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018A -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018A
KR20090105018A KR1020080030250A KR20080030250A KR20090105018A KR 20090105018 A KR20090105018 A KR 20090105018A KR 1020080030250 A KR1020080030250 A KR 1020080030250A KR 20080030250 A KR20080030250 A KR 20080030250A KR 20090105018 A KR20090105018 A KR 2009010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track
housing
camera phone
control device
l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길
김희승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08003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018A/ko
Publication of KR2009010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73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가 외곽에 배치되어 박형화(箔刑化)된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환상트랙과; 상기 환상트랙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이 입사되는 광로를 개폐하는 셔터블레이드와; 상기 환상트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블레이드와 광로를 개폐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환상트랙과 상기 셔터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엣지부에 설치된 구동코일과 상기 구동코일과 대응되는 환상트랙의 위치에 설치된 영구자석을 갖고 상기 구동코일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환상트랙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셔터, 카메라폰, 환상트랙, 요크,

Description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OF LIGHT USED CAMER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가 외곽에 배치되어 박형화(箔刑化)된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장착되는 광량 조절장치는 이미지센서에 입사되는 빛의 양이나 노출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카메라의 다른 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기 때문에 광량 조절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그렇게 많이 시도되지 않았다.
하지만 휴대폰이 컨버젼스화됨에 따라 휴대폰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여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화소수 또한 300만 화소급 이상으로 향상되면서 더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광량 조절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광량 조절장치는 셔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박형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광량 조절장치는 미사용시에도 셔터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기 를 인가하여야 하므로 전력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부를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곽에 배치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줄여 더욱 박형화된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딩요크를 설치하여 구동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일때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에 구름부재를 삽입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므로 응답속도가 향상된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환상트랙과; 상기 환상트랙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이 입사되는 광로를 개폐하는 셔터블레이드와; 상기 환상트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블레이드와 광로를 개폐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환상트랙과 상기 셔터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엣지부에 설치된 구동코일과 상기 구동코일과 대응되는 환상트랙의 위치에 설치된 영구자석을 갖고 상기 구동코일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발 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환상트랙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지지축과, 상기 환상트랙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회전지지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셔터블레이드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구동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셔터블레이드에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하우징의 회전지지축 주변에 상방으로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과 상기 환상트랙 사이에 배설되는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름부재가 구를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하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환상트랙의 하부에 하부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하우징의 구동코일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홀딩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홀딩요크는 상기 구동코일 하부 양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구동부를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더욱 박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홀딩요크를 설치하여 구동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환상트랙과 하우징 사이에 구름부재를 배설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므로 응답속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11)이 하부에 부착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환상트랙(20)과, 환상트랙(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이 입사되는 광로를 개폐하는 셔터블레이드(30)와, 상기 환상트랙(20)이 회전함에 따라 셔터블레이드(30)와 광로를 개폐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과, 하우징(10)과 결합되어 환상트랙(20)과 셔터블레이드(30)를 수용하는 커버(40)와, 하우징(10)의 엣지부에 설치된 구동코 일(50)과 구동코일(50)과 대응되는 환상트랙(20)의 위치에 설치된 영구자석(60)을 갖고 구동코일(50)과 영구자석(6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환상트랙(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면 엣지부에 계단(12)이 형성되고 중앙에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14)이 형성된 원반형상으로서 하부에 인쇄회로기판(11)이 부착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셔터블레이드(30)의 결합공(32)에 끼워지는 회전지지축(1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축(16)의 주변에는 상방으로 환상의 돌출부(17)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의 계단(12)에는 구름부재(rolling member)인 볼(70)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가이드홈(18)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가이드홈(18)에 삽입된 볼(70)은 하우징(10)과 환상트랙(20)이 구름마찰되도록 하여 마찰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이드홈(18)은 볼(70)이 이동하는 중 가로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이 "V"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의 계단(12)에는 하부가이드홈(18) 사이에 구동코일(50)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요입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하우징(10)의 구동코일(50)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홀딩요크(80a, 8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딩요크(80a, 80b)는 구동코일(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딩요크(80a, 80b)는 환상트랙(20)에 설치된 영구자석(60)과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므로 셔터블레이드(30)의 개방과 폐쇄시 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영구자석(60)과 홀딩요크(80a, 80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구동코일(50)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를 인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가 절약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딩요크(80a, 80b)는 구동코일(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코일(50)의 직하에 홀딩요크(82)가 하나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홀딩요크(82)를 하나만 설치할 경우는 구동코일(50)의 중심에 설치되어 영구자석(60)이 이동한 후 영구자석(60)과 더 가까운 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환상트랙(20)은 하우징(10)의 계단(12)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 설치된다. 상기 환상트랙(2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셔터블레이드(30)의 장공(34)에 끼워지는 구동축(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구동축(22)은 환상트랙(20)이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장공(34)을 이동하면서 셔터블레이드(30)가 회동되도록 하여 빛이 입사되는 광로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환상트랙(20)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가이드홈(18)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70)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가이드홈(24)은 볼(70)이 이동하는 중 가로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이 "V"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환상트랙(20)의 구동코일(5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영구자석(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요입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블레이드(30)는 환상트랙(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개별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블레이드(30)의 각 블레이드에는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지지축(16)이 끼워지는 결합공(32)과 환상트랙(2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22)이 끼워지는 장공(34)이 형성된다.
연동수단은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지지축(16)과, 환상트랙(2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22)과, 셔터블레이드(30) 상에 형성되는 회전지지축(16)이 끼워지는 결합공(32)과 구동축(22)이 끼워지는 장공(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수단은 환상트랙(20)이 회전함에 따라 환상트랙(2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22)이 회전하면서 장공(34)의 일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셔터블레이드(30)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연동수단은 환상트랙(20)의 회전운동을 셔터블레이드(30)의 회동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커버(40)는 하우징(10)과 결합되어 환상트랙(20)과 셔터블레이드(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는 하우징(10)에 설치된 구동코일(50)과 이 구동코일(50)에 대응되는 환상트랙(20)의 부분에 설치된 영구자석(60)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코일(50)은 하우징(10)에 설치되며 환상으로 권선되고, 이러한 구동코일(50)은 권선 횟수, 코일의 저항 및 인가전압에 따라 유도하는 전자기력이 달라진다. 즉 영구자석(60)과 함께 형성하는 자기력선의 수에 따라 환상트랙(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코일(50)의 수를 3개로 하였지만 필요한 구동력에 따라 구동코일(50)의 갯수를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구자석(60)은 환상트랙(20)에 설치되며 축방향으로 2극 이상 착자된 것으로서 구동코일(50)과 대면하도록 정렬된다. 이와 같은 영구자석(60)은 구동코일(50)에 전기가 인가되면 인가된 극성에 따라 환상트랙(20)의 회전방향이 변경되고, 환상트랙(20)의 회전방향이 변경되면 이와 연동된 셔터블레이드(30)의 회동방 향도 변하게 된다.
구름부재인 볼(70)은 환상트랙(20)과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며 하우징(10)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8)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는 외곽에 구동부를 배치하고 중심부에 셔터블레이드(30)를 배치함으로써 구동부와 셔터블레이드(30)가 중첩되지 않아 광축방향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가이드홈(18, 24)에 구름부재인 볼(70)이 삽입되어 구름마찰을 하게 되므로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므로 같은 크기의 전기를 인가하여도 슬라이딩능력이 향상되며 응답속도 또한 빨라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폐쇄된 상태일 때 홀딩요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일 때 홀딩요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블레이드(30)가 폐쇄된 상태일 경 우 영구자석(60)은 셔터블레이드(3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트랙(20)의 회전방향인 폐쇄방향측 홀딩요크(80a)가 반대방향인 개방방향측 홀딩요크(80b) 보다 거리가 가까우므로 영구자석(60)이 폐쇄방향측으로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블레이드(30)의 개방은 인쇄회로기판(11)을 통하여 구동코일(50)에 전기가 인가되면 영구자석(60)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개방방향측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 때 구동코일(50)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은 폐쇄방향측 홀딩요크(80a)와 영구자석(60)의 인력보다 더 큰 힘을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폐쇄방향측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환상트랙(20)은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환상트랙(20)은 하부에 위치한 볼(70)에 의하여 구름마찰을 하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상트랙(20)이 회전하면 환상트랙(2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22)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축(22)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22)이 끼워져 있는 셔터블레이드(30)가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셔터블레이드(30)가 구동축(22)에 의해 회동함으로 셔터블레이드(30)는 광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영구자석(60)은 셔터블레이드(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트랙(20)의 방향인 개방방향측 홀딩요크(80b)가 반대방향인 폐쇄방향측 홀딩요크(80a) 보다 거리가 가까우므로 영구자석(60)이 개방방향측으로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60)이 고정되면 구동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더라도 개방방향측 홀딩요크(80b)와 영구자석(60)의 인력에 의해 회전트랙(20)은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개방시간이 경과하면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전기를 인가한다. 전기를 인가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영구자석(60)은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여 환상트랙(20)을 폐쇄시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트랙(20)이 도4의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면 영구자석(60)은 셔터블레이드(3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트랙(20)의 방향인 폐쇄방향측 홀딩요크(80a)가 반대방향인 개방방향측 홀딩요크(80b)보다 거리가 가까우므로 영구자석(60)이 폐쇄방향측으로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회전토크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가로축은 영구자석(60)이 이동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세로축은 회전토크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구동코일(50)에 정방향으로 여자시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것은 구동코일(50)에 역방향으로 여자시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구동코일(50)의 비여자시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a) 및 (b)는 각각 셔터블레이드(30)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서 각 위치에서 구동코일(50)에 전기를 인가할 때와 인가하지 않을 때의 회전토크를 표현한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회전토크 값이 '+'인 경우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인 경우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a)위치는 셔터블레이드(30)가 개방된 상태로써 이 때 구동코일의 비여자시에 발생하는 회전력은 '-'값이 되어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을 하여 셔터블레이드(30)의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를 하게 되고, 이 때 구동코일(50)의 정방향에서 여자를 하게 되면 발생하는 회전력은 '+' 값이 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셔터블레이드(30)는 폐쇄위치인 (b)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b)위치는 구동코일(50)에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게 되면, 이 때 발생하는 회전력은 '+'값이 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을 하여 셔터블레이드(30)를 폐쇄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구동코일(100)에 역방향으로 여자를 하게 되면 발생하는 회전력은 '-'값이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을 하게 되어 셔터블레이드(10)는 개방위치인 (a)fh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코일(10)에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블레이드(3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측단면도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폐쇄된 상태일 때 홀딩요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일 때 홀딩요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의 셔터블레이드의 개방된 상태일 때 홀딩요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9)

  1.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환상트랙과;
    상기 환상트랙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이 입사되는 광로를 개폐하는 셔터블레이드와;
    상기 환상트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블레이드와 광로를 개폐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환상트랙과 상기 셔터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엣지부에 설치된 구동코일과 상기 구동코일과 대응되는 환상트랙의 위치에 설치된 영구자석을 갖고 상기 구동코일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환상트랙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지지축과, 상기 환상트랙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회전지지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셔터블레이드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구동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셔터블레이드에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전지지축 주변에 상방으로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환상트랙 사이에 배설되는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하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트랙의 하부에 상기 하부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 홈은 단면이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 홈은 단면이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동코일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홀딩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요크는 상기 구동코일 하부 양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KR1020080030250A 2008-04-01 2008-04-01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KR20090105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50A KR20090105018A (ko) 2008-04-01 2008-04-01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50A KR20090105018A (ko) 2008-04-01 2008-04-01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230A Division KR100975630B1 (ko) 2009-10-21 2009-10-21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018A true KR20090105018A (ko) 2009-10-07

Family

ID=4153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250A KR20090105018A (ko) 2008-04-01 2008-04-01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0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890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4000976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구동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구동 방법
KR20160089150A (ko) 2015-01-19 2016-07-27 유한회사 대솔아이엔티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US10812692B2 (en) 2018-08-22 2020-10-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42883A (ko) 2022-04-04 2023-10-11 김광수 카메라 모듈의 전자식 광량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890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4000976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구동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구동 방법
KR20160089150A (ko) 2015-01-19 2016-07-27 유한회사 대솔아이엔티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US10812692B2 (en) 2018-08-22 2020-10-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42883A (ko) 2022-04-04 2023-10-11 김광수 카메라 모듈의 전자식 광량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47B1 (ko) 구동장치 및 광량 조절장치
US10564515B2 (en) Blade driving device
KR20090105018A (ko)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KR100975630B1 (ko)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US20180039159A1 (en) Blade driving device
KR100788008B1 (ko)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JP4378326B2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KR20180105970A (ko) 조리개장치
KR20110096391A (ko) 카메라 셔터 장치
KR101190390B1 (ko)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JP4164378B2 (ja) 光量調節装置
KR101859972B1 (ko) 카메라용 조리개장치
CN112334828A (zh) 开关电机、快门装置及摄像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954553B2 (ja) 光量調節装置及びカメラ
JP4204311B2 (ja) 光量調節装置
JP5047460B2 (ja) 撮像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US20110215889A1 (en) Stabilized ball bearings for camera lens
JP4934365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5047459B2 (ja) 光量調節装置、撮像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06050699A (ja) 2位置切換機構、絞り機構及びシャッター機構
JP20082501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8176171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撮像機器
JP2005274856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933123B2 (ja) 光量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5

Effective date: 201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