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485A -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485A
KR20110078485A KR1020090135310A KR20090135310A KR20110078485A KR 20110078485 A KR20110078485 A KR 20110078485A KR 1020090135310 A KR1020090135310 A KR 1020090135310A KR 20090135310 A KR20090135310 A KR 20090135310A KR 20110078485 A KR20110078485 A KR 2011007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rotrusion
slider
coil
yok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390B1 (ko
Inventor
한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390B1/ko
Priority to US12/952,660 priority patent/US8717493B2/en
Priority to CN201010555302.7A priority patent/CN102073192B/zh
Publication of KR2011007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렌즈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회전 모멘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부 및 코일과, 상기 코일에 전원 미인가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를 상기 클로즈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SHUTTER DEVICE INCLUDING RETURN POR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내장 모바일 기기 등 광학 영상 장치에서 렌즈의 노출을 개폐하는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내장 모바일 기기 등을 포함한 광학 영상 장치의 성능이 다양화 및 고급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카메라에서 렌즈의 노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셔터의 채용이 절실한 실정이다. 카메라 내장 모바일 기기에 셔터가 채용되면 기존에 비하여 고화질의 영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고해상도의 내장 카메라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그러나,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설치 공간의 제약 및 배터리 소모의 문제로 인하여 셔터 및 이를 동작시키는 기타 부품을 포함한 셔터 장치의 소형화 및 구동 전력의 감소가 설계상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꼽힌다.
즉, 종래의 셔터 장치는 부품 수가 많고 동작 구조가 복잡하므로, 설치 공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며, 동력 전달 손실이 커서 배터리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 었다.
또한, 셔터 장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순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셔터 스피드가 높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거나 복잡한 링크 구조에 의하여 셔터를 동작시킬 경우 셔터의 응답 속도가 느려서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셔터 장치는 코일 및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동작되는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셔터가 클로즈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귀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공간의 축소와, 소비 전력의 절감과, 응답 속도의 개선을 이룩할 수 있고, 자속의 누설이 방지되므로 적은 전력 소모와 높은 제어 응답성을 가지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클로즈 위치로 셔터를 복귀시킬 수 있는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렌즈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회전 모멘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부 및 코일과, 상기 코일에 전원 미인가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를 상기 클로즈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베이스에 형성된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회전 모멘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부 및 코일;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각각에 형성되고, 일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1 접촉부와 타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구멍; 상기 스토퍼 구멍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베이스의 일부에 돌출되고, 일측 외벽에 해당하는 클로즈부와 타측 외벽에 해당하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클로즈 동작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클로즈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클로즈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오픈 동작시 상기 제2 접촉부 및 상기 오픈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오픈 위치가 정의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렌즈 구멍을 개방하는 오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전원 인가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대면되어 직선 이동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가 결합되며 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에 장공 형상으로 마련된 보스 구멍에 상기 보스가 끼워져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회전 모멘트력을 가하는 슬라이더; 상기 코일 주변에 배치되어 전자기력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성체 재질의 요크 부재; 를 포함한 다.
여기서, 상기 코일에 전원 미인가시 상기 요크 부재는 상기 클로즈 방향을 향하는 자력을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가한다.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간단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코일의 전자기력이 슬라이더에 직결되는 구조로 되어 소비 전력이 절감되며, 많은 수의 링크 구조물에 의하지 않는 직결 구조로 인하여 셔터 응답 속도의 개선을 이룩할 수 있고, 코일에 전원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요크 부재가 블레이드에 복귀력을 작용함으로써 렌즈의 노출을 방지하여 렌즈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셔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셔터 부재가 전원 인가 전에 클로즈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전원이 막 인가될 때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셔터 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내장 모바일 기기 등의 소형화된 광학 영상 장치에 설치되며, 렌즈에 대한 광의 입사 통로가 되는 렌즈 구멍(101)을 오픈 또는 클로즈시킨다.
이러한 셔터 장치는 렌즈 구멍(101)이 형성된 베이스(100)와, 베이스(100)를 개폐하는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 이들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셔터 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광학 영상 장치에 체결 부재로 착탈된다. 베이스(100)에는 피사체의 반사광이 통과되는 렌즈 구멍(101)이 형성된다. 셔터 장치를 광학 영상 장치에 체결하면 렌즈 구멍(101)에는 광학 영상 장치의 렌즈군(미도시)이 대면된다.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는 렌즈 구멍(101)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 또는 렌즈 구멍(101)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로 회동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는 베이스(100)에 마련된 힌지(104)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된다.
이들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은 액츄에이터부(500)에 의하여 제공된다. 액츄에이터부(500)는 공압 실린더, 서보 모터 등이 채용될 수 있지만, 소비 전력 감소 및 경박 단소화를 도모하도록, 코일(230) 및 마그네트부(420)의 조합에 의한 구동 방 식을 취한다.
또한,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회전 모멘트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400)가 직선 이동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동력 전달부의 부품수가 크게 생략되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110a,110b)의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즉, 슬라이더(400)는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회전 모멘트력을 작용하도록 베이스(100)의 힌지(104)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직선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부(500)는 슬라이더(400)와,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와, 고정자(200)를 포함한다. 제1 자극부(420a)에는 예를 들어 1개의 분극선(L)이 형성되어 1개의 N극 및 S극만 착자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극선이 형성되어 복수의 착자 영역이 구획됨으로써 복수의 N극 및 복수의 S극이 착자되는 등 자기력의 강화 및 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슬라이더(400)에 돌출된 보스(410)는 힌지(104)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결합된다.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각각 천공된 힌지 구멍(114)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104)에 헐거운 끼워 맞춤된다. 슬라이더(400)의 상측에 돌출된 보스(410)는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천공된 보스 구멍(116)에 헐거운 끼워 맞춤되어 마찰 저항이 억제된다.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시 보스(410) 및 보스 구멍(116)의 결합 구조를 통하여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회전 모멘트력이 전달된다.
일 실시예로서, 보스 구멍(116)은 슬라이더(400) 및 보스(41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이다. 보스 구멍(116)은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각각 마련되며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회동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에 각각 마련된 보스 구멍(116)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회동 중심인 힌지(104)를 기준으로 하여 보스(410)가 오픈 위치를 향하여 직선 이동될 때는 보스(410)의 이동 궤적은 힌지(104)로부터 점차 멀어진다. 이에 비하여, 보스(410)가 클로즈 위치를 향하여 직선 이동될 때는 보스(410)의 이동 궤적은 힌지(104)에 점차 접근한다. 이와 같이 보스(410)의 이동 궤적은 힌지(104)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므로 장공의 보스 구멍(116)은 힌지(104) 및 보스(410)의 변화되는 상대 거리를 계산하여 보스(410)가 보스 구멍(116)에 끼어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형상 및 유격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시 보스(410)는 보스 구멍(116)의 측벽을 타고 슬라이딩된다.
마그네트부(420)는 하나의 자석에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여러 개의 자극이 착자되는 실시예, 서로 독립적인 자석에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가 각각 착자되며 이들 복수의 자석을 일렬로 연결한 실시예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 외에 별도의 자극이 형성됨으로써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자극이 마그네트부(4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는 코일에 대면되는 동일 방향의 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착자되며,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다. 슬라이더(400)를 하향 절곡시킨 제1 벤딩부(481) 및 제2 벤딩부(482)가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를 슬라이더(40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고정자(200)는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에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슬라이더(400)를 직선이동시킨다. 고정자(200)는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에 대면되는 코일(230)과, 코일(230)을 감싸는 요크 부재(24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조로서,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는 슬라이더(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요크 부재(240)는, 코일(230) 주변에 배치되어 코일(23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누설을 방지한다. 자기력선 차단을 위하여 요크 부재(240)는 자성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요크 부재(240)의 구조를 특별히 설계함으로써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를 클로즈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270)를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요크 부재(240)는 제1 돌출부(241),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41),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와 마그네트부(42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중 되도록, 제1 돌출부(241),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가 차례로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2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요크 부재(240) 및 마그네트부(42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400)를 클로즈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력이 작용하게 된다.
코일(230)은 제1 돌출부(241) 및 제2 돌출부(242) 사이의 이격 공간을 관통하는 한편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 사이의 이격 공간을 관통하는 중공 기둥 형상으로 권선된다. 이때, 제1 돌출부(241) 및 제3 돌출부(243)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242)는 슬라이더(400)에 클로즈 방향의 복귀력이 작용하도록 제1 돌출부(241) 및 제3 돌출부(243)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요크 부재(240)의 형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요크 부재(240)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245), 몸체부(245)의 일측을 절곡시킨 제1 돌출부(241), 몸체부(245)의 타측을 절곡시킨 제3 돌출부(243), 제1 돌출부(241) 및 제3 돌출부(243) 사이에 해당하는 몸체부(245)의 일부가 절개된 개구부(246), 몸체부(245)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제1 돌출부(241)와 대면되도록 개구부(246)의 가장 자리를 절곡시킨 제2 돌출부(24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41) 및 제3 돌출부(243)는 코일(2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242)는 코일(23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1 돌출부(241) 및 제3 돌출부(243)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친 위치에 마련된다. 도시된 배치 구조에 의하면 제2 돌출부(242)는 제1 돌출부(241)에 더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클로즈 방향의 자력이 작용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클로즈 방향 및 오픈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41),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는 별개의 부품이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일의 평판인 몸체부(245)를 벤딩시킴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부품 공차와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하나의 부품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241) 및 제2 돌출부(242) 사이의 이격 공간은 몸체부(245)의 일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개구부(246)가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돌출부(241), 제2 돌출부(242) 및 제3 돌출부(243)의 구조나 형상, 서로간의 이격 거리, 코일을 향하여 돌출되는 높이, 마그네트부와 대면되는 거리 등을 조절하면 슬라이더(400)의 이동 속도, 슬라이더(400)의 이동 가능 범위,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응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가 결합되는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로서,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가 가이드(18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이 안내된다.
이에 따라,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 중 어느 하나가 가이드(180) 주변의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는 제1 접촉 위치(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마그네트부(420)의 위치와 일치한다) 및 제2 접촉 위치(이는 제1 접촉 위치의 반대 위치에 해당한다)에 의하여 슬라이더(400)의 이동 가능 스팬(S)이 제한된다. 또한, 코일(2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가이드(180) 및 가이드(180) 주변의 4각 홈 의 벽은 충격력과 같은 외력의 작용에 불구하고 슬라이더(400)가 클로즈 위치 또는 오픈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슬라이더(400)는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를 포함한 마그네트부(42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 벤딩부(481) 및 제2 벤딩부(482)를 포함하고, 제1 벤딩부(481)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가이드(180)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00)의 직선 이동이 안내된다.
한편,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가 렌즈 구멍(101)을 개방하는 오픈 위치와 렌즈 구멍(101)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의 반복 정밀도는 스토퍼(102) 및 스토퍼 구멍(112)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즉,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 각각에 스토퍼 구멍(112)이 형성되고, 스토퍼 구멍(112)에 의하여 노출된 베이스(100)의 일부에 스토퍼(102)가 돌출된다. 스토퍼 구멍(112)은 스토퍼 구멍(112)의 일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1 접촉부(1121)와 스토퍼 구멍(112)의 타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2 접촉부(1122)를 포함한다. 스토퍼(102)는 스토퍼(102)의 일측 외벽에 해당하는 클로즈부(1021)와 스토퍼(102)의 타측 외벽에 해당하는 오픈부(10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클로즈 동작시 제1 접촉부(1121) 및 클로즈부(1021)가 접촉됨으로써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클로즈 위치가 정의된다.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오픈 동작시 제2 접촉부(1122) 및 오픈부(1022)가 접촉됨으로써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의 오픈 위치가 정의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며 셔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가 클로즈 위치에 로킹된 상태로 있다. 제1 자극부(420a)가 가이드(180) 주변의 베이스 벽에 밀착되면(이를 제1 접촉 위치라고 함) 제1 블레이드(110a)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110a)의 오픈 위치가 규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토퍼 구멍(112)의 제2 접촉부(1122)가 스토퍼(102)의 오픈부(1022)에 밀착되면 제1 블레이드(110a)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110a)의 오픈 위치가 규제된다.
한편, 코일(230)의 전원 인가 여부와 상관없이, 마그네트부(420)와 요크 부재(240)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 자기력에 의하여 슬라이더(400)의 흔들림이 억제되며, 제1 블레이드(110a) 및 제2 블레이드(110b)가 클로즈 위치로 복귀되려는 복귀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원이 오프되어도 충격 등의 외력의 작용에도 슬라이더(400) 및 제1 블레이드(110a)는 소정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로즈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제1 블레이드(110a)가 오픈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코일(230)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전자기력의 극성은 도시된 바와 같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슬라이더(400)는 우측 방향인 오픈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려는 전자기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110a)는 렌즈 구멍(101)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회동되기 시작한다.
한편, 코일(230)의 전원 인가 여부와 상관없이,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와 요크 부재(240)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 자기력에 의하여 슬라이더(400)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110a)는 외력에 불구하고 클로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코일(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제1 자극부(420a) 및 제2 자극부(420b)의 착자력이나 코일(230)에 대면되는 면적의 증감, 가이드(180) 주변의 베이스 벽의 형성 위치, 가이드(180)의 윤활 정도, 요크 부재(240)의 재질 등 다양한 설계 변수를 조절하면 클로즈 위치와 오픈 위치를 왕복하는 셔터 부재의 이동 속도와 이동 스팬을 포함한 위치 제어 정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서, 코일(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셔터 부재의 응답 속도를 정밀한 해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액츄에이터부(500)에 개재되는 동력 전달이나 운동 방향 변환 부품의 수가 대폭 줄어들어, 부품들 간의 유격이나 이동에 따른 부하 발생이 없으므로 소비 전력의 절감은 물론 셔터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셔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셔터 부재가 전원 인가 전에 클로즈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전원이 막 인가될 때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이스 101...렌즈 구멍
102...스토퍼 1021...클로즈부
1022...오픈부 104...힌지
110a...제1 블레이드 110b...제2 블레이드
112...스토퍼 구멍 1121...제1 접촉부
1122...제2 접촉부 114...힌지 구멍
116...보스 구멍 180...가이드
200...고정자 230...코일
240...요크 부재 241...제1 돌출부
242...제2 돌출부 243...제3 돌출부
245...몸체부 246...개구부
270...복귀부
400...슬라이더 410...보스
420...마그네트부 420a...제1 자극부
420b...제2 자극부 481...제1 벤딩부
482...제2 벤딩부 500...액츄에이터부
L...분극선

Claims (9)

  1. 렌즈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회전 모멘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부 및 코일과, 상기 코일에 전원 미인가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를 상기 클로즈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부; 를 포함하는 셔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힌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부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트부와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회전 모멘트력을 작용하며,
    상기 요크 부재는 상기 코일 주변에 배치되어 전자기력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성체 재질로 된 셔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부재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마그네트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클로즈 방향의 복귀력이 작용하는 셔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부재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관통하는 중공 기둥 형상으로 권선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클로즈 방향의 복귀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셔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부재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절곡시킨 제1 돌출부 및 타측을 절곡시킨 제3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된 개구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면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가장 자리를 절곡시킨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셔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부재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코일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코일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셔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슬라이더 및 요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마그네트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이동이 안내되는 셔터 장치.
  8. 베이스에 형성된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개방시키는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회전 모멘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부 및 코일;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각각에 형성되고, 일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1 접촉부와 타측 내벽에 해당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구멍;
    상기 스토퍼 구멍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베이스의 일부에 돌출되고, 일측 외벽에 해당하는 클로즈부와 타측 외벽에 해당하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클로즈 동작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클로즈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클로즈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오픈 동작시 상기 제2 접촉부 및 상기 오픈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오픈 위치가 정의되는 셔터 장치.
  9. 렌즈 구멍을 개방하는 오픈 위치 및 상기 렌즈 구멍을 폐쇄하는 클로즈 위치로 회동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전원 인가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대면되어 직선 이동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가 결합되며 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에 장공 형상으로 마련된 보스 구멍에 상기 보스가 끼워져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회전 모멘트력을 가하는 슬라이더;
    상기 코일 주변에 배치되어 전자기력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성체 재질의 요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 미인가시 상기 요크 부재는 상기 클로즈 방향을 향하는 자력을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에 가하는 셔터 장치.
KR1020090135310A 2009-11-23 2009-12-31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10119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310A KR101190390B1 (ko) 2009-12-31 2009-12-31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US12/952,660 US8717493B2 (en) 2009-11-23 2010-11-23 Shutter device
CN201010555302.7A CN102073192B (zh) 2009-11-23 2010-11-23 快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310A KR101190390B1 (ko) 2009-12-31 2009-12-31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485A true KR20110078485A (ko) 2011-07-07
KR101190390B1 KR101190390B1 (ko) 2012-10-16

Family

ID=4491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310A KR101190390B1 (ko) 2009-11-23 2009-12-31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320A (ko) * 2018-06-26 2018-08-03 자화전자(주)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20180111263A (ko) * 2017-03-31 2018-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01775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09105A (ko) * 2020-01-17 2020-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13877B1 (ko) 2020-06-30 2021-10-18 자화전자(주) 아이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0B1 (ko) * 2004-01-19 2005-01-27 주식회사 씨티전자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갖는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38289B1 (ko) 2007-05-29 2008-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263A (ko) * 2017-03-31 2018-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444599B2 (en) 2017-03-31 2019-10-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stop module
US10690997B2 (en) 2017-03-31 2020-06-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stop module
US10816876B2 (en) 2017-03-31 2020-10-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lens module, and stop module
KR20180088320A (ko) * 2018-06-26 2018-08-03 자화전자(주)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20200001775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09105A (ko) * 2020-01-17 2020-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13877B1 (ko) 2020-06-30 2021-10-18 자화전자(주) 아이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390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7493B2 (en) Shutter device
US10901172B2 (en) Camera lens assembly
US7316514B2 (en) Light controller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87731B1 (ko) 촬상장치 및 구동모터
KR101190390B1 (ko)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US11561456B2 (en) Blade driving device for high resolution imaging apparatus
US11852886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101177185B1 (ko) 카메라 셔터 장치
JP2006330314A (ja) 光量調節装置、撮像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1128149B1 (ko) 셔터 장치
US20050152691A1 (en) Shutter apparatus
KR101177232B1 (ko) 카메라 셔터 장치
JP4002735B2 (ja) 光量制御装置および電磁駆動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9047858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50006291A (ko) 조리개 조립체
KR100788844B1 (ko) 자기적 짝힘을 이용한 카메라폰용 셔터
KR100247776B1 (ko) 캠코더의 조리개구조
JP2004191750A (ja) 光量調節装置
JP4565323B2 (ja) 撮像装置及び駆動モーター
KR20230100564A (ko)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셔터 장치
JP2009229703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741229B2 (ja) 電動絞り装置
KR101249462B1 (ko) 초소형 셔터장치의 액추에이터
JP2005250439A (ja) 撮像装置及び駆動モ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