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05B1 -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05B1
KR100973705B1 KR1020080051013A KR20080051013A KR100973705B1 KR 100973705 B1 KR100973705 B1 KR 100973705B1 KR 1020080051013 A KR1020080051013 A KR 1020080051013A KR 20080051013 A KR20080051013 A KR 20080051013A KR 100973705 B1 KR100973705 B1 KR 10097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member
door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671A (ko
Inventor
조상화
Original Assignee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하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시 부품 사이의 마찰구간을 줄여 부하를 최소화시킨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일단이 상기 도어부재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중심점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점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는 같은 방향으로 회한다.
도어, 카메라, 개폐장치

Description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CAMER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본 발명은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에 내장된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렌즈를 개폐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 및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렌즈를 통해 결상된 상(image)를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만들고 이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시키는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휴대폰 또는 PDA가 등장하였다.
카메라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의 배면 또는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고, 렌즈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초기 휴대폰 또는 PDA에는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형태가 대부분이었는데, 이 경우에 렌즈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자주 끼게 되어 렌즈가 손상되거나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카메라 도어를 구비한 PDA 또는 휴대폰이 개발되었다. 이때 카메라 도어의 개폐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계적 연동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과,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10267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전자석(30)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자석(30)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은 영구자석(60)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연동샤프트(80)를 회전시킨다.
연동샤프트(80)가 회전하면 연동샤프트(80)의 제 1 축은 연결된 홈(h3)을 밀고, 이에 의해 도어부재(70)는 렌즈홀(11a)을 개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연동샤프트(80)의 회전시 홈(h3)과의 마찰구간이 크기 때문에 연동샤프트(80)와 도어부재(70)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개폐시 부품 사이의 마찰구간을 줄여 부하를 최소화시킨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일단이 상기 도어부재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중심점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점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2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도어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링크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힌지축이 형성되 되,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도어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링크부재에 삽입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에 상기 링크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감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중심점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점을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시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마찰을 줄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부가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장착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 상기 링크부재 및 상기 도어부재를 상하 배치하여 개폐장치의 너비를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각각 상기 제 1 힌지축과 상기 제 2 힌지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조립을 편리하게 한다.
상기 감지수단을 상기 제 1 케이스에 상기 링크부재와 마주보게 장착하여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하게 동작 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링크부재와 회전부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베이스부, 도어부재(200), 링크부재(300), 액추에이터(400) 및 감지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410), 마그네트(420), 제 1 메인요크(430), 제 2 메인요크(440), 코일(450) 및 서브요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부재(200)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링크부재(300)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 케이스(120)와, 상기 회전부재(410)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2 케이스(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케이스(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케이스(130)는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카메라에 내장된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도록 상하가 개방된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 힌지축(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힌지축(112)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도어부재(200)가 회전되게 축결합된다.
상기 제 1 힌지축(112)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도어부재(20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부재(200)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케이스(130)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케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체결 결합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120)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힌지축(12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300)가 회전되게 축결합된다.
상기 제 2 힌지축(121)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힌지축(11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300)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케이스(110)와 상기 제 1 케이스(120)에 각각 상기 제 1 힌지축(112)과 상기 제 2 힌지축(12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측면부에는 상기 감지수단(500)이 장착되는 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2)에는 상기 감지수단(500)이 상기 링크부재(300)와 마주보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300)의 하측에는 상기 감지수단(500)의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510)이 장착된다.
따라서 감지수단(500)은 상기 반사판(510)에서 반사되는 신호의 양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여부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20)에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수단(500)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300)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500)을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상기 안착홈(122)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130)는 내부에 상기 액추에이터(400)가 장착되어 나사결합되며,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케이스(120)와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상기 제 2 케이스(130)와 함께 다시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제 1 케이스(120)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10), 상기 제 1 케이스(120) 및 상기 제 2 케이스(130)를 상하 배치함으로써, 상기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상기 개구부(111)를 통과하는 빛을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부재(200)가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부재(200)는 상기 개구부(111)를 덮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 1 힌지축(112)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도어부재(200)에는 상기 링크부재(300)가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부재(200)에는 상기 링크부재(300)에 형성된 제 1 링크축(310)이 삽입되는 제 1 링크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링크공(210)은 상기 제 1 힌지축(112)과 인접한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재(200)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링크공(210)에는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삽입되어 이동한다.
즉 상기 제 1 링크공(210)은 상기 도어부재(200)의 회전시 상기 링크부재(300)의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왕복 이동하는 통로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공(210)에는 상기 제 1 링크축(310)의 회전방향과 동일 한 경로로 형성된 미동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미동부(21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공(210)의 우측 끝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미동부(211)는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했을 때 상기 도어부재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여유구간이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공(210)에는 상기 미동부(211)에 대해 굴절 형성되어 상기 제 1 링크축(310)의 회전시 상기 도어부재(200)에 힘을 가하는 가동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212)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동부(211)의 좌측에 연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링크부재(300)는 상기 제 1 케이스(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케이스(120)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재(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300)의 중심부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300)의 중심부는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상기 제 2 힌지축(121)에 삽입되어 수평 회전한다.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중심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부재(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링크축(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링크축(31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부재(200)의 상기 제 1 링크공(21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부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상기 제 1 링크축(31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부채꼴 형상의 제 1 연결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에 대해 약 90도 정도 틀어진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410)가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재(300)의 타단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상기 회전부재(410)가 삽입되는 제 2 링크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링크공(320)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410)가 직선 이동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제 2 링크공(320)을 통해 상기 회전부재(41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력을 상기 링크부재(300)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410)는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부재(300)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30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410)는 원통형의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재(3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케이스(1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케이스(130)에 축결합되 어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0)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링크공(320)에 삽입되는 제 2 링크축(41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시 상기 제 2 링크공(320)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링크부재(3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20)에는 상기 제 2 링크축(411)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부채꼴 형상의 제 2 연결공(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상기 제 2 연결공(123)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링크공(32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410)는 상기 제 2 케이스(130)와의 축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상기 제 2 케이스(130)와 상기 회전부재(410)의 축결합지점은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링크부재(300)는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제 2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상기 제 2 힌지축(121)의 중심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점(B)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과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점(B)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410)의 일단의 연결지점, 즉 상기 제 2 링크축(411)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즉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과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 점(B)는 상기 제 2 링크축(411)의 회전반경(C) 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재(410)와 상기 링크부재(30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0)는 상기 마그네트(420)에 삽입되어 상기 마그네트(420)와 함께 회동한다.
상기 마그네트(420)는 원통형 형상으로 2극 착자되며, 중심부에 상기 회전부재(410)의 타단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420)는 상기 서브요크(460)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요크(460)와 인접하고, 상기 마그네트(420)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메인요크(430)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420)와 인접한다.
또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양단과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양단은 은 상기 서브요크(460)와 나사체결 하기 위해 중심부보다 너비가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에는 상기 코일(450)이 각각 권취된다.
상기 코일(450)은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가 삽입된 전선으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를 중심으로 다층으로 감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450)을 직접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는 각각 분리되어 있 으므로, 상기 코일(450)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를 막대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일(450)을 직접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간단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에 권취된 상기 코일(45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러한 상기 코일(450)은 전원 인가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에 각각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마그네트(420)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서브요크(46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상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요크(460)의 일단은, 상기 마그네트(420)의 맞은편인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일단과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일단에 조립 결합되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일단과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일단을 연결한다.
즉 상기 서브요크(460)의 일단은 상기 코일(450)이 권취되는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일단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일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위 구조에 따라 상기 서브요크(460)는 상기 코일(450)에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서브요크(460)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에는 상기 마그네트(420)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부(46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61)는 상기 마그네트(420)의 원주보다 약간 큰 원통형의 홀 형상으로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461)는 상기 마그네트(420)의 회전시 상기 마그네트(420)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있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461)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420)의 반대방향으로 움푹진 제 1 도피홈(46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피홈(462)은 반원형상으로 상기 삽입부(461)에서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피홈(462)은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 사이의 중심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461)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피홈(462)은 상기 제 1 메인요크(430)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도피홈(462)으로 인해, 상기 제 1 도피홈(462)이 형성된 상기 서브요크(460)의 부위는 상기 제 1 도피홈(46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서브요크(460)의 부위보다 상기 마그네트(420)와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되어, 상기 코일(45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상기 마그네트(420)의 양측면, 즉 상기 제 1 도피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서브요크(460)의 부위에 집중되게 하며, 상기 코일(450) 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상기 마그네트(420)의 양측면에 균일하게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요크(460)의 일단과 타단 사이,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461)와 상기 서브요크(460)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코일(450)이 배치되는 코일 안착부(463)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 안착부(463)는 상기 제 1 메인요크(430)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가 각각 배치되는 상기 서브요크(46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요크(460)의 중심부 방향으로 움푹지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450)이 각각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은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타단과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타단을 연결한다.
즉 상기 삽입부(461)가 형성된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은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타단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타단과 접하여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 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을 통해 순환하여 전체적인 자기장의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타단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타단을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의 타단 및 상기 제 2 메인요크(440)의 틸팅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코일(45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기 마그네트(420)에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부(461) 방향으로 제 2 도피홈(46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피홈(464)은 상기 제 1 도피홈(46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 사이의 중심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피홈(462) 방향으로 움푹지게 형성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피홈(464)은 상기 제 1 도피홈(462)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과 상기 삽입부(461)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다.
이는 상기 서브요크(460)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를 이동하는 자기장을 최소화하여 자기장이 상기 마그네트(420)의 양측에 집중되도록 한다.
다음은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에 장착된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링크부재와 회전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13 및 도 14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감지수단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5 및 도 16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재(200)가 닫혔을 때, 상기 링크부 재(300)의 상기 제 1 링크축(310)은 상기 제 1 링크공(210)의 우측, 즉 상기 미동부(211)에 위치한다.
상기 미동부(211)는 상기 제 1 링크공(210)의 회전경로와 일치함으로,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상기 미도부(211)를 이동할 때에 상기 도어부재(20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재(20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하여도 상기 도어부재(200)는 쉽게 열리지 않는다.
또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스(120)에 장착된 상기 감지수단(5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수단(500)의 신호를 반사시킨다.
또한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0)의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상기 제 2 링크공(320)의 상측에서 약간 아래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메인요크(430)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4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메인요크(430)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를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420)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마그네트(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420)에 삽입장착된 상기 회전부재(410)는 상기 마그네트(42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410)의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상기 제 2 메인요크(440)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00)는 제 2 링크축(411)이 삽입된 상기 제 2 링크공(320)에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점(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과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점(B)이 상기 제 2 링크축(411)을 기준으로 하측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00)와 상기 회전부재(410)는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링크축(411)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링크공(320)의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다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하측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중심점(A)과 상기 링크부재(300)의 회전중심점(B)이 같은 방향에 배치되면,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시 상기 제 2 링크공(320)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상기 제 2 링크축(411)의 이동거리를 최소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링크공(320)과 상기 제 2 링크축(411)의 마찰을 줄여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시 부가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링크축(411)과 상기 제 2 링크공(320)이 연동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00)는 상기 제 2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 1 링크축(310)은 상기 제 2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부재(200)의 상기 제 1 링크공(210)을 따라 왕복 이동한 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링크축(31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공(210)의 좌측방향, 즉 상기 가동부(212)로 이동한 후,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우측방향, 즉 상기 미동부(211)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축(310)은 상기 가동부(212)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재(20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부가한다.
즉 상기 가동부(211)는 상기 제 1 링크축(310)이 상기 제 1 링크공(210)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제 1 링크축(310)과 접하여 상기 도어부재(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축(310)과 상기 가동부(211)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도어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부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11)를 개방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의 일단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500)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500)은 반사되는 신호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개구부(11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회전부재(410)와 상기 링크부재(30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00)와 상기 회전부재(410) 사이의 마찰을 줄여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시 부가되는 부하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인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링크부재와 회전부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링크부재와 회전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13 및 도 14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감지수단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5 및 도 16 은 본 발명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프레임, 120 : 제 1 케이스,
130 : 제 2 케이스, 200 : 도어부재,
300 : 링크부재, 400 : 액추에이터,
410 : 회전부재, 500 : 감지수단,

Claims (4)

  1.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일단이 상기 도어부재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중심점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점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2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 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도어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링크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힌지축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도어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링크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에 상기 링크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20080051013A 2008-05-30 2008-05-30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7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013A KR100973705B1 (ko) 2008-05-30 2008-05-30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013A KR100973705B1 (ko) 2008-05-30 2008-05-30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671A KR20090124671A (ko) 2009-12-03
KR100973705B1 true KR100973705B1 (ko) 2010-08-04

Family

ID=4168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013A KR100973705B1 (ko) 2008-05-30 2008-05-30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0201B2 (ja) 2009-10-14 2012-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725A1 (en) * 2005-07-27 2007-02-01 Asia Optical Co., Inc. Lens cover apparatus for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725A1 (en) * 2005-07-27 2007-02-01 Asia Optical Co., Inc. Lens cover apparatus for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671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962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881726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06284641A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US20090205168A1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988211B1 (ko) 노광조건 전환 유니트 및 카메라 유니트
CN114253042A (zh) 叶片开闭装置和电子设备
KR101874436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KR100788008B1 (ko)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KR100973705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60102671A (ko)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23016234A (ja) 電子機器
KR20110026337A (ko) 셔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소형 카메라
KR100948503B1 (ko) 영상촬영장치의 셔터모듈용 액추에이터
JP5223059B2 (ja) 露光条件切替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KR100927849B1 (ko)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용 구동부
KR101043901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35678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39015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23016235A (ja) 羽根駆動装置
KR100989682B1 (ko) 카메라용 셔터
JP2011017801A (ja) 露光条件切替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KR100247776B1 (ko) 캠코더의 조리개구조
KR100993821B1 (ko) 수동 및 자동 겸용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101249462B1 (ko) 초소형 셔터장치의 액추에이터
KR100993583B1 (ko)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