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04B1 -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04B1
KR100980304B1 KR1020080117409A KR20080117409A KR100980304B1 KR 100980304 B1 KR100980304 B1 KR 100980304B1 KR 1020080117409 A KR1020080117409 A KR 1020080117409A KR 20080117409 A KR20080117409 A KR 20080117409A KR 100980304 B1 KR100980304 B1 KR 10098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rotating shaft
camera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848A (ko
Inventor
이영표
방현철
김상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8011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04B1/ko
Priority to CN2009801247456A priority patent/CN102077573B/zh
Priority to PCT/KR2009/006895 priority patent/WO2010062088A2/ko
Priority to US13/002,669 priority patent/US20110116785A1/en
Publication of KR2010005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를 자동을 개폐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을 감싸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도어 개폐, 회전축, 나사산

Description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를 자동을 개폐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 및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렌즈를 통해 결상된 상(image)를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만들고 이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시키는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휴대폰 또는 PDA가 등장하였다.
카메라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의 배면 또는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고, 렌즈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초기 휴대폰 또는 PDA에는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형태가 대부분이있는데, 이 경우에 렌즈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자주 끼게 되어 렌즈가 손상되거나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카메라 도어를 구비한 PDA 또는 휴대폰이 개발되었다.
이때 카메라 도어의 개폐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계적 연동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과,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이 제안되었다.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예로, 공개특허2004-102482에 개재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와 공개특허2004-102483에 개재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 장치'가 알려져 있다.
102482 특허는 하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카메라 도어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며, 102483 특허는 두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카메라 도어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은,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면, 회전축에 맞물려 있는 도어가 직선 이동하여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을 감싸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제1숫나사산과 제2숫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숫나사산과 제2숫나사산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일단이 상기 제1숫나사산을 감싸고 있는 제1도어와, 일단이 상기 제2숫나사산을 감싸고 있는 제2도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는 상호 인접한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구동부는 영구자석 타입의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면, 회전축에 맞물려 있는 도어가 직선 이동하여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바 간단한 구조로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 제1숫나사산과 제2숫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제1도어와 제2도어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적은 전력으로 도어를 이동시켜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부가 닫힌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부가 열린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가 휴대폰에 장착된 구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는, 베이스(10)와, 회전축(20)과, 구동부(30)와, 도어(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휴대폰 카메라의 외부 케이스가 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휴대폰 카메라의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는 카메 라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12)와 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베이스(10)와 수평방향 즉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30)는 영구자석 타입의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구동부(30)를 스테핑모터 중 영구자석 타입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모터 및 회전축(2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에 결합된 상기 도어(40)가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임의로 이동하여 개구부(12)를 개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20)을 감싸고 있고,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을 감싸고 있는 상기 도어(40)의 일단의 내주면에는상기 숫나사산(21)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시 상기 도어(40)는 상기 숫나사산(21)과 암나사산에 의해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한다.
물론, 상기 도어(40)의 타단에는 상기 도어(4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같은 부재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40)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시 상기 도어(40)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려 상기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이동 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40)는 1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2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40)가 1개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도어(40)를 많이 이동시켜야 하는바, 상기 도어(40)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20)의 회전량이 많아져야 한다.
이는 결국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부(30)에서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도어(40)를 2개로 이루어지도록 한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도어(40)를 1개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적게 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축(20)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결국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부(30)에서 적은 전력으로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할 수 있어, 휴대폰 배터리 등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도어(40)가 2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20)에는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일단이 상기 제1숫나사산(22)을 감싸고 있는 제1도어(42)와, 일단이 상기 제2숫나사산(23)을 감싸고 있는 제2도어(4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도어(42)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숫나사산(22)에 맞물리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도어(43)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숫나사산(23)에 맞물리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어(42)와 제2어도는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2)를 폐쇄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2)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축(20)이 회전하면 상기 제1도어(42)와 제2도어(43)는 상호 인접한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회전축(20)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형성된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42)와 제2도어(43) 사이의 간격을 보다 빨리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전력으로 상기 개구부(12)를 보다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 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부가 닫힌 상태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부가 열린 상태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2 : 개구부, 20 : 회전축, 21 : 숫나사산, 22 : 제1숫나사산, 23 : 제2숫나사산, 30 : 구동부, 40 : 도어, 42 : 제1도어, 43 : 제2도어.

Claims (3)

  1. 개구부(12)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20)을 감싸고,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40)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산(21)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시 상기 도어(40)는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도어(4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에는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숫나사산(22)과 제2숫나사산(23)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형성되고,
    상기 도어(40)는, 일단이 상기 제1숫나사산(22)을 감싸고 있는 제1도어(42)와, 일단이 상기 제2숫나사산(23)을 감싸고 있는 제2도어(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시 상기 제1도어(42) 및 제2도어(43)는 상호 인접한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영구자석 타입의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20080117409A 2008-11-25 2008-11-25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8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409A KR100980304B1 (ko) 2008-11-25 2008-11-25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N2009801247456A CN102077573B (zh) 2008-11-25 2009-11-23 相机门开闭装置
PCT/KR2009/006895 WO2010062088A2 (ko) 2008-11-25 2009-11-23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US13/002,669 US20110116785A1 (en) 2008-11-25 2009-11-23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amera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409A KR100980304B1 (ko) 2008-11-25 2008-11-25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848A KR20100058848A (ko) 2010-06-04
KR100980304B1 true KR100980304B1 (ko) 2010-09-06

Family

ID=422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409A KR100980304B1 (ko) 2008-11-25 2008-11-25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16785A1 (ko)
KR (1) KR100980304B1 (ko)
CN (1) CN102077573B (ko)
WO (1) WO20100620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557A1 (en) * 2015-01-30 2016-08-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bcam shut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586A (ja) * 1995-09-19 1997-03-28 Canon Inc 光学部材の保護カ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705A (en) * 1972-04-24 1973-07-17 Vapor Corp Integrated linear door operator
JPH09197479A (ja) * 1996-01-11 1997-07-31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スライドカバー装置
US6208809B1 (en) * 1998-07-17 2001-03-27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motor-driven lens barrel
JP2004144771A (ja) * 2002-10-21 2004-05-20 Fuji Photo Film Co Ltd 沈胴式カメラ
US6940209B2 (en) * 2003-09-08 2005-09-06 New Scale Technologies Ultrasonic lead screw motor
US7399222B2 (en) * 2004-12-31 2008-07-15 Winia Mando, Inc. Apparatus for operating auto-shutter in air-conditioner
KR100762627B1 (ko) * 2005-11-1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셔터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586A (ja) * 1995-09-19 1997-03-28 Canon Inc 光学部材の保護カ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7573A (zh) 2011-05-25
US20110116785A1 (en) 2011-05-19
KR20100058848A (ko) 2010-06-04
WO2010062088A2 (ko) 2010-06-03
CN102077573B (zh) 2013-10-16
WO2010062088A3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2600B (zh) 带拍摄装置的便携式信息终端装置
US7568848B2 (en) Magnetic sliding door structure
CN103502886B (zh) 焦平面快门及设有该焦平面快门的光学设备
JP2007219288A (ja) 撮像装置
KR101177185B1 (ko) 카메라 셔터 장치
KR100980304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07233054A (ja) 光量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20133910A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KR20060102671A (ko)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90105018A (ko)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KR101177232B1 (ko) 카메라 셔터 장치
KR100981956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39015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1032494B1 (ko) 렌즈 개폐장치
KR10098979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JP4740572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1043901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81955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780433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US6636698B2 (en) Zoom actuating apparatus for cameras
JP2014228799A (ja)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CN101673023B (zh) 镜筒和摄像设备
KR100973705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93821B1 (ko) 수동 및 자동 겸용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JP4933123B2 (ja) 光量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