회전 레버(132)는 제 1 회전 레버(132)가 실제로 수직 위치로 턴 되므로서 돌출될 때 케이싱의 높이를 높인다.
비틀림 스프링(152)는 제 2 회전 레버(138)의 샤프트(142)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152)의 한 레그 부분(152a)은 제 2 회전 레버(138)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또는 환언하면 케이싱(120)을 수납실(116)로부터 강제로 돌출시키도록 제 2 회전 레버(138)의 돌출부(138a)와 결합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42)의 단부는 수납실(116)의 측벽(118a) 뿐 만 아니라 수납실 내측에 있는 지지벽(18b)에 삽입되어 있다. 로크 레버(150)는 샤프트(142)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벽(118a)과 벽 (118b) 사이의 샤프트(142)상에 느슨하게 놓여 있다. 비틀림 스프링(152)의 다른 레그 부분(152b)은 로그 레버(150)가 평상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로크 레버(150)의 일 단부의 돌출부(150b)상에 정지/결합되어 있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부는 수납실(116) 내부 벽과 접촉됨에 의하여 제한된다.
비틀림 스프링(152)은 또한 로크 레버(150)가 수납실(116)의 측벽(118a)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박되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50)는 스프링(152)의 이동-방향력에 대향하여 로크 레버를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152)상에 느슨하게 놓여 있다.
로크 레버(150)의 상단면에 있는 정지/결합 표면은 샤프트(142)를 중앙부로 한 아크(제9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됨) 보다 더 팽창되는 하단부를 갖는 웨지표면(150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웨지 표면(150a)은 샤프트(152) 보다 더 낮은 중앙부를 갖는 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20)이 수납실(116)에 놓일 때, 웨지 표면(150a)은 제 1 회전 레버(132)의 정지/결합 표면(132a)과 마찰되도록 접촉하여, 제 1 회전 레버(13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웨지 표면(150a)과 정지/결합 표면(132a)의 관계는 제 2 회전 레버가 하향 이동될 때 정지/결합 표면(132a)의 엣지(132b)가 웨지 표면(150a)의 더 깊은(더 낮은) 포인트에 접촉되는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지/결합은 비틀림 스프링(132)의 힘에 기인한 제 2 회전 레버(138)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케이싱(120)을 수납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로크 레버(150)의 제 1 회전 레버(132) 사이의 결합/해제는 수납실(116)의 측벽(118a)을 관통하여 제공된 푸쉬 버튼(154)에 의해 풀린다. 푸쉬 버튼(154)은 펜타하우스(112)의 바깥으로 돌출된 조작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푸쉬 버튼(154)이 푸쉬 다운될 때, 로크 레버(150)는 로크 레버(150)와 마주보는 푸쉬 버튼(154)의 상단부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152)의 힘에 대항하여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웨지 표면(150a)은 정지/결합 표면(132a)으로부터 풀린다.
각각이 작동 바아(144)와 접촉부(148)로 구성되는 스위칭 부재(149) 쌍은 수납실(116)의 바닥의 양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작동 바아의 상단부는 수납실내로 연장되는 돌출부(146)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부재(149)는 발광 회로의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케이싱(120)이 수납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46)는 제 2 회전 레버(138)에 의해 눌려지므로, 작동 바아는 접촉부(148)에서 분리되어 회로를 개방시킨다. 이와 반대로, 케이싱(120)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제 2 회전 레버(138)는 돌출부(146)로부터 떨어지므로, 작동 바아는 접촉부(148)와 접촉되어 회로를 폐쇄시킨다. 이 경우에, 내장 플래시의 광 방출을 위한 준비가 시작된다. 스위칭 부재(149)의 쌍은 스위칭 동작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따른 폽업 장치의 동작이 설명된다.
내장 플래시가 사용되는 경우에, 제7도의 수납 상태에 푸쉬 버튼(154)의 동작부는 푸쉬 다운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로크 레버(150)는 샤프트(142)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웨지 표면(150a)을 정지 결합 표면(132a)으로부터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제 2 회전 레버(138)는 비틀림 스프링(152)의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및 제 1 회전 레버(138 및 132)에 연결된 케이싱(120)을 돌출 위치를 향해 상향전진 이동시킨다. 이러한 돌출 위치에서, 제 2 레버(138)는 작동 바아(144)의 돌출부(146)로부터 분리되고, 작동 바아(144)는 접촉부(148)와 접촉하도록 만들어지므로써, 스위치 회로를 폐쇄하여 스트로브 장치의 작동 준비를 시작한다.
내장 플래시를 수납하는 경우에, 케이싱(120)의 천장판(122)을 손에 의해 수동으로 푸쉬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회전 레버(132, 13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싱(120)은 수납실(116)내로 들어간다. 케이싱(120)이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제 1 회전 레버(132)의 정지/결합 표면(132a)의 엣지(132b)는 로크 레버(150)의 웨지 표면(150a)과 접촉하여 로크 레버(150)를 하향으로 압착한다. 따라서, 케이싱(120)이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엣지(132b)는 웨지 표면(150a)과 연결되도록 웨지 표면(150a)의 상부를 뛰어넘는다. 제 1 정지/결합 표면(132a)의 엣지(132b)와 웨지 표면(150a) 사이의 마찰 접촉은 제 1 회전 레버(132)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방지한다. 케이싱이 더 하향으로 압착될 때, 로크 레버(150)의 웨지 표면(150a)은 더 깊은 포인트에서 정지/결합 표면(132a)의 엣지(132b)와 마찰 접촉되므로, 케이싱(120)은 이 위치에서 로크된다.
따라서, 천장판(122)과 수납실(116) 사이에는 어떤 공간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수납 위치에서 제 2 회전 레버(138)는 작동 바아(144)의 돌출부(146)를 푸쉬하므로, 작동 바아(144)는 접촉부(148)로부터 분리되어 발광 회로가 차단된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딤플한(dimple) 연결 장치로 플래시 케이싱을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폽업장치는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고, 부품의 수가 적으며 작동이 확실하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게다가, 플래시를 더 높고 더 전진된 돌출 위치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긴 실린더를 가지는 긴 초점-거리 줌 렌즈 또는 긴 초점-거리 렌즈의 경우에도 사용되며, 플래시로부터의 빛이 실린더에 의해 결코 차단되지 않는다.
실시에는 로크 레버(150)가 샤프트(142)의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경우가 도시된 것이지만, 로크 레버(150)는 비스듬하거나 또는 굴곡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발명은 폽업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물론 플래시를 플래시외 폽업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와 이 레버와 결합된 로크 레버에 의해서 수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한 다른 폽업장치도 본 발명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폽업장치에 있어서, 수납 위치에 플래시를 로크하는 로크 레버에 웨지 작용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이 웨지 작용에 의해 플래시가 수납 위치에 고착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는 정지/결합부의 빈틈에 기인하는 아이들 거리(idle distance) 없이 수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메라의 외관을 결코 나쁘게 하지 않는다.
종래의 내장 플래시는 플래시 유니트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피사체를 향해 응시하는 광 방출 표면을 가지고 있다. 플래시 및 카메라 렌즈의 방사 각도 관계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고, 플래시 유니트(250)의 발광에 의한 방사 범위는 라인 f1및 f2사이의 구역내에 있다. 한편, 카메라 본체(252)의 카메라 렌즈(254)에 의한 사진 촬영 범위는 라인 S1 및 S2 사이의 구역내에 있다. 따라서, 발광은 제12도에서 해칭선으로 표시된 구역에 이르지 못한다. 즉, 발광은 카메라 렌즈(254)에 의해 제한된 일부 구역에 이르지 못한다. 피사체가선 f2및 S1의 교점 a 보다 더 가까울 때 사진 촬영이 실행되면, 필름은 발광이 해칭선 구역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노출 부족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근접촬영을 목적으로 하는 매트로 사진 촬영시 특히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발광이 근접 거리에 이르도록 고안될지라도, 매크로 사진 촬영에 의한 필름은 발광의 양을 예정된 값으로부터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노출 과다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매크로 사진 촬영시에 적절한 노출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들은 플래시와 방사 각도를 넓힘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 각도를 넓히면, 먼거리 촬영이 제한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플래시 유니트가 수납실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플래시 유니트가 수납실에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카메라 본체의 상단부에서 제공된 수납실에 플래시 유니트를 제공하는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의 개선으로 집약된다. 상기 개선책은 플래시 유니트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정상적인 촬영이 되도록 피사체를 향해 전방을 향하고 또한 플래시 유니트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매크로 촬영을 하도록 피사체를 향해 더 아래쪽으로 향하는 발광 표면을 플래시 유니트가 가지고 있고, 빛-전송 가능 물질이, 광 방출기가 수납실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 방출 표면과 직면 배치되도록, 수납실의 전방에 제공되어 있고, 플래시 유니트가 돌출 위치에서 뿐 아니라 수납 위치에서도 광을 방출할 수 있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전송 가능 물질은 발광기가 수납실로 수납될 때 발광 표면과 마주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더우기, ND 필터 또는 확산(diffusion) 렌즈는 빛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광 전송 가능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적절한 노출을 얻을 수 있다.
제3실시예를 제13도 내지 15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제13도 및 14도는 광축을 따라서 각기 취해진 수직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의 내장 플래시를 갖는 카메라가 도시된다. 펜타프리즘(214)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본체(210)의 상단부에 제공된 펜타-하우스(212)내에 수납되어 있다. 내장 플래시의 플래시 유니트(220)를 수납하는 수납실은 펜타_하우스(212)의 상단 전면에 제공 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220)는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실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제13도 참조) 및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실(216)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위치(제14도 참조) 사이로 이동될 수 있는 공지된 연결 장치를 통하여 수납실(216)에 부착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220)는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펜타-하우스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천장판(222)과, 수납실(216)의 하단을 따라서 형성된 하단판(224) 및 천장판(222)과 하단판(224) 사이를 덮기 위한 측면판(226)을 가지고 있다. 발광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프레넬 렌즈(집광 렌즈)(230)는 천장, 하단 및 측면판(222, 224 및 226)에 의해 둘러싸인 발광실(228)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논관(232) 및 반사경(234)은 발광실(228)내에 수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관점중의 하나는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프레넬 렌즈(230)가 매크로 촬영시 피사체를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플래시 유니트(220)를 폽업시키기 위한 연결 장치는 플래시 유니트(220)의 좌우측에 있는 측면판(226)과 수납실(216)의 벽면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좌측 구조는 우측 구조와 동일하고, 따라서, 연결 장치를 이하에서 그 한쪽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 1 및 제 2 레버(236, 238)의 각 일 단부는 샤프트를 통하여 측면판(226)에 피봇되고, 다른 단부는 샤프트를 통하여 펜타-하우스(212)에 피봇된다.
간단히 말해서, 이들 레버 및 샤프트는 포인트 연결 장치를 구성한다.
비틀림 스프링(도시안됨)은 제 2 레버(238)에 부착되어, 제 2 레버(238)를 정상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플래시 유니트(220)를 상향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래시 유니트(220)를 수납실내에 유지시키는 로크 부재(도시안됨)는 제 2 레버(238) 및 펜타-하우스(212)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기술된 구성에 덧붙여서, 광 전송 가능(218)은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프레넬 렌즈(230)를 병렬로 면하게 하기 위해 수납실(216)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다. 투명 유리판, 확산판, 및 ND 필터등은 광 전송 가능판(218)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광 전송 가능판(218)의 각도는 광 전송 가능판(218)위의 법선이 매크로 촬영시에 촬영 가능 거리의 중간 점에서 카메라 렌즈 시스템의 광축과 교차되도록 조절된다.
또한, 내장 스트로보스코픽 플래시는 플래시 유니트(22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발광을 허용하기 위한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수납식 내장 스트로보 플래시는 수납될 때 발광을 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플래시는 수납될 때도 스위치됨으로써 발광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내장 스트로보 플래시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정상적인 사진촬영에서, 플래시 유니트(220)는 사용되지 않을 때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내에 유지되어 있다. 사용중, 플래시 유니트(220)는 로크 부재의 정지/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 돌출된다.
매크로 촬영시, 발광은 수납 위치내 플래시 유니트(220)를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발광이 되면, 제논관(232)에서 방출된 광은 프레넬 렌즈(230) 및 광-전송 가능판(218)을 통과하여 피사체에 이른다. 플래시에 의한 방사는 제15도의 라인 F1 및 F2 사이 영역내에 있다. 따라서, 플래시 촬영은 피사체가 라인 F2 및 F2의 교차점 A과 떨어진 경우에도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와 비교해서 돌출 위치에서의 플래시 유니트(220)에 의한 방사가 제15도의 라인 f1 f2 사이 좁은 영역에 있지만, 수납 상태에서의 발광에 의해 카메라를 피사체에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래시 유니트(220)를 수납 돌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예로, 본 발명은 플래시 유니트(220)의 후방단부가 단지 샤프트에 의해 피봇되는 경우에도 응용 가능하다.
실시예는 플래시 유니트(220)가 스프링력에 의해 돌출되는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플래시 유니트(220)는 전기 모터에 의해 수납 위치 및 돌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변형은 전기 모터에 의해 연결된 기어의 열과, 기어의 열과 더불어 연동되도록 제 1 또는 제 2 레버(236, 238)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섹터 기어를 제공함으로써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플래시 유니트가 수납 상태에서도 피사체를 향하는 광 방출 표면을 가진 플래시 유니트에는 플래시 유니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의 전방에 제공된 광-전송 가능한 물질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플래시 유니트가 수납실내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라도 발광(광 방출)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촬영의 경우에도 피사체에 균일하게 방사할 수 있다. ND 필터 또는 확산 렌즈는 내장 플래시내에서 빛의 양을 줄이는 광-전송 가능 물질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크로 촬영시 적당한 노출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제16도를 참조로 이하 기술된다.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상부 부분에 상부판(311)이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312)이 상부판(311)의 펜타프리즘 위에 위치되도록 상부판(311)상에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315)는 수납실 배면에 배치된 한쌍의 샤프트(313)에 의해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312)내에서 피봇된다. 플래시 유니트(315)의 전면에는 발광 표면(프레넬 렌즈)(316)을 갖는다, 발광 튜브, 반사경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유니트(315)내에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315)는 샤프트(313) 주위에 정렬되고, 플래시 유니트(315)는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수납위치와, 3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운싱 위치,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정상 발광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정상 발광 위치는 발광 표면(316)이 피사체를 향하고 있는 위치이다. 수납 위치는 발광 표면(316)이 피사체를 향한 방향보다 아래로 향하고 있는 위치이며 플래시 유니트가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312)내에 수납된 위치이다.
바운싱 위치는 발광 표면(316)이 정상 발광 위치에서 발광 표면(316)이 완전히 상향으로 향하는 위치 영역을 가리키며 이들 영역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발광 표면(316)이 완전히 상향으로 향하는 위치가 도시된다.
샤프트(313)와 동축으로 제공된 섹터 기어(318)는 플래시 유니트(315)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섹터 기어(318)는 기어(319)의 열을 통해 구동모터(32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320)가 반전하여 작동될 때, 플래시 유니트는 샤프트(313) 주위를 회전하여 상술된 세 위치 중 하나를 취한다.
플래시 유니트(315) 위치의 검출 및 제어용 코드판(322)은 섹터 기어(318)의 측면에 고정 되어 있다. 패턴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코드판(322)은 상부판(311)에 고정된 브러시(323, 324)와 접촉하므로, 브러시(323, 324)를 통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를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단계의 바운싱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된 내장 플래시가 사용되지 않을 때, 플래시 유니트(315)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되고, 구동 모터(320)로 하여금 피사체 방향보다 아래로 발광 표면(316)을 회전시키고 플래시 유니트(315)는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312)내에 수납될 수 있다. 사용시, 구동 머터(320)는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플래시 유니트(315)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어, 플래시 유니트(315)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플래시-돌출신호, 즉, 구동 모터(320)에 대한 구동 신호를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는 장치에 연결된 릴리스 버튼에 의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플래시-업 스위치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환언하면, 플래시 유니트(315)는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에서 릴리스 버튼을 한 번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정상 발광 위치에 대한 정지 신호는 코드판(322)과 접촉하는 브러시(323, 324)에서 나온 턴-위치-검출 신호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상 발광 위치로 돌출되면, 플래시 유니트(315)는 발광해서 촬영(간단히 발광촬영이라 함)을 할 수 있도록 발광회로가 충전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발광 촬영 완료후, 예를 들어, 플래시-업 스위치 재작동, 플래시를 수납하기 위한 다른 스위치의 작동, 플래시를 수납하기 위한 다른 스위치의 생성, 릴리스 버튼을 누르는 손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의 발생 등과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구동 모터(320)를 역전시킨다. 구동모터(320)가 역전되면, 플래시 유니트는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312)내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 위치 검출 및 구동 모터(320)의 정지는 코드판(322) 및 브러시(323, 324)를 통해 상술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바운싱 촬영의 경우에, 구동 모터(320)는 계속 바운싱-발광 스위치를 통해 작동된다. 구동 모터(320)가 작동될 때, 플래시 유니트(315)는 정상 발광 위치에서 상향으로 더 이동되어 발광 표면(316)이 피사체의 상향으로 향하는 위치 아래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진사가 발광 표면(316)의 각도를 선택해 놓고 발광 표면이 그 각도에 적합하게될 때 바운스-발광 스위치를 릴리스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바운스-발광 스위치가 작동될 때 발광 표면(316)이 하늘을 향하는 3점 쇄선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사 촬영시 또 다른 작동 방법으로, 바운스-각도 체인지오버 다이얼(a bounce-angle changeover dial)이 제공되어 플래시 유니트(315)의 각도를 설정하므로 플래시 유니트(315)를 다이얼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구동 모터(320), 브러시(323, 324) 및, 코드판(322)에 연결된 바운스-각도 체인지오버 다이얼에 의해 쉽게 될 수 있다.
바운스-촬영 완료후, 상술된 방법과 같이, 바운스-발광 스위치의 재작동, 또 다른 플래시-수납 스위치의 작동등을 통해서 구동모터(320)에 의해서 플래시 유니트(315)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플래시 유니트(315)가 샤프트(313) 둘레로 회전하여 수납 위치, 정상 발광 위치 및 바운싱 위치 중 어느 하나로 회전할 수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플래시 유니트(315)를 이동하기 위한 장치로 4-바아 연결장치등과 같은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 유니트(315)가 피사체에 대해서 발광 표면(316)을 앞으로(정상 발광 위치), 아래로(수납 위치) 및 위로(바운싱 위치)로 회전되도록 지지되고, 플래시 유니트(315)가 전기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도 선택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라서 플래시 유니트는 전기모터에 의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의 플래시 유니트의 이동으로 인한 충격이 방지되어 높은 수준의 작동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유니트의 발광 표면은, 다른 외부 플래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바운스-촬영이 가능하도록 피사체 방향보다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술에서 단일 카메라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제16a도는 제16도에 도시된 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가 제거되고, 그 대신에, 작동자가 원하는 플래시 각도를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스크류(320')가 카메라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래시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필요하면 플래시와 스포트라이트가 서로 독자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논 플래시용 플래시와 스포트라이트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를 사용할 필요없이 제논 플래시와 스포트라이트의 회전 위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가 제17도 내지 19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상부판(411)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은 펜타 프리즘(412)상에 배치되도록 상부판(411)상에 제공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내에서, 그라운드 플레이트(414)는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의 배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슬라이드 플레이드(415)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그라운드 플레이드(414)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5)에 대한 가이드 장치는 서로 위치가 다르게될 수 있도록 그라운드 플레이드(414)에 반대 단부에 고정된 가이드 핀(416)과, 제각기 가이드 핀(416)에 맞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415)에 제공된 슬롯(4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드(415)쌍에는 서로 대향되는 랙(418)이 제공되어 있다. 동일한 잇수를 가지며 그라운드 플레이드(414)상에서 회전되도록 지지된 한쌍의 기어(419)가 랙(418)과 맞물려져 있다. 기어(419)는 서로 맞물려져 있다. 기어(419)중 하나는, 감속 기어열(420)을 통해서 전기모터(421)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전기모터(421)가 정역회전될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415)는 동일한 방향으로 정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플레이드(415)쌍에는 각각 상부-굴곡 엣지(42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사이에서 플래시 유니트(424)가 샤프트(4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시 유니트(424)는 집광 렌즈 몸체가 없으므로, 그 전면을 발광 표면(425)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발광튜브(426), 반사기(427)등과 같은 종래의 플래시 장치가 플래시 유니트(424)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부로 구부러져 형성된 한쌍의 캠 플레이트(428)는 그라운드 플레이트(42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428)에는 상기 플래시 유니트(424)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캠 구멍(429)이 구비되어 있다. 구멍(429)은 플래시 유니트(4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핀(430)의 삽입을 위해서, 특히 각 캠 구멍(429)은 수평인 수납 캠부(429a)와 돌출 캠부(429b) 및 상기 양 캠부를 접속하는 경사진 캠부(429c)로 구성되어 있다. 핀(430)이 대응하는 수납 캠부(429a)로 삽입되면, 플래시 유니트(424)가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내로 수납되어 발광 표면(425)을 하향으로 회전시킨다. 핀(430)이 대응 돌출 캠부(429b)로 삽입되면, 발광표면(425)은 피사체를 향하도록 샤프트(423) 둘레로 회전하여 플래시 유니트(424)를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로부터 돌출시킨다.
플래시 유니트(424)의 발광 표면(425)의 전면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집광 렌즈 몸체)(432)의 양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윙 아암(433)을 갖는다. 베어링핀(435)은 스윙 아암(433)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핀(435)은 플래시 유니트 수납실(413)의 측벽에 있는 피봇 홀(434)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의 스윙 아암(433)에는 인터록 슬롯(436)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인터록 슬롯내에는 플래시 유니트(424)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인터록 핀(438)이 삽입되어 있다. 인터록 슬롯(436) 및 인터록 핀(438)은 플래시 유니트(424)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발광 표면(425)의 전면에 평행하게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를 배치하면서, 플래시 유니트가 돌출 위치(정상 발광 위치)로 향할 때 발광 표면(425)의 전면에 평행하게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를 인터록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장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내장 플래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플래시가 제18도 및 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에 있다고 가정해 본다. 전기모터(421)에 직접 연결된 기어(419)중 하나가 전기모터(421)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기어(419)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드 플레이드(415)쌍은 기어(419)와 기어(418) 사이의 결합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드 플레이드(415)의 상부로 굽은 엣지(422)에서 샤프트(4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플래시 유니트(424)가 또한 후방으로 이동된다 플래시 유니트(424)의 핀(430)의 위치를 수납 캠부(429a)로부터 상기 캠 구멍(429)의 경사진 캠부(429c)로 변화시켜, 플래시 유니트(424)를 샤프트(323)주위로 회전하여 발광 표면(425)이 상향으로 향하게 한다. 결국, 핀(430)은 돌출 캠부(429b)로 삽입되므로, 발광 표면(425)은 피사체로 정확히 향한다. 플래시 유니트(424)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이들 측면에 삽입된 인터록 핀(438)도 상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인터록 핀(438) 및 인터록 슬롯(436)에 의해 로크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는 또한 핀(435)둘레로 이동하여 발광 표면(425)의 전면으로 상향한다. 그리하여, 발광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5)가 더욱 그 후방으로 이동되면, 플래시 유니트(424)의 핀(430)은 돌출 캠부(429b)내로 이동되며 인터록 핀(438)은 인터록 슬롯(436)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발광 표면(425) 및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사이의 거리ℓ은 변한다. 거리 ℓ이 변하므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로부터 방출된 발광의 방출각이 변한다. 즉, 발광 표면(425)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로부터 상당히 떨어지므로, 플래시 방출각은 망원렌즈에 적합하게 더 좁아진다. 이와 반대로, 발광 표면(425)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23)에 접근할 때, 넓은 각의 촬영렌즈에 적합한 방출각을 얻을 수 있다.
전기 모터(412)가 역회전될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415)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플래시 유니트(424) 및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가 상술된 동작에 대해 역방향으로 하향으로 이동하며, 플래시 유니트(424)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로 돌아간다.
플리시 유니트(424)를 수납 위치에서 돌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421)의 스위칭 및 회전 제어를 위해, 예를 들면, 플래시 전용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릴리스 버튼을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명도가 예정된 값보다 작은 상태하에서 릴리스 버튼을 절반 정도 누를 때 플래시 유니트(424)를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표면(425)과 정상 발광 위치의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432) 사이의 거리 ℓ은 초점거리 설정부재의 수동 작동에 의해 설정되거나, 자동 작동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며, 자동 작동에 의해 설정하는 경우에, 초점 거리 정보를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얻기 위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초점 거리 정보에 따라서 전기 모터(421)에 의해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플래시의 방출각(조명각)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방출각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래시 유니트는 전기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돌출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의 플래시의 이동으로 인한 어떤 충격도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높은 수준의 작동 감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회전레버(132)의 회전작동에 의해 수납 위치 및 돌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카메라의 본체(10)에 있는 펜타프리즘상(114)에 제공된 수납실(112)에 플래시가 제공된 내장 플래시 자동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장 플래시 작동 폽업 장치를 로크시키는 로크장치로서, 상기 플래시 수납 위치로 이동된 회전레버(132)의 정지 표면(132a)과 결합/해제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 정지/결합 표면(15a)을 갖는 로크 레버(150)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레버(150)는 상기 수납실(112)에 피봇되며, 상기 로크레버(150)의 정지/결합 표면(150a)이 상기 회전 레버(132)의 정지/결합 표면(132a)과 결합 또는 해제되기 위해 상기 회전레버(132)의 축방향으로 이동동작 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플래시 자동 폽업장치.
  2. 회전레버(132)의 회전 작동에 의해 수납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카메라 본체(10)내의 펜타프리즘(114)상에 제공된 수납실내에 플래시가 제공된 내장 플래시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장 플래시 폽업장치를 로크시키는 로크장치는, 상부 정지/결합 표면(150a)을 갖는 로크 레버(150)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레버(150)는 상기 회전 레버(132)가 상기 플래시 수납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웨지기능을 갖는 웨지 표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플래시 폽업장치.
KR1019970014702A 1987-01-13 1997-04-21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KR0156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5815 1987-01-13
JP62005815A JPS63173028A (ja) 1987-01-13 1987-01-13 ビルトインフラツシユを備えた一眼レフカメラ
JP62005816A JPS63173029A (ja) 1987-01-13 1987-01-13 ビルトインフラツシユのポツプアツプ装置の係止機構
JP87-5816 1987-01-13
JP62005817A JPH0614166B2 (ja) 1987-01-13 1987-01-13 ビルトインフラッシュのポップアップ機構
JP87-5817 1987-01-13
JP1987016209U JPS63124224U (ko) 1987-02-06 1987-02-06
JP87-16209 1987-02-06
JP2789987A JPH0672992B2 (ja) 1987-02-09 1987-02-09 カメラのビルトインフラッシュ装置
JP87-27899 1987-02-09
JP62027898A JPH0666022B2 (ja) 1987-02-09 1987-02-09 カメラのビルトインフラッシュ装置
JP87-27898 1987-02-09
KR96072223A KR970009133B1 (en) 1987-01-13 1996-12-26 Built-in flash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6072223A Division KR970009133B1 (en) 1987-01-13 1996-12-26 Built-in flash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376B1 true KR0156376B1 (ko) 1998-12-01

Family

ID=27563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702A KR0156376B1 (ko) 1987-01-13 1997-04-21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KR97014703A KR0137882B1 (en) 1987-01-13 1997-04-21 Built-in flash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7014703A KR0137882B1 (en) 1987-01-13 1997-04-21 Built-in flash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5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962A (ja) * 2001-02-26 2002-09-06 Sony Corp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KR20210101948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수중 초음파 세척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7882B1 (en)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6214B1 (en) Built-in flash system and camera
US5329327A (en) Built-in flash system
US5463437A (en) Strob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JPH0643770Y2 (ja) 自動焦点一眼レフカメラの合焦補助投光装置
US5287135A (en) Built-in flash system
KR0156376B1 (ko)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US20020071669A1 (en) Interconnection device of zoom camera
JPH095843A (ja) カメラ
CA1324282C (en) Built-in flash system
JP3717750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3703330B2 (ja) カメラ
KR100290237B1 (ko) 카메라
JP3807570B2 (ja) 画面サイズ切替可能なカメラ
JPS59111133A (ja) 長焦点距離撮影では閃光撮影を不能にする可変焦点カメラ
JP3820059B2 (ja) 写真撮影装置におけるファインダー装置
JP3063318B2 (ja)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2782540B2 (ja) カメラの表示制御装置
US20060216006A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H09281577A (ja) カメラ
JP3633121B2 (ja) カメラ
JPH09211572A (ja) カメラのポップアップ式フラッシュ装置
JPH03132732A (ja) 自動焦点カメラ
GB2270391A (en) Strobe control apparatus for a camera
JPH09211570A (ja) カメラのポップアップ式フラッシュ装置
JPH03126018A (ja) カメラのストロボ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