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494B1 - 렌즈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494B1
KR101032494B1 KR1020090045545A KR20090045545A KR101032494B1 KR 101032494 B1 KR101032494 B1 KR 101032494B1 KR 1020090045545 A KR1020090045545 A KR 1020090045545A KR 20090045545 A KR20090045545 A KR 20090045545A KR 101032494 B1 KR101032494 B1 KR 10103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ever plate
cover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041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파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코스(주) filed Critical 파코스(주)
Priority to KR102009004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보다 경제적이며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렌즈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구가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되, 선택적으로 극성이 변환되도록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양단에 각각 대향배치된 영구자석이 구비된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렌즈, 개폐장치, 아우터가이드, 미닫이

Description

렌즈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lens}
본 발명은 휴대폰용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구비된 렌즈 재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제적이고 안정적 작동을 보장하는 렌즈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카메라에는 그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곽측 렌즈의 전방에는 렌즈 개폐장치가 구비된다.
즉, 초기의 휴대폰용 또는 PDA용 디지털카메라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렌즈의 외부표면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끼게 되어 상기 렌즈가 손상되거나 선명한 화상의 촬영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카메라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의 전방측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렌즈 개폐장치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렌즈 개폐장치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계적 연동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과,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이 제안되었다.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예로, 등록특허10-839015호가 있다. 839015 특허는 한 쌍의 회전식 블레이드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미들 플레이트가 원통형 자석에 의하여 구동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개방구를 개폐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원통형 자석이 전자기력에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의 외주에 대응되는 오목한 굴곡을 갖는 복잡한 구조의 전자석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원통형 자석 및 전자석 간의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생산공정이 필요하며 생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839015 특허에서 한쌍의 블레이드는 각각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식으로 개폐되는데, 조립공차로 인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될 때 주변의 베이스 개방부 테두리 내지 미들 플레이트와 간섭되어 마찰 내지 마모됨으로써 잦은 고장을 유발할 우려가 있었으며 불필요한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조건 하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원활하게 회전되기 위해서는 보다 고출력의 전자기력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는 전자석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소요동력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경제적이며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렌즈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개방구가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되, 선택적으로 극성이 변환되도록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양단에 각각 대향배치된 영구자석이 구비된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그와 대향되도록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링형 영구자석이 자체 회전가능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에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커버의 구동돌기가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개폐가 좌우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도록 고정 배치된 아우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의 구동돌기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커버의 전방에는 중앙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보호구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홀의 테두리 후면측에는 상기 커버 외주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구동부가 직선형 전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종래기술의 원통형 자석 및 그의 외주에 대응되는 오목한 굴곡을 갖는 복잡한 구조의 전자석이 불필요하며 상기 구동부의 장착을 위한 공간배치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생산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단가가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직선형 전자석의 특성상 자력의 간섭을 배제하여 효율적인 자력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소요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커버의 개폐구조가 좌우방향 미닫이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기구학적인 동력전달구조가 효율화됨으로써 저출력의 소요전력으로 상기 커버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으며, 종래의 회전식 블레이드의 사용으로 인한 각 부재간의 조립공차로 인해 발생되는 간섭 및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커버의 전후면 테두리에 개폐시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형의 안내형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형합부에 부분적으로 형합되는 안내가이드부가 상하 대향되는 부분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버와 마주보는 보호구 내지 아우터 가이드 간의 접촉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공차로 인한 주변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이동을 보장함과 아울러 마찰면적의 감소를 통한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그와 대향되도록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링형 영구자석이 자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형 영구자석과 그와 인접한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되어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조립된 외형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는 베이스(100), 구동부(107), 레버 플레이트(110), 커버(140) 및 아우터 가이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휴대폰용 디지털카메라 등의 렌즈 전면에 장착되며, 그의 중앙부에 개방구(105)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개방구(105) 가장자리 일측에는 구동부(107)가 장착되는 요홈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101)에 장착되는 구동부(107)는 코일이 권취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107)는 전원공급라인(160)과 연결되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에는 레버 플레이트(1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레버 플레이드(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개방부(105)에 대응되는 홀(115) 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측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107)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면(117)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117)의 양가장자리에는 돌출된 자석장착부(111,112)가 형성되며, 상기 자석장착부(111,112) 내측에는 상자성체인 영구자석(121,122)이 내삽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호 대향 배치되는 영구자석(121,122)은 각각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107)에 형성되는 자력의 방향이 스위칭됨에 따라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107)의 전자석을 직선형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07)의 양단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된 영구자석(121,122)과 작용되는 인력과 척력의 힘을 이용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회전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7)는 선택적으로 극성이 변환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되,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직선형 구동부(107)의 양단부에 각각 대향배치된 영구자석(121,1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영구자석 중 하나(122)는 S-N 방향의 극성을 가지고 다른 하나(121)는 N-S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극성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07)의 극성 배치가 N-S인 경우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7)의 극성 배치가 S-N으로 스위칭된 경우에는 좌측의 영구자석(122)과는 인력이 작용되고 우측의 영구자석(121)과는 척력이 작용되는 자력 관계에 의하여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상측에는 상기 개방구(10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쌍의 커버(14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140)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인 개폐작동을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13,114)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13,114)에는 상기 커버(140)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된 구동돌기(141,142)가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140)가 회전식으로 구동되지 않고 좌우방향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40)의 개폐를 좌우방향을 따라 안내하도록 고정 배치된 아우터 가이드(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는 상기 커버(140)의 전면에 배치되는 보호구(150)의 내주면 내지 상기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의한 상기 커버(140)의 좌우방향 안내구조로서, 상기 커버(140)의 구동돌기(141,142)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133,134)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구동돌기(141,142)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3,134)을 관통한 후 상기 레버 플레 이트(110)에 형성된 장공(113,114)에 각각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장공(113,114)은 상기 홀(115)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장공(113,114)에 삽입된 구동돌기(141,142)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커버(14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커버(14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구동돌기(141,142)의 이동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133,134)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좌우방향을 따라 미닫이 문과 같이 정확한 이동이 안내된다.
물론,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장공의 경사진 방향이 "//"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면, 역으로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커버(14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커버(14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로 간단하게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이 상기 커버(140)의 좌우방향 개폐로 전달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른 작동을 도 2의 A-A' 단면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레버 플레이트(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140)의 후방에 돌출된 구동돌기(141,142)가 내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커버(140)가 개방구(105)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구동돌기(141,142)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장공(113,114)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내측으로 이동되되, 그의 이동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3,134)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한정된다.
반면에,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140)의 후방에 돌출된 구동돌기(141,142)가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커버(140)가 개방구(105)를 개방함으로써 렌즈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구동돌기(141,142)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장공(113,114)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되, 그의 이동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3,134)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한정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에 관한 도 2의 B-B' 단면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의 전방에는 중앙부에 개방홀(152)이 형성된 보호구(150)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홀(152)의 테두리 후면측에는 상기 커버(140) 외주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15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가이드부(151)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140)의 전면 테두리에는 상기 안내가이드부(15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홈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형합부(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14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안내가이드부(151)가 상기 커 버(140)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형합부(142)에 형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좌우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쌍의 커버(140) 간의 개폐시 어긋남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부드러운 동작을 이룩함으로써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커버(140)의 안내가이드 구성은 상기 커버(140)와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의 접촉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140)의 테두리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에도 안내가이드부(137)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30)의 하면에 상기 안내가이드부(137)에 부분적으로 형합되는 안내형합부(143)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아우터 가이드(130)와 상기 커버(140)의 후면 간의 면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접촉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커버의 개폐구조를 이룩함과 아울러 마찰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의 일단부 측에 자체 회전가능한 링형 영구자석이 추가로 배치되며 영구자석의 극성배치가 변경되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된 일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의 일단과 그와 대향되도록 레버 플 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링형 영구자석이 자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링형 영구자석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 S극-N극 내지 S극-N극-S극-N극으로 분극됨이 바람직하며, 그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술된 일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자석장착부(111,112)에 구비되는 한쌍의 영구자석(221.222)의 극성은 각각 S극-N극 및 S극-N극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는 커버가 개방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레버 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7)는 선택적으로 극성이 변환되는 직선형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207)의 극성 배치가 도면상 N-S로 스위칭된 경우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레버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113,114)을 따라 상기 커버(도 6의 140)의 후방에 돌출된 구동돌기(도 6의 141,142)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아우터 가이드(도 6의 130)에 형성된 가이드홀(도 6의 133,134)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가 개방홀(도 6의 152)을 폐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207)의 극성이 스위칭됨에 따라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링형 영구자석(210)도 상기 구동부(207)의 좌측단의 극성(N극)과 인력이 발생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좌측 영구자석(222)과 인력결합된다. 이후, 상기 구동부(207)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상기 링형 영구자석(210)과 좌측 영구자석(222) 간에는 자기적인 인력 결합이 유지되므로 상기 커버(140)가 개방홀(152)을 폐쇄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영구자석(21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영구자석(222)을 구동부(207)와 직접 대향시킬 때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링형 영구자석(210)과 레버 플레이트의 영구자석(222) 간의 인력이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구동부(207)와 영구자석(222) 간의 인력보다 강한 힘이 발생되기 용이하며, 구조상 효율적이다.
반면에, 도 7b는 커버가 개방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레버 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7)의 극성 배치가 도면상 S-N극으로 스위칭된 경우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레버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113,114)을 따라 상기 커버(도 6의 140)의 후방에 돌출된 구동돌기(도 6의 141,142)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아우터 가이드(도 6의 130)에 형성된 가이드홀(도 6의 133,134)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가 개방홀(도 6의 152)을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링형 영구자석(210)은 상기 구동부(207)와 인력을 유지하도록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링형 영구자석(210)과 상기 레버 플레이트(110)의 좌측 영구자석(222) 간에는 자기적으로 척력이 유지되므로 상기 커버(140)가 개 방홀(152)을 개방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는 일반적인 휴대폰 내지 PDA용 디지털 카메라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범용 디지털 카메라 내지 광학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조립 외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른 작동을 도 2의 A-A' 단면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에 관한 도 2의 B-B' 단면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개폐장치의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107,207: 구동부
110: 레버 플레이트 113,114: 장공
121,122,221,222: 영구자석 130: 아우터 가이드
133,134: 가이드홀 140: 커버
141,142: 구동돌기 150: 보호구
210: 링형 영구자석

Claims (5)

  1. 개방구가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되, 선택적으로 극성이 변환되도록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양단에 각각 대향배치된 영구자석이 구비된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그와 대향되도록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링형 영구자석이 자체 회전가능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플레이트에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커버의 구동돌기가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가 좌우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도록 고정 배치된 아우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의 구동돌기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방에는 중앙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보호구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홀의 테두리 후면측에는 상기 커버 외주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개폐장치.
KR1020090045545A 2009-05-25 2009-05-25 렌즈 개폐장치 KR10103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45A KR101032494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45A KR101032494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41A KR20100127041A (ko) 2010-12-03
KR101032494B1 true KR101032494B1 (ko) 2011-05-04

Family

ID=4350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545A KR101032494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0977B3 (de) * 2020-04-22 2021-06-10 Jenoptik Optical Systems Gmbh Kameraverschlussvorrichtung mit Permanentmagne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672A (ja) 2003-04-04 2004-11-04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20040102482A (ko) * 2003-05-28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60005897A (ko) * 2004-07-14 200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33238B1 (ko) 2006-03-10 2007-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672A (ja) 2003-04-04 2004-11-04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20040102482A (ko) * 2003-05-28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60005897A (ko) * 2004-07-14 200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33238B1 (ko) 2006-03-10 2007-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41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247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CN112770210B (zh) 充电盒
CN101738822A (zh) 小型摄像机用开闭装置
CN107523970B (zh) 一种洗衣机盖体开合结构和洗衣机
KR101874436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US7350990B2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lens assembly
US20080212958A1 (en)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KR101032494B1 (ko) 렌즈 개폐장치
KR20110096391A (ko) 카메라 셔터 장치
KR20060102671A (ko)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N101223774B (zh) 小型摄像机用开闭装置
KR100652556B1 (ko) 자석 힌지
KR20110078485A (ko)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100927849B1 (ko)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용 구동부
US6926454B1 (en)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light quantity regul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95623A (ko) 카메라용 셔터 장치
KR100835678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31721B1 (ko)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100839015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93821B1 (ko) 수동 및 자동 겸용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100649490B1 (ko)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100980304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01997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US20070018759A1 (en) Switch
CN217849480U (zh) 升降机构、升降摄像头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