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237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237B1
KR100290237B1 KR1019980012993A KR19980012993A KR100290237B1 KR 100290237 B1 KR100290237 B1 KR 100290237B1 KR 1019980012993 A KR1019980012993 A KR 1019980012993A KR 19980012993 A KR19980012993 A KR 19980012993A KR 100290237 B1 KR100290237 B1 KR 10029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lash light
camera
lever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329A (ko
Inventor
미노루 다나베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8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는, 수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섬광발광부와, 소정의 위치에서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조작부재와,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량을 상기 섬광발광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부재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량보다 더 많이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전자식 섬광장치를 가진 카메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식 섬광장치를 비발광시와 발광시 사이에서 카메라본체에 대해서, 다른 위치로 설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가 많이 사용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런 카메라의 소형화가 진행되었다. 카메라의 소형화로 인하여 촬영렌즈의 광축과 전자식 섬광장치의 광축사이의 거리가 좁아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촬영렌즈의 줌비(zoom ratio)가 커지기 때문에 사람 등과 같은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촬영거리)가 멀어지는 경향이 있다. 촬영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섬광이 피사체(사람)의 동공으로 입사하여 사람의 망막에 의해 반사되는 소위 적목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이 적목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된다.
적목현상을 억제하는 종래의 수단으로는, 촬영직전에 전자식 섬광장치를 예비발광시키거나 전자식 섬광장치이외의 광원(램프)을 발광시킴으로써 사람(피사체)의 동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다른 공지수단으로는, 전자식 섬광장치의 사용전에 전자식 섬광장치의 섬광발광부가 촬영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소위 팝업(pop-up)전자식 섬광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후자의 팝업 전자식 섬광장치는 촬영시 이외에는 섬광발광부가 카메라본체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휴대를 쉽게 하기 위해 많은 카메라에서 채용되고 있다. 팝업 전자식 섬광장치를 구비한 카메라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형태로는 수납위치에서 사용(촬영)위치로 촬영렌즈통을 이동시킬 때 얻은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섬광발광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의 카메라가 있다. 다른 형태로는 일본국 특개평 제 7-225410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에 장착된 슬라이드커버에 섬광발광부를 장착하여, 카메라 사용시에 슬라이드커버를 슬라이드시켜서 촬영렌즈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전자식 섬광장치의 광축을 촬영렌즈로부터 멀리하는 형태의 것 등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제 8-62675호 공보에 제안된 더 나은 공지 수단에 따르면, 렌즈가 부착된 각종 필름유니트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적목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촬영광축과 섬광광축 사이의 거리범위가 판정된다. 촬영시에는 판정된 거리범위보다 먼 위치로, 비촬영시에는 판정된 거리범위 내에서 섬광발광부를이동시킨다.
(해당내용없음)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카메라가 섬광발광부의 수납상태로 되는 때의 정면도
도 3은 카메라가 섬광발광부의 돌출(사용)상태로 되는 때의 정면도
도 4는 카메라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표시하는 배면도
도 5는 카메라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카메라를 표시하는 배면도
도 7은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수납상태로 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돌출상태로 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수납상태로 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돌출상태로 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상기 제 2실시예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수납상태로되는 때에 외부력(F)이 부여되는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섬광발광부의 이동기구가 섬광발광부의 돌출상태로 되는 때에, 외부력(F)이 부여되는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카메라본체 2: 촬영렌즈
10: 섬광발광부 13: 가이드 바아
18: 조작부재 19, 19': 제 1레버
20: 토글스프링 21, 21': 제 2레버
30: 비틀림스프링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카메라는,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섬광발광부와,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조작부재와,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량을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량보다 더 많이 이동시킨다. 따라서,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카메라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본 발명의 다른 태양과 형태는 첨부도면과 관련된 이하 실시예의 상세설명에서 명백해진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표시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 카메라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의 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도 2에는 섬광발광부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카메라를 표시하고 있다. 도 3에는 섬광발광부의 돌출(사용)상태에 있어서 카메라를 표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카메라본체에 섬광발광부를 장착하는 구조를 표시한다. 도 6에는 카메라의 뒷면을 표시한다.
도 2에 있어서, (1)은 카메라본체, (2)는 촬영렌즈, (3)은 파인더, (4)는 자동촛점장치, (10)은 섬광발광부이다. 섬광발광부(10)의 내부에는 방전관, 반사갓, 광학부품 등이 합체되어 있다.
도 2의 상태에서는 섬광발광부(10)의 왼쪽 반은 카메라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고, 카메라의 전원은 OFF상태이다. 한편, 도 3의 상태에서는 섬광발광부(10)의 전체가 카메라본체(1)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카메라 전원은 ON상태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10a), (10b)는 섬광발광부(10)의 아래면 뒤쪽에 설치된 가이드슬리이브이다. 이 가이드슬리이브(10a), (10b)가 가이드 바아(1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고 섬광발광부(10)는 카메라 본체(1)에 나사로 고정된 바아 유지부재(14), (15)에 의해서 양단부를 유지시킨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섬광발광부(10)의 아래면 앞쪽에는 갈고리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본체(1)에 나사로 고정된 기준판(17)의 앞쪽 모서리에 갈고리부(10c)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서 섬광발광부(10)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16)에 의해서 섬광발광부(10)가 섬광발광회로(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섬광발광부(10)를 슬라이드시키는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재(18)는 후방으로부터 카메라본체(1)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부재(18)에는 조작부(18a)가 설치되어 있다. 도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1)에 커버부재(22)가 부착되어 있을 때, 커버부재(22)에 형성된 슬롯(22a)으로부터 조작부재(18)의 조작부(18a)가 카메라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조작부재(18)는 슬롯(22a)에 의해서 상하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는 동시에 단지 카메라본체(1)의 좌우방향으로만 조작이 가능하게(슬라이드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의 접촉편(6)이 조작부재(18)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8)를 좌우로 조작할 때 전원스위치의 접촉편(6)이 카메라 뒷면에 부착된 스위치패턴회로기판(7)상을 슬라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표시된 제 1레버(19)는 축(19a)이 기준판(17)에 형성된 홀(17a)과 카메라본체(1)에 형성된 홀(1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서 카메라본체(1)상에 유지된다. 또, 제 1레버(19)는 입력부(19b)가 조작부재(18)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18b) 사이에 끼워맞추어져서 조작부재(18)에 연결된다.
제 1레버(19)의 위쪽에 설치된 제 2레버(21)는 축(21a)이 기준판(17)에 형성된 홀(17b)과 카메라본체(1)에 형성된 홀(1b)에 끼워맞추어져서 카메라본체(1)상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제 1레버에 있어서의 축(19a)과 출력부(19d) 사이의 위치에 원호형상 슬롯(19e)이 형성되어 있다. 제 2레버(21)의 축(21a)은 이 원호형상 슬롯(19e)을 관통하여 카메라본체(1)의 홀(1b)에 끼워맞추어진다. 제 2레버(21)에 있어서의 축(21a)과 출력부(21c) 사이의 위치에 다른 원호형상 슬롯(21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레버(19)의 축(19a)은 이 원호형상 슬롯(21d)을 관통하여 기준판(17)의 홀(17a)에 끼워 맞추어진다. 각 원호형상슬롯(19e),(21d)은 충분한 치수여유를 가지고 있어 제 1레버(19)와 제 2레버(21)의 회전이동에는 지장이 없다.
제 1레버 (19)의 출력부(19d)와 제 2레버(21)의 입력부(21b)는, 출력부(19d)의 휜부분이 입력부(21b)의 포오크부분에 끼워 맞추어져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레버(21)의 출력부(21c)의 포오크부분에는 섬광발광부(10)의 아래면에 형성된 구동용 돌기(10d)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18)가 제 1레버(19) 및 제 2레버(21)를 개재하여 섬광발광부(10)에 연결된다.
토글스프링(20)은 그 일단부(20a)가 제 1레버(19)의 축(19c)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부(20b)는 카메라본체(1)의 축(1c)에 걸어 맞추어진다.
다음에, 상기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7은 섬광발광부(10)의 수납시의 상태를 표시하며, 한편 도 8은 섬광발광부(10)의 돌출시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7에 표시된 상태에서는, 제 1레버(19)는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축(19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그렇지만 이 때에, 제 1레버(19)와 걸어맞추는 조작부재(18)의 위치가 커버(22)의 슬롯(22a)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이 제 1레버(19)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제 2레버(21)는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축(21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제 2레버(21)에 걸어맞추어진 섬광발광부(10)는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왼쪽으로, 즉 섬광발광부(10)의 수납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도 7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8)를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즉 섬광발광부(10)의 돌출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조작할 때, 제 1레버(19)는 최초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축(19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그러면, 섬광발광부(10)는 가이드바아(13)를 따라서 카메라본체(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제 1레버(1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 토글스프링(20)은 타단부(20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토글스프링(20)의 일단부(20a)가 타단부(20b)와 횡일렬로 나란히 될 때까지, 토글스프링(20)은 제 1레버(19)에 반시계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부여하여 섬광발광부(10)를 수납하는 방향으로 섬광발광부(10)에 힘을 가한다.
이 사이에, 토글스프링(20)의 일단부(20a)는 타단부(20b)에 대하여 서서히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은 서서히 증가한다. 조작부재(18)와 섬광발광부(10)가 각각의 이동스트로크의 거의 중앙부근에 도달한 시점, 즉 제 1레버(19)의 회전축(19a)과 토글스프링(20)의 양단부(20a), (20b)가 일직선으로 나란히 되는 시점에서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이 최대로 된다. 그렇지만, 이 시점에서 제 1레버(19)에 회전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또, 조작부재(18)가 더 오른쪽으로 슬라이드되어, 토글스프링(20)의 일단부(20a)가 타단부(20b)와 횡일렬로 되는 지점을 넘어서 회전이동될 때, 토글스프링(20)은 제 1레버(19)에 시계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부여한다. 결과적으로 섬광발광부(10)는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조작부재(18)를 이동스트로크의 거의 중앙을 지나서 슬라이드되도록 조작한 후에는, 카메라사용자가 조작부재(18)에서 손을 놓을 때에도 제 1레버(19), 제 2레버(21), 섬광발광부(10)는 각각 토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축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조작부재(18)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전원스위치 접촉편(6)도 스위치패턴회로기판상을 슬라이드하여 카메라의 전원이 ON상태로 된다.
조작부재(18)의 조작부(18a)와 커버부재(22)의 슬롯(22a)의 단면과의 접촉에 의해 조작부재(18)의 이동이 저지될 때, 섬광발광부(10)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레버(19)는 토글스프링(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섬광발광부(10)는 제 2레버(21)를 개재하여 돌출(사용)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섬광발광부(10)가 돌출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약 2mm전에) 도 1에 표시한 섬광발광부의 위치검출스위치(5)가 섬광발광부(10)의 갈고리부(10c)에 의해 밀려서 ON상태로 된다. 그러면, 카메라본체(1)에 내장된 카메라제어회로(도시생략)에 의해서 섬광발광부(10)가 발광(플래싱)이 가능한지 판정된다. 섬광발광부(10)의 발광이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카메라제어회로는 전자식 섬광장치의 충전을 개시하는 전자식 섬광장치의 충전회로에 충전개시신호를 보낸다. 전자식 섬광장치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회로는 충전완료신호를 카메라제어회로로 출력한다. 그러면 카메라는 촬영대기상태로 된다.
다음에, 촬영이 완료된 후 섬광발광부(10)를 수납할 때의 동작(전원을 OFF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납하는 동작은 상기의 전원 ON상태로의 동작과는 정반대방향으로의 동작을 행한다. 카메라 사용자가 조작부재(18)를 도 8에서 표시된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제 1레버(19)가 토글스프링(20)을 서서히 압축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제 2레버(21)도 제 1레버(19)와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섬광발광부(10)도 제 2레버(21)와 연동하여 가이드바아(13)를 따라서 왼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또 조작부재(18)의 슬라이드에 의해 전원스위치 접촉편(6)도 스위치패턴회로기판(7)상을 슬라이드하여 카메라의 전원이 OFF로 된다.
이 때에도, 조작부재(18)와 섬광발광부(10)가 각각의 이동 스트로크의 거의 중앙을 넘는 시점부터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이 반전된다. 결과적으로 섬광발광부(10)는 수납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조작부재(18)의 조작부(18a)와 커버부재(22)의 슬롯(22a)의 단면과의 접촉에 의해 조작부재(18)의 이동이 저지될 때, 섬광발광부(10)의 수납방향으로의 이동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레버(19)는 토글스프링(2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섬광발광부(10)는 제 2레버(21)를 개재하여 수납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조작부재(18)를 조작함으로써 섬광발광부(10)를 돌출시키거나 수납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섬광발광부(10)와 조작부재(18)는 완전히 연동하기 때문에, 카메라 사용자가 섬광발광부(10)를 직접 당겨서 돌출시키거나 직접 밀어서 수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제 1실시예에서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후에는 제 1레버(19)와 제 2레버(21)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레버(19)와 제 2레버(21)는 서로 거의 동일한 레버길이를 가지며, 카메라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비, 즉 입력단부에서 회전축(샤프트)까지의 거리와 회전축(샤프트)에서 출력단부까지의 거리의 비는 각각 제 1레버(19)에서 약 1:1, 제 2레버(21)에서 약 1:2로 된다. 그러므로 제 2레버(21)의 회전축(21a)은 제 1레버(19)의 회전축(19a)보다 제 1레버의 출력단부(19d)에 가까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섬광발광부(10)의 이동량은 조작부재(18)의 이동량에 대하여 약 2배로 된다.
적목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섬광장치를 촬영렌즈의 광축으로부터 가능한한 멀리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카메라사용자가 직접 섬광발광부를 이동시키도록 하면, 다른쪽 손으로 카메라를 조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과도하게 섬광발광부(10)가 이동되어서 카메라의 조작성이 나빠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실시예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개재하여 조작부재(18)의 조작량의 약 2배정도로 섬광발광부(1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섬광발광부 이동기구가 이와 같이 구성되면, 카메라는 촬영렌즈의 광축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섬광발광부(10)를 이동시킬 수 있어서 우수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버(19), (21)로 구성된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사용하면, 조작부재(18)의 조작방향과 섬광발광부(10)의 이동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런 구성은 사용자의 조작감의 측면에서 카메라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제 2실시예)
도 9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표시한다. 제 2실시예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공통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대신하다.
제 2실시예는 다음의 사항에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레버(19')의 출력단부(19d')는 제 2레버(21')의 회전축(21a') 주위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30)(탄성부개)을 개재하여 제 2레버(21')의 입력단부(21'b)와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제 1레버(19')의 출력단부(19d')와 제 2레버(21')의 입력단부(21b')는 모두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a), (30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섬광발광부(10)의 수납시의 상태에서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b)가 제 1레버(19')의 출력단부(19d')에 형성된 휜부분과 접촉하고,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a)가 제 2레버(21')의 입력단부(21b')에 형성된 휜부분과 접촉하여, 비틀림스프링(30)은 어느 정도의 차지상태(charged state)로 되어 있다. 이것은 토글스프링(20)이 제 1레버(19')를 회전시키는 힘이 비틀림스프링(30)의 탄성력보다 충분히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섬광발광부(10)는 제 2레버(21')를 개재하여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a)에서 받은 탄성력에 의해 수납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한편, 도 10은 섬광발광부(10)의 돌출(사용)시의 상태에서 섬광발광부이동기구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a)가 제 1레버(19')에 형성된 휜부분에 접촉하고,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b)가제 2레버(21')의 입력단부(21b')에 형성된 휜부분에 접촉하여, 비틀림스프링(30)은 어느정도의 차지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섬광발광부(10)는 제 2레버(21')를 개재하여 비틀림스프링(30)의 스프링단부(30b)에서 받은 탄성력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제 2실시예의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의 슬라이드 동작은 제 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조작부재(18)를 조작하면, 제 1레버(19')와 제 2레버(21')가 조작부재(18)를 조작하는 것과 연동하여 각각 회전되어, 섬광발광부(10)가 돌출방향이나 수납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제 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레버(19')의 비는 약 1:1이고, 제 2레버(21')의 비는 약 1:2이다. 그러므로 조작부재(18)의 이동량에 대해 섬광발광부(10)의 이동량은 약 2배로 된다.
그렇지만, 제 2실시예에서는,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납위치로부터 돌출위치나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출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외부력(F)이 섬광발광부(10)를 강제로 당기도록 작용되면, 섬광발광부(10)는 외부력(F)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바아(13)를 따라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 2레버(21')도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토글스프링(20)의 탄성력은 비틀림스프링(30)의 탄성력보다 충분히 강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레버(21')의 회전은 비틀림스프링(30)의 차지상태에 의해 흡수되어 제 1레버(19')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레버(19')나 조작부재(18)에 무리하게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외부력(F)이 없어지면, 비틀림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제 2레버(21')가 원위치로 회전하여 섬광발광부(1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에서는, 카메라에 작용하는 외부력을 예측하지 않거나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조작부재(18)는 외부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으며, 섬광발광부(10)는 외력이 없어진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런 구성은 카메라의 전원이 부주의로 ON되는 것을 방지하고, 섬광촬영이 방해없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조작성이 이 구성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레버를 사용하여 섬광발광부 이동기구를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섬광발광부 이동기구의 구성은 상기 언급된 구체적인 레버의 수나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기구를 개재하여 조작부재의 수동조작력을 섬광수단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섬광수단의 구동전용 모터나 그 제어회로를 카메라에 내장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카메라의 뒷면 등에 있어서 조작부재의 작은 변위량에 따라서 섬광광축을 충분히 촬영광축으로부터 멀리함으로써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적목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재를 카메라본체의 전원스위치에 연동시켜서 보다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a)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섬광발광부와;
    b)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조작부재와;
    c)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한 변위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 1방향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수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 2방향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과는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는, 상기 조작부재가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변위될 수 있는 소정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복수의 레버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레버는 각각 회전중심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입력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된 제1레버와, 입력단부가 상기 제 1레버의 출력단부에 연결되고 출력단부가 상기 섬광발광부에 연결된 제 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레버의 출력단부와 상기 제 2레버의 입력단부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10)가 수납위치에 가까이 위치할 때에는 수납위치를 향해 상기 섬광발광부에 힘을 가하고, 상기 섬광발광부가 사용위치에 가까이 위치할 때에는 사용위치를 향해 상기 섬광발광부에 힘을 가하는 토글스프링(2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18)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의 전원이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19, 21)를 상기 카메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섬광발광부(10)에 형성된 돌출부(10C)가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10)가 사용위치 근방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10)가 사용위치 근방으로 이동한 것을 상기 검출스위치(5)가 검출한 때에 섬광발광을 준비하도록 상기 섬광발광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a)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섬광발광부와;
    b) 슬라이드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변위하는 조작부재와;
    c)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변위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 1방향의 변위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수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 2방향의 변위량을 증대시켜서 상기 섬광발광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섬광발광부를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과는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는,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되는 소정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입력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된 제1레버와, 입력단부가 상기 제 1레버의 출력단부에 연결되고 출력단부가 상기 섬광발광부에 연결된 제 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가 수납위치에 가까이 위치할 때에는 수납위치를 향해 상기 섬광발광부에 힘을 가하고, 상기 섬광발광부가 사용위치에 가까이 위치할 때에는 사용위치를 향해 상기 섬광발광부에 힘을 가하는 토글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의 전원이 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발광부가 사용위치 근방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80012993A 1997-04-14 1998-04-11 카메라 KR100290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5651A JPH10288807A (ja) 1997-04-14 1997-04-14 カメラ
JP1997-95651 1997-04-14
JP97-95651 199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329A KR19980081329A (ko) 1998-11-25
KR100290237B1 true KR100290237B1 (ko) 2001-08-07

Family

ID=1414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993A KR100290237B1 (ko) 1997-04-14 1998-04-11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0961A (ko)
JP (1) JPH10288807A (ko)
KR (1) KR100290237B1 (ko)
CN (1) CN1128385C (ko)
TW (1) TW401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4677B2 (en) * 2000-12-13 2007-12-04 Eastman Kodak Company Customizing a digital camera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CN101539706B (zh) * 2008-03-18 2011-06-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JP5988773B2 (ja) * 2012-08-28 2016-09-07 株式会社ザクティ 電子機器のポップアップ機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886A (en) * 1994-03-21 1996-01-23 Eastman Kodak Company Variable angle flash with linear motor dri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7921U (ko) * 1976-06-11 1977-12-20
JPS58159528U (ja) * 1982-04-19 1983-10-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内蔵型カメラ
US5079574A (en) * 1989-08-17 1992-01-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Motor-driven camera
US5270757A (en) * 1990-07-25 1993-12-14 Canon Kabushiki Kaisha Toggle-operated, self-contained camera flash unit
US5749003A (en) * 1995-08-08 1998-05-0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flash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886A (en) * 1994-03-21 1996-01-23 Eastman Kodak Company Variable angle flash with linear motor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385C (zh) 2003-11-19
JPH10288807A (ja) 1998-10-27
CN1197224A (zh) 1998-10-28
US6160961A (en) 2000-12-12
TW401532B (en) 2000-08-11
KR19980081329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4873B1 (en) Built-in flash system and camera
US4893139A (en) Compact camera providing direct and indirect flash
US5749003A (en) Camera having flash device
KR100290237B1 (ko) 카메라
EP0788019B1 (en) Camera
CN108322628B (zh) 拍摄设备
US6222997B1 (en) Camera
US6404988B1 (en) Camera
US7657165B2 (en) Image taking apparatus
JPH08292470A (ja) 出没可能なストロボを有するカメラ
US6487373B2 (en) Shutter release unit having multiple functions
EP0437076B1 (en) Red-eye phenomenon preventing device
JP3728044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KR0156376B1 (ko)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JPH10104696A (ja) 閃光装置内蔵カメラ
JP2769522B2 (ja) レンズ鏡筒
JP2001100282A (ja) ストロボ装置の集光パネル
JP3739549B2 (ja) ストロボ付き可変焦点カメラ
JP2001311986A (ja) カメラ、閃光発光装置および閃光装置内蔵カメラ
JPH09105982A (ja) カメラ
JPH11327006A (ja) カメラ
JP2002093207A (ja) 照射角変更可能な照明装置
JP2771850B2 (ja) カメラの閃光発光装置
JP2001166362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3057725A (ja) ストロボ用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